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753B1 - 곰취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곰취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753B1
KR102376753B1 KR1020200006173A KR20200006173A KR102376753B1 KR 102376753 B1 KR102376753 B1 KR 102376753B1 KR 1020200006173 A KR1020200006173 A KR 1020200006173A KR 20200006173 A KR20200006173 A KR 20200006173A KR 102376753 B1 KR102376753 B1 KR 102376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mchwi
leaves
tea
aging
st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0127A (ko
Inventor
권태신
Original Assignee
권태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신 filed Critical 권태신
Publication of KR20200090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Abstract

맛과 향이 음용하기에 적합하고, 약리성분, 특히 항산화 물질을 충분하게 추출할 수 있는 곰취차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그 방법은 곰취 잎을 100~130℃에서 2~15분에 걸쳐 증기 찜질하는 단계와, 증기 찜질을 마친 후에 곰취 잎의 유념을 하는 단계 및 유념단계가 완료되면 20~30℃, 85~95%의 습도에서 18~30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곰취차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ularia fischeri tea}
본 발명은 곰취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늘한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산나물로 알려진 곰취를 이용하여 곰취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곰취는 지방에 따라 웅소나물이라 부르고, 한문명으로 태소라고도 한다. 곰취는 근연식물로 어리곰취(어리곤달비), 곤달비, 김잎곰취, 털머위, 세뿔곰취, 화살곰취, 왕가시곰취, 갯곰취, 개담배 등이 있다. 곰취는 국화과의 쌍떡잎식물로 근엽생이 발달하는 다년초로서 산채류 중에서 드물게 날 것으로 먹을 수 있는 귀한 산나물의 하나이다. 곰취는 히말라야로부터 중국, 시베리아동부, 한국, 일본에 널리 분포한다. 곰취는 우리나라에는 전국에 걸쳐 심산의 수림 밑이나 습하고 비옥한 초생지 및 산골짜기의 계곡에 종종 군생한다. 곰취는 특유의 맛과 향과 더불어, 항암작용을 포함하여 수많은 약리작용을 가진다. 현재, 곰취는 농가에서 대량으로 재배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곰취의 맛, 향, 약리작용 등을 섭취할 수 있도록 국내등록특허 제10-0849638호 등에서 음용할 수 있는 곰취차로 개발되고 있다. 곰취차는 제조공정에 따라 맛과 향이 달라지며, 약리성분이 추출되는 정도가 달라진다. 왜냐하면, 곰취에는 음용하기에 부적합한 맛과 향을 포함하고 있어서 소비자가 불편함을 느끼고, 약리성분은 쉽게 추출되지 않는다. 그런데, 종래의 방법은 부적합한 맛과 향을 포함하고 있어서 음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고, 추출되는 약리성분이 충분하지 않다. 곰취의 다양한 특성 중에서 특히 항산화 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황산화 물질을 충분하게 추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맛과 향이 음용하기에 적합하고, 약리성분, 특히 항산화 물질을 충분하게 추출할 수 있는 곰취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곰취차 제조방법의 하나의 사례는 곰취 잎을 100~130℃에서 2~15분에 걸쳐 증기 찜질하는 단계와, 상기 증기 찜질을 마친 후에 상기 곰취 잎의 유념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유념단계가 완료되면 20~30℃, 85~95%의 습도에서 18~30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사례에 있어서, 상기 숙성이 완료되면, 30~70℃에서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가 완료되면 150~170℃에서 1차 덖음을 하고, 150~170℃에서 2차 덖음을 하며, 130~150℃에서 3차 덖음을 하고, 80~120℃에서 4차 덖음을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덖음 및 제2 덖음 각각 이후에는 유념단계를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곰취차 제조방법의 다른 사례는 곰취 구근을 슬라이스한 후, 100~130℃에서 2~15분에 걸쳐 증기 찜질을 하는 단계와, 상기 증기 찜질이 마친 후에 상기 곰취 구근을 빻아서 다지는 단계 및 상기 다지는 단계가 완료되면 20~30℃, 85~95%의 습도에서 18~30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곰취차 제조방법의 또 다른 사례는 곰취 잎을 100~130℃에서 2~15분에 걸쳐 증기 찜질하는 단계와, 상기 증기 찜질을 마친 후에 상기 곰취 잎의 유념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유념단계가 완료되면 20~30℃, 85~95%의 습도에서 18~30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거친 제1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곰취 구근을 슬라이스한 후, 100~130℃에서 2~15분에 걸쳐 증기 찜질을 하는 단계와, 상기 증기 찜질이 마친 후에 상기 곰취 구근을 빻아서 다지는 단계 및 상기 다지는 단계가 완료되면 20~30℃, 85~95%의 습도에서 18~30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거친 제2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곰취 잎에 100~130℃의 증기를 순간적으로 분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거친 제3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농축액이 조합된다.
본 발명의 곰취차 제조방법에 의하면, 잎 및 구근에 따라 덖음, 유념 등을 적절하게 적용함으로써, 맛과 향이 음용하기에 적합하고, 약리성분, 특히 항산화 물질을 충분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곰취의 잎과 구근의 제조방법에 의한 농축액을 적절하게 조합으로써, 최적의 항산화 기능을 부여하는 곰취차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비타민C의 라디칼 소거능을 DPPH에 의해 측정된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곰취차를 위한 곰취의 함량을 HPLC의 330nm에서의 함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잎 및 구근에 따라 덖음, 유념 등을 적절하게 적용함으로써, 맛과 향이 음용하기에 적합하고, 약리성분, 특히 항산화 물질을 충분하게 추출할 수 있는 곰취차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곰취의 잎 및 구근에 따라 덖음, 유념 등을 적절하게 적용하는 곰취차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특히 추출된 곰취의 약리성분에 유용한 추출물을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특히,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및 곰취차에서 유용한 성분을 풍부하게 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곰취의 잎은 머위 잎과 흡사하고 긴 잎자루가 있다. 초장은 1~2m이고 구근 근처에서 나온 잎은 길이가 무려 85~90cm에 달한다. 보통 심방형이며 잎 길이는 32~85cm이고 폭은 40cm 정도이다. 털이 없고 매끄러우나 잎가에는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50~60cm로 날개가 없다. 곰취의 근경은 굵고 밑부분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윗부분에는 짧은 털이 있다. 이러한 곰취는 한국과 일본의 경우 어린 부분을 생채, 데친 나물, 묵나물로 식용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에서는 구근과 근경을 호로칠이라 하며 타박상, 요통, 진해, 거담 및 각혈 등에 생약으로 이용한다. 주요 약리성분으로는 카모마일, 자코빈(jacobine), 아멜렘(ameleme) 등과 같은 페놀화합물이 함유되어 있고, 잎의 생즙과 가열즙은 항암효과와 항산화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소득 증가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식품의 영양학적 측면에서 생체면역 활성화, 질병의 방지 및 회복, 노화억제 등의 건강 기능성이 강조되고 있다. 인간의 질병 및 노화는 대사과정 중에 발생하는 초과산화물, 산화질소, 이산화질소, 하이드록실 라디칼, 퍼옥시 라디칼, 알콕시 라디칼, 하이드록시퍼옥시 라디칼 등의 산화반응에 기인하며 이런 라디칼 등은 체내의 지방, 단백질, 핵산과 같은 물질을 손상시킨다. 체내에서는 유해한 라디칼을 제거하기 위하여 효소적, 비효소적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 반응에서 라디칼을 잘 제거하는 물질로서 식물에 존재하는 페놀화합물이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이 페놀화합물은 항산화효과가 뛰어날 뿐 아니라 지방산화로 인한 변색, 변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식물의 약리작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페놀화합물에는 녹차에서 항암효과와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에피잴로카테킨 잴라테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도 속하며 라디칼제거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카테킨류가 여기에 속한다. 곰취도 이와 비슷한 페놀화합물을 내포하고 있어서 뛰어난 항암효과와 항산화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곰취에 한정된 페놀화합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항산화효과를 위한 최적의 곰취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곰취차의 제조방법에 의해 추출되는 페놀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추출되는 주요 페놀화합물은 다음이 3가지 계열로 나눌 수 있다.
1) 화학식 C16H18O9인 CQA 계열로써, 모식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3-Caffeoylquinic acid로,
Figure 112020005297133-pat00001
이다.
둘째, 5-Caffeoylquinic acid로,
Figure 112020005297133-pat00002
셋째, 4-Caffeoylquinic acid로,
Figure 112020005297133-pat00003
2) 화학식 C25H24O12인 DCQA 계열로써, 모식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3,4-DCQA으로,
Figure 112020005297133-pat00004
이다.
둘째, 3,5-DCQA로,
Figure 112020005297133-pat00005
이다.
셋째, 4,5-DCQA로,
Figure 112020005297133-pat00006
이다.
3) 화학식 C34H30O15인 TCQA로써, 모식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1,3,5 TCQA로,
Figure 112020005297133-pat00007
둘째, 1,3,4 TCQA로,
Figure 112020005297133-pat00008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곰취차는 곰취의 잎과 구근을 가공하여 제조한다. 곰취차를 제조하는 방법은 잎 및 구근 부분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곰취차는 잎과 구근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잎을 이용한 곰취차 제조방법>
잎을 이용한 곰취차 제조방법은 먼저, 곰취를 세척한 후, 잎을 가로* 세로 수cm 정도의 크기로 절단한다. 그후, 100~130℃에서 2~15분에 걸쳐 증기 찜질을 한다. 증기 찜질의 온도 및 시간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곰취 잎의 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어서, 수분(minute) 정도 유념을 실시한다. 숙성 전 유념은 찻잎 세포조직을 적당히 파괴해 차의 성분이 잘 우러나오게 하며 숙성을 유도한다. 덩어리 상태로 두었을 때 표면 전체에 찐득한 액체가 만져지면서 찻잎의 색깔이 약30시간이상 유지되다가 서서히 검은 색으로 변한 반면, 증기 찜질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유념 후 바로 검은색으로 변한다. 유념단계가 완료되면, 20~30℃, 85~95%의 습도에서 18~30시간 동안 숙성한다. 이때, 유념이 완료된 곰추 잎을 덩어리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건조기에서 30~70℃에서 1시간 이내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말린다.
건조가 완료되면, 150~170℃에서 10~30분 동안 1차 덖음을 한 후에 식힌다. 1차 덖음을 한 후, 수분 정도의 유념단계를 거칠 수 있다.숙성 후 유념은 데쳐진 곰취 잎 각 부분의 수분함량을 균일하게 하고 부수러짐을 최소로 한다. 그후, 150~170℃에서 20~40분 동안 2차 덖음을 한 후, 수분 정도의 유념단계를 거칠 수 있다. 130~150℃에서 20~40분 동안 3차 덖음을 한 후에 식힌다. 이어서, 80~120℃에서, 30~50분 동안 4차 덖음을 한다. 제1 내지 제4 덖음의 온도 및 시간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변형되어 적용할 수 있다.
<구근을 이용한 곰취차 제조방법>
구근을 이용한 곰취차 제조방법은 먼저, 곰취를 세척한 후, 잔뿌리 및 수분을 제거한다. 그후, 절단기를 이용하여 수mm 두께로 슬라이스하고, 고압으로 수회 세척한다. 그후, 100~130℃에서 2~15분에 걸쳐 증기 찜질을 한다. 증기 찜질의 온도 및 시간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곰취 구근의 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증기 찜질이 완료되면, 곰취 구근을 빻아서 다진다. 다짐이 완료되면, 20~30℃, 85~95%의 습도에서 18~30시간 동안 숙성한다. 이어서, 160~200℃에서 10~30분 동안 1차 덖음을 한 후에 식힌다. 1차 덖음을 한 후, 수분 정도의 유념단계를 거칠 수 있다. 그후, 130~170℃에서 30~50분 동안 2차 덖음을 한다. 이어서, 수분 정도의 유념단계를 거칠 수 있다. 80~120℃에서 30~50분 동안 3차 덖음을 한 후에 식힌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곰취차 제조방법에서 스팀 숙성을 하는 경우와 스팀 숙성을 하지 않고 일반 숙성을 하는 경우를 비교하였다. 또한, 실시예에 나타나는 물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1)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이용한 항산화도의 분석으로, 안정된 자유 라디칼인 DPPH를 이용하여 라디칼이 감소하는 정도를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황산화 활성을 판단한다.
2) HPLC(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주요 항산화 성분 함량의 분석으로, 고속 고성능 분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곰취 잎 3g을 5분 동안 증기로 찜질하고 24시간 동안 숙성한 시료이고, 비교예 1은 5분 동안 증기로 찜질하고 48시간 동안 숙성한 시료이며, 비교예 2은 5분 동안 증기로 찜질하고 72시간 동안 숙성한 시료이고, 비교예 3은 증기 찜질을 하지 않고 24시간 동안 숙성한 시료이며, 비교예 4는 증기 찜질을 하지 않고 48시간 동안 숙성한 시료이다. 다시 말해, 실시예 및 비교예 1~2는 증기 찜질을 거친 것이고, 비교예 3~4는 증기 찜질을 거치지 않은 것이다. 상기 시료들 및 비타민C의 항산화 특성과 비교하였다. 이때, 시료의 항산화도 측정을 위한 DPPH 및 HPLC를 위하여, 용매 MeOH를 사용하였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산, 여과, 농축 등의 과정을 거쳤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들 및 비타민C의 라디칼 소거능을 DPPH에 의해 측정된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때, 측정된 수치는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05297133-pat00009
도 1 및 표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농도(1 mg/ml)에서 저농도(0,125 mg/ml)로 변화됨에도, 항산화도는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 1~4 및 비타민C는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변화되면, 항산화도가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저농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라디칼 소거능이 비교예 1~4에 비해 월등하게 뛰어났다. 곰취차의 경우, 농축된 원액을 희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저농도의 경우에 항산화도가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비교예 1~4 및 비타민C는 항산화도가 급격하게 저하되므로, 곰취차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따라, 저농도임에도 항산화도가 떨어지지 않는 스팀 숙성이 바람직하다.
증기 찜질을 거친 비교예 1 및 2 각각은 48시간 및 72시간 동안 숙성을 하였음에도, 저농도에서 항산화도는 급격하게 떨어졌다. 즉, 숙성시간을 늘린다고 해도, 저농도의 항산화도의 저하를 피할 수 없었다. 많은 실험을 거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숙성시간은 18~30 시간이 바람직하였다. 증기 찜질을 거치지 않고 24시간 동안 숙성한 비교예 3은 농도가 줄어듦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해 항산화도가 줄어들었다. 비교예 3은 특히 농도가 줄어들면, 항산화도가 상대적으로 더욱 떨어졌다. 증기 찜질을 거치지 않고 48시간 동안 숙성한 비교예 4는 비교예 3에 비해 항산화도가 반 정도로 줄어들었다.
곰취 잎을 곰취차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2~10분 동안 증기 찜질을 하고 18~30 시간동안 숙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고농도뿐 아니라 저농도에서도 항산화도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이와 같이, 저농도에서 항산화를 유지하면, 희석해서 제조하는 곰취차에 적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곰취차를 위한 곰취의 함량을 HPLC의 330nm에서의 함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에 의하면, 스팀 숙성을 거친 실시예는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피크의 크기가 크지만, 스팀 숙성을 하지 않고 일반 숙성을 하는 비교예는 항산화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표 2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지만, 곰취차의 경우, 항산화 기능을 항산화 물질은 주요 페놀화합물은 3가지 계열이다. 그런데, 비교예는 상기 페놀화합물을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항산화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항산화 물질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표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곰취차의 330nm에서의 피크 면적(peak area)을 보여준다. 이때, 피크면적은 10mg/ml로 농축된 후에 LC-MS, HPLC, NMR의 분석을 통하여 산출한 값이다. 피크면적을 확인하는 이유는 최적의 항산화 기능을 하는 곰취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단순하게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시료 1은 곰취 잎을 증기 찜질을 하지 않고 증기를 순간적으로 분사한 경우이고, 시료 2는 곰취 잎을 스팀 숙성을 한 경우, 시료 3은 곰취 잎을 일반 숙성을 한 경우, 시료 4는 곰취 구근을 10분 동안 증기 찜질한 경우 및 시료 5는 곰취 구근을 20 동안 증기 찜질한 경우를 보여준다.
Figure 112020005297133-pat00010
표 2에 의하면, 피크면적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5-CQA를 제외한 CQA 계열 및 DCQA 계열은 시료 2에서 최대 피크면적을 나타낸다. CQA 계열의 5-CQA는 시료 4에서 최대 피크면적을 확인하였다. TCQA 계열은 시료 1에서 최대 피크면적을 보여주고 있다. 구근의 경우, 증기 찜질이 15분이 지나면 5-CQA의 함량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최적의 항산화 기능을 발휘하는 곰취차를 제조하는 방법은 시료 2를 주로 하고, 시료 1 및 4를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시료 2에 의한 함량을 가장 많이 하고, 시료 1 및 4에 의한 함량을 부가적으로 조절하는 좋다. 예컨대, 곰취차 농축액 전체 100중량%을 기준으로, 시료 2에 의한 함량은 60중량% 이상, 시료 1에 의한 함량은 20중량% 이상 및 시료 5에 의한 함량은 20중량%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은 곰취차의 희석정도, 맛, 향 등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시료 1은 증기를 순간적으로 분사하고, 분쇄, 덖음, 유념 등의 과정을 거쳐서 제조된 농축액이다. 시료 1은 증기 찜질 및 숙성을 하지 않은 조건에서 종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곰취차의 농축액은 시료 2의 제1 농축액, 시료 4의 제2 농축액 및 시료 1의 제3 농축액을 조합할 수 있다. 제1 농축액은 곰취 잎을 100~130℃에서 2~15분에 걸쳐 증기 찜질하는 단계와, 상기 증기 찜질을 마친 후에 유념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유념단계가 완료되면 20~30℃, 85~95%의 습도에서 18~30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제2 농축액은 곰취 구근을 슬라이스한 후, 100~130℃에서 2~15분에 걸쳐 증기 찜질을 하는 단계와, 상기 증기 찜질이 마친 후에 상기 구근을 빻아서 다지는 단계 및 상기 다지는 단계가 완료되면 20~30℃, 85~95%의 습도에서 18~30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제3 농축액은 상기 곰취 잎을 100~130℃에서 순간적으로 증기 분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제3 농축액은 숙성단계를 거치지 않고, 분쇄, 덖음, 유념 등의 과정을 거쳐서 제조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7)

  1. 곰취 잎을 100~130℃에서 2~15분에 걸쳐 증기 찜질하는 단계;
    상기 증기 찜질을 마친 후에, 상기 곰취 잎의 유념을 하는 단계;
    상기 유념단계가 완료되면, 20~30℃, 85~95%의 습도에서 18~30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이 완료되면, 30~70℃에서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가 완료되면, 150~170℃에서 1차 덖음을 하고, 150~170℃에서 2차 덖음을 하며, 130~150℃에서 3차 덖음을 하고, 80~120℃에서 4차 덖음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취차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덖음 및 제2 덖음 각각의 이후에는 유념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취차 제조방법.
  4. 곰취 구근을 슬라이스한 후, 100~130℃에서 2~15분에 걸쳐 증기 찜질을 하는 단계;
    상기 증기 찜질이 마친 후에, 상기 곰취 구근을 빻아서 다지는 단계;
    상기 다지는 단계가 완료되면, 20~30℃, 85~95%의 습도에서 18~30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이 완료되면, 160~200℃에서 1차 덖음을 하고, 130~170℃에서 2차 덖음을 하며, 80~120℃에서 3차 덖음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취차 제조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덖음 및 제2 덖음 각각의 이후에는 유념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취차 제조방법.
  7. 곰취 잎을 100~130℃에서 2~15분에 걸쳐 증기 찜질하는 단계와, 상기 증기 찜질을 마친 후에, 상기 곰취 잎의 유념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유념단계가 완료되면 20~30℃, 85~95%의 습도에서 18~30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거친 시료 2의 제1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곰취 구근을 슬라이스한 후, 100~130℃에서 2~15분에 걸쳐 증기 찜질을 하는 단계와, 상기 증기 찜질이 마친 후에, 상기 곰취 구근을 빻아서 다지는 단계 및 상기 다지는 단계가 완료되면 20~30℃, 85~95%의 습도에서 18~30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거친 시료 4의 제2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곰취 잎에 100~130℃의 증기를 순간적으로 분사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거친 시료 1의 제3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농축액이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곰취차 제조방법.
KR1020200006173A 2019-01-18 2020-01-16 곰취차 제조방법 KR102376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6562 2019-01-18
KR1020190006562 2019-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127A KR20200090127A (ko) 2020-07-28
KR102376753B1 true KR102376753B1 (ko) 2022-03-21

Family

ID=7183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173A KR102376753B1 (ko) 2019-01-18 2020-01-16 곰취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7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38B1 (ko) * 2007-04-13 2008-08-01 강릉시 곰취를 이용한 곰취차 및 곰취환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0996229B1 (ko) * 2010-06-03 2010-11-23 노애순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
KR101204991B1 (ko) * 2012-05-02 2012-11-26 최유정 다양한 종류의 잎으로 이루어진 떡차의 제다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638B1 (ko) * 2007-04-13 2008-08-01 강릉시 곰취를 이용한 곰취차 및 곰취환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0996229B1 (ko) * 2010-06-03 2010-11-23 노애순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
KR101204991B1 (ko) * 2012-05-02 2012-11-26 최유정 다양한 종류의 잎으로 이루어진 떡차의 제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127A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8528B2 (ja) 茶製品を製造する方法
EA020639B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чайных продуктов
AB et al.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ea: status, global research and potentialities
KR101894370B1 (ko) 쌀가루의 제조방법
KR102261865B1 (ko) 메밀싹을 이용한 기능성 분말제품의 제조방법
KR102376753B1 (ko) 곰취차 제조방법
KR100894636B1 (ko) 둥근마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1996466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KR102036522B1 (ko) 시나몬오매를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KR102356739B1 (ko) 떡갈비 제조방법
KR101996467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양파즙의 제조방법
KR102348644B1 (ko) 관능성과 기능성을 개선한 더덕차의 제조방법
KR101310019B1 (ko)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648211B1 (ko) 제주조릿대를 이용한 발효물과 그 발효물을 함유한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282960B1 (ko) 기호성이 우수한 녹차 제조방법
KR101723403B1 (ko) 쑥분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N111000003A (zh) 一种解酒护肝的金花茶功能茶及其制备方法
Nurzyńska-Wierdak et al.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lack elderberry (Sambucus nigra L.).
KR102599866B1 (ko) 율피차의 제조방법
KR102299517B1 (ko) 귀리를 함유하는 기능성 곡물차 제조방법
KR102436139B1 (ko) 홍화와 약용식물을 이용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KR102373966B1 (ko) 홍화잎을 이용한 기능성 떡의 제조방법
KR102388851B1 (ko) 기능성 갓김치 제조방법
KR102410975B1 (ko) 녹차 잎과 우엉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차
KR102285301B1 (ko) 꾸지뽕 및 약용식물을 이용한 기능성 고추장 굴비 소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