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666B1 -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666B1
KR102372666B1 KR1020210014481A KR20210014481A KR102372666B1 KR 102372666 B1 KR102372666 B1 KR 102372666B1 KR 1020210014481 A KR1020210014481 A KR 1020210014481A KR 20210014481 A KR20210014481 A KR 20210014481A KR 102372666 B1 KR102372666 B1 KR 102372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weight
parts
sprouted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원
Original Assignee
(주)한국메디칼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메디칼컨설팅 filed Critical (주)한국메디칼컨설팅
Priority to KR1020210014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특정방법으로 가공한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obesity treatment composition containing sprout barley extract}
본 발명은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방법으로 가공한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수준 향상에 의한 영양과잉, 환경오염, 운동부족, 스트레스 증가 등에 따른 각종 생활습관병 및 만성퇴행성 질환의 만연이 우리 사회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중, 최근에 가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질병이 비만이다.
비만은 일반적으로 음식물로 섭취한 에너지(energy intake)가 신체활동 등으로 소비한 에너지(energy expenditure)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잉여의 에너지가 체내에 지방세포(adipocyte)의 양적, 수적 증가를 일으켜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정신적 요인 또는 식사습관 및 운동부족 등의 생활습관 등에 의하여 인체 내 에너지 밸런스가 무너져 생기는 질환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벌써 비만을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인식하여 세계적인 영양문제로 다루어 왔다(World Health Organization(1998)). 현재, 비만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최근 세계보건기구는 전 세계 성인 가운데 10억 명 이상이 과체중이고, 이들 가운데 최소한 3억 명이 비만에 속한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또한,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우리나라 2007년 국민 건강 영양 조사 자료에 따르면,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25 이상인 비만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여 국민 건강이 매우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보건복지부(2007)).
상기 비만은 특히 다른 질병에 비해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으며, 다양한 성인병의 합병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비만환자는 정상체중인 사람에 비하여, 간병경증의 질환의 경우 2배, 뇌혈관질환의 경우 1.6배 및 관상동맥질환의 경우 1.8배 정도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현재, 식이요법, 운동요법 및 이뇨제, 설사제 등을 포함한 약물요법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나, 영양불균형, 면역력 저하 및 우울증 등 부작용의 발생에 의해 일시적이고 한정적으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비만과 관련하여, 지방화(Adipogensis)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지방화란 지방전구세포로부터 지방세포가 분화되어 지방을 축적하게 되는 과정을 말하며, 상기 지방화는 비만, 당뇨병, 지방간 및 관상 심장질환 등 대사성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지방세포는 단순히 에너지 저장고 역할뿐만 아니라 내분비 기관으로서 아디포사이토카인(adipocytokine)이라는 단백질성 호르몬을 분비하여 체내 에너지 항상성 유지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과다한 지방세포의 분화와 불균형적인 에너지 대사는 지방세포의 비정상적인 유전자 발현과 신호전달 체계 이상을 초래하여 지질대상 이상은 물론 비만과 같은 대사성질환의 원인이 된다.
상기 비만을 해소하고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비만억제기전으로는 식욕의 조절, 지방의 소화 및 흡수 방해, 에너지 소비의 증가, 지질대사의 조절 등이 있다.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비만억제제로는 세로토닌(serotonin)과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여 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중성지방(triglyceride)의 가수분해를 방해하며 산화되지 않은 지방을 변으로 배설시키도록 돕는 약물인 올리스타트(orlistat, XenicalR)등이 있다.
그러나, 세르토닌의 경우 혈압을 높여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주의하여 사용해야 하고, 올리스타트의 경우 소화기 장애, 지방변, 배변실금, 지용성 비타민 흡수 방해 등을 유도한다고 보고되고 있는 등 기존의 비만억제제의 경우에는 상당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보리잎은 예전부터 약제로 사용되어 왔고, 비타민, 효소, 엽록소 등의 영양소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최근에는, 보리에 함유되어있는 우수한 영양성분과 건강 기능성 물질의 다이어트 균형식,체질개선 등에 대한 효과가 알려지면서, 건강 기능성 원료 작물로서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가축사료용 등으로도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새싹보리는 보리에 싹을 틔워 약 15cm정도 자란 어린 식물체를 지칭하는데, 대체로 보리를 하루정도 물에 불린 후, 물기를 빼고 적당한 크기의 플라스틱 바구니나 스티로폼에 신문지 등을 깔고 보리를 파종하여, 싹이 날 때까지 종이로 덮어 두었다가 싹이 틔면 제거하고 수분을 유지하면서 7-10일 정도 지나서 15cm크기가 되면 이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새싹보리에는 식물섬유, 카로틴, 비타민C 등이 다른 채소 및 과일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약리활성의 측면에서 상기 새싹보리는 콜레스테롤 저하, 변비 예방, 동맥경화 예방, 항산화활성, 노화 방지, 골다공증 예방, 불면증 개선, 빈혈 예방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장기창 및 강항원, 새싹보리의 영양학적 가치와 항산화, 항암, 항당뇨 및 미백 효과에 관한 연구, 지구촌 식품과 음식문화, 2010; 한국특허등록 제1174497호; 한국특허공개 제2013-0051181호). 특히, 새싹보리에 포함된 루테오린은 항산화제로 알려진 비타민C, 제니스테인 등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고, 루테오린은 당뇨병 치료제인 아카보스보다 월등히 우수한 항당뇨 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새싹보리가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비만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새싹보리가 비만억제에 효과를 나타내는 지의 여부에 대하여는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천연물 중에서 비만세포의 성장 및 분화를 억제하여, 지방조직의 과다나 지방대사 이상으로 유발되는 비만에 대한 항비만 효과는 높고 부작용은 미약한 비만억제 약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4781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86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싹보리를 특정방법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새싹보리에 함유되어 있는 유요성분의 용출량을 극대화하여 높은 비만억제효과를 가지는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새싹보리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가공하는 것으로 기존의 새싹보리 분말에 비하여 부작용이 줄어들며, 그 효과가 최대화될 수 있는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은, 전처리된 새싹보리를 탄소수 1~5의 저급알코올에 침지하여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분을 회수한 다음, 이를 분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된 새싹보리는, 세척된 새싹보리를 수분함량 5중량%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새싹보리를 팽화기를 이용하여 200~250℃의 온도에서 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팽화된 새싹보리를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를 탄소수 1~5의 저급알코올에 침지하는 단계; 상기 저급알코올에 침지된 새싹보리에 초음파를 공급하며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분을 용매분해법,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한외여과 분획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방법을 통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된 새싹보리는, 보리종자를 물에 10~120분간 침지한 다음, 물과 종자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보리종자의 절반이 잠기도록 침지한 다음, 10~30℃의 온도에서 10~30시간동안 싹을 틔우는 단계; 상기 싹이 튼 보리를 1개의 층을 이루도록 배열한 다음, 2~5mm의 지름으로 타공된 다공성판을 상기 보리층의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리에 10~20시간 단위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판의 상부로 자라난 새싹보리가 10~20cm이 되면 이를 수확하는 단계; 상기 수확된 새싹보리를 건조기에 장입한 다음, 내부를 불활성기체로 치환하고 60~80℃의 온도에서 수분함량 5중량%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새싹보리를 팽화기에 장입한 다음, 내부를 불활성 기체로 치환하고 200~250℃의 온도 및 1~3Mpa의 압력을 이용하여 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팽화된 새싹보리를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에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100중량부 대비 탄소수 1~5의 저급알코올 150~200중량부를 공급하여 상기 새싹보리 분말을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된 새싹보리 분말에 10~70kHz의 진동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500~1000W의 강도로 5~20분간 공급하여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단계; 상기 용출이 완료된 다음 감압여과하여 액성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성분을 진공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새싹보리를 특정방법을 이용하여 가공하고 유효성분을 추출함에 따라 기존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높은 유효성분 함유량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새싹보리를 함유한 조성물에 비하여 높은 비만 억제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재배된 새싹보리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포정의 사진을 타나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새싹보리는 보리에서 싹을 틔워 일정길이까지 재배한 것으로, 이러한 싹이 튼 보리의 잎부분을 채취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리를 5~15일정도 재비하여 싹을 채취하게 되며 이때 재배에 걸리는 시간은 주변온도 수분량 및 일조량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새싹보리는 루토라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토나린은 상기 새싹보리에서 유래되고, 610.52의 분자량을 가지며,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새싹보리는 루토라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토나린은 상기 새싹보리에서 유래되고, 610.52의 분자량을 가지며,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13242717-pat00001
또한 상기 새싹보리는 사포나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보나링은 플라본 배당체의 일종으로 594.52의 분잘향을 가지며, 하기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21013242717-pat00002
또한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은 상기 투로나린 및 사포나린 이외애 다양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하기 표시된 3-O-Feruloylquinic acid; 3-FQA(화학식 3), Isoorientin(화학식 4), Luteolin-8-glucoside; Orientin(화학식 5), Isovitexin(화학식 6), Isoscoparin-7-O-[6-sinapoyl]-glucoside(화학식 7), Isoscoparin-7-O-[6-feruloyl]-glucoside(화학식 8), Isovitexin-7-O-[6-sinapoyl]-glucoside(화학식 9), Isovitexin-7-O-[6-feryloyl]-glucoside(화학식 10)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1013242717-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21013242717-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21013242717-pat00005
[화학식 6]
Figure 112021013242717-pat00006
[화학식 7]
Figure 112021013242717-pat00007
[화학식 8]
Figure 112021013242717-pat00008
[화학식 9]
Figure 112021013242717-pat00009
[화학식 10]
Figure 112021013242717-pat00010
본 발명의 상기 새싹보리의 경우 상기 루토나린 또는 사포나린을 포함하는 것으로 비만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만억제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새싹보리는 세척된 새싹보리를 수분함량 5중량%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새싹보리를 팽화기를 이용하여 200~250℃의 온도에서 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팽화된 새싹보리를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새싹보리는 보리종자를 물에 10~120분간 침지한 다음, 물과 종자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보리종자의 절반이 잠기도록 침지한 다음, 10~30℃의 온도에서 10~30시간동안 싹을 틔우는 단계; 상기 싹이 튼 보리를 1개의 층을 이루도록 배열한 다음, 2~5mm의 지름으로 타공된 다공성판을 상기 보리층의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리에 10~20시간 단위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판의 상부로 자라난 새싹보리가 10~20cm이 되면 이를 수확하는 단계를 거쳐 재배될 수 있다.
상기 보리종자는 보리를 탈곡한 다음, 이를 도정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겉보리라고 판매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리종저의 도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보리종자 표면의 겨가 벗겨지게 되어 발아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재배중에도 보리종자가 오염될 수 있으므로 재배시 성장률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보리종자는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에 10~120분간 침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침지과정을 걸쳐 발아에 필요한 최소한의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리종자의 발아가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침지가 10분 미만인 경우 상기 보이종자의 발아에 필요한 물이 공급되지 못하여 발아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침지를 120분을 초과하여 수행하는 경우 수분량이 많아져 보리종자가 썩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침지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물과 종자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물과 종자를 분리하는 것으로 종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을 재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아율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물과 분리된 종자는 물에 종자의 절반이 잠기도록 침지하여 발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종자는 넓은 판에 하나의 층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판의 표면에 일정하게 물을 공급하여 상기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 단계에서 상기 종자의 표면을 불투명한 고분자 필름으로 덮어 수분의 증발을 막고 일정 부분 빛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아단계는 10~30℃의 온도에서 10~30시간동안 싹을 틔우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가 10℃미만이거나 10시간 미만인 경우 발아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온도가 30도를 초과하거나 30시간 이상 싹을 틔우는 경우 종자가 썩거나 발아이후 많은 시간이 경과하게 되어 후술할 다공성판의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보리종자가 침지된 물을 발아를 위한 각종 영양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영양분은 상기 종자의 발아를 돕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기 종자의 발아시 상기 종자에 흡수되는 것으로 종자 및 새싹보리의 영양성분을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영양성분으로는 질소화합물, 인화합물, GABA, 홍삼추출물, 인삼추출물, 녹차 추출물, 비타민류, 마그네슘, 아연, 철분, 나트륨, 셀레늄 등이 있으며 이들 외에도 상기 새싹보리의 발아를 돕거나 새싹보리의 영양성분을 강화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아된 종자는 1개의 층을 이루도록 배열하여, 새싹을 성장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새싹의 원활한 성장과 새싹 수확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보리층의 상부에는 다공성판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판은 상기 새싹이 다공성판을 투과하여 자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보리종자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성판의 타공을 조절하는 경우 상기 보리종자는 통과하지 못하면서도 상기 새싹만이 상기 다공성 판의 상부로 자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새싹보리의 수확시 상기 보리종자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여분의 수분이 새싹부분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다공성판은 2~5mm의 직경으로 타공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판의 타공크기가 2mm미만인 경우 새싹보리가 상기 다공성판을 통과하여 자라기 어려우며, 타공의 크기가 5mm를 초과하는 경우 보리종자가 타공을 통과하게 되므로 다공성판을 사용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보리종자는 새싹의 길이가 10~20cm이 되면 수확하게 된다. 기존의 새싹보리의 경우 새싹보리를 재배지에서 수확한 다음, 새싹 부분을 잘라내어 이를 회수하였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다공성판의 존재로 인하여 재배지에서 바로 상기 새싹보리를 수확할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판으로 인하여 보리종자 및 여분의 수분 혼입이 최소화되어 최적의 새싹보리 수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수확된 새싹보리는 전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과정은 상기 새싹보리의 유효성분 특히 상기 루토나린 및 사포나린의 용출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과정으로 상기 수확된 새싹보리를 건조기에 장입한 다음, 내부를 불활성기체로 치환하고 60~80℃의 온도에서 수분함량 5중량%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새싹보리를 팽화기에 장입한 다음, 내부를 불활성 기체로 치환하고 200~250℃의 온도 및 1~3Mpa의 압력을 이용하여 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팽화된 새싹보리를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확된 새싹보리는 건조기에 장입된 다음, 건조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러한 건조과정에서 상기 새싹보리의 산화와 변질을 막기 위하여 상기 건조기의 내부는 불활성기체로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불활성기체는 질소, 헬륨, 네온, 아르곤 또는 제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취급의 용이성이 뛰어나고 가격이 저렴한 질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과정은 60~80℃의 온도에서 수분함량 5중량%미만으로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기 내의 온도가 60℃미만인 경우 건조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필요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며, 온도가 80℃를 초과하는 경우 열분해가 일어나 회수되는 유효성분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함량이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이후 과정에서 변질되거나 분말화를 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건조된 새싹보리는 팽화기에 장입한 다음, 내부를 불활성 기체로 치환하고 200~250℃의 온도 및 1~3Mpa의 압력을 이용하여 팽화시킬 수 있다. 기존의 새싹보리 분말의 경우 단순히 새싹보리를 건조한 다음 이를 분말화하여 제품으로 제조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새싹보리 세포내에 위치하는 유효성분의 용출이 완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흡수력도 낮아 그 활용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건조된 새싹보리를 팽화하는 것으로 상기 새싹보리의 세포벽구조를 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높은 유효성분의 용출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팽화단계는 내부를 불활성 기체로 치환된 다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팽화단계는 고온 및 고압의 환경에서 진행되므로 산소와 접촉하는 경우 유효성분 특히 본 발명의 비만 억제성분인 루토나린 및 사포나린이 산화되어 변질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산화에 의한 변질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팽화기의 내부를 불활성 기체로 치환한 다음 팽화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불활성기체는 질소, 헬륨, 네온, 아르곤 또는 제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취급의 용이성이 뛰어나고 가격이 저렴한 질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팽화단계는 200~250℃의 온도 및 1~3Mpa의 압력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가 200℃미만이거나 1Mpa미만의 압력에서 서항되는 경우 팽화가 원활하지 않으며, 온도가 250℃를 초과하거나 3Mpa를 초과하는 압력에서 수행되는 경우 과도한 열과 압력으로 인하여 루토나린 및 사포나린 성분이 변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팽화된 새싹보리는 분말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말화는 상기 건조되고 팽화된 새싹보리를 일정크기로 분말화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하여 분말화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볼밀을 이용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말화된 새싹보리는 그대로 섭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흡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유효성분을 용출하여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에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100중량부 대비 탄소수 1~5의 저급알코올 150~200중량부를 공급하여 상기 새싹보리 분말을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된 새싹보리 분말에 10~70kHz의 진동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500~1000W의 강도로 5~20분간 공급하여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단계; 상기 용출이 완료된 다음 감압여과하여 액성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성분을 진공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코올은 탄소수가 1~5의 저급 알코올을 의미하는 것으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에탄디올, 프로탄디올, 부탄디올, 펜탄디올, 글리세린, 부탄트리올, 펜탄트리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포함되는 저급알코올은 새싹보리 100중량부 대비 150~20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급알코올이 15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효성분의 용출이 완전하지 못할 수 있으며, 2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많은 양의 저급알코올을 사용함에 따라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저급알코올에 침지된 새싹보리 분말에는 10~70kHz의 진동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500~1000W의 강도로 5~20분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새싹보리분말은 상기 팽화과정을 통하여 많은 세포벽이 분쇄된 상태이지만, 추가적인 공정을 통하여 이러한 세포벽을 더욱 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우 세포벽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분해하는 것으로 기존의 새싹보리 분말에 비하여 높은 유효성분 용출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초음파의 경우 공진현상을 통하여 상기 셀룰로오스를 분해하게 되므로 10~70kHz의 진동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초음파의 진동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셀룰로오스의 분해를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초음파가 500W미만의 강도를 가지거나 5분 미만으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셀룰로오스의 분해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1000W를 초과하거나 20분을 초과하여 공급하는 경우 강한 열이 발생하여 유효성분을 열분해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초음파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이 용출된 이후 감압여과하여 고형분을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고형분은 상기 셀룰로오스와 섬유질, 세포 잔유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효성분 특히 루토나린 및 사포나린의 경우 상기 저급 알코올에 용해되어 있으므로 상기 감압여과를 통하여 이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감압여과를 통하여 분리된 유효성분은 진공농축된 다음 동결건조되어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루토나린 및 사포나린의 경우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열에 약하여 장시간 가열하는 경우 변질되거나 열분해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효성분은 진공농축을 통하여 저급 알코올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후 동결건조를 통하여 분말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은 그대로 섭취하는것도 가능하지만, 다공성 담체와 혼합되어 서방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새싹보리 유효성분 100중량부에 물 400~6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및 상기 물에 용해된 새싹보리 유효성분에 평균직경 30~100nm의 크기를 가지는 제올라이트 100중량부를 투입하여 제올라이트의 기공내에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을 흡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올라이트에 흡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은 단순히 추출물 분말만이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추출물 분말이 다공성 물질에 함침되어 포함되는 것으로 유효성분을 일정시간동안 천천히 방출하는 것으로 상기 유효성분의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기존 새싹보리 추출물 분말의 경우 단순히 추출물 분말을 함유하고 있어 초기 농도는 높을지 놀라도 반감기를 거치면서 그 체내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일부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상기 다공성물질에 함침하는 것으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이 일정시간에 걸쳐 방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내에서 일정 농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비만 억제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 100중량부에 물 400~6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물에 용해된 새싹보리 유효성분에 평균직경 30~100nm의 크기를 가지는 제올라이트 100중량부를 투입하여 제올라이트의 기공내에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을 흡착시킬 수 있다.
상기 진공농축 및 동결건조에 의하여 제조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은 물에 용해된 다음 다공성 물질에 흡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물의 양은 새싹보리 유효성분 100중량부 대비 400~60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물이 40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져 원활한 흡착이 어려우며, 물을 600중량부 초과하여 혼합하는 경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의 농도가 낮아져 흡착량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다공성 물질은 평균직경 30~100nm의 크기를 가지는 제올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망상 규산염광물의 일종으로 수나노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어 다공성 흡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흡착제로 식품이나 의약품에 많이 사용되는 활성탄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활성탄의 특성상 검은색의 조성물이 제조되며, 물에서 용해 시키는 경우에도 검은색의 이물질로 보일 수 있으므로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올라이트는 30~10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30nm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 공극의 크기에 비하여 입자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어 흡착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100nm의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섭취시 이물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올라이트는 상기 물에 용해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100중량부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비율로 제올라이트를 투입하는 경우 최적의 흡착효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은 그대로 섭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른 성분과 혼합되어 그 효과를 더욱 강화함과 동시에 섭취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새싹보리유효성분 분말 10~20중량부, 비타민 D 0.1~0.5중량부, 새싹보리 유효성분이 흡착된 제올라이트 5~10중량부, 제2인산칼륨 0.1~2중량부, 구연산 분말 20~30중량부, 니코틴산 아마이드 0.1~0.5중량부, 아연 0.1~0.5중량부, 탄산칼슘 1~10중량부, 판토텐산 0.1~0.5중량부, 말티톨 5~10중량부, 향료 1~5중량부, 변성전분 0.5~1중량부, 색소 0.1~1중량부, 스테비아 0.1~0.5중량부, 아세설팜칼륨 0.1~0.5중량부 및 수크랄로스 0.1~0.5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만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 분말과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이 흡착된 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유효성분의 초기농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효성분의 농도를 일정기간 지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 분말은 상기 유효성분의 초기농도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 이 흡착된 제올라이트는 상기 유효성분의 농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D의 경우 피부 개선, 노화방지, 칼슘보충등을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개선 조성물에 0.1~0.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D가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비타민 D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0.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식용부진 설사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제2 인산칼륨은 상기 추출물에 포함되어 상기 추출물 분말이 물에 용해되는 경우 분산제로 작용하는 성분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 및 상기 유효성분이 흡착된 제올라이트가 상기 물속에서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으며, 일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도 물에 가라앉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여 섭취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산제는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개선 조성물에 0.1~2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가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분산제로 인한 분산효과가 떨어져 제올라이트 또는 유효성분이 침전될 수 있으며, 2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분산제로 인하여 맛이 이상해지거나 과도한 칼륨으로 인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니코틴산 아마이드는 비타민 B의 일종으로 피부질환 또는 위장장애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기 니코틴산 아마이드는 0.1~0.5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판토텐산은 비타민B5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개선 조성물에 포함되어 성장 및 채력증강, 신경계 강화등의 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판토텐산은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0.1~0.5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연은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하는 무기물로서, 남성호르몬 근육 생성 및 피부미용등에 관연하는 무기질이다. 본 발명의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은 상기 아연을 0.1~0.5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은 칼슘을 보충함과 더불어 위장장애를 개선하기 위하여 첨가되며,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의 증량제로 사용되는 성분이다.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은 상기 탄산칼슘 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이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탄산칼슘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의 양이 줄어들어 취급이 어려울 수 있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침전이 발생하거나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의 양이 과도하게 커져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변성전분은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의 증량제 및 결착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개선 조성물에 0.5~1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섭취할 때 섭취의 용이성을 위하여 향을 발산하는 물질로서, 다양한 향료가 조합되어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구연산과 조합되어 레몬의 향을 첨가하는 경우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개선 조성물이 용해되는 경우 레몬향과 맛을 가지는 액체가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과, 파인애플, 딸기, 오랜지 등의 향료를 첨가하여 적절한 맛과 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1~5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향료가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향료에 의한 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향료가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강한 향으로 인하여 섭취가 오히려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색소는 상기 향료와 조합되어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이 용해된 물이 일정한 색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향료에 의하여 발생되는 향과 조합되는 색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향료로서 레몬향을 사용하는 경우 노란색을 가지는 색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딸기향을 가지는 향료를 사용하는 경우 붉은색 색소를 사용하여 적절한 색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0.1~1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연산 분말은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포함되어 물에 용해된 다음 신맛을 더해줄 뿐만 아니라 감미료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유효성분이 상기 물에 잘녹기 위한 유화제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연산은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20~3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2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구연산의 첨가로 인한 효과를 보기 어려우며,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강한 산미로 인하여 또한 섭취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말티톨은 당알코올의 하나로서, 감미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5~1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말티톨에 의한 감미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설사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스테비아는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포함되어 감미료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탄의 단맛을 보강해 줌과 동시에 약간의 쓴맛을 보충하여 상기 향료에 의한 과일맛을 더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테비아는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0.1~0.5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세설팜칼륨은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포함되어 감미료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탕의 단맛을 보강해 줄 수 있다. 특히 상기 아세설팜캄륨은 단맛의 인지가 빠른 감미료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경우 첫맛에 단맛을 인지하게 되어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이 용해된 음료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상기 아세설팜칼륨은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0.1~0.5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크랄로스는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포함되어 감미료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설탄의 단맛을 보강해 줄 수 있다. 열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높은 감미효과를 가지고 있어 많은 식품에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은 상기 수크랄로스를 0.1~0.5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개선 조성물은 발포정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분말화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개선 조성물은 탄산수소 나트륨 80~90중량부 및 설탕 10~20중량부를 혼합하여 설탕으로 코팅된 발포제를 20~30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이를 타정기를 이용하여 발포정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물과 접촉하여 가스를 생성하며 분해되는 물질로서 타정기에 의하여 알약형상으로 제조된 발포정을 물에 빠르고 용이하게 용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포제는 공기중의 수분과 접촉하는 경우에도 발포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발포제의 표면을 설탕으로 코팅하여 수분과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동층 과립 건조기를 이용하여 탄산수소 나트륨 80~90중량부 및 설탕 10~20중량부를 혼합하여 설탕으로 코팅된 발포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로는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설탕으로 코팅하여 자가분해 및 공기중의 습기로 인한 발포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설탕의 경우 타정기에 의하여 압착되는 경우 결착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발포정을 물에 용해하여 섭취하는 경우 감미료로 사용되어 단맛을 더해줄 수 있으므로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 1
전라남도 해남산 겉보리 10kg을 물에 60분간 침지한 다음, 물과 종자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종자의 절반이 잠기도록 침지하고 20℃의 온도에서 24시간 방치하여 발아시켰다.
상기 발아된 보리종자를 넓은 판에 겹치지 않도록 배열하고 직경 3mm로 다공된 다공성판을 상부에 덮었다. 이후 12시간 단위로 물을 공급하면서 새싹보리의 길이가 15cm가 되도록 재배하여 채취하였다.
상기 채취된 새싹보리를 세척한 다음, 70℃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5중량%미만이 되도록 건조하였으며, 이때 상기 건조기의 내부는 질소로 치환하여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새싹보리를 팽화기에 투입하고 내부를 질소로 치환시킨 다음, 230℃및 1.5Mpa의 조건에서 팽화를 수행하였다. 상기 팽화된 새싹보리를 볼밀에 투입하여 가루로 분쇄하였다.
상기 가루로 분쇄된 새싹보리 분말 100g에 에탄올 180g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20kHz의 마이크로파를 700W의 강도로 10분간 공급하여 셀룰로오스의 분해를 촉진하였다. 이후 감압여과를 통하여 고형분을 분리한 다음, 진공농축 및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팽화과정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과정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건조과정 및 팽화괴정에서 질소 대신 공기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 100g에 물 500g을 혼합하고 평균직경 50nm의 크기를 가지는 제올라이트 100g을 혼합하여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이 흡착된 제올라이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 15중량부,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이 흡착된 제올라이트 8중량부, 제2인산칼륨 1중량부, 구연산 분말 24중량부, 니코틴산 아마이드 0.2중량부, 아연 0.3중량부, 탄산칼슘 5중량부, 판토텐산 0.2중량부, 말티톨 6중량부, 향료 3중량부, 변성전분 0.8중량부, 색소 0.2중량부, 스테비아 0.3중량부, 아세설팜칼륨 0.3중량부 및 수크랄로스 0.2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개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에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 15중량부 및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이 흡착된 제올라이트 8중량부 대신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 23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5에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 15중량부 및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이 흡착된 제올라이트 8중량부 대신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이 흡착된 제올라이트 23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3T3-L1 지방 전구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는 다음과 같인 실험하였다.
우선, 전구지방세포 3T3-L1 세포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미국)으로부터 분양을 받았다.
전구지방세포 3T3-L1 세포는 100 Units/mL penicillin, 100 μg/mL streptomycin과 10% newbone calf serum(FCS, Hyclone)이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Hyclone) 배지의 조건에서 5% CO2와 37℃의 세포배양기에서 계대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한다.
3T3-L1 지방 전구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는 다음과 같인 실험하였다.
우선, 3T3-L1 세포는 96 well plate에 well 당 1x103씩 분주하여 약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serum free 배지로 24시간 starvation 한 후, 실시예 1~5의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로 8일 동안 2일 간격으로 배지를 교환하면서 처치하였다.
이 후, MTT 시약의 최종 농도가 0.1mg/ml이 되도록 처치하여 37℃에서 4시간 반응한다. 배지를 제거 후formazan crystal 생성물은 200㎕의 dimethyl sulfoxide(DMSO)를 첨가하여 용해시킨다. 흡광도는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70nm에서 측정하였다.
하기의 표 1은 상기 3T3-L1 지방 전구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0㎍/ml 1㎍/ml 5㎍/ml 10㎍/ml
실시예 1 100% 67% 61% 53%
실시예 2 100% 76% 69% 65%
실시예 3 100% 79% 71% 65%
실시예 4 100% 71% 66% 6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경우 높은 지방 전구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팽화과정을 거치치 않은 실시예 2 및 초음파 추출을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3의 경우 본 발명에 비하여 낮은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활성기체를 건조과정과 팽화과정에서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4역시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경우 그 추출효율이 실시예 2 및 3의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의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실시예 5~7의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개선 조성물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선별된 실험참가자 20인을 대상으로 일 1회 12시간 간격으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개선 조성물을 5g씩 물 250ml에 용해하여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다른 요인의 통제를 위하여 실험참가자는 동일한 급식을 30일간 합숙하며 공급하였다. 상기 실시예 5~7이외에도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위약을 제작한 다음 이를 비교예 1로 투입하였다.
5일마다 아침 8시 식전에 체중의 변화(G, 단위 g) 및 허리둘레의 변화(W, 단위 mm)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하기의 표2에 나타내었다.
0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
G W G W G W G W G W G W G W
실시예5 0 0 120 5 210 11 530 23 750 38 880 43 970 52
실시예6 0 0 110 3 180 9 390 13 540 19 710 23 840 38
실시예7 0 0 110 4 160 8 320 11 490 17 630 20 730 31
비교예1 0 0 80 1 120 6 180 8 230 11 280 11 340 15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경우 시간이 경화함에 따라 허리둘레 및 체줌의 감소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6의 경우 그 효과가 실시예 5에 비하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올라이트에 흡착된 새싹분말 유효성분 추출물만을 사용한 실시예 7의 경우 그 방출 속도가 느려 효과는 더욱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규칙적인 식습관으로 인하여 일부 체중 및 허리둘레의 감소가 나타나기는 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해서는 그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6)

  1. 전처리된 새싹보리를 탄소수 1~5의 저급알코올에 침지하여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분을 회수한 다음, 이를 분말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된 새싹보리는,
    보리종자를 물에 10~120분간 침지한 다음, 물과 종자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보리종자의 절반이 잠기도록 침지한 다음, 10~30℃의 온도에서 10~30시간동안 싹을 틔우는 단계;
    상기 싹이 튼 보리를 1개의 층을 이루도록 배열한 다음, 2~5mm의 지름으로 타공된 다공성판을 상기 보리층의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보리에 10~20시간 단위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판의 상부로 자라난 새싹보리가 10~20cm이 되면 싹이 튼 보리의 잎부분을 수확하는 단계;
    상기 수확된 싹이 튼 보리의 잎부분을 건조기에 장입한 다음, 내부를 불활성기체로 치환하고 60~80℃의 온도에서 수분함량 5중량%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싹이 튼 보리의 잎부분을 팽화기에 장입한 다음, 내부를 불활성 기체로 치환하고 200~250℃의 온도 및 1~3Mpa의 압력을 이용하여 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팽화된 싹이 튼 보리의 잎부분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에 상기 분말화된 새싹보리 100중량부 대비 탄소수 1~5의 저급알코올 150~200중량부를 공급하여 상기 새싹보리 분말을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된 새싹보리 분말에 20kHz의 진동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700W의 강도로 10분간 공급하여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단계;
    상기 용출이 완료된 다음 감압여과하여 액상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성분을 진공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 분말 100중량부에 물 400~6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물에 용해된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에 평균직경 30~100nm의 크기를 가지는 제올라이트 100중량부를 투입하여 제올라이트의 기공내에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을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 분말 10~20중량부, 비타민 D 0.1~0.5중량부, 상기 새싹보리 유효성분 추출물이 흡착된 제올라이트 5~10중량부, 제2인산칼륨 0.1~2중량부, 구연산 분말 20~30중량부, 니코틴산 아마이드 0.1~0.5중량부, 아연 0.1~0.5중량부, 탄산칼슘 1~10중량부, 판토텐산 0.1~0.5중량부, 말티톨 5~10중량부, 향료 1~5중량부, 변성전분 0.5~1중량부, 색소 0.1~1중량부, 스테비아 0.1~0.5중량부, 아세설팜칼륨 0.1~0.5중량부 및 수크랄로스 0.1~0.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KR1020210014481A 2021-02-02 2021-02-02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 KR102372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81A KR102372666B1 (ko) 2021-02-02 2021-02-02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81A KR102372666B1 (ko) 2021-02-02 2021-02-02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666B1 true KR102372666B1 (ko) 2022-03-10

Family

ID=8081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481A KR102372666B1 (ko) 2021-02-02 2021-02-02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9775A (ko) 2022-05-13 2023-11-22 정은아 소아비만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623B1 (ko) * 2008-05-19 2009-08-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고지혈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분획물
KR20130065131A (ko) * 2011-12-09 2013-06-19 (주) 해뜰날 통흰쌀찰보리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 제조방법
KR20140127003A (ko) * 2013-04-24 2014-11-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추출물 제조방법
KR101483589B1 (ko) * 2011-11-09 2015-01-19 대한민국 새싹보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코사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45464B1 (ko) * 2014-05-13 2016-08-08 대한민국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80003073A (ko) * 2016-06-30 2018-01-09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80106180A (ko) * 2017-03-17 2018-10-01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땅콩 새싹 또는 인삼 음료 추출용 캡슐
KR102118697B1 (ko) 2019-11-06 2020-06-03 (주)에스앤피인터내셔널 새싹보리 착즙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새싹보리 착즙분말 혼합조성물
KR102124781B1 (ko) 2019-04-09 2020-06-22 김삼범 새싹보리 마카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새싹보리 마카롱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623B1 (ko) * 2008-05-19 2009-08-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고지혈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분획물
KR101483589B1 (ko) * 2011-11-09 2015-01-19 대한민국 새싹보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코사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065131A (ko) * 2011-12-09 2013-06-19 (주) 해뜰날 통흰쌀찰보리 분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 제조방법
KR20140127003A (ko) * 2013-04-24 2014-11-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추출물 제조방법
KR101645464B1 (ko) * 2014-05-13 2016-08-08 대한민국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80003073A (ko) * 2016-06-30 2018-01-09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80106180A (ko) * 2017-03-17 2018-10-01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땅콩 새싹 또는 인삼 음료 추출용 캡슐
KR102124781B1 (ko) 2019-04-09 2020-06-22 김삼범 새싹보리 마카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새싹보리 마카롱
KR102118697B1 (ko) 2019-11-06 2020-06-03 (주)에스앤피인터내셔널 새싹보리 착즙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새싹보리 착즙분말 혼합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9775A (ko) 2022-05-13 2023-11-22 정은아 소아비만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656B1 (ko) 엽록소가 함유된 미강의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JP4669920B2 (ja) 血糖上昇抑制且つ血圧上昇抑制作用を有する機能性素材
JP5425758B2 (ja) グアバ抽出物
JP2009013159A (ja) コケモモ抽出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JP2006045212A (ja)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JP5725649B2 (ja) 明日葉のカルコン及びイソフラボンを含有する組成物
CN101766274B (zh) 含竹叶黄酮的抗氧化功能食品组合物
KR102372666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
CN111096416A (zh) 用于减肥代餐的断食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123306A (zh) 一种苦荞复合降糖固体饮料的制作方法
KR20200023054A (ko) 치커리 추출분말, 크랜베리 분말, 그린커피 추출분말, 브로멜라인 분말, 아세로라 추출분말, 인삼 추출분말 및 옥타코사놀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종합영양보조식품
KR102422527B1 (ko) 다이어트용 보조식품 조성물
JP2005185188A (ja) アセロラ処理物およびl−カルニチン含有組成物
KR102137136B1 (ko) 호박 가수분해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72655B1 (ko) 새싹보리와 비타민 d를 포함하는 발포정 제조방법
KR101082938B1 (ko) 수용성 비타민이 인리치먼트된 비타민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2661B1 (ko) 새싹귀리를 포함하는 발포정 제조방법
US20070003685A1 (en) Prostacyclin production-increasing agent and blood flow enhancer
CN111387345A (zh) 一种复合多糖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30083427A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352030B2 (ja) 健康食品
JP5052772B2 (ja) ハナビラタケ由来組成物
JP2007070263A (ja) 糖尿病予防用組成物
KR20010077956A (ko) 하수오에서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하수오 추출물및 하수오 추출물 또는 하수오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KR100987395B1 (ko) 발아 쥐눈이콩을 이용한 기능성 건과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