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128B1 -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 - Google Patents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128B1
KR102372128B1 KR1020187026691A KR20187026691A KR102372128B1 KR 102372128 B1 KR102372128 B1 KR 102372128B1 KR 1020187026691 A KR1020187026691 A KR 1020187026691A KR 20187026691 A KR20187026691 A KR 20187026691A KR 102372128 B1 KR102372128 B1 KR 10237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covering
water
repell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313A (ko
Inventor
가즈야 다지마
아쓰시 시라이시
Original Assignee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즈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0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41D31/125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through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21/207Wearing apparel or garment blan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Abstract

천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2)을 가지는 피복용 천(1)으로서, 관통공(2)은 상기 천의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관통공(2)에 접하는 적어도 일부에는 발수 또는 소수(疏水) 영역(3)이 배치되고, 다른 부분에는 친수 영역(4)이 배치되어 있다. 발수 또는 소수 영역(3)의 부분은 홈부(5)가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복은, 상기한 피복용 천을 포함하고, 상기 천 부분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이 기장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로써, 흡수성을 가지면서, 천이 습윤 시에도 물의 막의 형성을 억제하고, 천의 통풍성을 확보하고, 피부 상의 땀을 항상 신체 표면 상에서 기화시킴으로써, 유효 발한량을 증가시키고, 운동 퍼포먼스를 저하시키지 않고, 발한 시에도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는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
본 발명은,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발한(發汗) 시에도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는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에 관한 것이다.
발한을 수반하는 스포츠에는, 발한 대책을 한 피복을 착용하는 것이 쾌적하다. 종래의 피복은, 발한 시 등의 습윤 상태에 있어서는, 물(땀)의 막이 천 표면 상에 형성되어 통풍성이 감소하여, 피부 상의 땀의 기화를 저해하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는, 무효 발한이 증가하여, 심부 체온의 상승에 의한 운동 퍼포먼스가 저하되고, 불쾌감도 높아지는 문제로 이어진다. 종래 기술로서, 특허문헌 2∼3에는 메쉬를 가지는 편지(編地)가 제안되었고, 특허문헌 1, 4에는 메쉬 편지에 발수제를 부착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200452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3-096648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6-169648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6-249610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피복은, 발한이 많으면 물(땀)의 막이 천 표면 상에 형성되어 통풍성이 감소하여, 피부 상의 땀의 기화를 저해하는 상태로 되어, 무효 발한이 증가하여, 심부 체온의 상승에 의한 운동 퍼포먼스가 저하되고, 불쾌감도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흡수성을 가지면서, 천이 습윤 시에도 물의 막 형성을 억제하고, 천의 통풍성을 확보하고, 피부 상의 땀을 항상 신체 표면 상에서 기화함으로써, 유효 발한량을 증가시키고, 운동 퍼포먼스를 저하시키지 않고, 발한 시에도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는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복용 천은, 천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을 가지는 피복용 천으로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천의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에 접하는 적어도 일부에는 발수 또는 소수(疏水) 영역이 배치되고, 다른 부분에는 친수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복은, 상기한 피복용 천을 포함하고, 상기 천 부분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이 기장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은, 관통공에 접하는 적어도 일부에는 발수 또는 소수 영역이 배치되고, 다른 부분에는 친수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관통공 부근으로부터 친수 영역으로 수분이 이동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관통공 부근의 물의 막은 형성되지 않게 된다. 즉, (1) 관통공에 접하는 적어도 일부에는 발수 또는 소수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것, (2) 및 다른 부분에는 친수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것의 상승(相乘) 효과에 의하여, 천이 습윤 시에도 물의 막의 형성을 억제하고, 천의 통풍성을 확보하고, 피부 상의 땀을 항상 신체 표면 상에서 기화함으로써, 유효 발한량을 증가시키고, 운동 퍼포먼스를 저하시키지 않고, 발한 시에도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는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종래의 의복의 통상 상태에서의 땀의 이동을 나타내는 모식적 설명도, 도 1의 B는 동(同) 대량 발한 상태에서의 땀의 이동을 나타내는 모식적 설명도, 도 1의 C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 의복 대량 발한 상태에서의 땀의 이동을 나타내는 모식적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읠 일실시형태에서의 피복용 천의 평면 사진(배율 2)이다.
도 3의 A는 도 2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의 B는 동,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동 별도의 일실시형태에서의 피복용 천의 평면 사진(배율 2), 도 4의 B는 동 이면 사진(배율 2)이다.
도 5의 A는 도 4의 A를 설명하는 도면, 도 5의 B는 도 4의 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동 별도의 일실시형태에서의 피복용 천의 평면 사진(배율 2)이다.
도 7은 도 6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복용 천 견본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습윤 상태에서의 외기로의 열이동량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적 설명도, 도 9의 B 및 C는 동 측정의 장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의 A 및 B는 동, 습윤 상태에서의 외기로의 열이동량의 측정 발한 시의 의복의 방열성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셔츠 착용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셔츠 착용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천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천의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피복용 천이다. 일방향이란, 천의 세로, 가로, 경사의 어느 것이라도 되지만, 세로 또는 가로로 배열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을 했을 때 관통공은 세로로 배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가로, 경사로 배열한 경우라도, 일정 간격마다 세로 방향으로 관통공이 출현하면 본 발명의 성능은 확보할 수 있다. 이 천은 직물, 편물 등 어떠한 천이라도 된다. 관통공에 접하는 적어도 일부에는 발수 또는 소수 영역이 배치되고, 다른 부분에는 친수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에 있어서, 「관통공에 접하는 적어도 일부」란, 10% 이상을 일컬으며,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이 구조에 의해, 관통공 부근으로부터 친수 영역으로 수분이 이동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관통공 부근의 물의 막은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 결과, 상기 피복용 천은, 발한에 의해 젖은 상태에 있어서도 관통공의 통풍성이 확보되어, 유효 발한량을 증가시키고, 운동 퍼포먼스를 저하시키지 않고, 발한 시에도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는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을 제공할 수 있다. 관통공의 평면 형상은, 둥근 형상, 타원, 사각, 마름모, 삼각, 다각형, 부정형의 어떤 형상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천은, 관통공의 일부에는 발수 또는 소수 영역이 배치되는 것에 의해, 관통공의 모세관 현상보다 표면 장력이 커진다. 이로써, 천 표면의 수분이 이동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관통공에 물의 막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관통공에 수분이 충전되었다고 하더라도, 어떤 부분은 친수 영역, 그 외의 부분은 발수 또는 소수 영역이므로, 표면 장력이 상이하므로, 관통공에 있는 물의 힘이 인가되는 밸런스가 균등하지 않으므로, 관통공에 물의 막이 생기지 않게 된다. 발수 혹은 소수 영역을 관통공의 주위, 적어도 관통공의 일부에 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의 일부에는, 체표면으로부터 배출된 땀을 흡수할 수 있도록 친수 영역이 배치되어 있다. 친수 영역은 적어도 10% 이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수 또는 소수 영역은, 발수 또는 소수 상태의 실을 편직하여 구성, 발수 또는 소수 상태의 수지를 천에 도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친수 영역은, 친수 상태의 실을 편직하여 구성, 친수 상태의 수지를 천에 도포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은, 관통공의 일부에는 발수 또는 소수 상태의 실이 배치되는 것에 의해, 관통공의 모세관 현상보다 표면 장력이 커진다. 천 표면의 수분이 이동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관통공에 물의 막이 생기지 않게 된다. 발수 혹은 소수성 실을 관통공의 주위, 적어도 관통공의 일부에 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의 일부에는, 체표면으로부터 배출된 땀을 흡수할 수 있도록 친수 상태의 실이 배치되어 있다. 친수성 실은 적어도 10% 이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했을 때, 수직 방향으로 물이 흐르기 쉬운 라인을 설치할 수도 있다. 수직 방향의 라인은, 실 밀도의 소밀(疏密), 혹은 발수 또는 소수 영역을 연속으로 함으로써 형성된다. 실 밀도의 소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천의 밀도, 실의 꼰 수, 권축율(捲縮率), 뜨는 방법, 엠보스 가공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발수 또는 소수 영역의 연속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발수사 또는 소수사의 연속된 배치, 예를 들면, 경편(經編)에 의한 발수사, 또는 소수사의 연속된 실이 짜넣어진 상태, 혹은 발수 또는 소수 프린트 가공, 예를 들면, 스트라이프형 등으로 프린트 가공을 행하는 상태 등이 있다. 어떤 일정 길이의 라인이 규칙적으로 반복 출현해도 되는 라인은 직선뿐만 아니라, 파형의 곡선이라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수성 섬유사 및 소수성 섬유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사(I)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섬유사, 폴리에틸렌 섬유사, 폴리에스테르(PET 등)사의 소수성 섬유사, 유기 섬유사(예를 들면, 상기 소수성 섬유사)를 발수 가공한 실, 천 상태에서 프린트 발수 가공한 실 부분을 포함한다. 친수성 섬유사(II)는, 코튼 방적사, 레이온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방적사, 고가교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섬유 방적사, 이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PET 등) 섬유와의 혼방사, 이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PET 등)의 멀티필라멘트사와의 복합 방적사(정방교연사를 포함함), 나일론사, 친수 가공한 폴리에스테르(PET 등) 섬유사 등, 천 상태에서 프린트 친수 가공한 실 부분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발수성 섬유사 및 소수성 섬유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사(I)는 관통공을 구성하는 섬유로서 사용하고, 친수성 섬유사(II)는 천의 부분에 사용할 수도 있다.
친수성 섬유사를 사용한 부위는, 적하법 평가(JIS L1907 A법)에 있어서, 180초 이내에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초 이내이다. 본 발명의 천에, 적하법 평가(JIS L1907 A법)했을 때, 발수성 섬유사 및 소수성 섬유사를 사용한 부위보다, 친수성 섬유사를 사용한 부위 쪽이 보수(保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은, 발수 또는 소수 영역(A)과 친수 영역(B)이 피복용 천을 차지하는 면적비가 A:B=1:99∼9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98∼85:15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98∼80:20이다. 여기서, 발수사 또는 소수사의 연속된 배치, 예를 들면, 경편에 의한 발수사, 또는 소수사의 연속된 실이 짜 넣어진 경우의 발수 또는 소수 영역(A)의 면적이란,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제품 품번 VH-Z25, 키엔스사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한 무부하의 천 상태에서 실의 굵기와, 단위면적당의 천을 구성하고 있는 실의 개수를 곱한 것을 일컫는다. 또한, 발수 또는 소수 영역을 수지를 도포하여 발수 또는 소수 영역(A)을 구성한 경우에는, 단위면적당의 수지의 도포 면적을 일컫는다. 발수 또는 소수 영역(A) 이외를 친수 영역(B)으로 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발수 또는 소수 영역(A)과 친수 영역(B)의 면적비를 산출한다. 또한, 발수성 섬유사 및 소수성 섬유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사(I)와, 친수성 섬유사(II)의 비율은, 피복용 천을 100질량%로 했을 때, A:B=1:99∼90:10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98∼85:15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98∼80:20이다. 이로써, 더욱 수분이 이동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관통공 부근의 물의 막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본 발명의 피복용 천의 천 중량 100%에 대하여, 300%의 수분을 습윤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매달았을 때, 상기 관통공은 공극(空隙)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피복용 천은,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관통공과 동일 방향으로 홈(溝)(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발한량이 많을 때는 홈(라인)으로부터 물이 흐르기 쉬워진다. 홈(라인) 방향은 기장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 폭은 0.1∼30 mm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20 mm이다. 홈부(라인)는, 발수성 섬유사 및 소수성 섬유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사(I)로 구성되는 천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이 흐르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상기 홈부는, 친수성 섬유사의 편지 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껍게, 발수성 섬유사 또는 소수성 섬유사의 편지 부분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함으로써, 발수성 섬유사 또는 소수성 섬유사의 편지 부분을 홈부로 해도 된다.
관통공의 크기는, 세로 및 가로 방향의 길이에서 모두 평균 0.3mm 이상 25mm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20 mm이다. 이로써, 더욱 유효 발한량을 증가시키고, 운동 퍼포먼스를 저하시키지 않고, 발한 시에도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는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복용 천의 개구율은, 1% 이상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 %이다. 이로써, 더욱 유효 발한량을 증가시키고, 운동 퍼포먼스를 저하시키지 않고, 발한 시에도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는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율이란, 천에 있어서, 관통공이 차지하는 비율을 일컫는다.
본 발명의 피복용 천에 사용하는 섬유사는, 방적사, 멀티필라멘트사, 멀티필라멘트사를 가공한 권축사 등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권축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권축율이 상이한 실을 상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율이 높으면 보수량(保水量)이 커지고, 권축율이 낮으면 보수량이 작아지며, 이들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물의 방울이 커지고, 물의 방울의 이동 가속을 반복함으로써, 공극이 확보된다. 연사(撚絲)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꼰 수가 100회/m 이상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은, 직물이라도 되고 편물이라도 된다. 직물로서는, 평직, 사문직(斜文織), 주자직(朱子織), 변화 평직, 변화 사문직, 변화 주자직, 변화직, 문직(紋織), 편이중직(위이중직 및 경이중직), 이중 조직, 다중 조직, 경 파일직, 위 파일직, 레노위브(leno weave) 등을 기본으로 하고, 세로 또는 가로, 경사의 일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한다. 편물로서는, 환편(丸編), 위편(緯編), 경편(트리코(tricot)편, 러셀편을 포함함), 파일편 등을 포함하고, 평편, 플레인 스티치(plain stitch), 리브(rib)편, 스무드 위브(smooth weave)(양면편), 고무편, 펄 편(purl stitch), 덴비(denbigh) 조직, 코드(cord) 조직, 아틀라스 조직, 사슬 조직, 삽입 조직 등을 기본으로 하고, 세로 또는 가로, 경사의 일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한다. 이 중에서도, 편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물은, 습윤 시에 직물코 또는 편물코가 평면 방향으로 신장(伸長)하여, 통풍성이 높아진다. 또한, 단위면적당의 중량도 가볍고, 의류의 발한이 많은 부분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편물로서는, 트리코, 러셀 등의 경편, 위편, 환편 등의 니트 편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의 바람직한 단위면적당중량은 40g/m2 이상 300g/m2 미만이다. 의류의 발한이 많은 부분에 사용하기 위하여, 얇은 천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은, 원 웨이, 투 웨이라도 되고,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사를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복은, 상기 천을 포함하고, 상기 천 부분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이 기장, 경사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로써, 땀의 수분은 세로 방향으로 흐르기 쉽고, 관통공의 통풍성은 확보된다. 이 피복은 스포츠용 피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발한이 많은 더운 시기에 사용하는 스포츠용 피복에 적합하다. 상기 천은 적어도 인체의 발한이 많은 부분에 배치하여 의류로 한다. 예를 들면, 스포츠 셔츠, 티셔츠, 이너(inner) 셔츠, 트레이닝용 워머(warmer), 브리프, 일반 셔츠 등의 전부에 사용해도 되고, 겨드랑이, 등 등의 일부에 사용해도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의 피복용 천을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호는 동일물을 나타낸다. 도 1의 A는 종래 의복의 통상 상태에서의 땀의 이동을 나타내는 모식적 설명도이다. 피부(11)로부터 나온 땀(13a, 13b)은 피복(12a)의 공극부로부터 외기측으로 확산한다. 14는 공기의 흐름이다. 도 1의 B는 종래 의복의 대량 발한 상태에서의 땀의 이동을 나타내는 모식적 설명도이다. 대량 발한 상태에 있어서는, 의복의 젖음은 커지고, 물의 막이 발생하고, 피복(12b)의 공극부는 없어지거나 적어지게 되어, 땀(13)도 공기(14)도 피부(11)면에 잔존하게 되어, 무효 발한이 증가하고, 심부 체온의 상승에 의한 운동 퍼포먼스가 저하되고, 불쾌감도 높아진다.
이에 비해 도 1의 C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의복의 대량 발한 상태에서의 땀의 이동을 나타내는 모식적 설명도이다. 대량 발한 상태가 되어, 의복의 젖음은 커져도, 관통공의 공극은 확보되므로, 물의 막의 형성을 억제하고, 천(12C)의 통풍성을 확보하고, 피부(11)로부터 나온 땀(13a, 13b)은 피복(12c)의 공극부로부터 외기측으로 확산한다. 또한, 피부 상의 땀을 항상 신체 표면 상에서 기화함으로써, 유효 발한량을 증가시키고, 운동 퍼포먼스를 저하시키지 않고, 발한 시에도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의 피복용 천의 평면 사진(배율 2), 도 3의 A는 도 2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3의 B는 동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 천(1)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2)을 가지고, 이 관통공(2)은 천(1)의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관통공(2)에 접하는 적어도 일부에는 발수성 섬유사 또는 소수성 섬유사(3)가 배치되고, 다른 부분에는 친수성 섬유사(4)가 배치되어 있다. 친수성 섬유사(4)의 편지 부분은 두껍고, 발수성 섬유사 또는 소수성 섬유사(3)의 편지 부분은 얇으므로 세로 방향으로 홈부(라인)(5)를 형성하고 있다. 발수성 섬유사 또는 소수성 섬유사(3)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은 발수 또는 소수 영역이 되고, 친수성 섬유사(4)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은 친수 영역이 된다.
도 4의 A는 동 별도의 일실시형태에서의 피복용 천의 평면 사진(배율 2), 도 4의 B는 동 이면 사진(배율 2), 도 5의 A는 도 4의 A를 설명하는 도면, 도 5의 B는 도 4의 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천(6)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2)을 가지고, 이 관통공(2)은 천(6)의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관통공(2)에 접하는 적어도 일부에는 발수성 섬유사 또는 소수성 섬유사(3)가 배치되고, 다른 부분에는 친수성 섬유사(4)가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동 또한 별도의 일실시형태에서의 피복용 천의 평면 사진(배율 2), 도 7은 도 6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천(7)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2)을 가지고, 이 관통공(2)은 천(7)의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관통공(2)에 접하는 적어도 일부에는 발수성 섬유사 또는 소수성 섬유사(3)가 배치되고, 다른 부분에는 친수성 섬유사(4)가 배치되어 있다. 친수성 섬유사(4)의 편지 부분은 두껍고, 발수성 섬유사 또는 소수성 섬유사(3)의 편지 부분은 얇으므로 세로 방향으로 홈부(라인)(5)를 형성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비교예 1∼4)
표 1에 나타내는 내용의 천을 작성했다. 발수성 실 또는 소수성 실(I)로 관통공을 포함하는 천 부분을 형성하고, 다른 부분은 친수성 실(II)로 형성했다. 실시예 1(개발품 A), 실시예 2(개발품 B), 비교예 1(비교품 a), 비교예 3(비교품 c) 및 비교예 4(비교품 d)는 셔츠를 대상으로 하고, 실시예 3(개발품 C), 실시예 5(개발품 E) 및 비교예 2(비교품 b)는 이너 셔츠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표 1에 있어서, PET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사, PP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사, PU는 폴리우레탄 섬유사이다. 또한, T는 dicitex, f는 필라멘트수, 실번호는 미터 실번호, SD는 세미덜(semi-dull)을 나타낸다. 실시예 1∼5의 개발품 A-E의 천 표면과 이면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5 및 비교예 4에는, PET 섬유사의 표면에 발수 가공을 실시한 발수사를 사용했다. 또한, 실시예 4에는 소수성의 PP 섬유사, 친수성 실로서 PET 섬유와 고가교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섬유와의 혼방 방적사를 사용했다.
[표 1]
Figure 112018091615230-pct00001
실시예품 1∼5, 비교예품 1∼2의 개구율을 측정했다. 개구율은 하기 방법으로 측정했다.
(1) 천의 화상을 인쇄하고, 4점의 관통공의 중심을 연결한 선분으로 형성된 4각형의 범위를 절취한다.
(2) 절취된 4각형의 부분의 종이 중량(W1)을 측정한다.
(3) 절취된 4각형 부분에 들어 있는 관통공을 절취하고, 그 종이 중량(W2)을 측정한다.
(4) 개구율=(1-W2/W1)×100으로 산출한다.
각 천의 개구율을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8091615230-pct00002
건조 시 및 습윤 시의 기류 저항을 측정했다. 측정 시에는 통기 저항 시험기 KES-F8(가토테크사 제조)을 사용했다. 이 측정은, 대기중에 공기를 방출·흡인하고, 방출·흡인 시의 압력을 검지하고, 기류 저항 R을 산출함으로써 행하였다.
통기량: 4cc/cm2/sec. (통기량 일정 방식)
통기 구멍 홀면적: 2πcm2
건조 시의 통기 저항은, 천을 건조시킨 상태에서 온도 20℃, 상대 습도 65%R.H.의 조건에서 측정했다.
습윤 시의 통기 저항은 천 질량 100%에 대하여, 300%의 수분을 습윤시킨 상태에서, 공기의 방출·흡인 방향을 지면과 평행하게 측정했다. 온도와 습도는 상기 와 같다.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천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의 상태가 되도록 했다.
(2) 수조 중에 침지시킨 시료를 꺼내고, 시험기에 천을 설치했다.
(3) KES의 시험 매뉴얼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 개시했다.
각 천의 통기 저항값을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18091615230-pct00003
표 3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본 실시예품은 비교예품에 비교하여 건조 시에도 습윤 시에도 통기 저항값이 낮고, 특히 습윤 시의 통기 저항값은 현저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습윤 시의 통기 저항값은 0.1kPa·s/m2 이하이면 의복 내로부터 의복 밖으로 수분이 빠지는 체감을 얻을 수 있다.
습윤 상태에서의 외기로의 열이동량의 측정 발한 시의 의복의 방열성 측정을 행하였다. 항온항습층: 80℃, 상대 습도: 95%R.H., 사용 기기: 열류 센서 Z(제품 품번: 2015TC, 히오키전기(日置電機)사 제조)로 했다. 측정 장치는 도 9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컵의 깊은 곳에 시료를 장착하고, 그 때 천의 이면측이 항온항습층 측이 되도록 한다.
(2) 이온 교환수에 1분 이상 시료를 침지한다.
(3) 천의 세로 방향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물로부터 시료를 꺼내고, 항온항습층의 송풍구에 5초 이내에 세트한다.
(4) 물로부터 시료를 꺼내고 나서 5초 후에 측정 개시한다.
(5) 측정은 계1분 30초로 종료.
(6) 해석은, 측정 개시로부터 1∼15 초 후의 적분값을 산출한다.
각 천의 열유량값을 표 4(셔츠 천) 및 표 5(이너 셔츠 천)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표 4]
Figure 112018091615230-pct00004
[표 5]
Figure 112018091615230-pct00005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5 품(개발품 A∼E)은 열유량값이 높고, 그만큼 착용감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습윤 상태에서의 외기로의 열이동량의 측정 발한 시의 의복의 방열성 측정을 행하였다. 사용 기기는 열류 센서 Z(제품 품번: 2015TC, 히오키전기사 제조)로 했다.
(1) 비교품과 개발품을 좌우로 설치한 시료를 제작하고, 도 10과 같이 열류 센서를 장착하였다. 그 때 열류 센서는, 의복과의 사이에 3mm의 공간을 두도록 설치하고, 의복 내로부터 외부로 열이 이동하는 방향을 +로 한다.
(2) 환경 온도 28℃, 80%RH로 설정한 환경 시험실 내에서, 속도 5min/km로 설정한 트레드밀(Tread Mill) 상에서 30분 런닝을 실시하였다. 그 때, 런닝을 상정(想定)하여, 전방으로부터 풍속 2.5m/s의 바람을 송풍하였다.
(3) 해석은, 측정 개시로부터 25∼30 분의 합계 5분간의 열이동량의 적분값을 산출한다. 이상의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표 6]
Figure 112018091615230-pct00006
비교품의 경우, 피험자가 땀을 흘려 웨어가 젖게 되는 런닝 개시로부터 15∼20 분을 경계로, 열이 의복 내로부터 외기로 이동하지 않게 되고, 값이 마이너스를 나타내는 것도 있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품(개발품)의 경우, 땀을 흘려 웨어가 젖게 되더라도 통풍성을 유지함으로써 땀을 증발시켜, 외부로 방열할 수 있으므로, 값은 항상 플러스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각 천을 사용하여 셔츠를 봉제하고, 착용 시험을 행하였다. 착용 시험은, 8월에 간사이(關西) 지역에서, 개발품 및 비교품을 착용하여 운동하였다. 대량 발한 시의 착용감을 관능 검사(SD법, 양극 척도, 5단계)로 평가했다.
·피험자는 건강한 20∼40 대의 일본인 남성이다.
·모니터는 5min/km, 30분의 런닝으로 행하였다.
·평점은, 평소의 운동 시의 감각을 기준(보통)으로 하여 평가했다.
·개발품에 의해 피부 측에 아무 것도 착용하지 않았다.
·평가는, (1) 천의 습윤 면적(넓을수록 좋지 못함). (2) 발한속건(發汗速乾). (3) 달라붙는 느낌. (4) 통풍성, (5) 땀을 흘리는 타이밍(빠를수록 좋지 못함). (6) 착용감이 좋음. 평가 기준은, -2(좋지 못함), -1(약간 좋지 못함, 0(보통), 1(다소 양호), 2(양호)로 했다.
도 11 및 도 12에 본 실시예, 비교예의 셔츠 착용 시험 결과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로부터, 비교품보다 개발품 쪽이, 발한으로 웨어가 젖었을 때의 통풍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고, 본 발명품의 컨셉을 체감할 수 있는 것이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천은, 예를 들면, 스포츠 셔츠, 티셔츠, 이너 셔츠, 브리프, 타이츠, 일반 셔츠 등의 모두에 사용해도 되고, 겨드랑이, 등 등의 일부에 사용해도 된다.
1, 6, 7: 피복용 천
2: 관통공
3: 발수성 섬유사 또는 소수성 섬유사
4: 친수성 섬유사
5: 홈부(라인)
11: 피부
12a, 12b, 12c: 피복
13a, 13b: 땀
14: 공기의 흐름

Claims (12)

  1. 천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을 가지는 피복용(被服用) 천으로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천의 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에 접하는 적어도 일부에는 발수(撥水) 또는 소수(疏水) 영역이 배치되고, 다른 부분에는 친수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관통공 부근으로부터 친수 영역으로 수분이 이동하여 관통공 부근의 물의 막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관통공의 크기는, 세로 및 가로 방향의 길이에서 모두 평균 0.3mm 이상 25mm 이하이며,
    상기 피복용 천의 천 중량 100%에 대하여, 300% 수분을 습윤시킨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매달았을 때, 상기 관통공은 공극(空隙)을 유지하는,
    피복용 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용 천은, 발수 또는 소수 영역(A)과 친수 영역(B)이 피복용 천에서 차지하는 면적비가 A:B=1:99∼90:10인, 피복용 천.
  3. 제1항에 있어서,
    천을 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했을 때, 수직 방향으로 물이 흐르기 쉬운 라인을 가지는, 피복용 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 또는 소수 영역에는 발수성 섬유사 및 소수성 섬유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사가 배치되고, 상기 친수 영역에는 친수성 섬유사가 배치되어 있는, 피복용 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용 천은, 발수성 섬유사 및 소수성 섬유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사(I)와, 친수성 섬유사(II)의 비율이, 피복용 천을 100질량%로 했을 때, I:II=1:99∼90:10인, 피복용 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용 천의 개구율은 1% 이상 50% 이하인, 피복용 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 또는 소수 영역은 홈(溝)부의 적어도 일부가 되어 있는, 피복용 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폭은 0.1∼30 mm인, 피복용 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복용 천을 포함하고, 상기 천 부분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이 기장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피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은 스포츠용 피복인, 피복.
  11. 삭제
  12. 삭제
KR1020187026691A 2018-01-31 2018-03-26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 KR102372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14466 2018-01-31
JP2018014466A JP6404507B1 (ja) 2018-01-31 2018-01-31 被服用生地及びこれを用いた被服
PCT/JP2018/012152 WO2019150592A1 (ja) 2018-01-31 2018-03-26 被服用生地及びこれを用いた被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313A KR20200050313A (ko) 2020-05-11
KR102372128B1 true KR102372128B1 (ko) 2022-03-07

Family

ID=6378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691A KR102372128B1 (ko) 2018-01-31 2018-03-26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23297A1 (ko)
JP (1) JP6404507B1 (ko)
KR (1) KR102372128B1 (ko)
CN (1) CN110337247B (ko)
TW (1) TWI746864B (ko)
WO (1) WO20191505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014936A1 (ko) * 2019-07-25 2021-01-28
CN112829423A (zh) * 2021-02-08 2021-05-25 三六一度(中国)有限公司 一种自动张开复合材料及服装
CN114875546B (zh) * 2022-06-06 2023-08-18 绍兴越灵科技有限公司 单向导湿、防水防污面料的一步提花制备方法
CN114836996A (zh) * 2022-06-06 2022-08-02 绍兴越灵科技有限公司 兼具单向导湿和防水防污双重功能的面料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1023A1 (en) * 2006-02-08 2007-08-16 Umbro International Limited Fabric
US20110179551A1 (en) 2010-01-28 2011-07-28 Vanermen Steven R Breathable coated and perforated glov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2715A (en) * 1967-10-18 1970-08-04 Renfro Hosiery Mills Co Circular warp knitting machine
JPS6067319U (ja) * 1983-10-17 1985-05-13 三井物産株式会社 衣服地
JPH03185159A (ja) * 1989-12-13 1991-08-13 Toyobo Co Ltd 濡れ感の少ない編地
JP2001200452A (ja) 2000-01-19 2001-07-27 Unitika Ltd ランニングシャツ用編地
JP2003096648A (ja) 2001-09-27 2003-04-03 Unitica Fibers Ltd 快適性シャツ地
JP2006169648A (ja) 2004-12-13 2006-06-29 Wacoal Corp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からなる衣類
JP4575199B2 (ja) 2005-03-10 2010-11-04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ぬれ感の少ない織編物および繊維製品
JP5550996B2 (ja) * 2010-06-10 2014-07-16 美津濃株式会社 吸水性生地及びこれを用いた衣類
CN102885418A (zh) * 2012-02-16 2013-01-23 上海缀菱纺织品有限公司 单面导湿排汗面料
US8806663B2 (en) * 2012-10-19 2014-08-19 Under Armour, Inc. Fabric having improved diffusion moisture capability and garments made therefrom
KR20140134984A (ko) * 2013-05-15 2014-11-25 벤텍스 주식회사 고수분 전이 섬유시트
CN104499293B (zh) * 2014-01-23 2017-09-26 北京探路者户外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防水透湿格栅印花织物及其制备方法
TWM552932U (zh) * 2017-08-31 2017-12-11 Wisher Industrial Co Ltd 布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1023A1 (en) * 2006-02-08 2007-08-16 Umbro International Limited Fabric
US20110179551A1 (en) 2010-01-28 2011-07-28 Vanermen Steven R Breathable coated and perforated glo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4826A (zh) 2019-09-01
CN110337247A (zh) 2019-10-15
CN110337247B (zh) 2022-02-18
WO2019150592A1 (ja) 2019-08-08
US20200323297A1 (en) 2020-10-15
JP2019131915A (ja) 2019-08-08
TWI746864B (zh) 2021-11-21
KR20200050313A (ko) 2020-05-11
JP6404507B1 (ja)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128B1 (ko) 피복용 천 및 이것을 사용한 피복
JP5788895B2 (ja) 多層構造編地
TWI612193B (zh) 多層構造圓形編織物
TWI229037B (en) Fiber structure of heat retaining property
US10640915B2 (en) Moisture control fabrics
TWI748072B (zh) 衣料
CN107429446B (zh) 含顺应性低密度含氟聚合物纤维混纺物的织物
WO2018144318A1 (en) Fabrics with improved moisture management
JP5462619B2 (ja) 織編物及びそれを用いた衣類
JP5550996B2 (ja) 吸水性生地及びこれを用いた衣類
ES2767177T3 (es) Prenda de ropa aislante
JP2006225784A (ja) 異方的な吸水拡散性を有する編地および衣料
JP5061873B2 (ja) 着用運動時の冷却感に優れる生地
CN216069009U (zh) 一种单向导湿空气层面料
JP5944286B2 (ja) 保温透湿性機能衣料
JP2005105441A (ja) 多層構造編地
EP3520639B1 (en) Article of clothing comprising a clothing fabric
JP6751559B2 (ja) 編物、及び衣料製品
JP6522413B2 (ja) 排水性編物、及び排水機能付き衣料製品
BR112019021956B1 (pt) Têxtil revestido com padrão para resfriamento ativo
JP6861426B1 (ja) 被服用編地及びこれを用いた被服
JP2023175449A (ja) 被服用生地、及びそれを含む被服
CN215873521U (zh) 一种吸汗排湿上衣
JP2022181024A (ja) 被服用編地、及びそれを含む被服
JP6549890B2 (ja) 排水機能付き衣料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