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003A -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추출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추출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003A
KR20140127003A KR1020130045443A KR20130045443A KR20140127003A KR 20140127003 A KR20140127003 A KR 20140127003A KR 1020130045443 A KR1020130045443 A KR 1020130045443A KR 20130045443 A KR20130045443 A KR 20130045443A KR 20140127003 A KR20140127003 A KR 20140127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extract
sprouting
days
b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덕
장기창
한상익
나지은
김병주
남민희
박지영
오성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30045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7003A/ko
Publication of KR2014012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의 콜레스테롤 및 혈중 포도당 저하효능과 체중감량효능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효능을 이용하여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은 혈중 콜레스테롤, 상기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스타틴류와 같은 합성의약품에 비하여 부작용의 염려가 없는 안전한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추출물 제조방법{Composition for prevention, treatment or improvement of obesity and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extract of barley sprout aerial part}
본 발명은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의 콜레스테롤 및 혈중 포도당 저하효능과 체중감량효능에 관한 것이다.
지난 10년간 한국 성인의 식이 지방 섭취량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05년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성인의 경우 지방으로부터의 열량 섭취 비율이 20%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물성 식품 섭취의 증가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한국인의 식사 패턴의 변화로 인해 총 지방 섭취량과 포화지방산 섭취가 증가하고 있어 건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이는 식이 지방의 섭취량과 종류 및 지방산의 섭취수준이 혈중 지질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인자가 되며 이러한 식습관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밝혀졌기 때문이다.
나아가 동맥경화, 심근경색 및 뇌졸중과 같은 순환기계 질환의 경우, 2008년 한국인 사망요인의 2위(뇌혈관질환)와 3위(심혈관질환)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는데, 동맥경화, 심근경색 및 뇌졸중과 같은 순환기계 질환은 다른 만성질환에 비하여 식이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고, 위험인자로는 혈중 콜레스테롤, 혈중 중성지방, 고혈압, 흡연, 혈전, 당뇨, 비만 등이 알려져 있고, 이 중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및 고혈압 등은 동맥경화와 심근경색 발생의 주요 위험 인자이므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상기 질환들의 발병을 예방하는데 있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체내에서 적절하게 콜레스테롤의 조절이 일어나면 혈장과 조직의 경우, 콜레스테롤 축적이 일어나지 않으나 체내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높아지게 되면 고콜레스테롤 혈증이 나타나게 되며, 콜레스테롤 대사조절에 이상이 발생하여 LDL, HDL 콜레스테롤 등 지단백 성분이 양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혈중 콜레스테롤 중 LDL-콜레스테롤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혈중 중성지질 농도의 증가는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추고 키로마이크론 잔유물의 함량을 높여 주는 기작을 통해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고(Goldberg, I.J., J. Lipid Res., 37, pp693-707, 1996), 혈중 지질은 다른 지질보다 혈관 내피세포를 잘 통과하기 때문에 동맥경화증의 주원인이 되며 식후의 급격한 중성지방의 상승은 뇌졸중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내용이 보고된 바 있다(Feldman, R.G. and Albrick, M.J., S. Arch. Neurol., 10, pp91, 1964). 반면, HDL-콜레스테롤은 혈관 벽으로부터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어 심혈관 질환의 예방 인자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지질대사 이상으로 유발하는 각종 질환들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생체 내에서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인지질 및 유리지방산으로 구성되는 혈중 지질의 각 성분들을 정상의 농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현재, 혈중 지질 성분의 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지질대사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료방법으로는 주로 식이섬유소, 사포닌, 비타민 C, 비타민 E 및 필수 아미노산 등의 섭취를 권장하는 식이요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식이요법의 경우, 식이 제한에 따른 정신 질환을 동반하기도 하므로 장기간 동안 지속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식이요법 이외에도 지질대사 질환의 치료를 위해 약물요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지질저하 약물의 경우 평생 투여하여야 하며, 간기능 수치상승 및 근육병 등의 합병증 발병 위험이 있고, 특히 간기능 수치가 3배 이상 상승하는 경우에는 약물치료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천연물 성분 중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유용한 유효 성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금까지 발표된 새싹보리와 관련된 연구로는,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한국공개특허 제2012-0102473호), 새싹보리 유래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2011-0085758호), 보리순을 이용한 보리순환 제조 방법(한국공개특허 제2006-0115675호), 보리순을 주재료로 하는 건강음료용 조성물(한국공개특허 제2005-0107981호), 보리 어린잎 분말과 즙을 이용한 과립제조(한국공개특허 제1997-0005123호), 보리어린잎 항산화물질인 사포나린과 이소베텍신의 메탄올 추출 및 활성검정(한국공개특허 제2005-0091334호) 등이 있으나,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의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도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비만 또는 지질대사 관련 질환의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획득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처리한 HepG2세포의 세포 내 지질 함량,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및 혈중 콜레스테롤 및 포도당 감소, 체중감소를 통하여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새싹보리의 지상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새싹보리 지상부를 발효주정을 용매로 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25mg/체중 70kg(추출물 중 고형분 기준) 이하로 경구 투여시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분쇄물; 및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분쇄물을 수용한 티백을 구비한,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새싹보리"는 보리새싹, 보리순이라고도 하며, 이는 어린 보리잎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상온에서 육묘용 상자를 이용하여 상토에 보리종자를 골고루 뿌리고 상토를 덮은 후, 상토가 마르지 않게 물을 뿌리면서 보리를 키우고, 싹이 튼 지 5 내지 15일 지난 후 새싹보리의 길이가 10 내지 20 cm 정도로 자란 것을 수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새싹보리를 세척하고 동결 건조시킨 뒤 이를 분쇄한 분말상태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싹이 튼 지 10일 내지 15일 경과한 새싹보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의 새싹보리에 생리활성 성분이 가장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본 발명의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가장 탁월하다(실시예 1-1). 본 발명에서 새싹보리 지상부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새싹보리 지상부를 얻기 위하여 보리종자로부터 보리를 키울 때, 새싹보리의 싹이 튼 후 15 내지 28℃의 온도에서 성장시킬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성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겉보리"는 성숙 후 내영과 외영이 곡식입자에 밀착되어 떨어지지 않는 보리를 의미한다. 쌀보리에 대응되는 말로서, 까락이 길고 껍질이 얇고 매우 밀착되어 있어서 껍질이 잘 벗겨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겉보리 품종으로는 강보리, 밀양6호, 부흥, 항미, 동보리1호, 동보리2호, 알보리, 오월보리, 조강보리, 부호보리, 두루보리, 탑골보리, 남해보리, 여기, 수원18호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지상부"는 식물체에서 지표를 중심으로 하여 지표 상부의 경엽 부분을 의미한다. 즉, 새싹보리의 뿌리를 제외한 지표 상부를 일컬으며, 이에는 잎, 줄기, 꽃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보리의 새싹잎을 의미한다.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 정도가 경과할 경우, 새싹보리의 지상부는 약 10 내지 20cm의 길이가 되며, 일반적으로 15cm 내외가 된다. 이때의 지상부에는 훨씬 많고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은 새싹보리의 지상부를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은 새싹보리 지상부의 분쇄물을 건조 중량의 약 2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배에 달하는 부피의 발효주정, 물, 메탄올, 발효주정 및 부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C1) 내지 4(C4)의 저급 알콜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를 용출 용매로써 사용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효주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 온도는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추출 기간은 약 12시간 내지 4일,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이 있는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침추출로 1회 내지 5회 연속 추출하여 감압여과하고, 그 여과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로 2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감압 농축하여 물,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새싹보리 지상부 조추출물을 수득한 결과물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새싹보리의 지상부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새싹보리의 지상부를 80%(v/w)의 발효주정을 용매로 하여 추출되었으며, 12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추출액을 감압증류기와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농축 및 건조시킨 분말을 실험에 사용하였다(실시예 1-2).
본 발명의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은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만"은 에너지 불균형에 의하여 과다한 체지방을 가진 상태(condition) 또는 질환(disease)를 의미한다. 비만의 원인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나, 유전적, 대사적, 환경적, 그리고 행동학적인 복잡한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생물학적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체중과다로 인식되고 있다. 의학적으로는 BMI(body mass index)가 30이상(표준체중의 30% 이상)인 경우이거나 BMI가 27이상이며 기타 순환기계 질환인 당뇨병(diabetes), 고혈압(hypertension), 고지혈증(hyperlipidemia) 등이 연관되어 있는 경우를 비만으로 분류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지질대사 질환"은 생체 내에서 지질 성분의 균형 이상으로 유발되는 질환을 말하는 것으로서, 혈중의 총 콜레스테롤, LDL(저비중 리포 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TG), 유리 지방산치 또는 RLP콜레스테롤(remnant like lipoprotein-cholesterol) 등의 함량이 높아져 있는 상태 또는 혈중 HDL(고비중 리포 단백)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낮아져서 초래되는 모든 이상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질대사 질환에는 혈중 아디포넥틴의 농도 저하 및 혈중 렙틴, -리포 단백, 아포 단백 또는 리포 단백의 농도 상승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들도 포함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지방식이 및 운동부족 등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질대사 질환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고혈압, 지방간, 당뇨병, 고콜레스테롤증, 고지혈증, 저지질증, 지방단백질증 및 동맥경화증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상기 조성물에 의해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12주간 경구투여한 후,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체중이 감소하였고(실험예 1 및 도 1), 혈액 내 포도당,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으며(실험예 2 및 도 2), 세포 내 지질(실험예 3 및 도 3a) 및 콜레스테롤(실험예 4 및 도 3b)의 함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을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체내에 투여한 결과,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감소시키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체내 해로운 LDL 콜레스테롤 또한 감소시키는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작용을 통해 본 발명의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질대사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체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99.9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인간,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투여의 방식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의 발효주정 추출물을 12주간 1일 25mg/체중 70kg의 투여량으로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후,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체중이 감소하였고(실험예 1 및 도 1), 혈액 내 포도당,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으며(실험예 2 및 도 2), 세포 내 지질(실험예 3 및 도 3a) 및 콜레스테롤(실험예 4 및 도 3b)의 함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의 발효주정 추출물은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새싹보리 지상부, 이의 추출물, 비만 및 지질대사 질환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개선"은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의심 및 발명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추출물은 세포 내 지질 함량,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및 혈중 콜레스테롤 및 포도당 감소, 체중감소를 통하여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지상부 또는 이의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식품첨가물은 외관, 향미, 조직 또는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보통 적은 양이 식품에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것을 가리키며, 식품의 품질을 개량하여, 보존성 또는 기호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영양가 및 식품의 실질적인 가치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식품위생법 제2조 제2호에서 정의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 혼합, 침윤, 기타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은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 등의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의 지상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새싹보리 지상부를 발효주정을 용매로 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1일 기준 25mg/체중 70kg(추출물 중 고형분 기준) 이하로 경구 투여시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새싹보리 지상부, 비만, 지질대사 질환 및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에 대하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의 지상부를 준비하는 단계는 새싹보리의 지상부를 획득하는 단계를 의미하며, 싹이 튼 지 5 내지 15일 지난 후 새싹보리의 길이가 10 내지 20cm 정도로 자란 것을 수확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싹이 튼 지 10일 내지 15일 경과한 새싹보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의 새싹보리에 생리활성 성분이 가장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본 발명의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가장 탁월하다. 본 발명에서 새싹보리 지상부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온에서 육묘용 상자를 이용하여 상토에 보리종자를 골고루 뿌리고 상토를 덮은 후, 상토가 마르지 않게 물을 뿌리면서 보리를 키우고 싹이 튼 지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의 지상부를 획득하였다(실시예 1-1).
본 발명에서 상기 새싹보리 지상부를 발효주정을 용매로 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는 새싹보리 지상부를 발효주정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추출 방법에 대하여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는 단계 및 건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출액의 농축에는 감압농축, 역삼투압 농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농축 후 건조 단계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또는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최종 건조된 추출물을 분쇄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발효주정"은 쌀, 쌀보리, 고구마, 타피오카와 같은 전분질 또는 사탕수수, 사탕무와 같은 당질의 원료를 발효시킨 후 연속식 증류방식으로 증류한 알코올 도수 95%의 식음용 주정을 의미한다. 술의 주원료로 사용되며, 그 이외에도 식품용, 의약용, 화장품, 공업용 등으로 폭넓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경구 투여"는 약품, 화학물질, 식품 등의 실험동물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약제 등을 입을 통하여 경구적으로 투입하는 것을 말한다. 경구약에는 액체분말정제캡슐 등이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마우스에 1일 기준 25mg/체중 70kg(추출물 중 고형분 기준) 이하로 경구 투여하였다(실시예 2).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분쇄물; 및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분쇄물을 수용한 티백을 구비한,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새싹보리 지상부, 비만 및 지질대사 질환에 대하여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분쇄물은 고체에 기계적 힘을 가하여 보다 작게 만들어진 물질을 의미한다. 분쇄물의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며, 분쇄방법에 있어서는 절삭압축충격전단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티백"은 차 잎 또는 추출물을 넣은 작은 봉지와 같은 물(物)을 일컫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거친 목면이나 여지, 나일론 체 등의 주머니에 차 잎 또는 분말화된 차(粉茶)를 넣어, 이를 물 등의 액체에 넣어 침출시킴으로써 음용한다. 본 발명에서의 티백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새싹보리의 지상부, 새싹보리 분쇄물,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새싹보리의 지상부 또는 이의 분쇄물을 수용할 수 있다. 티백의 재료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거친 목면, 여지, 나일론체 등을 사용하나, 물 또는 알코올 등의 액체가 통과하여 차 잎 또는 분차와 같은 차 원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서도 내용물 성분이 우러나올 수 있는 재료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티백은 물, 탄소수 1(C1) 내지 탄소수 4(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분해되지 않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물 및/또는 알코올 등에 대하여도 차 내용물 성분만이 우러나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272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분쇄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예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나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분쇄물을 수용한 티백을 구비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보리의 경우, 보리뿐만 아니라 보리순 또는 보리잎을 차(茶)로 우려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분쇄물을 티백의 형태로 우려마심으로써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은 혈중 콜레스테롤, 상기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스타틴류와 같은 합성의약품에 비하여 부작용의 염려가 없는 안전한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
통계분석은 두 그룹 간 유의성 검사는 Students t-test를 이용하였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5, **P<0.01, ***P<0.005를 의미한다. 각 그래프의 오차막대는 평균 으로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경우, 12주간의 체중변화를 대조군과 비교 관찰한 그래프이다. 주 2회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g을 사용하였다. (평균, *P<0.05, **P<0.01, ***P<0.005 vs. contro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마우스에 투여하기 전(0주)과 투여 3주, 투여 6주, 투여 9주, 투여 12주 후 혈액을 채취하여 분석한 표이다. 각 그래프는 혈중 콜레스테롤, 혈중 LDL-콜레스테롤, 혈중 포도당의 농도를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단위는 mg/dL을 사용하였다. (*P<0.05, **P<0.01, ***P<0.005 vs. control)
도 3a은 HepG2 세포에 스타틴(2M),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100g/mL)을 각각 24시간 처리 후, Dil 시약으로 20분간 염색하고,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사진이다.
도 3b는 세포내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평균, *P<0.05, **P<0.01, ***P<0.005 vs. control)
도 4a는 HepG2 세포에,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처리한 후, H&E 염색을 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4b는 12주간의 동물실험 종료 후, 간 무게, 간 조직 내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평균, *P<0.05, **P<0.01, ***P<0.005)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 간 조직으로부터 immunoblot 실험법을 사용하여 AMPK와 HMG-CoA Reductase의 활성화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 측정한 그래프이다. (평균, *P<0.05, **P<0.01, ***P<0.005)
도 5b는 q-PCR 실험법을 사용하여 콜레스테롤, 포도당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평균, *P<0.05, **P<0.01, ***P<0.005)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1: 새싹보리의 배양 및 수확
상온에서 자루에 담긴 보리종자의 균일한 발아를 위해 6 내지 12 시간동안 물에 침종시킨 후 꺼내어 공기 중에서 6 내지 12 시간동안 물이 빠지도록 한 후, 육묘용 상자를 이용하여 상토에 겉보리품종의 보리종자를 골고루 뿌리고 상토를 덮었고, 상토가 마르지 않게 주기적으로 물을 주면서 보리를 상온에서 키웠다. 종자가 싹이 튼 후, 20 내지 2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0일 내지 15일 경과한 새싹보리의 지상부를 수확하였다.
실시예 1-2: 새싹보리의 발효주정 추출물의 제조
상기 새싹보리시료는 발효주정을 용매로 하여 추출되었으며, 80% (v/w) 조건에서 12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추출액을 감압증류기와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농축 및 건조시킨 분말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험동물의 사육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실험동물은 샘타코 바이오(Osan, Korea)로부터 구입한 6주령의 수컷 C57BL/6이다. 실험 시작 전에, 구입한 마우스는 총 칼로리의 45%를 지방-유래의 고지방 식이 투여로 인하여 고콜레스테롤증을 유발케 하였다. 사육환경은 무균시스템으로 관리되며, 조명은 12시간을 주기로 자동 점등과 소등이 작동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모든 동물실험방법은 고려대학교 동물실험규정과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허가를 받은 실험법을 준수하였다.
실험예 1: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의 경구투여 후 실험동물의 체중 측정
대조군 1(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의 비투여군)은 45% 고지방 식이만을 섭취하였으며, 실험군 1(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의 투여군)은 대조군 1과 동일한 고지방 식이를 섭취하되, 1일 1회 경구 투여방법으로 정해진 양의 실시예 1-2에서 준비한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12주간 매일 투여하였으며 물과 45% 고지방 식이사료는 제약 없이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추출물의 투여량은 70kg 성인 기준으로 1일 섭취량이 25mg이 되도록 계산하였다.
12주간 관찰 결과, 대조군 1 대비 실험군 1의 체중이 더 낮은 값을 유지하였다(도 1). 구체적으로, 측정된 체중값은 초기 34.4g(대조군 1), 34.1g(실험군 1)으로 유사했으나, 새싹보리 섭취와 함께 4주차 이후부터 격차가 벌어지며 마지막 12주차에서는 평균 45.9g(대조군 1), 42.3g(실험군 1)으로 3.6g 정도 차이가 났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 경구투여 후 실험동물의 혈액 분석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의 투여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매 3주마다 1회, 총 4회에 걸쳐 안구채혈을 실행하여 혈액시료를 채취하고, 혈액자동화분석기기인 COBAS C111을 사용하여 혈액분석을 수행하였다. 채혈은 12~15시간 절식 후, avertin 마취제로 마취한 상태에서 약 200 정도의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혈장부분만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3종으로, 포도당,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이다.
실험군 2(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의 투여군)는 상기 실험군 1과 동일하게, 1일 1회 경구 투여방법으로 정해진 양의 실시예 1-2에서 준비한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12주간 매일 투여하였으며 물과 45% 고지방 식이사료는 제약 없이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추출물의 투여량은 70kg 성인 기준으로 1일 섭취량이 25mg이 되도록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 2의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9주차부터 대조군 2(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 비투여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12주차 결과에서는 실험군 2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대조군 2 대비 15% 감소하였으며, 이는 대조군 2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총 콜레스테롤을 이루고 있는 성분 중, 동맥경화의 주요 발생원인인 LDL-콜레스테롤은 실험군 2에서 대조군 2에 비하여 35%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5).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나타나는 혈중 포도당 농도 증가현상은 인슐린 민감도 감소로 인한 2형 당뇨의 증상 중 일부이며,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섭취하였을 경우, 고지방 식이를 지속적으로 섭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험초기(0주차)와 유사한 수준의 혈중 포도당 농도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조군 2와 비교하여 실험군 2의 혈당농도가 40%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P<0.005)(도 2).
실험예 3: 세포 내 지질성분 염색
본 발명에서 종자가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이 간 세포내의 지질함량을 감소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내 지질성분을 Dil 형광염료를 사용하여 염색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HepG2(human hepatocyte)세포로, 37,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되었다. 실험을 위해서 배양된 세포는 6-well plate에 5×105cell/well로 분주되었으며, 24시간 이후, 양성대조군 3인 스타틴(2M)과 상기 실시예 1-2에서 준비한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100g/mL)을 처리하였다(실험군 3). 24시간 처리 후, Dil 시약을 첨가하여 20분간 염색하고,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관찰하였다.
세포 염색 결과, 염색의 강도가 대조군 3(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 비투여군) 대비 실험군 3과 양성대조군 3(스타틴 처리)에서 확연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도 3a). 이는 대조군 3에 비해,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간에 축적되는 지질의 함량이 스타틴에 가까운 수준으로 감소됨을 의미한다.
실험예 4: 세포 내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
종자가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콜레스테롤 분석 kit를 사용하여 HepG2 세포 내의 총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터, 유리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HepG2 세포에 스타틴(2M), 상기 실시예 1-2에서 준비한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100g/mL)을 24시간 처리한 후, Hexane:Isopropanol(2:1)을 30분간 처리하여 지질성분을 추출하고, speed vac으로 용매를 모두 증발시켰다. 동량의 assay buffer로 지질성분을 다시 용해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실험군 4).
그 결과, Dil 염색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도 3b). 콜레스테롤은 유리형과 에스테르형이 있으며, 이 둘을 합쳐 총 콜레스테롤로 나타낸다. 총 콜레스테롤 분석 결과, 스타틴(양성대조군 4),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처리(실험군 4)한 경우 각각 대조군 4(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 비투여군) 대비 32%(양성대조군 4), 24%(실험군 4) 감소하였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는 스타틴(양성대조군 4), 새싹보리 처리(실험군 4)시 각각 대조군 대비 55%(양성대조군 4), 46%(실험군 4) 감소하였고, 유리콜레스테롤은 같은 조건에서 각각 26%(양성대조군 4), 18%(실험군 4)의 감소효능을 보여 유리콜레스테롤 보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새싹보리 발효주정추출물 투여 후, 간 내 지질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2에서 준비한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의 발효주정 추출물의 12주간의 투여 종료 후, 간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간 내 지질성분의 함량을 COBAS C111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간 무게의 감소와 중성지질의 감소가, 상기 실시예 1-2에서 준비한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 투여군(실험군 5)에서 관찰되었다(도 4b). 간비대 증상은 독성물질의 섭취나 간염, 지방간 등으로 유발될 수 있으므로 간 무게의 감소는 긍정적 효능으로 평가되며, 중성지질 농도의 감소와 간 단면의 현미경 관찰 결과에서도 지방간 증상이 유의적으로 완화됨을 확인하였다(도 4a). 이는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이 혈중 지질대사 뿐만 아니라, 지방간 병변 개선에도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6: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의 HMG - CoA Reductase 활성 억제 평가
체내에서 생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의 20~25%는 간에서 일어난다. 콜레스테롤 생합성은 acetyl CoA와 acetoacetyl-CoA가 HMG-CoA로 전환되며 시작된다. HMG-CoA는 HMG-CoA reductase (HMGCR)에 의해 mevalonate로 환원되는데 이 단계는 속도 제한반응에 속하며 비가역적이다. 콜레스테롤 저하 약물인 스타틴은 이 단계에서 HMGCR의 저해제로 작용하여 콜레스테롤 합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AMPK는 HMGCR의 인산화를 조절하여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Westernblot법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2에서 준비한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 투여 후, 간 내 AMPK, HMGCR의 활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 투여군(실험군 6)에서 대조군 6(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 비투여군) 대비 HMGCR의 인산화 비율이 증가하여 HMG-CoA Reductase의 활성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5a). 이는 AMPK의 활성증가에 따른 결과로 해석되며 따라서 앞서 관찰된 HepG2 세포내의 콜레스테롤 함량의 감소와 동물실험에서의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는 HMG-CoA reducatase의 활성 감소에 대한 결과로 사료된다.
추가적으로, 혈중 LDL-콜레스테롤을 간으로 흡수시키는 LDL receptor(LDLR)와 유리콜레스테롤을 저장형태의 콜레스테롤인 콜레스테롤에스테르로 전환시켜주는 Acetyl-Coenzyme A acetyltransferase (ACAT2), 포도당합성에 관여하는 Pyruvate carboxylase(PC), Fructose 1,6-bisphosphatase (FBPase)의 유전자 발현수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1-2에서 준비한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투여한 군(실험군 7)에서 대조군 7(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 비투여군)에 비하여 LDLR의 증가와 ACAT2, PC, FBPase의 감소를 보여, 혈중 콜레스테롤 제거효능, 포도당 감소 효능 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도 5b).

Claims (15)

  1.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새싹보리 지상부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보리는 싹이 튼 후 20 내지 25℃에서 성장시킨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C1) 내지 탄소수 4(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지질대사 질환은 고혈압, 지방간, 당뇨병, 고콜레스테롤증,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또는 지방단백질증인 조성물.
  5.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보리는 싹이 튼 후 20 내지 25℃에서 성장시킨 것인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C1)지 탄소수 4(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인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지질대사 질환은 고혈압, 지방간, 당뇨병, 고콜레스테롤증,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또는 지방단백질증인 조성물.
  9.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의 지상부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새싹보리 지상부를 발효주정을 용매로 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1일 기준 25mg/체중 70kg(추출물 중 고형분 기준) 이하로 경구 투여시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보리는 겉보리 품종인 것인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는 단계 및 건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지질대사 질환은 고혈압, 지방간, 당뇨병, 고콜레스테롤증,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또는 지방단백질증인 제조 방법.
  13. 싹이 튼 후 10일 내지 15일이 경과한 겉보리 품종의 새싹보리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분쇄물; 및 새싹보리 지상부 또는 이의 분쇄물을 수용한 티백을 구비한,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보리는 싹이 튼 후 20 내지 25℃에서 성장시킨 것인 건강기능식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티백은 물, 탄소수 1(C1) 내지 탄소수 4(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분해되지 않는 재료로 제조된 것이 특징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30045443A 2013-04-24 2013-04-24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추출물 제조방법 KR20140127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443A KR20140127003A (ko) 2013-04-24 2013-04-24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추출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443A KR20140127003A (ko) 2013-04-24 2013-04-24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추출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03A true KR20140127003A (ko) 2014-11-03

Family

ID=5245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443A KR20140127003A (ko) 2013-04-24 2013-04-24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추출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700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567A (ko) * 2017-06-13 2018-12-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42113A1 (ko) * 2019-05-30 2020-12-03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과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또는 당뇨를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치료용 조성물
KR20200137193A (ko) * 2019-05-29 2020-12-09 한국식품연구원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27836A (ko) * 2019-09-03 2021-03-1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수정찰맥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052602A (ko) 2019-10-21 2021-05-11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새싹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억제용 조성물
KR20210063041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웰파인 곤드레추출물과 새싹보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 기능성 복합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993392A (zh) * 2019-04-29 2022-01-28 格鲁比私人有限公司 固体食物组成物
KR102372666B1 (ko) * 2021-02-02 2022-03-10 (주)한국메디칼컨설팅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567A (ko) * 2017-06-13 2018-12-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3993392A (zh) * 2019-04-29 2022-01-28 格鲁比私人有限公司 固体食物组成物
KR20200137193A (ko) * 2019-05-29 2020-12-09 한국식품연구원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42113A1 (ko) * 2019-05-30 2020-12-03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과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또는 당뇨를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치료용 조성물
KR20200138003A (ko) *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에이치엘사이언스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과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또는 당뇨를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치료용 조성물
KR20210027836A (ko) * 2019-09-03 2021-03-1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수정찰맥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052602A (ko) 2019-10-21 2021-05-11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새싹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억제용 조성물
KR20210072743A (ko) 2019-10-21 2021-06-17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새싹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억제용 조성물
KR20210063041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웰파인 곤드레추출물과 새싹보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 기능성 복합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72666B1 (ko) * 2021-02-02 2022-03-10 (주)한국메디칼컨설팅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조성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7003A (ko) 새싹보리 지상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추출물 제조방법
US20110038959A1 (en) Plant-origin drug for preventing or improving hyperuricemia
KR101158856B1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928988B2 (ja) アリトールを有効成分とする経口抗肥満活性剤および肥満抑制方法
KR20110068958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200141300A (ko)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바이탈 멜론 및 이의 추출물
KR101134251B1 (ko)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076185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JP6757995B2 (ja) 経口組成物
da Silva et al. Dipteryx alata Vog.
KR20190124194A (ko) 항산화 또는 혈당 강하 활성 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차
KR20150037774A (ko) 항산화 효능이 증가된 정향의 제조방법
KR20150064521A (ko) 죽염 및 쥐눈이콩을 포함하는 발효조성물
KR102635263B1 (ko) 양귀비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JP5916321B2 (ja) トランスレスベラトロール含有組成物
KR20190084732A (ko)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00664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성효과가 있는 조성물
JP2009167153A (ja) 血糖値上昇抑制剤
KR102183687B1 (ko) 비알콜성 지방간 예방에 도움을 주는 둥굴레 추출물
Mar et al. Theobroma spp.: A review of it's chemical and innovation potential for the food industry
JP2022168204A (ja) 経口組成物
JPWO2020171144A1 (ja) 生体内機能成分を含むズイナを植物体の形態で利用する経口組成物
JP2023109364A (ja) ミソハギ含有組成物
KR101092602B1 (ko) 국화과 산채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076575B1 (ko)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식품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