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624B1 -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 - Google Patents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624B1
KR102405624B1 KR1020210011606A KR20210011606A KR102405624B1 KR 102405624 B1 KR102405624 B1 KR 102405624B1 KR 1020210011606 A KR1020210011606 A KR 1020210011606A KR 20210011606 A KR20210011606 A KR 20210011606A KR 102405624 B1 KR102405624 B1 KR 102405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iddle base
pair
compression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복
Original Assignee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1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0Applying counter-pressure during expa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29C2043/046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travelling between different stations, e.g. feeding, moulding, cur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29C2043/3405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carrying means
    • B29C2043/3416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carrying means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plates pressurized by an actuator, e.g. ram drive, screw, vulcaniz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미들베이스를 기준으로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적재판부재를 통해 열압악에 의한 프레스작업과 대상물의 투입이 동시 진행될 수 있는 열 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되 발포액을 형성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안착 후, 이동과 동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및 내부에 압축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게 한 쌍의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압축공간부에 대상물이 횡방향의 다단으로 수납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발포액을 열압축하여 해당 대상물 표면에 단열층을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스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대상물이 상기 압축공간부에 진입 후, 다른 상기 컨베이어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재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승강에 의해 발포액이 포함된 대상물을 열 압착하여 단열층을 형성시키는 압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The heat press apparatus having multi-stage structure}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미들베이스를 기준으로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적재판부재를 통해 열압악에 의한 프레스작업과 대상물의 투입이 동시 진행될 수 있는 열 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단 프레스라 함은 1개 이상의 프레스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그 각각의 프레스를 이용해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형상의 성형물을 생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종래에는 다단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물을 생산할 때, 작업자가 각각의 프레스에 합성수지 원재료를 투입한 후 프레스를 닫아 가압 성형하고, 이후 임의의 프레스가 성형시간에 도달했을때 작업자가 그 프레스만을 다시 열어서 다음 공정에 필요한 합성수지 원재료를 투입한 후 다시 프레스를 닫고 하는 작업을 여러번 반복시행하여 각각의 프레스로부터 원하는 성형물을 생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다단 프레스는 성형물을 투입시에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각각의 프레스의 해치를 개폐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성형 소요시간을 지나쳐서 프레스를 열어주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성형 소요시간을 지나치게되면 생산되는 성형물의 품질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416571호(공고일:2004.02.05.) 국내등록특허 제10-1415743호(공고일:2014.07.07.) 국내등록특허 제10-1451514호(공고일:2014.10.16.)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스 작업을 실행하고자 하는 성형물의 지속적인 투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작업소요시간을 단축하되 해치의 개폐를 최소한으로 하여 성형물의 퀄리티를 유지하는 프레스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되 발포액을 형성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안착 후, 이동과 동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및 내부에 압축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게 한 쌍의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압축공간부에 대상물이 횡방향의 다단으로 수납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발포액을 열압축하여 해당 대상물 표면에 단열층을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스부는 어느 하나의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대상물이 상기 압축공간부에 진입 후, 다른 상기 컨베이어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재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승강에 의해 발포액이 포함된 대상물을 열 압착하여 단열층을 형성시키는 압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부재는 양측이 상기 하우징부재에 형성된 승강지지봉에 관통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압축공간부 내에서 제2승강실린더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들베이스와, 대상물이 안착되되 상기 미들베이스 상부에 적층 구조를 갖도록 다수 구비되며, 상기 미들베이스의 상승 외력에 의해 해당 대상물이 압착되도록 상호 가압되는 상부적재판과, 대상물이 안착되되 상기 미들베이스 하부에 적층 구조를 갖도록 다수 구비되며, 상기 미들베이스의 하강 외력에 의해 해당 대상물이 압착되도록 상호 가압되는 하부적재판 및 상기 상부적재판 및 상기 하부적재판에 구비되는 발열수단을 포함하되, 다수의 상기 상부적재판과 다수의 상기 하부적재판은 탄성체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빔과 판 형상의 설치판에 의해 소정 높이를 갖되 내부에 상기 압축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압축공간부와 연통되게 전면과 후면은 물론, 스크린부재에 의해 개구된 양측이 개폐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압착부재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하우징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압착부재가 동작하기 위한 기압 또는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재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상기 하우징 양측에 각각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모터와, 양측이 한 쌍의 상기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관통삽입되되 상기 승강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린봉 및 상기 스크린봉 외면에 권출 가능하게 설치되되 권출에 의해 펼쳐지거나 감겨져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양측을 개폐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압축공간부 내의 열손실이 방지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상기 컨베이어는 각각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베이스와, 상기 지지베이스 상부 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가능하게 다수 설치된 롤러에 의해 대상물이 상기 프레스부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송브라켓 및 하부가 상기 지지베이스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는 상기 이송브라켓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제1승강실린더에 의해 횡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져 상기 이송브라켓을 승강시키는 승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하우징 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미들베이스에 의해 상부적재판 또는 하부적재판 중 어느 하나에 안착한 대상물의 열압착을 실행하되 열압착이 실행되지 않는 다른 하나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컨베이어를 통해 대상물을 공급할 수 있는 다단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지속적인 발포액을 통한 단열층 형성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대한 컨베이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대한 프레스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미들베이스 상승에 의한 상부적재판 작용관계도.
도 5는 도 3에 대한 미들베이스 하강에 의한 하부적재판 작용관계도.
도 6은 도 3에 대한 스크린부재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이하, 간략하게 '프레스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장치(1)는 크게 한 쌍의 컨베이어(100) 및 프레스부(2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프레스부(200)를 기준으로 그 전방(대상물 출하용)과 후방(대상물 공급용) 측에 각각 설치되어 단열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대상물(10)을 상기 프레스부(200)에 출입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지지베이스(110) 및 승강브라켓(130)을 포함한다.
예컨대 지지베이스(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틸재질로 성형되되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바닥면에 설치되되 필요에 따라 이동과 고정이 가능한 바퀴(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작업자가 요구하는 장소에 설치 가능하도록 한다.
지지베이스(110)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의 이송브라켓(120)이 종방향으로 길이를 갖게 설치되되 한 쌍의 상기 이송브라켓(120)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다수의 롤러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롤러(121)의 회전을 통해 단열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대상물(10)을 프레스부(200)에 진입시키거나 해당 단열층이 형성된 대상물(10)이 상기 프레스부(200)에서 배출시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승강브라켓(130)은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스틸재료로 성형되되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이 회전축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X'자 형상을 갖도록 결합하며, 한 쌍의 상기 승강브라켓(130) 중 어느 하나는 하부 및 상부가 각각 지지베이스(110) 및 이송브라켓(12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그 하부와 상부가 각가 상기 지지베이스(110) 및 상기 이송브라켓(120)과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한 쌍의 이송브라켓(120)은 지지베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가 구비되되 다수의 상기 이송브라켓(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승강실린더(131)가 설치되어 상기 제1승강실린더(131)의 인장/수축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이송브라켓(120)이 접혀지거나 펼쳐져 이송브라켓(120)의 높이가 단계별로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부(200) 후방에 배치되는 높이 가변이 가능한 컨베이어(100)를 통해 압축공간부(S) 내에서 적층 구조를 갖는 다수의 상부적재판(223)과 하부적재판(224)에 단열층을 형성시키고자 하는 대상물(10)의 진입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스부(200) 전방에 배치되는 높이 가변이 가능한 또 다른 컨베이어(100)를 통해 단열층이 형성된 대상물(10)이 배출시에 해당 대상물(10)의 충격 등이 방지될 수 있게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프레스부(200)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100)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어수단(미도시)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게 사용되며, 제1승강실린더(130)의 경우, 후술하는 유압제어부(240)와 관 연결되어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승강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부(2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컨베이어(100)를 통해 투입된 대상물(10)에 발포액을 공급 후, 열 압착에 의해 해당 대상물(10) 외면에 강성, 보온, 방습 및 방음 등의 효과를 갖는 단열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부재(210), 압착부재(220), 스크린부재(230) 및 유압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서 제2승강실린더(222)는 상기 유압제어부(240)의 제어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승강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기압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에 유의한다.
예컨대 하우징부재(210)는 프레스부(200)의 외관을 형성하되 그 외면 전방과 후방측에는 상술한 컨베이어(100)가 각각 배치되어 대상물(10)의 투입과 배출을 포함하는 출입이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게 하우징(211) 및 스토퍼(217)를 포함한다.
하우징(21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종 및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스틸재질인 다수의 빔(213)에 의해 하우징부재(210)의 골조를 형성하되 필요에 따라 그 상부와 하부에는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판 형상을 갖는 설치판(215)이 설치되어 그 내부에 압축공간부(S)를 형성하며, 양측면은 물론, 한 쌍의 컨베이어(100)와 각각 마주보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때, 빔(213) 및 설치판(215)은 발포액이 발포된 대상물(10)을 열 압착시에 해당 열에 내구성을 갖는 스틸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217)는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빔(213)에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미들베이스(221)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상부적재판(223) 중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적재판(223) 하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미들베이스(221)의 하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적재판(223)이 하방으로 낙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스토퍼(217)는 상승하는 미들베이스(221)에 간섭을 주지않도록 빔(213)에 설치된다.
또한, 압착부재(220)는 컨베이어(100)를 통해 투입된 다수의 대상물(10)에 발포액이 발포되면 이를 열 압착하여 해당 대상물(10) 외면에 단열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미들베이스(221), 제2승강실린더(222), 발열수단(227)이 구비된 적재판부재 및 승강지지봉(226)을 포함한다.
미들베이스(2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는 스틸재질로 성형되되 유압제어부(2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승강하는 제2승강실린더(222) 상부와 고정 체결되어 상기 제2승강실린더(222) 로드의 인장/수축에 의해 압축공간부(S) 내에서 승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제2승강실린더(222)에 의해 상승하는 미들베이스(221)는 그 상부에 다수 설치되는 상부적재판(223)을 상방으로 가압하되 하강시에는 상기 미들베이스(221) 하부에 다수 설치되는 하부적재판(224)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대상물(10)의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적재판부재에서 더욱 상세히 기재하도록 한다.
발열수단(227)은 제어수단 또는 유압제어부(240)에 의해 제어되되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봉이나 열선 등이 사용될 수 있게 적재판부재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적재판부재가 대상물(10)을 압착시에 해당 대상물(10)에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발열수단(227)은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다수로 구성되는 적재판부재 중 대상물(10)의 압착이 이루어지는 상기 적재판부재에만 열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대상물(10)의 압착공정을 실행하기 이전에 상기 발열수단(227)의 열이나 하우징(211) 외부에 별도 구비된 온풍기(미도시) 등을 통하여 압축공간부() 내부 온도가 20 ~30℃를 유지한 상태에서 압착을 실행한다.
적재판부재는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들베이스(221)를 기준으로 그 상부와 하부에에 각각 적층 구조를 갖도록 다수 이격 설치되는 상부적재판(223) 및 하부적재판(224)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적재판(223)과 상기 하부적재판(224) 내부에는 상술한 발열수단(227)이 구비되어 대상물(10)의 열 압착에 필요한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적재판(223)과 하부적재판(224)은 전체적으로 스틸재질로 성형되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면에는 대상물(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상부적재판(223)과 하부적재판(224) 각각의 상면에 안착하는 대상물(10)은 제1승강실린더(131)에 의해 단계별 높이가 조절되는 컨베이어(100)를 통해 해당 대상물(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부적재판(223)과 하부적재판(224)에 안착된 대상물(10) 표면은 하우징(211) 외부에 설치되되 노즐 등을 통해 해당 대상물(10) 외면에 발포액을 발포하는 발포액 공급부(미도시)를 통해 발포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발포액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211) 측면에 개구된 부분을 통해 발포액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상부적재판(223)과 하부적재판(224)은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복원이 가능한 탄성체(225)에 의해 상호 간격을 갖도록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이를 통해 미들베이스(221)의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 간격을 통해 컨베이어(100)에서 투입되는 대상물(10)이 상기 상부적재판(223)과 하부적재판(224) 상면에 각각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제2승강실린더(222)에 의해 미들베이스(221)가 상승하게 되면 스토퍼(217)에 의해 지지된 다수의 상부적재판(223)이 상기 미들베이스(221)의 가압에 의해 상승함과 동시에 탄성체(225)의 압축을 통해 각각의 상기 상부적재판(223)끼리 서로 압착되어 발열수단(227)에서 제공하는 열과 함께 대상물(10) 및 해당 대상물(10) 표면에 발포된 발포액의 압착이 실현되게 되며, 상기 미들베이스(221)의 가압이 해지되면 탄성체(225)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되 최하단에 위치한 상기 상부적재판(223)이 상기 스토퍼(217)에 안착할 수 있게 원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도 4 참조)
이때, 미들베이스(221)가 상승시에 수직방향으로 높이를 갖는 다수의 상부적재판(223) 중 그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상부적재판(223) 상면에 안착한 대상물(10)은 하우징(211) 내면에 설치된 설치판(215) 등에 의해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제2승강실린더(222)에 의해 미들베이스(221)가 하강하게 되면 탄성체(225)에 의해 서로 간격을 갖도록 하우징(211) 내에 설치된 다수의 하부적재판(224)이 상기 미들베이스(221)의 가압에 의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체(225)의 압축을 통해 각각의 상기 하부적재판(224)끼리 서로 압착되어 발열수단(227)에서 제공하는 열과 함께 대상물(10) 및 해당 대상물(10) 표면에 발포된 발포액의 압착이 실현되게 되며, 상기 미들베이스(221)의 가압이 해지되면 상기 탄성체(225)에 의해 간격이 유지될 수 있게 원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도 5 참조)
이때, 미들베이스(221)가 하강시에 수직방향으로 높이를 갖는 다수의 하부적재판(224) 중 그 최상단에 위치한 상기 하부적재판(224) 상면에 안착한 대상물(10)은 상기 미들베이스(221) 하면에 의해 압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하우징(211) 내에서 미들베이스(221)의 승강에 의해 승강하는 다수의 적재판부재는 그 양측이 상기 하우징(211)에 횡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도록 설치된 승강지지봉(226)에 관통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미들베이스(221)가 상승하여 다수의 상부적재판(223)에 안착한 대상물(10)의 단열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단계별 높이 조절되는 컨베이어(100)를 통해 다수의 하부적재판(224)에 단열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대상물(10)을 투입하며, 반대로 상기 미들베이스(221)의 하강을 통해 상기 하부적재판(224)에 안착한 대상물(10)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컨베이어(100)를 통해 다수의 상기 상부적재판(223)에 단열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또 다른 대상물(10)을 투입하여 지속적인 프레스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스크린부재(2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압착부재(220)를 통해 대상물(10)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하우징(211)의 개구된 양측을 커버하여 발열수단(227)을 통해 제공되는 열손실을 방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가이드봉(231), 승강모터(233), 스크린봉(235) 및 스크린(237)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부재(230)는 상기 하우징(211)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가의 개구된 측면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봉(231)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11)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되게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그 외면에는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이드봉(231) 길이방향으로 승강은 물론, 회전가능한 승강모터(233)가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봉(231) 외면에 승강 가능하게 관통 삽입된 승강모터(233)는 그 내부에 다수의 기어 등을 통해 상기 가이드봉(231) 외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봉(235)은 승강모터(233)의 구동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린봉(235) 외면에 권출가능하게 두루마리 형태로 구비된 스크린(237)이 펼쳐지거나 감겨져 하우징(211)의 개구된 측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크린봉(235) 외면에 구비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크린(237)은 그 상단이 하우징(211) 측면 상부와 고정 연결되어 그 고정된 부분을 기준으로 승강모터(233)의 하강에 의해 펼쳐지거나 감져지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크린(237)은 발열수단(227)의 열에 내구성이 있는 단열재질을 사용한다.
또한, 유압제어부(240)는 하우징(211) 상부의 설치판(215) 등에 고정 설치되되 상술한 제2승강실린더(222)의 동작에 필요한 유압이 유압펌프(241)의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하우징(211) 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미들베이스(221)에 의해 상부적재판(223) 또는 하부적재판(224) 중 어느 하나에 안착한 대상물(10)의 열압착을 실행하되 열압착이 실행되지 않는 다른 하나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컨베이어(100)를 통해 대상물(10)을 공급할 수 있는 다단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지속적인 발포액을 통한 단열층 형성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
100: 컨베이어
110: 지지베이스 120: 이송브라켓
121: 롤러 130: 승강브라켓
134: 제1승강실린더
200: 프레스부
210: 하우징부재 211: 하우징
213: 빔 215: 설치판
217: 스토퍼 220: 압착부재
221: 미들베이스 222: 제2승강실린더
223: 상부적재판 224: 하부적재판
225: 탄성체 226: 승강지지봉
227: 발열수단 230: 스크린부재
231: 가이드봉 233: 승강모터
235: 스크린봉 237: 스크린
240: 유압제어부 241: 유압펌프
10: 대상물

Claims (5)

  1. 종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되 발포액을 형성하고자 하는 대상물(10)이 안착 후, 이동과 동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100); 및
    내부에 압축공간부(S)를 형성할 수 있게 한 쌍의 컨베이어(10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압축공간부(S)에 대상물(10)이 횡방향의 다단으로 수납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발포액을 열압축하여 해당 대상물(10) 표면에 단열층을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스부(200)는 어느 하나의 상기 컨베이어(100)를 통해 대상물(10)이 상기 압축공간부(S)에 진입 후, 다른 상기 컨베이어(1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하우징부재(210) 및 상기 하우징부재(210)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승강에 의해 발포액이 포함된 대상물(10)을 열 압착하여 단열층을 형성시키는 압착부재(220)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부재(220)는 양측이 상기 하우징부재(210)에 형성된 승강지지봉(226)에 관통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상기 압축공간부(S) 내에서 제2승강실린더(222)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들베이스(221)와, 대상물(10)이 안착되되 상기 미들베이스(221) 상부에 적층 구조를 갖도록 다수 구비되며, 상기 미들베이스(221)의 상승 외력에 의해 해당 대상물(10)이 압착되도록 상호 가압되는 상부적재판(223)과, 대상물(10)이 안착되되 상기 미들베이스(221) 하부에 적층 구조를 갖도록 다수 구비되며, 상기 미들베이스(221)의 하강 외력에 의해 해당 대상물(10)이 압착되도록 상호 가압되는 하부적재판(224) 및 상기 상부적재판(223) 및 상기 하부적재판(224)에 구비되는 발열수단(227)을 포함하되, 다수의 상기 상부적재판(223)과 다수의 상기 하부적재판(224)은 탄성체(225)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구조의 열 프레스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210)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빔(213)과 판 형상의 설치판(215)에 의해 소정 높이를 갖되 내부에 상기 압축공간부(S)가 형성되며, 상기 압축공간부(S)와 연통되게 전면과 후면은 물론, 스크린부재(230)에 의해 개구된 양측이 개폐되는 하우징(211);
    상기 하우징(211)에 설치되되 상기 압착부재(22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17); 및
    상기 하우징(211) 외면에 구비되되 상기 압착부재(220)가 동작하기 위한 기압 또는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제어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구조의 열 프레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23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상기 하우징(211) 양측에 각각 상기 하우징(21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231);
    상기 가이드봉(231)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모터(233);
    양측이 한 쌍의 상기 가이드봉(231)의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관통삽입되되 상기 승강모터(23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린봉(235); 및
    상기 스크린봉(235) 외면에 권출 가능하게 설치되되 권출에 의해 펼쳐지거나 감겨져 상기 하우징(211)의 개구된 양측을 개폐하는 스크린(237);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부재(230)는 상기 압축공간부(S) 내의 열손실이 방지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상기 컨베이어(100)는 각각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베이스(110);
    상기 지지베이스(110) 상부 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가능하게 다수 설치된 롤러(121)에 의해 대상물(10)이 상기 프레스부(200)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송브라켓(120); 및
    하부가 상기 지지베이스(11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는 상기 이송브라켓(12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제1승강실린더(131)에 의해 횡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져 상기 이송브라켓(120)을 승강시키는 승강브라켓(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
KR1020210011606A 2021-01-27 2021-01-27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 KR102405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06A KR102405624B1 (ko) 2021-01-27 2021-01-27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606A KR102405624B1 (ko) 2021-01-27 2021-01-27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624B1 true KR102405624B1 (ko) 2022-06-07

Family

ID=8198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606A KR102405624B1 (ko) 2021-01-27 2021-01-27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6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8754A (ja) * 1999-07-28 2001-02-13 Toyo Tire & Rubber Co Ltd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体の製造装置
KR20030037484A (ko) * 2001-11-05 2003-05-14 채재주 팔렛트를 이용한 다단계 폐합성섬유 프레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416571B1 (ko) 2001-04-06 2004-02-05 조희왕 다단 프레스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JP4020343B2 (ja) * 1998-04-24 2007-12-12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多段プレスのワーク搬入・搬出装置
KR101415743B1 (ko) 2012-06-05 2014-07-07 자동차부품연구원 다단계 프레스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KR101451514B1 (ko) 2013-06-17 2014-10-16 여혁구 다단 조절형 프레스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0343B2 (ja) * 1998-04-24 2007-12-12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多段プレスのワーク搬入・搬出装置
JP2001038754A (ja) * 1999-07-28 2001-02-13 Toyo Tire & Rubber Co Ltd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体の製造装置
KR100416571B1 (ko) 2001-04-06 2004-02-05 조희왕 다단 프레스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30037484A (ko) * 2001-11-05 2003-05-14 채재주 팔렛트를 이용한 다단계 폐합성섬유 프레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415743B1 (ko) 2012-06-05 2014-07-07 자동차부품연구원 다단계 프레스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KR101451514B1 (ko) 2013-06-17 2014-10-16 여혁구 다단 조절형 프레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8252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the moulding of wood fibre board
EP0273099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polyurethane foam
KR102569105B1 (ko) 글라스 가공 시스템용 리프트 장치
CN207006753U (zh) 一种仿古艺术石烘干生产设备
KR102405624B1 (ko) 다단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장치
US2624928A (en) Press for molding concrete building elements
ITMI20101871A1 (it) Apparecchiatura per la schiumatura sottovuoto di contenitori di refrigerazione.
US96107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molding of wood fiber board
IT201900011679A1 (it) Apparato e metodo per la schiumatura di armadi frigoriferi
KR101633596B1 (ko) 적재 박스 승하강 장치를 구비한 x축 및 y축 이동식 고무시트 자동 적재 장치
ITPG20020018U1 (it) Forno per l'essiccazione delle foglie di tabacco o altre erbe con carico e scarico del prodotto in modo automatico
KR102003232B1 (ko) 파쇄장치
CN207327434U (zh) 一种聚氨酯仿木板加工自动注料的装置
JP3814735B2 (ja) 発泡成形用金型の脱型機構
KR102071709B1 (ko) 원료혼합장치
PL1641716T3 (pl) Urządzenie do zginania tafli szklanych
US4653202A (en) Movable dryer for the treatment of lumber products
CN218053208U (zh) 一种水泥制品烘干养护装置
KR20240020424A (ko) 생산성이 개선된 패널제조시스템
KR102249048B1 (ko) 플레이트 제조장치
KR20130002830A (ko)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US834013A (en) Brickmaking machine.
KR20210011901A (ko) 벨 마우스를 위한 절곡된 부분 강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설비
JP3937196B2 (ja) パネル注入ウレタンの加圧発泡装置
CN114889031A (zh) 一种eps塑料泡沫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