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402B1 -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402B1
KR102381402B1 KR1020200130969A KR20200130969A KR102381402B1 KR 102381402 B1 KR102381402 B1 KR 102381402B1 KR 1020200130969 A KR1020200130969 A KR 1020200130969A KR 20200130969 A KR20200130969 A KR 20200130969A KR 102381402 B1 KR102381402 B1 KR 102381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chuck
wafer electrostatic
bonding
layer
wa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은
최상우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스코
Priority to KR1020200130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electrostatic chucks
    • H01L21/6833Details of electrostatic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Devices for holding work using magnetic or electric force acting directly on the 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5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coating or a hardness or a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3/00Clutches or holding devices using electrostatic attraction, e.g. using Johnson-Rahbek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은 웨이퍼 정전척을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에 담근 후, 웨이퍼 정전척의 미세 헬륨 홀에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를 채우는 단계, 웨이퍼 정전척을 가공하고 보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웨이퍼 정전척을 물 수조 속에 담근 후, 웨이퍼 정전척의 미세 헬륨 홀에 채워진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를 초음파 진동을 통해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METHOD OF REPAIRING WAFER ELECTROSTATIC CHUCK}
본 발명은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웨이퍼 정전척 본딩층을 디본딩하지 않고도 정전척을 재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전척은 반도체 공정에서 기판을 흡착, 지지하고 온도를 조절해주는 장비로, 전극에 전압을 걸었을 때 형성되는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해 기판을 흡착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한편 정전척과 관련한 종래 특허문헌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0-1328492호 (2013.11.06 등록, 발명의 명칭 : 에어로졸 코팅을 이용한 정전척 재생 방법(Regeneration method of electrostatic chuck using aerosol coating)에서는, "해당 발명은 정전척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재생 가공 후라도 유전층 표면에서 전극층까지의 거리에 변화가 없도록 하여 재생 횟수를 늘릴 수 있고, 특히 척킹력 등 정전척 역할을 하도록 하는 전기적 작용 및 특성의 변화없이 정전척 표면 부위를 완벽히 재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당 발명은, 표면이 손상된 정전척을 준비하는 정전척 준비 단계와; 손상된 정전척 표면을 평탄하게 가공하는 평탄화 작업 단계와; 상기 평탄화 작업에 의해 얇아진 유전층의 두께를 보완하기 위해 평탄화된 표면의 상부에 에어로졸 세라믹 코팅막을 형성하는 에어로졸 세라믹 코팅 단계와; 상기 에어로졸 세라믹 코팅막의 표면에 패턴화된 엠보싱 돌기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엠보싱 돌기들이 형성된 에어로졸 세라믹 코팅막의 표면 평탄도 및 조도를 조정하기 위한 후속 가공을 하는 평탄도 및 조도 조정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코팅을 이용한 정전척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특허문헌들에서는 본딩층을 디본딩한 후 표면을 가공한 후, 재차 본딩과정을 수행해야 과정을 포함하고 있어, 재생 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아킹 방지 목적으로 헬륨가스 라인 홀이 표면에 다수 형성되어 있어, 디본딩과 본딩 과정에서 헬륨 가스 라인을 보존하는 과정이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1. 대한민국 특허 제10-1328492호 (2013.11.06 등록, 발명의 명칭 : 에어로졸 코팅을 이용한 정전척 재생 방법(Regeneration method of electrostatic chuck using aerosol coating)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웨이퍼 정전척의 플라즈마 환경으로 인한 손상 시 재생을 좀더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헬륨 가스 라인을 손상시키지 않고 웨이퍼 정전척을 재생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이퍼 정전척의 재생 방법은, (a) 상기 웨이퍼 정전척을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에 담근 후,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미세 헬륨 홀에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를 채우는 단계; (b)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표면 손상 부위를 연마할 두께를 결정하고, 결정된 두께로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표면을 가공하여 연마하는 단계; (c)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가공된 표면 상에 제1 보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표면을 2차 가공하여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가공된 표면 상에 제2 보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웨이퍼 정전척을 물 수조 속에 담근 후,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미세 헬륨 홀에 채워진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를 초음파 진동을 통해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웨이퍼 정전척을 뒤집어 상기 웨이퍼 정전척을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에 담근 후,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헬륨 주입 홀에 음압을 가하여, 상기 미세 헬륨 홀에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를 채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 대신 물을 이용하며, 상기 (f) 단계에서는 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 헬륨 홀 속의 물을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보호 코팅층은 AL2O3 코팅층이며, 상기 제2 보호 코팅층은 Y2O3 코팅층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보호층의 에지 부분에 열반사 코팅을 병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e) 단계에서는, 제2 보호 코팅층을 형성 후 MCT 가공 단계를 더 수행하며, 상기 보호층의 에지 부분에 열반사 코팅을 병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는 카라기난(Carrageenan), 타라검(Tara Gum), 젤라틴(Gelatin), PAV 및 파라핀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본딩층을 디본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재생된 웨이퍼 정전척을 베이스 기판에 본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f-1) 단계는 열팽창계수 및 접착 강도가 서로 다른 다수의 본딩층을 형성하는 다층 본딩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f-1) 단계는 각각의 본딩층을 기 설정된 각각의 소정 높이만큼 흘려서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f-1) 단계는 정전척 외주를 둘러싸고, 각각의 본딩층 형성에 대응하는 다수의 본딩 물질을 각각 주입할 수 있는 본딩 물질 주입구를 구비하며, 각 주입구의 하단에 위치한 본딩 물질 출구의 상부 높이는 각 본딩층의 소정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다층 본딩 주입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각각의 본딩층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f-1) 단계는 상기 미세 헬륨 홀에 연결되는 상기 본딩층 상의 헬륨 주입 홀 주변에 상기 홀 주변을 둘러싸고 소정 높이를 갖는 댐을 설치한 후 각각의 본딩층을 형성하고, 각 본딩층 형성 후 상기 설치된 댐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은 플라즈마 환경에서 웨이퍼 정전척이 손상되었을 경우, 본딩층을 디본딩하지 않고도 손상부위를 연마하여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은 헬륨 가스 라인 주변에 댐을 설치하여, 디본딩 후 본딩 과정에서 해당 라인의 홀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정전척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이퍼 정전척을 수용성 수지 수조에 뒤집어 담그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본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본딩 시 댐 형성 과정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은, 웨이퍼 정전척을 뒤집어 수용성 수지 속에 담그는 단계(S01), 웨이퍼 정전척의 헬륨 주입 홀에 음압을 가해 미세 헬륨 홀에 수용성 수지를 채우는 단계(S02), 웨이퍼 정전척의 손상된 표면을 가공하는 단계(S03), 웨이퍼 정전척의 가공된 표면에 제1 보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04), 웨이퍼 정전척의 표면을 2차 가공하여 평탄화 작업하는 단계(S05), 웨이퍼 정전척의 가공된 표면에 제2 보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06) 및 웨이퍼 정전척을 물 수조에 담근 후, 수용성 수지를 제거하는 단계(S07)를 포함한다.
우선, S01단계는 플라즈마 상태에서 사용하여 아킹 등으로 인해 손상된 부분을 재생하기 위해, 웨이퍼 정전척을 수용성 수지 속에 뒤집어 담근다. 그리고 S02 단계에서는 웨이퍼 정전척의 헬륨 주입 홀에 음압을 가해 미세 헬륨 홀에 수용성 수지를 채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정전척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이퍼 정전척(200)은 알루미늄 베이스 기판(201) 본딩층(203), 정전척 몸체(205) 및 보호코팅층(207)을 포함한다. 알루미늄 베이스 기판(201)에는 웨이퍼 정전척의 냉각을 위한 냉각부(202)를 그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본딩층(203)은 정전척 몸체(205)와 알루미늄 베이스 기판(201) 사이를 본딩하는 기능을 한다. 정전척 몸체(205) 내에는 히터층(204) 및 전극층(206)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호코팅층(207)은 정전척 몸체(205) 상부에 다층으로 코팅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실시예에서는, Al2O3 코팅층이 정전척 몸체에 제1 보호 코팅층으로 형성되며, Y2O3 코팅층이 AL2O3 코팅층 상부에 제2 보호 코팅층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정전척(200)은 헬륨 주입 홀(208)과 미세 헬륨 홀(209)를 포함한다. 헬륨 주입 홀(208)과 미세 헬륨 홀(209)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헬륨 주입 홀(208)은 웨이퍼 정전척(200) 하단에서 헬륨을 웨이퍼 정전척(200) 안으로 주입하는 홀이고, 미세 헬륨 홀(209)은 보호코팅층(207) 상단에 여러 그룹으로 묶여서 다수의 그룹에 다수의 미세 홀들이 뚫려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아킹 방지 목적을 위해 헬륨이 계속 배출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다수의 미세 헬륨 홀(209)의 존재로 인해 홀의 사이즈가 작아지고 그 개수가 약 400개 정도로 많아 짐에 따라 연마 공정 시 기존의 핀 캡 등의 방식이 적용이 어려웠던 문제의 원인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이퍼 정전척을 수용성 수지 수조에 뒤집어 담그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웨이퍼 정전척(200)을 뒤집어 수용성 수지(301)이 담겨 있는 수조(300)에 집어넣는다. 그리고 나서 헬륨 주입 홀(208)에 음압을 가해 미세 헬륨 홀(209)로 수용성 수지(301)이 주입되어 내부의 헬륨 라인들에 수용성 수지(301)이 채워지게 한다. 그런 다음 다시 웨이퍼 정전척(200)을 수조(300)에서 꺼내 뒤집는다.
이때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은 카라기난(Carrageenan), 타라검(Tara Gum), 젤라틴(Gelatin), 또는 PAV이나 파라핀일 수도 있고, 물에 녹는 다른 물질일 수도 있을 것이다.
S03 단계에서는, 웨이퍼 정전척의 손상된 표면을 가공하는 데, 우선 표면 손상 부위를 연마할 두께를 결정하고, 결정된 두께로 웨이퍼 정전척의 표면을 가공하여 연마한다. S04 단계에서는 웨이퍼 정전척의 가공된 표면 상에 AL2O3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제1 보호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 때, AL2O3 보호층의 에지 부분에 열반사 코팅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S05 단계에서는 제1 보호 코팅층 형성 후 웨이퍼 정전척의 표면을 2차 가공하여 표면을 평탄화 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S06 단계에서는 웨이퍼 정전척의 가공된 표면 상에 Y2O3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제2 보호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때, 제2 보호 코팅층을 형성 후 MCT 가공 단계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보호 코팅층의 에지 부분에도 열반사 코팅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S07 단계에서는, 웨이퍼 정전척을 물 수조 속에 담근 후, 웨이퍼 정전척의 미세 헬륨 홀에 채워졌던 수용성 수지를 제거한다. 이때, 초음파 진동을 통해 미세 헬륨 홀에 채워진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수용성 수지가 물 수조 속의 물을 통해 녹아서 제거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성 수지 대신 물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S01 및 S02 단계에서 웨이퍼 정전척을 물 수조 넣고 헬륨 주입 홀에 음압을 가해 물을 미세 헬륨 홀 속에 집어넣고, 웨이퍼 정전척 재생 후에는, 헬륨 주입 홀 또는 미세 헬륨 홀에 공기를 불어넣어 그 내부의 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웨이퍼 정전척 재생 과정을 통해서도 추가 가공이 필요한 경우나, 본딩층을 제거하여 정전척 몸체만을 별도로 재생하는 과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디본딩 과정 및 본딩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즉, S01 단계에서는 웨이퍼 정전척의 본딩층을 디본딩 한 후, 정전척 몸체(205)만 재생 과정을 진행하게 하며, S07 단계에서 재생된 정전척 몸체를 베이스 기판에 본딩하는 과정을 추가로 진행한다. 이 경우, 추가 본딩 과정에서는 열팽창 계수 및 접착 강도가 서로 다른 다수의 본딩층을 형성하는 다층 본딩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본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딩 과정은 알루미늄 베이스 기판(201) 외주를 둘러싼 다층 본딩 주입 보조기구(400)를 이용하여 열팽창계수 및 접착 강도가 서로 다른 다수의 본딩층(411 내지 413)을 형성한다. 다층 본딩 주입 보조기구(400)은 정전척 외주를 둘러싸고 각각의 본딩층 형성에 대응하는 다수의 본딩 물질을 주입할 수 있는 본딩 물질 주입구(401 내지 403)를 구비하고, 각 주입구의 하단에 위치한 본딩 물질 출구(404 내지 406)의 상부 높이는 각 본딩층(411 내지 413)의 소정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제1 본딩 물질(411)은 다층 본딩 주입 보조기구(400)의 제1 본딩 물질 주입구(401)로 주입되어 제1 본딩 물질 출구(404)를 통해 흘려 보내져 제1 본딩층이 형성된다. 이 때 제1 본딩층의 높이는 제1 본딩 물질 출구(404)의 상부 높이만큼 형성되게 된다. 또한 제2 본딩 물질(412)은 다층 본딩 주입 보조기구(400)의 제2 본딩 물질 주입구(402)로 주입되어 제2 본딩 물질 출구(405)를 통해 흘려 보내져 제2 본딩층이 형성된다. 이 때 제2 본딩층의 높이는 제2 본딩 물질 출구(405)의 상부 높이만큼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제3 본딩 물질(413)은 다층 본딩 주입 보조기구(400)의 제3 본딩 물질 주입구(403)로 주입되어 제3 본딩 물질 출구(406)를 통해 흘려 보내져 제3 본딩층이 형성된다. 이 때 제3 본딩층의 높이는 제3 본딩 물질 출구(406)의 상부 높이만큼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미세 헬륨 홀에 연결되는 상기 본딩층 상의 헬륨 주입 홀 주변(208)에 상기 홀 주변을 둘러싸고 소정 높이를 갖는 댐을 설치한 후 각각의 본딩층을 형성하고, 각 본딩층 형성 후 상기 설치된 댐을 제거하는 방법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딩층 형성 시 본딩 물질이 헬륨 주입 홀(208)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본딩 시 댐 형성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알루미늄 베이스 기판(201) 외주를 둘러싼 다층 본딩 주입 보조기구(40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 및 접착 강도를 갖는 다수의 본딩층(411 내지 413)을 형성하는 데, 먼저, 제 1 본딩 물질(411)이 다층 본딩 주입 보조기구(400)의 제1 본딩 물질 주입구(401)로 주입되어 제1 본딩 물질 출구(404)를 통해 흘려 보내져 제1 본딩층이 형성된다. 이 때 제1 본딩층의 높이는 제1 본딩 물질 출구(404)의 상부 높이만큼 형성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본딩층(411)의 높이는 90um이다. 그런 다음, 제2 본딩 물질(412)이 다층 본딩 주입 보조기구(400)의 제2 본딩 물질 주입구(402)로 주입되어 제2 본딩 물질 출구(405)를 통해 흘려 보내져 제2 본딩층이 형성된다. 이 때 제2 본딩층의 높이는 제2 본딩 물질 출구(405)의 상부 높이만큼 형성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본딩층(412)의 높이는 90um이다. 그리고 나서 네2 본딩층(412) 상부에 헬륨 주입 홀 주변(208)에 상기 홀 주변을 둘러싸고 소정 높이를 갖는 댐(500)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제3 본딩 물질(413)을 다층 본딩 주입 보조기구(400)의 제3 본딩 물질 주입구(403)로 주입하여 제3 본딩 물질 출구(406)를 통해 흘려 보내져 제3 본딩층을 형성한다. 이 때 제3 본딩층의 높이는 제3 본딩 물질 출구(406)의 상부 높이만큼 형성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본딩층(413)의 높이도 90um이며, 이때 댐(500)의 높이도 제3 본딩층(413)과 같도록 먼저 같은 높이인 90um 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각 본딩층을 형성한 후 상기 설치된 댐(500)은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은 플라즈마 환경에서 웨이퍼 정전척이 손상되었을 경우, 본딩층을 디본딩하지 않고도 손상부위를 연마하여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헬륨 가스 라인 주변에 댐을 설치하여, 디본딩 후 본딩 과정에서 해당 라인의 홀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웨이퍼 정전척의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웨이퍼 정전척을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에 담근 후,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미세 헬륨 홀에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를 채우는 단계;
    (b)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표면 손상 부위를 연마할 두께를 결정하고, 결정된 두께로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표면을 가공하여 연마하는 단계;
    (c)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가공된 표면 상에 제1 보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표면을 2차 가공하여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가공된 표면 상에 제2 보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웨이퍼 정전척을 물 수조 속에 담근 후,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미세 헬륨 홀에 채워진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를 초음파 진동을 통해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웨이퍼 정전척을 뒤집어 상기 웨이퍼 정전척을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에 담근 후,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헬륨 주입 홀에 음압을 가하여, 상기 미세 헬륨 홀에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 대신 물을 이용하며, 상기 (f) 단계에서는 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 헬륨 홀 속의 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코팅층은 AL2O3 코팅층이며, 상기 제2 보호 코팅층은 Y2O3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보호 코팅층의 에지 부분에 열반사 코팅을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는, 제2 보호 코팅층을 형성 후 MCT 가공 단계를 더 수행하며, 상기 제2 보호 코팅층의 에지 부분에 열반사 코팅을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수지(water soluble gum)는 카라기난(Carrageenan), 타라검(Tara Gum), 젤라틴(Gelatin), PAV 및 파라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웨이퍼 정전척의 본딩층을 디본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재생된 웨이퍼 정전척을 베이스 기판에 본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f-1) 단계는 열팽창계수 및 접착 강도가 서로 다른 다수의 본딩층을 형성하는 다층 본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f-1) 단계는 각각의 본딩층을 기 설정된 각각의 소정 높이만큼 흘려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f-1) 단계는 정전척 외주를 둘러싸고, 각각의 본딩층 형성에 대응하는 다수의 본딩 물질을 각각 주입할 수 있는 본딩 물질 주입구를 구비하며, 각 주입구의 하단에 위치한 본딩 물질 출구의 상부 높이는 각 본딩층의 소정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다층 본딩 주입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각각의 본딩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f-1) 단계는 상기 미세 헬륨 홀에 연결되는 상기 본딩층 상의 헬륨 주입 홀 주변에 상기 홀 주변을 둘러싸고 소정 높이를 갖는 댐을 설치한 후 각각의 본딩층을 형성하고, 각 본딩층 형성 후 상기 설치된 댐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KR1020200130969A 2020-10-12 2020-10-12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KR102381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69A KR102381402B1 (ko) 2020-10-12 2020-10-12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69A KR102381402B1 (ko) 2020-10-12 2020-10-12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402B1 true KR102381402B1 (ko) 2022-03-31

Family

ID=8093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969A KR102381402B1 (ko) 2020-10-12 2020-10-12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410B1 (ko) * 2022-08-24 2023-01-27 주식회사 제스코 플라즈마 식각 장비용 히터 링 재생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779U (ja) * 1991-08-16 1993-03-09 セントラル自動車株式会社 抵抗溶接スポツトガンのチツプ抜け検出装置
KR101196441B1 (ko) * 2011-12-20 2012-11-01 이준호 정전 척의 리페어 방법
KR101328492B1 (ko) 2013-04-02 2013-11-13 주식회사 템네스트 에어로졸 코팅을 이용한 정전척 재생 방법
KR20150002985A (ko) * 2013-06-28 2015-01-08 (주)코리아스타텍 디스플레이 기판용 대면적 정전척의 재가공방법
JP6404296B2 (ja) * 2011-06-02 2018-10-10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Incorporated 静電チャックの窒化アルミ誘電体の修復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779U (ja) * 1991-08-16 1993-03-09 セントラル自動車株式会社 抵抗溶接スポツトガンのチツプ抜け検出装置
JP6404296B2 (ja) * 2011-06-02 2018-10-10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Incorporated 静電チャックの窒化アルミ誘電体の修復方法
KR101196441B1 (ko) * 2011-12-20 2012-11-01 이준호 정전 척의 리페어 방법
KR101328492B1 (ko) 2013-04-02 2013-11-13 주식회사 템네스트 에어로졸 코팅을 이용한 정전척 재생 방법
KR20150002985A (ko) * 2013-06-28 2015-01-08 (주)코리아스타텍 디스플레이 기판용 대면적 정전척의 재가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410B1 (ko) * 2022-08-24 2023-01-27 주식회사 제스코 플라즈마 식각 장비용 히터 링 재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4296B2 (ja) 静電チャックの窒化アルミ誘電体の修復方法
US61935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wafers using a grind chuck having high elastic modulus
KR102381402B1 (ko) 웨이퍼 정전척 재생 방법
TW201939597A (zh) 基板處理系統、基板處理方法及電腦記錄媒體
JP5266496B2 (ja) 面取り基板のルーティング方法
JP2004202684A (ja) 加工品の処理方法および加工品キャリア
JP7058738B2 (ja) 基板処理システム及び基板処理方法
TWI795577B (zh) 基板處理系統及基板處理方法
JPH07106285A (ja) 半導体製造方法
TWI783139B (zh) 晶圓的加工方法
US8303382B2 (en) Polishing pad and method of fabrication
JP7154697B2 (ja) 被加工物の加工方法
US6864154B2 (en) Process for lapping wafer and method for processing backside of wafer using the same
WO2003001558A1 (en) Plasma treating apparatus
JP2018067586A (ja) ウエーハの樹脂被覆方法
JP2021002625A (ja) パッケージデバイスチップの製造方法
KR102332730B1 (ko) 정전척의 재생 방법
JP7096133B2 (ja) 静電チャックの製造方法
TWI837149B (zh) 基板處理系統及基板處理方法
JP2016063092A (ja) 積層体製造装置、積層体、分離装置及び積層体製造方法
US20230178374A1 (en)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11894271B2 (en) Method of processing wafer
KR102461442B1 (ko) 피가공물의 가공 방법
JP2019140326A (ja) ウェーハの加工方法
JP2022001410A (ja) 基板および液体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