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467B1 - 박스 접합기 - Google Patents

박스 접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467B1
KR102352467B1 KR1020210119236A KR20210119236A KR102352467B1 KR 102352467 B1 KR102352467 B1 KR 102352467B1 KR 1020210119236 A KR1020210119236 A KR 1020210119236A KR 20210119236 A KR20210119236 A KR 20210119236A KR 102352467 B1 KR102352467 B1 KR 102352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nveyor belt
base paper
side plate
adhesiv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흥수
Original Assignee
강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수 filed Critical 강흥수
Priority to KR1020210119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31B50/624Applying glue 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31B50/102Feeding or positioning web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전개된 상태의 박스 원지의 양단을 효과적으로 접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박스 접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접합기는 원지(1)의 양측에 구비된 측판부(2)를 접는 절곡수단(50)이 가압컨베이어벨트(51) 즉 벨트를 이용함으로, 측판부(2)를 효과적으로 접을 수 있으며, 측판부(2)를 접을 때 가압컨베이어벨트(51)와 측판부(2)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지 않아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가압컨베이어벨트(51)나 측판부(2)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음으로,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박스 접합기{box bo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전개된 상태의 박스 원지의 양단을 효과적으로 접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박스 접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판지재질의 박스를 제작할 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를 전개도 형태의 원지(1)로 제작한 후, 원지(1)의 양단을 상호 접합고정하고, 이와 같이 양단이 고정된 박스의 각 부분을 절곡하여 박스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박스의 원지(1)는 측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며 절첩선에 의해 상호 절첩되도록 구성된 4개의 측판부(2)와, 상기 측판부(2)의 상하단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상하판부(3,4)로 구성되며, 상기 측판부(2)에서 가장 측방향에 위치된 측판부(2)의 측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고정리브(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리브(5)의 하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측판부(2)를 상호 인접방향으로 180도 회동시켜 반대쪽 측판부(2)가 상기 고정리브(5)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하면, 양단의 측판부(2)의 단부가 상호 접합되어, 후공정에서 각각의 측판부(2)의 절첩선을 접어, 원지(1)를 사각형으로 펴고, 상기 상하부판을 접어 사각형의 박스를 완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넓게 펼쳐진 원지(1)에서 상기 고정리브(5)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양측의 측판부(2)를 접어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공정은 박스 접합기를 통해 실시된다.
도 3은 이러한 박스 접합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면에 상기 원지(1)가 올려지는 테이블(6)과, 상기 테이블(6)에 올려진 원지(1)의 양측을 지지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되어 원지(1) 양측의 측판부(2)를 인접방향으로 접는 회동판(7)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원지(1)를 테이블(6)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상기 회동판(7)이 회동되어 측판부(2)를 상호 인접방향으로 접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박스 접합기는 작업자가 원지(1)를 한 장씩 테이블(6)의 상면에 올려놓아야 할 뿐 아니라, 원지(1)를 테이블(6)에 올려놓기 전에 수작업으로 상기 고정리브(5)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2015-009812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전개된 상태의 박스 원지(1)의 양단을 효과적으로 접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박스 접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4개의 측판부(2)와, 일측의 측판부(2)에 구비된 고정리브(5)를 포함하는 박스의 원지(1)에서, 상기 고정리브(5)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양측이 측판부(2)를 인접방향으로 접어 양측의 측판부(2)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접합기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원지(1)를 가장 하측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20)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다수개가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이송로울러(31)와, 상기 이송로울러(31)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원지(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벨트(32)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의 상측에 위치되어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이송되는 원지(1)의 중앙부 상측을 지지하는 지지대(33)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이송되는 원지(1)의 고정리브(5)의 하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수단(40)과, 상기 접착제도포수단(40)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이송되는 원지(1)의 양측의 측판부(2)를 인접방향으로 절곡하는 절곡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절곡수단(5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의 외측에 결합된 가압컨베이어벨트(51)와, 상기 가압컨베이어벨트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가압컨베이어벨트(51)의 중간부 외측을 내측으로 회동시켜 가압컨베이어벨트(51)의 내외측면이 뒤집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로울러(52,53,54,55)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컨베이어벨트(51)는 상기 이송로울러(31)의 상측에 위치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송부(51a)와, 상기 이송로울러(31)의 하측에 위치되어 후방으로 이송되는 리턴부(51b)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51a)의 후단부는 상기 원지(1)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이송부(51a)의 중간부는 상기 가이드로울러(52,53,54,55)에 의해 외측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하면이 뒤집어짐으로써 상기 원지(1) 양측의 측판부(2)가 내측으로 접히도록 하고, 상기 이송부(51a)의 전단부는 상하방향으로 뒤집어진 상태로 상기 접힌 측판부(2)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접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도포수단(4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리브(5)에 접착제가 도포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접착제감지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감지수단(7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지지판(71)과, 상기 지지판(7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71)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실린더기구(73)에 의해 승강되는 가이드판(72)과, 상기 가이드판(72)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 후측에는 후방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74a)이 형성된 접착블록(74)과, 상기 접착블록(74)의 상면에 구비되어 접착블록(74)의 상부를 통과하는 고정리브(5)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75)와, 상기 접착블록(74)에 연결되어 접착블록(74)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6)와, 상기 가이드판(72)에 구비되며 상기 접착블록(74)이 전방으로 밀려나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리미트스위치(77)와, 상기 리미트스위치(77)와 근접감지센서(75)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실린더기구(7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8)과, 상기 제어수단(78)에 연결된 경보수단(79)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블록(74)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원지(1)의 고정리브(5)에 도포된 접착제에 상면이 접착되면 전방으로 밀려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78)은 상기 리미트스위치(7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접착블록(74)이 전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실린더기구(73)를 출소시켜 상기 접착블록(74)의 상면이 보강리브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실린더기구(73)를 신장시켜 접착블록(74)이 초기위치로 상승되도록 하며, 상기 근접감지센서(75)에 고정리브(5)가 감지된 상태에서 접착블록(74)이 후방으로 밀려나가지 않으면, 접착블록(74)의 상면을 통과하는 고정리브(5)에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79)을 작동시키고,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근접감지센서(75)에 고정리브(5)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급수단(20)에 작동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79)을 작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접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접합기는 원지(1)의 양측에 구비된 측판부(2)를 접는 절곡수단(50)이 가압컨베이어벨트(51) 즉 벨트를 이용함으로, 측판부(2)를 효과적으로 접을 수 있으며, 측판부(2)를 접을 때 가압컨베이어벨트(51)와 측판부(2)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지 않아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가압컨베이어벨트(51)나 측판부(2)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음으로,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박스의 원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박스의 원지를 접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종래의 박스 접합기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접합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접합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5의 C-C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5의 D-D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E-E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접합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접합기의 제2 실시예의 접착제감지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접합기의 제2 실시예의 접착제감지수단의 회로구성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접합기의 제2 실시예의 접착제감지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접합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박스는 4개의 측판부(2)와, 일측의 측판부(2)에 구비된 고정리브(5)가 구비된 박스의 원지(1)에서, 상기 고정리브(5)의 하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양측의 측판부(2)를 상호 인접방향으로 접어 양측의 측판부(2)가 상기 고정리브(5)에 의해 상호 접합되도록 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 접합기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원지(1)를 가장 하측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20)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다수개가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이송로울러(31)와, 상기 이송로울러(31)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원지(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벨트(32)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의 상측에 위치되어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이송되는 원지(1)의 중앙부 상측을 지지하는 지지대(33)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이송되는 원지(1)의 고정리브(5)의 하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수단(40)과, 상기 접착제도포수단(40)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이송되는 원지(1)의 양측의 측판부(2)를 인접방향으로 절곡하는 절곡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수단(20)은 상기 이송로울러(31)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복수개의 공급로울러(21)와, 상기 공급로울러(21)의 전방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22)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로울러(21)는 구동모터(21a)에 의해 구동되어 상면에 올려진 원지(1)를 전방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22)는 도시 안된 고정바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된 것으로, 하단부는 상기 공급로울러(2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원지(1)의 두께에 비해 조금 넓은 간격으로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로울러(21)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여러개의 원지(1)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공급로울러(21)를 구동시키면, 가장 하측의 원지(1)만이 상기 지지바(22)와 공급로울러(21) 사이의 틈을 통해 전방으로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출된다.
상기 이송로울러(31)에는 구동모터(31a)가 연결되어 이송로울러(31)의 상측 둘레부가 전방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는 상기 이송로울러(31)중에서 가장 후방과 전방에 구비된 이송로울러(31)의 외측을 경유하도록 결합되어, 이송로울러(31)가 회전되면 이송로울러(31)의 둘레부를 따라 순환되면서 상기 공급수단(20)의 전방으로 배출된 원지(1)를 전방으로 이송한다.
상기 지지대(33)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형의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고정바에 의해 하측면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고정된 것으로, 하측면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원지(1)의 상면에 밀착되어,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이송되는 원지(1)가 상측으로 들뜨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33)는 상기 원지(1)에서 중앙부 양측에 위치된 2개의 측판부(2)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측방향의 폭이 조절되며, 전단부는 후술하는 절곡수단(50)에서 제2 로울러(53)가 구비된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전후방향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접착제도포수단(4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이송되는 원지(1)의 고정리브(5)가 통과하는 위치의 하측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접착제가 저장된 저장통(41)과, 상기 저장통(41)의 하측에 구비되어 구동모터(43)에 의해 상단이 전방으로 회전되는 도포휠(42)로 구성된다.
상기 도포휠(42)은 하측둘레부는 상기 저장통(41)에 저장된 접착제에 잠기고, 상측 둘레면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원지(1)의 고정리브(5)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포휠(42)을 회전시키면, 상기 저장통(41)에 저장된 접착제가 도포휠(42)의 둘레면에 도포되고, 원지(1)에 구비된 고정리브(5)가 도포휠(42)의 상면을 통과하면, 도포휠(42)에 도포된 접착제가 고정리브(5)의 하측면에 도포된다.
상기 절곡수단(5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의 외측에 결합된 가압컨베이어벨트(51)와, 상기 가압컨베이어벨트(5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가압컨베이어벨트(51)의 중간부 외측을 내측으로 회동시켜 가압컨베이어벨트(51)의 내외측면이 뒤집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로울러(52,53,54,55)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컨베이어벨트(51)는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송로울러(31)중에서 가장 전방과 후방에 있는 이송로울러(31)의 둘레면을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로울러(31)의 상측에 위치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송부(51a)와, 상기 이송로울러(31)의 하측에 위치되어 후방으로 이송되는 리턴부(51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51a)의 후단부는 상기 원지(1)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이송부(51a)의 중간부는 상기 가이드로울러(52,53,54,55)에 의해 외측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하면이 뒤집어짐으로써 상기 원지(1) 양측의 측판부(2)가 내측으로 접히도록 하고, 상기 이송부(51a)의 전단부는 상하방향으로 뒤집어진 상태로 상기 접힌 측판부(2)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송컨베이어벨트(32)의 양측에 위치된 가압컨베이어벨트(51)는 후단부의 간격이 넓고, 전단부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로울러(52,53,54,55)는 제1 내지 제4 로울러(52,53,54,55)로 구성된다.
이때, 가장 후방에 위치된 제1 로울러(5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45도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51a)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이송부(51a)가 상측으로 45도 들어 올려지도록 한다.
그리고, 중간부에 구비된 제2 로울러(53)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이송부(51a)의 외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이송부(51a)의 중간부가 상측으로 90도 세워지도록 한다.
상기 제3 로울러(54)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51a)의 상면을 지지함으로서, 상기 이송부(51a)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도록 한다.
이때, 좌측에 위치된 제3 로울러(54)는 우측에 위치된 제3 로울러(54)에 비해 큰 각도로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4 로울러(55)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로울러(54)를 통과하면서 상하면이 뒤집어진 이송부(51a)의 상면이 내측으로 접혀진 측판부(2)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살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61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의 후방으로 배출된 원지(1)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배출컨베이어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번호 62는 상기 가압컨베이어벨트(51)의 리턴부(51b)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가이드로울러(52,53,54,55)를 통과하면서 상하면이 뒤집어진 가압컨베이어벨트(51)를 반대방향으로 뒤집는 보조로울러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박스 접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공급수단(20)을 구동시키면, 구동수단에 적재된 다수개의 원지(1) 중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된 원지(1)가 전방으로 배출된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벨트(32)와 지지대(33)의 사이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원지(1)가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도포수단(40)에 의해 원지(1)에 형성된 고정리브(5)의 하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원지(1)가 더욱 전방으로 이송되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컨베이어벨트(51)(51) 이송부(51a)의 중간부 즉, 상기 가이드로울러(52,53,54,55)에 의해 외측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하방향으로 뒤집어진 부분을 통과하면, 원지(1) 양측의 측판부(2)가 내측으로 회동되면서 접히게 된다.
이때, 좌측에 위치된 제3 로울러(54)는 우측에 위치된 제3 로울러(54)에 비해 큰 각도로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됨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즉, 상기 고정리브(5)가 형성된 좌측의 측판부(2)가 먼저 접히고, 우측의 측판부(2)가 나중에 접혀, 우측의 측판부(2)의 단부가 좌측의 측판부(2)에 형성된 고정리브(5)의 상면을 덮게 된다.
그리고, 원지(1)가 더욱 후방으로 이송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4 로울러(55)의 하측을 통과하면서, 좌측과 우측의 측판부(2)가 완전히 눌려 평면을 이루도록 상호 접착된 후,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후방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박스 접합기는 원지(1)의 양측에 구비된 측판부(2)를 접는 절곡수단(50)이 가압컨베이어벨트(51) 즉 벨트를 이용함으로, 측판부(2)를 효과적으로 접을 수 있으며, 측판부(2)를 접을 때 가압컨베이어벨트(51)와 측판부(2)의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지 않아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가압컨베이어벨트(51)나 측판부(2)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음으로, 내구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접합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상기 고정리브(5)에 접착제가 도포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접착제감지수단(70)이 상기 접착제도포수단(4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접착제감지수단(7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지지판(71)과, 상기 지지판(7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71)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실린더기구(73)에 의해 승강되는 가이드판(72)과, 상기 가이드판(72)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 후측에는 후방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74a)이 형성된 접착블록(74)과, 상기 접착블록(74)의 상면에 구비되어 접착블록(74)의 상부를 통과하는 고정리브(5)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75)와, 상기 접착블록(74)에 연결되어 접착블록(74)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6)와, 상기 가이드판(72)에 구비되며 상기 접착블록(74)이 전방으로 밀려나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리미트스위치(77)와, 상기 리미트스위치(77)와 근접감지센서(75)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실린더기구(7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8)과, 상기 제어수단(78)에 연결된 경보수단(79)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71)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고정리브(5)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판(72)은 전후단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된 걸림턱(72a)이 형성되어, 접착블록(74)이 전후진되는 간격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기구(7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판(71)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73a)가 상기 가이드판(72)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로드(73a)를 승강시켜 지지판(71)과 접착블록(74)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된 에어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접착블록(74)은 상기 실린더기구(73)에 의해 지지판(71)과 접착블록(74)이 상승되었을 때, 상면의 높이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원지(1) 고정리브(5)의 하측면, 즉, 상기 접착제도포수단(40)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되는 면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접착블록(74)이 상승된 상태에서 접착블록(74)의 상부를 통과하는 고정리브(5)에 접착제가 도포된 경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블록(74)의 상면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리브(5)의 하측면에 접착되며, 이에 따라, 접착블록(74)이 고정리브(5)와 함께 전방으로 밀려나게 된다.
상기 근접감지센서(75)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접착블록(74)의 상면 후측에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리브(5)가 접착블록(74)의 상측을 통과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근접감지센서(75)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부재(76)는 양단이 상기 접착블록(74)의 전면과 상기 걸림턱(72a)의 사이에 구비되어 접착블록(74)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77)는 상기 접착블록(74)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판(72)의 상면에 매립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측에는 접착블록(74)이 전방으로 밀리면 하측으로 눌리는 푸쉬버튼(77a)이 구비되어, 접착블록(74)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보수단(79)은 작동시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박스 접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수단(78)에는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원지(1)의 고정리브(5)가 접착제감지수단(70)의 상부를 통과하는 시간, 즉, 전방의 고정리브(5)가 접착제감지수단(70)의 상부를 통과한 후 다음번 고정리브(5)가 접착제감지수단(70)의 상부를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이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78)은 상기 실린더기구(73)를 제어하여 가이드판(72)과 접착블록(74)을 상승시키고, 상기 리미트스위치(77)의 신호를 감시하여,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블록(74)이 전방으로 밀려난 것이 감지되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73)를 제어하여 가이드판(72)과 접착블록(74)을 하강시킴으로써, 접착블록(74)이 원지(1)의 고정리브(5)에 도포된 접착제로부터 떨어져 나오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이 접착블록(74)이 후방으로 밀려난다는 것은, 접착블록(74)의 상부를 통과하는 고정리브(5)에 접착제가 도포된 것을 의미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근접감지센서(75)에 원지(1)의 고정리브(5)가 감지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상기 접착블록(74)이 전방으로 밀려나가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78)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40)의 작동 불량으로 원지(1)의 고정리브(5)에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79)을 작동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경고를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78)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데, 상기 근접감지센서(75)에 원지(1)의 고정리브(5)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공급수단(20)에 작동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79)을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박스 접합기는 접착제도포수단(40) 또는 공급수단(20)에 고장 또는 작동불량이 발생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경보수단(79)을 작동시킴으로,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이를 확인하여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지지프레임 20. 공급수단
31. 이송로울러 32. 이송컨베이어벨트
33. 지지대 40. 접착제도포수단
50. 절곡수단

Claims (2)

  1. 4개의 측판부(2)와, 일측의 측판부(2)에 구비된 고정리브(5)를 포함하는 박스의 원지(1)에서,
    상기 고정리브(5)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양측이 측판부(2)를 인접방향으로 접어 양측의 측판부(2)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접합기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원지(1)를 가장 하측의 것부터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20)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다수개가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이송로울러(31)와,
    상기 이송로울러(31)의 둘레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원지(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벨트(32)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의 상측에 위치되어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이송되는 원지(1)의 중앙부 상측을 지지하는 지지대(33)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이송되는 원지(1)의 고정리브(5)의 하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수단(40)과,
    상기 접착제도포수단(40)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이송되는 원지(1)의 양측의 측판부(2)를 인접방향으로 절곡하는 절곡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절곡수단(50)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의 외측에 결합된 가압컨베이어벨트(51)와,
    상기 가압컨베이어벨트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가압컨베이어벨트(51)의 중간부 외측을 내측으로 회동시켜 가압컨베이어벨트(51)의 내외측면이 뒤집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로울러(52,53,54,55)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컨베이어벨트(51)는
    상기 이송로울러(31)의 상측에 위치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송부(51a)와,
    상기 이송로울러(31)의 하측에 위치되어 후방으로 이송되는 리턴부(51b)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51a)의 후단부는 상기 원지(1)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이송부(51a)의 중간부는 상기 가이드로울러(52,53,54,55)에 의해 외측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하면이 뒤집어짐으로써 상기 원지(1) 양측의 측판부(2)가 내측으로 접히도록 하고,
    상기 이송부(51a)의 전단부는 상하방향으로 뒤집어진 상태로 상기 접힌 측판부(2)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접착제도포수단(4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리브(5)에 접착제가 도포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접착제감지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감지수단(7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지지판(71)과,
    상기 지지판(7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71)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실린더기구(73)에 의해 승강되는 가이드판(72)과,
    상기 가이드판(72)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 후측에는 후방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74a)이 형성된 접착블록(74)과,
    상기 접착블록(74)의 상면에 구비되어 접착블록(74)의 상부를 통과하는 고정리브(5)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75)와,
    상기 접착블록(74)에 연결되어 접착블록(74)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6)와,
    상기 가이드판(72)에 구비되며 상기 접착블록(74)이 전방으로 밀려나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리미트스위치(77)와,
    상기 리미트스위치(77)와 근접감지센서(75)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실린더기구(7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8)과,
    상기 제어수단(78)에 연결된 경보수단(79)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블록(74)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32)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원지(1)의 고정리브(5)에 도포된 접착제에 상면이 접착되면 전방으로 밀려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78)은 상기 리미트스위치(7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접착블록(74)이 전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실린더기구(73)를 출소시켜 상기 접착블록(74)의 상면이 보강리브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실린더기구(73)를 신장시켜 접착블록(74)이 초기위치로 상승되도록 하며, 상기 근접감지센서(75)에 고정리브(5)가 감지된 상태에서 접착블록(74)이 후방으로 밀려나가지 않으면, 접착블록(74)의 상면을 통과하는 고정리브(5)에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79)을 작동시키고,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근접감지센서(75)에 고정리브(5)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급수단(20)에 작동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수단(79)을 작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접합기.
  2. 삭제
KR1020210119236A 2021-09-07 2021-09-07 박스 접합기 KR102352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36A KR102352467B1 (ko) 2021-09-07 2021-09-07 박스 접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36A KR102352467B1 (ko) 2021-09-07 2021-09-07 박스 접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467B1 true KR102352467B1 (ko) 2022-01-18

Family

ID=8005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236A KR102352467B1 (ko) 2021-09-07 2021-09-07 박스 접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9754A1 (en) * 2021-01-21 2022-07-28 Creata (Usa) Inc. Paper sheet-folding apparatus and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8563A (ja) * 1998-11-25 2000-06-13 Rengo Co Ltd 箱原形体への接着剤過不足信号発生装置
JP3116162B2 (ja) * 1989-09-28 2000-12-11 ザ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ペーパー ボックス マシン コム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紙箱折曲げ装置および方法
KR20080060809A (ko) * 2006-12-27 2008-07-02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종이상자 접합기용 감지장치
KR20150098127A (ko) 2014-02-19 2015-08-27 김병식 골판지 자동접합장치
KR102211493B1 (ko) * 2019-08-07 2021-02-04 주식회사 아큐시스템 포장상자용 골판지의 압착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162B2 (ja) * 1989-09-28 2000-12-11 ザ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ペーパー ボックス マシン コム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紙箱折曲げ装置および方法
JP2000158563A (ja) * 1998-11-25 2000-06-13 Rengo Co Ltd 箱原形体への接着剤過不足信号発生装置
KR20080060809A (ko) * 2006-12-27 2008-07-02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종이상자 접합기용 감지장치
KR20150098127A (ko) 2014-02-19 2015-08-27 김병식 골판지 자동접합장치
KR102211493B1 (ko) * 2019-08-07 2021-02-04 주식회사 아큐시스템 포장상자용 골판지의 압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9754A1 (en) * 2021-01-21 2022-07-28 Creata (Usa) Inc. Paper sheet-folding apparatus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2467B1 (ko) 박스 접합기
CN104973437B (zh) 拼接装置
KR102097106B1 (ko) 포장박스의 인쇄 및 절단장치
US4936815A (en) Tray forming machine
JP4762116B2 (ja) シート供給装置
US6080095A (en) Carton-shaping machine
KR101471083B1 (ko) 중량체 뒤집기장치
JP4669894B2 (ja) 厚手布類の折り畳み装置
KR100862795B1 (ko) 판재의 연속공급장치
JP6941356B2 (ja) 給送装置、該給送装置を備えるシート処理装置
JP2007297063A (ja) 積層平海苔束結束方法及び積層平海苔束結束装置
KR101697312B1 (ko)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
CN208163832U (zh) 一种设有传送装置的平压平模切机
CN214779522U (zh) 一种纸板生产用自动上纸装置
KR100475610B1 (ko) 인쇄기용 골판지 공급장치
JP4547311B2 (ja) 段ボールシートの折り曲げ装置。
KR102385782B1 (ko) 자동 포장기
KR100553351B1 (ko) 상면 인쇄기용 골판지 공급장치
KR101789645B1 (ko)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JP5430135B2 (ja) 物品投入装置
KR200445063Y1 (ko) 철판 반송장치
JPS61254458A (ja) 積層板材の送出し装置
JPH05306017A (ja) 細長物品用パレタイザー
KR100475609B1 (ko) 상면 인쇄기용 골판지 공급장치
CN108454163B (zh) 糊盒机的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