KR102333355B1 - 얼음 정수기 - Google Patents

얼음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355B1
KR102333355B1 KR1020150027517A KR20150027517A KR102333355B1 KR 102333355 B1 KR102333355 B1 KR 102333355B1 KR 1020150027517 A KR1020150027517 A KR 1020150027517A KR 20150027517 A KR20150027517 A KR 20150027517A KR 102333355 B1 KR102333355 B1 KR 102333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ld water
water
tray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839A (ko
Inventor
오정환
한두원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35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4Distributing ice for storing 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얼음이 트레이에 저장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여 얼음의 낙하에 의한 음료의 튐이나 주변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얼음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 생성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정수 생성부에서 정수된 물을 제빙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 및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생성되어 떨어지는 얼음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얼음의 배출을 위해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인출가능토록 제공되는 얼음 트레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음 정수기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본 발명은 얼음의 토출시 음료 등에 낙하되며 음료를 주변으로 튀기거나, 얼음 조각 등이 주변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로, 정수된 물의 온도를 조절하여 냉, 온수로 공급하는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한편, 얼음 정수기는 냉, 온수의 공급 기능과 함께 얼음을 공급하는 기능이 포함된 장치로, 내부에 얼음을 얼리기 위한 얼음 생성부가 구비된다.
얼음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얼음 생성부로 공급하여 얼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생성된 얼음은 탈빙 과정을 거쳐 얼음 저장고에 저장된다. 또한, 얼음 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은 사용자의 추출요구가 있을 경우, 얼음 저장고로부터 토출된다.
종래의 얼음 정수기는 얼음 저장고에 연결된 토출구로부터 얼음이 떨어지며 공급되는 구조로 제공되며, 토출구의 하부에는 떨어지는 얼음을 받기 위한 컵 등의 용기를 놓을 수 있는 받침대가 제공된다.
그런데, 종래의 얼음 정수기는 토출구로부터 떨어지는 얼음이 컵 등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컵에 담겨진 음료를 얼음 정수기 또는 그 주변으로 튀기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얼음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컵에 정확하게 담기지 않거나 얼음 조작 등으로 분리될 수 있어 얼음 정수기 및 주변 환경이 지저분해지는 요인이 되고 있다.
JP 1998-160311 A (1998.06.1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얼음이 트레이에 저장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여 얼음의 낙하에 의한 음료의 튐이나 주변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얼음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 생성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정수 생성부에서 정수된 물을 제빙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와,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생성되어 떨어지는 얼음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얼음의 배출을 위해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인출가능토록 제공되는 얼음 트레이;와, 상기 정수 생성부에서 생산된 정수된 물을 냉각하여 저장하고, 냉각된 물을 얼음 생성을 위한 원수로 공급하는 냉수 생성부; 및 상기 얼음 트레이로부터 배출된 냉수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냉수 생성부 또는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되는 물을 냉각하는 열교환부를 구비하는 냉수열교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얼음 트레이에는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얼음이 녹아 발생한 상기 냉수가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며, 상기 열교환부로 공급된 상기 냉수는 상기 냉수 생성부 또는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되는 물과 열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트레이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배수구로부터 떨어지는 얼음으로부터 용해된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받침부와, 상기 냉수 받침부에 연계되어 상기 냉수를 모으는 냉수회수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는 상기 얼음 트레이의 일측에 제공되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매쉬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트레이의 하부면은 상기 배수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트레이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수를 상기 냉수 생성부로 공급하는 냉수회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트레이에 저장된 얼음의 량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 측정된 얼음 량에 따라 상기 얼음 생성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얼음 트레이 상부의 얼음을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상기 얼음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는 리미트 센서일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이 얼음 트레이에 담긴 상태로 공급되므로, 얼음이 음료 등으로 낙하되며 주변으로 음료를 튀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얼음 정수기 또는 주변 환경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얼음 트레이에 저장된 얼음이 녹으면서 생성된 냉수를 이용하여 냉수 생성부 또는 얼음 생성부로 공급되거나 저장된 냉수를 냉각하는데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얼음 트레이가 개방된 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냉수 받침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얼음 트레이가 개방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며, 얼음 정수기(100)의 작동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각종 펌프 등의 장치가 설치된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하는 정수 생성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정수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정수된 물은 정수 탱크로 공급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냉수 생성부(130) 또는 온수 생성부로 공급되어 냉수 또는 온수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일측에는 정수 생성부(120)에서 정수된 물을 제빙하여 얼음(P)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140)가 제공될 수 있다. 얼음 생성부(140)는 제빙용기에 공급된 물을 얼려 얼음(P)을 생성하게 되며, 탈빙과정을 거쳐 얼음(P)을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얼음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얼음(P)은, 얼음 생성부(140)의 하부에 마련된 얼음 트레이(150)로 공급될 수 있다.
얼음 트레이(150)는 얼음 생성부(140)로부터 생성되어 떨어지는 얼음(P)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막힌 용기 형태로 제공되며, 상부는 얼음(P)의 낙하를 위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얼음 트레이(15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상자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얼음 트레이(150)는 본체(110)의 일측으로 인출 가능토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얼음 트레이(150)가 본체(11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부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저장된 얼음(P)을 꺼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얼음 트레이(150)는 본체(110)의 전면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체(110)의 내측에는 얼음 트레이(1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얼음 트레이(15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152)가 형성될 수 있다. 얼음 트레이(150)에 저장된 얼음(P)은 보관되는 과정에서 얼음(P)이 녹으면서 냉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얼음(P)으로부터 발생한 냉수는 얼음 트레이(150)의 하부에 마련된 배수구(152)를 통해 배수됨에 따라 얼음 트레이(150)에는 항상 고형의 얼음(P)만이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배수구(152)는 얼음 트레이(150)는 하부의 일부가 관통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이 관통된 부분에는 냉수는 통과하고, 얼음(P)의 배출은 방지하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매쉬망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얼음 트레이(150)의 하부면(154)은 일측에 제공된 배수구(152)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얼음 트레이(150)에 모인 냉수가 배수구(152)를 통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얼음 트레이(150)의 하부에는 얼음 트레이(150)의 배수구(152)로부터 떨어진 얼음(P)으로부터 용해된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받침부(156)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얼음 트레이(150)는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시 배수구(152)가 냉수 받침부(156) 상부에 위치되는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잔류된 냉수가 본체(110)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배수구(152)는 얼음 트레이(150)의 후측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냉수 받침부(156)는 얼음 트레이(150)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배수구(152)를 받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얼음 정수기(100)는 얼음 트레이(150)에 저장된 얼음(P)이 넘치지 않도록 얼음(P)의 량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110)에 구비된 제어부에서는 측정부(158)에서 감지된 얼음(P)의 량에 따라 얼음 생성부(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측정부(158)는 얼음 트레이(150) 상부의 얼음(P)을 감지하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센서가 얼음 트레이(150) 상부에 얼음(P)이 감지할 경우, 제어부는 얼음 트레이(150)에 얼음(P)이 만재된 상태로 판단하고, 추가적인 얼음(P)의 생산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158)에 사용되는 광센서는 물리적인 접촉없이 얼음(P)을 감지하는 센서의 일례로, 측정부(158)에는 광센서 외에도 다양한 수단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58)에는 얼음 트레이(150) 상부에 얼음(P)과 접촉하여 얼음(P)의 유무를 판단하는 리미트 센서와 같이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작동하는 센서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냉수 받침부(156)에는 저장된 냉수가 넘치지 않도록 냉수를 모으는 냉수 생성부(130)가 연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얼음 생성부(140)는 정수 생성부(120)로부터 생산된 정수를 직접 얼음(P)으로 냉각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정수를 얼음(P)을 제빙하는데 사용할 경우 에너지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정수 생성부(120)로부터 생산된 정수를 냉수 생성부(130)에서 냉수로 냉각하여 저장하게 되며, 냉수 생성부(130)에 저장된 냉수를 얼음(P) 생성을 위한 원수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얼음 트레이(150)로부터 배출된 냉수는 얼음(P)에서 용해됨에 따라 매우 낮은 온도일 수 있으며, 예컨대 0~4 ℃의 온도일 수 있다.
이러한 저온의 냉수는 냉수의 냉각화를 촉진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얼음 트레이(150)로부터 배출된 냉수를 냉수 생성부(130)로 공급하는 냉수회수라인(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수회수라인(160)은 얼음 트레이(150)로부터 배출된 냉수를 직접 냉수 생성부(130)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얼음 트레이(150)로 부터 배출된 냉수는 냉수 받침부(156)를 통해 냉수회수탱크에 저장될 수 있고, 냉수회수탱크에 저장된 냉수를 냉수회수라인(160)을 통해 냉수 생성부(130)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얼음 트레이(150)에서 용해된 저온의 냉수는 냉수 생성부(130)로 공급되어 생산되는 냉수의 온도는 낮추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수를 냉각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얼음 트레이(150)에서 발생한 냉수는 냉수 생성부(130)로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얼음 트레이(150)의 청결 상태 등에 따라 오염되거나 미생물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얼음 트레이(150)에서 발생한 냉수를 냉각에 활용한 후 배출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개념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100)는 얼음 트레이(150)로부터 배출된 저온, 예컨대 0~4 ℃의 온도의 냉수를 열교환을 통해 회수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얼음 정수기(100)는 얼음 트레이(150)로부터 배출된 저온의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열교환라인(1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냉수열교환라인(165)은 냉수 생성부(130) 또는 얼음 생성부(140)로 공급되는 물과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수열교환라인(165)은 얼음 트레이(150)로부터 배출된 냉수를 열교환부(167)로 공급하게 되고, 이와 같이 열교환부(167)로 공급된 상대적으로 저온의 냉수는 냉수 생성부(130) 또는 얼음 생성부(140)로 공급되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냉수와 열교환되어 상대적으로 고온인 냉수를 냉각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냉수열교환리인(165)은 얼음 트레이(150)로부터 배출된 냉수를 직접 열교환부(167)로 공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얼음 트레이(150)로 부터 배출된 냉수는 냉수 받침부(156)를 통해 냉수회수탱크에 저장될 수 있고, 냉수회수탱크에 저장된 냉수를 냉수회수라인(160)을 통해 열교환하여 배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냉수열교환라인(165)은 열교환부(167)가 별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냉수열교환라인(165)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냉수 받침부를 도시한 사시도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부(167)는 냉수 받침부(156)에 일체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냉수 받침부(156)에는 냉수 생성부(130) 또는 얼음 생성부(140)로 공급되는 물이 통과하는 배관이 설치될 수 있으며, 얼음 트레이(150)로부터 배출된 저온의 냉수에 의해 배관을 통과하는 물이 냉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얼음 정수기 110: 본체
120: 정수 생성부 130: 냉수 생성부
140: 얼음 생성부 150: 얼음 트레이
152: 배수구 156: 냉수 받침부
158: 측정부 160: 냉수회수라인

Claims (8)

  1. 물을 정수하는 정수 생성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정수 생성부에서 정수된 물을 제빙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생성되어 떨어지는 얼음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얼음의 배출을 위해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인출가능토록 제공되는 얼음 트레이;
    상기 정수 생성부에서 생산된 정수된 물을 냉각하여 저장하고, 냉각된 물을 얼음 생성을 위한 원수로 공급하는 냉수 생성부; 및
    상기 얼음 트레이로부터 배출된 냉수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냉수 생성부 또는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되는 물을 냉각하는 열교환부를 구비하는 냉수열교환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얼음 트레이에는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가 형성되어, 얼음이 녹아 발생한 상기 냉수가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며,
    상기 열교환부로 공급된 상기 냉수는 상기 냉수 생성부 또는 상기 얼음 생성부로 공급되는 물과 열교환하는 얼음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배수구로부터 떨어지는 얼음으로부터 용해된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 받침부와,
    상기 냉수 받침부에 연계되어 상기 냉수를 모으는 냉수회수탱크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얼음 트레이의 일측에 제공되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매쉬망을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의 하부면은 상기 배수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얼음 정수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로부터 배출된 상기 냉수를 상기 냉수 생성부로 공급하는 냉수회수라인을 더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6. 삭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트레이에 저장된 얼음의 량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 측정된 얼음 량에 따라 상기 얼음 생성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얼음 트레이 상부의 얼음을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상기 얼음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는 리미트 센서인 얼음 정수기.
KR1020150027517A 2015-02-26 2015-02-26 얼음 정수기 KR102333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517A KR102333355B1 (ko) 2015-02-26 2015-02-26 얼음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517A KR102333355B1 (ko) 2015-02-26 2015-02-26 얼음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839A KR20160104839A (ko) 2016-09-06
KR102333355B1 true KR102333355B1 (ko) 2021-12-01

Family

ID=5694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517A KR102333355B1 (ko) 2015-02-26 2015-02-26 얼음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35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9607A (ja) * 1995-02-10 1996-08-30 Masaru Ono 製氷排水利用熱交換式製氷機能力増加装置
JP3011685B2 (ja) 1997-12-26 2000-02-21 株式会社東芝 自動製氷装置付き冷蔵庫
KR101281592B1 (ko) * 2011-08-12 2013-07-03 정휘동 제빙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839A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3213B2 (ja) 製氷機
RU2232953C1 (ru) Льдогенератор
KR100982700B1 (ko)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WO2014116799A1 (en) Ice maker with slide out sump
KR100995151B1 (ko) 투명얼음 제빙장치
CN104206933A (zh) 吸油箱装置
KR101287306B1 (ko) 제빙기
KR101001297B1 (ko) 얼음 정수기
KR101264666B1 (ko) 침지형 제빙유닛과 이를 이용한 얼음 제조방법
KR102333355B1 (ko) 얼음 정수기
KR20120105662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30013475A (ko) 제빙 자화 육각 정수기
KR100628968B1 (ko) 폐식용유를 회수하는 열풍시스템
KR20110109087A (ko) 제빙기
CN207299650U (zh) 一种制冰废水辅助冷凝装置
KR200467123Y1 (ko) 얼음이 출빙되는 냉온수기
KR101665138B1 (ko) 얼음정수기용 취수장치
JP3867147B2 (ja) 蓄熱体、蓄熱装置およびその熱管理方法
JP2017095153A (ja) 貯氷式飲料冷却装置
KR20180069251A (ko) 얼음정수기 점검 방법
KR102232975B1 (ko) 얼음 정수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얼음 생성 장치
KR20110048758A (ko) 제빙기
KR20140132269A (ko) 얼음 정수기 및 저장 유닛
KR20140098914A (ko) 얼음 정수기
KR102243208B1 (ko)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