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555B1 -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점착제, 편광판용 점착제, 및 화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점착제, 편광판용 점착제, 및 화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555B1
KR102358555B1 KR1020197001991A KR20197001991A KR102358555B1 KR 102358555 B1 KR102358555 B1 KR 102358555B1 KR 1020197001991 A KR1020197001991 A KR 1020197001991A KR 20197001991 A KR20197001991 A KR 20197001991A KR 102358555 B1 KR102358555 B1 KR 102358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group
silane coupl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190A (ko
Inventor
나오야 미츠타니
신스케 아키즈키
사오리 이마이즈미
세이코 미츠타니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4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 시에, 편광판(보호 필름)과 액정 셀(유리)과의 맞붙임에 사용하는 점착제로서 사용했을 때에, 장기간에 걸쳐 뛰어난 리워크성을 나타내고, 또한 고온 고습 환경에 노출한 경우에서도 습열 백화가 일어나지 않는 점착제가 얻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크릴계 수지(A) 및 구조 중에 반응성 관능기와 알콕시기를 각각 1개 이상 함유하는 실란커플링제(B)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아크릴계 수지(A)가,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질소 함유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극성기 함유 모노머(a1) 유래의 구조 부위를 5∼50중량% 포함한 아크릴계 수지이며, 실란커플링제(B)가 알콕시기 함유량이 15중량% 이하인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를 함유 한다.

Description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점착제, 편광판용 점착제, 및 화상 표시장치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점착제 및 편광판용 점착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에 걸쳐 뛰어난 리워크성을 나타내며, 또한, 수분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내구성의 저하도 일어나지 않는 점착제를 형성할 수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편광성이 부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양면이 보호 필름으로 피복된 편광판을 2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배향한 액정 성분을 협지시킨 액정 셀의 표면에 적층함으로써 화상 표시장치가 제조되고 있다. 이 액정 셀의 표면에 편광판을 적층시키려면 편광판 표면에 설치한 점착제층을 상기 액정 셀면에 당접하여 누르는 것으로 실시되는 것이 통상이다.
이들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붙여 배합하기 위한 접착제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한 접착제가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며,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가교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진 수용액을 편광자 상에 도포하여 보호 필름을 적층한 후, 가열·건조하는 것으로 편광판이 제조되고 있다. 상기 편광판의 제조 공정에서는 접착제에 포함되는 수분이 보호 필름을 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호 필름으로서 투습성이 높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필름(TAC 필름)이 지금까지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치수 안정성이나, 내구성의 관점에서 TAC 필름을 대신하여 올레핀계 필름, 특히 시클로올레핀계 필름(COP 필름)이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편광판과 액정 셀(유리 기판)과의 맞붙임에 사용되는 점착제에는 내열성, 내습열성이라는 내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고온 고습 환경하에서는 점착제층에 수분이 침입하여, 유리 기판과의 접착성이 저하해 버려, 편광판이 유리 기판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뜨거나 벗겨지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에 실란커플링제를 배합하는 것으로 내습열성에 향상이 도모되어 왔지만, 실란커플링제를 배합했을 경우에는, 실란커플링제가 서서히 반응함으로써, 접착력이 상승하여 장기 리워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시클로올레핀계 필름을 사용한 경우, 습열 환경하에 노출되면, 상온으로 되돌렸을 때에 결로현상에 의해 점착제층이 백화해 버린다는 문제(습열 백화 현상)가 있었다.
또, 종래 편광판에 사용되는 점착제는 편광판의 종류에 의해서 나눠 사용되고 있지만, 코스트나 작업성의 관점에서 편광판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서도 사용 가능한 점착제가 요구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리워크성 및 내습열 백화성이 뛰어난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점착제 수지(A) 100 중량부와 에폭시 당량이 100∼2000g/mol로 또한, 알콕실기 함유량이 5∼60중량%인 실리콘 알콕시 올리고머(B) 0.1∼2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제 수지(A)가 카르복실기를 함유하지 않는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A1), 우레탄계 점착제 수지(A2) 및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수지(A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인, 점착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내습열 백화성을 고려하여 극성기 함유 모노머를 많이도입한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점착제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JP 2016-44291 A 특허 문헌 2 JP 2013-213203 A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점착제에서는 사용하는 실란커플링제(실리콘알콕시 올리고머)에 대해서, 관능기 당량과 알콕시기 함유량이 모두 폭넓게 규정되고 있어 여러가지 종류의 실란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시클로올레핀계 필름 등의 투습도가 낮은 보호 필름을 사용했을 때의 내습열 백화성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 한편, 내습열 백화성을 고려한 특허 문헌 2에는 여러가지 광학 부재에 사용할 수 있는 취지의 기재가 있지만, 아크릴계 수지 중에 극성기 함유 모노머를 많이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친수성이 강해지고 있어 보호 필름으로서 투습도가 높은 TAC나 아크릴계 필름을 사용했을 때, 실란커플링제의 가수분해가 촉진되어 장기 리워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배경하에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시에, 편광판(보호 필름)과 액정 셀(유리)과의 맞붙임에 사용하는 점착제로서 사용했을 때에, 장기간에 걸쳐 뛰어난 리워크성을 나타내고, 또한, 고온 고습 환경에 노출했을 경우에서도 백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점착제를 얻을 수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아크릴계 수지와 실란커플링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극성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구조 단위를 비교적 많이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와 알콕시기 함유량이 적은 올리고머 타입의 실란커플링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장기간에 걸쳐 뛰어난 리워크성을 나타내고, 또한, 고온 고습 조건하에서의 백화 현상도 일어나지 않는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아크릴계 수지(A) 및 구조 중에 반응성 관능기와 알콕시기를 각각 1개 이상 함유하는 실란커플링제(B)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아크릴계 수지(A)가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질소 함유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극성기 함유 모노머(a1) 유래의 구조 단위를 5∼50중량% 포함한 아크릴계 수지이며, 상기 실란커플링제(B)가 알콕시기 함유량이 15중량% 이하인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1 요지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요지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가교제(C)에 의해 가교되어 이루어진 점착제를 제2 요지로 하고, 제2 요지의 점착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편광판용 점착제를 제3 요지로 하고, 또한, 제2 요지의 점착제로, 편광판과 액정 셀을 맞붙여 이루어진 화상 표시장치를 제4 요지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수지(A) 및 구조 중에 반응성 관능기와 알콕시기를 각각 1개 이상 함유하는 실란커플링제(B)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A)가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질소 함유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극성기 함유 모노머(a1) 유래의 구조 단위를 5∼50중량% 포함한 아크릴계 수지로서, 상기 실란커플링제(B)가 알콕시기 함유량이 15중량% 이하인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점착제는 화상 표시장치의 제조 시에, 편광판(보호 필름)과 액정 셀(유리)과의 맞붙임에 사용하는 점착제로서 사용했을 때에, 장기간에 걸쳐 뛰어난 리워크성을 나타내고, 또한, 내습열 백화성, 내구성이 뛰어난 점착제이며, 편광판용 점착제로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상기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의 반응성 관능기 당량이 1,600g/mol 이하면 더욱 내구성이 뛰어나다.
상기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이상이면 더욱 리워크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상기 극성기 함유 모노머(a1)가 적어도 수산기 모노머를 함유하면 더욱 내습열 백화성이 뛰어나다.
도 1은 실란커플링제 「X-24-9589」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메타)아크릴로 일은 아크릴로일 또는 메타크릴로일을,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각각 의미하는 것이다. 또, 아크릴계 수지란 적어도 1종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포함한 중합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수지이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A) 및 실란커플링제(B)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아크릴계 수지(A)>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A)로서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함유 모노머, 질소 함유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극성기 함유 모노머(a1) 유래의 구조 단위를 5∼50중량% 함유하는 아크릴계 수지인 것이 필요하고, 예를 들면,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질소 함유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극성기 함유 모노머(a1)를 5∼50중량% 포함한 공중합 성분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수지(A)의 공중합 성분에는 필요에 따라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모노머(a2), 그 외의 공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a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우선,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질소 함유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극성기 함유 모노머(a1)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5-히드록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카프로락톤 변성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카프로락톤 변성 모노머, 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옥시 알킬렌 변성 모노머, 그 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에틸프탈산,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의 1급 수산기 함유 모노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2급 수산기 함유 모노머;2,2-디메틸-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 중에서도, 가교제와의 반응성이 뛰어난 점, 내습열 백화성이 향상하는 관점에서 1급 수산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중합 시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가교제와의 반응성이 빠르고 에이징이 짧아지는 관점에서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순물이 적고, 제조하기 쉬운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불순물인 디(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 비율이 0.5중량%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이다. 구체적으로는, 2-히드록시 에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β-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의 다이머산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내습열 백화성의 점, 중합 시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메타)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나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1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tert-부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2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중에서도, 가교 촉진 효과가 높은 관점, 수지의 보존 안정성이 높은 관점에서 3급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또 내구성이 뛰어난 점, 금속이나 금속 산화물과의 밀착성이 뛰어난 관점에서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복소환식 아민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이다.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메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에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프로폭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이소프로폭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이소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알콕시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디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N-(히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의 수산기 함유 아미드 모노머;(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중에서도 수지 용액의 안정성의 관점이나, 대전 방지제의 이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알콕시 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 디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계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극성기 함유 모노머(a1) 중에서도, 내습열 백화성이 뛰어난 관점에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은 극성기 함유 모노머(a1)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에이징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는 관점에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와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수산기 함유 모노머와 3급 아민계 모노머를 병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극성기 함유 모노머(a1)의 함유량(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 함유량)으로서는, 공중합 성분 전체에 대해서, 5∼50중량%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6∼3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20 중량%이다.
이와 같은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내습열 백화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너무 많으면 아크릴계 수지 용액으로서의 보존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극성기 함유 모노머(a1)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의 함유량은, 공중합 성분 전체에 대해서, 5∼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3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2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20중량%, 이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내습열 백화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너무 많으면 아크릴계 수지 용액으로서의 보존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 부식이 문제가 되는 용도에서, 극성기 함유 모노머(a1)가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의 함유량은 공중합 성분 전체에 대해서 1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모노머(a2)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기의 탄소수가 통상 1∼20(바람직하게는 1∼18, 특히 바람직하게는 1∼12, 더욱 바람직하게는 1∼8)의 것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세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범용성, 점착 물성이 뛰어난 관점에서,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모노머(a2)의 함유량은 공중합 성분 전체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20∼95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94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5∼93중량%, 특히는 50∼92중량%이다.
상기 그 외의 공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a3)로서는, 예를 들면,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오르토페닐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방향환 함유 모노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옥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시클로헥실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지환함유 모노머;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톡시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옥토시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록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록시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테르쇄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굴절률 및 복굴절을 조정하기 쉬운 관점, 내광 습윤성이 뛰어난 관점에서는 방향환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특히 바람직하게는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에틸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굴절률 및 복굴절을 조정하기 쉽고, 저극성 피착체(예를 들면, 시클로올레핀등)으로의 접착성이 뛰어난 관점에서는 지환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편광판 용도로서 사용할 때, 내광 습윤성의 관점에서 방향환 함유 모노머나 지환식 모노머의 함유량을 조정하고, 내구 시험 후의 부재 전체의 복굴절이 작아지도록 점착제의 복굴절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의 공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a3)의 함유량으로서는 3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이다. 그 외의 공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a3)가 너무 많으면 내광 습윤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A)는 극성기 함유 모노머(a1), 바람직하게는 또한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계 모노머(a2), 그 외의 공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a3)를 적절히 선택하고, 이들 중합 성분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유기 용매 중에 이와 같은 중합 성분, 중합 개시제를 혼합 또는 적하하여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은 용액 라디칼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유화 중합 등의 종래 공지의 중합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용액 라디칼 중합, 괴상 중합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용액 라디칼 중합이다.
상기 중합 반응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초산 에틸, 초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 중에서도, 중합 반응의 용이함이나 연쇄 이동의 효과나 점착제 도공 시의 건조의 용이함, 안전성의 높음으로부터, 초산 에틸,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초산 부틸, 톨루엔, 메틸이소부틸케톤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초산 에틸, 아세톤, 메틸에틸케톤이다.
이들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 이와 같은 용액 라디칼 중합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통상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인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틸올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길초산), 2,2'-아조비스(메틸 프로피온산) 등의 아조계 개시제,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디-tert-부틸퍼옥사이드,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사용하는 모노머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A)는 극성기 함유 모노머(a1) 유래의 구조 단위를 5∼50중량% 함유하는 것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6∼3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20 중량%이다. 극성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구조 단위가 너무 적으면 내습열 백화성이 저하되고, 너무 많으면 아크릴계 수지 용액으로 했을 때의 보존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60만∼25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만∼200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만∼180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만∼160만이다.
이와 같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너무 크면 제조 시에 희석 용제가 대량으로 필요하여, 건조성이 저하되고, 점착제층 안에 잔용제가 많아져서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A)의 분산도(중량 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이와 같은 분산도가 너무 높으면 리워크성이 저하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분산도의 하한은 통상 1이다.
또한, 상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표준 폴리스티렌 분자량 환산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며, 고속 액체 크로마토 그래프(일본 Waters사 제조, 「Waters2695(본체)」와「Waters2414(검출기)」)에, 컬럼:Shodex GPC KF-806L(배제 한계 분자량:2×107, 분리 범위:100∼2×107, 이론단수:10,000단/개, 충전제 재질: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충전제 입경:10㎛)의 3개 직렬을 사용하는 것으로 측정되는 것이며, 수평균 분자량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 분산도는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평균 분자량으로 구해진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A)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6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20℃, 더욱 바람직하게는 -45∼-25℃이다.
이와 같은 유리 전이 온도가 너무 높으면 택이 저하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너무 낮으면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하기 Fox의 식으로 산출되는 것이다.
Figure 112019007302253-pct00001
Tg:아크릴계 수지(A)의 유리 전이 온도(K)
Tga:모노머 A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K)
Wa:모노머 A의 중량분율
Tgb:모노머 B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K)
Wb:모노머 B의 중량분율
Tgn:모노머 N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K)
Wn:모노머 N의 중량분율
(Wa+Wb+···+Wn=1)
즉, 아크릴계 수지(A)의 유리 전이 온도(Tg)란, 아크릴계 수지(A)를 구성하는 각각의 모노머를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중량분율을 Fox의 식에 적용시켜 산출한 값이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A)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호모폴리머로 했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는 통상, 시차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며, JIS K 7121-1987이나, JIS K 6240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A)의 굴절률은 통상 1.440∼1.600이며, 바람직하게는 1.460∼1.5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470∼1.500이다. 이와 같은 굴절률은 적층하는 부재의 굴절률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이 부재 계면에서의 광손실이 작아져서 바람직하다.
상기 굴절률은 박막으로 한 아크릴계 수지(A)를 굴절률 측정 장치(아타고 사제조 「압베 굴절계 1T」)를 사용하여 NaD선, 23℃로 측정한 값이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A) 단층의 헤이즈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이와 같은 헤이즈가 너무 높으면, 이것을 점착제로서 사용한 디스플레이의 화질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헤이즈는 확산 투과율 및 전광선 투과율을, HAZE MATER NDH2000(닛폰덴쇼쿠고교사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얻어진 확산 투과율과 전광선 투과율의 값을 하기 식에 대입하여 산출한 것이다. 또한, 본 기는 JIS K 7361-1에 준거하고 있다.
헤이즈(%)=(확산 투과율/전광선 투과율)×100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A)가 얻어진다.
<실란커플링제(B)>
통상, 실란커플링제란 구조 중에 반응성 관능기와 알콕시기를 각각 1개 이상 함유하는 유기 규소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조 중에 반응성 관능기와 알콕시기를 각각 1개 이상 함유하는 실란커플링제(B)로서 알콕시기 함유량이 15중량% 이하인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알콕시기는 알콕시실란 유래의 알콕시기를 가리키며, 그 이외의 분자 중에 포함되는 알콕시기는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변성 실란의 폴리에테르부의 말단이나 폴리에테르 구조는 알콕시기로서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반응성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기, (메타)아크릴로일기, 메르캅토기,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구성이나 리워크성이 뛰어난 관점에서 에폭시기, 메르캅토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알콕시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 1∼8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의 알킬기이며, 구체적으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이다.
또한, 실란커플링제(B)는 반응성 관능기 및 알콕시기 이외의 유기 치환기, 예를 들면, 알킬기, 페닐기 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의 알콕시기 함유량은 15중량% 이하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1∼1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3∼14.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14.5중량%이다.
이와 같은 알콕시기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장기 리워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너무 적으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0∼3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0∼20,000이다.
이와 같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장기 리워크성과 내구성의 밸런스가 뛰어난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표준 폴리스티렌 분자량 환산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며,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장치:겔 침투 크로마토 그래프
검출기:시차굴절률 검출기 RI(토소사 제조 RI-8020형, 감도 32)
컬럼:TSKgel guardcolumn HHR-H(1개)(토소사 제조 φ6mm×4cm), TSKgel GM HHR-N(2개)(토소사 제조 φ7.8mm×30cm)
용매:테트라히드로푸란(THF)
컬럼 온도:23℃
유속:1.0mL/분
또,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의 반응성 관능기 당량은 1,600g/m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900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700g/mol이다.
이와 같은 반응성 관능기 당량이 상기 범위이면, 내구성에 의해 뛰어난 경향이 있다.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는 올리고머형의 실란커플링제이며, 바꾸어 말하면, 유기 규소 화합물의 일부가 가수분해하여 중축합한 2량체, 3량체 등의 올리고머형의 유기 규소 화합물(오르가노 실록산 화합물)이다.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로서는, 예를 들면,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등의 유기 규소 화합물의 일부가 가수분해하여 중축합한 올리고머형 유기 규소 화합물(에폭시기 함유 실리콘 알콕시 올리고머 등), 또는 이들 올리고머형 유기 규소 화합물의 일부를 에테르 변성한 올리고머형 유기 규소 화합물 등의 올리고머형 에폭시기 함유 실란커플링제;γ-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유기 규소 화합물의 일부가 가수분해하여 중축합 한 올리고머형 유기 규소 화합물(메르캅토기 함유 실리콘 알콕시 올리고머 등) 등의 올리고머형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커플링제;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부터,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의, 각각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있다. 또, 상기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는 1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로서 구체적으로는, 신에츠카가쿠고교사 제조의 시판품인, 「X-24-9590」(중량 평균 분자량:13,700, 함유 알콕시기:메톡시기, 알콕시기 함유량:9.5중량%, 반응성 관능기:에폭시기, 에폭시 당량:592g/mol), 「X-24-9589」(중량 평균 분자량:4,700, 함유 알콕시기:에톡시기, 알콕시기 함유량:13.2%, 반응성 관능기:에폭시기, 에폭시 당량:1509g/mol)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X-24-9590」이다.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5∼0.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0.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5∼0.15이다. 이와 같은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너무 적으면 장기 리워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는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 이외의 실란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실란커플링제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블리드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 이외의 실란커플링제의 함유량은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A) 및 실란커플링제(B) 이외에, 가교제(C), 대전 방지제(D)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C)>
가교제(C)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알데히드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를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기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이나 아크릴계 수지(A)와의 반응성이 뛰어난 관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1,3-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디페닐메탄-4, 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페닐메탄계 가교제,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등의 방향족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 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피리덴디시클로헥실-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디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아닥트체,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중에서도,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가용 시간(pot life)과 내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또는 이소시아누레이트 골격 함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에이징 시간 단축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비방향족 비함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내황변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구체적으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티롤프로판의 아닥트체, 및 이소시아누레이트체가 내구성, 가용 시간, 가교 속도의 밸런스가 뛰어난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에피크롤히드린형의 에폭시 수지,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폴리글리시딜에리스리톨,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지리딘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β-아지리지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시아미드), N,N'-헥사메틸렌-1,6-비스(1-아지리딘카르복시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멜라민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에톡시 메틸멜라민, 헥사프로폭시메틸멜라민, 헥사푸톡시메틸멜라민, 헥사펜틸옥시메틸멜라민, 헥사헥실옥시메틸멜라민, 멜라민 수지등 을 들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옥살, 말론디알데히드, 석신디알데히드, 말레인디알데히드, 글루탈디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벤즈 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민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아민, 트리에틸디아민, 폴리에틸렌이민, 헥사메틸렌테트라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테트라아민, 이소포론디아민, 아미노 수지,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철, 동, 아연, 주석, 티탄, 니켈, 안티몬, 마그네슘, 바나듐, 크롬, 지르코늄 등의 다가 금속의 아세틸아세톤이나 아세트아세틸에스테르 배위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C)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가교제(C)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1.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5 중량부이다.
이와 같은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내구성이 저하되기 쉬운 경향이 있고, 너무 많으면 응력 완화성이 저하되어 기판이 젖혀지기 쉬워지거나 장시간의 에이징이 필요하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
<대전 방지제(D)>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는 대전 방지제(D)를 더욱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전 방지제(D)로서는 특히 이온성 화합물(D1)이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은 이온성 화합물(D1)로서는, 금속염 및 유기염의 적어도 한쪽으로 이루어진 이온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대전 대책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금속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리튬염, 나트륨염, 칼슘염, 칼륨 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염이나 포스포늄염을 들 수 있다.
유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늄염, 이미다졸륨염, 피리디늄염, 피페리딘늄염, 피롤리디늄염, 술포늄염 등의 오늄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부식 방지가 뛰어난 점, 장기 리워크성이 뛰어난 점, 보존 안정성이 뛰어난 관점에서, 유기염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양이온, 이미다졸륨 양이온, 피리디늄 양이온, 피페리디늄 양이온, 피롤리디늄 양이온 등의 질소 함유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오늄염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알킬 암모늄염,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환상 테트라 알킬 암모늄 양이온과 N,N-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 암모늄 양이온과 N,N-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암모늄 염 등을 들 수 있다.
이온성 화합물(D1)의 융점은 10℃∼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50℃이다. 이와 같은 융점이 너무 높으면, 저온에서 석출하기 쉬운 경향이 있고, 너무 낮으면 습열 환경하에서 편광판의 탈색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대전 방지제(D)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2.5∼4.5 중량부이다. 이와 같은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대전 방지 성능을 얻지 못하여 정전기에 의한 표시 얼룩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고, 너무 많으면 편광판의 편광도가 저하되거나 내습열 백화성이 저하되거나 블리드 아웃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외의 성분으로서 수지 성분, 아크릴 모노머나, 중합 금지제, 산화 방지제, 부식 방지제, 가교 촉진제, 라디칼 발생제, 과산화물, 라디칼 포착제 등의 각종 첨가제, 금속 및 수지 입자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 상기 외에도 점착제 조성물의 구성 성분의 제조 원료 등에 포함되는 불순물 등이 소량 함유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그 외의 성분의 함유량은 아크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이다. 이와 같은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아크릴계 수지(A)와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내습열 백화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하여 아크릴계 수지(A) 및 실란커플링제(B),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C), 대전 방지제(D) 및 그 외의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혼합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성분을 일괄로 혼합하는 방법이나, 임의의 성분을 혼합한 후, 나머지의 성분을 일괄 또는 차례차례 혼합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가교)시키는 것으로 점착제로 할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은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을 광학 부재(광학 적층체) 상에 적층 형성함으로써, 점착제층 부착 광학 부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 부착 광학 부재에는, 점착제층의 광학 부재면과는 반대의 면에, 다시 이형시트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1〕광학 부재 상에,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 건조한 후, 이형시트를 첩합하여, 실온(23℃) 또는 가온 상태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에이징에 따른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
〔2〕이형시트 상에,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 건조한 후, 광학 부재를 첩합하고, 실온 또는 가온 상태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에이징에 의한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2〕방법으로, 실온 상태에서 에이징 하는 방법이 광학 부재를 손상하지 않는 점, 광학 부재와의 접착성이 뛰어난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광학 부재로서는 편광판인 경우가 특히 유효하다.
이와 같은 에이징 처리는 점착제의 화학 가교의 반응 시간으로서 점착 물성의 밸런스를 잡기 위해서 실시하는 것이며, 에이징의 조건으로서는, 온도는 통상 실온∼70℃, 시간은 통상 1∼30일간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3℃에서 1∼20일간, 23℃에서 3∼10일간, 40℃에서 1∼7일간 등의 조건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시에서는 이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용제에 희석하여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희석 농도로서는 고형분 농도로서 바람직하게는 5∼6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이다. 또, 상기 용제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용해시키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초산 메틸, 초산 에틸, 아세트초산 메틸, 아세트초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계 용제,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중서도 용해성, 건조성, 가격 등의 관점에서 초산 에틸, 메틸에틸케톤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에 대해서는 롤 코팅, 다이코팅, 그라비아 코팅, 콤마 코팅, 스크린 인쇄 등의 관용의 방법에 의해 실시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점착제층의 겔분율에 대해서는, 내구성능과 편광도 저하 억제의 관점에서 30∼9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9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5중량%이다. 겔분율이 너무 낮으면 리워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너무 높으면 들뜸이나 박리가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겔분율은 가교도(경화 정도)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산출된다. 즉, 광학 부재, 특히 편광판 등의 기재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이루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점착제를 피킹에 의해 채취하고, 점착제를 200메쉬의 SUS제 철망으로 감싸, 23℃로 조정한 초산 에틸 중에 24시간 침지하고, 철망 중에 잔존한 불용해의 점착제 성분의 중량 백분율을 겔분율로 한다.
또한, 점착제의 겔분율을 상기 범위에 조정할 때에는, 가교제의 종류와 양을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점착제층은 손가락으로 접촉했을 때 만큼 좋은 택감이 있는 것이, 실제로 피착체에 붙일 때에 습윤성이 좋기 때문에, 작업성이 오르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전기 특성으로서는, 표면 저항값이 1×1012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11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10Ω 이하이다. 이와 같은 표면 저항값이 너무 높으면 편광판이나 점착제층이 대전하기 쉬워져 표시 얼룩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 얻어지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부재에 있어서의 건조 후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5∼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이와 같은 두께가 너무 얇으면 점착 물성이 안정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너무 두꺼우면 단부로부터의 수분 침수량이 많아져 장기 리워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점착제층 부착 광학 부재, 특히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은 직접 또는 이형시트를 갖는 것은 이형시트를 벗긴 후, 점착제층면을 유리 기판에 첩합 하고, 예를 들면, 화상 표시장치에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의 점착력(리워크성)은 피착체의 재료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예를 들면, 액정 셀 등의 유리 기판에 첩합하는 경우에는, 첩합 1일 후의 점착력으로서 0.1∼10N/25mm가 바람직하고, 또한, 0.1∼5N/25mm가 바람직하다. 또, 20일 후의 점착력으로서 0.1∼20N/25mm가 바람직하고, 또한, 0.1∼15N/25mm, 특히는 0.1∼10N/25mm가 바람직하다. 또한, 50일 후의 점착력으로서 0.1∼20N/25mm가 바람직하고, 또한, 0.1∼15N/25mm, 특히 0.1∼10N/25mm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력은 다음과 같이 하여 산출된다.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에 대해, 폭 25mm폭으로 재단하고, 이형 필름을 박리 하고, 점착제층측을 무알칼리 유리판(코닝사 제조, 「이글 XG」)에 압압하고, 편광판과 유리판을 첩합한다. 그 후, 오토클레이브 처리(50℃×0.5MPa×20분간)를 실시한 후, 23℃×50%RH로 24시간 방치 후에, 필링(feeling) 각도 180°, 박리 속도 300mm/분으로 박리 시험을 실시한다. 또 장기 리워크성에 관해서는, 오토 클레이브 처리 후 23℃×50%RH로 소정의 기간 방치한 후에 필링 각도 180°, 박리 속도 300mm/분으로 박리 시험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내구성 및 내습열 백화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보존 안정성, 리워크성에도 균형있게 뛰어난 점착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광학 부재용 점착제, 특히 편광판과 유리 기판 등을 맞붙이는 편광판용 점착제로서 유용하다.
편광판을 구성하는 보호 필름으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에틸렌계 필름, 폴리프로필렌계 필름, 시클로올레핀계 필름 등을 들 수 있고, 본 발명은 어느 보호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에 대해서도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지만, 특히, 시클로올레핀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이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편광판과 액정 셀을 맞붙여 화상 표시장치를 제작할 수 있고, 얻어지는 화상 표시장치는 정밀도 좋게 제작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뛰어나게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 「부」, 「%」는 중량 기준을 의미한다.
우선, 하기와 같이 하여 각종 아크릴계 수지를 조제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A) 및 실란커플링제(B)의 중량 평균 분자량, 분산도, 유리 전이 온도에 관해서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서 측정했다.
또한, 점도의 측정에 관해서는, JIS K 5400(1990)의 4.5.3 회전 점도계법에준하여 측정했다.
<아크릴계 수지(A)>
〔아크릴계 수지(A-1)의 제조〕
환류 냉각기, 교반기, 질소 가스 취입구 및 온도계를 구비한 입구가 4개인 바닥이 둥근 플라스크에,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a1) 6부, 아크릴산(a1) 0.7부, n-부틸아크릴레이트(a2) 73.3부, 벤질아크릴레이트(a3) 20부, 초산 에틸 53부, 아세톤 42부,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13부를 넣고, 내온을 비점까지 상승시켜 반응을 개시시켰다. 이어서, AIBN를 0.04%포함한 초산에틸 용액을 30부 적하하고, 환류 온도로 3.25시간 반응 후, 초산 에틸로 희석하여 아크릴계 수지(A-1) 용액(고형분 20.9%, 점도 4,770mPa·s/25℃, 아크릴계 수지(A-1):유리 전이 온도 -43℃, 중량 평균 분자량 129만, 분산도 4.3)을 얻었다.
상기에서 사용한 모노머는 하기 메이커의 것을 사용했다.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오사카유기카가쿠사 제조 Tg ―15℃)
·아크릴산(미츠비시카가쿠사 제조 Tg 106℃)
·부틸아크릴레이트(미츠비시카가쿠사 제조 Tg -56℃)
·벤질아크릴레이트(오사카유기카가쿠사 제조 비스 코트#160Tg 6℃)
또, 상기 Tg는 각 모노머의 호모폴리머의 Tg이다.
〔아크릴계 수지(A-2)∼(A-4) 및 (A'-1), (A'-2)의 제조〕
표 1에 기재된 공중합 성분을 사용하여 상기 아크릴계 수지(A-1)의 제조 방법으로 준하여 실시하고, 아크릴계 수지 (A-2)∼(A-4) 및 (A'-1), (A'-2) 용액을 얻었다. 또, 얻어진 아크릴계 수지 (A-2)∼(A-4) 및 (A'-1), (A'-2) 용액은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Figure 112019007302253-pct00002
<실란커플링제(B)>
실란커플링제(B)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또한, 실란커플링제(B)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관해서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서 측정했다. 또, 알콕시기 함유량, 반응성 관능기, 에폭시 당량 또는 메르캅토 당량, 함유 알콕시기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카탈로그값을 채용했다.
·(B1-1):(신에츠카가쿠고교사 제조, 「X-24-9590」, 중량 평균 분자량:13,700, 알콕시기 함유량:9.5%, 반응성 관능기:에폭시기, 에폭시 당량:592g/mol, 함유 알콕시기:메톡시기)
·(B1-2):(신에츠카가쿠고교사 제조, 「X-24-9589」, 중량 평균 분자량:4,700, 알콕시기 함유량:14.5%(측정치), 반응성 관능기:에폭시기, 에폭시 당량:1,509 g/mol, 함유 알콕시기:에톡시기:에톡시기 및 프로페닐옥시기)
또한, 「X-24-9589」의 알콕시기 함유량에 관해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고, 알콕시기 함유량의 계산을 실시했다.
1.측정
시료 약 50mg를 바이알(VIAL)로 칭량하여, d-클로로포름 1mL를 더하여 용해시켜서 5%(w/v)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했다. 이것을 NMR 측정용 샘플 튜브에 넣어 이하의 조건으로 1HNMR 측정을 실시했다. 얻어진 1HNMR 스펙트럼을 도 1에 나타낸다.
≪측정 조건≫
측정 장치:Bruker사 제조 AscendTM400
프로브:cryo 프로브
펄스 프로그램:싱글 펄스
측정 온도:23℃(296 K)
적산 회수:16회
펄스 지연 시간:10sec
2.알콕시기 함유량의 계산
1HNMR 스펙트럼의 시그널 A∼F에 대해서, A(6.2, 6.0 ppm):프로페닐옥시기, B(3.6 ppm): 에틸렌 옥시드쇄, C(3.4 ppm):에틸렌 옥시드쇄 말단 메톡시기 D(3.1, 2.8, 2.6 ppm):에폭시기, E(1.2 ppm):에톡시기, F(0.1ppm):메틸기로 귀속하고, 이들 시그널의 적분값으로 알콕시기 함유량을 구했다.
또한, 유기 치환기(에폭시기, 메틸기) 수를 X, 알콕시기(에톡시기, 프로페닐옥시기) 수를 R로 하고, 주쇄(-SiO-)은 (X+R)/2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B'-1)
(신에츠카가쿠고교사 제조, 「X-41-1059 A」, 중량 평균 분자량:2,270 알콕시기 함유량:42%, 반응성 관능기:에폭시기, 에폭시 당량:350g/mol, 함유 알콕시기:메톡시기, 에톡시기)
·(B'-2)
(신에츠카가쿠고교사 제조, 「X-41-1805」, 중량 평균 분자량:3,450, 알콕시기 함유량:50%, 반응성 관능기:메르캅토기, 메르캅토 당량:800g/mol, 함유 알콕시기:메톡시기, 에톡시기)
·(B'-3)
(신에츠카가쿠고교사 제조, 「X-41-1810」, 중량 평균 분자량:640, 알콕시기 함유량:30%, 반응성 관능기:메르캅토기, 메르캅토 당량:450g/mol, 함유 알콕시기:메톡시기)
·(B'-4)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신에츠카가쿠고교사 제조, 「KBM-403」, 분자량:236.6, 알콕시기 함유량:39%(계산값), 반응성 관능기:에폭시기, 에폭시 당량:236.6g/mol(계산값) 함유 알콕시기:메톡시기)
또한, B'-4의 알콕시기 함유량에 관해서는 메톡시기의 중량을 분자량으로 뺀 값을 채용했다(메톡시기수 3, 메톡시기 하나의 중량;31, 분자량 236.6). 에폭시 당량은 에폭시기 1mol에 대한 분자량으로서 계산했다.
<가교제(C)>
가교제(C)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C-1):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티롤프로판의 아닥트체(토소사 제조, 「콜로네이트 L55E」)
<대전 방지제(D)>
대전 방지제(D)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D-1): 트리-n-부틸메틸암모늄 N,N-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쓰리엠사 제조, 「FC-4400」, 융점 27.5℃)
(D-2): 방향환 함유 암모늄 양이온과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로 이루어진 이온성 화합물(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사 제조, 「MP-446」, 융점 37℃)
(D-3):리튬 N,N-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모리타카가쿠사 제조, 「Li-TFSI」, 융점 232∼234℃)
<실시예 1∼12, 비교예 1∼9>
상기의 성분(A)∼(D)를 하기 표 2와 같이 배합하여 초산 에틸로 고형분 농도를 12.5%로 조정하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112019007302253-pct00003
상기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용 샘플을 제작하여 하기 성능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후기의 표 3에 나타낸다.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I],[II]의 제작〕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두께 38㎛의 이형시트(미츠이카가쿠히가시셀로사 제조 「루미라 SP-0138BU」)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3분간 건조한 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을 양면에 적층한 편광판의 한쪽 TAC 필름 표면에, 이형시트와 반대측의 점착제층면을 맞붙여 23℃×50%RH의 환경하에서 7일간 에이징하고,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I]를 얻었다(층 구성;이형시트/점착제층/TAC 필름 1/편광자/TAC 필름 2, TAC 필름 1:두께 40㎛, TAC 필름 2:60㎛).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시클로올레핀계 필름/편광자/TAC계 필름의 COP면과 점착제층면을 맞붙인 것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II]를 얻었다.
또한, 상기의 TAC 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필름(두께 60㎛), COP 필름은 시클로올레핀 필름(두께 50㎛)이다.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I]및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II]를 사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실시했다.
〔리워크성〕
상기에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I]를 25mm폭으로 커트하고, 이형시트를 박리하여 점착제층면을 무알칼리 유리(코닝사 제조 「이글 XG」:두께 1.1 mm)에 눌러서 2kg 롤러로 맞붙여서 오토클레이브 처리(0.5MPa×50℃×20분간)를 실시한 후, 23℃×50%RH의 환경하에서 1일, 20일, 50일 정치(靜置)하고, 그 후, 필링 각도 180°, 300mm/분의 박리 속도로 당겨 박리하였을 때의 점착력을 측정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
·1일 후
A···5N/25mm 이하
B···5N/25mm 초과 10N/25mm 이하
C···10N/25mm 초과 또는 잔여 풀이 발생 또는 혹은 기재가 파단
·20일 후
A···5N/25mm이하
B···5N/25mm 초과 10 N/25mm 이하
C···10N/25mm 초과 15 N/25mm 이하
D···15N/25mm 초과 20 N/25mm 이하
E···20N/25mm 초과 또는 잔여 풀이 발생 또는 혹은 기재가 파단
·50일 후
A···5N/25mm 이하
B···5N/25mm 초과 10 N/25mm 이하
C···10N/25mm 초과 15 N/25mm 이하
D···15N/25mm 초과 20 N/25mm 이하
E···20N/25mm 초과 또는 잔여 풀이 발생 또는 혹은 기재가 파단
〔내구성〕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I]및[II]를 20cm×15cm로 커트하고, 이형시트를 박리하여 점착제층면을 무알칼리 유리(코닝사 제조 「이글 XG」:두께 1.1 mm)에 눌러서 2kg 롤러로 2왕복하여 맞붙인 후, 오토클레이브 처리(0.5MPa×50℃×20분간)를 실시하여 초기 내구성 시험용 샘플을 제작했다.
얻어진 샘플에 대해서, (1) 내열성(80℃×500시간)의 조건으로 폭로한 후의 편광판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기준)
○···편광판의 전면에 발포 또는 단부에 들뜸을 볼 수 없다
×···편광판의 전면에 발포 또는 단부에 들뜸을 볼 수 있다
〔내습열 백화성〕
얻어진 점착제층 편광판[II]를 3.5cm×3.5cm로 커트하고, 이형시트를 박리하여 점착제층면을 무알칼리 유리(코닝사 제조 「이글 XG」:두께 1.1mm)에 눌러서 2kg 롤러로 2왕복하여 맞붙인 후, 오토클레이브 처리(0.5MPa×50℃×20분간)를 실시하여, 내습열 백화성 시험용 샘플을 제작했다.
얻어진 샘플에 대해서, 60℃×90%RH의 환경하에 250시간 폭로한 후, 추출실온에 방치했다. 그리고, 꺼내고 나서 3시간 후의 헤이즈를 측정하고, 내습열 백화성을 평가했다. 또한, 헤이즈는 1.1mm 무알칼리 유리의 값을 블랭크로서 뺀 값이다.
(평가 기준)
·꺼낸 직후의 헤이즈
◎···1%미만
○···1% 이상, 3% 미만
△···3% 이상, 4% 미만
×···4% 이상
·꺼낸 3시간 후의 헤이즈
◎···1% 미만
○···1% 이상, 2% 미만
△···2% 이상, 3% 미만
×···3% 이상
〔겔분율〕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I〕의 이형시트를 박리하고, 점착제층면으로부터 점착제를 피킹하여 SUS제의 200메쉬 철망으로 감싼 후, 23℃로 조정한 초산 에틸에 24시간 침지하고, 철망 중에 잔존한 불용해의 점착제 성분의 중량 백분율을 겔분율로 했다.
〔대전 방지성〕
<표면 저항값>
상기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I〕를 23℃×50%RH의 분위기하에서 24시간 정치 한 후, 점착제층의 이형시트를 떼어내고 표면 저항율 측정 장치(미츠비시카가쿠 아나리테크사 제조, 장치명 「Hiresta-UPMCP-HT450」)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율을 측정했다.
Figure 112019007302253-pct00004
상기 결과로부터 극성기 함유 모노머를 통상보다 많이 포함한 아크릴계 수지(A)와 알콕시기 함유량이 15중량% 이하의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를 사용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점착제를 사용한 실시예 1∼12에서는 장기 리워크성과 내습열 백화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극성기 함유 모노머를 많이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계 수지(A'-1, A'-2)와 알콕시기량이 15중량% 보다 큰 실란커플링제를 사용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점착제를 사용한 비교예 1, 2에서는 장기 리워크성은 우수하지만, 내습열 백화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극성기 함유 모노머를 통상보다 많이 포함한 아크릴계 수지(A)와 알콕시기량이 15중량% 보다 큰 실란커플링제를 사용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얻어지는 점착제를 사용한 비교예 3∼9에서는 내습열 백화성에는 뛰어나지만 장기 리워크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점착제계 내의 수분에 의해 가수분해해 실라놀기를 거쳐 유리 표면과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내습열 백화성이 양호한 정도로 극성 모노머를 많이 포함한 아크릴계 수지에서는, 환경 안의 수분을 수중에 넣기 쉽고, 가수분해의 영향을 받기 쉽다. 이 때문에, 통상보다 장기 리워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극성기 모노머를 많이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2에서는 알콕시기 함유량이 15중량% 보다 큰 실란커플링제를 사용해도 장기 리워크성이 과제가 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12에서는 내습열 백화성이 양호한 정도로 극성 모노머를 많이 포함한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라도 알콕시기 함유량이 15중량% 이하의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 리워크성이나 내구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 1∼12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가교된 점착제를 사용하고, 편광판과 액정 셀을 붙여서 화상 표시장치를 제작한바, 얻어진 화상 표시장치는 정밀도 좋게 제작할 수 있고 내구성에도 뛰어난 것이었다.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나타냈지만, 상기 실시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게 분명한 여러가지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인 것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 시에, 편광판(보호 필름)과 액정 셀(유리)과의 맞붙임에 사용하는 점착제로서 사용했을 때에, 장기간에 걸쳐 뛰어난 리워크성을 나타내고, 또한, 시클로올레핀계 필름과 같은 저극성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 한 편광판을 이용했을 경우에서도 내습열 백화성이 뛰어난 점착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디스플레이나 그것을 구성하는 광학 부품을 붙여 배합하기 위한 광학 부재용 점착제, 특히, 편광판과 액정 셀의 유리 기판 등을 맞붙이기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9)

  1. 아크릴계 수지(A), 구조 중에 반응성 관능기와 알콕시기를 각각 1개 이상 함유하는 실란커플링제(B), 및 대전 방지제(D)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A)가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질소 함유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극성기 함유 모노머(a1) 유래의 구조 단위를 5∼50중량% 포함한 아크릴계 수지이며,
    상기 실란커플링제(B)가 알콕시기 함유량이 1 내지 15중량%인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를 함유하며,
    상기 대전 방지제(D)가 유기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의 반응성 관능기 당량이 1,600g/mol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B1)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 함유 모노머(a1)가 적어도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가교제(C)를 더욱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6.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가교제(C)에 의해 가교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7. 청구항 6에 기재된 점착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8. 청구항 6에 기재된 점착제로, 편광판과 액정 셀을 맞붙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
  9. 삭제
KR1020197001991A 2016-08-17 2017-08-10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점착제, 편광판용 점착제, 및 화상 표시장치 KR102358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0171 2016-08-17
JPJP-P-2016-160171 2016-08-17
JP2016184538 2016-09-21
JPJP-P-2016-184538 2016-09-21
PCT/JP2017/029083 WO2018034232A1 (ja) 2016-08-17 2017-08-10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偏光板用粘着剤、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190A KR20190040190A (ko) 2019-04-17
KR102358555B1 true KR102358555B1 (ko) 2022-02-04

Family

ID=6119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991A KR102358555B1 (ko) 2016-08-17 2017-08-10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점착제, 편광판용 점착제, 및 화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977562B2 (ko)
KR (1) KR102358555B1 (ko)
CN (1) CN109476971B (ko)
TW (1) TWI731142B (ko)
WO (1) WO2018034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6489A (ja) * 2016-11-01 2018-05-17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偏光板用粘着剤、並びに粘着剤層付偏光板
JP2020145392A (ja) * 2019-03-08 2020-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ダイシングテープ、及び接着フィルム付きダイシングテープ
KR102424024B1 (ko) * 2019-10-02 2022-07-25 주식회사 케이씨씨 유리 접착제용 프라이머 조성물
CN115657178B (zh) * 2022-12-28 2023-04-18 深圳市全正科技有限公司 一种冷固化贴合反射膜及其制备方法、光学显示器件
CN116041612A (zh) * 2022-12-30 2023-05-02 江苏斯迪克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丙烯酸酯共聚物原胶、压敏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5098A (ja) 2007-04-19 2010-07-2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
JP2012236869A (ja) 2011-05-10 2012-12-06 Tomoegawa Paper Co Ltd 粘着型光学フィルム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16010031A1 (ja) 2014-07-16 2016-01-2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44291A (ja) 2014-08-26 2016-04-04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Ltd.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型光学フィルム、粘着型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050255A (ja) 2014-08-29 2016-04-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粘着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8158B2 (ja) * 1994-06-01 2004-02-16 綜研化学株式会社 液晶素子用感圧接着剤組成物および液晶素子
JPH08199133A (ja) * 1995-01-24 1996-08-06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剤組成物
JP2000103938A (ja) * 1998-09-25 2000-04-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封止用の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半導体装置
TWI381033B (zh) * 2009-10-09 2013-01-01 Nanya Plastics Corp An adhesive composition for use in a conformable polarizing plate
KR101839173B1 (ko) * 2010-10-12 2018-03-1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 부재용 점착제, 점착제 부착 광학부재 및 화상 표시장치
JP6086761B2 (ja) 2012-03-09 2017-03-01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透明電極用粘着剤、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JP5803870B2 (ja) * 2012-10-03 2015-11-0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多官能エポキシ基含有有機ケイ素化合物を含む粘着剤組成物、粘着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889365B2 (ja) * 2014-05-26 2016-03-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101748011B1 (ko) * 2014-11-28 2017-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편광판용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5098A (ja) 2007-04-19 2010-07-2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
JP2012236869A (ja) 2011-05-10 2012-12-06 Tomoegawa Paper Co Ltd 粘着型光学フィルム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16010031A1 (ja) 2014-07-16 2016-01-2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44291A (ja) 2014-08-26 2016-04-04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Ltd.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型光学フィルム、粘着型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6050255A (ja) 2014-08-29 2016-04-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粘着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37159B2 (ja) 2022-09-14
TW201817840A (zh) 2018-05-16
WO2018034232A1 (ja) 2018-02-22
CN109476971A (zh) 2019-03-15
JP6977562B2 (ja) 2021-12-08
CN109476971B (zh) 2020-11-17
JP2021107564A (ja) 2021-07-29
JPWO2018034232A1 (ja) 2019-06-20
TWI731142B (zh) 2021-06-21
KR20190040190A (ko)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8555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점착제, 편광판용 점착제, 및 화상 표시장치
KR102358557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점착제, 편광판용 점착제, 및 화상 표시장치
JP2023076578A (ja)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偏光板用粘着剤、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6859937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偏光板用粘着剤、粘着剤層付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8076489A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偏光板用粘着剤、並びに粘着剤層付偏光板
WO2016010140A1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並びに偏光板用粘着剤
JP6708017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並びに偏光板用粘着剤
JP7119972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偏光板用粘着剤、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102358556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점착제, 편광판용 점착제, 및 화상 표시장치
KR102353306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용 점착제, 및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JP6724767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粘着シート、ならびに粘着剤層付偏光板
JP2021143286A (ja) 粘着剤組成物、その粘着剤組成物を用いてなる粘着剤、ならびにその粘着剤を用いた偏光板用粘着剤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1080421A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偏光板用粘着剤、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7137120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偏光板用粘着剤、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6759776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並びに偏光板用粘着剤
JP2022025417A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偏光板用粘着剤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2121158A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偏光板用粘着剤、偏光板用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9214707A (ja)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偏光板用粘着剤、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20114935A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剤、粘着シート、ならびに粘着剤層付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