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009B1 -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009B1
KR102373009B1 KR1020200153724A KR20200153724A KR102373009B1 KR 102373009 B1 KR102373009 B1 KR 102373009B1 KR 1020200153724 A KR1020200153724 A KR 1020200153724A KR 20200153724 A KR20200153724 A KR 20200153724A KR 102373009 B1 KR102373009 B1 KR 102373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pinch roll
support plate
pressing
cente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5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68Camber or steering control for strip, sheets or plates, e.g. preventing mea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20Track of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는 연속 공정에서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교정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에 있어서, 스트립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되는 고정 핀치롤; 스트립을 기준으로 고정 핀치롤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압착 핀치롤; 압착 핀치롤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압착 핀치롤을 스트립 측으로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압착 구동부; 및 고정 핀치롤과 압착 핀치롤과 압착 구동부가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를 스트립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교정 구동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STRIP CENTERING DEVICE}
본 발명은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립의 이송 시 사행을 방지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냉연 강판의 연속공정에서 코일 형태의 스트립(S1,S2)은 장력이 작용한 상태로 풀려지면서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스트립의 연속적인 이송을 위하여, 선행하는 스트립(S1)이 완전히 풀려지면 선행 스트립(S1)의 미단부와 후행하는 스트립(S2)의 선단부를 용접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페이오프릴(3)에서 완전히 풀린 선행 스트립(S1)의 미단부와 후행하는 스트립(S2)의 선단부는 각각 컷팅기(2)에서 컷팅되어 용접면이 가공된 후에 용접기(1)에서 상호 용접된다. 이 때, 용접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용접기(1)로 투입되는 선행 스트립(S1)의 미단부와 후행 스트립(S2)의 선단부는 선,후행 스트립(S1,S2)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일치시켜야 한다.
스트립의 이송 시 스트립이 편향되어 돌출되면 공정 상의 기계장치 및 구조물 등에 접촉되어 스트립의 엣지가 파손 또는 파단되어 공정 중단 및 품질 저하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트립의 사행을 방지하기 위해 선행 스트립(S1)의 측면에서 선행 스트립(S1)을 지지하는 클램프(5,6)가 마련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클램프(5,6)는 선행 스트립(S1)의 편향이 심할 경우 스트립이 찢어지거나 엣지부가 찌그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 스트립(S1)의 미단부와 후행 스트립(S2)의 선단부를 클램프(5,6)로 교정하여 스트립 용접부의 상호 중심선을 일치시키더라도, 용접부에서만 중심이 일치할 뿐 용접기(1)를 벗어난 지점에서는 중심의 연결이 불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스트립이 편향되어 처지거나 버클(Buckle)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선행 스트립(S1)의 미단부와 후행 스트립(S2)의 선단부는 장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스트립의 사행이 빈번하게 일어나며 상호 중심선을 일치시키기가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06146호(2003. 01. 23. 공개)
본 실시 예는 스트립의 사행을 방지하여 스트립의 불량 및 버클을 방지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스트립의 연속 공정의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스트립의 사행을 교정하여 용접 시간을 단축시키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는 스트립의 사행 교정 시 스트립의 표면 및 엣지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 불량을 저감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연속 공정에서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교정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에 있어서, 스트립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되는 고정 핀치롤; 스트립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 핀치롤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압착 핀치롤; 상기 압착 핀치롤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압착 핀치롤을 스트립 측으로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압착 구동부; 및 상기 고정 핀치롤과 상기 압착 핀치롤과 상기 압착 구동부가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를 스트립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교정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압착 구동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피봇축과, 상기 피봇축에 피봇 회전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압착 핀치롤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회전 프레임의 타측에 연결되어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교정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로 전달하는 동력변환유닛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동력변환유닛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마련되고 상기 볼스크류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브래킷을 포함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압착 구동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압착 구동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로 분리 마련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교정 구동부는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스트립의 이송방향과 수직하게 슬라이딩 시키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핀치롤 및 상기 압착 핀치롤의 후방에 배치되어 스트립의 사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빛을 투사하는 투광기와, 상기 투광기의 반대측에서 빛을 감지하는 수광기를 포함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압착 구동부와 상기 교정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스트립의 사행이 감지되면 스트립의 사행을 교정하는 교정모드로 작동하고, 스트립의 사행이 감지되지 않으면 교정해제모드로 작동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교정모드는 상기 압착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압착 핀치롤을 스트립에 밀착시키고, 상기 교정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스트립의 사행 방향과 반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는 스트립의 사행을 방지하여 스트립의 불량 및 버클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는 스트립의 연속 공정의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스트립의 사행을 교정하여 용접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는 스트립의 사행 교정 시 스트립의 표면 및 엣지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 불량을 저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연속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를 위에서 바라보는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의 교정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의 교정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상면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의 교정해제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동작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를 위에서 바라보는 상면도이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100)는 연속 공정에서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교정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100)는 용접기(1)의 후단에 마련되어 선행하는 스트립(S)의 사행을 교정하여 후행하는 스트립과 중심선을 맞출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100)는 스트립(S)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되는 고정 핀치롤(110)과, 스트립(S)을 기준으로 고정 핀치롤(110)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압착 핀치롤(120)과, 압착 핀치롤(120)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압착 핀치롤(120)을 스트립(S) 측으로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압착 구동부(130)와, 고정 핀치롤(110)과 압착 핀치롤(120)과 압착 구동부(130)가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140)를 스트립(S)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교정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고정 핀치롤(110)은 스트립(S)의 폭보다 긴 원통형의 롤로 마련되고, 양단부에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 브래킷(111)이 각각 결합되어 자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핀치롤(110)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브래킷(111)은 지지플레이트(140)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12)에 마련되어 지지플레이트(140)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고정 핀치롤(110)은 지지플레이트(140)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핀치롤(110)은 스트립(S)의 하측 또는 상측에 마련되어 압착 핀치롤(120)과 연계하여 스트립(S)을 압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핀치롤(110)은 후술할 압착 구동부(130)의 압착 구동에 의해 압착 핀치롤(120)과의 사이에 스트립(S)을 압착시킬 수 있다.
압착 핀치롤(120)은 스트립(S)의 폭보다 긴 원통형의 롤로 마련되고, 양단부에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 브래킷(121)이 결합되어 자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압착 핀치롤(120)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브래킷(121)은 회전 프레임(132)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회전 프레임(132)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압착 핀치롤(120)은 회전 프레임(132)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압착 핀치롤(120)은 압착 구동부(130)의 구동에 의해 스트립(S)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에 따라 스트립(S)에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압착 핀치롤(120)은 스트립(S)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되어 고정 핀치롤(110)과 연계하여 스트립(S)을 압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착 핀치롤(120)은 압착 구동부(130)의 압착 구동에 의해 스트립(S)에 밀착되어 고정 핀치롤(110)과의 사이에 스트립(S)을 압착시킬 수 있다.
고정 핀치롤(110)과 압착 핀치롤(120)은 도면 상에서 각각 스트립(S)의 하측과 상측에 배치되지만, 이와 반대로 고정 핀치롤(110)이 상측에 마련되고 압착 핀치롤(120)이 하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압착 핀치롤(120)이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압착 구동부(130)가 구동될 수 있고 이와 동일하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압착 구동부(130)는 지지플레이트(140)에 설치되어 압착 핀치롤(120)을 스트립(S) 측으로 압착시킬 수 있다.
압착 구동부(130)는 지지플레이트(140)에 설치되는 피봇축(131)과, 피봇축(131)에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압착 핀치롤(120)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132)과, 한 쌍의 회전 프레임(132)의 타측에 연결되어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실린더(133)를 포함할 수 있다.
피봇축(131)은 양단부에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된 브래킷(131a)이 각각 결합되어 자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브래킷(131a)의 하단에는 지지 프레임(131b)이 마련되어 지지플레이트(140)에 설치될 수 있다.
피봇축(131)은 압착 핀치롤(12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 프레임(132)을 통해 압착 핀치롤(12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역할을 수행한다.
피봇축(131)은 양단에 각각 회전 프레임(132)이 수직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회전 프레임(132)은 피봇축(131)과 수직하게 마련되어 피봇축(131)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한 쌍의 회전 프레임(132)은 피봇축(131)과 별도로 마련되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일체로 마련되어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 프레임(132)은 일측이 압착 핀치롤(120)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이 실린더(133)에 연결되며, 중심부는 피봇축(131)에 의해 관통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회전 프레임(132)은 실린더(133)의 신축에 의해 피봇축(131)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압착 핀치롤(120)을 스트립(S) 측으로 밀착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실린더(133)는 각각 제1 지지플레이트(141) 및 제2 지지플레이트(142)에 설치되고 한 쌍의 회전 프레임(132)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실린더(133)는 공압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고, 실린더(133)의 신축 시 회전 프레임(132)이 회전하도록 볼트(133a)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40)는 판상형으로 마련되어 스트립(S)의 하측에 마련되는 레일(153)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40)의 저면에는 레일(15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153)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부(141a)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레일은 스트립(S)의 이송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지지플레이트(140) 역시 스트립(S)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지지플레이트(140) 상에는 고정 핀치롤(110)과 압착 핀치롤(120)과 한 쌍의 압착 구동부(130)가 설치되어 지지플레이트(140)와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지지플레이트(140)는 제1 지지플레이트(141)와 제2 지지플레이트(142)로 분리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지플레이트(141)와 제2 지지플레이트(142)는 각각 고정 핀치롤(110)과 압착 구동부(130)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플레이트(141)와 제2 지지플레이트(142) 중 적어도 하나에는 교정 구동부(150)가 연결되어 스트립(S)의 이송방향과 수직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예컨대, 교정 구동부(150)가 제1 지지플레이트(141)에만 연결되더라도, 제1 지지플레이트(141)를 슬라이딩시키면 제2 지지플레이트(142)는 함께 슬라이딩되기 때문이다. 다만, 지지플레이트(140)는 제1 지지플레이트(141)와 제2 지지플레이트(142)가 일체형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며, 이와 동일하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교정 구동부(150)는 지지플레이트(140)를 스트립(S)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장치이다. 이로써, 교정 구동부(150)는 압착 구동부(130)와 연계하여 스트립(S)을 가압한 상태로 고정 핀치롤(110)과 압착 핀치롤(120)을 스트립(S)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스트립(S)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교정 구동부(15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151)와, 액츄에이터(151)의 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유닛(152)과, 지지플레이트(14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153)을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51)는 널리 알려진 모터로 마련될 수 있고, 동력을 발생시킨다면 다양한 형태의 구동원으로 변경 가능하며 이와 동일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동력변환유닛(152)은 액츄에이터(151)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지지플레이트(140)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동력변환유닛(152)은 액츄에이터(151)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볼스크류와, 지지플레이트(140)의 저면에 결합되어 볼스크류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153)은 지지플레이트(140)의 하측에 마련되어 지지플레이트(14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며, 스트립(S)의 이송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레일(153)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100)는 스트립(S)의 사행을 감지하는 센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고정 핀치롤(110) 및 압착 핀치롤(120)의 후방(스트립(S)의 전단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는 스트립(S)의 이송 시 스트립(S) 전단에서 사행을 감지하여 스트립(S)의 후단에 위치하는 고정 핀치롤(110) 및 압착 핀치롤(120)을 이용해 스트립(S)의 사행을 교정시킬 수 있다.
센서부(160)는 스트립(S)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빛을 투사하는 투광기(161)와, 투광기의 반대측에서 빛을 감지하는 수광기(16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100)는 센서부(160)에서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압착 구동부(130)와 교정 구동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160)에서 스트립(S)의 사행이 감지되면 스트립(S)의 사행을 교정하는 교정모드로 제어하고, 센서부(160)에서 스트립(S)의 사행이 감지되지 않으면 스트립(S)의 사행이 감지되지 않으면 교정해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의 교정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동작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의 교정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상면 동작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의 교정해제모드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동작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160)에서 스트립(S)의 사행이 감지되면 스트립(S)의 사행을 교정하는 교정모드로 제어하고, 센서부(160)에서 스트립(S)의 사행이 감지되지 않으면 스트립(S)의 사행이 감지되지 않으면 교정해제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160)에서 스트립(S)의 사행이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압착 구동부(130) 및 교정 구동부(150)를 교정모드로 제어한다.
교정모드 시, 먼저 압착 구동부(130)의 실린더(133)를 신장시켜서 회전 프레임(132)을 회전시키고 압착 핀치롤(120)을 스트립(S)에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스트립(S)은 압착 핀치롤(120)의 가압에 의해 압착 핀치롤(120)과 고정 핀치롤(110) 사이에서 개재된다.(도 5 참조)
압착 구동부(130)의 작동에 의해 스트립(S)이 압착 핀치롤(120)과 고정 핀치롤(110) 사이에 개재되면, 교정 구동부(150)는 액츄에이터(151)를 작동시켜서 지지플레이트(141,142)를 스트립(S)의 사행방향과 반대측으로 슬라이딩 시킨다. 이 때, 스트립(S)은 압착 핀치롤(120)과 고정 핀치롤(110)에 의해 가압된 상태이므로 교정 구동부(14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서서히 슬라이딩 되어 사행이 교정된다.(도 6 참조)
이 후 센서부(160)에서 스트립(S)의 사행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미도시)는 압착 구동부(130) 및 교정 구동부(150)를 교정해제모드로 제어한다.
교정해제모드 시, 압착 구동부(130)의 실린더(133)를 수축장시켜서 회전 프레임(132)을 회전시키고 압착 핀치롤(120)을 스트립(S)에서 이격시킨다. 또한, 교정구동부(150)는 액츄에이터(151)를 원위치로 작동시켜 지지플레이트(1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도 7 참조)
지금까지 본 발명의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100)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110: 고정 핀치롤
120: 압착 핀치롤 130: 압착 구동부
140: 지지플레이트 150: 교정 구동부
160: 센서부

Claims (9)

  1. 연속 공정에서 스트립의 이송방향을 교정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에 있어서,
    스트립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되는 고정 핀치롤;
    스트립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 핀치롤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압착 핀치롤;
    상기 압착 핀치롤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압착 핀치롤을 스트립 측으로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압착 구동부; 및
    상기 고정 핀치롤과 상기 압착 핀치롤과 상기 압착 구동부가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를 스트립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교정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착 구동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피봇축과, 일측이 상기 압착 핀치롤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이 한 쌍의 실린더에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피봇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부에 상기 피봇축이 회전 결합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로 전달하는 동력변환유닛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변환유닛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마련되고 상기 볼스크류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브래킷을 포함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압착 구동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압착 구동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플레이트로 분리 마련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구동부는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스트립의 이송방향과 수직하게 슬라이딩 시키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핀치롤 및 상기 압착 핀치롤의 후방에 배치되어 스트립의 사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빛을 투사하는 투광기와, 상기 투광기의 반대측에서 빛을 감지하는 수광기를 포함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압착 구동부와 상기 교정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스트립의 사행이 감지되면 스트립의 사행을 교정하는 교정모드로 작동하고, 스트립의 사행이 감지되지 않으면 교정해제모드로 작동하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모드는
    상기 압착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압착 핀치롤을 스트립에 밀착시키고, 상기 교정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스트립의 사행 방향과 반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KR1020200153724A 2020-11-17 2020-11-17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KR102373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724A KR102373009B1 (ko) 2020-11-17 2020-11-17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724A KR102373009B1 (ko) 2020-11-17 2020-11-17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009B1 true KR102373009B1 (ko) 2022-03-11

Family

ID=8081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724A KR102373009B1 (ko) 2020-11-17 2020-11-17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0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09491A (zh) * 2023-10-23 2023-11-24 北京华力兴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x射线测厚仪校准支架
CN117168372A (zh) * 2023-10-23 2023-12-05 北京华力兴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x射线金属镀层测厚仪
CN117753782A (zh) * 2024-02-21 2024-03-26 山西广华源药用包装有限公司 一种铝箔加工的压延成型机
CN117900295A (zh) * 2024-03-18 2024-04-19 江苏仁泽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通风管件的成型设备及其成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893Y1 (ko) * 1999-08-23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강판 연결부의 센터링 장치
JP2001071014A (ja) * 1999-09-02 2001-03-21 Daido Steel Sheet Corp 鋼帯の蛇行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0006146A (ko) 2001-07-11 2003-01-23 주식회사 포스코 버티컬 소둔로의 롤축 센터링 자동보정장치
KR20050019465A (ko) * 2003-08-19 2005-03-03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 루퍼의 스트립 사행 감지/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893Y1 (ko) * 1999-08-23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강판 연결부의 센터링 장치
JP2001071014A (ja) * 1999-09-02 2001-03-21 Daido Steel Sheet Corp 鋼帯の蛇行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30006146A (ko) 2001-07-11 2003-01-23 주식회사 포스코 버티컬 소둔로의 롤축 센터링 자동보정장치
KR20050019465A (ko) * 2003-08-19 2005-03-03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 루퍼의 스트립 사행 감지/교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09491A (zh) * 2023-10-23 2023-11-24 北京华力兴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x射线测厚仪校准支架
CN117168372A (zh) * 2023-10-23 2023-12-05 北京华力兴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x射线金属镀层测厚仪
CN117168372B (zh) * 2023-10-23 2024-01-23 北京华力兴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x射线金属镀层测厚仪
CN117109491B (zh) * 2023-10-23 2024-01-23 北京华力兴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x射线测厚仪校准支架
CN117753782A (zh) * 2024-02-21 2024-03-26 山西广华源药用包装有限公司 一种铝箔加工的压延成型机
CN117753782B (zh) * 2024-02-21 2024-05-03 山西广华源药用包装有限公司 一种铝箔加工的压延成型机
CN117900295A (zh) * 2024-03-18 2024-04-19 江苏仁泽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通风管件的成型设备及其成型方法
CN117900295B (zh) * 2024-03-18 2024-05-14 江苏仁泽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通风管件的成型设备及其成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009B1 (ko)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US728448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lateral edge of a continuous web
US10576521B2 (en) Roll feeder and coilded material conveyance method
AU2002361125B2 (en) Filler
KR101993923B1 (ko) 코일 포장용 밴드의 결속을 위한 용접 시스템
JP5602206B2 (ja) 溶接型鋼の歪矯正装置
JP4723459B2 (ja) 被圧延薄板の巻取時のしわ発生防止方法及び装置
JP2009279686A (ja) シート曲がり判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切断装置並びにシート曲がり判定方法
US20090311078A1 (en) Device for processing the projecting spine of a book block suspended from a circulating clamp on a bookbinding machine
EP1707488B1 (en) Adjustable infeed bed for packaging apparatus
US20060097023A1 (en) Slide adjustable assembly for monitoring widthwise travel of an uncoiling steel band through a feeder system associated with a progressive die
JP4866434B2 (ja) 山形鋼の曲がり矯正装置及び山形鋼の製造方法
KR200168893Y1 (ko) 강판 연결부의 센터링 장치
JP2007039172A (ja) シート蛇行補正方法及びシート蛇行補正装置
JP4086806B2 (ja) アンコイラ
CN108290191B (zh) 卷材通料装置及卷材通料方法
JP3784636B2 (ja) シート材の張力制御装置および印刷機
CN213409879U (zh) 一种放卷机构
JP3111760U (ja) 高速プレスの薄板用コイル材供給装置
CN113894852A (zh) 一种切割设备的控制方法
JP7437250B2 (ja) 自動繊維束配置装置
KR20210076363A (ko) 박판 용접장치
CN113044629B (zh) 轧线上的激光焊接装置
CN212334072U (zh) 一种放卷机构的第三次纠偏装置
CN219859716U (zh) 一种自动调整偏移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