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312B1 -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312B1
KR101697312B1 KR1020150064867A KR20150064867A KR101697312B1 KR 101697312 B1 KR101697312 B1 KR 101697312B1 KR 1020150064867 A KR1020150064867 A KR 1020150064867A KR 20150064867 A KR20150064867 A KR 20150064867A KR 101697312 B1 KR101697312 B1 KR 101697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upper plate
conveying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795A (ko
Inventor
이동석
Original Assignee
이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석 filed Critical 이동석
Priority to KR1020150064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312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18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elongated, e.g. sticks, rods,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사이즈로 재단된 목재의 양단을 일정한 길이로 잘라낸 후, 적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46)가 회동되는 종래의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와 달리, 상기 회동부재(46)가 실린더기구(48)에 의해 능동적으로 회동됨으로, 작동신뢰성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상기 실린더기구(48)를 축소시키면 상기 회동부재(46)가 이송대(10)의 상면 하측으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상기 회동부재(46)가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1)에 눌려 하측으로 회동된 후 목재(1)가 지나가면 탄성부재(47)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uniform sizing stacker machine system}
본 발명은 일정한 사이즈로 재단된 목재의 양단을 일정한 길이로 잘라낸 후, 적재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목을 제재하여 일정한 크기의 각재를 생산할 때는 원목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 껍질을 제거하고, 톱을 이용하여 사각의 바형태로 제재한 후, 이와 같이 제재된 여러개의 목재를 하나로 묶은 후 양단을 절단하는 양끝절단작업을 하여 한다.
한편, 최근에는 공급된 목재를 패킹하고, 패킹된 목재의 양단을 절단한 후,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된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 내지 도 4는 이러한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컨베이어장치(11)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공급한 목재(1)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대(10)와, 상기 이송대(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1)의 양단에 벤드를 감아 고정하는 벤딩작업을 하는 벤딩수단(12)과, 상기 벤딩수단(1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송대(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벤딩수단(12)에 의해 벤딩된 목재(1)의 양단을 일정한 길이로 잘라내는 절단수단(13)과,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절단수단(13)을 통과하면서 절단된 목재(1)가 상면에 적재되는 적재수단(2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수단(31)에 의해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으로 출몰되는 지지바(30)와,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대(10)를 따라 이송된 목재(1)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보조이송수단(40)과, 상기 적재수단(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적재수단(20)에 의해 적재된 목재(1)를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수단(50)으로 구성된다.
이때, 작업자는 6~9개 정도의 목재(1)를 블록형태로 쌓아서 상기 이송대(10)의 선단부 상면에 올려놓으며, 이와 같이 올려진 목재(1)는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상기 벤딩수단(12)과 절단수단(13)을 통과한 후, 상기 지지바(30)의 상면으로 배출된다.
상기 벤딩수단(12)과 절단수단(13)의 구조는 일반적인 것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적재수단(20)은 바닥면에 고정된 받침대(21)와, 상기 받침대(21)의 상측에 위치된 상판(22)과, 상기 받침대(21)와 상판(2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판(22)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은 양단이 상기 받침대(21)와 상판(22)에 연결되며 중간부가 상호 교차되도록 힌지결합된 한 쌍의 링크부재(23a)와, 양단이 상기 링크부재(23a)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23a)가 회동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23b)로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승강구동수단(23)은 리프트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바(30)는 후방으로 슬라이드되었을 때 상기 적재수단(20)의 상판(22)에서 조금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이송대(10)에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대(10)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목재(1)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보조이송수단(40)은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41)와, 상기 지지대(41)에 연결되어 지지대(41)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실린더기구(42)와, 상기 지지대(4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부재(43)와, 상기 회동부재(43)에 연결된 탄성부재(4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43)는 도 1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이송대(10)의 상측으로 출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대(10)의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목재(1)가 후방으로 이송될 때는, 상기 회동부재(43)의 후단부가 목재(1)에 가압되어 상기 이송대(10)의 하측으로 하강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목재(1)가 회동부재(43)에 걸리지 않고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목재(1)가 회동부재(43)의 상부를 통과하면, 상기 탄성부재(44)에 의해 회동부재(43)는 원래의 위치로 회동되며, 상기 실린더기구(42)를 이용하여 지지대(41)를 후방으로 밀어내면, 상기 회동부재(43)에 의해 목재(1)가 후방, 즉, 상기 지지바(30)쪽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를 이용하여 목재(1)를 적재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구동수단(31)에 의해 상기 지지바(30)가 상기 적재수단(20)의 상판(22)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후방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이송대(10)에 목재(1)를 공급하면, 목재(1)는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벤딩수단(12)과 절단수단(13)을 통과하면서 벤딩된 후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공된 목재(1)는 상기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상기 보조이송수단(40)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바(30)의 상면으로 배출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개수의 목재(1)가 상기 지지바(30)의 상면으로 배출되면, 상기 보조이송수단(40)의 실린더기구(42)가 신장되어, 목재(1)가 상기 지지바(30)쪽으로 밀려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목재(1)의 전단부가 보조이송수단(40)의 회동부재(43)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31)을 구동시켜 상기 지지바(3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면, 상기 지지바(30)에 올려진 목재(1)가 상기 적재수단(20)의 상판(22)의 상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수단(20)의 상판(22)의 상면에 목재(1)가 낙하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적재수단(20)의 승강구동수단(23)을 구동시켜 적재수단(20)의 상판(22)과,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의 높이를 적절히 낮춘 후, 상기 지지바(30)를 다시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상기 보조이송수단(40)의 지지대(41)와 회동부재(43)를 다시 전방으로 슬라이드킴으로써, 다음 번 목재(1)를 적재할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적재수단(20)에 적절한 높이로 다단의 목재(1)가 적재되면, 상기 적재수단(20)의 상판(22)을 상승시키고, 상판(22)에 적재된 목재(1)를 후방의 배출수단(50)으로 밀어내어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의 자세한 구조 및 작용은 등록특허 10-0854404호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는 상기 보조이송수단(40)의 회동부재(43)가 탄성부재(4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목재(1)의 이동시 하측으로 하강되고, 목재(1)가 통과하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동신뢰성이 낮고, 상기 목재(1)를 후방으로 밀어낼 때, 상기 회동부재(43)가 이송대(10)의 상면으로 정확히 돌출되지 못하여, 목재(1)를 정확히 후방으로 밀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조이송수단(40)이 목재(1)를 정확히 후방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컨베이어장치(11)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공급한 목재(1)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대(10)와, 상기 이송대(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1)의 양단에 벤드를 감아 고정하는 벤딩작업을 하는 벤딩수단(12)과, 상기 벤딩수단(1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송대(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벤딩수단(12)에 의해 벤딩된 목재(1)의 양단을 일정한 길이로 잘라내는 절단수단(13)과,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절단수단(13)을 통과하면서 절단된 목재(1)가 상면에 적재되는 적재수단(2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수단(31)에 의해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으로 출몰되는 지지바(30)와,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대(10)를 따라 이송된 목재(1)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보조이송수단(40)과, 상기 적재수단(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적재수단(20)에 의해 적재된 목재(1)를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수단(50)을 포함하는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송수단(40)은 상기 이송대(1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45)와, 상기 지지대(4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에 따라 상기 이송대(10)의 상면으로 출몰되는 회동부재(46)와, 상기 회동부재(46)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46)가 이송대(1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7)와, 상기 회동부재(46)에 연결된 실린더기구(48)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재(46)는 중간부가 상기 지지대(4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기구(48)는 상기 회동부재(46)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45)에는 상기 회동부재(46)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45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재수단(20)은 바닥면에 고정된 받침대(21)와, 상기 받침대(21)의 상측에 위치된 상판(22)과, 상기 받침대(21)와 상판(2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판(22)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23)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대(10)의 후단부와 상기 배출수단(50)의 전면에 상호 대응하도록 구비된 발광부(61)와 수광부(62)를 포함하는 감지수단(61,62)과, 상기 감지수단(61,6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3)을 더 포함하며, 작업자가 상기 제어유닛(63)에 구비된 제어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63)은 상기 감지수단(61,62)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상판(22) 또는 상기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가 상기 감지수단(61,62)의 위치까지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수단(50)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후방고정바(71)와, 상기 이송대(10)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수단(20)의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를 후방으로 밀어 정렬하는 정렬수단(7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22)은 상기 승강구동수단(23)에 연결된 지지판(22a)과, 상기 지지판(22a)의 상측에 위치된 진동판(22b)과, 상기 지지판(22a)과 진동판(22b)의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판(22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2c)와, 상기 진동판(22b)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판(22b)을 진동시키는 진동발생수단(22d)을 포함하여, 상기 정렬수단(72)을 이용하여 상판(22)의 상면에 올려진 목재(1)를 정렬할 때, 상기 진동발생수단(22d)을 이용하여 진동판(22b)과 목재(1)를 진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는 상기 보조이송수단(40)이 상기 이송대(1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45)와, 상기 지지대(4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에 따라 상기 이송대(10)의 상면으로 출몰되는 회동부재(46)와, 상기 회동부재(46)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46)가 이송대(1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7)와, 상기 회동부재(46)에 연결된 실린더기구(48)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부재(46)는 중간부가 상기 지지대(4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기구(48)는 상기 회동부재(46)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45)에는 상기 회동부재(46)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45a)가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기구(48)를 신축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46)가 회동되면서 상기 지지대(45)와 함께 전후진된다.
따라서, 스프링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46)가 회동되는 종래의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와 달리, 상기 회동부재(46)가 실린더기구(48)에 의해 능동적으로 회동됨으로, 작동신뢰성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상기 실린더기구(48)를 축소시키면 상기 회동부재(46)가 이송대(10)의 상면 하측으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상기 회동부재(46)가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1)에 눌려 하측으로 회동된 후 목재(1)가 지나가면 탄성부재(47)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종래의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의 보조이송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컨베이어장치(11)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공급한 목재(1)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대(10)와, 상기 이송대(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1)의 양단에 벤드를 감아 고정하는 벤딩작업을 하는 벤딩수단(12)과, 상기 벤딩수단(1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송대(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벤딩수단(12)에 의해 벤딩된 목재(1)의 양단을 일정한 길이로 잘라내는 절단수단(13)과,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절단수단(13)을 통과하면서 절단된 목재(1)가 상면에 적재되는 적재수단(2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수단(31)에 의해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으로 출몰되는 지지바(30)와,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대(10)를 따라 이송된 목재(1)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보조이송수단(40)과, 상기 적재수단(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적재수단(20)에 의해 적재된 목재(1)를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수단(5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적재수단(20)은 바닥면에 고정된 받침대(21)와, 상기 받침대(21)의 상측에 위치된 상판(22)과, 상기 받침대(21)와 상판(2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판(22)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은 양단이 상기 받침대(21)와 상판(22)에 연결되며 중간부가 상호 교차되도록 힌지결합된 한 쌍의 링크부재(23a)와, 양단이 상기 링크부재(23a)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23a)가 회동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23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대(10)의 상부로 목재(1)를 공급하면 목재(1)는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벤딩수단(12)과 절단수단(13)을 통과하면서 벤딩 및 절단된 후, 상기 지지바(30)의 상면으로 공급되며, 상기 지지바(3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목재(1)는 상기 보조이송수단(40)에 의해 상기 적재수단(20)의 상판(22)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수단(20)의 상판(22)에 목재(1)가 공급되면, 작업자는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구동시켜 상판(22)에 적재된 목재(1)의 높이만큼 상기 상판(22)과 목재(1)가 하강되도록 한 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상판(22)에 여러층으로 목재(1)가 정렬되도록 한다.
이러한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의 구조 및 작용은 종래와 동일함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조이송수단(40)은 도 6과,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대(1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45)와, 상기 지지대(4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에 따라 상기 이송대(10)의 상면으로 출몰되는 회동부재(46)와, 상기 회동부재(46)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46)가 이송대(1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7)와, 상기 회동부재(46)에 연결된 실린더기구(4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46)는 힌지핀(46a)에 의해 중간부가 상기 지지대(4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기구(48)는 상기 회동부재(46)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45)에는 상기 회동부재(46)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45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46)는 하단부가 전방으로 당겨지면 상면이 상기 이송대(10)의 상면 하측으로 하강되고, 하단부가 후방으로 밀리면 상면이 상기 이송대(1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48)를 완전히 축소시키면, 상기 지지대(45)와 회동부재(46)가 상기 가이드레일(14)의 전단부까지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46)의 상면이 이송대(10)의 상면 하측으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48)를 조금 신장시키면, 상기 지지대(45)는 움직이지 않고, 상기 회동부재(46)의 하단이 후방쪽으로 회동되어 회동부재(46)의 상면이 상기 이송대(1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48)를 최대로 신장시키면, 상기 지지대(45)와 회동부재(46)가 후방으로 밀려가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대(10)와 배출수단(50)에는 감지수단(61,62)이 구비되고, 상기 감지수단(61,62)에는 상기 적재수단(20)의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3)이 연결된다.
상기 감지수단(61,62)은 상기 이송대(10)의 후단부와 상기 배출수단(50)의 전면에 상호 대응하도록 구비된 발광부(61)와 수광부(62)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적재수단(20)의 상판(22)이 승강될 때 상판(22) 또는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의 상단위치를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즉,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22)이나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가 상기 발광부(61)와 수광부(62)의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발광부(61)에서 출력된 빛이 상판(22)이나 목재(1)에 의해 가려져 수광부(62)로 수신되지 못하게 되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23)에 의해 상판(22)이 하강되어 상판(22)이나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의 상단이 상기 발광부(61)와 수광부(62)의 하측에 위치되면, 상기 발광부(61)에서 출력된 빛이 수광부(62)로 수신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30)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조금 이격되는 위치, 즉, 상기 지지바(30)의 하측면과 간섭되지 않는 가장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22)의 상면에 목재(1)를 공급한 후,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이용하여 상판(22)과 목재(1)를 하강시킬 때, 상기 발광부(61)에서 출력된 빛이 수광부(62)에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감시하여, 상기 상판(22)이나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의 상단이 상기 감지수단(61,62)의 위치, 즉, 상기 지지바(30)의 하측면의 위치에 비해 하측으로 하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3)은 제어스위치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어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이 상판(22)을 승강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63)은 작업자가 상기 제어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상판(22)을 하강시키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하여 상판(22)과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가 하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감지수단(61,62)의 신호를 감시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22)이나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의 상면이 상기 감지수단(61,62)의 높이로 하강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상판(22)과 목재(1)가 상기 감지수단(61,62)의 높이까지, 즉, 상기 지지바(30)와 간섭되지 않는 가장 높은 위치까지 하강되도록 자동으로 조절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수단(50)의 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후방고정바(71)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10)의 후측에는 상기 적재수단(20)의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를 후방으로 밀어 정렬하는 정렬수단(72)이 구비된다.
상기 후방고정바(71)는 상기 배출수단(50)의 전면 양측에 상기 상판(22)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상기 정렬수단(72)은 이송대(10)의 후방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수직바(72a)와, 상기 이송대(10)의 후방 양측에 상기 수직바(72a)와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직바(72a)를 전후진시키는 실린더기구(72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바(72a)와 실린더기구(72b)는 상기 이송대(10)의 후방 양측에 상기 상판(22)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22)은 상기 승강구동수단(23)에 연결된 지지판(22a)과, 상기 지지판(22a)의 상측에 위치된 진동판(22b)과, 상기 지지판(22a)과 진동판(22b)의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판(22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2c)와, 상기 진동판(22b)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판(22b)을 진동시키는 진동발생수단(22d)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2c)는 탄성이 강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복수개가 상기 지지판(22a)과 진동판(22b)의 사이에 일정하게 분산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진동발생수단(22d)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편심지게 연결된 무게추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면 상기 무게추가 회전되면서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진동판(22b)의 상면에 목재(1)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발생수단(22d)을 구동시키면, 상기 진동판(22b)과 함께 목재(1)가 상하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23)에 의해 상판(22)이 하강되고, 상기 목재(1)가 상기 상판(22)의 상면, 즉, 상기 진동판(22b)의 상면에 여러층으로 적재된 상태에서,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발생수단(22d)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정렬수단(72)의 실린더기구(72b)를 작동시켜 상기 수직바(72a)를 후방으로 밀어내면, 수직바(72a)가 상기 진동판(22b)의 상면에 올려진 목재(1)를 상기 후방고정바(71)에 밀착시켜 목재(1)가 정확히 수직으로 쌓이도록 정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는 상기 보조이송수단(40)이 상기 이송대(1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45)와, 상기 지지대(4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에 따라 상기 이송대(10)의 상면으로 출몰되는 회동부재(46)와, 상기 회동부재(46)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46)가 이송대(1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7)와, 상기 회동부재(46)에 연결된 실린더기구(48)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부재(46)는 중간부가 상기 지지대(4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기구(48)는 상기 회동부재(46)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45)에는 상기 회동부재(46)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45a)가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기구(48)를 신축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46)가 회동되면서 상기 지지대(45)와 함께 전후진된다.
따라서, 스프링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46)가 회동되는 종래의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와 달리, 상기 회동부재(46)가 실린더기구(48)에 의해 능동적으로 회동됨으로, 작동신뢰성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상기 실린더기구(48)를 축소시키면 상기 회동부재(46)가 이송대(10)의 상면 하측으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상기 회동부재(46)가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1)에 눌려 하측으로 회동된 후 목재(1)가 지나가면 탄성부재(47)에 의해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대(10)의 후단부와 상기 배출수단(50)의 전면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구비된 발광부(61)와 수광부(62)로 구성된 감지수단(61,62)이 구비되고, 상기 감지수단(61,62)에는 감지수단(61,6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3)이 연결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어유닛(63)에 구비된 제어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63)은 상기 감지수단(61,62)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상판(22) 또는 상기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가 상기 감지수단(61,62)의 위치까지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상판(22)의 상면에 목재(1)가 적재된 상태에서 상판(22)을 하강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상판(22)에 목재(1)가 적재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판(22)을 하강시켜 상기 목재(1)의 상면이 상기 지지바(3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때, 하강된 목재(1)의 상면 높이가 상기 지지바(30)의 하측면으로부터 지나치게 많이 이격될 경우, 다음 번에 상기 지지바(30)에 올려진 목재(1)를 하측으로 낙하시켜 적재할 때 목재(1)가 정확히 적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22)을 하강시킬 때는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의 상면이 상기 지지바(30)의 하측면에 근접되도록 상판(22)의 높이를 조절하여야 하는데, 작업자가 상기 제어스위치를 제어하여 상판(22)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감지수단(61,62)과 제어유닛(63)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의 높이가 상기 지지바(30)의 하측면에 근접되도록 상판(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상판(22)이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상판(22)에 적재되는 목재(1)의 사이즈는 상황에 따라 변동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목재(1)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항상 목재(1)의 상면이 지지바(30)의 하측면에 근접되도록 상판(22)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50)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후방고정바(71)와, 상기 이송대(10)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수단(20)의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를 후방으로 밀어 정렬하는 정렬수단(7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판(22)은 상기 승강구동수단(23)에 연결된 지지판(22a)과, 상기 지지판(22a)의 상측에 위치된 진동판(22b)과, 상기 지지판(22a)과 진동판(22b)의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판(22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2c)와, 상기 진동판(22b)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판(22b)을 진동시키는 진동발생수단(22d)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22)이 하강되어 상판(22)의 상면에 적절한 높이의 목재(1)가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수단으로 진동판(22b)과 목재(1)를 진동시키면서 상기 정열수단을 이용하여 목재(1)가 상기 후방고정바(71)에 밀착되도록 후방으로 밀어서 다수개의 목재(1)를 정확히 정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는 상기 지지바(30)에 목재(1)가 올려진 상태에서, 지지바(3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지지바(30)에 올려진 목재(1)가 하측으로 낙하하면서 적재되도록 하는데, 이때, 목재(1)가 상기 상판(22)에 정확히 정렬되지 않을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판(22)에 목재(1)를 공급하여 일차 정렬되도록 한 후, 상기 후방고정바(71)와 정렬수단(72)을 이용하여 목재(1)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재차 정렬함으로써, 목재(1)가 정확히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판(22)의 진동발생수단(22d)을 이용하여 목재(1)를 지지하는 진동판(22b)을 진동시키면, 진동판(22b)의 상면에 적재된 목재(1) 전체가 미세하게 진동되어, 상기 정렬수단(72)을 이용하여 목재(1)를 후방으로 밀어낼 때 목재(1)가 원활히 밀려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목재(1)는 표면이 거칠 뿐 아니라, 적재된 목재(1)의 모서리부분이 서로 걸려서, 상기 정렬수단(72)을 이용하여 단순히 후방으로 밀기만 할 경우, 목재(1)가 잘 후방으로 밀리지 않거나, 목재(1)의 모서리부분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진동발생수단(22d)을 이용하여 목재(1)를 진동시키면서 후방으로 밀게 됨으로, 목재(1)를 원활히 후방으로 밀어 정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이송대 20. 적재수단
30. 지지바 40. 보조이송수단
50. 배출수단 61,62. 감지수단
71. 후방고정바 72. 정렬수단

Claims (3)

  1.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컨베이어장치(11)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공급한 목재(1)를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대(10)와,
    상기 이송대(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11)에 의해 이송되는 목재(1)의 양단에 벤드를 감아 고정하는 벤딩작업을 하는 벤딩수단(12)과,
    상기 벤딩수단(1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송대(1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벤딩수단(12)에 의해 벤딩된 목재(1)의 양단을 일정한 길이로 잘라내는 절단수단(13)과,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절단수단(13)을 통과하면서 절단된 목재(1)가 상면에 적재되는 적재수단(2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수단(31)에 의해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으로 출몰되는 지지바(30)와,
    상기 이송대(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대(10)를 따라 이송된 목재(1)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보조이송수단(40)과,
    상기 적재수단(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적재수단(20)에 의해 적재된 목재(1)를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이송수단(40)은
    상기 이송대(10)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14)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45)와,
    상기 지지대(4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에 따라 상기 이송대(10)의 상면으로 출몰되는 회동부재(46)와,
    상기 회동부재(46)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46)가 이송대(1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7)와,
    상기 회동부재(46)에 연결된 실린더기구(48)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재(46)는 중간부가 상기 지지대(4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기구(48)는 상기 회동부재(46)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대(45)에는 상기 회동부재(46)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45a)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수단(20)은
    바닥면에 고정된 받침대(21)와,
    상기 받침대(21)의 상측에 위치된 상판(22)과,
    상기 받침대(21)와 상판(2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판(22)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23)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대(10)의 후단부와 상기 배출수단(50)의 전면에 상호 대응하도록 구비된 발광부(61)와 수광부(62)를 포함하는 감지수단(61,62)과,
    상기 감지수단(61,6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3)을 더 포함하며,
    작업자가 상기 제어유닛(63)에 구비된 제어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63)은 상기 감지수단(61,62)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상판(22) 또는 상기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가 상기 감지수단(61,62)의 위치까지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구동수단(23)을 제어하는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50)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후방고정바(71)와,
    상기 이송대(10)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수단(20)의 상판(22)에 올려진 목재(1)를 후방으로 밀어 정렬하는 정렬수단(7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판(22)은
    상기 받침대(21)와 상판(2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판(22)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23)에 연결된 지지판(22a)과,
    상기 지지판(22a)의 상측에 위치된 진동판(22b)과, 상기 지지판(22a)과 진동판(22b)의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판(22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2c)와,
    상기 진동판(22b)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판(22b)을 진동시키는 진동발생수단(22d)을 포함하여,
    상기 정렬수단(72)을 이용하여 상판(22)의 상면에 올려진 목재(1)를 정렬할 때, 상기 진동발생수단(22d)을 이용하여 진동판(22b)과 목재(1)를 진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064867A 2015-05-08 2015-05-08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 KR101697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867A KR101697312B1 (ko) 2015-05-08 2015-05-08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867A KR101697312B1 (ko) 2015-05-08 2015-05-08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795A KR20160131795A (ko) 2016-11-16
KR101697312B1 true KR101697312B1 (ko) 2017-01-17

Family

ID=5754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867A KR101697312B1 (ko) 2015-05-08 2015-05-08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176B1 (ko) * 2018-12-10 2019-09-20 (주)기승산업기계 빌렛 절단장치
CN112060231A (zh) * 2020-09-27 2020-12-11 江西团团圆家具有限公司 一种家具加工用切板机自动出料装置
CN114833920B (zh) * 2022-06-14 2023-11-21 北京京能东方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全自动混凝土砖块的压制成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04B1 (ko) * 2008-01-11 2008-08-26 군장대학산학협력단 양끝절단포장적재시스템의 정렬장치 및 그 부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44A (ja) * 1992-06-15 1994-01-11 Fuhou Seisakusho:Kk 木材等の自動積込方法及びその装置
JP3111327B2 (ja) * 1992-09-17 2000-11-20 三菱樹脂株式会社 パイプの整列集積装置
JPH09255153A (ja) * 1996-03-22 1997-09-30 Ueno Tex Kk 積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04B1 (ko) * 2008-01-11 2008-08-26 군장대학산학협력단 양끝절단포장적재시스템의 정렬장치 및 그 부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795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329B1 (ko) 양끝절단 포장 적재시스템의 정렬장치 및 그 부대장치
KR101697312B1 (ko)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
US7484343B2 (en) Application of loading ledges
JPH0471828B2 (ko)
US2917991A (en) Packaging apparatus
US2981420A (en) Piling machine for sheet-like materials
JP4762116B2 (ja) シート供給装置
KR101438741B1 (ko) 낱장 공급장치
CN111498184A (zh) 一种码垛机
US4516900A (en) De-palletizer
KR101634115B1 (ko)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KR200484482Y1 (ko) 박스 적재장치
JP5866748B2 (ja) コンテナの段ばらし装置
US9533834B1 (en) Pusher system for a strapping machine
KR100739015B1 (ko) 컨베이어 이송물의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출방법
JPS5849459B2 (ja) ロ−デイング装置
JP4290201B2 (ja) 給紙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1003522B (zh) 一种用于超薄板的板垛堆垛系统及堆垛方法
CN220683897U (zh) 一种叠板机的输料装置
CN219193518U (zh) 一种物流货物自动拆垛传送系统
JPH0567545B2 (ko)
JP6615560B2 (ja) 均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計量装置
JPH09315658A (ja) 板紙類の移送装置
JP2005153990A (ja) 長尺根菜類の箱詰め装置
JPH0750340Y2 (ja) 板材積重ね用コンベ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