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587B1 -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587B1
KR101281587B1 KR1020110028790A KR20110028790A KR101281587B1 KR 101281587 B1 KR101281587 B1 KR 101281587B1 KR 1020110028790 A KR1020110028790 A KR 1020110028790A KR 20110028790 A KR20110028790 A KR 20110028790A KR 101281587 B1 KR101281587 B1 KR 101281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ice
temperature
abnorm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734A (ko
Inventor
정휘동
육준수
Original Assignee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동 filed Critical 정휘동
Priority to KR1020110028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587B1/ko
Priority to CN2011102560447A priority patent/CN102735000A/zh
Publication of KR2012011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2Temperature of ice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는, 물을 냉각시키거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유닛; 비정상 제빙동작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빙 유닛의 온도(T)를 감지하는 제빙 유닛 온도 센서; 얼음 정수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위 온도를 측정하는 주위 온도 센서; 및 제빙 유닛의 온도(T)와 미리 설정된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비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상 제빙 온도(T0)는 상기 주위 온도값에 따라 변한다.

Description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Ice making process control method and ice making water purifier and ice making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controll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정상 제빙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는 냉수뿐만 아니라, 얼음도 제조할 수 있다.
얼음 정수기는 원수를 정수하는 필터부와,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와,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와,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 탱크를 구비하게 된다. 한편 얼음 냉온수기는 정수 탱크 및 필터를 갖지 않는 대신에 음용 가능한 물이 담겨있는 물저장통을 갖는 장치이다.
얼음 정수기와 얼음 냉온수기는 냉장고의 아이스 트레이에 물을 담아서 얼린 후에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하여 얼음을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에 설치된 제빙 유닛(30)이 제빙동작을 수행해야 할 때 제빙동작이 수행되지 않으면 제빙 유닛(30)의 온도가 너무 낮아져서 제빙 유닛(30)이 동파되거나 냉각 싸이클의 순환이 비정상적이거나 비효율적으로 수행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제빙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인하여 얼음이 생성되지 않는데도, 제빙 유닛(30)에 공급되는 냉매를 차가운 액체로 만들기 위해서 전력이 무의미하게 소모되므로 전력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비정상 제빙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빙 유닛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냉각 싸이클의 비정상적 순환이나 냉각 싸이클의 비효율적 수행을 차단할 수 있는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는, 물을 냉각시키거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유닛; 비정상 제빙동작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빙 유닛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빙 유닛 온도 센서; 얼음 정수기 또는 얼음 냉온수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위 온도를 측정하는 주위 온도 센서; 및 제빙 유닛의 온도와 미리 설정된 비정상 제빙 온도를 비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상 제빙 온도는 상기 주위 온도값에 따라 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빙 유닛은,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부와 냉매가 유출되는 출구부를 갖는 증발기를 구비하고, 제빙 유닛 온도 센서는 상기 출구부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제빙 유닛의 온도가 비정상 제빙 온도보다 낮으면 제어부에서 에러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에러 신호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출력되면 소정 기간동안 제빙동작 차단 단계가 수행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빙동작 차단 단계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수행되면 제빙동작을 무기한 차단하고 고장 신호가 출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빙동작 제어방법은, 주위 온도 및 제빙 유닛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비정상 제빙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제빙 유닛의 온도와 비정상 제빙 온도를 비교하여 에러신호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빙동작 제어방법은, 제빙 유닛의 온도가 비정상 제빙 온도보다 높으면, 정상 제빙동작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제빙 유닛의 온도가 비정상 제빙 온도보다 낮으면 제어부에서 에러 신호를 출력하고 에러 신호 출력 횟수를 기록한다.
바람직하게, 에러 신호 출력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에러 신호 출력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면, 소정 기간 동안 제빙동작을 차단하고, 제빙동작 차단 횟수를 기록한다.
반면에, 에러 신호 출력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지 않으면, 제빙 유닛의 온도와 비정상 제빙 온도를 비교하여 에러신호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제빙동작 제어방법은, 제빙동작 차단 횟수가 제빙동작 무기한 차단 기준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빙동작 차단 횟수가 제빙동작 무기한 차단 기준 횟수에 도달하면, 제빙동작을 무기한 차단한다.
반면에, 제빙동작 차단 횟수가 제빙동작 무기한 차단 기준 횟수에 도달하지 않으면, 제빙 유닛의 온도와 비정상 제빙 온도를 비교하여 에러신호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에서 비정상 제빙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빙 유닛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냉각 싸이클의 비정상 순환이나 냉각 싸이클의 비효율적 수행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주위 온도값에 따라 비정상 제빙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비정상 제빙동작이 수행되는지를 더욱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주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빙 유닛이 설치된 구역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50)의 주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빙 유닛(30)이 설치된 구역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방법의 순서도이다.
상기 얼음 정수기(50)는, 필터부(40)와, 필터부(40)에서 정수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10)와,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20)와, 상기 정수 탱크(10) 내의 정수를 냉수 탱크(20)로 공급하는 정수 급수 밸브(12)와, 냉수 탱크(20) 내의 정수를 제빙 유닛(30)으로 공급해주는 순환 펌프(15)와, 냉수 탱크(20) 내로 공급된 정수의 일부를 제빙하고 나머지를 냉각시키는 제빙 유닛(30)과, 제빙 유닛(30)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빙 유닛 온도 센서(32)와, 얼음 정수기(50)가 설치된 장소의 주위 온도를 측정하는 주위 온도 센서(34)와, 제빙 유닛의 온도(T)와 미리 설정된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비교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필터부(40)는 수돗물 등과 같은 원수를 정수하며, 침전 필터, 카본 필터 등의 통상적인 필터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부(40)에서 여과되어 생성된 정수는 정수 탱크(10)에 저장된다. 다만, 필터부(40)에서 생성된 일부의 정수는 정수 탱크(10)에 저장되고, 나머지 정수는 온수 탱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온수 탱크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가열 부재에 의하여 상온의 정수가 온수로 가열되고, 온수 취수 밸브(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바람직하게, 정수 탱크(10)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부재(18)가 설치된다. 수위 감지 부재(18)에 의하여 소정 수위 예를 들어, 만수가 되었음이 감지되면 정수 공급이 차단되어 정수 탱크(10)에 수용 용량 이상의 정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온의 물은 정수 취수 밸브(16)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정수 급수 밸브(12)는 정수 탱크(10)의 물을 냉수 탱크(20)로 공급하며, 통상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사용된다.
냉수 탱크(20)의 상측에는 경사지도록 설치된 얼음 그릴(28)이 배치되고, 냉수 탱크(20)의 내부 또는 외측에는 순환 펌프(15)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냉수 탱크(20)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냉수위 센서와, 온도를 감지하는 냉수온도 센서가 설치된다. 냉수 탱크(20)에 저장된 냉수는 냉수 취수 밸브(26)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얼음 그릴(28)은 복수 개의 격자로 이뤄져 있으며, 인접한 격자 사이의 간격은 제조되는 얼음의 크기보다 좁기 때문에, 후술할 제빙 유닛(30)에서 제조된 얼음이 얼음 그릴(28) 위에 떨어지면 냉수 탱크(20)에 빠지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서 얼음 저장고(2)로 이동된다. 또한, 제빙하는데 사용되고 남은 물 또는 제빙 유닛(30)에 의하여 냉각된 냉수는 얼음 그릴(28)의 격자 사이를 통과하여 냉수 탱크(20)에 저장된다.
순환 펌프(15)는 냉수 탱크(20)에 저장된 냉수를 냉수 공급관(14)을 통하여 제빙 유닛(30)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시킨다.
제빙 유닛(30)은 물을 냉각시키거나 얼음을 제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증발기(22), 증발기(22)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기 형상의 증발 핑거(24), 및 노즐 어셈블리(25)를 구비한다. 노즐 어셈블리(25)는 냉수 공급관(14)과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증발 핑거(24)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증발 핑거(24)를 둘러싸도록 증발 핑거(24)의 직경보다 넓은 관통공이 형성된 판상 구조물이다. 노즐 어셈블리(25)의 내부에는 냉수가 유동하며, 증발 핑거(24)를 둘러싸는 관통공에 물분사 노즐이 형성되어 증발 핑거(24)에 냉수가 분사된다.
증발기(22)는 입구부(22a)와, 출구부(22b)를 구비하며, 냉매는 입구부(22a)를 통하여 유입되고, 복수의 증발 핑거(24)를 통과하며, 출구부(22b)를 통하여 증발기(22)를 빠져나간다.
증발기(22) 내부에는 저온의 액체 상태의 냉매가 유입되고, 냉수가 증발 핑거(24)에 분사되면 분사된 냉수가 더 차가운 냉수가 되거나 얼음이 된다. 한편 증발 핑거(24)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 상태의 냉매는 증발 핑거(24)에 분사된 냉수로부터 열을 얻어서 기체 상태로 증발기(22)를 빠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냉수 또는 얼음이 제조된다.
상술한 방식의 제빙 유닛(30) 외에도, 증발 핑거(24)가 물이 담긴 물받이에 담겨져 얼음 또는 냉수를 제조하는 침지형 방식의 제빙 유닛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침지형 방식의 제빙 유닛은 한국 등록특허 제10-0729962호에 게시되어 있다.
제빙 유닛 온도 센서(32)는 얼음 정수기(50)에서 비정상 제빙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로서, 증발기(22)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증발기(22)의 출구부(22b)에 위치한다. 또한, 제빙 유닛(30)의 실제 온도와 측정된 온도 간의 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빙 유닛 온도 센서(32)는 출구부(22b)에 직접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출구부(22b)란 도 2에 도시된 위치뿐만 아니라, 증발기(22)에서 냉매가 증발 핑거(24)를 통과하고 난 이후의 위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고, 도 2에 도시된 것보다 증발 핑거(24)에 더 가깝거나 혹은 더 멀리 위치할 수도 있다.
주위 온도 센서(34)는 얼음 정수기(50)의 냉각 싸이클의 구동으로 인한 냉기 또는 열기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얼음 정수기(5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주위 온도 센서(34)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드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필요는 없고, 얼음 정수기(50)의 외부 표면과 동일 평면 상 또는 그 보다 다소 함몰된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어부(미도시)의 설치 위치는 비교적 자유로우며, 기계 또는 전기, 전자 장치가 주로 설치되는 전장부(미도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얼음 냉온수기(52)는 상술한 얼음 정수기(50)에서 정수 탱크(10)와 필터부(40)가 생략된 장치로서, 음용 가능한 상태의 물이 담겨있는 별도의 물저장통(미도시)이 정수 탱크(10)와 필터부(40)를 대체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냉온수기의 구성은 한국 등록특허 제10-0853445호에 게시되어 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얼음 정수기(50)와 동일하다.
따라서, 정수 탱크(10), 필터부(40) 및 물저장통(미도시)의 기계적 구조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제어방법 등에 관한 설명은 얼음 정수기(50)뿐만 아니라, 얼음 냉온수기(52)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
이하, 제빙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5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제빙동작은 제빙 유닛(30)으로 얼음을 제조하거나 적어도 냉수 탱크(20) 내의 냉수를 더 차갑게 냉각시키는 동작을 의미하고, 탈빙동작은 제빙 유닛(30)으로부터 얼음을 이탈시키기 위하여 냉매의 유동을 중지시키고 제빙 유닛(30)에 설치된 히터를 구동하여 증발 핑거(24)에 매달린 얼음을 떨어뜨리거나 제빙 유닛(30)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를 역방향으로 유동시켜 고온의 가스 상태의 냉매가 증발 핑거(24)에 열을 전달하여 증발 핑거(24)에 매달린 얼음을 떨어뜨리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밝혀둔다.
한편, '제빙동작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제빙 유닛(30)의 온도'(이하, '비정상 제빙 온도(T0)'라 함)는 주위 온도에 따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의 <표 1>은 주위온도별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표시한 일례이다.
주위 온도(℃) 비정상 제빙 온도(T0) (℃)
3℃이하 -28.0℃
3℃초과 6℃이하 -28.0℃
6℃초과 9℃이하 -28.0℃
9℃초과 12℃이하 -27.0℃
12℃초과 15℃이하 -26.0℃
15℃초과 18℃이하 -25.0℃
18℃초과 21℃이하 -24.0℃
21℃초과 24℃이하 -24.0℃
24℃초과 26℃이하 -24.0℃
26℃초과 28℃이하 -24.0℃
28℃초과 30℃이하 -23.0℃
30℃초과 33℃이하 -23.0℃
33℃초과 35℃이하 -21.0℃
35℃초과 37℃이하 -21.0℃
37℃초과 39℃이하 -21.0℃
39℃초과 41℃이하 -20.0℃
41℃초과 42℃이하 -20.0℃
42℃초과 43℃이하 -20.0℃
43℃초과 45℃이하 -19.0℃
45℃초과 46℃이하 -18.0℃
46℃초과 47℃이하 -18.0℃
47℃초과 -18.0℃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50)는 제빙 유닛의 온도(T)가 비정상 제빙 온도(T0)보다 낮으면 제어부에서 에러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에러 신호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출력되면 소정 기간동안 제빙동작 차단 단계가 수행된다.
<표 1>을 참조하여 주위 온도가 25℃인 경우를 예로 들면, 비정상 제빙 온도(T0)는 -24.0℃이고, 만약 제빙 유닛 온도 센서(32)가 감지한 제빙 유닛의 온도(T)가 -24.0℃이하라면 제어부에서 에러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제빙동작 차단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에러 신호 출력의 기준 횟수를 3회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면, 제빙 유닛의 온도(T)가 -24.0℃이하로 검출된 횟수가 3회가 되었을 때 소정 기간동안 제빙 유닛(30)으로 냉매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냉각 싸이클을 중단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이하, '제빙동작 차단 단계'라 함)가 수행된다.
제빙 유닛의 온도(T)가 너무 낮아지게 되는 현상은 증발 핑거(Y)에 냉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거나 냉각 싸이클 중 냉매가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며, 이러한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경우, 제빙 유닛(30)이 동파되거나 냉각 싸이클의 순환이 비정상적이거나 비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나아가 전력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빙동작 차단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다.
제빙동작이 차단되는 기간은, 제빙 유닛의 온도(T)를 너무 낮아지게 만든 원인이 해소되어 이후 정상 제빙동작이 수행될 때까지 기다리는 유예기간에 해당하며, 예컨대 대략 1시간 내지 3시간의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제빙동작 차단 단계가 수행되는 한계는 미리 정해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빙동작 차단 단계가 계속 반복된다는 것은 결국 비정상 제빙동작이 수행되는 원인이 해결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 제빙동작 차단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얼음 정수기(50)에 기계적 또는 구조적으로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빙동작 차단 단계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수행되면 제빙동작을 무기한 차단하고 고장 코드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에 기재된 특정 수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주위 온도의 구간을 어느 정도 크기로 분할하여 제어를 수행할지에 대해서는 제어부의 설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고, 비정상 제빙 온도(T0)의 값도 제빙 유닛(30)의 성능과 허용오차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제빙동작 차단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에러 신호 출력의 기준 횟수는 3회 보다 적거나 많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빙동작을 무기한 차단하고 고장 코드를 출력하기 위한 제빙동작 차단 단계 수행의 기준 횟수도 3회 보다 적거나 많게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주위온도에 따라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다르게 설정하여 얼음 정수기(50)의 제빙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이하의 예시는 주위 온도는 25℃, 제빙동작 차단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에러 신호 출력의 기준 횟수는 3회, 제빙동작을 무기한 차단하고 고장 코드를 출력하기 위한 제빙동작 차단 단계 수행의 기준 횟수는 5회인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값들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빙동작 제어방법은, 주위 온도 및 제빙 유닛의 온도(T)를 감지하는 단계와,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설정하는 단계와, 제빙 유닛의 온도(T)와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비교하여 에러신호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주위 온도는 25℃로 감지되고, 제빙 유닛의 온도는 제빙 유닛 온도 센서(32)에 의하여 감지되며, 이 때 비정상 제빙 온도는 -24.0℃가 된다.
만약, 제빙 유닛의 온도(T)가 비정상 제빙 온도(T0)인 -24.0℃보다 높으면 정상 제빙동작이 수행되며, 반면에 제빙 유닛의 온도(T)가 비정상 제빙 온도(T0)인 -24.0℃보다 낮으면 제어부(미도시)에서 에러 신호를 출력하고 에러 신호 출력 횟수를 기록한다.
에러 신호가 출력되어 에러 신호 출력 횟수가 기록되면, 에러 신호 출력 횟수가, 제빙동작 차단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에러 신호 출력의 기준 횟수인 3회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여기서, 에러 신호 출력 횟수가 소정 횟수인 3회에 도달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소정 기간 동안 제빙동작을 차단하고, 제빙동작 차단 횟수를 기록한다. 그러나, 에러 신호 출력 횟수가 소정 횟수인 3회에 도달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제빙 유닛의 온도(T)와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비교하여 에러신호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에러 신호 출력 횟수가 소정 횟수인 3회에 도달하여 소정 기간 동안 제빙동작이 차단되고, 제빙동작 차단 횟수가 기록된 후에는, 제빙동작 차단 횟수가 제빙동작 무기한 차단 기준 횟수인 5회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서, 제빙동작 차단 횟수가 제빙동작 무기한 차단 기준 횟수인 5회에 도달하면 제빙동작을 무기한 차단하며, 반면에, 제빙동작 차단 횟수가 제빙동작 무기한 차단 기준 횟수인 5회에 도달하지 않으면 제빙 유닛의 온도(T)와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비교하여 에러신호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방식에 따라 얼음 정수기(50)의 제빙동작을 제어하게 되면, 제빙 유닛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냉각 싸이클의 비정상 순환이나 냉각 싸이클의 비효율적 수행을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제빙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인하여 얼음이 생성되지 않는데도, 제빙 유닛(30)에 공급되는 냉매를 차가운 액체로 만들기 위해서 전력이 무의미하게 소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 얼음 저장고 10 : 정수 탱크
12 : 정수 급수 밸브 14 : 냉수 공급관
15 : 순환 펌프 16 : 정수 취수 밸브
18 : 수위 감지 부재 20 : 냉수 탱크
22 : 증발기 24 : 증발 핑거
25 : 노즐 어셈블리 26 : 냉수 취수 밸브
28 : 얼음 그릴 30 : 제빙 유닛
32 : 제빙 유닛 온도 센서 34 : 주위 온도 센서
40 : 필터부 50 : 얼음 정수기
52 : 얼음 냉온수기

Claims (17)

  1. 물을 냉각시키거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유닛;
    비정상 제빙동작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빙 유닛의 온도(T)를 감지하는 제빙 유닛 온도 센서;
    얼음 정수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위 온도를 측정하는 주위 온도 센서; 및
    제빙 유닛의 온도(T)와 미리 설정된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비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 유닛의 온도(T)가 상기 비정상 제빙 온도(T0)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부에서 에러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에러 신호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출력되면 소정 기간동안 제빙동작 차단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비정상 제빙 온도(T0)는 상기 주위 온도값에 따라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유닛은,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부와 냉매가 유출되는 출구부를 갖는 증발기를 구비하고,
    제빙 유닛 온도 센서는 상기 출구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동작 차단 단계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수행되면 제빙동작을 무기한 차단하고 고장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5. 물을 냉각시키거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유닛;
    비정상 제빙동작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빙 유닛의 온도(T)를 감지하는 제빙 유닛 온도 센서;
    얼음 냉온수기가 설치된 장소의 주위 온도를 측정하는 주위 온도 센서; 및
    제빙 유닛의 온도(T)와 미리 설정된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비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빙 유닛의 온도(T)가 상기 비정상 제빙 온도(T0)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부에서 에러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에러 신호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출력되면 소정 기간동안 제빙동작 차단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비정상 제빙 온도(T0)는 상기 주위 온도값에 따라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냉온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유닛은,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부와 냉매가 유출되는 출구부를 갖는 증발기를 구비하고,
    제빙 유닛 온도 센서는 상기 출구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냉온수기.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동작 차단 단계가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수행되면 제빙동작을 무기한 차단하고 고장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냉온수기.
  9. 주위 온도 및 제빙 유닛의 온도(T)를 감지하는 단계;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설정하는 단계;
    제빙 유닛의 온도(T)와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비교하여 에러신호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 유닛의 온도(T)가 상기 비정상 제빙 온도(T0)보다 낮으면 제어부에서 에러 신호를 출력하고 에러 신호 횟수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동작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빙 유닛의 온도(T)가 비정상 제빙 온도(T0)보다 높으면, 정상 제빙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동작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에러 신호 출력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동작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에러 신호 출력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면, 소정 기간 동안 제빙동작을 차단하고, 제빙동작 차단 횟수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동작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에러 신호 출력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하지 않으면, 제빙 유닛의 온도(T)와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비교하여 에러신호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동작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제빙동작 차단 횟수가 제빙동작 무기한 차단 기준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동작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빙동작 차단 횟수가 제빙동작 무기한 차단 기준 횟수에 도달하면, 제빙동작을 무기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동작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제빙동작 차단 횟수가 제빙동작 무기한 차단 기준 횟수에 도달하지 않으면, 제빙 유닛의 온도(T)와 비정상 제빙 온도(T0)를 비교하여 에러신호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동작 제어방법.
KR1020110028790A 2011-03-30 2011-03-30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101281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790A KR101281587B1 (ko) 2011-03-30 2011-03-30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CN2011102560447A CN102735000A (zh) 2011-03-30 2011-09-01 制冰动作控制方法及用此方法控制的制冰净水器和制冰冷热水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790A KR101281587B1 (ko) 2011-03-30 2011-03-30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734A KR20120110734A (ko) 2012-10-10
KR101281587B1 true KR101281587B1 (ko) 2013-07-03

Family

ID=4699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790A KR101281587B1 (ko) 2011-03-30 2011-03-30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1587B1 (ko)
CN (1) CN1027350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7128A1 (en) * 2020-08-18 2022-02-24 Daeyeong E&B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ice-detaching temperature of icema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642B1 (ko) * 2013-08-07 2020-11-04 코웨이 주식회사 얼음 정수기
CN108679900B (zh) * 2018-03-30 2020-11-17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制冰系统的控制方法和冰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8441A (ja) * 1992-04-10 1993-11-02 Sanyo Electric Co Ltd 製氷機の制御装置
KR20080006427U (ko) * 2007-06-18 2008-12-23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 공급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1771B2 (ja) * 1989-04-26 1997-12-17 大和冷機工業株式会社 製氷機の製氷制御方法
JP2854078B2 (ja) * 1990-03-12 1999-02-03 三洋電機株式会社 製氷機の運転制御装置
JPH043868A (ja) * 1990-04-19 1992-01-08 Sanyo Electric Co Ltd 製氷機の運転制御装置
US5477694A (en) * 1994-05-18 1995-12-26 Scotsman Group, Inc.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ing machine and apparatus therefor
JPH08110136A (ja) * 1994-10-11 1996-04-30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
WO2005033597A1 (ja) * 2003-10-03 2005-04-14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オーガ式製氷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8441A (ja) * 1992-04-10 1993-11-02 Sanyo Electric Co Ltd 製氷機の制御装置
KR20080006427U (ko) * 2007-06-18 2008-12-23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 공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7128A1 (en) * 2020-08-18 2022-02-24 Daeyeong E&B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ice-detaching temperature of ice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734A (ko) 2012-10-10
CN102735000A (zh)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70812A1 (en) Ice maker with push notification to indicate when maintenance is required
KR101281588B1 (ko) 탈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탈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101994009B1 (ko) 해로운 생물학적 물질의 성장을 방지하는 제빙기 섬프의 배수
US10464802B2 (en) Cold water generat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0795293B1 (ko) 알칼리 얼음 제조 기능을 구비한 냉온 얼음 정수기
JP5706969B2 (ja) 成形用金型の温度調整システム
JPWO2008053975A1 (ja) 自動製氷機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101281587B1 (ko) 제빙동작 제어방법 및 상기 제빙동작 제어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KR20080006427U (ko)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 공급기
KR20120110736A (ko) 순환 펌프가 냉수 탱크에 수납된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RU2571025C2 (ru) Одноконтурный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KR101685985B1 (ko) 냉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81586B1 (ko) 제빙방법 및 상기 제빙방법을 이용하여 제빙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JP6490984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JP5659610B2 (ja) ヒートポンプ装置
JP2008064322A (ja) 自動製氷機
JP2009036487A (ja) 給湯装置
JP2016223669A (ja) 制御装置及び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102414709B1 (ko) 부하 적응형 제빙기, 음용수 공급장치 및 제빙 방법
JP2011179790A (ja) 自動製氷機
KR101564263B1 (ko)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JP7386663B2 (ja) 貯湯式給湯機
KR101075059B1 (ko) 얼음 정수기의 제빙유닛 구동방법
JPS646387B2 (ko)
KR101564264B1 (ko) 온수가열시스템, 온수가열시스템의 물의 유무 탐지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