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108B1 -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7108B1 KR102367108B1 KR1020180157868A KR20180157868A KR102367108B1 KR 102367108 B1 KR102367108 B1 KR 102367108B1 KR 1020180157868 A KR1020180157868 A KR 1020180157868A KR 20180157868 A KR20180157868 A KR 20180157868A KR 102367108 B1 KR102367108 B1 KR 1023671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rmented
- shiitake
- shiitake mushroom
- mushroom
- ag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고버섯을 이용하여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함으로써, 표고버섯의 맛, 향 및 풍미가 함유됨은 물론이고, 표고버섯의 각종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소비자 기호도가 증진되는 장점이 있는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고버섯을 이용하여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함으로써, 표고버섯의 맛, 향 및 풍미가 함유됨은 물론이고, 표고버섯의 각종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소비자 기호도가 증진되는 장점이 있는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섯은 진균류에 속하는 담자균과 자낭균종 자실체를 형성하는 고등균류로서 향미와 영양이 풍부하여 송이, 영지, 목이, 표고 등이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식생활의 향상과 함께 버섯의 약리적인 성분 때문에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표고버섯 추출물의 항암활성. 이다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Bae Ji-Hyun.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on the IL-1,TNF and IL-12Gene Expression of Macrophages. J.Korean Soc. Food Sci.Nutr.1997 ;26(5) :978-982., Moon IK-Jae, Chung See-Ryun and Jeune Kyung-Hee. Mitotic Stimulation and Cancer cell agglutination of the lectin from Lentinus edodes.Yakhak Hoeji.1995 39(3):260-267).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은 담자균과 주름버섯목 느타리과 잣버섯속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 봄부터 가을에 참나무류, 활엽수의 나무토막, 그루터기 위에 단생하거나 군생하는 목재 백색 부후균으로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뉴질랜드 등의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Kim Yong-Doo, Kim Kyung-Je and Cho Duk-Bong. Antimicrobial Activity of Lentinus edodes Extract.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2003 ;10(1):89-93).
표고버섯의 갓의 지름은 4~10cm으로 갓의 표면은 다갈색이고 흑갈색의 가는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다. 버섯대는 길이 3~10cm, 지름 1~2cm의 원통형이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먹는 버섯 중 하나이고, 제일 많이 생산되는 버섯 중에 하나이다.
표고버섯의 성분으로는 수분이 81.8~90%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단백질과 아미노산, 지방, 회분, 미네랄, 비타민, 식이섬유 등을 함유하고 있다. 식이섬유는 버섯의 세포벽에 섬유질 성분과 다양한 다당류를 함께 함유하고 있다(Bartnicki-Garcia. Cell wall chemistry, morphogenesis and taxonomy of fungi. Annu Rev micdobiology. 1968;22:87-108).
건조표고에는 단백질이 23.95%, 지방이 3.08%, 탄수화물이 61.54%, 섬유질과 무기질이 12%로 된장의 주원료인 콩과 유사한 조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표고버섯의 성분 중에는 렌티난(Lentinan)을 함유하고 있어 많은 요리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식품공전 상 장류의 정의는, 장류라 함은 동.식물성 원료에 누룩균 등을 배양하거나 메주 등을 주원료로 하여 식염 등을 섞어 발효.숙성시킨 것을 제조.가공한 것으로, 이러한 장류에는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 등이 있으며, 주로 한국, 일본 및 중국 등 동양권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조미.소스류 식품이다.
일반적으로 장류의 제조는 콩을 베이스로 하여 제조한 메주를 이용하여 발효.숙성시켜 제조되는 것으로, 장시간 발효.숙성됨으로써 콩의 감칠맛 성분과 각종 향미 성분, 영양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어 각종 요리에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장류 제조과정에서 유효성분이 풍부한 기타 식재료를 첨가하여 숙성시간을 단축하고, 영양성분을 추가로 첨가할 뿐만 아니라, 간장의 맛, 향 및 풍미 등을 증진시키는 장점이 있는 장류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표고버섯을 비롯한 각종 버섯을 이용한 장류 개발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9391호는 저염상태에서 발생되는 미생물을 억제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진 항균활성을 뛰어난 상황버섯을 첨가하여 저염이면서도 깊은 맛을 간직한 간장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646013호는 합성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고로쇠 원액과 표고버섯을 이용하여 기호도 향상은 물론 기능성이 부가된 맛간장 소스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맛간장 소스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24798호는 건표고버섯을 볶아서 수분과 향을 동시에 제거한 표고버섯 분말을 된장 및 간장에 함유시킨 표고버섯이 함유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버섯을 이용한 장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대부분의 기술들이 메주 제조 시에 버섯분말이나 추출물 등을 첨가하거나 발효단계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미생물을 대신하여 버섯균사체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장류를 제조하고 있으며, 버섯 그 자체만을 이용하여 장류를 제조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되어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표고버섯을 이용하여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하고, 이 표고버섯발효물에 염수를 혼합하고 숙성시켜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함으로써,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이 증진되고, 맛, 향 및 풍미 등의 기호도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는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표고버섯만을 이용하여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함으로써, 표고버섯의 활용도를 높이고 발효 및 숙성 기간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는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건조표고버섯 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물을 80 내지 12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를 50 내지 100g씩 분할한 후 성형하여 표고버섯성형물을 제조하는 표고버섯성형물제조단계; 상기 표고버섯성형물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표고버섯성형물을 110 내지 130℃에서 30 내지 50분간 멸균하는 멸균단계; 상기 멸균단계에서 멸균한 표고버섯성형물을 습도가 40 내지 80%로 유지되고 온도가 15 내지 35℃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2 내지 7일 동안 표고버섯성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표고버섯성형물에 볏짚을 덮어 습도가 40 내지 80%로 유지되고 온도가 15 내지 35℃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표고버섯성형물을 발효시켜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하는 발효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발효물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청구항 1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표고버섯발효물을 준비하는 표고버섯발효물준비단계; 상기 표고버섯발효물준비단계에서 제조된 표고버섯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해 염도 18 내지 25%의 염수를 300 내지 500중량부를 첨가하여 15 내지 3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숙성시켜 표고버섯발효숙성물을 제조하는 숙성단계; 및 상기 숙성단계에서 제조된 표고버섯발효숙성물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하는 표고버섯발효숙성액제조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은 콩을 이용한 전통적인 방식과 달리 콩 대신 표고버섯을 이용하여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하고, 이 표고버섯발효물에 염수를 첨가하여 숙성시켜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함으로써,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표고버섯이 가진 각종 영양성분 및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게 되어 건강기능성이 증진되고, 표고버섯으로 인한 간장의 맛, 향 및 풍미 등이 증진되어 소비자의 기호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함으로써, 표고버섯 그 자체의 소비와 더불어 표고버섯 가공 제품 생산을 통해 표고버섯 재배 농가 소득을 더욱 향상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표고버섯발효물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표고버섯발효물의 사진이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은 표고버섯성형물제조단계, 멸균단계, 건조단계 및 발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표고버섯발효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여 표고버섯발효물을 준비하는 표고버섯발효물준비단계, 숙성단계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제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은 후술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표고버섯발효물의 사진이다.
우선, 표고버섯성형물제조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00).
건조표고버섯 분말을 물과 혼합한 후 성형하여 표고버섯성형물을 제조하는 표고버섯성형물제조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건조표고버섯 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물을 80 내지 12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를 50 내지 100g씩 분할한 후 성형하여 표고버섯성형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건조표고버섯 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물을 80중량부 미만의 비율로 첨가하여 표고버섯성형물을 제조할 경우, 표고버섯성형물의 수분함량이 너무 낮아 딱딱하게 되어 성형이 어려워지게 되며, 표고버섯성형물을 발효시킬 때 미생물이 골고루 충분히 증식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물을 120중량부 초과하는 비율로 첨가하여 표고버섯성형물을 제조할 경우, 표고버섯성형물의 수분함량이 지나치게 높아 질어지게 되어 이 역시 표고버섯성형물의 성형을 어려워지게 하며, 과도한 수분함량으로 인해 제대로 발효가 되지 못하고 부패할 우려가 있다.
또한, 표고버섯성형물 제조 시 50g 미만의 무게로 분할하여 성형할 경우, 표고버섯성형물의 크기가 작아 발효가 충분히 되지 못해 표고버섯성형물의 단백질 분해 작용이 감소될 수 있으며, 표고버섯성형물 제조 시 100g 초과의 무게로 분할하여 성형할 경우, 표고버섯성형물의 크기가 커 발효 기간이 길어지게 되어 최종 제품 생산까지의 기간도 길어지게 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표고버섯성형물의 모양은 구형으로 성형할 경우 건조 및 미생물의 증식이 골고루 되어 발효를 용이하게 하나, 이에 제한 없이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표고버섯 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물을 80 내지 12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를 50 내지 100g씩 분할한 후 성형하여 표고버섯성형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상기 표고버섯성형물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표고버섯성형물을 110 내지 130℃에서 30 내지 50분간 멸균하는 멸균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200).
표고버섯성형물을 110℃ 미만의 온도나 30분 미만의 시간동안 멸균할 경우, 저온 또는 단시간 멸균 과정으로 인해 표고버섯성형물에 포함되어 있는 병원성 세균, 곰팡이 등 발효를 저해할 수 있는 각종 유해미생물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는 우려가 있으며, 표고버섯성형물을 130℃ 초과의 온도나 50분 초과의 시간동안 멸균할 경우, 초고온 또는 장시간 멸균 과정으로 인해 표고버섯성형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미생물은 충분히 제거될 수 있으나, 표고버섯성형물의 각종 영양성분 및 유용성분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멸균단계에서는 표고버섯성형물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표고버섯성형물을 110 내지 130℃에서 30 내지 50분간 멸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상기 멸균단계에서 멸균한 표고버섯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300).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습도가 40 내지 80%로 유지되고 온도가 15 내지 35℃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2 내지 7일 동안 표고버섯성형물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습도가 40% 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건조한 공기로 인해 표고버섯성형물이 너무 과도하게 건조되어 푸석푸석하고 딱딱해지며 쉽게 부스러짐으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고, 표고버섯성형물을 발효할 때 미생물 증식이 제대로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습도가 80% 초과하여 유지될 경우 습한 공기로 인해 표고버섯성형물이 적절히 건조되지 않고 표고버섯성형물이 물러지거나 부패될 우려가 있다.
또한, 온도가 15℃ 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저온으로 인해 건조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건조 기간이 길어지게 될 우려가 있으며, 온도가 35℃ 초과하여 유지될 경우 고온으로 인해 표고버섯성형물이 과도하게 건조되어 딱딱해지고 푸석해질 수 있고 표고버섯성형물의 영양성분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또한, 건조 기간이 2일 미만일 경우 적절히 건조되지 않고 표고버섯성형물이 물러지거나 부패될 우려가 있으며, 건조 기간이 7일 초과할 경우 표고버섯성형물이 과도하게 건조되어 딱딱해지고 푸석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건조단계에서는 멸균단계에서 멸균한 표고버섯성형물을 습도가 40 내지 80%로 유지되고 온도가 15 내지 35℃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2 내지 7일 동안 건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표고버섯성형물에 볏짚을 덮어 발효시켜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하는 발효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400).
예로부터 메주를 제조할 경우 볏짚을 덮어 발효를 시켜왔는데, 이는 볏짚 내 유용 미생물이 다수 함유되어 있어 장류와 같은 발효식품 제조 시 많이 이용하고 있다. 볏짚으로 발효시킨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표고버섯발효숙성액에는 고초균(Bacillus subtilis)을 비롯한 바실러스 아밀로리쿠에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벨레젠시스(Bacillus velezensis), 바실러스 발리스모르티스(Bacillus vallismortis),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와 같은 세균류와, 누룩곰팡이(Aspergillus oryzae), 털곰팡이(Amylomyces rouxii) 및 리조푸스 곰팡이(Rhizopus oryzae)와 같은 곰팡이류, 효모류(Saccharomyces sp.) 등 다양한 미생물이 분리 되었으며, 이들 미생물은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 시 당질, 단백질 등의 영양성분을 분해하여 맛, 향 및 풍미를 더욱 증진되게 하여 관능적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들 미생물은 정장 작용, 혈당 상승 억제 및 항산화 활성 등 다양한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습도가 40 내지 80%로 유지되고 온도가 15 내지 35℃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표고버섯성형물을 발효시켜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습도가 40% 미만으로 유지되거나 온도가 15℃ 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낮은 습도 또는 저온으로 인해 표고버섯성형물에 덮어 놓은 볏짚으로부터 유용 미생물이 충분히 증식하지 못해 발효가 제대로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습도가 80% 초과하여 유지되거나 온도가 35℃ 초과하여 유지될 경우, 과도한 습도 또는 고온으로 인해 과발효 또는 볏짚으로부터 유용 미생물뿐만 아니라 유해 미생물까지 증식하여 제대로 발효가 되지 못하고 표고버섯성형물이 부패될 수 있어 상품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발효기간이 10일 미만일 경우, 표고버섯성형물에 유용 미생물이 충분히 증식하지 못해 제대로 발효가 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발효기간이 20일 초과할 경우, 표고버섯발효물 제조 기간이 길어짐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와 더불어 표고버섯성형물이 과발효 또는 이상발효, 부패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이 역시 상품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발효단계에서는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표고버섯성형물에 볏짚을 덮어 습도가 40 내지 80%로 유지되고 온도가 15 내지 35℃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표고버섯성형물을 발효시켜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의 표고버섯성형물제조단계, 멸균단계, 건조단계 및 발효단계를 거쳐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한 이후에는 숙성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500).
제조된 표고버섯발효물에 염수를 넣고 숙성시켜 표고버섯발효숙성물을 제조하는 숙성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표고버섯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해 염도 18 내지 25%의 염수를 300 내지 500중량부를 첨가하여 15 내지 3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염도가 18% 미만이거나 또는 염수를 500중량부 초과하여 표고버섯발효물에 첨가하게 되면 낮은 염도 또는 과도한 염수로 인해 최종적으로 제조된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이 싱겁거나 묽게 제조되어 맛, 향 및 풍미 등이 저감될 우려가 있다. 염도가 25% 초과하거나 또는 염수를 30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하게 되면 높은 염도 또는 적은 염수로 인해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색이 너무 진하게 나타나고 짠맛이 지나치게 형성되어 표고버섯발효숙성액 표면에 소금 결정이 생성되는 등 관능적 기호도 및 품질 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염수를 첨가한 표고버섯발효물을 15℃ 미만의 온도에서 숙성시키거나 또는 10일 미만의 기간 동안 숙성시킬 경우 숙성 온도 또는 숙성 기간이 충분하지 못해 표고버섯발효물로부터 맛, 향 및 풍미 등이 충분히 생성되지 못해 최종적으로 제조된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염수를 첨가한 표고버섯발효물을 35℃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시키거나 또는 20일 초과하여 숙성시킬 경우 고온 또는 장기간의 숙성 기간으로 인해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이 변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숙성단계에서는 표고버섯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해 염도 18 내지 25%의 염수를 300 내지 500중량부를 첨가하여 15 내지 3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숙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상기 숙성단계에서 제조된 표고버섯발효숙성물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하는 표고버섯발효숙성액제조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600).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고버섯발효물의 제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실시예 1의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표고버섯발효물의 제조방법]
1. 표고버섯성형물제조단계
건조표고버섯 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물을 1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100g씩 분할한 후 구형으로 성형하여 표고버섯성형물을 제조한다.
2. 멸균단계
표고버섯성형물을 121℃의 온도에서 40분간 멸균을 한다.
3. 건조단계
멸균된 표고버섯성형물을 습도가 60%로 유지되고 온도가 25℃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2일간 건조를 한다.
4. 발효단계
건조시킨 표고버섯성형물에 볏짚을 덮어 습도가 60%로 유지되고 온도가 25℃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14일간 발효시켜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한다.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실시예 2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
1. 표고버섯발효물준비단계
상기의 표고버섯발효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고버섯발효물을 준비한다.
2. 숙성단계
표고버섯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해 염도 20%의 염수를 400중량부 첨가하여 25℃의 온도에서 14일 동안 숙성을 하여 표고버섯발효숙성물을 제조한다.
3. 표고버섯발효숙성액제조단계
표고버섯발효물과 염수를 첨가하여 숙성한 표고버섯발효숙성물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완성한다.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관능검사
상기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실험군 1 내지 12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하였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하되, 숙성단계에서 첨가되는 염수의 염도가 본 발명에서 한정한 조건과 다르게 한 대조군 1 내지 4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과, 숙성단계에서 숙성 온도가 본 발명에서 한정한 조건과 다르게 설정한 대조군 5 내지 10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과, 숙성단계에서 숙성 기간이 본 발명에서 한정한 조건과 다르게 설정한 대조군 11 내지 17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러한 표고버섯발효숙성액 제조를 위한 숙성단계의 한정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아울러,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대로 콩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판매 중인 대조군 18 내지 20의 일반 간장을 상기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과 함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염도(%) | 온도(℃) | 숙성기간(일) | |
실험군1 | 20 | 25 | 14 |
실험군2 | 20 | 15 | 14 |
실험군3 | 20 | 20 | 14 |
실험군4 | 20 | 30 | 14 |
실험군5 | 20 | 35 | 14 |
실험군6 | 20 | 25 | 10 |
실험군7 | 20 | 25 | 12 |
실험군8 | 20 | 25 | 17 |
실험군9 | 20 | 25 | 20 |
실험군10 | 18 | 25 | 14 |
실험군11 | 23 | 25 | 14 |
실험군12 | 25 | 25 | 14 |
대조군1 | 10 | 25 | 14 |
대조군2 | 15 | 25 | 14 |
대조군3 | 30 | 25 | 14 |
대조군4 | 35 | 25 | 14 |
대조군5 | 20 | 7 | 14 |
대조군6 | 20 | 10 | 14 |
대조군7 | 20 | 13 | 14 |
대조군8 | 20 | 37 | 14 |
대조군9 | 20 | 40 | 14 |
대조군10 | 20 | 45 | 14 |
대조군11 | 20 | 25 | 3 |
대조군12 | 20 | 25 | 5 |
대조군13 | 20 | 25 | 7 |
대조군14 | 20 | 25 | 23 |
대조군15 | 20 | 25 | 25 |
대조군16 | 20 | 25 | 27 |
대조군17 | 20 | 25 | 30 |
대조군18 | 일반 간장 (S사 간장) | ||
대조군19 | 일반 간장 (C사 간장) | ||
대조군20 | 일반 간장 (M사 간장) |
관능검사 결과
실험군 1 내지 12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 대조군 1 내지 17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 및 대조군 18 내지 20의 일반 간장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한다.
관능검사는 20 내지 60세의 성인남녀 패널요원을 무작위로 50명 선정하여, 실험군 1 내지 12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과 대조군 1 내지 17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 및 대조군 18 내지 20의 일반 간장을 패널요원들에게 맛보게 하였으며, 맛, 향, 색 및 풍미와 같은 기호도에 대하여 10점 평가법을 사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패널요원 50명에 대한 관능검사의 평균치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맛 | 향 | 색 | 풍미 | 종합적기호도 | |
실험군1 | 9.4 | 9.3 | 9.3 | 9.4 | 9.4 |
실험군2 | 9.3 | 9.3 | 9.3 | 9.3 | 9.3 |
실험군3 | 9.3 | 9.2 | 9.3 | 9.3 | 9.3 |
실험군4 | 9.3 | 9.3 | 9.2 | 9.3 | 9.3 |
실험군5 | 9.3 | 9.2 | 9.3 | 9.3 | 9.3 |
실험군6 | 9.2 | 9.2 | 9.2 | 9.3 | 9.2 |
실험군7 | 9.3 | 9.2 | 9.2 | 9.3 | 9.3 |
실험군8 | 9.2 | 9.1 | 9.2 | 9.2 | 9.2 |
실험군9 | 9.2 | 9.1 | 9.1 | 9.2 | 9.2 |
실험군10 | 9.1 | 9.1 | 9.0 | 9.1 | 9.1 |
실험군11 | 9.1 | 9.1 | 9.1 | 9.1 | 9.1 |
실험군12 | 9.0 | 9.1 | 9.1 | 9.0 | 9.1 |
대조군1 | 7.2 | 7.4 | 7.4 | 7.2 | 7.3 |
대조군2 | 7.3 | 7.3 | 7.3 | 7.1 | 7.3 |
대조군3 | 6.1 | 6.6 | 6.5 | 6.2 | 6.4 |
대조군4 | 5.9 | 6.5 | 6.4 | 6.0 | 6.2 |
대조군5 | 7.7 | 7.6 | 7.6 | 7.6 | 7.6 |
대조군6 | 7.4 | 7.3 | 7.2 | 7.3 | 7.3 |
대조군7 | 7.5 | 7.4 | 7.5 | 7.5 | 7.5 |
대조군8 | 7.0 | 7.0 | 6.9 | 7.1 | 7.0 |
대조군9 | 6.7 | 6.5 | 6.1 | 6.6 | 6.5 |
대조군10 | 6.1 | 5.8 | 5.8 | 6.1 | 6.0 |
대조군11 | 6.9 | 7.0 | 7.0 | 6.9 | 7.0 |
대조군12 | 7.0 | 7.1 | 7.0 | 7.0 | 7.0 |
대조군13 | 7.2 | 7.2 | 7.1 | 7.1 | 7.2 |
대조군14 | 7.0 | 7.1 | 7.0 | 7.0 | 7.0 |
대조군15 | 6.8 | 6.9 | 6.7 | 6.7 | 6.8 |
대조군16 | 6.5 | 6.3 | 6.4 | 6.5 | 6.4 |
대조군17 | 6.1 | 5.9 | 6.0 | 6.0 | 6.0 |
대조군18 | 8.2 | 8.3 | 8.3 | 8.2 | 8.3 |
대조군19 | 8.4 | 8.3 | 8.3 | 8.3 | 8.3 |
대조군20 | 8.2 | 8.2 | 8.3 | 8.2 | 8.2 |
*관능검사 수치(10: 아주 좋음, 0: 아주 나쁨)
상기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실험군 1 내지 12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과 숙성단계에서 첨가되는 염수의 염도가 본 발명에서 한정한 조건과 다르게 한 대조군 1 내지 4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과, 숙성단계에서 숙성 온도가 본 발명에서 한정한 조건과 다르게 설정한 대조군 5 내지 10의 표고버섯숙성액과, 숙성단계에서 숙성 기간이 본 발명에서 한정한 조건과 다르게 설정한 대조군 11 내지 17의 표고버섯숙성액 및 대조군 18 내지 20의 일반 간장에 대한 관능검사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실험군 1 내지 12의 표고버섯숙성액이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표 2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실험군 1 내지 12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은, 표고버섯을 이용하여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하고 이를 표고버섯발효숙성액으로 제조함으로써, 전통적으로 콩을 이용하여 제조한 간장보다 간장에 표고버섯의 성분이 함유되어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맛, 향 및 풍미 등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기에 맛, 향 및 풍미와 같은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하되, 숙성단계에서 첨가되는 염수를 본 발명에서 한정한 염도보다 낮은 염수를 첨가하여 제조한 대조군 1 및 2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은, 염수의 염도가 낮아 제조된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싱겁고 표고버섯으로부터 각종 영양성분 및 유용성분과 함께 맛, 향, 색 및 풍미가 충분히 우러나지 않아 상대적으로 실험군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보다 맛, 향, 색 및 풍미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하되, 숙성단계에서 첨가되는 염수를 본 발명에서 한정한 염도보다 높은 염수를 첨가하여 제조한 대조군 3 및 4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은, 염수의 염도가 높아 제조된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이 짠맛이 너무 강하여 표고버섯의 맛, 색, 향 및 풍미 등을 저해시켜 상대적으로 실험군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보다 맛, 색, 향 및 풍미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하되, 숙성온도를 본 발명에서 한정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숙성을 시킨 대조군 5 내지 7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과 숙성기간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기간보다 적은 기간 동안 숙성을 한 대조군 11 내지 13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은, 낮은 온도 또는 적은 숙성기간으로 인해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숙성이 충분히 되지 않아 표고버섯으로부터 각종 영양성분 및 유용성분과 함께 맛, 향, 색 및 풍미가 충분히 우러나지 않아 상대적으로 실험군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보다 맛, 향, 색 및 풍미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하되, 숙성온도를 본 발명에서 한정한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숙성을 시킨 대조군 8 내지 10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과 숙성기간을 본 발명에서 한정한 기간보다 긴 기간 동안 숙성을 시킨 대조군 14 내지 17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은, 높은 온도 또는 긴 숙성기간으로 인해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이 과숙성 되어 색이 매우 진하고 이상발효 또는 이상균주의 생성으로 표고버섯발효숙성액 표면에 막이 생기거나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이 변성 또는 변질이 되어 상대적으로 실험군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보다 맛, 향, 색 및 풍미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가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전통적인 방식으로 콩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판매중인 대조군 18 내지 20의 일반 간장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의 경우, 익숙한 맛, 향 및 풍미로 인해 소비자 기호도가 상기의 대조군 1 내지 17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기는 하였으나, 짠맛이 강하고 색깔이 진하며 콩으로 인한 특유의 향 및 풍미로 인해 실험군의 표고버섯발효숙성액보다 맛, 향, 색 및 풍미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가 다소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상기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은, 표고버섯을 이용하여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하고 이를 발효 및 숙성 등의 과정을 거쳐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함으로써, 표고버섯의 각종 영양성분 및 기능성성분을 비롯한 표고버섯의 맛, 향 및 풍미 등이 표고버섯발효숙성액에 어우러지게 하여 영양학적 및 기능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맛, 향 및 풍미가 증진되는 장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 건조표고버섯 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물을 80 내지 12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를 50 내지 100g씩 분할한 후 성형하여 표고버섯성형물을 제조하는 표고버섯성형물제조단계;
상기 표고버섯성형물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표고버섯성형물을 110 내지 130℃에서 30 내지 50분간 멸균하는 멸균단계;
상기 멸균단계에서 멸균한 표고버섯성형물을 습도가 40 내지 80%로 유지되고 온도가 15 내지 35℃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2 내지 7일 동안 표고버섯성형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표고버섯성형물에 볏짚을 덮어 습도가 40 내지 80%로 유지되고 온도가 15 내지 35℃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표고버섯성형물을 발효시켜 표고버섯발효물을 제조하는 발효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발효물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발효물.
- 청구항 1의 방법으로 제조하여 표고버섯발효물을 준비하는 표고버섯발효물준비단계;
상기 표고버섯발효물준비단계에서 제조된 표고버섯발효물 100중량부에 대해 염도 18 내지 25%의 염수를 300 내지 500중량부를 첨가하여 15 내지 3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숙성시켜 표고버섯발효숙성물을 제조하는 숙성단계; 및
상기 숙성단계에서 제조된 표고버섯발효숙성물을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을 제조하는 표고버섯발효숙성액제조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 6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버섯발효숙성액.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7868A KR102367108B1 (ko) | 2018-12-10 | 2018-12-10 |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7868A KR102367108B1 (ko) | 2018-12-10 | 2018-12-10 |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0588A KR20200070588A (ko) | 2020-06-18 |
KR102367108B1 true KR102367108B1 (ko) | 2022-02-23 |
Family
ID=7114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7868A KR102367108B1 (ko) | 2018-12-10 | 2018-12-10 |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710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0179A (ko) | 2021-12-14 | 2023-06-21 | 정재훈 | 고품질의 속성 표고버섯 간장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674201B1 (ko) * | 2022-01-20 | 2024-06-10 | 김진석 | 표고버섯 발효식품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25068A (ja) * | 2002-02-05 | 2003-08-12 | Goro Inoue | キノコ類発酵食品の製造方法、キノコ類発酵食品、およびそれを添加した食品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4798A (ko) | 1998-10-02 | 2000-05-06 | 김재종 | 표고버섯 성분이 함유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
KR20020091338A (ko) * | 2001-05-30 | 2002-12-06 | 몽고식품 주식회사 | 버섯간장 및 그 제조방법 |
KR100437573B1 (ko) * | 2001-10-23 | 2004-06-30 | 김상수 | 옥수수 메주 및 된장 |
KR20130077260A (ko) * | 2011-12-29 | 2013-07-09 | 농업협동조합중앙회 | 버섯을 이용한 천연 조미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연 조미료 |
KR101515625B1 (ko) * | 2013-06-21 | 2015-04-27 | 주식회사 금정전통장류 농업회사법인 | 된장의 제조방법 |
KR101549391B1 (ko) | 2013-11-25 | 2015-09-02 | 주식회사 에이치씨바이오텍 | 상황버섯을 이용한 저염간장 및 그 제조방법 |
KR101646013B1 (ko) | 2015-09-18 | 2016-08-08 | 김민경 | 고로쇠 액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맛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맛간장 소스 |
KR101776145B1 (ko) * | 2015-10-26 | 2017-09-07 | 오호환 | 표고버섯된장 및 그 제조방법 |
-
2018
- 2018-12-10 KR KR1020180157868A patent/KR1023671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25068A (ja) * | 2002-02-05 | 2003-08-12 | Goro Inoue | キノコ類発酵食品の製造方法、キノコ類発酵食品、およびそれを添加した食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0588A (ko) | 2020-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32897B1 (ko) | 천연 발효종의 제조방법 | |
KR102367108B1 (ko) | 표고버섯발효물 및 표고버섯발효숙성액의 제조방법 | |
KR101485877B1 (ko) | 고로쇠나무 수액 및 층층나무 수액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 |
KR101510149B1 (ko) | 고로쇠나무 수액 및 층층나무 수액을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 |
KR20190012405A (ko) | 고추장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추장 양념 소스 | |
KR20070014508A (ko) | 표고버섯 분말 및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 기능성 과자 및그 제조방법 | |
KR101923571B1 (ko) |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쉰다리 제조 방법 | |
KR20170019396A (ko) | 즉석 연근 떡국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22070B1 (ko) | 갈치와 송화버섯을 이용한 김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345416B1 (ko) | 쌀누룩 된장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284644B1 (ko) | 산양삼 된장 및 간장의 제조 방법 | |
KR102624705B1 (ko) | 깻묵 메주와 쌈장 및 그들의 제조방법 | |
KR101670221B1 (ko) | 감식초에 침지시킨 삼채를 이용한 절임식품 및 젓갈 제조방법 | |
KR20220002208A (ko) | 표고버섯 함유 국수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국수 면 | |
KR101931350B1 (ko) | 장어 양식용 사료 조성물 | |
KR101535424B1 (ko) | 꾸지뽕 추출물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추장 | |
KR101732899B1 (ko) | 청국장을 첨가한 즉석 청된장국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즉석 청된장국 | |
KR101714417B1 (ko) | 토마토 발효액을 이용한 간장의 제조방법 및 기능적 특성 | |
KR20200129301A (ko) | 송이버섯을 이용한 신개념의 옥수수 발효죽의 제조방법 | |
KR20200045842A (ko) | 복령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 |
KR101721634B1 (ko) | 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빵 | |
KR102610873B1 (ko) | 연 성분이 함유된 탁주 제조방법 | |
KR20180086750A (ko) | 쌀눈을 이용한 천연조미료의 제조방법 | |
KR102302098B1 (ko) | 기호도 및 항산화능이 향상된 대추된장의 제조 방법 | |
KR102215004B1 (ko) | 발효 쌀빵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