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881B1 - 높은 항산화성 쑥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항산화성 쑥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881B1
KR100799881B1 KR1020060092470A KR20060092470A KR100799881B1 KR 100799881 B1 KR100799881 B1 KR 100799881B1 KR 1020060092470 A KR1020060092470 A KR 1020060092470A KR 20060092470 A KR20060092470 A KR 20060092470A KR 100799881 B1 KR100799881 B1 KR 100799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tea
electron donating
drying
donating 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구
정봉환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9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공여능(EDA)이 높은 쑥을 선발하여 항산화성이 높은 쑥차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쑥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국 각지에서 채집한 쑥들을 분석하여 가장 항산화성이 뛰어난 쑥을 선발하고 이를 원료로 하여 쑥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국 각지에서 쑥을 채집하는 단계, 채집된 쑥을 분석하여 항산화성이 뛰어난 쑥을 선발하는 단계, 쑥의 근경(根莖)을 약 5㎝ 길이로 잘라 정식 후 복토하여 선발쑥을 증식하는 단계, 선발 쑥을 수확하여 세척하는 단계, 40℃에서 건조하는 단계, 차로 만들기 위한 비비기와 건조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쑥, 채집, 항산화성, 전자공여능, 쑥차

Description

높은 항산화성 쑥차의 제조방법{Development of Mugwort Tea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ies}
도 1은 약효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사자발쑥과 수집쑥 중에서 선발된 AC126, AC145, AC170으로 쑥차를 만들고 이들의 전자공여능(EDA)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높은 항산화성 쑥차의 개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국 각지에서 채집한 쑥들을 분석하여 가장 항산화성이 뛰어난 쑥을 선발하고 이를 원료로 하여 쑥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쑥의 한약 이름은 "애엽"으로 약 30여 종류가 있으며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예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는데, 흔히 먹는 부드럽고 어린 쑥은 '애쑥' 또는 '참쑥'이라 하며 말려서 약으로 쓰거나 쑥뜸에 쓰는 것은 보통 '약쑥'이라 한다. 우리나라 속담에 "7년된 병을 3년 묵은 쑥을 먹고 고쳤다"하 는 말이 있듯이 쑥은 오래된 것일수록 좋으며 마늘, 당근과 더불어 성인병을 예방하는 3대 식물로 꼽힐 만큼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특히 위장병, 만성간염, 빈혈, 천식, 두통, 신경통, 류마티스, 동맥경화, 고혈압, 피로회복, 생리불순에 특효가 있으며 성인병 예방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지혈작용이 있어 상처가 생겨 피가 날 때 쑥의 생잎을 비벼서 상처에 붙이면 당장 피가 멎고, 피부미용에도 좋아서 쑥을 잘 게 썰어 탕에 넣고 목욕을 하면 몸이 훈훈해져 피로회복, 감기, 신경통, 냉증 등에 좋으며 피부의 독성 및 노폐물, 잡티를 제거하여 매끄럽고 촉촉한 피부로 가꿔준다. 또한 더러운 피를 정화시키고 부족한 피를 보충해주며 혈액순환을 도와 몸속의 냉기를 몰아내 몸을 따뜻하게 해준다. 추위를 많이 타는 사람이 쑥을 오래 먹으면 좋은 이유도 여기에 있는데 약쑥의 효능은 사람에 따라서 녹용보다도 더 나은 효과를 보는 경우가 있을 정도로, 녹용이 지닌 생혈(生血)작용과 보혈(補血)작용 뿐만 아니라, 청혈(淸血)작용을 같이하기 때문이다.
쑥의 엽록소는 암을 예방하고 피를 맑게 해주며 조혈, 살균, 미세혈관의 확장작용, 신진대사촉진, 항알레르기 작용을 한다. 인체 내의 다량의 불포화 지방산이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의 영향을 받아 혈액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을 만드는 과정에서 노화가 진행되는데 쑥의 탄닌 성분이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강력하게 억제하여 세포의 노화를 방지한다. 쑥은 특유의 은은한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냉기를 없애고 해충을 물리치는 작용을 한다. 간 기능을 활성화 시켜주는 풍부한 영양성분 그리고 비타민, 미네랄 등이 풍부하여, 간의 해독기능과 지방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피로회복 및 체력개선 기능을 한다. 쑥의 혈액순환 기능은 위 점막의 혈행이 개선되도록 하며, 쑥의 양질의 섬유질은 장의 연동운동과 점액분비를 원활하게 하여 쾌변을 도와준다. 여성의 만성적인 허리, 어깨 통증 및 냉기와 습기를 해소하여 각종 여성병에 특별한 효능이 있다. 쑥은 피를 맑게 하고,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줄여 혈압조절 및 지방대사를 도와 비만에 효과가 있다. 항암작용을 하는 풍부한 엽록소와 식물성 섬유, 미네랄, 비타민이 풍부하여 각종 약품, 비료, 농약 등의 독소를 분해해서 체외로 내보내는 강력한 해독작용을 한다.
이 분야와 관련된 종래 기술, 특히 특허 등록된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총 다섯 개의 특허가 있다. 첫째, 자연생쑥을 24시간 물에 담구어 독성을 제거하고 20℃∼25℃의 열풍으로 3∼4시간 건조시키는 제 1공정과 감초, 건강, 갈건, 진피, 계피에서 즙액을 추출하는 제2공정과 제1공정으로 처리된 쑥과 제2공정으로 처리된 즙액을 혼합하여 건조시킨 후 9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볶음으로서 제3공정의 결합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쑥차의 제조방법. 둘째, 쑥 원료를 선별, 세척하는 제1공정과 이를 100℃ 이상의 물에 약 1분정도 침지시켜 자숙한 후 압축기와 제환기 및 건조기를 통과시켜 건조된 환체형상의 반제품으로 형성하는 제2공정 및 이를 분쇄하는 제3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분말쑥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2단계 공정에서 수득된 환체형상의 반제품을 압착 로울러에 통과시켜 밀착 분쇄된 압착편 상태로 가공한 후 이를 커팅로울러에서 커팅 분쇄하는 방식의 제3공정을 채택함을 특징으 로 하는 분말쑥차의 제조방법. 셋째, 쑥을 정선하여 세척하고 그 세척한 쑥을 열수에서 단시간 데치는 단계; 데친 쑥을 냉수에서 세척하고 탈수하는 단계; 상기 탈수된 쑥을 쵸파기에서 압출 성형한 다음, 단시간에 완전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완전 건조시킨 쑥을 롤러분쇄기에서 쑥의 섬유질을 미분쇄시키고 이어서 상기 미분쇄된 쑥을 핀밀 분쇄기에서 완전 분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쑥의 제조방법. 넷째, 쑥을 채취하여 선별한 후 이를 65℃에서 3시간 열풍건조하여 건조 쑥을 수득하고, 이 건조쑥을 별도로 110 내지 120℃에서 10분 내지 15분간 볶아 볶음쑥을 수득한 다음, 건조쑥과 볶음쑥을 별도로 75 내지 80℃의 정제수에 1%를 넣은 후 30분간 침출시켜 각각의 건조쑥 추출액 및 볶음쑥 추출액을 생성하고, 건조쑥 추출액, 볶음쑥 추출액 및 정제수를 2:1:3.5의 비율로 혼합하여 쑥음료 베이스를 제조하는 방법. 다섯째, 인진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에 있어서, 인진 농축액 3∼25 중량부, 포도당 또는 유당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한 것의 합산중량이 70∼95 중량부, 비타민 첨가제 0.02∼5 중량부로 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을 함유한 과립차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광범위한 약리적 효능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모두 그 약리적 기능을 그대로 이용한 조성물에 한정되어 왔으며, 특정 효능을 분석하여 전자공여능이 높은 쑥을 선발하고 증식 수확하여 그 약리적 성분을 확보한 쑥차에 대하여 검토되거나 연구된 바 없어, 이에 대한 발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건강식품용 기능성 자원식물의 개발 및 상품화를 위해 전국 각지의 약용 작물을 수집하여 유전자 분석, 전자공여능 분석, 총 폴리페놀함량 분석 등을 실시하던 중에 예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던 쑥에 대한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음을 인지하고, 각종의 약리적 효능을 지닌 쑥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쑥차를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쉽고 더욱이 기호성을 높여 남녀노소가 복용의 불편함 없이 쑥이 갖는 약리적 성분을 직접적으로 섭취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항산화성이 뛰어난 쑥을 선발하고, 선발 쑥을 사용하여 기호성이 좋은 쑥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산화성이 높은 쑥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국 각지에서 쑥을 채집하는 단계, 채집된 쑥을 분석하여 항산화성이 뛰어난 쑥을 선발하는 단계, 쑥의 근경(根莖)을 약5cm 길이로 잘라 정식 후 복토하여 선발 쑥을 증식하는 단계, 선발 쑥을 수확하여 세척하는 단계, 40℃에서 건조하는 단계, 차로 만들기 위한 비비기와 건조 단계로 이루어지는 항산화성 쑥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국 각지에서 쑥을 채집하는 단계, 채집된 쑥의 전자공여능을 분석하여 항산화성이 뛰어난 쑥을 선발하는 단계, 쑥의 근경(根莖)을 약 5㎝ 길이로 잘라 정식 후 복토하여 선발 쑥을 증식하는 단계, 선발 쑥을 수확하여 세척하는 단계, 40℃에서 건조하는 단계, 차로 만들기 위한 비비기와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쑥 2g을 70℃의 100㎖의 온수에 3분간 우려내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성 쑥차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능력이 높은 쑥 품종을 전자공여능 분석을 통하여 선별하고 선발된 쑥 품종을 증식하고 수확하여 항암력이 높은 쑥을 확보하는 단계를 우선으로 포함한다. 암 발생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을 분석하여 항산화성이 뛰어난 쑥을 선발하였다. 활성산소는 에너지 대사과정이나 지질산화에 의하거나 자외선, 방사선, 전자파, 의약품, 농약 및 식품첨가물 등의 환경 호르몬과 스트레스에 의해 형성된다. 활성산소에 의하여 세포막 지질이나 단백질이 변성되어 세포막을 손상하고 세포내 단백질, 효소, 핵산 등의 변성을 일으켜 세포의 기능 장애를 유발하며 세포의 생체막의 불포화지방산을 산화시켜 생성되는 과산화지질이 단백질이나 DNA와 반응하여 조직의 퇴행성 변이나 돌연변이를 유발하여 질병이나 노화를 일으키며 나아가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2002년에 발행된 한국식품과학회지 34권 3호 498페이지부터 504페이지에 나와 있는 전자공여능 측정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샘플 100㎕에 1×10-4M DPPH(α,α-diphenyl-β-picrylhydrazyl) 1,400㎕를 투여하여 4분간 반응시키고 12,000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만을 취하였다. 상등액을 10분간 반응시키고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25nm에서 그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는 하기의 식에 의하여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으로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 = 1 - (샘플의 흡광도 / 증류수의 흡광도) × 100
실험 결과 나온 전자공여능 값은 표 1과 같다. 채집된 쑥의 종류에 따라 비교적 편차가 큰 전자공여능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쑥의 품종이나 지역에 따라 그 약리적 효능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적 전자공여능 값이 높은 AC126, AC145 및 AC170번을 증식을 위하여 선발하였다.
[표 1] 채집쑥의 열탕 추출 실험 결과
채집 쑥 번호 전자공여능(%) 채집 쑥 번호 전자공여능(%) 채집 쑥 번호 전자공여능(%)
AC1 12.0 AC39 50.5 AC141 84.5
AC2 48.5 AC40 59.6 AC142 91.3
AC3 24.1 AC43 80.3 AC144 58.3
AC4 25.8 AC44 55.6 AC145 89.9
AC5 41.0 AC47 42.3 AC146 46.8
AC6 78.8 AC48 46.5 AC154 53.5
AC7 70.9 AC49 78.9 AC159 46.7
AC9 24.8 AC51 91.2 AC163 52.4
AC10 43.5 AC53 20.1 AC164 21.9
AC11 14.5 AC58 53.1 AC166 40.8
AC12 27.4 AC59 77.2 AC167 65.4
AC13 40.9 AC65 85.2 AC168 89.1
AC14 21.8 AC67 87.1 AC169 88.9
AC15 83.5 AC68 52.9 AC170 87.7
AC16 50.9 AC70 87.3 AC171 63.2
AC17 62.0 AC73 89.7 AC172 82.5
AC18 84.1 AC76 90.2 AC173 86.9
AC19 54.5 AC78 90.3 AC175 45.9
AC20 72.9 AC79 88.8 AC177 35.1
AC21 53.3 AC82 45.9 AC179 52.9
AC22 37.4 AC89 50.4 AC185 60.5
AC23 61.9 AC93 65.1 AC218 60.5
AC24 74.3 AC98 89.2 AC220 85.4
AC25 40.2 AC99 44.5 AC287 79.2
AC26 40.9 AC102 88.2 AC321 48.4
AC27 65.4 AC104 87.6 AC332 38.1
AC28 34.7 AC109 85.4 AC351 66.1
AC30 86.1 AC114 78.9 AC352 37.4
AC33 87.9 AC115 86.8 AC355 43.7
AC34 89.1 AC126 90.5 AC357 45.1
AC35 57.5 AC129 35.5 AC361 60.7
AC37 76.9 AC132 89.5
AC38 43.4 AC134 51.9
*AC 번호 : 농촌진흥청 지정 농업유전자원관리기관 (충북대학교 소재)에 등재된 쑥 유전자원의 계통번호임.
<실시예 2>
선발 쑥 AC126, AC145 및 AC170번을 충북대학교 온실과 약용작물 포장에서 증식하였는데 1차로 온실내 포트에 쑥의 근경(根莖)을 약 5㎝ 길이로 잘라 정식 후 복토 하여 선발 쑥을 증식하고, 2차로 약용작물포장에 쑥의 뿌리가 옆으로 넘어가지 못하게 구획을 만들고 각각의 번호대로 다시 정식 후 복토하여 대량 번식에 성공하였다.
수확 후 세척하고 40℃에서 건조하는 단계, 차로 만들기 위한 비비기와 건조 단계를 통해 쑥차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쑥차들을 2g씩 취하여 70℃, 100㎖의 온수에 3분간 우려낸 후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는 사자발쑥을 대조구로 삼아 2g을 취하고 70℃, 100㎖의 온수에 3분간 우려낸 후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에 의하여 선발하고 증식ㆍ수확하여 제조된 쑥차의 경우 사자발쑥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표 2] 선발 쑥에 의해 제조된 쑥차의 전자공여능
시료 전자공여능 (%)
AC126 71.3
AC145 72.9
AC170 75.4
사자발쑥 52.6
본 발명은 강장, 건위, 정장, 진정, 이뇨 등에 유효하며 응급 시 소염, 지혈 등에 도 특효이고, 기혈을 바로잡고 몸을 덥혀주는 작용이 있으며, 식은땀이 날 때, 각기병 지혈, 하혈, 온위, 곽란, 제습, 건위, 신경통 등 민간요법의 약제로 많이 사용되는 쑥을 이용하여, 특히 항산화성이 높은 쑥차에 관한 것으로, 쑥의 우량계통 선발 및 대량생산기술 개발에 의해 최근 어려워진 농업 환경으로 고전하고 있는 농민들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고, 건강식품으로의 상품화를 통해 수요 창출과 고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하며, 국민 보건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전국 각지에서 쑥을 채집하는 단계; 채집된 쑥을 분석하여 항산화성이 뛰어난 쑥을 선발하는 단계; 쑥의 근경(根莖)을 5㎝ 길이 정도로 잘라 정식 후 복토하여 선발 쑥을 증식하는 단계; 선발 쑥을 수확하여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쑥을 40℃에서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쑥을 차로 만들기 위한 비비기와 건조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성 쑥차의 제조 방법.
  2. 제1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성 쑥차.
KR1020060092470A 2006-09-22 2006-09-22 높은 항산화성 쑥차의 제조방법 KR100799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470A KR100799881B1 (ko) 2006-09-22 2006-09-22 높은 항산화성 쑥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470A KR100799881B1 (ko) 2006-09-22 2006-09-22 높은 항산화성 쑥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881B1 true KR100799881B1 (ko) 2008-02-04

Family

ID=3934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470A KR100799881B1 (ko) 2006-09-22 2006-09-22 높은 항산화성 쑥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8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229B1 (ko) 2010-06-03 2010-11-23 노애순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
KR101143980B1 (ko) 2009-12-14 2012-05-09 하동군 취나물의 건조방법
KR101371175B1 (ko) * 2012-06-12 2014-03-07 김진순 개똥쑥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똥쑥 차의 제조방법
KR101454436B1 (ko) 2013-02-20 2014-11-04 원 열 배 풍미와 기능성이 향상된 쑥차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671B1 (ko) * 1985-07-02 1988-09-06 전강식 쑥차의 제조방법
JPH0889219A (ja) * 1994-09-20 1996-04-09 Seiki Tatsuzaki タイ産植物の健康煎飲料とその製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671B1 (ko) * 1985-07-02 1988-09-06 전강식 쑥차의 제조방법
JPH0889219A (ja) * 1994-09-20 1996-04-09 Seiki Tatsuzaki タイ産植物の健康煎飲料とその製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980B1 (ko) 2009-12-14 2012-05-09 하동군 취나물의 건조방법
KR100996229B1 (ko) 2010-06-03 2010-11-23 노애순 식용 나물을 차로 만드는 방법 및 이에 의해서 생산된 차
KR101371175B1 (ko) * 2012-06-12 2014-03-07 김진순 개똥쑥의 재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똥쑥 차의 제조방법
KR101454436B1 (ko) 2013-02-20 2014-11-04 원 열 배 풍미와 기능성이 향상된 쑥차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56297B1 (ko)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US10595552B2 (en) Preparation of mixed tea composition comprising aloeswood
KR20130029098A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이용한 이온미네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 된 건강음료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9881B1 (ko) 높은 항산화성 쑥차의 제조방법
KR101334827B1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443182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가지는 한방 약재 복합추출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모발성장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3177B1 (ko) 건강기능성 식품
KR100923043B1 (ko) 한방생약 혈압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100829048B1 (ko) 높은 항산화성 쑥엑기스의 특성 및 제조법
KR20110040568A (ko) 말뼈를 주재로 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145498B1 (ko) 천연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바디워시제조방법 및 그 바디워시조성물
CN106212783A (zh) 有机茶叶葛藤叶薯叶配方红茶
CN106107466A (zh) 一种含有中草药的混合面粉
KR20120024186A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95586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혼합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930122B1 (ko) 밤꽃 유래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 화장용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9156802A (zh) 一种有机健康的酱油调味品及其制备方法
KR102485019B1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1616B1 (ko) 누에 아미노산을 이용한 복합 비료 및 그 제조 방법
TW201900196A (zh) 樹豆萃取方法及其應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