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229B1 -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 - Google Patents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229B1
KR100996229B1 KR1020100052185A KR20100052185A KR100996229B1 KR 100996229 B1 KR100996229 B1 KR 100996229B1 KR 1020100052185 A KR1020100052185 A KR 1020100052185A KR 20100052185 A KR20100052185 A KR 20100052185A KR 100996229 B1 KR100996229 B1 KR 100996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ing step
edible
fumigation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애순
Original Assignee
노애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애순 filed Critical 노애순
Priority to KR1020100052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2Isolation or recuperation of tea flavour or tea oil

Abstract

본 발명은, 식용 나물을 깨끗이 손질하여 잎, 줄기, 뿌리, 꽃으로 분류하여 각각 분류된 재료를 물에 씻어 천을 사용하여 큰 잎은 한 장씩 작은 잎은 4 ~ 5장씩 모아서 물기를 제거하는 재료 선정 및 다듬기 단계; 상기 물기를 제거한 재료를 바람이 잘 통하는 응달에 널어 2 ~ 3시간 주기로 뒤집기를 반복하여 수분이 50 ~ 60% 제거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초벌 건조 단계; 상기 초벌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절단기를 사용하여 가로 1 ~ 6㎝, 세로 0.5 ~ 4㎝ 두께로 자르는 재료 자르기 단계; 상기 재료 자르기 단계를 거친 재료를 건조기의 내부 온도를 40±5℃ 로 설정하여 재료의 수분이 10 ~ 15% 남을 때까지 건조시키는 2차 건조 단계; 상기 2차 건조된 재료를 훈증기를 사용하여 20 ~ 40초간 훈증하는 훈증 단계; 상기 훈증된 재료를 건조기의 내부 온도를 40±5℃ 로 설정하여 재료의 수분이 10 ~ 15% 남을 때까지 건조시키는 3차 건조 단계; 상기 3차 건조된 재료를 중앙부가 위로 완만하게 볼록하며 가장자리는 아래로 오목한 형상의 덖음 솥의 표면 온도를 저온으로부터 천천히 높여서 60±10℃가 되도록 가열하여 맞춘 후 상기 3차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비비거나, 눌러 덖기, 말아 덖기를 반복한 후 풀어헤치는 덖는 단계; 상기 덖는 단계를 거친 재료를 자연 건조시키는 자연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차이다.

Description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The method which makes Tea the use for food herbs and Tea which is produced by this}
본 발명은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용 나물을 재료 선정 및 다듬기 단계, 초벌 건조 단계, 재료 자르기 단계, 2차 건조 단계, 훈증 단계, 3차 건조 단계, 덖는 단계, 자연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 나물은 삼거나 혹은 데쳐서 섭취하는 방법, 끓여서 끓인 물을 섭취하는 방법, 즙을 내어 섭취하는 방법, 음식으로 조리해서 섭취하는 방법이 있으나 제철에서만 자라나서 유통되는 식용 나물은 유통 기간이 1 ~ 2개월로서 제철에만 직접 섭취해야 하는 가장 큰 문제점이 있으며, 식용 나물에 포함되어 있는 엽록소에 의한 쓴맛의 풀 향과 섬유질 성분으로 생으로 섭취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개인적인 조리 성향에 따라 영양분이 파괴되어 식용나물이 보유하고 있는 효능을 제대로 섭취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해 식용 나물을 장기 보관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소금을 이용한 저장 방법과 삶은 후 말려서 저장하는 방법이 있으나 소금을 이용한 저장 방법은 소금으로 인하여 성인병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으며 삶은 후 말려서 저장하는 방법은 조리를 위해 다시 삶아야 하므로 식용 나물이 지니고 있는 비타민 C와 같은 수용성 비타민이 물에 녹아 영양소가 파괴될 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쌈이나 무침으로 섭취를 할 수 밖에 없으며 식용 나물의 엽록소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로 섭취하는 것이므로 풀 향의 쓴맛이 생겨 상시 섭취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해 특허등록 864954호는 산야초를 끓는 물로 고온 열처리하는 제1단계; 고온 열처리를 거친 상기 산야초를 15℃ 이하의 냉수에서 헹구는 제2단계; 상기 산야초를 포장하는 제3단계; 장기 보관시에 발생하는 변색 및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된 상기 산야초를 영하 25℃ 내지 영하 55℃의 온도에서 2시간 이내에 급속 동결시키는 제4단계; 장기 보관을 위하여, 동결된 상기 산야초를 영하 15℃ 내지 영하 20℃의 온도에서 냉동 저장하는 제5단계를 거쳐 수확 기간이 1~2개월에 불과한 산야초 즉 야생 나물을 장기간 저장 및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급속 동결시킴으로서 발생되는 영양소의 파괴와 냉동 저장하는 제5단계를 거친 후 상온으로 되돌러 다시 조리를 거치는 동안 개인적인 조리성향에 따라 영양분이 파괴되어 식용나물이 보유하고 있는 효능을 제대로 섭취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을 고려하였으나 차는 일반적으로 재료 선정 및 다듬기 단계, 덖음 솥의 온도가 300 ℃ 정도에서 초벌 덖기, 덖음 솥의 온도가 120 ℃ 정도의 2차 덖기, 덖음 솥의 온도가 70 ℃ 정도의 3차 덖기, 덖음 솥의 온도를 70 ℃ 정도를 유지하면서 마지막 덖기를 거치를 거치므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차를 만드는 방법은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에서는 적합하지 못하였다.
또한, 어린 차잎의 코팅막을 제거하기 위해 기존 녹차를 덖는 방법인 300 ℃의 고온으로 식용 나물을 덖을 경우 타거나 분쇄가 되어 고유의 향이 나오는 차로 만들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식용 나물과 같이 부드럽고 연약한 재료를 이용하여 차로 만들기 위해서는 재료를 건조시키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식용 나물에 는 각가지 영양분과 건강보조 효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용 나물이 지니고 있는 고유의 효능을 최대로 섭취하고 있지 못한 채 단순하게 음식으로만 취급 되고 있는 현실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기존의 식용 관념에서 탈피하여 식용 나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식용 나물을 이용한 차의 개발을 통하여 현대생활에 맞도록 그 효능을 직접 섭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사계절 섭취가 가능하게 하며 천연의 자연 건강 음용액과 자연건강 첨가제 및 천연향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용 나물을 깨끗이 손질하여 잎, 줄기, 뿌리, 꽃으로 분류하여 각각 분류된 재료를 물에 씻어 천을 사용하여 큰 잎은 한 장씩 작은 잎은 4 ~ 5장씩 모아서 물기를 제거하는 재료 선정 및 다듬기 단계; 상기 물기를 제거한 재료를 바람이 잘 통하는 응달에 널어 2 ~ 3시간 주기로 뒤집기를 반복하여 수분이 50 ~ 60% 제거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초벌 건조 단계; 상기 초벌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절단기를 사용하여 가로 1 ~ 6㎝, 세로 0.5 ~ 4㎝ 두께로 자르는 재료 자르기 단계; 상기 재료 자르기 단계를 거친 재료를 건조기의 내부 온도를 40±5℃로 설정하여 재료의 수분이 10 ~ 15% 남을 때까지 건조시키는 2차 건조 단계; 상기 2차 건조된 재료를 훈증기를 사용하여 20 ~ 40초간 훈증하는 훈증 단계; 상기 훈증된 재료를 건조기의 내부 온도를 40±5℃로 설정하여 재료의 수분이 10 ~ 15% 남을 때까지 건조시키는 3차 건조 단계; 상기 3차 건조된 재료를 중앙부가 위로 완만하게 볼록하며 가장자리는 아래로 오목한 형상의 덖음 솥의 표면 온도를 저온으로부터 천천히 높여서 60±10℃가 되도록 가열하여 맞춘 후 상기 3차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비비거나, 눌러 덖기, 말아 덖기를 반복한 후 풀어헤치는 덖는 단계; 상기 덖는 단계를 거친 재료를 자연 건조시키는 자연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자연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분쇄장비를 통하여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는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또한, 상기 식용 나물은 머위, 곤달비, 곤드레, 곰취, 비름, 명이나물, 냉이, 씀바귀, 민들레, 유채, 두릅, 엉게나물, 돈나물, 쑥으로 이루어진 군(群)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또한, 식용 나물을 깨끗이 손질하여 잎, 줄기, 뿌리, 꽃으로 분류하여 각각 분류된 재료를 물에 씻어 천을 사용하여 큰 잎은 한 장씩 작은 잎은 4 ~ 5장씩 모아서 물기를 제거하는 재료 선정 및 다듬기 단계; 상기 물기를 제거한 재료를 바람이 잘 통하는 응달에 널어 2 ~ 3시간 주기로 뒤집기를 반복하여 수분이 50 ~ 60% 제거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초벌 건조 단계; 상기 초벌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절단기를 사용하여 가로 1 ~ 6㎝, 세로 0.5 ~ 4㎝ 두께로 자르는 재료 자르기 단계; 상기 재료 자르기 단계를 거친 재료를 건조기의 내부 온도를 40±5℃로 설정하여 재료의 수분이 10 ~ 15% 남을 때까지 건조시키는 2차 건조 단계; 상기 2차 건조된 재료를 훈증기를 사용하여 20 ~ 40초간 훈증하는 훈증 단계; 상기 훈증된 재료를 건조기의 내부 온도를 40±5℃로 설정하여 재료의 수분이 10 ~ 15% 남을 때까지 건조시키는 3차 건조 단계; 상기 3차 건조된 재료를 중앙부가 위로 완만하게 볼록하며 가장자리는 아래로 오목한 형상의 덖음 솥의 표면 온도를 저온으로부터 천천히 높여서 60±10℃가 되도록 가열하여 맞춘 후 상기 3차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비비거나, 눌러 덖기, 말아 덖기를 반복한 후 풀어헤치는 덖는 단계; 상기 덖는 단계를 거친 재료를 자연 건조시키는 자연 건조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식용 나물로 제조된 차이다.
또한, 상기 자연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분쇄장비를 통하여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식용 나물로 제조된 차이다.
또한, 상기 식용 나물은 머위, 곤달비, 곤드레, 곰취, 비름, 명이나물, 냉이, 씀바귀, 민들레, 유채, 두릅, 엉게나물, 돈나물, 쑥으로 이루어진 군(群)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된 식용 나물로 제조된 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래되어 오는 각종 식용 나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효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으로 단순한 조리 방법으로 염분을 이용한 저장식 조리로 인해 과다 섭취 시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는 등 섭취에 한계가 되었고, 또한 생나물로 섭취를 할 경우에는 제철에 섭취는 가능하지만 조리방법에 따라 섭취의 어려움 및 영양분 손실이 발생하여 식용 나물이 가지고 있는 탁월한 효능이 반감되고 있는 식용 나물을 재료로 하여 고유한 영양분 손실을 최소화 한 차로 개발하여 언제 어디서나 상시 음용이 가능하고 기존의 단순한 음용수와는 차별이 되는 건강 음용수로서의 기능이 부가되며, 또한 한국인이 즐겨 식용하는 익숙한 식용 나물을 재료로 하였으므로 음용 시 차향과 맛에 대한 거부감이 없으며 식용 나물이 지니는 고유한 효능과 특성에 대해서도 익히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차의 섭취 시 신체 건강에 유익하다고 느끼게 된다.
기존의 한국형 잎차가 많지 않은 현실에서 국내 산야에서 자라는 식용 나물을 이용한 차의 개발은 한식과 같이 음용 시에도 잘 어우러지므로 건강을 위한 한국형 차로 발전이 가능하며, 또한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한식과 더불어 세계화가 가능한 한국형 건강 음용수 분야가 될 것이다.
또한, 식용 나물을 분쇄하여 천연 향료 및 건강 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덖음 솥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크게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료 선정 및 다듬기 단계, 초벌 건조 단계, 재료 자르기 단계, 2차 건조 단계, 훈증 단계, 3차 건조 단계, 덖는 단계, 자연 건조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재료는 식용 나물로서 머위, 곤달비, 곤드레, 곰취, 비름, 명이나물, 냉이, 씀바귀, 민들레, 유채, 두릅, 엉게나물, 돈나물, 쑥으로 이루어진 군(群)에서 선택되며 각각 특징은 아래와 같다.
머위(Petasites japonicus) 는 동의보감에서 백채(白菜)라 하고 굵은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끝에서 잎이 나오며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신장(腎臟)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전체적으로 꼬부라진 털이 있으며 이른 봄에 잎보다 먼저 꽃줄기가 자라고 꽃 이삭은 커다란 포로 싸여 있다.
꽃은 2가화(二家花)이며 암꽃이삭은 꽃이 진 다음 30cm 정도 자라며 암꽃은 백색, 수꽃은 황백색이고 모두 관모(冠毛)가 있으며 열매는 수과로 원통형이며 길이 3.5cm 정도 이며 잎자루는 산채(山菜)로서 식용으로 하고, 꽃 이삭은 관동화(款冬花)라 하여 식용 또는 진해제(鎭咳劑)로 사용하고, 전초는 고혈압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 matsum)는 깊은 산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60∼100cm이며 풀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줄기가 굵으며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는데 길이 24cm, 나비 20cm 정도이며 잎 뒷면 맥을 따라 털이 나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40cm 정도로 날개가 없고 밑쪽이 넓으며 줄기에 달린 잎은 3개로 아래쪽 것은 뿌리에 달린 잎과 거의 같으나, 위쪽으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져서 잎집이 되고 잎도 작아지며 어린잎을 먹으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부인병 치료에 쓰며 폐를 튼튼하게 하고 감기의 치료제 및 민간에서는 고혈압 관절염 등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곤드레(cirsium setidens)는 고려엉겅퀴라고도 하며 국화과 다년생 초본으로 전초를 약용하고 5월, 6월 고랭지에서 대여섯 잎이 나올 때 채취하며 어린잎과 줄기를 식용으로 섭취하며 성인병 예방 및 고혈압 당뇨병에 좋고 혈액내 지방을 제거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국·일본·중국 등 동아시아와 지중해연안 북미남서부등지에 분포한다.
곰취(Ligularia fischeri)는 고원이나 깊은 산의 습지에서 자라며 높이 1∼2m이다. 뿌리줄기가 굵고 털이 없으며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가 9cm에 이르는 것이 있고 큰 심장 모양으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길며 뿌리에 달린 잎 사이에서 줄기가 나오며 줄기에는 잎이 3장 달리는데, 모양은 뿌리에 달린 잎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고 잎자루의 밑부분이 줄기를 싸고 있다.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데, 독특한 향미가 있으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뿌리줄기를 캐서 말린 것을 호로칠(葫蘆七)이라 하여, 해수·백일해·천식·요통·관절통·타박상 등에 처방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국·일본·중국·사할린섬·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비름(Amaranthus mangostanus)은 길가나 밭에서 자라며 인도 원산으로 높이 1m 정도이고 굵은 가지가 뻗으며 잎은 어긋나고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넓은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 4∼12cm, 나비 2∼7cm이며 잎의 양면에는 털이 없으며 잎자루가 있다. 한의학에서는 오래먹으면 장수한다 하여 장명채(長命菜)라 하며, 뿌리는 해열·해독·최유·소종 등에 쓰인다고 알려져 있으며 타이완·중국·말레이시아 등지에서는 여름채소로 가꾸며 한국에서는 들에서 자라는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명이나물( Allium vitorialis var. platphyllum MAKINO)은 외떡잎식물 백화목 백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산마늘이라고 하며 꽃은 줄기 끝에 여러 개가 방사형으로 5 ~ 7월에 피고 열매는 8 ~ 9월에 익으며 동의보감에서는 소산(小蒜)이라 하며, 몸을 따뜻하게 하고 소화를 촉진시키며, 소화기 질환인 위염 변비 위통 복통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국·일본·중국북부 산지에 분포한다.
냉이(Capsella bursa-pastoris)는 들이나 밭에서 자라며 전체에 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치며 높이는 10∼50cm으로 뿌리잎은 뭉쳐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깃꼴로 갈라지지만 끝부분이 넓으며 줄기잎은 어긋나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면서 잎자루가 없어지며 바소꼴로 줄기를 반 정도 감싼다.
한의학에서는 냉이의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제채(齊寀)라 하여 약재로 쓰는데, 꽃이 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생풀로 쓰이며 말린 것은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약효는 지라(비장)를 실하게 하며, 이뇨, 지혈, 해독 등의 효능이 있어 비위허약 ·당뇨병 ·소변불리 ·토혈 ·코피 ·월경과다 ·산후출혈 ·안질 등에 처방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국을 비롯하여 세계의 온대 지방에 분포한다.
씀바귀(Ixeris dentata)는 고채(苦菜)·씸배나물라고도 하며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며 높이 25∼50cm이다. 줄기는 가늘고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자르면 쓴맛이 나는 흰 즙이 나오며 뿌리에 달린 잎은 뭉쳐나며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고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잎자루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깊이 패어 들어간 흔적이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2∼3개로서 바소꼴이거나 긴 타원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4∼9cm이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쓴맛이 있으나 이른 봄에 뿌리와 어린순을 나물로 먹고 성숙한 것은 진정제, 해열, 해독, 콜레스테롤억제, 혈액순환촉진, 항산화, 노화방지 등에 쓰인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는 들판에서 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며 줄기는 없고, 잎이 뿌리에서 뭉쳐나며 옆으로 퍼지며 잎은 거꾸로 세운 바소꼴이고 길이가 6∼15cm, 폭이 1.2∼5cm이며 깃꼴로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털이 약간 있다.
한방에서는 꽃피기 전의 식물체를 포공영(蒲公英)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열로 인한 종창·유방염·인후염·맹장염·복막염·급성간염·황달에 효과가 있으며, 열로 인해 소변을 못 보는 증세에도 사용하며 민간에서는 젖을 빨리 분비하게 하는 약제로도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한국·중국·일본에 분포한다.
유채(Brassica napus, 蕓垈子)는 중국 원산의 두해살이풀로 키는 1m 정도이며 원줄기에서는 15개 안팎의 1차곁가지가 나오고, 이 가지에서 다시 2∼4개의 2차곁가지가 나오며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다소 깃처럼 갈라진다. 잎자루의 가장자리에는 이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흰빛이 나며 잎자루에 자줏빛이 도는 경우도 있다.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갈라지지 않으며, 윗부분에 달린 잎은 밑부분이 귀처럼 처져서 원줄기를 감싸며 줄기에는 보통 30∼50개의 잎이 붙는다. 연한 잎과 줄기로 김치를 담가 먹거나 삶아 나물로 먹는다. 씨를 탕화상, 종독, 치루, 두풍, 혈리등에 약으로 쓴다고 알려져 있으며, 일본, 중국, 한국에 분포하여 국내 전역에 서식가능하나 주로 남부에서 재배한다.
두릅(Aralia elata seemann)은 나무의 어린순을 따서 식용하고 한방에서는 목두채(木頭菜)라 하며 독특한 향이 있어서 산나물로 먹으며, 땅두릅과 나무두릅이 있으며 땅두릅은 4∼5월에 돋아나는 새순을 땅을 파서 잘라낸 것이고, 나무두릅은 나무에 달리는 새순을 말한다. 자연산 나무두릅의 채취량이 적어 가지를 잘라다가 하우스 온상에 꽂아 재배하기도 하며 나무두릅은 강원도, 땅두릅은 강원도와 충청북도 지방에서 많이 재배하며, 저혈압, 당뇨병, 신경쇠약, 관절염 치료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엉게나물은 엄나무(Kalopanax pictus, 海桐皮)의 초봄에 나는 새순을 지칭하며 엄나무는 높이 25m에 달하며, 가지는 굵으며 크고 밑이 퍼진 가시가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둥글며 가장자리가 5∼9개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잎보다 길다. 꽃은 7∼8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복산형꽃차례[複傘形花序]에 달리며 꽃잎과 수술은 5개씩이고 씨방은 하위(下位)이며 암술대는 2개로서 한국·일본·만주·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신경통, 관절염, 근육통, 신허요통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돈나물은 돌나물(Sedum sarmentosum, 垂盆草)이라 하며 뽑아서 아무 데나 버려두어도 곧 뿌리를 내려 살아날 정도로 번식력이 매우 강하며 식물 표본을 만들려고 신문지에 넣어 둔 채 한 달이 지나도 새싹을 낼 정도로 건조함에도 잘 견딘다. 전국의 산과 들 약간 습기가 있는 바위틈이나 언덕 등 어디서나 잘 자라며 줄기가 땅에 바짝 붙어서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마다 뿌리를 내리며 잎은 세 장씩 돌려나며 긴 타원 모양이고 도톰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지름 6~10 mm정도의 노란 꽃이 취산꽃차례로 가득 핀다. 꽃잎은 다섯 장이다. 식욕을 돋워주고 피를 맑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살균, 소염, 해독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간질환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쑥(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艾葉)은 능선이 있으며 전체에 거미줄 같은 털이 빽빽이 나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며 싹이 나와 무리지어 난다. 동의보감에서는 의초(醫草)라 불리었으며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헛턱잎[假托葉]이 있으며 타원형이고 길이 6∼12cm, 나비 4∼8cm이며 깃처럼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2∼4쌍이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잎이 작아지고 갈래조각의 수도 줄어 단순한 잎으로 된다. 꽃 이삭에 달린 잎은 줄 모양이다. 봄의 새싹생즙으로 고혈압과 신경통에 이용하며 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서 간장질환, 위장질환, 여성질환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상기 식용 나물은 넓은 잎의 식용 나물인 머위, 곤달비, 곤드레, 곰취, 비름, 명이나물로 나눌 수 있으며, 기다란 잎의 식용 나물인 냉이, 씀바귀, 민들레, 유채로 나눌 수 있으며, 가시나무의 식용 나물인 두릅, 엉게나물로 나눌 수 있으며, 작은 잎의 식용 나물인 돈나물 그리고 야생 식용 나물인 쑥으로 나눌 수 있다.
식용 나물을 깨끗이 손질하여 잎, 줄기, 뿌리, 꽃으로 분류하여 각각 분류된 재료를 물에 씻어 청결한 천을 사용하여 넓은 잎은 한 장씩 기다린 잎의 식용 나물, 가시나무의 식용 나물, 작은 잎 그리고 야생 식용 나물은 4 ~ 5장씩 모아서 물기를 제거하는 재료 선정 및 다듬기 단계를 거친다.
물기를 제거한 재료를 대나무발 등과 같은 통풍이 잘되는 통풍판을 사용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응달에 널어 2 ~ 3시간 주기로 뒤집기를 반복하여 수분이 50 ~ 60% 제거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초벌 건조 단계를 거친다.
상기 초벌 건조 단계는 상온에서 2 ~ 3일간 자연 건조시키며 넓은 잎의 식용 나물인 경우에는 녹색 잎이 건조되어 변색될 때까지 자연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며, 자연 건조는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하는 것보다 영양소는 파괴가 적으며 상기 재료들의 향이 날아가지 않게끔 한다.
상기 초벌 건조 단계를 거친 상기 재료를 절단기를 사용하여 가로 1 ~ 6㎝, 세로 0.5 ~ 4㎝ 두께로 재료 자른다.
상기 재료는 하기에 설명할 2차 건조 단계, 훈증 단계, 3차 건조 단계, 덖는 단계를 고려하여 가로 2 ~ 4㎝, 세로 0.5 ~ 1㎝로 자르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며 초벌 건조 단계 전에 재료 자르기 단계를 거치지 않는 이유는 초벌 건조 단계에 의하여 상기 재료들의 수분이 어느 정도 건조되어 자르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 재료 자르기 단계를 거친 후 상기 재료는 건조기를 사용하여 6 ~ 8 시간 동안 상기 건조기의 내부 온도를 40±5℃로 설정하여 재료의 수분이 10 ~ 15% 남을 때까지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은 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
2차 건조 단계를 거친 상기 재료는 훈증기를 사용하여 20 ~ 40초간 훈증 시기는 과정을 거치는데 상기 훈증 단계는 상기 재료의 줄기 등의 딱딱한 부분을 연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재료의 고유의 향이 깊어지게 한다.
상기 훈증 단계를 거친 훈증된 상기 재료를 건조기의 내부 온도를 40±5℃로 설정하여 재료의 수분이 10 ~ 15% 남을 때까지 건조시킨다.
상기 훈증된 재료를 자연건조 시키지 않고 건조기를 사용하여 3차 건조 단계를 거치는 것은 2차 건조 단계와 마찬가지로 시간 단축의 효과가 있다.
3차 건조된 재료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10)가 위로 완만하게 볼록하며 가장자리부(20)는 아래로 오목한 형상의 덖음 솥(100)을 이용하여 표면 온도를 저온으로부터 천천히 높여서 60±10℃가 되도록 가열하여 맞춘 후 상기 3차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양손으로 비벼 덖으면서 30±10g 크기의 소형 뭉치로 만든다. 상기 소형 뭉치로 만들어진 재료를 상기 덖음 솥의 중앙부(10)에서 비비면서 넓게 펴면서 덖는 비벼 덖기와 상기 비벼 덖기를 거친 상기 넓게 펼쳐진 재료를 손바닥으로 5 ~ 10회 누르면서 덖는 눌러 덖기와 상기 눌러 덖기로 눌러진 상기 재료를 손바닥으로 원을 그리며 말아가면서 덖는 말아 덖기를 반복하는 덖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비벼 덖기, 눌러 덖기, 말아 덖기를 거친 상기 재료를 3 ~ 5g의 소량씩 3 ~ 5회를 양손으로 말아 비빈 다음 잎이 낱개로 말아져 있도록 손으로 흔들어 풀어 헤친 후 솥의 가장자리부(20)에 옮겨 놓는다.
상기 솥의 가장자리부(20)에 옮겨진 낱개로 말아진 재료를 다시 비벼 덖기, 눌러 덖기, 말아 덖기, 풀어헤치기를 5 ~ 10회 반복한 후 상온에서 식힌다.
상기 상온에서 식힌 재료를 다시 비벼 덖기, 눌러 덖기, 말아 덖기, 풀어헤치기를 10 ~ 15분씩 반복하여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반복한다.
상기 반복된 비벼 덖기, 눌러 덖기, 말아 덖기, 풀어헤치기를 통하여 식용 나물에 함유된 특유의 엽록소의 쓴맛을 사라지게 하고 식용 나물의 외면을 감싸고 보존하는 표피계를 제거하여 향이 깊어짐과 동시에 상기 덖음 솥의 표면 온도를 저온인 60±10℃가 되도록 가열하여 영양가의 파괴를 막는다.
수분이 제거된 상기 재료를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자연 건조 단계를 거쳐 식용 나물인 머위, 곤달비, 곤드레, 곰취, 비름, 명이나물, 냉이, 씀바귀, 민들레, 유채, 두릅, 엉게나물, 돈나물, 쑥을 차로 만들었다.
상기 자연 건조 단계를 거친 차로 만든 머위, 곤달비, 곤드레, 곰취, 비름, 명이나물, 냉이, 씀바귀, 민들레, 유채, 두릅, 엉게나물, 돈나물, 쑥을 분쇄장비를 이용하여 가루로 분쇄시켜 천연향료 및 건강 첨가제로 사용 가능하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덖음 솥 10: 중앙부
20: 가장자리부

Claims (6)

  1. 식용 나물을 깨끗이 손질하여 잎, 줄기, 뿌리, 꽃으로 분류하여 각각 분류된 재료를 물에 씻어 천을 사용하여 큰 잎은 한 장씩 작은 잎은 4 ~ 5장씩 모아서 물기를 제거하는 재료 선정 및 다듬기 단계;
    상기 물기를 제거한 재료를 바람이 잘 통하는 응달에 널어 2 ~ 3시간 주기로 뒤집기를 반복하여 수분이 50 ~ 60% 제거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초벌 건조 단계;
    상기 초벌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절단기를 사용하여 가로 1 ~ 6㎝, 세로 0.5 ~ 4㎝ 두께로 자르는 재료 자르기 단계;
    상기 재료 자르기 단계를 거친 재료를 건조기의 내부 온도를 40±5℃로 설정하여 재료의 수분이 10 ~ 15% 남을 때까지 건조시키는 2차 건조 단계;
    상기 2차 건조된 재료를 훈증기를 사용하여 20 ~ 40초간 훈증하는 훈증 단계;
    상기 훈증된 재료를 건조기의 내부 온도를 40±5℃로 설정하여 재료의 수분이 10 ~ 15% 남을 때까지 건조시키는 3차 건조 단계;
    상기 3차 건조된 재료를 중앙부가 위로 완만하게 볼록하며 가장자리는 아래로 오목한 형상의 덖음 솥의 표면 온도를 저온으로부터 천천히 높여서 60±10℃가 되도록 가열하여 맞춘 후 상기 3차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비비거나, 눌러 덖기, 말아 덖기를 반복한 후 풀어헤치는 덖는 단계;
    상기 덖는 단계를 거친 재료를 자연 건조시키는 자연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분쇄장비를 통하여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는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나물은 머위, 곤달비, 곤드레, 곰취, 비름, 명이나물, 냉이, 씀바귀, 민들레, 유채, 두릅, 엉게나물, 돈나물, 쑥으로 이루어진 군(群)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4. 식용 나물을 깨끗이 손질하여 잎, 줄기, 뿌리, 꽃으로 분류하여 각각 분류된 재료를 물에 씻어 천을 사용하여 큰 잎은 한 장씩 작은 잎은 4 ~ 5장씩 모아서 물기를 제거하는 재료 선정 및 다듬기 단계;
    상기 물기를 제거한 재료를 바람이 잘 통하는 응달에 널어 2 ~ 3시간 주기로 뒤집기를 반복하여 수분이 50 ~ 60% 제거될 때까지 건조시키는 초벌 건조 단계;
    상기 초벌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절단기를 사용하여 가로 1 ~ 6㎝, 세로 0.5 ~ 4㎝ 두께로 자르는 재료 자르기 단계;
    상기 재료 자르기 단계를 거친 재료를 건조기의 내부 온도를 40±5℃로 설정하여 재료의 수분이 10 ~ 15% 남을 때까지 건조시키는 2차 건조 단계;
    상기 2차 건조된 재료를 훈증기를 사용하여 20 ~ 40초간 훈증하는 훈증 단계;
    상기 훈증된 재료를 건조기의 내부 온도를 40±5℃로 설정하여 재료의 수분이 10 ~ 15% 남을 때까지 건조시키는 3차 건조 단계;
    상기 3차 건조된 재료를 중앙부가 위로 완만하게 볼록하며 가장자리는 아래로 오목한 형상의 덖음 솥의 표면 온도를 저온으로부터 천천히 높여서 60±10℃가 되도록 가열하여 맞춘 후 상기 3차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비비거나, 눌러 덖기, 말아 덖기를 반복한 후 풀어헤치는 덖는 단계;
    상기 덖는 단계를 거친 재료를 자연 건조시키는 자연 건조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식용 나물로 제조된 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건조 단계를 거친 재료를 분쇄장비를 통하여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식용 나물로 제조된 차.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나물은 머위, 곤달비, 곤드레, 곰취, 비름, 명이나물, 냉이, 씀바귀, 민들레, 유채, 두릅, 엉게나물, 돈나물, 쑥으로 이루어진 군(群)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된 식용 나물로 제조된 차.

KR1020100052185A 2010-06-03 2010-06-03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 KR100996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185A KR100996229B1 (ko) 2010-06-03 2010-06-03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185A KR100996229B1 (ko) 2010-06-03 2010-06-03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229B1 true KR100996229B1 (ko) 2010-11-23

Family

ID=4341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185A KR100996229B1 (ko) 2010-06-03 2010-06-03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22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0760A (zh) * 2012-01-21 2012-07-11 乌鲁木齐一枝好生物科技有限公司 恰玛古茶及其制备方法
KR101200713B1 (ko) 2010-11-29 2012-11-13 강원친환경 영농조합법인 표고버섯 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549088A (zh) * 2013-11-22 2014-02-05 郭超民 一种蒲公英花茶的制作工艺
KR20160055296A (ko) * 2014-11-07 2016-05-18 (주)에코파낙스 홍삼 및 한약재를 포함한 기능성 약밥티백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9047B1 (ko) 2017-04-07 2017-11-17 농업회사법인 농신 주식회사 시래기 간이 식품 제조장치,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시래기 간이 식품
KR101817400B1 (ko) 2015-05-22 2018-01-10 박철수 아티초크를 이용한 아티초크 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0127A (ko) * 2019-01-18 2020-07-28 권태신 곰취차 제조방법
KR20210066386A (ko) * 2019-11-28 2021-06-07 이원태 깻잎차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881B1 (ko) 2006-09-22 2008-02-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은 항산화성 쑥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881B1 (ko) 2006-09-22 2008-02-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은 항산화성 쑥차의 제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13B1 (ko) 2010-11-29 2012-11-13 강원친환경 영농조합법인 표고버섯 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50760A (zh) * 2012-01-21 2012-07-11 乌鲁木齐一枝好生物科技有限公司 恰玛古茶及其制备方法
CN103549088A (zh) * 2013-11-22 2014-02-05 郭超民 一种蒲公英花茶的制作工艺
KR20160055296A (ko) * 2014-11-07 2016-05-18 (주)에코파낙스 홍삼 및 한약재를 포함한 기능성 약밥티백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4956B1 (ko) * 2014-11-07 2017-01-20 (주)에코파낙스 홍삼 및 한약재를 포함한 기능성 약밥티백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7400B1 (ko) 2015-05-22 2018-01-10 박철수 아티초크를 이용한 아티초크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1799047B1 (ko) 2017-04-07 2017-11-17 농업회사법인 농신 주식회사 시래기 간이 식품 제조장치,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시래기 간이 식품
KR20200090127A (ko) * 2019-01-18 2020-07-28 권태신 곰취차 제조방법
KR102376753B1 (ko) * 2019-01-18 2022-03-21 권태신 곰취차 제조방법
KR20210066386A (ko) * 2019-11-28 2021-06-07 이원태 깻잎차의 제조방법
KR102344925B1 (ko) * 2019-11-28 2021-12-29 이원태 깻잎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arke Edible and useful plants of California
KR100996229B1 (ko)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
KR100896902B1 (ko) 한방 개량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 고추장 조성물
CN103518911A (zh) 一种桃金娘叶绿茶的制备方法
CN106071822A (zh) 一种凉粽的制作方法
KR101658618B1 (ko) 연잎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60598A (ko)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2767A (ko) 전복장아찌 및 그 제조방법
Meuninck Basic Illustrated Edible Wild Plants and Useful Herbs
KR10167660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879016B1 (ko)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KR20120134750A (ko)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0896905B1 (ko)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KR101479228B1 (ko) 옥수수 감자 백숙의 제조방법 및 그 백숙
KR100886290B1 (ko) 유황오리와 작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696232B1 (ko) 모발 개선용 한방식품
CN106562391A (zh) 一种黄秋葵风味黄豆酱及其制作方法
KR101381994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101999972B1 (ko) 한방 동태탕의 제조방법
KR102653398B1 (ko) 오디를 함유한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2382950B1 (ko) 혼합 벌꿀의 제조방법
KR20140027773A (ko) 민들레를 이용한 포공영차 제조 방법
Roberts 100 Edible & Healing Flowers: cultivating-cooking-restoring health
KR102291514B1 (ko) 애완동물용 다이어트 간식 및 그 제조방법
CN107125386A (zh) 艾草茶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