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743B1 -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743B1
KR102378743B1 KR1020200094887A KR20200094887A KR102378743B1 KR 102378743 B1 KR102378743 B1 KR 102378743B1 KR 1020200094887 A KR1020200094887 A KR 1020200094887A KR 20200094887 A KR20200094887 A KR 20200094887A KR 102378743 B1 KR102378743 B1 KR 102378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oil
support
mold
plat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975A (ko
Inventor
김병선
Original Assignee
강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은 filed Critical 강태은
Priority to KR1020200094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74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B31B50/592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using punch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including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4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including folding or pleating, e.g. Chinese lan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77Shaping by methods analogous to moulding, e.g. deep draw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8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closing, rim-rolling or corrugating; Fixing elements to tube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8Cre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70/00Construction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70/30Construction of flexible containers having corrugated or pleate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241/00Making bags or boxes intended for a specific use
    • B31B2241/005Making paper 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승강통로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받침캐비닛과; 받침캐비닛에 고정된 수직컬럼과; 수직컬럼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 하부에서 승강운동 하는 승강플레이트와; 금형바디와 내장히터를 포함하는 상부금형과; 받침캐비닛의 상부에 수평 연장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에 지지되고,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왕복플레이트와; 왕복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상부금형에 대응하는 하부금형과; 왕복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종이호일이 로딩된 하부금형을 상부금형의 연직 하부로 이동시키는 수평액츄에이터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는, 원형으로 재단되어 있는 종이호일을 수십 매 겹친 상태로 가열 프레싱 하여, 일정한 형태를 갖는 종이호일받침을 대량 제작할 수 있으므로, 기존 롤에 감겨 있는 종이호일의 사용상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Paper foil support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의 가열 조리 시 조리용기 바닥에 깔아 사용하는 종이호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으로 미리 재단된 수십 매의 종이호일을 겹친 상태로 가열 프레싱 하여, 일정한 형태를 갖는 접시형 받침을 제작하는,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물건 중, 호일(foil)은 음식을 조리할 때 용기 바닥에 깔거나, 이미 만들어진 음식을 포장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호일은 가벼우며 사용이 간편하여 거의 모든 주방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호일에는, 대표적으로 알루미늄호일과 종이호일이 있다. 알루미늄호일은, 원소재인 알루미늄 박판을 여러 차례 압연하여 얇게 제작한 것으로서, 열전도율이 높고 내열성이 양호하여, 가령, 불판위에서 고기나 생선을 구울 때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알루미늄 호일의 경우, 조리 대상물이 호일에 쉽게 들러붙거나, 가열시간이 오래 지속되면 알루미늄 자체의 유해 성분이 음식물에 흡수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알루미늄호일을 대신하여 종이호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이호일은, 천연 펄프재질의 시트 양면에 실리콘 수지를 코팅한 것으로서, 내수성과 내유성은 물론 내열성을 가져, 음식을 조리할 때, 조리용기의 바닥이나 불판에 깔아 사용 가능하다.
종이호일은, 알루미늄호일과 마찬가지로 롤에 감긴 상태로 유통된다. 사용자는 롤에 감겨 있는 종이호일을 필요한 길이만큼씩 풀어 절단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롤에 감겨 있는 종이호일을 번번이 풀어 사용하는 것 자체가 불편할 때가 많다. 예를 들어, 필요한 길이보다 짧게 절단 한 경우에는, 짧게 절단한 부분은 버리고 다시 절단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필요 길이보다 길게 끊은 경우에는 종이호일을 낭비하는 것이 된다.
또한 사용상의 불편함도 있다. 예를 들어, 둥근 조리용기(가령 프라이팬) 바닥에 종이호일을 깔아야 할 경우, 종이호일의 중앙부를 바닥에 밀착시키고 외곽부는 접어 올려 벽에 밀착시켜야 하는데, 그 과정이 귀찮고 번거로운 것이다. 더욱이 상부로 접힌 부분은 꾸깃꾸깃 해져 찌꺼기가 들어가 박힐 수도 있다. 둥근 바닥면을 갖는 용기 전용으로 사용 가능한 형태의 기성(旣成) 종이호일받침이 필요한 것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1629호 (식품용 종이 포일의 제조방법)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20975호 (봉투형 종이 호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일정한 형태를 갖는 종이호일받침을 대량 제작할 수 있어, 기존 롤에 감겨 있는 종이호일의 사용상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는, 원형의 종이호일을 가열 프레싱하여, 바닥면부와 주름벽부를 갖는 종이호일받침을 성형 제작하는 것으로서, 승강통로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받침캐비닛과; 상기 받침캐비닛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통로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컬럼과; 상기 수직컬럼에 양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수직방향 승강력을 출력하는 가압액츄에이터와; 양단부가 수직컬럼에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압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운동 하는 승강플레이트와; 외측면에 상기 주름부벽를 형성하기 위한 상부주름형성부를 갖는 금형바디와, 상기 금형바디에 내장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금형바디를 가열하는 내장히터를 포함하고, 승강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금형과; 상기 받침캐비닛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기 승강통로를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수평 연장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왕복플레이트와; 상기 왕복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상하로 개방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상부에 위치하는 성형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성형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주름성형부에 대응하는 하부주름성형부가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투입된 종이호일을 받쳐 지지하는 금형본체와, 상기 금형본체를 가열하는 밴드히터를 포함하는 하부금형과; 상기 왕복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종이호일이 로딩된 하부금형을 상부금형의 연직 하부로 이동시키는 수평액츄에이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받침캐비닛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의 사이에서 가열 프레싱 제작된 후 성형공간에 남아있는 종이호일받침을, 상부금형이 상승한 다음 성형공간의 상부로 밀어 올리는 이젝팅부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캐비닛의 상부에는 이젝팅부에 의해 하부금형의 상부로 꺼내어진 종이호일받침을 넘겨 받아 외부로 이송시키는 배출컨베이어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이젝팅부는; 상기 승강통로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출액츄에이터와, 상기 배출액츄에이터에 의한 승강운동을 통해 상기 승강통로와 관통구멍과 성형공간을 통과하며, 저면에는 배출액츄에이터의 피스톤로드에 링크핀을 통해 연결되는 제1힌지부와, 제1힌지부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힌지부를 갖는 승강디스크와, 상기 배출액츄에이터의 측부에 설치되며, 링크핀을 통해 제2힌지부와 연결되고, 승강디스크가 종이호일받침을 하부금형 상부로 들어 올렸을 때 작용하여, 승강디스크를 컨베이어측으로 기울여 종이호일받침이 컨베이어로 미끄러져 내려가게 하는 상승제한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승제한기는; 수직으로 연장된 중공형 부재로서, 상단통로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구속공간을 제공하는 수직케이스와, 상단부가 링크핀을 통해 제2힌지부에 연결된 상태로 구속공간 내부로 연장된 수직연장부와, 상기 상단통로의 내경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고 수직연장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수직연장부의 상승 시 상기 상단통로에 걸려 제2힌지부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걸림부를 갖는 제동로드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는, 원형으로 재단되어 있는 종이호일을 수십 매 겹친 상태로 가열 프레싱 하여, 일정한 형태를 갖는 종이호일받침을 대량 제작할 수 있으므로, 기존 롤에 감겨 있는 종이호일의 사용상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a는 원형으로 재단된 종이호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종이호일을 성형 제작한 종이호일받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성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성형장치의 지지하우징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도 4의 이젝팅부의 구조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원형으로 재단된 종이호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종이호일을 성형 제작한 종이호일받침의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성형장치(20)는, 도 1a에 도시한 원형 종이호일(11)을 가열 프레싱하여 도 1b의 종이호일받침(13)으로 만드는 것이다. 특히, 종이호일(11)을 낱장씩 가공하는 것이 아니라, 적층된 상태의 20장 내지 40장을 한꺼번에 가공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호일(11)은 일정직경을 갖는 원판의 형태를 취한다. 종이호일(11)은, 별도의 선행공정을 통해 종이호일 원단으로부터 따낸 것으로서, 직경은 목적하는 종이호일받침(13)의 사이즈에 따라 당연히 달라진다.
도면부호 11a는 폴딩라인이다. 폴딩라인(11a)은 바닥면부(11b)와 외곽부(11c)를 구획하는 원호로서, 후술하는 하부금형(45)과 상부금형(65)에 의해 접히는 라인이다. 외곽부(11c)는 상부로 접히면서 주름이 부가되어 도 1b의 주름벽부(13b)로 성형된다. 주름벽부(13b)에는 원호방향으로 일정피치를 갖는 물결모양의 주름부(13a)가 형성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호일받침(13)은 마치 접시나 낮은 높이의 용기의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구조의 종이호일받침(13)은 그 자체가 이미 접시나 용기의 형태를 취하므로, 가열용기의 바닥에 배치하거나, 넓고 평평한 구이판이나 프라이판에 설치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2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성형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성형장치(20)에 포함된 지지하우징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 및 5b는 도 4의 이젝팅부의 구조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20)는, 받침캐비닛(39), 한 쌍의 수직컬럼(61), 고정플레이트(63), 가압액츄에이터(66), 승강플레이트(64), 상부금형(65), 가이드레일(41), 왕복플레이트(43), 하부금형(45), 수평액츄에이터(47), 배출컨베이어(77), 이젝팅부(50), 메인스위치(35), 비상스위치(37), 컨트롤러(71), 온도표시부(73), 타이머(75), 공기펌프(78)를 구비한다.
먼저, 받침캐비닛(30)은 수평의 지지면(30a)을 제공하는 박스형 지지체로서, 내부공간(32)에 한 쌍의 이젝팅부(50)와 공기펌프(78)를 수용한다. 또한 받침케비닛(30)의 일측에는 점검도어(31)가 구비된다. 점검도어(31)를 통해 이젝팅부(50)나 공기펌프(78)에 대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아울러 받침캐비닛(30)의 상부 중앙에는 사각의 승강통로(33)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통로(33)는 내부공간(32)을 상부로 개방하는 관통구멍으로서, 이젝팅부(50)의 승강디스크(53)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수직컬럼(61)은, 하단부가 지지면(30a)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 상부로 연장된 직선 부재로서, 승강통로(33)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대칭을 이룬다. 수직컬럼(61)을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이 승강통로(33)의 상공을 통과함은 물론이다.
고정플레이트(63)는, 수직컬럼(61)에 양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수평의 직사각판으로서 중앙부에 가압액츄에이터(66)를 갖는다. 가압액츄에이터(66)는, 실린더(66a)와, 고정플레이트(63)를 하향 관통하는 피스톤로드(66b)로 구성되고, 승강플레이트(64)를 승강운동 시킨다.
또한, 실린더(66a)는 받침판(66c)에 지지된다. 받침판(66c)은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으로서, 네 귀퉁이부 아래에 단열받침(66d)을 갖는다. 단열받침(66d)은 열전도를 차단하기 위한 중공형 부속으로서, 받침판(66c)을 수평으로 지지한다. 단열받침(66d)은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나 아세탈로 제작할 수 있다. 받침판(66c)의 하부에 단열받침(66d)을 배치한 후, 볼트(66e)를, 받침판(66c)과 단열받침(66d)과 고정플레이트(63)로 통과시킨 후 고정플레이트(63) 하부에서 너트(66f)와 결합시킴으로써 가압액츄에이터(66)의 견고한 고정이 유지된다.
상기 컨트롤러(71)와 온도표시부(73)와 타이머(75)는 고정플레이트(63) 상부에 설치된다. 컨트롤러(71)는 성형장치(20)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컨트롤러(71)를 통해, 예를 들어, 가공대상물(종이호일(11))에 대한 가열시간이나 가열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온도표시부(73)는 상부금형(65)과 하부금형(45)의 출력온도를 나타내 보이는 표시창이다. 작업자는 온도표시부(73)를 통해 상부금형(65)과 하부금형(45)의 온도를 확인하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하부금형(65,45)에,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표시부(73)로 전달하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타이머(75)는, 가공대상물에 대한 가열 프레싱 시간을, 작업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말하자면, 상부금형(65)이 하강하여 하부금형(45)에 받쳐 있는 가공대상물을 가열 가압하는 시간을 표시하는 것이다. 타이머(75)는 컨트롤러(71)와 접속되며 컨트롤러(71)로부터 시간 정보를 전달받는다.
승강플레이트(64)는,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된 직사각판으로서 양단부가 수직컬럼(61)에 지지된다. 승강플레이트(64)는, 가압액츄에이터(66)의 피스톤로드(66b) 하단부에 연결되고, 가압액츄에이터(66)의 작동에 의해 승강운동을 반복한다.
승강플레이트(64)의 하부에는 두 개의 상부금형(65)이 장착된다. 상부금형(65)은 다수의 수직로드(65e)와 장볼트(65g)를 통해 승강플레이트(64) 아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수직로드(65e)는 관통로(65f)를 갖는 중공형 환봉으로서, 상하단부가 승강플레이트(64)의 저면과 상부금형(65)의 상면에 각각 접다. 또한 장볼트(65g)는, 승강플레이트(64)를 하향 통과한 후 관통로(65f)를 거쳐 상부금형(65)에 나사 결합한다. 수직로드(65e)와 장볼트(65g)에 의해 상부금형(65)의 고정 상태가 유지된다.
상부금형(65)은, 금형바디(65a)와 내장히터(65c)를 포함한다. 금형바디(65a)는 일정직경을 가지며, 하측부의 직경이 하부로 내려갈수록 작아진다. 또한 외주면에는 상부주름형성부(65b)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주름형성부(65b)는, 종이호일받침(13)에 주름벽부(13b)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주방향으로 일정 피치를 갖는 물결모양의 패턴을 갖는다.
내장히터(65c)는, 금형바디(65a)의 내부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금형바디(65a)를 가열한다. 내장히터(65c)에 의해 상부금형(65) 자체가 가열되어 종이호일(11)을 가열 프레싱 할 수 있다. 상부금형(65)의 발열온도는 컨트롤러(71)를 통해 제어된다. 도면부호 65d는 내장히터(65c)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이다.
한편, 가이드레일(41)은 받침캐비닛(30)의 지지면(30a)상에 수평으로 고정되며 승강통로(33)를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다. 각 가이드레일(41)은 승강통로(33)와 수직컬럼(61)의 사이에 위치하고, 왕복플레이트(43)를 화살표 a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왕복플레이트(43)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으로서 양단부가 가이드레일(41)에 지지되며 수평액츄에이터(47)에 연결된다. 수평액츄에이터(47)는 고정블록(48)을 통해 지지면(30a) 상에 수평으로 지지된 상태로, 왕복플레이트(43)를 왕복 운동시킨다. 즉, 왕복플레이트(43)는 수평액츄에이터(47)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반대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는 것이다.
아울러, 왕복플레이트(43)에는 두 개의 관통구멍(43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43a)은 왕복플레이트(43)의 두께 방향으로 천공된 구멍으로서, 후술할 승강디스크(53)를 통과시킨다. 왕복플레이트(43)는 수평액츄에이터(47)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당겨져 상부금형(65)의 연직 하부에 정위치하거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빠진다. 왕복플레이트(43)의 정위치 지점은, 관통구멍(43a)이 상부금형(65)의 수직방향 하부에 위치하는 지점이다.
상기 하부금형(45)은, 상부금형(65)에 일대일 대응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단열받침(45f)을 통해 왕복플레이트(43)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다. 하부금형(45)은 관통구멍(43a)의 상부에 위치한다. 말하자면, 관통구멍(43a)의 중심축선이 하부금형(45)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는 것이다.
하부금형(45)은, 상하로 개방된 성형공간(45c)을 갖는 금형본체(45a)와, 금형본체(45a)을 감싸는 밴드히터(45d)를 포함한다. 밴드히터(45d)는 전력선(45e)을 통해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금형본체(45a)를 가열한다. 성형공간(45c)의 최소 내경은 관통구멍(43a)의 내경보다 크다.
또한, 성형공간(45c)의 내측면에는 하부주름형성부(45b)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주름형성부(45b)는 상부주름형성부(65b)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피치를 갖는 물결패턴을 갖는다. 상기 금형본체(45a)의 상부에 종이호일(11)을 올린 상태로, 상부금형(65)을 하강시켜 종이호일(11)을 하부로 압박하면, 종이호일(11)의 외곽부(11c)가 상부로 접히며, 하부주름형성부(45b)와 상부주름형성부(65b)에 의해 주름부(도 1b의 13a)가 형성된다.
메인스위치(35)는 성형장치(20)를 기동시키는 스위치이다. 메인스위치(35)를 온(on) 상태로 전환한 후 컨트롤러(71)에 설정치를 입력하고 성형장치(20)의 작동을 개시한다. 또한, 비상스위치(37)는, 비상 시 성형장치(20)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출컨베이어(77)는 수평액츄에이터(47)의 상측에 설치되며, 후술할 이젝팅부(50)에 의해 하부금형(45)의 상부로 꺼내어진 후, 도 8의 화살표 e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리는 종이호일받침(13)을 넘겨받아 외부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젝팅부(50)는, 하부금형(45)과 상부금형(65)의 사이에서 가열 프레싱 제작된 후 성형공간(45c)에 남아있는 종이호일받침(13)을, 상부금형(65)이 상승한 다음 성형공간의 상부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젝팅부(50)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의 배출액츄에이터(51), 승강디스크(53), 상승제한기(55)를 구비한다. 배출액츄에이터(51)는 받침케이싱(30)의 내부공간(32)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동작한다. 내부공간(32)에 배출액츄에이터(51)를 지지하기 위한 적절한 고정수단(미도시)이 적용된다.
승강디스크(53)는 일정직경을 갖는 원판형 부재로서, 저면에 제1힌지부(53a)와 제2힌지부(53b)를 갖는다. 승강디스크(53)의 직경은, 관통구멍(43a)은 물론 성형공간(45c)의 최소 내경보다 작다. 따라서 승강디스크(53)는 승강통로(33)와 관통구멍(43a)과 성형공간(45c)을 통해 얼마든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제1힌지부(53a)는 피스톤로드(51b)의 상단부에 링크핀(54)으로 연결된다. 승강디스크(53)가 링크핀(54)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2힌지부(53b)는 제1힌지부(53a)로부터 이격 배치된 것으로서, 상승제한기(55)의 제동로드(57) 상단부에 연결된다. 제2힌지부(53b)와 제동로드(57)도 링크핀(54)으로 연결된다. 제동로드(57)가 링크핀(54)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다.
상승제한기(55)는 피스톤로드(51b)가 상사점에 도달하기 전에 먼저 정지되어 제2힌지부(53b)가 그 이상 올라가지 못하게 구속한다. 즉, 승강디스크(53)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승강디스크(53)가 수평을 유지하게 하지만, 승강디스크(53)가 완전히 상승한 상태에서는 제2힌지부(53b)를 당김으로써 승강디스크(53)가 화살표 g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승제한기(55)는, 수직케이스(55a)와 제동로드(57)로 구성된다. 수직케이스(55a)는 하단부가 막히고 수직으로 연장된 중공형 부재로서, 상단통로(55c)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구속공간(55b)을 제공한다. 상단통로(55c)을 일정직경을 갖는 관통구멍이며 제동로드(57)의 수직연장부(57a)는 통과시키지만, 걸림부(57b)는 통과시키지 못한다. 수직케이스(55a)는 배출액츄에이터(51)의 측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동로드(57)는,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57a)와, 수직연장부(57a) 하단의 걸림부(57b)로 이루어진다. 수직연장부(57a)는 일정직경을 갖는 환봉이다. 수직연장부(57a)의 직경은 상단통로(55c)의 내경보다 작아 상단통로(55c)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걸림부(57b)는 상단통로(55c)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형 부재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이젝팅부(50)에 있어서, 승강디스크(53)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평형을 이룬다. 즉, 제1힌지부(53a)에 끼워진 링크핀(54)을 기준으로, 좌측단부까지의 거리(L1)가 우측단부까지의 거리(L2) 보다 길게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평형을 이루는 것이다. 그 이유는, 우측단부에 제동로드(57)가 매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젝팅부(5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배출액츄에이터(51)의 피스톤로드(51b)가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피스톤로드(51b)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승강디스크(53)와 제동로드(57)가 동시에 상승하기 시작한다.
상기한 상승이 계속되어 마침내 걸림부(57b)가 상단통로(55c)에 걸리면, 제2힌지부(53b)는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그 자리에 고정된다. 하지만 피스톤로드(51b)는 도 5b의 Z만큼 더 상승하여 멈춘다. 그 동안 승강디스크(53)가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하여 경사지게 된다. 이러한 승강디스크(53)의 회전이 시작되는 타이밍은, 승강디스크(53)가 하부금형(45)을 상부로 완전히 통과한 직후에 시작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2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금형(45)의 상부에 다수 매의 종이호일(11)이 로딩되어 있다. 종이호일(11)의 가공대상물로서 매수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종이호일(11)이 로딩된 하부금형(45)이 상부금형(65)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였다면, 가압액츄에이터(66)를 동작시켜 상부금형(65)을 하강시킨다. 이 때 하부금형(45)과 상부금형(65)은 히터(45d,65c)에 의해 가열된 상태이다.
하강하는 상부금형(65)은 종이호일(11)을 화살표 p방향으로 가압하며 하부금형(45)의 성형공간(45c)으로 진입한다. 하부금형(45)과 상부금형(65)의 사이에 개재된 종이호일(11)은 가열 가압된 상태로 성형되어 도 1b에 도시한 형상의 종이호일받침(13)이 된다.
설정된 프레싱 시간이 지나 상부금형(65)이 상승하였다면, 이젝팅부(50)가 동작하여 종이호일받침(13)을 하부금형(45)으로부터 상부로 빼내어 기울이고 배출컨베이어(77)에 올린다. 이젝팅부(50)의 작동 방식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다.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하는 종이호일받침(13)은, 배출컨베이어(77)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후속 생산라인으로 이동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종이호일 11a:폴딩라인 11b:바닥면부
11c:외곽부 13:종이호일받침 13a:주름부
13b:주름벽부 20:성형장치 30:지지하우징
30a:지지면 31:점검도어 32:내부공간
33:승강통로 35:메인스위치 37:비상스위치
41:가이드레일 43:왕복플레이트 43a:관통구멍
45:하부금형 45a:금형본체 45b:하부주름형성부
45c:성형공간 45d:밴드히터 45e:전력선
45f:단열받침 47:수평액츄에이터 48:고정블록
50:이젝팅부 51:배출액츄에이터 51b:피스톤로드
53:승강디스크 53a:제1힌지부 53b:제2힌지부
54:링크핀 55:상승제한기 55a:수직케이스
55b:구속공간 55c:상단통로 57:제동로드
57a:수직연장부 57b:걸림부 61:수직컬럼
63:고정플레이트 64:승강플레이트 65:상부금형
65a:금형바디 65b:상부주름형성부 65c:내장히터
65d:전력선 65e:수직로드 65f:관통로
65g:장볼트 66:가압액츄에이터 66a:실린더
66b:피스톤로드 66c:받침판 66d:단열받침
66e:볼트 66f:너트 71:컨트롤러
73:온도표시부 75:타이머 77:배출컨베이어
78:공기펌프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원형의 종이호일을 가열 프레싱하여, 바닥면부와 주름벽부를 갖는 종이호일받침을 성형 제작하는 것으로서,
    승강통로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받침캐비닛과; 상기 받침캐비닛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승강통로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컬럼과; 상기 수직컬럼에 양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수직방향 승강력을 출력하는 가압액츄에이터와; 양단부가 수직컬럼에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고정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압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운동 하는 승강플레이트와; 외측면에 상기 주름벽부를 형성하기 위한 상부주름형성부를 갖는 금형바디와, 상기 금형바디에 내장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금형바디를 가열하는 내장히터를 포함하고, 승강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금형과; 상기 받침캐비닛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기 승강통로를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수평 연장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왕복플레이트와; 상기 왕복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상하로 개방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상부에 위치하는 성형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성형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주름형성부에 대응하는 하부주름형성부가 위치하고 외부로부터 투입된 종이호일을 받쳐 지지하는 금형본체와, 상기 금형본체를 가열하는 밴드히터를 포함하는 하부금형과; 상기 왕복플레이트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종이호일이 로딩된 하부금형을 상부금형의 연직 하부로 이동시키는 수평액츄에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캐비닛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의 사이에서 가열 프레싱 제작된 후 성형공간에 남아있는 종이호일받침을, 상부금형이 상승한 다음 성형공간의 상부로 밀어 올리는 이젝팅부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캐비닛의 상부에는 이젝팅부에 의해 하부금형의 상부로 꺼내어진 종이호일받침을 넘겨 받아 외부로 이송시키는 배출컨베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이젝팅부는; 상기 승강통로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출액츄에이터와, 상기 배출액츄에이터에 의한 승강운동을 통해 상기 승강통로와 관통구멍과 성형공간을 통과하며, 저면에는 배출액츄에이터의 피스톤로드에 링크핀을 통해 연결되는 제1힌지부와, 제1힌지부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힌지부를 갖는 승강디스크와, 상기 배출액츄에이터의 측부에 설치되며, 링크핀을 통해 제2힌지부와 연결되고, 승강디스크가 종이호일받침을 하부금형 상부로 들어 올렸을 때 작용하여, 승강디스크를 컨베이어측으로 기울여 종이호일받침이 컨베이어로 미끄러져 내려가게 하는 상승제한기를 포함하는,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제한기는;
    수직으로 연장된 중공형 부재로서, 상단통로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구속공간을 제공하는 수직케이스와,
    상단부가 링크핀을 통해 제2힌지부에 연결된 상태로 구속공간 내부로 연장된 수직연장부와, 상기 상단통로의 내경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고 수직연장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수직연장부의 상승 시 상기 상단통로에 걸려 제2힌지부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걸림부를 갖는 제동로드가 포함되는,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
KR1020200094887A 2020-07-30 2020-07-30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 KR102378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887A KR102378743B1 (ko) 2020-07-30 2020-07-30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887A KR102378743B1 (ko) 2020-07-30 2020-07-30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975A KR20220014975A (ko) 2022-02-08
KR102378743B1 true KR102378743B1 (ko) 2022-03-28

Family

ID=8025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887A KR102378743B1 (ko) 2020-07-30 2020-07-30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7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093Y1 (ko) 1997-01-23 1999-10-15 김중복 착탈식 치형돌기를 갖는 주름용기 성형용 금형구조
KR200289493Y1 (ko) * 2002-06-20 2002-09-16 김태식 톰슨 프레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315B1 (ko) * 2000-09-06 2003-12-31 유희태 제과용 주름용기 성형장치
KR20080081629A (ko) 2007-03-06 2008-09-10 주식회사 한암파텍 식품용 종이 포일의 제조방법
KR200451091Y1 (ko) * 2008-06-30 2010-11-24 (주)두성로보텍 트리밍 금형의 스크랩 배출장치
KR101420975B1 (ko) 2013-04-10 2014-07-17 석수철 봉투형 종이 호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093Y1 (ko) 1997-01-23 1999-10-15 김중복 착탈식 치형돌기를 갖는 주름용기 성형용 금형구조
KR200289493Y1 (ko) * 2002-06-20 2002-09-16 김태식 톰슨 프레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975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062B1 (ko) 프레싱에 의해 도우 피스로부터 시트같은 도우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
US10932618B2 (en) Two-surface grill with adjustable gap and multi-stage method for cooking food
EP1893067B1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product recognition
JPH0423535B2 (ko)
US5072663A (en) Shrimp cooking apparatus
KR102378743B1 (ko) 음식조리용 종이호일받침 성형장치
CN104302215A (zh) 改进的烘烤机设备和方法
US30429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oamed polymeric structures
USRE32994E (en) Cooking apparatus for two-sided cooking
JP2007029180A (ja) 加熱調理装置
KR101718619B1 (ko) 방수원단 압착용 회전식 열 프레스
KR101614988B1 (ko) 구이 장치
CN215248360U (zh) 绝缘纸板自动搬运装置
KR102169100B1 (ko) 구이 테이블
KR101281854B1 (ko) 멸치 자숙장치
JP2008273527A (ja) ヒートシール装置、包装体のヒートシール方法及び包装体
KR101134009B1 (ko)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
KR20080003722U (ko) 쌀스낵 제조장치
KR102405624B1 (ko)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
CN214539347U (zh) 一种板材隔热性能检测器
DE2417505A1 (de) Waerme- bzw. toastofen, insbesondere in verkaufsautomaten von warmen bzw. getoasteten imbissportionen
JPH0514156Y2 (ko)
KR102285245B1 (ko) 승강채반을 구비한 조리기
EA022604B1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покрытия
CN107702489B (zh) 烘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