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306B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306B1
KR101287306B1 KR1020120119374A KR20120119374A KR101287306B1 KR 101287306 B1 KR101287306 B1 KR 101287306B1 KR 1020120119374 A KR1020120119374 A KR 1020120119374A KR 20120119374 A KR20120119374 A KR 20120119374A KR 101287306 B1 KR101287306 B1 KR 101287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cooling
condenser
cooling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호
Original Assignee
정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호 filed Critical 정윤호
Priority to KR102012011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306B1/ko
Priority to US14/437,709 priority patent/US20150300716A1/en
Priority to PCT/KR2013/009609 priority patent/WO20140656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25C1/045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with the open end pointing downw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1Details of condensers of evaporative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재빙기가 개시된다. 얼음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모듈이 구비된 제빙실(S1)과; 제빙수를 순환시키는 제1 펌프(45)와, 냉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73)를 포함하는 기계실(S2)과; 상기 응축기(73)에 인접하여 결합된 응축기 냉각장치(80)를 포함하되,
상기 응축기 냉각장치(80)는,상기 응축기(73)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가습모듈(81)과;상기 가습모듈(81)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실(S1)에 결합된 수위조절관(29)과 연결된 냉각수 저장부(82)와;상기 냉각수 저장부(82)에 밸브(831)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배출부(83)와;상기 냉각수 저장부(82)의 냉각수를 냉각수 순환관(811)을 통하여 상기 가습모듈(81)에 공급하는 제2 펌프(84)를 포함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기의 냉각효율을 높힌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일정한 모양을 가진 얼음덩어리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가정이나 식당, 카페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제빙기는 얼음 생성과 얼음 저장을 위한 제빙실과, 냉매의 순환 및 냉각을 위한 냉각시스템이 설치되는 기계실로서 크게 구성된다.
제빙기의 작동이 원활하기 위해서는 기계실에서 냉매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기계실에서의 열교환 효율을 높히기 위한 방법으로는 냉각팬을 이용하는 공냉식과, 물을 이용한 수냉식이 있다.
공냉식은 협소한 공간에 배치되는 제빙기의 특성상 필터교환 및 먼지제거가 힘든 점이 있고, 수냉식의 경우 많은 양의 물을 낭비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새로운 방식의 제빙기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제빙기와 관련된 기술문헌으로는 한국특허공개 제10-2001-0051251호 및 한국특허공개 제10-2006-0036986호가 있다.
본 발명은 수위조절관으로 넘쳐서 버려졌던, 섭씨 5~9도씨 정도의 탈빙수를 응축기 냉각에 활용함으로써, 응축기의 냉각효율을 높힌 제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빙과정에서는 냉각수 저장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순환시켜, 가습모듈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탈빙과정 전에 냉각수 저장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버리고, 탈빙과정에서 새로운 냉각수를 수위조절관을 통하여 공급받아 항상 깨끗하고 차가운 냉각수를 이용하여 응축기를 냉각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습모듈에 냉각수가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가습모듈에 흡착된 먼지를 씻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제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얼음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모듈이 구비된 제빙실(S1)과;
제빙수를 순환시키는 제1 펌프(45)와, 냉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73)를 포함하는 기계실(S2)과;
상기 응축기(73)에 인접하여 결합된 응축기 냉각장치(80)를 포함하되,
상기 응축기 냉각장치(80)는,
상기 응축기(73)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가습모듈(81)과;
상기 가습모듈(81)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실(S1)에 결합된 수위조절관(29)과 연결된 냉각수 저장부(82)와;
상기 냉각수 저장부(82)에 밸브(831)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배출부(83)와;
상기 냉각수 저장부(82)의 냉각수를 냉각수 순환관(85)을 통하여 상기 가습모듈(81)에 공급하는 제2 펌프(84)를 포함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또한,
제빙과정에서는 상기 밸브(831)를 닫아, 상기 제2 펌프(84)가 상기 냉각수 저장부(82)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가습모듈(81)로 순환 공급되도록 하고,
탈빙과정 전에 상기 밸브(831)를 열어, 상기 냉각수 저장부(82)에 저장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탈빙과정에서는 상기 밸브(831)를 닫아, 상기 냉각수 저장부(82)에 상기 수위조절관(29)에서 넘친 탈빙수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가습모듈(81)은.
분사 파이프(811)와;
상기 분사 파이프(811)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분사 파이프(811)로 부터 분사된 냉각수가 지그재그로 흐를 수 있도록 판막이 형성된 냉각패드(8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분사 파이프(811)와 상기 냉각패드(812) 사이에는 다공성 구조물의 분사패드(81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수위조절관으로 넘쳐서 버려졌던, 섭씨 5~9도씨 정도의 탈빙수를 응축기 냉각에 활용함으로써, 응축기의 냉각효율을 높힌 제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빙과정에서는 냉각수 저장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순환시켜, 가습모듈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탈빙과정 전에 냉각수 저장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버리고, 탈빙과정에서 새로운 냉각수를 수위조절관을 통하여 공급받아 항상 깨끗하고 차가운 냉각수를 이용하여 응축기를 냉각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습모듈에 냉각수가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가습모듈에 흡착된 먼지를 씻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모듈의 분리 사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빙기(100)는, 얼음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모듈이 구비된 제빙실(S1)과; 제빙수를 순환시키는 제1 펌프(45)와, 냉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73)를 포함하는 기계실(S2)과; 상기 응축기(73)에 인접하여 결합된 응축기 냉각장치(80)를 포함하되,
상기 응축기 냉각장치(80)는,상기 응축기(73)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가습모듈(81)과;상기 가습모듈(81)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실(S1)에 결합된 수위조절관(29)과 연결된 냉각수 저장부(82)와;상기 냉각수 저장부(82)에 밸브(831)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배출부(83)와;상기 냉각수 저장부(82)의 냉각수를 냉각수 순환관(85)을 통하여 상기 가습모듈(81)에 공급하는 제2 펌프(8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빙기(100)는 기존에 제빙실(S1)에서 수위조절관(29)을 통하여 흘러 넘쳐서 버려졌던 탈빙수와 보관함(50)에서 녹은 물을 냉각수로 활용하여, 응축기(73)를 냉각하는 데 활용하는 것이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빙기(100)는, 제빙과정에서는 냉각수 저장부(82)에 저장된 냉각수를 가습모듈(81)에 순환공급한다. 이후, 탈빙과정 전에 가습모듈(81)에 순환공급됨으로써 온도가 상승하고 이물질이 함유된 냉각수를 냉각수 저장부(82)로부터 외부로 유출시킨다. 이후, 탈빙과정에서 수위조절관(29)을 통하여 넘친 탈빙수와 보관함(50)에서 얼음이 녹아 생성된 물을 냉각수 저장부(82)에 저장하여 새로운 냉각수로 활용한다. 따라서, 항상 깨끗하고 차가운 냉각수를 냉각수 저장부(82)에 저장하여 가습모듈(81)에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응축기(73) 냉각 효율을 높히고, 가습모듈(81)에 쌓인 먼지를 씻어 내릴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빙기(100)는 다른 제빙기가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제빙기의 구성을 포함하는 바, 이러한 제빙기의 기본적인 작동원리 및 구성을 먼저 설명하고, 이후 본 실시예의 제빙기(100)의 기술적 특징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1. 제빙기의 일반적원리 설명
제빙기(100)는 기본적으로 특정 형태(예를 들어,정육면체)의 얼음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장치이다. 특정 형태의 얼음이 형성되면, 자동으로 제빙실(S1)의 보관함(50)에 저장된다. 이러한 점이, 특정 온도를 유지시키는 냉장고와의 차이점이 다.
본 실시예의 제빙기(100)도 일반적인 제빙기와 같이, 얼음 생성과 얼음 저장을 위한 제빙실(S1)과; 제빙수를 순환시키는 제1 펌프(45)와 냉매의 순환 및 냉각을 위한 냉각시스템이 설치되는 기계실(S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빙기(100)는 제빙과정과 탈빙과정을 반복하여 특정 형태의 얼음을 생성한다.
먼저, 제빙과정을 살펴보면, 제빙실(S1)의 상부에는 제빙틀(30)이 배치되어 있다. 제빙틀(30)은 형성하고자는 얼음의 형태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부가 닫혀 있다. 제빙틀(30)은 복수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빙틀(30)의 주변에는 증발기(32)가 결합되어 있다. 증발기(32)는 파이프의형태로 내부에는 제빙과정에서는 저온의 냉매가 흘러, 제빙틀(30)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제빙틀(30)의 표면은 섭씨 영하 10도 이하의 저온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탈빙과정에서는 증발기(32)에는 고온의 냉매가 흐르게 되어, 제빙틀(30)의 표면 온도를 상승시킨다.
제빙틀(30)의 아래에는 물저장고(20)가 배치된다. 물저장고(20)의 물은 제1 펌프(45)의 작동으로 분사노즐(26)을 통하여 아래 방향에서 윗 방향으로 제빙틀(30)에 공급된다. 이렇게, 분사노즐(26)을 통하여 제빙틀(30)에 분사되는 물을 "제빙수"라 칭한다. 제빙과정에서 제빙수가 제빙틀(30)에 분사되면, 일부 제빙수는 영하 상태의 제빙틀(30)의 표면에 달라붙어 급속하게 얼음으로 변하게 되고, 나머지 제빙수는 낙하여 다시 물저장고(20)에 저장된다.
제빙틀(30)에서 얼음이 충분히 성장하면, 증발기(32)에서 제빙틀(30)로의 열교환이 적게 일어난다. 즉, 증발기(3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와 증발기(32)로 부터 유출되는 냉매의 온도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빙틀(30)에서 얼음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과정(제빙과정)에서는 증발기(3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가 섭씨 약-20도이고, 유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섭씨 약-5도이나(온도차이 15도), 제빙틀(30)에서 충분한 양의 얼음이 성장하면, 더 이상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아, 증발기(3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가 섭씨 약 -20도이나, 유출되는 냉매의 온도는 섭시 약-15도(온도차이 5도)가 된다. 이러한 온도 차이를 온도센서(미도시)가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가 얼음이 충분히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빙과정을 중단한다.
제빙과정이 끝나면, 제빙틀(30)에 달라붙은 얼음을 제빙틀(30)에서 분리시키는 탈빙과정이 진행된다.
탈빙과정은, 제빙틀(30)의 상부의 밸브(V2)를 제어부(미도시)가 제어하여, 탈빙관(a')으로 고온의 냉매를 증발기(32)로 불어 넣고, 동시에 원수공급관(40)을 통하여, 제빙틀(30)에 외부에서 공급된 탈빙수를 공급함으로써이루어진다. 탈빙수는 일반적인 실온상태의 물이다. 제빙틀(30)의 상부에 공급된 탈빙수와 고온의 냉매로 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서, 제빙틀(30) 표면 온도는 올라가게 되고, 제빙틀(30) 내벽에 위치하는 얼음이 녹게 된다. 시간이 지속되면, 제빙틀(30)의 내벽이 모두 녹아 얼음은 제빙틀(30)에서 떨어지게 되고, 중력에 의해서 낙하하게 된다. 낙하된 얼음은 망이나 수평부재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사부재(27)를 통하여 보관함(50)에 저장된다.
한편, 원수공급관(40)을 통하여 공급된 탈빙수는 제빙틀(30)의 관통홀(h)을 통하여, 물저장고(20)에 저장된다. 이러한 탈빙과정의 탈빙수{원수공급관(40)을 통하여 물저장고(20)로 유입된 물}는 제빙과정에서 생성되어 형성된 얼음{보관함(50)으로 나온 얼음}보다 양이 많다. 즉, 탈빙수의 유입이 얼음이 되어서 보관함(50)으로 나간 양보다 많다. 따라서, 종래에는 탈빙수 일부가 넘쳐서 수위조절관(2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었다. 탈빙수는 영하의 제빙틀(30)과 접촉하여 물저장고(20)로 유입되었기 때문에 섭씨 5~9도의 차가운 상태였다.
본 발명은 수위조절관(29)을 통하여 버려졌던 저온의 탈빙수를 응축기(73) 냉각에 활용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이렇게, 탈빙과정이 끝나면, 다시 제빙과정이 시작된다.
기계실(S2)은 제빙실(S2)에 저온의 냉매를 냉매관(a)을 통하여 증발기(32)로공급하거나, 고온의 냉매를 탈빙관(a')을 통하여 증발기(32)로 공급한다. 제어부(미도시)가 탈빙과정이냐 제빙과정이냐를 판단하여, 밸브(V2)를 제어함으로써, 증발기(32)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탈빙관(a')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냉매는 압축기(71)를 거친 것이나, 응축기(73)를 거치지 않아, 고온 고압 상태이다. 반면, 냉매관(a)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매는, 압축기(71), 응축기(73) 및 모세관(76)을 거친 상태이므로, 저온 저압이다.
도1은 구성을 간단히 표한하기 위하여, 기계실(S2)의 탈빙관(a')과 제빙실(S1)의 탈빙관(a')을 분리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기계실(S2)의 냉매관(a)과 제빙실(S1)의 냉매관(a)도 연결되어 있다.
2. 이건 출원발명의 기술적 특징
이건 출원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수위조절관(29)을 통하여 버려졌던 저온의 탈빙수와 보관함(50)에서 녹은 얼음물을 응축기 냉각장치(80)에 공급하여 응축기(81) 냉각에 활용하는 것이다.
응축기 냉각장치(80)는, 응축기(73)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가습모듈(81)과; 가습모듈(81) 아래에 배치되며, 제빙실(S1)에 결합된 수위조절관(29)과 연결된 냉각수 저장부(82)와; 냉각수 저장부(82)에 밸브(831)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배출부(83)와; 냉각수 저장부(82)의 냉각수 순환관(85)을 통하여 상기 가습모듈(81)에 공급하는 제2 펌프(84)를 포함한다.
또한, 가습모듈(81)은, 분사 파이프(811)와; 분사 파이프(811)의 아래에 배치되어, 분사 파이프(811)로 부터 분사된 냉각수가 지그재그로 흐를 수 있도록 판막이 형성된 냉각패드(81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 파이프(811)와 냉각패드(812) 사이에는 다공성 구조물의 분사패드(813)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의 분사 파이프(811)를 통하여 냉각패드(812)에 냉각수가 공급된다. 냉각패드(812)는 지그재그 형태의 판막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냉각수가 공급되면 냉각수는 판막을 통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지그재그 형상의 판막에 의해서 냉각수는 최대한 오랫동안 냉각패드(812)에 머물게 된다. 판막은 골판지와 같은 종이재질일 수도 있고, 금속판이나 플라스틱 재질이나 섬유질 재질일 수도 있다. 냉각패드(812)의 앞뒤로 공기가 흐를 수 있다. 냉각패드(812)을 관통하는 공기는 냉각수에 의해서 적절한 수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섭씨 9도 정도의 냉각수에 의해서 충분히 냉각되어 있다. 따라서, 이렇게 냉각패드(812)을 통과한 공기가 응축기(73)를 통과할 경우 응축기(73)의 냉각효율이 좋아진다. 아울러, 냉각패드(812)로는 냉각수가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먼지나 이물질이 아래쪽으로 씻겨 내려간다. 따라서, 항상 청결한 상태의 냉각패드(812)를 유지할 수 있다.
기존의 공냉식의 경우 응축기(73) 옆에 필터를 부착하는 데, 냉각판(74)으로 빨아들인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면서 필터에는 먼지가 쌓이게 된다. 이러한 먼지를 정기적으로 제거하지 않아, 응축기(73)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었다. 본 실시예의 제빙기(100)는 먼지가 항상 씻겨나가기 때문에 먼지 쌓임으로 인한 응축기 효율의 저하는 발생하지 않는다.
분사 파이프(811)와 냉각패드(812) 사이에는 다공성 구조물의 분사패드(813)가 결합되어, 분사 파이프(811)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수가 냉각패드(812)로 잘 분산되어 공급되도록 한다.
가습모듈(81)의 아래에는 냉각수 저장부(82)가 결합되어 있다. 가습모듈(81)을 통하여 낙하한 냉각수는 냉각수 저장부(82)에 저장된다. 제2 펌프(84)가 작동하면, 냉각수 순환관(85)을 통하여 가습모듈(81)에 냉각수가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냉각수 저장부(82)는 수위조절관(29)과 연결되어 탈빙과정에서 수위조절관(29)을 넘쳐흐르는 탈빙수{냉각수 저장부(82)로 흘러들어가면 "냉각수"라 칭함}를 주기적으로 공급받는다.
탈빙과정의 탈빙수가 냉각수 저장부(82)로 흘러들어 가기 전에, 냉각수 저장부(82)의 냉각수를 배출부(83)를 통하여, 배출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되면, 냉각수 저장부(82)는 항상 깨끗한 냉각수를 보관할 수 있다. 배출부(83)와 냉각수 저장부(82) 사이에는 밸브(831)가 개재되어 있다.
냉각수 저장부(82)에 탈빙수가 유입되고, 탈빙수가 냉각수로 활용되어, 연속적으로 가습모듈(81)에 공급되는 과정은 제어부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빙과정에서는 밸브(831)를 닫아, 제2 펌프(84)가 냉각수 저장부(82)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가습모듈(81)로 순환 공급되도록 한다.
제어부는 탈빙과정 전에 밸브(831)를 열어, 냉각수 저장부(82)에 저장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탈빙과정 직전의 냉각수는 여러 번 순환하여 가습모듈(81)에 공급되었던 것이기 때문에, 온도도 실온에 가깝게 상승되었고, 먼지나 이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탈빙과정 직전에 이러한 오염되고 실온의 냉각수를 버린다.
한편, 제어부는 탈빙과정에서는 상기 밸브(831)를 닫아, 냉각수 저장부(82)에 수위조절관(29)에서 넘친 탈빙수가 새롭게 유입되도록 한다. 새롭게 수위조절관(29)을 통하여 유입되는 탈빙수를 냉각수 저장부(82)에 저장하여 냉각수로 활용함으로써, 가습모듈(81)에 저온의 깨끗한 냉각수를 항상 공급할 수 있다.
응축기(73)에 인접하여 냉각팬(74)이 결합된다. 냉각팬(74)는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 공기가 가습모듈(81)을 통과하여, 응축기(73)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냉각팬(74)은 경우에 따라 바람을 밀어내어, 외부의 공기가 가습모듈(81)을 통과하여, 응축기(73)에 공급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S1:제빙실 S2:기계실
20:물저장고 26:분사노즐
29:수위조절관 30:제빙틀
32:증발기 40:원수공급관
45:제1 펌프 50:보관함
71:압축기 73:응축기
74:냉각팬 75:드라이어
76:모세관 80:응축기 냉각장치
81:가습모듈 82: 냉각수 저장부
83: 배출부 84: 제2 펌프
85: 냉각수 순환관 811:분사 파이프
812:냉각패드 813:분사패드
814:커버부재 815:클램프
831:밸브


Claims (5)

  1. 얼음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모듈과 탈빙수로 사용되는 실온상태의 물을 공급하는 원수공급관(40)이 구비된 제빙실(S1)과;
    제빙수를 순환시키는 제1 펌프(45)와, 냉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73)를 포함하는 기계실(S2)과;
    상기 응축기(73)에 인접하여 결합된 응축기 냉각장치(80)를 포함하되,
    상기 응축기 냉각장치(80)는,
    상기 응축기(73)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가습모듈(81)과;
    상기 가습모듈(81)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빙실(S1)에 결합된 수위조절관(29)과 연결된 냉각수 저장부(82)와;
    상기 냉각수 저장부(82)에 밸브(831)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배출부(83)와;
    상기 냉각수 저장부(82)의 냉각수를 냉각수 순환관(85)을 통하여 상기 가습모듈(81)에 공급하는 제2 펌프(84)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제빙과정에서는 상기 밸브(831)를 닫아, 상기 제2 펌프(84)가 상기 냉각수 저장부(82)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가습모듈(81)로 순환 공급되도록 하고,
    탈빙과정 전에 상기 밸브(831)를 열어, 상기 냉각수 저장부(82)에 저장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탈빙과정에서는 상기 밸브(831)를 닫아, 상기 냉각수 저장부(82)에 상기 수위조절관(29)에서 넘친 탈빙수가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81)은.
    분사 파이프(811)와;
    상기 분사 파이프(811)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분사 파이프(811)로 부터 분사된 냉각수가 지그재그로 흐를 수 있도록 판막이 형성된 냉각패드(8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파이프(811)와 상기 냉각패드(812) 사이에는 다공성 구조물의 분사패드(81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73)에 인접하여 냉각팬(74)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KR1020120119374A 2012-10-26 2012-10-26 제빙기 KR101287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374A KR101287306B1 (ko) 2012-10-26 2012-10-26 제빙기
US14/437,709 US20150300716A1 (en) 2012-10-26 2013-10-25 Ice maker
PCT/KR2013/009609 WO2014065638A1 (ko) 2012-10-26 2013-10-25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374A KR101287306B1 (ko) 2012-10-26 2012-10-26 제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306B1 true KR101287306B1 (ko) 2013-07-17

Family

ID=48997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374A KR101287306B1 (ko) 2012-10-26 2012-10-26 제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300716A1 (ko)
KR (1) KR101287306B1 (ko)
WO (1) WO20140656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0225A (zh) * 2017-09-18 2017-12-1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无水制冰装置、冷冻门体和制冷设备
KR101854649B1 (ko) * 2017-03-07 2018-05-04 주식회사 아이스트로 제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8090A (zh) * 2018-04-25 2019-11-01 上海浪拓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流水式制冰蒸发器防冰块花斑结构
US11243017B2 (en) * 2019-09-09 2022-02-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ained plumbing system for an ice maker
US11460232B2 (en) * 2020-10-07 2022-10-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ainless ice machine with cleaning system
US20230168021A1 (en) * 2021-11-29 2023-06-0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leanout drain line for a stand-alone icemaker appli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3730A (ja) * 1997-08-20 1999-03-05 Sanyo Electric Co Ltd 凝縮器
KR200268221Y1 (ko) * 2001-12-26 2002-03-15 주식회사 두일엔지니어링 기화식 가습기의 기화장치
JP2005077029A (ja) * 2003-09-02 2005-03-2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製氷機
KR20100082189A (ko) * 2009-01-08 2010-07-16 네오트 주식회사 고온수 사용이 가능한 제빙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6101E (en) * 1966-10-11 Ice making apparatus
US4107942A (en) * 1977-03-31 1978-08-22 Fairman Stanley W Cooling system
DE3014179A1 (de) * 1980-04-14 1981-10-22 Theo 6751 Mackenbach Wess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uehlen von erhitzten gasen und fluessigkeit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3730A (ja) * 1997-08-20 1999-03-05 Sanyo Electric Co Ltd 凝縮器
KR200268221Y1 (ko) * 2001-12-26 2002-03-15 주식회사 두일엔지니어링 기화식 가습기의 기화장치
JP2005077029A (ja) * 2003-09-02 2005-03-24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製氷機
KR20100082189A (ko) * 2009-01-08 2010-07-16 네오트 주식회사 고온수 사용이 가능한 제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649B1 (ko) * 2017-03-07 2018-05-04 주식회사 아이스트로 제빙기
CN107490225A (zh) * 2017-09-18 2017-12-1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无水制冰装置、冷冻门体和制冷设备
CN107490225B (zh) * 2017-09-18 2020-07-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无水制冰装置、冷冻门体和制冷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5638A1 (ko) 2014-05-01
US20150300716A1 (en)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306B1 (ko) 제빙기
US20140209125A1 (en) Ice maker with slide out sump
KR102051672B1 (ko)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RU2406046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и испаритель талой воды для такого аппарата
JP2004325064A (ja) 製氷機の製氷機構
KR20180002613A (ko) 청정 응축기를 유지하기 위해 역전 응축기 팬 모터를 가진 제빙기
JP5591678B2 (ja) 貯蔵庫
JP2009079839A (ja) 自動製氷機の製氷水タンク
JP2003279210A (ja) 製氷装置及びこの製氷装置を備えた冷蔵庫
CN204718241U (zh) 风道组件以及具有其的冰箱
CN102345952A (zh) 制冰机
KR20120105662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90102808A (ko) 얼음 정수기
US2672017A (en) Ice-making and refrigerating system
JP2007303708A (ja) 高湿度冷蔵庫
US2787890A (en) Ice making and refrigerating systems
JP2012042140A (ja) 冷蔵庫
US2997860A (en) Ice making and refrigerating systems
JP5695592B2 (ja) 製氷機
KR20130008990A (ko) 냉장고 제상장치
KR101256415B1 (ko) 제빙기 및 이에 구비된 냉각장치
KR200467123Y1 (ko) 얼음이 출빙되는 냉온수기
CN104776667A (zh) 风道组件以及具有其的冰箱
JP2005164100A (ja) 自動製氷機
KR102136802B1 (ko)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