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758A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758A
KR20110048758A KR1020090105466A KR20090105466A KR20110048758A KR 20110048758 A KR20110048758 A KR 20110048758A KR 1020090105466 A KR1020090105466 A KR 1020090105466A KR 20090105466 A KR20090105466 A KR 20090105466A KR 20110048758 A KR20110048758 A KR 20110048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ld water
water tank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650B1 (ko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6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48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65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냉수탱크의 수위를 조절하여 얼음과 냉수를 생성하는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E)에 연결되며 얼음(I)이 생성되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 상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의 아래에 구비되며 물(W)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냉수탱크(300); 및 상기 냉수탱크(300)에 연결되며 상기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이 유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가 물(W)에 잠기어 물(W)이 냉각되거나 얼음(I)이 생성되는 제빙수위 또는 물(W)에 잠기지 않으며 얼음(I)을 탈빙시키는 탈빙수위로 상기 냉수탱크(30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위조절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냉수탱크와 물의 유동이 가능한 별도의 수위조절용 탱크를 사용하여 냉수탱크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에 연결된 얼음생성부재가 물에 잠기거나 잠기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와 얼음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제빙기, 증발기, 얼음, 냉수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냉수탱크의 수위를 조절하여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에 연결된 얼음생성부재가 물에 잠기거나 잠기지 않도록 하여 얼음과 냉수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냉동시스템이 구비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제빙기는 냉장고나 얼음정수기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기는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와, 얼음생성부재의 아래에 위치하며 얼음생성부재가 잠기는 물이 담기고 회전되는 트레이부재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얼음생성부재에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시에 트레이부재는 얼음생성부재가 잠기는 물이 담길 수 있도록 회전하고, 얼음생성부재에 생성된 얼음을 얼음생성부재로부터 분리하는 탈빙시에 트레이부재는 얼음생성부재로부터 분리된 얼음이 얼음저장고 등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한다.
한편, 전술된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 각각의 내부에는 냉동시스템을 유동하면서 상태변화하는 냉매가 유동한다.
제빙시에 얼음생성부재의 내부에는 차가운 냉매가 유동한다. 따라서, 얼음 생성부재 내부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와 얼음생성부재가 잠기도록 트레이부재에 담긴 물과의 열교환, 즉 물로부터 냉매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얼음생성부재에는 얼음이 생성된다.
그리고, 탈빙시에 각각의 얼음생성부재의 내부에는 뜨거운 냉매가 유동한다. 이에 따라, 얼음생성부재에 생성된 얼음이 얼음생성부재와 접촉하는 표면이 녹게 되어 얼음생성부재로부터 얼음이 분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얼음생성부재로부터 분리된 얼음은 전술된 바와 같이 얼음저장고 등으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한편, 이와 같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이외에 냉수생성을 위해서는 제빙을 위한 냉동시스템 이외에도 냉수생성을 위한 별도의 냉각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에 넣어서 냉수를 생성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이용해서 냉수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냉수생성을 위한 별도의 얼음을 만들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생성된 냉수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계속적인 냉수생성과정, 즉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을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에 넣음으로 인해서 냉수탱크의 수위가 올라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에 담겨진 일정수위 이상의 냉수를 버려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빙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냉수탱크와 물의 유동이 가능한 별도의 수위조절용 탱크를 사용하여 냉수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냉수탱크의 수위를 조절하여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에 연결된 얼음생성부재가 물에 잠기거나 잠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와 얼음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냉수를 버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냉수탱크와 물의 유동이 가능한 별도의 수위조절용 탱크를 사용하여 냉수탱크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에 연결된 얼음생성부재가 물에 잠기거나 잠기지 않도록 하여서,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와 얼음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에 연결되며 얼음이 생성되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의 아래에 구비되며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냉수탱크; 및 냉수탱크에 연결되며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유동하여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가 물에 잠기어 물이 냉각되거나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수위 또는 물에 잠기지 않으며 얼음을 탈빙시키는 탈빙수위로 상기 냉수탱크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위조절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위조절부는 냉수탱크의 일측에 연결되며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거나 유입되어 저장된 물이 냉수탱크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구성된 수위조절용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탱크로부터 수위조절용 탱크로 물이 유입되도록 냉수탱크와 수위조절용 탱크는 밸브로 연결되고, 수위조절용 탱크에 유입되어 저장된 물이 냉수탱크로 되돌아가도록 냉수탱크와 수위조절용 탱크는 펌프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는 냉수탱크의 탈빙수위와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위조절부는 냉수탱크의 타측에 구비되며 냉수탱크의 타측이 냉수탱크의 제빙수위와 탈빙수위 사이에서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가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높이가변유닛은 냉수탱크의 타측에 구비된 가변유닛본체; 가변유닛본체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 및 가변유닛본체에 구비되며 이동부재가 가변유닛본체의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수단; 을 포함할 수있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가변유닛본체에 구비되는 전자석부재; 이동부재와 전 자석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이동부재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가변유닛본체에 구비되는 스토퍼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수탱크에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에 생성된 얼음을 얼음저장고로 안내하는 안내그릴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탱크에는 제빙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탱크와 물의 유동이 가능한 별도의 수위조절용 탱크를 사용하여 냉수탱크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탱크의 수위를 조절하여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에 연결된 얼음생성부재가 물에 잠기거나 잠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와 얼음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수를 버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 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냉수탱크와 물의 유동이 가능한 별도의 수위조절용 탱크를 사용하여 냉수탱크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에 연결된 얼음생성부재가 물에 잠기거나 잠기지 않도록 하여서, 하나의 증발기로 냉수와 얼음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와, 냉수탱크(300) 및, 수위조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부에 차가운 냉매나 뜨거운 냉매나 유동할 수 있는 증발기(E)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고, 이러한 증발기(E)는 냉매가 유동하면서 상태변화하는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E)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 각각에도 차가운 냉매나 뜨거운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에 얼음(I)이 생성되거나 생성된 얼음(I)이 얼음생성부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얼음생성부재(200)가 물(W)에 잠긴 상태에서 얼음생성부재(20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면, 물(W)로부터 얼음생성부재(200)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로의 열전달에 의해서 얼음생성부재(200)에 얼음(I)이 생성되는 '제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얼음생성부재(200)에 얼음(I)이 생성된 상태에서 얼음생성부재(200)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면, 얼음생성부재(200)와 얼음(I)의 접촉면이 녹게 되어 얼음생성부재(200)에 생성된 얼음(I)이 얼음생성부재(200)로부터 분리되는 '탈빙'이 이루어진다.
냉수탱크(3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의 아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수탱크(300)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며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W)이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물공급원은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가 얼음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다면, 복수개의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여과된 물(W)이 저장되는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 그러나, 냉수탱크(300)에 물(W)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은 정수탱크에 한정되지 않고, 냉수탱크(300)에 연결되며 냉수탱크(3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냉수탱크(300)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안내그릴(3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내그릴(310)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생성부재(200)에 생성된 얼음(I)이 얼음생성부재(200)로부터 분리되는 탈빙이 이루어지면, 얼음저장고(S)에 얼음(I)이 저장되도록 얼음생성부재(200)로부터 분리된 얼 음(I)을 얼음저장고(S)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그릴(310)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유동구멍(3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수탱크(300)의 수위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이 이루어지는 제빙수위에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빙이 이루어지는 탈빙수위로 변할 때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탈빙수위에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빙수위로 변할 때, 안내그릴(310)에 의해서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의 수위변화가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냉수탱크(300)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위감지센서(T)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위감지센서(T)에 의해서 도3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0)의 수위를 제빙수위까지 올릴 때, 냉수탱크(300)의 제빙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300)의 수위가 제빙수위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수위조절부(4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수위조절부(400)에 의해서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이 유동하여 냉수탱크(30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가 물(W)에 잠기어 물(W)이 냉각되거나 얼음(I)이 생성되는 제빙수위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가 물(W)에 잠기지 않으며 얼음(I)을 탈빙시키는 탈빙수위로 냉수탱크(30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수위조절부(4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위조절용 탱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조절용 탱크(41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30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이 수위조절용 탱크(410)에 유입되어 저장되거나, 수위조절용 탱크(410)에 유입되어 저장된 물(W)이 냉수탱크(300)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수탱크(300)와 수위조절용 탱크(410)와의 물(W)의 유동을 위해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밸브(V)와 펌프(P)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0)로부터 수위조절용 탱크(410)로 물(W)이 유입되도록, 냉수탱크(300)와 수위조절용 탱크(410)는 밸브(V)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V)를 열면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이 수위조절용 탱크(410)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냉수탱크(300)의 수위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밸브(V)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300)의 탈빙수위와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V)를 여는 것 이외에 별다른 조작 없이 냉수탱크(300)의 수위를 탈빙수위로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용 탱크(410)에 유입되어 저장된 물(W)이 냉수탱크(300)로 되돌아가도록, 냉수탱크(300)와 수위조절용 탱크(410)는 펌프(P)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P)를 구동하면 수위조절용 탱크(410)에 저장된 물(W)이 냉수탱크(300)로 유입되어 냉수탱크(300)의 수위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빙수위로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펌프(P)는 밸브형 펌프일 수 있다. 즉, 형태는 밸브이면서 펌프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형 펌프를 펌프(P)로 사용하면, 수위조절용 탱크(410)에 유입되어 저장된 물(W)이 냉수탱크(300)로 되돌아가도록, 냉수탱크(300)와 수위조절용 탱크(410)를 펌프(P)로 용이 하게 연결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펌프(P)로 사용되는 밸브형 펌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형태는 밸브이면서 펌프의 기능을 하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밸브형 펌프이외에도 일반 펌프(P)도 연결관을 이용해서 수위조절용 탱크(410)와 냉수탱크(300)에 연결하여서, 수위조절용 탱크(410)에 유입되어 저장된 물(W)이 냉수탱크(300)로 되돌아가도록 사용할 수 있다.
수위조절부(40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높이가변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가변유닛(42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30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높이가변유닛(420)에 의해서 냉수탱크(300)의 타측이 냉수탱크(300)의 제빙수위와 탈빙수위 사이에서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높이가변유닛(420)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변유닛본체(421)와 이동부재(422) 및 이동수단(423)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유닛본체(421)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냉수탱크(30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유닛본체(421)에는 밀봉부재(421a)가 구비될 수 있다. 밀봉부재(421a)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변유닛본체(421)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부재(421a)에 의해서 가변유닛본체(421)의 내부가 밀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수탱크 등과 같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냉수탱크(300)에 물(W)이 공급되어 냉수탱크(300)의 수위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빙수위로 되거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수탱크(300)의 탈빙수위에서 펌 프(P)의 작동으로 수위조절용 탱크(410)에 저장된 물(W)이 냉수탱크(300)로 되돌아가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수위로 될 때, 가변유닛본체(421)의 내부로 물(W)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변유닛본체(421)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이동수단(423)에 포함되는 스토퍼부재(423c)가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이러한 스토퍼부재(423c)에 의해서 이동수단(423)에 포함되는 이동부재(422)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후술할 바와 같이 이동부재(422)가 냉수탱크(300)의 제빙수위의 높이에서 정지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동부재(422)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변유닛본체(421)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부재(422)는 가변유닛본체(421)의 내부에서 승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422)의 이동,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422)의 승하강에 의해서 냉수탱크(300)의 타측의 높이가 도1과 도3, 도4 및 도6에 도시된 냉수탱크(300)의 제빙수위와 도5에 도시된 냉수탱크(300)의 탈빙수위 사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이동수단(423)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변유닛본체(42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423)에 의해서 이동부재(422)가 가변유닛본체(421)의 내부에서 이동,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승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재(422)의 가변유닛본체(421)의 내부에서의 이동,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승하강에 의해서 전술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0)의 타측의 높이가 냉수탱크(300)의 제빙수위와 탈빙수위 사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이동부재(422)의 이동,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승하강을 위해서 이동수단(423)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자석부재(423a)와 탄성부재(423b) 및 스토퍼부재(423c)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부재(423a)는 가변유닛본체(42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석부재(423a)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변유닛본체(421)의 내부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석부재(423a)는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이 발생하고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자력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422)의 하단부는 자력이 작용할 수 있는 자성체, 예컨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석부재(423a)에 전원이 인가되어 자력이 발생하면 이동부재(422), 전술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22)의 하단부를 이루는 자성체에 자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422)에 전자석부재(423a) 쪽으로 인력이 작용하여, 이동부재(422)가 전자석부재(423a) 쪽으로 이동, 즉 도2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 부재(423a) 쪽으로 하강할 수 있다.
탄성부재(423b)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부재(422)와 전자석부재(423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23b)에 의해서 이동부재(422)에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423b)는 이동부재(422)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이동부재(422)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석부재(423a)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서 이동부재(422)에 자력이 작용하지 않은 때에, 이동부재(422)는 탄성부재(423b)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1과 도3,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23b)는 도시된 실시예 와 같이 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423b)는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22)에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전술된 스토퍼부재(423c)는 가변유닛본체(421)에 구비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토퍼부재(423c)는 가변유닛본체(421)의 내부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부재(423c)에 의해서 이동부재(422)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23b)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부재(422)가 이동, 즉 상승할 때, 이동부재(422)의 상승이 냉수탱크(300)의 제빙수위의 높이에 정지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하, 도2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동수단(423)의 전자석부재(423a)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부재(423a)에 자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금속 등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진 이동부재(422)에 전자석부재(423a) 쪽으로, 즉 아래로 자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이동부재(422)는 탄성부재(423b)에 의해서 작용하는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 즉 하강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냉수탱크(300)의 탈빙수위의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자석부재(423a)에 인가된 전원을 제거하면, 이동부재(422)에 작용하던 자력이 사라져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23b)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부재(422)가 상승하게 된다. 가변유닛본체(421)의 상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423c)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부재(422)의 이러한 상승은 스토퍼부재(423c)에 의해서 정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422)의 상단부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0)의 제빙수위의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냉수탱크(300)에 연결된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가 얼음정수기에 구비된다면, 복수개의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거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냉수탱크(300)로 물(W)을 공급한다. 이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0)에는 물(W)이 유입되어 저장된다. 냉수탱크(300)에 물(W)이 유입되면, 냉수탱크(300)의 수위는 점점 높아지게 된다. 냉수탱크(3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0)의 제빙수위의 높이에 수위감지센서(T)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정수탱크 등과 같은 물공급원으로부터 냉수탱크(300)로 물(W)이 유입되어 냉수탱크(300)의 수위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감지센서(T)의 높이인 제빙수위의 높이에 이르게 되면, 수위감지센서(T)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위감지센서(T)가 냉수탱크(300)의 수위가 제빙수위에 이르렀음을 감지하면, 정수탱크 등과 같은 물공급원으로부터 냉수탱크(300)로의 물(W)의 공급을 중단한다.
한편, 냉수탱크(300)에 구비된 안내그릴(31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유동구멍(3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0)에 물(W)이 유입되어 냉수탱크(300)의 수위가 올라갈 때 안내그릴(310)에 의해서 냉수 탱크(300)의 수위가 올라가는 것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가변유닛본체(421)의 상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421a)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냉수탱크(300)로부터 가변유닛본체(421)의 내부로 물(W)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냉수탱크(300)의 수위가 제빙수위까지 이르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가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에 잠기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을 구동시키면, 냉동시스템에 포함된 증발기(E)에는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증발기(E)에 연결된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에도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로부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의 내부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로 열전달이 이루어져서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은 냉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는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을 얼음생성부재(200)의 내부를 유동하는 차가운 냉매에 의해서 직접 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얼음(I)을 냉수탱크(300)에 넣어서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을 냉각시킬 때와 같이, 냉수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아서 얼음(I)이 냉수탱크(300)에 많이 넣어짐으로 인해 냉수탱크(30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냉수를 버리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를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가 잠겨있는 냉수탱크(300)의 물(W)을 냉각하는 동안 에,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 각각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생성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에 얼음(I)의 생성이 완료되면, 밸브(V)를 연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V)를 통해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이 수위조절용 탱크(410)로 유동한다. 이에 의해서, 수위조절용 탱크(410)에는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이 유입되어 저장된다. 밸브(V)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탱크(300)의 탈빙수위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술된 바와 같은 냉수탱크(300)로부터 수위조절용 탱크(410)로의 물(W)의 유동은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의 수위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탈빙수위에 이르게 되면 멈추게 된다.
그리고, 이동수단(423)의 전자석부재(423a)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자석부재(423a)에 자력이 발생하게 한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422)는 전자석부재(423a)의 자력에 의해서 하강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냉수탱크(300)의 탈빙수위의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을 구동하여 증발기(E)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게 하면, 증발기(E)에 연결된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에도 뜨거운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 각각에 생성된 얼음(I)이 각 얼음생성부재(200)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녹게 된다. 이에 의해서, 얼음(I)이 얼음생성부재(200)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 각각으로부터 분리된 각 얼음(I)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 내그릴(310)에 의해서 얼음저장고(S)로 안내되어 얼음저장고(S)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의 냉각과 얼음(I)의 생성 및 얼음저장고(S)에의 저장이 완료되면, 다음의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의 냉각과 얼음(I)의 생성 및 얼음저장고(S)에의 저장을 위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P)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수위조절용 탱크(410)에 저장된 물(W)이 냉수탱크(300)로 이동하여,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의 수위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수위까지 높아지게 된다.
한편,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냉각된 물(W)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P)를 이용하여 수위조절용 탱크(410)에 저장된 모든 물(W)을 냉수탱크(300)로 이동시켜도,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의 수위가 제빙수위에 이르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물공급원, 예컨대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물(W)을 공급받아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의 수위를 제빙수위까지 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를 사용하면, 냉수탱크(300)와 물(W)의 유동이 가능한 별도의 수위조절용 탱크(410)를 사용하여 냉수탱크(30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냉수탱크(300)의 수위를 조절하여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E)에 연결된 얼음생성부재(200)가 물(W)에 잠기거나 잠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증발기(E)로 냉수와 얼음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냉수를 버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빙기 200 : 얼음생성부재
300 : 냉수탱크 310 : 안내그릴
311 : 물유동구멍 400 : 수위조절부
410 : 수위조절용 탱크 420 : 높이가변유닛
421 : 가변유닛본체 421a : 밀봉부재
422 : 이동부재 423 : 이동수단
423a : 전자석부재 423b : 탄성부재
423c : 스토퍼부재 E : 증발기
I : 얼음 W : 물
V : 밸브 P : 펌프
S : 얼음저장고 T : 수위감지센서

Claims (9)

  1.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는 증발기(E)에 연결되며 얼음(I)이 생성되는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
    상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의 아래에 구비되며 물(W)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냉수탱크(300); 및
    상기 냉수탱크(300)에 연결되며 상기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이 유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가 물(W)에 잠기어 물(W)이 냉각되거나 얼음(I)이 생성되는 제빙수위 또는 물(W)에 잠기지 않으며 얼음(I)을 탈빙시키는 탈빙수위로 상기 냉수탱크(30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위조절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부(400)는
    상기 냉수탱크(300)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냉수탱크(300)에 저장된 물(W)이 유입되어 저장되거나 유입되어 저장된 물(W)이 상기 냉수탱크(300)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구성된 수위조절용 탱크(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300)로부터 상기 수위조절용 탱크(410)로 물(W)이 유입되도록 상기 냉수탱크(300)와 상기 수위조절용 탱크(410)는 밸브(V)로 연결되고,
    상기 수위조절용 탱크(410)에 유입되어 저장된 물(W)이 상기 냉수탱크(300)로 되돌아가도록 상기 냉수탱크(300)와 상기 수위조절용 탱크(410)는 펌프(P)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V)는 상기 냉수탱크(300)의 탈빙수위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부(400)는
    상기 냉수탱크(300)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냉수탱크(300)의 타측이 상기 냉수탱크(300)의 제빙수위와 탈빙수위 사이에서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높이가변유닛(4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가변유닛(420)은
    상기 냉수탱크(300)의 타측에 구비된 가변유닛본체(421);
    상기 가변유닛본체(421)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422); 및
    상기 가변유닛본체(421)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422)가 상기 가변유닛본체(421)의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수단(4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423)은
    상기 가변유닛본체(421)에 구비되는 전자석부재(423a);
    상기 이동부재(422)와 상기 전자석부재(423a)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423b); 및
    상기 이동부재(422)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변유닛본체(421)에 구비되는 스토퍼부재(423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300)에는 상기 복수개의 얼음생성부재(200)에 생성된 얼음(I)을 얼음저장고(S)로 안내하는 안내그릴(31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300)에는 제빙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T)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KR1020090105466A 2009-11-03 2009-11-03 제빙기 KR10164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466A KR101647650B1 (ko) 2009-11-03 2009-11-03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466A KR101647650B1 (ko) 2009-11-03 2009-11-03 제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758A true KR20110048758A (ko) 2011-05-12
KR101647650B1 KR101647650B1 (ko) 2016-08-11

Family

ID=4436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466A KR101647650B1 (ko) 2009-11-03 2009-11-03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6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9174A (zh) * 2018-06-13 2019-01-25 深圳市兄弟制冰系统有限公司 一种流体冰冰水分离装置
KR20190078915A (ko) * 2017-12-27 2019-07-05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및 냉수저장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077A (en) * 1987-07-01 1989-01-13 Sanyo Electric Co Ice machine
JPS6419275A (en) * 1987-07-14 1989-01-23 Sanyo Electric Co Ice making machine
JPS6419276A (en) * 1987-07-14 1989-01-23 Sanyo Electric Co Ice making machine
KR100853445B1 (ko) * 2007-04-10 2008-08-21 정휘동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077A (en) * 1987-07-01 1989-01-13 Sanyo Electric Co Ice machine
JPS6419275A (en) * 1987-07-14 1989-01-23 Sanyo Electric Co Ice making machine
JPS6419276A (en) * 1987-07-14 1989-01-23 Sanyo Electric Co Ice making machine
KR100853445B1 (ko) * 2007-04-10 2008-08-21 정휘동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915A (ko) * 2017-12-27 2019-07-05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및 냉수저장장치
CN109269174A (zh) * 2018-06-13 2019-01-25 深圳市兄弟制冰系统有限公司 一种流体冰冰水分离装置
CN109269174B (zh) * 2018-06-13 2024-01-30 深圳市兄弟制冰系统有限公司 一种流体冰冰水分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650B1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1128B1 (en) Method of controlling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KR100729962B1 (ko) 하나의 증발기로 제빙과 동시에 냉수를 얻을 수 있는냉온정수시스템 및 장치
KR101164158B1 (ko) 얼음정수기
KR102051672B1 (ko)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209638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KR100853445B1 (ko)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기
KR20090111717A (ko)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KR20110056025A (ko) 제빙 장치
JP2003279210A (ja) 製氷装置及びこの製氷装置を備えた冷蔵庫
KR20110048758A (ko) 제빙기
KR20120105662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707428B1 (ko) 제빙기
KR101675746B1 (ko) 제빙기
KR101008669B1 (ko) 얼음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얼음제조방법
KR101665138B1 (ko) 얼음정수기용 취수장치
KR20130033045A (ko) 제빙기
KR102603491B1 (ko) 제빙기용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KR20110054760A (ko) 제빙기
KR101685954B1 (ko) 제빙기
KR101407003B1 (ko) 제빙기의 급배수장치와 그 방법
KR101544378B1 (ko) 제빙기
KR20110061086A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한 제빙기
JP2006017401A (ja) セル方式の製氷機
JP2003279209A (ja) 製氷装置及びこの製氷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2007155298A (ja) 製氷装置及び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