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778B1 -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778B1
KR102382778B1 KR1020190170551A KR20190170551A KR102382778B1 KR 102382778 B1 KR102382778 B1 KR 102382778B1 KR 1020190170551 A KR1020190170551 A KR 1020190170551A KR 20190170551 A KR20190170551 A KR 20190170551A KR 102382778 B1 KR102382778 B1 KR 102382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orice
fermented
oyster
water extrac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771A (ko
Inventor
윤심
Original Assignee
윤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심 filed Critical 윤심
Priority to KR102019017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77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6Papaveraceae (Poppy family), e.g. blood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3Leonurus (mother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굴채와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당과 유산균을 투입하여 발효숙성시킴으로써 기능성 유효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복잡한 제조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단시간 내에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fermented medicinal herb composition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of Chelidonii herba and licorice}
본 발명은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굴채와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당과 유산균을 투입하여 발효숙성시킴으로써 기능성 유효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복잡한 제조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단시간 내에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굴채(Chelidonii herba)는 양귀비과의 애기똥풀(Chelidonium majus Linn)의 지상부를 뜻하는 것으로, 몸 전체에 진노랑 유액이 나오기 때문에 애기똥풀이라 부르며 젖풀이라고도 한다.
백굴채는 양지 또는 숲 가장자리에서 흔히 자라는 이년초로서 원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가고 등황색이며 원줄기는 높이 30-80 ㎝로서 잎과 더불어 분을 칠한 듯 한 흰빛이 돌고 다세포로 된 곱슬털이 있으나 나중에 거의 없어지며 상처를 내면 등황색의 유액이 나오기 때문에 애기똥풀이라고 한다.
잎은 호생 (互生)하고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7-15 ㎝, 너비 5-10 ㎝로서 끝이 둥글고 뒷면은 백색이며 철이 약간 남아 있기도 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와 결각이 있다. 5-8월에 원줄기와 가지 끝에서 산형화서가 발달하고, 황색꽃이 핀다.
백굴채는 급만성위장염, 위,십이지장궤양, 담낭염 등의 복부동통, 이질, 황달형 간염, 피부궤양, 풍습성사지마비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항경련, 장관연동 및 타액분비 촉진, 항종양, 간염, 항균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기침, 해소천식, 설사, 복통에도 효과가 인정되고 있으며 피부염이나 독충에 의한 상처, 옴에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예로부터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는데, 백굴채에는 독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가급적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야 하고, 너무 많은 양을 섭취하거나 장기간 복용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또한 감초는 '약방의 감초' 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우리에게 친숙한 한약재이다. Glycyrrhiza uralensis라는 학명을 가진 감초는, 동의보감에 성질은 평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고 기술되어 있다.
이런 감초의 단맛은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이라는 성분 때문인데, 약리적으로 글리시리진이 항알레르기 작용, NK 세포 활성화 작용, 인테페론 유리작용, 위산 분비 억계, 위 점막을 보호하는 항궤양 작용, 항염증 작용 등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Wen D. 등은 글리시리진을 과량 복용시, 심한 고혈압, 저칼륨 혈증, 신장에서 코티졸이 코티손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막아 생길 수 있는 광물질 대사 과잉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글리시레틴산 (glycyrrhetic acid)이 과량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Separation methods for antibacterial and antirheumatism agents in plant medicines. J Chromatogr B Analyt Technol Biomed Life Sci 2004;812: 101-17). 이에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는 식품에 첨가할 수 있는 글리시리진의 양을 규제하고 있다.
이에, S. J. Ahn 등은 감초 추출물에서 S. mutans균 억제 효과는 없고 과량 복용시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글리시리진을 제거하고자 HPLC를 사용하였고, 글리시리진이 제거된 추출물이 S. mutans균을 효과적으로 억게했다고 보고하였다(The antimicrobial effects of deglycyrrhizinated licorice root extract on Streptococcus mutans UA159 in both planktonic and biofilm cultures. Anaerobe. 2012; 18:590-6).
한편,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항생물질(antibiotics)에 대비되는 용어로 숙주의 장내 균총의 능력을 개선시킴으로써 숙주의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주는 살아 있는 미생물(젖산균과 다른 박테리아, 또는 건조된 상태 또는 발효제품 내의 효모)이다(Havenaar R 등 1992). 현재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되고 있는 미생물은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Lactococcus와 같은 젖산균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Leuconostoc, Pediococcus, Bacillus, Propionibacterium, 효모 등은 주로 동물에 사용되고 있다(Isolauri E 등 2004).
또한 감초는 72가지 석약과 1200가지 초약을 해독하고, 서로 조화하여 약효를 잘 나타나게 하므로, 동의 보감에서는 감초를 국노라고도 했다.
특히, 프로바이오틱스 젖산균은 정상적인 장관 및 비뇨생식기의 미생물 균총 유지, 유당불내증의 완화, 혈중 콜레스테롤의 감소, 항암작용, 면역 증강작용, 식품의 영양학적 가치의 증진 등의 유익한 효과와 비뇨생식기의 미생물 오염방지, 변비의 완화, 여행자 설사의 예방, 유아 설사의 방지, 항생제 사용에서 유래된 설사의 완화,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방지, 장암·방광암의 방지, 간경변의 부작용 방지, 위산과다에의 효과, 골다공증 방지 등의 치료적인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702331호에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143432호에 백굴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보고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1212호(2014. 04. 04. 공고)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2488호(2006. 11. 30. 공개)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2831호(2016. 09. 2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백굴채와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당과 유산균을 투입하여 발효숙성시킴으로써 기능성 유효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복잡한 제조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단시간 내에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꽃이 피기 전에 재배하여 건조시킨 백굴채 50 ~ 55 중량%, 감초 3 ~ 5 중량%, 용매 5 ~ 10 중량% 및 잔량의 보조 한약재를 가열하여 얻은 열수추출물을 유산균과 당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 한약재는 어성초 10 ~ 15 중량%와 삼백초 10 ~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한약재는 익모초 5 ~ 10 중량%, 당귀 5 ~ 10 중량% 및 오가피 5 ~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열수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의 함량은 2 ~ 4 중량부이고, 유산균의 함량은 3 ~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열수추출물의 발효를 위한 보조 영양공급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 영양공급원의 함량은 열수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4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꽃이 피기 전의 백굴채를 채취하여 세척 및 건조시키는 세척 및 건조단계와, 건조된 백굴채와 감초 및 보조 한약재들을 1 ~ 5cm의 크기로 절단 또는 파쇄한 후 살균시키는 절단 및 살균단계와, 살균된 백굴채, 감초 및 보조 한약재들을 용매가 포함된 가열용기에 투입하고, 밀봉 상태에서 가열하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열수추출물 제조단계와, 제조된 열수추출물을 감압 농축시키는 제1농축단계와, 감압 농축된 열수추출물에 유산균과 당을 투입하여 발효시키는 발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발효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50 ~ 70℃의 온도 범위에서 24 ~ 48 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10 ~ 30%가 되도록 농축시키는 제2농축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단계에서는 유산균의 보조 영양공급원이 더 투입되고, 상기 보조 영양공급원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타피오카 전분, 밀 전분, 글루텐, 현미가루, 귀리가구, 대두전분 및 보리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당과 유산균을 투입하여 발효시킴으로서 복잡한 제조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시간 내에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발효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기능성 유효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등의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백굴채와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당과 유산균을 투입하여 발효숙성시킴으로써 기능성 유효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복잡한 제조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단시간 내에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이하, '한약재 발효 조성물'이라 한다)은 백굴채, 감초 및 보조 한약재를 용매와 함께 가열하여 얻은 열수추출물을 유산균과 당을 이용하여 발효시켜 제조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열수추출물에 포함되는 백굴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급만성위장염, 위,십이지장궤양, 담낭염 등의 복부동통, 이질, 황달형 간염, 피부궤양, 풍습성사지마비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리작용으로 항경련, 장관연동 및 타액분비 촉진, 항종양, 간염, 항균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기침, 해소천식, 설사, 복통에도 효과가 인정되고 있으며 피부염이나 독충에 의 한 상처, 옴에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예로부터 한약재로 주로 사용되는 식물이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백굴채가 갖는 독성으로 인해 그 동안 제한적으로만 사용되어 왔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독성이 약한 꽃이 피기 전의 백굴채를 채취하여 건조 및 살균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고, 72가지 석약과 1200가지 초약을 해독하고 서로 조화하여 약효를 잘 나타나게 하므로 동의보감에서 '국노(國老)'라고 표현된 감초와 함께 열수추출물의 형태로 사용하며, 유산균과 당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등 백굴채가 갖는 독성을 여러 단계에 걸쳐 없앨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발효 조성물로 인해 인체에 해가 발생되는 등의 부작용이 결코 일어나지 않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열수추출물에는 꽃이 피기 전에 재배하여 건조시킨 백굴채가 50 ~ 55 중량% 만큼 포함되는데, 상기 백굴채의 함량이 5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백굴채의 독성이 잔존하게 될 위험이 있고, 백굴채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일 경우 전술한 백굴채의 효능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다음, 상기 감초는 백굴채의 독성을 해독하고, 열수추출물에 포함되는 성분들이 잘 조화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열수추출물에 포함되는 감초의 함량은 3 ~ 5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감초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백굴채의 해독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감초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게 될 뿐만 아니라, 감초에 포함된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이라는 성분의 함량이 미국식품의약국(FDA) 등의 기준함량을 초과하게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 상기 용매는 백굴채, 감초 및 후술할 보조 한약재의 열수추출에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물이 사용되지만 필요에 따라 에탄올이 용매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열수추출물 제조시 포함되는 용매의 함량은 약 5 ~ 10 중량%로 이는 열수추출물에 포함되는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 및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발효 조성물 제조방법에서의 열수추출물 제조시간, 농축시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 것이다.
다음, 상기 보조 한약재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백굴채에 포함되는 독성을 제거함과 동시에 열수추출물에 포함되는 백굴채의 함량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한약재 발효 조성물이 독성을 나타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보조 한약재로는 어성초와 삼백초가 포함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 Thunberg)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약모밀, 십약, 집채, 중약초 등으로 불리우며 그 잎과 뿌리에서 생선 비린내와 같은 독특한 냄새를 발산한다.
어성초는 체내 독소제거에 탁월한 작용을 하고, 설파민의 40,000배가 넘는 항염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고, 어성초의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는 각종 염증성 질환지료에 효과를 나타내며, 어성초가 함유한 플라보노이드의 혈액정화 작용은 은행잎 보다 뛰어나다고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어성초는 요도염, 방광염, 자궁염, 폐렴, 축농증, 기관지염, 치루, 악창 등 갖가지 염증질환에 매우 탁월한 효험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혈압, 당뇨, 해독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백굴채의 독성 제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삼백초(三白草)는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삼백초(Saururus chinensis Baill.)의 지상부이다.
삼백초는 제주도를 비롯한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숲속 물기가 많은 땅에서 드물게 자라는 오래살이풀으로서, 키는 30~90cm이고 뿌리는 희고 털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자라고 잎 모양은 달걀 모양인데, 초여름에 줄기 끝 꽃 밑에 있는 잎 2~3개가 하얗게 변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삼백초는 리그난(lignan), 메틸-엔-노닐-키톤(methyl-n-nonyl-ketone), 탄닌(tannin), 쿠에르치트린(quercitrin), 이소쿠에르치트린(isoquercitrin), 아비쿨라린(avicularin)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작용, 노화방지작용, 항암작용(간암, 폐암, 위암), 냉대하, 생리불순 등의 부인병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삼백초에 들어 있는 쿠에르치트린, 이소쿠에르치트린, 프라보노이드 등의 성분은 변통을 좋게 하는 작용이 있어 숙변제거에도 사용된다.
상기 어성초와 삼백초는 각각 열수추출물 중 10 ~ 15 중량% 만큼 포함되는데, 상기 어성초와 삼백초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전술한 효능이 잘 나타나지 않게 될 우려가 있고,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다른 성분, 특히 백굴채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고유 효능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한약재로 익모초, 당귀 및 오가피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익모초는 꿀풀과의 익모초(Leonurus Japonicus Houtt.)의 지상부를 말린 약재를 말한다.
익모초의 성분으로는 전초에 알칼로이드(레오누린, 레오누리딘, 스타히드린)가 있고, 피토스테린, 정유, 사포닌, 기름, 수지, 루틴, 유기산, 쿠마린 등이 있다.
약리작용으로 수추출액은 중추신경 계통의 진정 작용이 있고 레오누린은 혈압강하, 강심, 이뇨 작용을 한다.
또한, 레오누린과 스타히드린은 실험 동물의 자궁을 긴장시키고 수축 횟수를 늘리며, 스타히드린은 레오누린보다 자궁에 대한 작용을 나타내는 반면에, 레오누린은 스타히드린보다 진정, 혈압강하, 강심, 이뇨 작용을 나타낸다.
다음, 상기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귀화 식물로서 한국산 당귀를 참당귀라고 한다.
일본이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60 - 90 ㎝이고, 꽃은 흰색으로 8-9월에 가지 끝에 달리며, 열매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일반적으로 뿌리를 당귀라고 하는데, 보혈의 효능이 있으므로 얼굴에 핏기가 없고 현기증이 자주 나며 눈과 입술에 윤기가 없는 사람에게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고, 몸이 허약하여 오는 두통, 여성들의 월경 조절 효능이 뛰어나므로 산전이나 산후의 여러 질병에 자주 사용되며, 월경불순, 복통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위장의 기능이 약해서 오는 변비 치료에 효과가 있다(배기환 저, 민간요법과 한방요법에 다른 건강지침서 원색도감, 2003, 102-103).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당귀의 성분으로는 쿠마린(coumarine)계 물질인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 노다케네틴(nodakenetin), 움벨리페론 (umbelliferon), 노다케닌(nodakeni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안젤란-Ⅰ, 안젤란-Ⅱ 등이 있는데, 단리된 데커신과 데커시놀은 토끼 적출 장관을 마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고, 개구리 적출심장에 대하여는 억제작용 그리고 토끼의 호흡 억제와 혈압강하 작용이 보고되었으며 생쥐의 자발작용을 억제한다는 보고도 있다(생약학회지 1970, 1, 1:25-32).
또한, 항혈전작용, 조혈작용, 심장수축억제작용, 혈관이완작용, 혈중지질농도 강하를 통한 죽상동맥경화 억제작용, 면역조절작용, 항암작용 및 항염증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Chung B. S., et al, HyangyakDaesacheon: Youngrimsa, 1998, 406-408).
다음, 상기 오가피는 두릅나무(Araliaceae)과의 오가피속에 속하는 낙엽성 활엽관목으로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m)와 줄기마다 잔가시가 많이 돋아있는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일명 'Siberian Ginseng')으로 나뉜다.
오가피속 식물의 대표적인 약리작용으로는 진정작용, 항 스트레스작용, 평활근이환 작용, 소염작용,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억제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신경통, 중풍, 당뇨병, 고혈압, 저혈압, 및 불면증 등에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어 애용 되어왔다.
이들의 효과를 나타내는 주요 성분은 사포닌계통의 물질들과 Acanthoic acid 에 의하여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가시오가피에는 Acanthoic acid라는 성분이 있어 혈소판 응집 억제, 염증 억제, 활성산소 억제(Kang,H.S, Cell Immuno. Vol. 170, No.2. 1996)등을 지니며, tripenoid계의 배당체(Eleutheroside A,B,C,D,E,F,G)와 Aconthoside(A,B,C,D),스테롤, 쿠마린, 리구닌, 플라보노이드, 후타레인 등의 배당체가 함유되어 뇌하수체를 자극함으로써 여러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강장, 강정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용된 사례를 보면, 가시오가피를 이용하여 여드름 및 뾰루지 치료(특허 공개 2000-9820), 발기 부전 치료 효과(특허 공개 2000-74868), 항 스트레스 조성물 함유(특허 160402), 신경보호 작용 효과(공개 2000-0077717)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각 종 건강식과 차류 등에 빠지지 않고 첨가되는 등 그 효능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보조 한약재로 포함되는 익모초, 당귀 및 오가피는 각각 열수추출물 중 5 ~ 10 중량% 만큼 포함되는데, 상기 익모초, 당귀 및 오가피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전술한 익모초, 당귀 및 오가피의 효능이 잘 나타나지 않게 될 우려가 있고,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다른 성분, 특히 백굴채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고유 효능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성분들의 가열에 의해 얻어진 열수추출물에 유산균과 당을 투입하여 발효시키는데, 이러한 발효 과정은 백굴채에 포함된 독성 요소를 분해시킴으로써 제거하거나, 인체에 독성 요소가 미량 투입되는 경우에서 간에서 해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대한 발효해독학회가 존재할 정도로 발효가 해독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고, 유산균 또한 해독 작용은 물론 면역력 증진에 뛰어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백굴채를 포함하는 열수추출물을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백굴채에 포함된 독성이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산균으로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Lactobacillus plantarum 중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은 유산균과 함께 투입되어 유산균의 생육에 필요한 질소원과 탄소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포도당, 과당, 엿당, 설탕, 글루코오스 중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산균의 생육에는 질소원과 탄소원이 필요한데, 포도당 등의 당은 이러한 질소원과 탄소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산균을 생육시키는 영양분이 된다.
일반적으로 균의 생육주기는 주변의 환경에 적응하는 유도기, 영양 성분을 먹고 자라는 대수기, 균체가 최대로 성장하면서 세대별로 사멸 및 세포분열 등을 유지하고 주변 영양분들과 평형을 이루는 정상기, 영양분이 고갈되어 사멸되는 사멸기로 분류된다.
한편, 탄소원과 질소원을 적정량 함유하여야 유도기가 지나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일반적인 균주의 배양에 사용되는 한계용량은 탄소원과 질소원이 10 중량% 이상일 경우 삼투압 및 적응단계인 도기가 길어지게 되어 발효에 좋치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백굴채를 포함하는 열수추출물의 독성을 제거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기간 동안 유산균의 생육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당의 함량은 열수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4 중량부이고, 유산균의 함량은 3 내지 5 중량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다른 실시예로 열수추출물의 발효 과정에서 당과 함께 투입되는 보조 영양공급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 영양공급원은 전술한 당과 마찬가지로 유산균의 생육에 필요한 질소원과 탄소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보조 영양공급원으로는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타피오카 전분, 밀전분, 글루텐, 현미가루, 귀리가루, 대두전분 및 보리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보조 영양공급원의 함량은 당과 마찬가지 이유로 하여 열수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4 중량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한약재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세척 및 건조단계(S10), 절단 및 살균단계(S20), 열수추출물 제조단계(S30), 제1농축단계(S40) 및 발효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세척 및 건조단계(S10)는 열수추출물에 포함될 성분들, 즉 백굴채, 감초 및 보조 한약재들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백굴채의 경우 독성이 거의 없는 꽃이 피기 전의 백굴채를 채취하여 세척 및 건조시킨다. 이때, 상기 보조 한약재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어성초, 삼백초, 익모초, 당귀 및 오가피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절단 및 살균단계(S20)는 건조가 완료된 백굴채, 감초 및 보조 한약재들을 열수추출이 용이한 약 1 ~ 5cm의 크기로 절단 또는 파쇄한 후, 살균시키는 단계로,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품질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계이다.
즉, 상기 백굴채, 감조 및 보조 한약재들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 또는 파쇄한 후 약 80 ~ 110℃의 온도에서 약 5 ~ 20분 동안 증숙 살균시키는데, 이와 같은 증숙 살균과정을 통해 상기 성분들에 유해균들이 생성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면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음 공정들의 수행에 의해 제조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품질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열수추출물 제조단계(S30)는 살균이 완료된 백굴채, 감초 및 보조 한약재를 용매가 포함된 가열용기에 투입하고 밀봉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이때 투입되는 각 성분의 함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백굴채 50 ~ 55 중량%, 감초 3 ~ 5 중량%, 용매 5 ~ 10 중량%에 나머지 잔량이 보조 한약재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열수추출물 제조단계(S30)에서는 내측에 내용물들이 포함된 밀봉 상태의 가열용기를 80 ~ 95℃의 온도로 약 1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하게 되는데, 가열시간은 가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들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제1농축단계(S40)는 열수추출물 제조단계(S30)에서 제조된 열수추출물을 감압 농축시키는 단계로,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시켜 유효성분의 손실없이 농축된 열수추출물을 얻도록 한다.
다음, 상기 발효단계(S50)는 감압 농축된 열수추출물에 유산균과 당을 투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백굴채에 함유된 독성 성분을 최종적으로 분해 또는 제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과정으로 감압 농축된 열수추출물이 포함된 발효용기에 유산균 및 당을 투입하고, 약 15 ~ 35℃의 온도 및 80 ~ 95%의 습도 조건에서 3일 내지 5일 동안 발효시킨다.
이때, 상기 발효용기 내부에는 유산균 및 당 이외에도 보조 영양공급원이 더 투입될 수 있으며, 상기 유산균과 당 및 보조 영양공급원의 종류 및 함량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효단계(S50) 이후에 제2농축단계(S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농축단계(S60)는 발효단계(S50)를 통해 수득된 한약재 발효 조성물을 추가적으로 농축시킴으로써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농축액인 기능성 식품을 완성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농축단계(S60)에서는 발효단계(S50)를 통해 수득된 한약재 발효 조성물을 50 ~ 70℃의 온도 범위에서 약 24 ~ 48시간 동안 열풍건조시켜 한약재 발효 조성물을 농축시키는데, 제2농축단계(S60)가 완료된 한약재 발효 조성물은 수분 함량이 약 10 ~ 30%가 되어 그 부피가 더욱 줄어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농축액은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고, 손쉽게 포장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들의 신뢰감을 높여줄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당과 유산균을 투입하여 발효시킴으로서 복잡한 제조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시간 내에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발효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기능성 유효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쉽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굴채의 유용한 성분들을 섭취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기능성 약효 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굴채와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당과 유산균을 투입하여 발효숙성시킴으로써 기능성 유효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복잡한 제조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단시간 내에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S10 : 세척 및 건조단계 S20 : 절단 및 살균단계
S30 : 열수추출물 제조단계 S40 : 제1농축단계
S50 : 발효단계 S60 : 제2농축단계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꽃이 피기 전의 백굴채를 채취하여 세척 및 건조시키는 세척 및 건조단계와,
    건조된 백굴채와 감초 및 보조 한약재로 사용되는 어성초, 삼백초, 익모초, 당귀 및 오가피를 1 ~ 5cm의 크기로 절단 또는 파쇄한 후 80 ~ 110℃의 온도에서 5 ~ 20분 동안 증숙 살균시키는 절단 및 살균단계와,
    살균된 백굴채, 감초 및 보조 한약재들을 용매로 사용되는 물이 포함된 가열용기에 투입하되, 상기 백굴채 50 ~ 55 중량%, 감초 3 ~ 5 중량%, 물 5 ~ 10 중량%에 나머지 잔량이 보조 한약재가 되도록 투입하고 밀봉 상태에서 가열하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열수추출물 제조단계와,
    제조된 열수추출물을 감압 농축시키는 제1농축단계와,
    감압 농축된 열수추출물에 유산균과 당을 투입하여 15 ~ 35℃의 온도 및 80 ~ 95%의 습도 조건에서 3일 내지 5일 동안 발효시키는 발효단계 및
    상기 발효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50 ~ 70℃의 온도 범위에서 24 ~ 48 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10 ~ 30%가 되도록 농축시키는 제2농축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효단계에서는 유산균의 보조 영양공급원이 더 투입되고, 상기 보조 영양공급원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타피오카 전분, 밀 전분, 글루텐, 현미가루, 귀리가구, 대두전분 및 보리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90170551A 2019-12-19 2019-12-19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82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551A KR102382778B1 (ko) 2019-12-19 2019-12-19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551A KR102382778B1 (ko) 2019-12-19 2019-12-19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771A KR20210078771A (ko) 2021-06-29
KR102382778B1 true KR102382778B1 (ko) 2022-04-05

Family

ID=7662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551A KR102382778B1 (ko) 2019-12-19 2019-12-19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7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007B1 (ko) 2014-06-23 2015-06-19 류재천 기능성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38788A1 (ko) 2016-02-12 2017-08-1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국장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와 천연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및 항균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면역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5619B1 (ko) * 1996-11-07 1999-03-20 노환진 한약재를 주재료로 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100336648B1 (ko) * 2000-12-26 2002-05-16 강창환 장 청소 및 변비 해소 기능의 야채 효소 음료 조성물
KR100465262B1 (ko) * 2002-05-08 2005-01-13 노환진 한약재를 주재료로 한 발효음료
KR100555077B1 (ko) * 2003-01-14 2006-02-24 김정규 식물체 발효액 및 상기 발효액을 사용하는 시비 또는 살충방법
KR100702331B1 (ko) 2005-05-27 2007-04-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96989A (ko) * 2007-08-10 2007-10-02 박미숙 기능성 한방 발효액 제조 방법
KR101377405B1 (ko) * 2011-09-27 2014-03-25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장 기능 및 변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한 산약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381212B1 (ko) 2013-07-19 2014-04-04 유연주 고온 고압 조건에서 추출한 백굴채 열수 추출물 또는 이의 증류액을 함유하는 물티슈
KR102022062B1 (ko) 2015-03-20 2019-09-1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007B1 (ko) 2014-06-23 2015-06-19 류재천 기능성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38788A1 (ko) 2016-02-12 2017-08-1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국장 추출물 유래 펩타이드와 천연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및 항균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면역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771A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321B1 (ko) 선옥균과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339706B1 (ko) 홍삼 포접화합물, 면역 농축물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 복합 조성물
KR20130057507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재배방법
CN1676036B (zh) 灵芝金刚根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5754809B (zh) 一种工业化生产有机富硒藏虫草原浆酒的方法及所得产物
CN104887617A (zh) 一种用于眼部护理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55421B1 (ko) 약리작용을 가진 농산물과 곡물균사체가 혼합되어 발효된 발효 선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01735B1 (ko) 새싹, 식물성 생약재 및 홍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166883B1 (ko) 당귀, 천궁, 갈근, 작약, 숙지황, 황기, 홍삼, 건강, 감초, 계피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5182B1 (ko) 동결건조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CN105055897A (zh) 一种防治糖尿病的保健茶片及其制备方法
KR102115622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382778B1 (ko) 백굴채 및 감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한약재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93441B1 (ko)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발효현미의 제조방법
KR101849758B1 (ko) 산양삼과 보이차를 포함하는 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3402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당뇨, 당뇨합병증 또는 당뇨로 인한 질환을 예방,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266137A (zh) 一种灵芝精粉的制作方法
KR102279890B1 (ko) 염지제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0824035B1 (ko) 녹차, 민들레 및 동충하초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김치발효균주를 제어하는 방법
KR102211523B1 (ko) 건강식품용 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31563A (ko) 약초콩을 이용한 기능성 무취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무취 청국장 환
CN112106856A (zh) 一种玫瑰红茶固体饮料的制备方法
KR102138976B1 (ko) 발효 숙성 노니 열매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용 노니 파우더의 제조방법
CN108578589B (zh) 一种复合解酒泡腾片及其制备方法
KR20090011350A (ko) 쑥 함유 침출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