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645B1 -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645B1
KR101789645B1 KR1020160012678A KR20160012678A KR101789645B1 KR 101789645 B1 KR101789645 B1 KR 101789645B1 KR 1020160012678 A KR1020160012678 A KR 1020160012678A KR 20160012678 A KR20160012678 A KR 20160012678A KR 101789645 B1 KR101789645 B1 KR 101789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late
rim
fixe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870A (ko
Inventor
이경택
배종구
Original Assignee
영신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신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신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6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31B50/102Feeding or positioning webs using roll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58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moving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1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the load being conveyed between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100)는,
지지 기능을 하는 격자형의 프레임(91)과, 상기 프레임(91)의 내부에 장착되어 적층된 종이(P)를 상승시키는 엘리베이터(93)와, 상기 엘리베이터(93)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91)에 장착되어 상기 적층된 종이(P)를 낱장씩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공급부(95)를 포함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91)의 전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부 컨베이어(110)와 하부 컨베이어(130)가 상하방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110)와 하부 컨베이어(130)가 동시에 전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반전부(1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93)에 적재된 종이(P) 중 인쇄면이 상방을 향하는 종이(P)가 감지되면, 상기 반전부(100)에 의해서 180도 회전시키므로 인쇄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하여 타발기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된 종이(P)의 인쇄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일일이 수작업으로 정리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The paper feeding appratus having a reversal part}
본 발명은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인쇄면이 상방을 향하는 종이는 뒤집어서 타발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의한 급지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이의 상면에 인쇄지를 부착하므로 상방으로 오목하게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인쇄면이 상방을 향하는 종이와 인쇄면이 하방을 향하는 종이를 교대로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급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박스용으로 사용되는 골판지나 마분지 등의 종이(P)는 타발기에 공급하여 금형으로 접히는 선을 가압하므로 박스가 되도록 접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타발기로 종이를 가압하기 위해서는,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급지장치(1)를 사용하여 타발기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급지장치(1)의 구성을 도 3과 함께 살펴보면, 지지기능을 하는 격자형의 프레임(1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적층된 종이(P)를 상방으로 올리는 엘리베이터(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상부에 지지되어 종이(P)를 흡착한 후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셔부(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셔부(3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컨베이어(40)가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40)의 상부에는 종이(P)를 눌러주는 롤러(50)가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20)에 다수 매의 종이(P)를 적층한 후, 상방으로 일정속도로 올리면서 상기 푸셔부(30)에서 종이(P)를 한 장씩 흡착하여 상기 컨베이어(40)와 롤러(50) 사이로 밀어주게 되면 컨베이어(40)의 작동에 의해서 종이(P)는 타발기로 공급된다.
이때 종이(P)는 표면인 인쇄면(O)이 하방을 향하고 이면(I)이 상방을 향하도록 하므로, 타발기로 상기 이면(I)에 접히는 선을 가압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종이(P)는 인쇄면(O)이 하방을 향하는 것과 상방을 향하는 것이 섞여 있기 때문에 표면인 인쇄면(O)에 접히는 선이 가압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인쇄면(O)에 접히는 자욱이 형성되어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급지장치(1)에 종이(P)를 넣기 전에 일일이 인쇄면(O)이 하방을 향하도록 정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런데 이처럼 인쇄면(O)이 상방을 향하는 종이(P)와 하방을 향하는 종이(P)가 섞여서 적재되는 이유를 도 1 및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이(P)의 표면에 인쇄면(O)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문구를 인쇄하거나 문구가 인쇄된 인쇄지(C)를 부착하게 된다. 이때, 인쇄할 경우에는 잉크가 건조되면서 수축하게 되고, 인쇄지(C)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부착에 사용된 접착제가 건조되면서 수축하게 되므로, 도 1에서처럼 상방으로 오목하게 휘어지게 되어, 급지장치(1)를 통해 타발기로 이송하기 어렵고 타발기에서도 제대로 금형작업을 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도 2에서처럼 인쇄면(O)이 상방을 향하도록 종이 적정 매수를 적층한 후에 인쇄면(O)이 하방을 향하도록 종이(P) 적정 매수를 적층 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교번 되게 적층 하게 되면 자중에 의해서 종이(P)는 평평하게 펴지게 되므로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항상, 종이(P)는 인쇄면(O)이 상방을 향하는 것과 하방을 향하는 것이 교대로 적층 되어야 하지만, 상기 제시한 문제점으로 인해서 인쇄면(O)이 하방을 향하도록 다시 수작업으로 정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398024호 (2014년 05월 15일)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적층된 종이를 타발기로 공급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종이에서 인쇄면이 상방을 향하는 종이가 감지되면, 뒤집어서 타발기로 공급하고, 인쇄면이 하방을 향하는 종이가 감지되면, 뒤집지 않고 그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는,
지지 기능을 하는 격자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어 적층된 종이를 상승시키는 엘리베이터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적층된 종이를 낱장 씩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부 컨베이어와 하부 컨베이어가 상하방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하부 컨베이어가 동시에 전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반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전부는, 상기 상부 컨베이어와 하부 컨베이어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상호 연결하는 연결블록과, 상기 연결블록에 고정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고정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컨베이어는,
사각 형상의 상부 림(rim)과, 상기 상부 림의 전후방에 각각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측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에 감겨서 상기 상부 림을 수용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측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벨트와, 상기 상부 림의 내측에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상부 플레이트가 이송하는 상부 이송부와, 상기 상부 이송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 컨베이어 쪽으로 왕복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벨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종이를 받치는 상부 서포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컨베이어는,
사각 형상의 하부 림(rim)과, 상기 하부 림의 전후방에 각각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측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에 감겨서 상기 하부 림을 수용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측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벨트와, 상기 하부 림의 내측에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하부 플레이트가 이송하는 하부 이송부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컨베이어 쪽으로 왕복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벨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종이를 받치는 하부 서포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상부 림과 하부 림의 좌우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서포터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림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컨베이어를 향하여 왕복동하는 상부 보조서포터와, 상기 하부 서포터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림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를 향하여 왕복동하고, 상기 상부 보조 서포터에 대응되는 하부 보조서포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이송부는,
상기 상부 림의 내측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에 체결된 너트와, 상기 스크류축과 측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림의 내측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 고정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에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가이드와, 상기 너트와 가이드의 하면에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이송부는,
상기 하부 림의 내측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에 체결된 너트와, 상기 스크류축과 측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 림의 내측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 고정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에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가이드와, 상기 너트와 가이드의 상면에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서포터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고 로드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에어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전방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에어실린더의 전방에 배치되는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판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상부 가이드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포터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고 로드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에어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에어실린더의 후방에 배치되는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수평판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하부 보조가이드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보조서포터는,
상기 상부커버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림의 내측 전방단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상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상면에 고정되고 로드가 상기 상부 지지판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보조에어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하단에 고정되는 보조수평판과 상기 보조수평판의 후방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보조에어실린더의 후방에 배치되는 보조수직판이 구성되는 상부 보조커버와, 상기 보조수평판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지지판을 관통하는 상부 보조가이드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보조서포터는,
상기 하부커버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림의 내측 전방단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하부 지지판과, 상기 하부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로드가 상기 하부 지지판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보조에어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상단에 고정되는 보조수평판과 상기 보조수평판의 후방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보조에어실린더의 후방에 배치되는 보조수직판이 구성되는 하부 보조커버와, 상기 보조수평판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지지판을 관통하는 하부 보조가이드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에 장착되어 상기 종이의 인쇄면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연계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센서에 의해서 인쇄면이 감지되면, 상기 반전부에 종이가 급송된 후 상기 반전부를 정역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적재된 종이 중 인쇄면이 상방을 향하는 종이가 감지되면, 상기 반전부에 의해서 180도 회전시키므로 인쇄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하여 타발기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된 종이의 인쇄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일일이 수작업으로 정리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이의 상면에 인쇄지를 부착하므로 상방으로 오목하게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인쇄면이 상방을 향하는 종이와 인쇄면이 하방을 향하는 종이를 교대로 적층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급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반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7의 상태에서 지지프레임과 벨트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반전부에서 하부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반전부에서 하부컨베이어에 장착되는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반전부에서 상부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반전부에서 상부컨베이어에 장착되는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반전부가 회전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반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7의 상태에서 지지프레임과 벨트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반전부에서 하부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반전부에서 하부컨베이어에 장착되는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반전부에서 상부컨베이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반전부에서 상부컨베이어에 장착되는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의 반전부가 회전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급지장치는 타발기로 종이(P)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지지 기능을 하는 격자형의 프레임(91)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91)의 내부에 장착되어 적층된 종이(P)를 상승시키는 엘리베이터(9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93)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91)에 장착되어 적층된 종이(P)를 낱장씩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공급부(95)가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95)는 엘리베이터(93)에 의해 상승하는 종이(P)를 흡착하여 전방으로 보내도록 프레임(91)에 지지되는 푸셔부(96)가 구성되고, 상기 푸셔부(96)로부터 종이(P)를 공급받아서 전방으로 배출하는 컨베이어(97)가 상기 프레임(91)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97)의 상부에는 종이(P)를 압축하므로 컨베이어(97)의 회전력이 종이(P)에 전달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롤러(98)가 프레임(91)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급부(95), 즉 상기 푸셔부(96)의 하방에 배치된 종이(P)의 상면이 인쇄면인지 이면인지를 감지하는 센서(150)가 구성되고, 상기 급지장치의 전방면에 반전부(100)를 장착하여 종이(P)를 반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적재된 종이(P)의 맨 윗면에 위치한 종이(P)의 표면이 인쇄면이면 상기 센서(150)의 감지에 의해서 상기 반전부(100)가 종이(P)를 수용한 상태에서 180도 회전하도록 한 후에 종이(P)가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센서(150)에 의해서 인쇄면이 감지되지 않으면, 종이(P)가 반전부(100)를 통과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반전부(100)는 도 4 내지 도 6에서처럼 상기 프레임(91)의 전면에 부착되는데, 상부 컨베이어(110)와 하부 컨베이어(130)가 상하방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110)와 하부 컨베이어(130)가 동시에 전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컨베이어(110)와 하부 컨베이어(130)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상호 연결하는 연결블록(101)이 구성된다. 상기 연결블록(101)에는 샤프트(103)가 외측방으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103)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91)의 전면에 고정되는 ㄷ형의 전방 프레임(105)이 구성된다. 상기 전방 프레임(105)은 상부 컨베이어(110)와 하부 컨베이어(130)를 동시에 후방에서 감싸는 모양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프레임(105)에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103)를 회동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샤프트(103)는 기어 구동방식 내지는 벨트 또는 체인 구동방식으로 연계될 수 있고, 직결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180도 정역 회전에 의해서 상부 컨베이어(110)와 하부 컨베이어(130)는 정역 방향으로 180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부 컨베이어(110)의 구성을 도 9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각 형상의 상부 림(111, rim)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 림(111)의 전후방에 각각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전후방의 측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롤러(115)가 구성되는데, 전후방에 고정된 브래킷(113)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115)에 감겨서 상기 상부 림(111)을 수용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측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벨트(116)가 구성된다. 상기 각 롤러(115)는 회전축이 관통되어 구성되고 각 롤러(115)는 회전축에 고정되므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림(111)에는 모터(1101)가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101)의 작동에 의해서 벨트(116)의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 림(111)의 내측에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상부 플레이트(1179)가 이송하는 상부 이송부(117)가 구성되며, 상기 상부 이송부(117)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 컨베이어(130) 쪽으로 왕복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벨트(11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부(95)를 통해서 공급되는 종이(P)를 받치는 상부 서포터(119)가 구성된다.
상기 상부 이송부(117)는, 도 10에서처럼 상기 상부 림(111)의 내측 전방 단부(1111)와 후방 단부(11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크류축(1171)이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축(1171)에 체결된 너트(1173)이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축(1171)과 측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림(111)의 내측 전방 단부(1111)와 후방 단부(1113)에 고정되는 가이드축(1175)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축(1175)에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가이드(1177)이 구성되고, 상기 너트(1173)와 가이드(1177)의 하면에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79)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림(111)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스크류축(117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1178)가 구성된다.
상기 상부 서포터(119)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79)의 상면에 고정되고 로드(1193)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79)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에어실린더(1191)가 구성되고, 상기 로드(1193)의 단부에 고정되는 수평판(1196)과 상기 수평판(1196)의 전방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에어실린더(1191)의 전방에 배치되는 수직판(1197)으로 구성되는 상부커버(119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판(1196)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1179)를 관통하는 상부 가이드축(1199)가 구성된다.
상기 상부 에어실린더(1191)와 상부커버(1195)는 상기 벨트(116) 사이에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하부 컨베이어(130)의 구성을 도 7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각 형상의 하부 림(131, rim)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 림(131)의 전후방에 각각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전후방의 측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롤러(135)가 구성되는데, 전후방에 고정된 브래킷(133)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135)에 감겨서 상기 하부 림(131)을 수용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측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벨트(136)가 구성된다. 상기 각 롤러(135)는 회전축이 관통되어 구성되고 각 롤러(135)는 회전축에 고정되므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림(131)에는 모터(1301)가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301)의 작동에 의해서 벨트(136)의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부 림(131)의 내측에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하부 플레이트(1379)가 이송하는 하부 이송부(137)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1379)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컨베이어(110) 쪽으로 왕복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벨트(13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부(95)로부터 공급되는 종이(P)를 받치는 하부 서포터(139)가 구성된다.
상기 하부 이송부(137)는, 도 8에서처럼 상기 하부 림(131)의 내측 전방 단부(1311)와 후방 단부(13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크류축(1371)이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축(1371)에 체결된 너트(137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축(1371)과 측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 림(131)의 내측 전방 단부(1311)와 후방 단부(1313)에 고정되는 가이드축(1375)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축(1375)에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가이드(1377)가 구성되고, 상기 너트(1373)와 가이드(1377)의 상면에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379)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림(131)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기 스크류축(137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1378)가 구성된다.
상기 하부 서포터(139)는, 도 8에서처럼 상기 하부 플레이트(1379)의 하면에 고정되고 로드(1393)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1379)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에어실린더(1391)가 구성되고, 상기 로드(1393)의 단부에 고정되는 수평판(1396)과, 상기 수평판(1396)의 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에어실린더(1391)의 후방에 배치되는 수직판(1397)을 포함하는 하부커버(139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판(1396)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1379)를 관통하는 하부 가이드축(1399)이 구성된다.
상기 하부 에어실린더(1391)와 하부커버(1395)는 상기 벨트(136) 사이에 배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처럼 상기 상부 서포터(119)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림(111)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컨베이어(130)를 향하여 왕복동하는 상부 보조서포터(120)가 구성되고, 도 7 및 도 8에서처럼 상기 하부 서포터(139)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림(131)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110)를 향하여 왕복동하고, 상기 상부 보조서포터(120)에 대응되는 하부 보조서포터(140)가 구성된다.
상기 상부 보조서포터(120)는, 상기 상부커버(1195)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림(111)의 내측 전방단부(1111)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상부 지지판(121)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판(121)의 상면에 고정되고 로드(124)가 상기 상부 지지판(121)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보조에어실린더(12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124)의 하단에 고정되는 보조수평판(126)과 상기 보조수평판(126)의 후방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보조에어실린더(123)의 후방에 배치되는 보조수직판(127)을 포함하는 상부 보조커버(125)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수평판(126)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지지판(121)을 관통하는 상부 보조가이드축(129)이 구성된다.
상기 하부 보조서포터(140)는, 상기 하부커버(1395)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림(131)의 내측 전방단부(1311)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하부 지지판(141)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판(141)의 하면에 고정되고 로드(144)가 상기 하부 지지판(141)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보조에어실린더(14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144)의 상단에 고정되는 보조수평판(146)과 상기 보조수평판(146)의 후방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보조에어실린더(143)의 후방에 배치되는 보조수직판(147)이 구성되는 하부 보조커버(14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수평판(146)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지지판(141)을 관통하는 하부 보조 가이드축(149)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95)에 장착되어 상기 종이(P)의 인쇄면을 감지하는 센서(150)가 구성되는데, 일례로서 인쇄면의 색을 감지하는 컬러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150)에 연계되어 상기 샤프트(103)를 회전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센서(150)에 의해서 인쇄면이 감지되면, 상기 반전부(100)에 종이(P)가 급송된 후 상기 반전부(100)를 정역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종이(P)는 인쇄면이 상방을 향하는 것을 정해진 매수대로 쌓은 후에 인쇄면이 하방을 향하는 것을 상기 매수와 동일하게 쌓는다. 이런 식으로 교번되게 반복하여 종이(P)를 쌓아서 상기 엘리베이터(93)에 적재되도록 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상부 서포터(119)와 하부 서포터(139)가 각각 상부 이송부(117)와 하부 이송부(137)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 서포터(119)의 상부커버(1195)는 상부 에어실린더(1191)에 의해서 상승하도록 하고, 하부 서포터(139)의 하부커버(1395)는 하부 에어실린더(1391)에 의해서 하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보조서포터(120)의 상부 보조커버(125)는 상부 보조에어실린더(123)의 작동에 의해서 상승하도록 하고, 하부 보조서포터(140)의 하부 보조커버(145)는 하부 보조에어실린더(143)의 작동에 의해서 하강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 컨베이어(110)와 하부 컨베이어(130)는 전후방으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인쇄면이 하방을 향하는 종이(P)가 상기 푸셔부(96)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센서(150)는 인쇄면을 감지하지 않게 되고, 푸셔부(96)가 종이(P)를 상기 컨베이어(97)와 롤러(98) 사이로 주입하게 되면 상기 하부 컨베이어(13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상기 정해진 매수만큼 이루어진다. 가령, 10장의 종이(P)가 적층되었다면 10장의 종이(P)가 반전부(100) 쪽으로 배출되고 나서 작업을 종료하도록 한다. 이때, 배출되는 종이(P)를 카운트하기 위해서 상부 림(111) 또는 하부 림(131)에 종이(P)를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하므로 제어부가 종이(P)를 카운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제어부는 상기 센서(150)가 인쇄면이 감지되지 않는 것을 인식하고 상기 하부 컨베이어(130)의 모터(1301)를 구동시켜서 다수 매의 종이(P)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타발기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종이(P)의 표면 즉 상면이 인쇄면이 되면, 도 11에서처럼, 상기 센서(150)는 이를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이러한 감지를 제어부가 인식하고, 하부 서포터(139)의 하부커버(1395)가 상승되도록 한다. 그리고, 정해진 매수만큼 종이(P)를 상기 공급부(95)의 작동에 의해서 하부 컨베이어(130)와 상부 컨베이어(110) 사이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하부커버(1395)의 수직판(1397)에 종이(P)가 부딪치면서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03)에 연계된 모터를 작동하여 상기 연결블록(101)이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하부커버(1395)의 수직판(1397)이 종이(P)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이(P)는 인쇄면이 하방을 향하게 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110)가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하부 컨베이어(130)는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서포터(119)와 하부 서포터(139)는 자연히 후방을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는 상부 컨베이어(110)에 장착된 모터(1101)를 구동시켜서 상기 벨트(116)가 회전하도록 하여 종이(P)가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 후 정지한다. 그리고, 상부 서포터(119)의 상부커버(1195)는 상승하도록 한다.
이때, 또다시 인쇄면이 상방을 향하는 종이(P)들이 센서(150)를 통해서 감지되면 제어부는 상부 서포터(119)와 하부 서포터(139)를 각각의 상부 이송부(117)와 하부 이송부(137)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부 서포터(119)의 상부커버(1195)가 상승하도록 하여 수직판(1197)이 공급되는 종이(P)를 전방에서 받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정해진 매수만큼 종이(P)가 채워지면, 상기 상부 보조서포터(120)의 상부 보조커버(125)가 상승하고 하부 보조서포터(140)의 하부 보조커버(145)가 하강하도록 하여 양측의 상부 보조커버(125)와 하부 보조커버(145)가 만나게 되어 후방부가 닫히도록 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샤프트(103)에 연계된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블록(10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상부 보조커버(125)의 수직판(127)과 하부 보조커버(145)의 수직판(147)에 의해서 종이(P)가 받쳐지므로 하방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처럼, 반전부(100)를 시계 방향으로 돌린 후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유는 반전부(100)에 연결된 전선 케이블이나 에어호스가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되면 하부 컨베이어(130)는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상부 컨베이어(110)는 상부에 배치되므로, 종이(P)의 인쇄면은 하방을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커버(1195)는 상승하게 되고, 상부 보조커버(125)는 상승하고 하부 보조커버(145)는 하강하게 되므로 반전부(100)의 전후방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하부 컨베이어(130)의 벨트(136)를 회전시켜서 종이(P)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엘리베이터(93)에 적재된 종이(P) 중 인쇄면이 상방을 향하는 종이(P)가 감지되면, 상기 반전부(100)에 의해서 180도 회전시키므로 인쇄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하여 타발기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된 종이(P)의 인쇄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일일이 수작업으로 정리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90: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91: 프레임
93: 엘리베이터 95: 공급부
96: 푸셔부 97: 컨베이어
98: 롤러 100: 반전부
101: 연결블록 103: 샤프트
105: 전방 프레임 110: 상부 컨베이어
111: 상부 림 113: 브래킷
115: 롤러 116: 벨트
117: 상부 이송부 1171: 스크류축
1173: 너트 1175: 가이드축
1177: 가이드 1179: 상부 플레이트
119: 상부 서포터 1191: 상부 에어실린더
1193: 로드 1195: 상부커버
1196: 수평판 1197: 수직판
1199: 상부 가이드축 120: 상부 보조서포터
121: 상부 지지판 123: 사웁 보조에어실린더
124: 로드 125: 상부 보조커버
126: 수평판 127: 수직판
129: 사웁 보조가이드축 130: 하부 컨베이어
131: 하부 림 133: 브래킷
135: 롤러 136: 벨트
137: 하부 이송부 1371: 스크류축
1373: 너트 1375: 가이드축
1377: 가이드 1379: 하부 플레이트
139: 하부 서포터 1391: 하부 에어실린더
1393: 로드 1395: 하부커버
1396: 수평판 1397: 수직판
1399: 하부 가이드축 140: 하부 보조서포터
141: 하부 지지판 143: 하부 보조에어실린더
145: 하부 보조커버 146: 수평판
147: 수직판 149: 하부 보조가이드축
150: 센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지지 기능을 하는 격자형의 프레임(91)과,
    상기 프레임(91)의 내부에 장착되어 적층된 종이(P)를 상승시키는 엘리베이터(93)와,
    상기 엘리베이터(93)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91)에 장착되어 상기 적층된 종이(P)를 낱장씩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공급부(95)를 포함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91)의 전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부 컨베이어(110)와 하부 컨베이어(130)가 상하방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110)와 하부 컨베이어(130)가 동시에 전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반전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반전부(100)는,
    상기 상부 컨베이어(110)와 하부 컨베이어(130)의 좌우측에 배치되어 상호 연결하는 연결블록(101)과,
    상기 연결블록(101)에 고정된 샤프트(103)와,
    상기 샤프트(103)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91)의 전면에 고정되는 전방 프레임(105)과,
    상기 전방 프레임(105)에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103)를 회동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110)는,
    사각 형상의 상부 림(111, rim)과,
    상기 상부 림(111)의 전후방에 각각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측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롤러(115)와,
    상기 롤러(115)에 감겨서 상기 상부 림(111)을 수용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측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벨트(116)와,
    상기 상부 림(111)의 내측에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상부 플레이트(1179)가 이송하는 상부 이송부(117)와,
    상기 상부 이송부(117)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 컨베이어(130) 쪽으로 왕복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벨트(11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종이(P)를 받치는 상부 서포터(119)와,
    상기 상부 림(111)에 지지되어 상기 롤러(11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1101)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컨베이어(130)는,
    사각 형상의 하부 림(131, rim)과,
    상기 하부 림(131)의 전후방에 각각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측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롤러(135)와,
    상기 롤러(135)에 감겨서 상기 하부 림(131)을 수용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측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벨트(136)와,
    상기 하부 림(131)의 내측에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하부 플레이트(1379)가 이송하는 하부 이송부(137)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1379)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컨베이어(110) 쪽으로 왕복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벨트(13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종이(P)를 받치는 하부 서포터(139)와,
    상기 하부 림(131)에 지지되어 상기 롤러(13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1301)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101)은 상기 상부 림(111)과 하부 림(131)의 좌우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서포터(119)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림(111)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컨베이어(130)를 향하여 왕복동하는 상부 보조서포터(120)와,
    상기 하부 서포터(139)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림(131)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컨베이어(110)를 향하여 왕복동하고, 상기 상부 보조서포터(120)에 대응되는 하부 보조서포터(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송부(117)는,
    상기 상부 림(111)의 내측 전방 단부(1111)와 후방 단부(11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크류축(1171)과,
    상기 스크류축(1171)에 체결된 너트(1173)와,
    상기 스크류축(1171)과 측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림(111)의 내측 전방 단부(1111)와 후방 단부(1113)에 고정되는 가이드축(1175)과,
    상기 가이드축(1175)에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가이드(1177)와,
    상기 너트(1173)와 가이드(1177)의 하면에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79)와,
    상기 상부 림(111)에 지지되어 상기 스크류축(117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1178)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이송부(137)는,
    상기 하부 림(131)의 내측 전방 단부(1311)와 후방 단부(13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크류축(1371)과,
    상기 스크류축(1371)에 체결된 너트(1373)와,
    상기 스크류축(1371)과 측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 림(131)의 내측 전방 단부(1311)와 후방 단부(1313)에 고정되는 가이드축(1375)과,
    상기 가이드축(1375)에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가이드(1377)와,
    상기 너트(1373)와 가이드(1377)의 상면에 고정되어 전후방으로 이송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379)와,
    상기 하부 림(131)에 지지되어 상기 스크류축(137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13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서포터(119)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79)의 상면에 고정되고 로드(1193)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79)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에어실린더(1191)와,
    상기 로드(1193)의 단부에 고정되는 수평판(1196)과 상기 수평판(1196)의 전방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에어실린더(1191)의 전방에 배치되는 수직판(1197)으로 구성되는 상부커버(1195)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판(1196)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1179)를 관통하는 상부 가이드축(1199)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서포터(139)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379)의 하면에 고정되고 로드(1393)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1379)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에어실린더(1391)와,
    상기 로드(1393)의 단부에 고정되는 수평판(1396)과,
    상기 수평판(1396)의 후방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에어실린더(1391)의 후방에 배치되는 수직판(1397)으로 구성되는 하부커버(1395)와,
    상기 수평판(1396)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1379)를 관통하는 하부 가이드축(139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조서포터(120)는,
    상기 상부커버(1195)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림(111)의 내측 전방단부(1111)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상부 지지판(121)과,
    상기 상부 지지판(121)의 상면에 고정되고 로드(124)가 상기 상부 지지판(121)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보조에어실린더(123)와,
    상기 로드(124)의 하단에 고정되는 보조수평판(126)과 상기 보조수평판(126)의 후방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보조에어실린더(123)의 후방에 배치되는 보조수직판(127)이 구성되는 상부 보조커버(125)와,
    상기 보조수평판(126)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지지판(121)을 관통하는 상부 보조가이드축(129)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보조서포터(140)는,
    상기 하부커버(1395)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 림(131)의 내측 전방단부(1311)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하부 지지판(141)과,
    상기 하부 지지판(141)의 하면에 고정되고 로드(144)가 상기 하부 지지판(141)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보조에어실린더(143)와,
    상기 로드(144)의 상단에 고정되는 보조수평판(146)과 상기 보조수평판(146)의 후방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보조에어실린더(143)의 후방에 배치되는 보조수직판(147)이 구성되는 하부 보조커버(145)와,
    상기 보조수평판(146)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지지판(141)을 관통하는 하부 보조 가이드축(1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95)에 장착되어 상기 종이(P)의 인쇄면을 감지하는 센서(150)와,
    상기 센서(150)에 연계되어 상기 샤프트(103)를 회전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센서(150)에 의해서 인쇄면이 감지되면, 상기 반전부(100)에 종이(P)가 급송된 후 상기 반전부(100)를 정역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KR1020160012678A 2016-02-02 2016-02-02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KR101789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678A KR101789645B1 (ko) 2016-02-02 2016-02-02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678A KR101789645B1 (ko) 2016-02-02 2016-02-02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870A KR20170091870A (ko) 2017-08-10
KR101789645B1 true KR101789645B1 (ko) 2017-10-25

Family

ID=5965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678A KR101789645B1 (ko) 2016-02-02 2016-02-02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632B1 (ko) * 2021-02-09 2021-07-07 주식회사 삼성칼라팩 박스 반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870A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26038B (zh) 图文送纸切割机的控制方法
CN110843334A (zh) 一种移印生产线
CN213386882U (zh) 水墨印刷机的自动送纸装置
KR100862795B1 (ko) 판재의 연속공급장치
CN209922570U (zh) 印刷机自动收纸器
KR101789645B1 (ko) 반전이 가능한 급지장치
CN208118668U (zh) 一种纸箱印刷机
CN111252586A (zh) 一种单张吸附的纸张传送装置
CN110626849A (zh) 接纸机构
CN215206785U (zh) 一种打孔机用运输装置
CN213291702U (zh) 彩印印刷机
CN210682573U (zh) 自动送纸机
CN218892340U (zh) 双色单张全自动网版印刷机及其专用单张送料机构
CN109178952B (zh) 聚氨酯夹芯板自动码垛设备
JP2577922Y2 (ja) スタッカ装置
CN114314079B (zh) 一种自动分选上料输纸方法
KR100504999B1 (ko) 골판지 자동 공급 방법 및 그 장치
JP4515662B2 (ja) 給紙方法
KR20050094020A (ko) 골판지 자동 공급 방법 및 그 장치
CN211894972U (zh) 自动旋转输送台
KR102067134B1 (ko) 포장용지의 사전 급지장치
JPH07300226A (ja) 搬送物の搬送方向変換装置
CN208439522U (zh) 复印纸自动封装线的复印纸包对中装置
CN220596431U (zh) 一种喷码加工生产线
CN221049366U (zh) 一种裱纸机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