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045B1 - 커넥터 세트 - Google Patents

커넥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045B1
KR102373045B1 KR1020197037789A KR20197037789A KR102373045B1 KR 102373045 B1 KR102373045 B1 KR 102373045B1 KR 1020197037789 A KR1020197037789 A KR 1020197037789A KR 20197037789 A KR20197037789 A KR 20197037789A KR 102373045 B1 KR102373045 B1 KR 102373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internal terminal
protrusion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891A (ko
Inventor
유마 아메모리
미츠오 이와타
유키히로 키타이치
신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004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Abstract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대향시켜 서로 감합해서 구성되는 커넥터 세트로서, 제 1 커넥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단자가 배열된 제 1 내부 단자와, 제 1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제 1 절연성 부재와, 제 1 내부 단자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제 1 외부 단자를 갖고, 제 2 커넥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단자가 배열되고, 제 1 내부 단자와 맞물리는 제 2 내부 단자와, 제 2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제 2 절연성 부재와, 제 2 내부 단자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제 2 외부 단자를 갖고, 제 1 커넥터는 감합 방향으로 제 1 내부 단자로부터 제 2 커넥터를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제 2 커넥터는 제 1 커넥터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오목부의 주위에 가이드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 세트
본 발명은 제 1 내부 단자를 갖는 제 1 커넥터와, 제 1 내부 단자와 맞물리는 제 2 내부 단자를 갖는 제 2 커넥터를 서로 감합시켜서 구성된 커넥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수형 내부 단자를 갖는 제 1 커넥터와, 암형 내부 단자를 갖는 제 2 커넥터를 감합할 때,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위치 결정의 정밀도에 변동이 있어서, 정확하게 감합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제 1 커넥터의 수형 내부 단자를 정확한 위치로 인도하는 가이드부를, 암형 내부 단자를 갖는 제 2 커넥터에 설치하여, 정확한 위치로 유인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6-85994호 공보 일본 특허공보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수형 내부 단자를 갖는 제 1 커넥터에 있어서, 암형 내부 단자를 갖는 제 2 커넥터의 가이드부와 대응하는 제 2 보강 금구의 두께 방향(감합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수형 내부 단자의 높이보다 낮다. 그 때문에, 가이드부에 의한 정확한 위치로의 유인이 이루어지기 전, 즉, 유인이 불충분한 상태에서, 아직 부정확한 위치에서 수형 내부 단자가 암형 내부 단자와 접촉해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어느 하나의 내부 단자가 변형되고, 최악의 경우에는 감합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감합시에 각각의 내부 단자가 부정확한 위치에서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여, 감합 불능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 세트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대향시켜 서로 감합해서 구성되는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단자가 배열된 제 1 내부 단자와,
상기 제 1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제 1 절연성 부재와,
상기 제 1 내부 단자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제 1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단자가 배열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제 1 내부 단자와 맞물리는 제 2 내부 단자와,
상기 제 2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제 2 절연성 부재와,
상기 제 2 내부 단자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제 2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단자보다 상기 제 2 커넥터를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주위에 가이드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 세트에 의하면, 제 1 커넥터에서는 제 1 외부 단자가 제 1 내부 단자보다 높다. 또한, 제 2 커넥터에서는 가이드부가 제 2 내부 단자보다 높다. 그래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감합시에, 제 1 및 제 2 내부 단자끼리의 접촉보다, 제 1 커넥터의 제 1 외부 단자와 제 2 커넥터의 가이드부가 먼저 접촉한다. 그래서, 제 1 커넥터를 정확한 위치로 유인하기 쉬워져서, 제 1 내부 단자 및 제 2 내부 단자의 변형의 발생 및 감합 불능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 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a는 제 1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제 1 커넥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a는 제 2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제 2 커넥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B-B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2의 제 1 커넥터와 도 3의 제 2 커넥터를 대향시켜 감합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단자측으로부터 외부 단자를 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2의 제 1 커넥터와 도 3의 제 2 커넥터가 접촉하기 시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단자측으로부터 외부 단자를 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2의 제 1 커넥터와 도 3의 제 2 커넥터의 감합이 완료되어 커넥터 세트를 구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단자측으로부터 외부 단자를 본 개략 단면도이다.
도 7a는 실시형태 2에 관한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양단의 제 1 외부 단자 중 일방의 제 1 외부 단자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a는 실시형태 3에 관한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양단의 제 2 외부 단자 내의 일방의 제 2 외부 단자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제 1 형태에 관한 커넥터 세트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대향시켜 서로 감합해서 구성되는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단자가 배열된 제 1 내부 단자와,
상기 제 1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제 1 절연성 부재와,
상기 제 1 내부 단자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제 1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단자가 배열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제 1 내부 단자와 맞물리는 제 2 내부 단자와,
상기 제 2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제 2 절연성 부재와,
상기 제 2 내부 단자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제 2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단자보다 상기 제 2 커넥터를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주위에 가이드부를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 커넥터에서는 제 1 외부 단자가 제 1 내부 단자보다 높은 돌출부를 갖는다. 또한, 제 2 커넥터에서는 가이드부가 제 2 내부 단자보다 높다. 그래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감합시에, 제 1 및 제 2 내부 단자끼리의 접촉보다 제 1 커넥터의 돌출부와 제 2 커넥터의 가이드부가 먼저 접촉한다. 그래서, 제 1 커넥터를 정확한 위치로 유인하기 쉬워져서, 제 1 내부 단자 및 제 2 내부 단자의 변형의 발생 및 감합 불능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형태에 관한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단자보다 제 1 커넥터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제 3 형태에 관한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형태 또는 제 2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의 일부로서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4 형태에 관한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형태∼제 3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 커넥터의 돌출부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형태에 관한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형태∼제 4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오목부의 주위에 상기 오목부를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져도 좋다.
제 6 형태에 관한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5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1 내부 단자의 고저차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제 2 내부 단자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의 고저차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커도 좋다.
제 7 형태에 관한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형태∼제 6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 2 커넥터를 관통하는 관통공이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 커넥터의 돌출부의 높이를 제 2 커넥터의 관통구멍의 높이와 대략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의 높이를 한계까지 높게 함으로써, 제 1 커넥터의 가이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감합시의 제품 높이가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8 형태에 관한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형태∼제 7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2 외부 단자의 일부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9 형태에 관한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형태∼제 8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가이드부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2 커넥터의 가이드부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0 형태에 관한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형태∼제 9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피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피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면에 수직한 3면과, 상기 3면의 사이를 연속해서 접속하는 볼록면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피가이드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또한, 피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면에 수직한 3면과, 3면의 사이를 연속해서 접속하는 볼록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가능한 위치 어긋남의 허용 범위가 크다.
제 11 형태에 관한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0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피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의 일부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 세트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실시형태 1)
<커넥터 세트>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 세트(3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세트(30)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1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세트(30)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20)의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각 도면에는 편의상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 세트(30)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대향시켜 서로 감합해서 구성되는 커넥터 세트이다. 제 1 커넥터(10)는 제 1 내부 단자(11)와, 제 1 절연성 부재(12)와, 2개의 제 1 외부 단자(13a, 13b)를 갖는다. 제 1 내부 단자(11)는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1개 또는 복수의 볼록형 단자가 배열되어 있다. 제 1 절연성 부재(12)에 의해 제 1 내부 단자(11)를 지지한다. 2개의 제 1 외부 단자(13a, 13b)는 제 1 내부 단자(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의 양단에 각각 이간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 2 커넥터(20)는 제 2 내부 단자(21)와, 제 2 절연성 부재(22)와, 2개의 제 2 외부 단자(23a, 23b)를 갖는다. 제 2 내부 단자(21)는 길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1개 또는 복수의 오목형 단자가 배열되고, 제 1 커넥터(10)의 제 1 내부 단자(11)와 맞물린다. 제 2 절연성 부재(22)에 의해 제 2 내부 단자(21)를 지지한다. 제 2 외부 단자(23a, 23b)는 제 2 내부 단자(2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의 양단에 각각 이간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 1 커넥터(10)는 제 2 커넥터(20)와의 감합면(x-y 평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 감합 방향)에 있어서, 제 1 내부 단자(11)보다 제 2 커넥터(20)를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제 1 외부 단자(13a, 13b))를 갖는다. 또한, 제 2 커넥터(20)는 제 1 커넥터(10)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24a, 24b)와, 오목부(24a, 24b)의 주위에 제 1 커넥터(10)와의 감합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내부 단자(21)보다 제 1 커넥터(10)측으로 돌출하는 가이드부(25a, 25b)를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의 감합시에, 제 1 내부 단자(11)보다 높은 제 1 외부 단자(13a, 13b)와, 제 2 내부 단자(21)보다 높은 가이드부(25a, 25b)가 제 1 및 제 2 내부 단자(11, 21)끼리의 접촉보다 먼저 접촉한다. 그래서, 제 1 커넥터(10)를 정확한 위치로 유인하기 쉬워진다. 즉, 감합시의 가이드성이 좋아져서, 스무드한 감합을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내부 단자(11) 및 제 2 내부 단자(21)의 변형의 발생 및 감합 불능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 이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커넥터>
도 4a는 제 1 커넥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제 1 커넥터(10)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각 도면에는 편의상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커넥터(10)는 제 1 내부 단자(11)와, 제 1 절연성 부재(12)와, 2개의 제 1 외부 단자(13a, 13b)를 갖는다.
또한, 제 1 커넥터(10)는 제 2 커넥터(20)와의 감합면에 수직한 방향(감합 방향)에 있어서, 제 1 내부 단자(11)보다 제 2 커넥터(20)를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제 1 내부 단자>
제 1 내부 단자(11)는 길이 방향을 따라 1개 또는 복수의 볼록형 단자가 배열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내부 단자(11)는 통상 수형 내부 단자라고도 불린다. 이 제 1 내부 단자(11)는, 예를 들면 신호 전위 또는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도체이며, 도전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부재를 절곡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내부 단자(11)는, 예를 들면 제 1 절연성 부재(12)의 홈에 끼워져서 지지된다. 제 1 내부 단자(11)로서는, 예를 들면 인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인청동은 도전성을 가짐과 아울러,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이다.
또한, 도 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내부 단자(11)는 길이 방향을 따라 1열에 10개의 볼록형 단자가 연장되는 2열의 볼록형 단자열을 갖는다. 또한, 2열에 한정되지 않고, 3열 이상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제 1 내부 단자(11)의 열 간에 있어서의 전자파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 1 내부 단자(11)의 열 간에 도전성 실드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좋다. 실드 부재는, 예를 들면 제 1 절연성 부재(12)의 중앙 홈에 끼워져서 지지되어도 좋다. 또한, 실드 부재는 제 1 내부 단자(11)의 열 간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연장되어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 1 내부 단자(11)에는 1개 또는 복수의 볼록형 단자가 배열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복수의 오목형 단자가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 1 내부 단자(11)와 맞물리는 제 2 내부 단자(21)에는 1개 또는 복수의 오목형 단자 대신에, 1개 또는 복수의 볼록형 단자가 배열된다.
<제 1 외부 단자>
제 1 외부 단자(13a, 13b)는 제 1 내부 단자(11)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이간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제 1 외부 단자(13a, 13b)는 서로 분리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 1 외부 단자(13a, 13b)는 연속한 부재로 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외부 단자(13a, 13b)는, 예를 들면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도체이다. 제 1 외부 단자(13a, 13b)는 접지 전위에 접속되어서 어스 전위를 유지함으로써, 제 1 커넥터(10)의 외부로부터의 전파를 차폐하여, 제 1 커넥터(10) 내를 전기적 차폐 공간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1 외부 단자(13a, 13b)는 특히 제 1 내부 단자(11)가 제 1 커넥터(10)의 외부로부터의 전파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재로서도 유용하다. 제 1 외부 단자(13a, 13b)로서는, 예를 들면 인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인청동은 도전성을 가짐과 아울러,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이다. 또한, 표면에는, 예를 들면 도금 등을 행해도 좋다. 제 1 외부 단자(13a, 13b)는, 예를 들면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절연성 부재>
제 1 절연성 부재(12)는 제 1 내부 단자(11)를 지지함과 아울러, 제 1 외부 단자(13a, 13b)를 일체적으로 지지한다. 제 1 절연성 부재(12)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폴리머 등의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제 1 절연성 부재(12)로서 수지 케이스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전체를 일체화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제 1 내부 단자(11)와, 제 1 외부 단자(13a, 13b)를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1 절연성 부재(12)에 의해 인서트 몰드 성형에 의해 제 1 커넥터(10)를 구성해도 좋다.
<돌출부>
도 4c의 단면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제 1 외부 단자(13a, 13b)는 제 2 커넥터(20)와의 감합면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서, 제 1 내부 단자(11)보다 제 2 커넥터(20)를 향해서 돌출량(d1)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이다. 즉, 돌출부는 제 1 외부 단자(13a, 13b)의 일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제 1 외부 단자(13a, 13b)는 가이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 일부로서 설치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외부 단자와는 다른 부재로 설치해도 좋다. 또한, 금속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이어도 좋다.
<제 2 커넥터>
도 5a는 제 2 커넥터(2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제 2 커넥터(20)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B-B선에 따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각 도면에는 편의상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커넥터(20)는 제 2 내부 단자(21)와, 제 2 절연성 부재(22)와, 제 2 외부 단자(23a, 23b)를 갖는다. 제 2 커넥터(20)는 제 1 커넥터(10)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고 있어서, 제 1 커넥터(10)보다 사이즈가 크다.
또한, 제 2 커넥터는 제 1 커넥터(10)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24a, 24b)와, 오목부(24a, 24b)의 주위에 제 1 커넥터(10)와의 감합면에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제 2 내부 단자(21)보다 제 1 커넥터(10)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25a, 25b)를 갖는다.
<제 2 내부 단자>
제 2 내부 단자(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1개 또는 복수의 오목형 단자가 배열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내부 단자(21)는 통상 암형 내부 단자라고도 불린다. 이 제 2 내부 단자는 제 1 커넥터(10)의 제 1 내부 단자(11)와 맞물린다. 또한, 이 제 2 내부 단자(21)는, 예를 들면 신호 전위 또는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도체이며, 도전성을 갖는 막대 형상의 부재를 절곡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내부 단자(21)는, 예를 들면 제 2 절연성 부재(22)의 홈에 끼워져서 지지된다. 제 2 내부 단자(21)로서는, 예를 들면 인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인청동은 도전성을 가짐과 아울러,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이다.
또한, 도 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내부 단자(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1열에 10개의 오목형 단자가 연장되는 2열의 오목형 단자열을 갖는다. 또한, 2열에 한정되지 않고, 3열 이상을 설치해도 좋다. 각 오목형 단자는 제 1 내부 단자(11)의 각 볼록형 단자와 일대일 대응해서 접촉하고 맞물린다. 맞물릴 때에는 오목형 단자의 내측의 단부가 개방되어 볼록형 단자와 맞물린다. 또한, 제 2 내부 단자(21)의 열 간에 있어서의 전자파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 2 내부 단자(21)의 열 간에 도전성 실드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좋다. 실드 부재는, 예를 들면 제 2 절연성 부재(22)의 중앙 홈에 끼워져서 지지되어도 좋다. 또한, 실드 부재는 제 2 내부 단자(21)의 열 간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연장되어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 2 내부 단자(21)에는 1개 또는 복수의 오목형 단자가 배열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복수의 볼록형 단자가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 2 내부 단자(21)와 맞물리는 제 1 내부 단자(11)에는 1개 또는 복수의 볼록형 단자 대신에, 1개 또는 복수의 오목형 단자가 배열된다.
제 2 외부 단자(23a, 23b)는 제 2 내부 단자(2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의 양단에 각각 이간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외부 단자(23a, 23b)는 제 2 커넥터(20)를 둘러싸도록 환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양단의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외부 단자(23a, 23b)는, 예를 들면 접지 전위에 접속되는 도체이다. 제 2 외부 단자(23a, 23b)는 접지 전위에 접속되어서 어스 전위를 유지함으로써, 제 2 커넥터(20)의 외부로부터의 전파를 차폐하여, 제 2 커넥터(20) 내를 전기적 차폐 공간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2 외부 단자(23a, 23b)는 특히 제 2 내부 단자(21)가 제 2 커넥터(20)의 외부로부터의 전파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재로서도 유용하다. 제 2 외부 단자(23a, 23b)로서는, 예를 들면 인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인청동은 도전성을 가짐과 아울러,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이다. 제 2 외부 단자(23a, 23b)는, 예를 들면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절연성 부재>
제 2 절연성 부재(22)는 제 2 내부 단자(21)를 지지함과 아울러, 제 2 외부 단자(23a, 23b)를 일체적으로 지지한다. 제 2 절연성 부재(22)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제 2 내부 단자(21)는 제 2 절연성 부재(22)에 압입에 의해 매립되어도 좋다. 또는, 전체를 일체화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제 2 내부 단자(21)와 제 2 외부 단자(23a, 23b)를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2 절연성 부재(22)에 의해 인서트 몰드 성형에 의해 제 2 커넥터(20)를 구성해도 좋다.
<오목부>
오목부(24a, 24b)는 제 1 커넥터(10)의 돌출부인 제 1 외부 단자(13a, 13b)를 수용한다. 또한, 오목부(24a, 24b)는 수지 바닥을 갖는 구멍이어도, 또는 수지 바닥을 갖지 않는 관통구멍이어도 좋다. 오목부(24a, 24b)를 관통공으로 함으로써, 제 1 커넥터(10)의 돌출부인 제 1 외부 단자(13a, 13b)의 높이를 제 2 커넥터(20)의 관통구멍의 높이와 대략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의 높이를 한계까지 높게 함으로써, 제 1 커넥터(10)의 가이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제 1 커넥터(10)의 돌출부인 제 1 외부 단자(13a, 13b)의 높이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감합시의 제품(커넥터 세트)의 높이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이드부(유인부)>
가이드부(25a, 25b)는 오목부(24a, 24b)의 주위에 제 1 커넥터(10)와의 감합면에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 제 2 내부 단자(21)보다 제 1 커넥터(10)측으로 돌출된다. 즉, 가이드부(25a, 25b)는 제 1 커넥터(10)의 가이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커넥터 세트(30)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20)에서는 가이드부(25a, 25b)는 길이 방향(x축 방향)의 양단의 3변(단변(y축), 단변의 양측의 장변의 일부)에 대해서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 2 외부 단자(23a, 23b)에 의해 불연속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의 실시형태 3에 기재와 같이, 가이드부(25a, 25b)는 길이 방향(x축 방향)의 양단의 3변에 걸쳐서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가이드부(25a, 25b)는 금속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로 이루어진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분과 수지로 이루어진 부분을 포함해도 좋다.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감합>
도 6a는 도 2의 제 1 커넥터(10)와 도 3의 제 2 커넥터(20)를 대향시켜 감합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내부 단자(11) 및 제 2 내부 단자(21)측으로부터 제 1 외부 단자(13a) 및 제 2 외부 단자(23a)를 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2의 제 1 커넥터(10)와 도 3의 제 2 커넥터(20)가 접촉하기 시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내부 단자(11) 및 제 2 내부 단자(21)측으로부터 제 1 외부 단자(13a) 및 제 2 외부 단자(23a)를 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2의 제 1 커넥터(10)와 도 3의 제 2 커넥터(20)의 감합이 완료되어 커넥터 세트(30)를 구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내부 단자(11) 및 제 2 내부 단자(21)측으로부터 제 1 외부 단자(13a) 및 제 2 외부 단자(23a)를 본 개략 단면도이다. 각 도면에는 편의상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의 감합시에는 각각의 z축을 서로 대향시켜 감합시킨다. 그 때문에, 감합시에는 제 1 커넥터(10)의 y축, z축과, 제 2 커넥터(20)의 y축, z축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해서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 도 6a∼도 6c를 이용하여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의 감합시의 상태를 설명한다.
(1) 제 1 커넥터(10)의 z축과 제 2 커넥터(20)의 z축을 서로 대향시켜 배치한다(도 6a). 도 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단자(13a)는 제 2 커넥터(20)와의 감합면(x-y 평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 감합 방향)에 있어서, 제 1 내부 단자(11)보다 제 2 커넥터(20)를 향해서 돌출량(d1)만큼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단자(23a)는 제 1 커넥터(10)와의 감합면(x-y 평면)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내부 단자(21)보다 제 1 커넥터(10)를 향해서 돌출량(d2)만큼 돌출되어 있다. 제 1 외부 단자(13a)의 돌출량(d1)과, 제 2 외부 단자(23a)의 돌출량(d2)은 실질적으로 동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커넥터(20)의 가이드부(25a)의 경사면(26a)의 하단부(27)는 제 2 내부 단자(21)보다 z축 방향에서 고저차(d3)가 낮다.
(2) 이어서,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단자(13a)가 제 2 커넥터(20)의 제 2 외부 단자(23a)의 일부인 가이드부(25a)의 경사면(26a)을 따라 하단부(27)까지 가이드된다(도 6b). 즉, 감합시에는 가이드부(25a, 25b)와 피가이드부인 제 1 외부 단자(13a, 13b)가 접촉해서 위치 결정되고, 그 후 제 1 내부 단자(11)와 제 2 내부 단자(21)가 맞물린다. 도 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의 제 1 외부 단자(13a)는 제 2 커넥터(20)의 가이드부(25a)의 경사면(26a)을 따라 하단부(27)까지 가이드된다. 이 시점에서, 제 1 커넥터(10)의 제 1 내부 단자(11)와 제 2 커넥터(20)의 제 2 내부 단자(21)가 서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1 외부 단자(13a)의 돌출량(d1)은 가이드부(25a)의 경사면(26a)의 하단부(27)와 제 2 내부 단자(21)의 고저차(d3)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3) 그 후, 제 1 커넥터(10)의 제 1 내부 단자(11)와 제 2 커넥터(20)의 제 2 내부 단자(21)가 서로 맞물려서 커넥터 세트(30)를 구성한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 세트(30)가 구성된다.
(실시형태 2)
도 7a는 실시형태 2에 관한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양단의 제 1 외부 단자 중 일방의 제 1 외부 단자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각 도면에는 편의상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2에 관한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10a)를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와 대비하면, 피가이드부인 제 1 외부 단자(13a, 13b)는 제 1 커넥터(10a)와 제 2 커넥터(20)의 감합면에 수직한 3면과, 상기 3면의 사이를 연속해서 접속하는 볼록면(14)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위한다. 즉, 피가이드부인 제 1 외부 단자(13a, 13b)는 제 1 커넥터(10)의 제 1 절연성 부재(수지 케이스)(12)의 단부(코너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 1 커넥터(10)의 외측 측면의 3면으로부터 상면, 외측 측면으로부터 인접하는 외측 측면에 걸쳐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커넥터(20)와의 감합시에 있어서의 가이드성이 향상되어, 제 2 커넥터(20)의 변형,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면(14)은, 예를 들면 드로잉 가공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8a는 실시형태 3에 관한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20a)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양단의 제 2 외부 단자(23a, 23b) 내의 일방의 제 2 외부 단자(23a)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각 도면에는 편의상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3에 관한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20a)를 실시형태 1에 관한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와 대비하면, 가이드부(25a)가 3변에 걸쳐서 제 2 외부 단자(23a)에 의해 연속해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위한다.
이와 같이 제 2 커넥터(20)의 가이드부(25a)의 제 1 커넥터(10)와의 접촉면 모두에 대해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외부 단자(23a)의 R면(오목면)이 접촉함으로써, 가이드 가능한 위치 어긋남의 허용 범위가 넓음과 아울러, 제 2 커넥터(20)의 수지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5a)를 연속면으로 함으로써, 가이드시에 단자의 걸림을 느끼는 일이 없어서, 가이드의 감촉이 향상된다. 그래서, 오감합시의 단자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5a)의 경사면(26a)은 금속의 압연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경사면(26a)은 금속판의 파단면, 또는 파단면의 테이퍼부가 아니라, 금속의 압연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매끄러운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5a)의 코너부의 경사면(26a)의 하단부에 노치(28a)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외부 단자(23a)의 프레스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는 상술한 각종의 실시형태 및/또는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형태 및/또는 실시예를 적당히 조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며, 각각의 실시형태 및/또는 실시예가 갖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 세트에 의하면,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감합시에 제 1 커넥터를 정확한 위치로 유인하기 쉬워져서, 제 1 내부 단자 및 제 2 내부 단자의 변형의 발생 및 감합 불능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커넥터 세트로서 유용하다.
10: 제 1 커넥터
11: 제 1 내부 단자
12: 제 1 절연성 부재
13a, 13b: 제 1 외부 단자(돌출부)
14: R면(볼록면)
20: 제 2 커넥터
21: 제 2 내부 단자
22: 제 2 절연성 부재
23a, 23b: 제 2 외부 단자
24a, 24b: 오목부
25a, 25b: 가이드부
26a, 26b: 경사면
27: 하단부
28a: 절개부
30: 커넥터 세트
d1: 제 1 커넥터의 제 1 외부 단자의 제 1 내부 단자에 대한 돌출량
d2: 제 2 커넥터의 제 2 외부 단자의 제 2 내부 단자에 대한 돌출량
d3: 제 2 커넥터의 가이드부의 경사면 하단부와 제 2 내부 단자의 고저차

Claims (19)

  1.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대향시켜 서로 감합해서 구성되는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단자가 배열된 제 1 내부 단자와,
    상기 제 1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제 1 절연성 부재와,
    상기 제 1 내부 단자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제 1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단자가 배열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제 1 내부 단자와 맞물리는 제 2 내부 단자와,
    상기 제 2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제 2 절연성 부재와,
    상기 제 2 내부 단자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제 2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단자보다 상기 제 2 커넥터를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주위에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의 일부로서 설치되거나,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2 외부 단자의 일부로서 설치되고,
    상기 제 1 외부 단자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의 적어도 하나는 접지전위에 접속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오목부의 주위에 상기 오목부를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은 금속의 압연면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세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오목부의 주위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커넥터 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복수의 경사면을 갖고, 상기 복수의 경사면은, 적어도 1개씩은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는 3변에 각각 배치되는 커넥터 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단자보다 제 1 커넥터측으로 돌출하는 커넥터 세트.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세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1 내부 단자의 고저차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제 2 내부 단자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의 고저차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큰 커넥터 세트.
  9. 제 1 항, 제 5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 2 커넥터를 관통하는 관통공인 커넥터 세트.
  10. 삭제
  11. 제 1 항, 제 5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가이드부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세트.
  12. 제 1 항, 제 5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피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피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면에 수직한 3면과, 상기 3면의 사이를 연속해서 접속하는 볼록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세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피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의 일부로서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세트.
  14.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대향시켜 서로 감합해서 구성되는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단자가 배열된 제 1 내부 단자와,
    상기 제 1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제 1 절연성 부재와,
    상기 제 1 내부 단자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제 1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단자가 배열되고,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제 1 내부 단자와 맞물리는 제 2 내부 단자와,
    상기 제 2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제 2 절연성 부재와,
    상기 제 2 내부 단자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에 설치된 제 2 외부 단자를 갖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2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단자보다 상기 제 2 커넥터를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주위에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오목부의 주위에 상기 제 2 외부 단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향해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외부 단자의 일부로서 설치되거나,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2 외부 단자의 일부로서 설치되고,
    상기 제 1 외부 단자와 상기 제 2 외부 단자의 적어도 하나는 접지전위에 접속되고,
    상기 경사면은 금속의 압연면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세트.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단자보다 제 1 커넥터측으로 돌출하는 커넥터 세트.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1 내부 단자의 고저차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제 2 내부 단자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의 고저차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큰 커넥터 세트.
KR1020197037789A 2017-07-24 2018-05-24 커넥터 세트 KR102373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2562 2017-07-24
JPJP-P-2017-142562 2017-07-24
PCT/JP2018/020057 WO2019021611A1 (ja) 2017-07-24 2018-05-24 コネクタ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891A KR20200004891A (ko) 2020-01-14
KR102373045B1 true KR102373045B1 (ko) 2022-03-11

Family

ID=6503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789A KR102373045B1 (ko) 2017-07-24 2018-05-24 커넥터 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10779B2 (ko)
JP (1) JP6950740B2 (ko)
KR (1) KR102373045B1 (ko)
CN (1) CN110915068B (ko)
TW (1) TWI664780B (ko)
WO (1) WO2019021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13294S (ko) * 2018-02-20 2018-09-10
JP1638446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606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447S (ko) * 2018-12-28 2019-08-05
WO2020203591A1 (ja) 2019-03-29 2020-10-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極コネクタセット
WO2020218385A1 (ja) 2019-04-24 2020-10-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極コネクタセット
JP7364363B2 (ja) * 2019-04-25 2023-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11095059B2 (en) 2019-04-25 2021-08-17 Molex, Llc Connector
WO2021000152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多极连接器
JP1650284S (ko) * 2019-07-29 2020-01-20
JP1663235S (ko) 2020-02-13 2020-07-06
JP7348131B2 (ja) * 2020-04-28 2023-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US11489291B2 (en) * 2020-05-13 2022-11-0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Board-to-boar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9684A (ja) * 2010-09-08 2012-04-19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4212049A (ja) * 2013-04-19 2014-11-13 Smk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JP2015082446A (ja) 2013-10-23 2015-04-27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20160315430A1 (en) 2015-04-23 2016-10-27 Molex, Llc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2709B2 (ja) * 2000-03-28 2006-01-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6793506B1 (en) * 2003-08-27 2004-09-21 Molex Incorporat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M284091U (en) * 2005-04-21 2005-12-21 Molex Taiwan Ltd Electrical connector
JP4858050B2 (ja) * 2006-09-2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12187B2 (ja) * 2007-03-08 2012-04-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面実装コネクタ
JP4978313B2 (ja) * 2007-05-31 2012-07-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100291776A1 (en) * 2009-05-13 2010-11-18 Sheng-Yuan Huang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5270703B2 (ja) * 2011-02-17 2013-08-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358615B2 (ja) * 2011-04-19 2013-12-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908225B2 (ja) * 2011-07-06 2016-04-2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20140363991A1 (en) * 2012-11-29 2014-12-11 Samtec, Inc. Ultra low-profile connectors
JP5809198B2 (ja) * 2013-06-10 2015-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ガイド金具付電気コネクタ
JP2017007793A (ja) 2015-06-22 2017-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検知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装置
JP6513509B2 (ja) 2015-07-01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2017016891A (ja) * 2015-07-01 2017-01-19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CN106356656A (zh) * 2015-07-17 2017-01-25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JP6404248B2 (ja) 2016-02-15 2018-10-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145529B2 (ja) * 2016-03-01 2017-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9684A (ja) * 2010-09-08 2012-04-19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4212049A (ja) * 2013-04-19 2014-11-13 Smk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JP2015082446A (ja) 2013-10-23 2015-04-27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20160315430A1 (en) 2015-04-23 2016-10-27 Molex, Llc Connector
JP2016207478A (ja) 2015-04-23 2016-12-0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64780B (zh) 2019-07-01
JP6950740B2 (ja) 2021-10-13
KR20200004891A (ko) 2020-01-14
TW201909494A (zh) 2019-03-01
CN110915068A (zh) 2020-03-24
US20200161816A1 (en) 2020-05-21
CN110915068B (zh) 2021-11-09
JPWO2019021611A1 (ja) 2020-04-16
WO2019021611A1 (ja) 2019-01-31
US10910779B2 (en)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045B1 (ko) 커넥터 세트
JP6591251B2 (ja) コネクタ
US9484656B2 (en) Electrical connector
WO2018025873A1 (ja) コネクタ
JP5135015B2 (ja) 電気コネクタ
WO2018025874A1 (ja) コネクタ
KR102494901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US8113884B2 (en) Connector
JP6227103B2 (ja) コネクタ
US11563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electromagnetic shielding frame surrounding plurality of terminals and connector housing
CN104347998A (zh) 连接器
KR20090075774A (ko) 커넥터
CN103378447B (zh) 连接器
US20140057492A1 (en) Shielded Connector Assembly
JP5166931B2 (ja) 電気コネクタ
US11888268B2 (en) Multi-pole connector set including a shield for suppressing electromagnetic wave interference
JPWO2018025875A1 (ja) コンタクト
CN108370120B (zh) 连接器
CN113348595A (zh) 多极连接器组件
CN216872292U (zh) 电连接器以及具备该电连接器的电连接器套件
JP6266734B1 (ja) コネクタ
EP2937950B1 (en) Connector
JP2016096152A (ja) コネクタ
CN114792899A (zh) 具备嵌件成型的端子的连接器
JP2018181468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