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115B1 -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115B1
KR101634115B1 KR1020140087662A KR20140087662A KR101634115B1 KR 101634115 B1 KR101634115 B1 KR 101634115B1 KR 1020140087662 A KR1020140087662 A KR 1020140087662A KR 20140087662 A KR20140087662 A KR 20140087662A KR 101634115 B1 KR101634115 B1 KR 101634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upport
box plate
plat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257A (ko
Inventor
이준제
장윤석
김남욱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115B1/ko
Priority to PCT/KR2015/006936 priority patent/WO2016006891A1/ko
Publication of KR2016000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20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10Reciprocating or oscillating grippers, e.g. suction or gripper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함기로 판상의 박스 판재를 공급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스공급장치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이동 가능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판재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박스 판재를 상기 제함기 쪽으로 밀어주는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기 다른 사이즈의 박스 판재를 제함기로 자동 공급함으로써 제함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Box supplying device for Box making machine}
본 발명은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사이즈의 박스 판재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함기는 각종 상품을 포장하는 포장 박스를 만들기 위해 판상의 박스 판재를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주는 기계를 말한다.
포장박스는 골판지나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의 박스 판재를 용도에 맞는 전개도 형태로 절단한 후 육면체 형태로 접어서 만들어진다. 이러한 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하면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공개 제2002-006983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제함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제함기는 박스 판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 또는 이송장치의 규격이 정해져 있어 한가지 사이즈의 박스만 만들 수 있으므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박스 판재를 이동시켜 적재해야 했으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작업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2-0069835호(공개일: 2002. 09. 0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기 다른 사이즈의 박스 판재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는, 제함기로 판상의 박스 판재를 공급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스공급장치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이동 가능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판재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박스 판재를 상기 제함기 쪽으로 밀어주는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 판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레일과, 상기 지지 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박스 판재를 이송하는 이송 카트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은 상기 박스 판재가 접촉되는 면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스 판재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 레일의 사이 폭을 가변시키는 폭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조절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지지 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 레일간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바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 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 레일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 브래킷과, 상기 작동 브래킷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는 상기 박스 판재를 상기 제함기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셔와, 상기 박스 판재를 상승시키는 상승기와, 상기 박스 판재를 한 장씩 토출하는 박스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상기 지지 레일 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박스 판재를 밀어주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을 구동시키는 가압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스공급장치는 상기 박스토출부로부터 토출된 상기 박스 판재를 상기 제함기로 이송하는 이송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스공급장치는 상기 제함기를 기준으로 상기 제함기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공급장치는 상기 제함기를 기준으로 상기 제함기의 일측에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는 각기 다른 사이즈의 박스 판재를 제함기로 자동 공급함으로써 제함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작동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배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작동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배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공급장치(100)는 메인 프레임(110)과,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박스 판재(30)가 적재되는 적재부(130)와, 박스 판재(30)를 밀어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부(150)와, 박스 판재(30)의 크기에 맞게 박스 판재(30)를 잡아주는 폭조절부(170)로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110)은 적재부(130), 공급부(150), 폭조절부(170)를 지지하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복수의 바퀴(112)가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110)은 박스공급장치(100)가 복수 개 설치될 때 이웃한 메인 프레임(110)과 밀착 배치되며, 설치 상태에서 바퀴(112)가 회전해 움직이지 않도록 이웃한 메인 프레임(110)과 결합되는 결합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적재부(130)는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박스 판재(30)의 양쪽 하부의 가장자리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 레일(132)과, 지지 레일(132)과 동일한 높이의 상면을 가지며 박스 판재(30)를 이송하는 이송 카트(10)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34)과, 후술할 푸셔(152)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136)으로 구성된다.
지지 레일(132)은 박스 판재(30)의 하단부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되, 화살표 방향으로 박스 판재(30)가 이송될 수 있도록 화살표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지지 레일(132)은 박스 판재(30)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박스 판재(30)의 양측 하단부가 접촉되는 접촉면이 가이드 레일(134)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 레일(132)은 설치 시 한 쌍의 레일 사이의 간격이 박스 판재(30)의 사이즈에 맞게 설정되어 배치된다. 각각의 박스공급장치(100)마다 지지 레일(132)의 간격은 달라지며, 이러한 지지 레일(132)의 간격은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지지 레일(132) 간의 간격은 후술할 폭조절부(170)에 의해 조절된다.
가이드 레일(134)은 작업자가 이송 카트(10)에 박스 판재(30)를 적재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 이송 카트(10)가 정확한 위치로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로, 이송 카트(1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또는 박스 판재(30)가 적재된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의 폭에 맞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134) 사이로 이송 카트(10)가 인입되면, 가이드 레일(134)의 단부가 박스 판재(30)의 하측으로 삽입되며, 이송 카트(10)를 지지 레일(132) 쪽으로 밀면 박스 판재(30)가 이송 카트(10)로부터 가이드 레일(134)로 옮겨오게 된다. 이를 위해 박스 판재(30)와 접촉되는 가이드 레일(134)의 접촉면과 이송 카트(10)의 박스 판재 접촉면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가이드 레일(134)의 단부는 이송 카트(10)의 박스 판재 접촉면 아래를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레일(134)의 단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야 이송 카트(10)의 진입 시 가이드 레일(134)의 단부가 박스 판재(30)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이드 레일(134)은 전술한 지지 레일(132)과 별도의 레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지지 레일(132)이 연장되어 가이드 레일(134)의 역할을 해도 무방하다.
사이드 프레임(136)은 지지 레일(132) 및 가이드 레일(1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적재부(130)의 측면을 형성하며, 지지 레일(132) 및 가이드 레일(134) 보다 높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이드 프레임(136)이 설치되고, 사이드 프레임(136)의 하부에 지지 레일(132) 및 가이드 레일(134)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36)은 후술할 푸셔(152)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이를 위해 사이드 프레임(136)의 상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레일(136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부(150)는 지지 레일(132) 상에 적재된 복수의 박스 판재(30)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박스 판재(30)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셔(152)와, 박스 판재(30)의 위치를 잡아주는 상승기(154)와, 박스 판재(30)를 한 장씩 토출하는 박스토출부(156)로 구성된다.
푸셔(152)는 한 쌍의 지지 레일(132) 상에 각각 설치되며, 박스 판재(30)를 밀어주는 가압판(152a) 및 가압판(152a)을 구동시키는 가압판 구동부(152b)와, 가압판 구동부(152b)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푸셔 구동부(152c)로 구성된다. 푸셔(152)는 박스 판재(30)를 이송 카트(10)에서 지지 레일(132) 상으로 이동시켜 적재할 때, 박스 판재(30)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가압판(152a)이 지지 레일(132)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도록 작동된다. 박스 판재(30)의 적재를 완료한 후에는 이송 카트(10)가 후퇴하고 박스 판재(30)를 박스토출부(156)를 향해 밀어줄 수 있도록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푸셔(152)는 박스토출부(156)를 통해 박스 판재(30)가 토출됨에 따라 남은 박스 판재(30)를 박스토출부(156)를 향해 지속적으로 밀어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압판 구동부(152b) 및 푸셔 구동부(152c)가 구비된다.
가압판 구동부(152b)는 가압판(152a)을 가압판(152a)이 지지 레일(132) 외측으로 이동했다 복원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가압판(152a)이 지지 레일(132) 내측을 향하도록 복귀된 상태에서 사이드 프레임(136) 상을 슬라이딩 이동한다. 가압판 구동부(152b)는 푸셔 구동부(152c)에 의해 작동된다.
푸셔 구동부(152c)는 작동밸브(152d) 및 실린더(미도시)로 구성되며, 작동밸브(152d)는 사이드 프레임(136)의 단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접근 가능하도록 하고, 실린더는 사이드 프레임(136)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작업자가 이송 카트(10)를 가이드 레일(134)에 인입시킨 후 작동밸브(152d)를 작동하면, 실린더가 연동하여 작동되면서 가압판 구동부(152b)를 사이드 프레임(136)의 단부쪽으로 후퇴시킨다. 이와 동시에 가압판(152a)이 지지 레일(132) 외측으로 회동하게 된다. 가압판 구동부(152b)가 후퇴하면서 가압판(152a)을 당겨 회동시킬 수 있도록 가압판 구동부(152b) 내부에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푸셔(152)는 작동 스위치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작동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동밸브(152d)를 조작하여 푸셔(152)를 작동시킨 후 박스 판재(30)를 적재하고 다시 수동으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푸셔 구동부의 예로 밸브와 실린더를 들었으나, 가압판 구동부의 슬라이딩 이동과 동시에 가압판을 회동시키고 가압판 구동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면 구동 수단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승기(154)는 지지 레일(132)의 사이에 위치하되 박스토출부(156) 방향으로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박스 판재(3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승기(154)는 가장 앞쪽의 박스 판재(30)를 소정 높이로 상승시켜 박스토출부(156)가 박스 판재(30)를 이송 레일(50, 도 1 참조)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가장 앞쪽의 박스 판재(30)를 상승시켜 박스토출부(156)가 작동되면 상승기(154)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박스 판재(30)가 전방으로 밀려오면 다음 박스 판재(30)를 상승시킨다. 상승기(154)는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해 작동되며, 박스 판재(30)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스 판재(30)가 한쪽으로 기울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박스 판재(30)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스토출부(156)는 상승기(154)에 의해 상승한 박스 판재(30)를 분리하여 이송 레일(50)로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박스토출부(156)는 일반적으로 흡착 방식(흡착 수단을 이용해 박스 판재를 하나씩 분리하여 토출하는 방식)이나 핀 방식(복수의 핀으로 박스 판재를 분리하는 방식) 주로 이용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폭조절부(170)는 박스 판재(30)가 지지 레일(132)에 적재된 상태에서 박스 판재(30)를 인정적으로 지지하고 박스 판재(3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쌍의 지지 레일(132)의 사이 간격을 박스 판재(30)의 크기에 맞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박스공급장치(100)에 적재되는 박스 판재(30)의 크기는 작업 조건에 따라 변경되므로, 박스 판재(30)의 크기가 변경될 때마다 해당 박스 판재(30)의 크기에 맞게 지지 레일(1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야 한다. 이를 위해, 폭조절부(170)는 메인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한 쌍의 지지 레일(132)의 사이를 지지 레일(132)의 하부에서 가로지르는 가이드바(172)와, 가이드바(172)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 레일(132)에 각각 연결되는 작동 브래킷(174)과, 작동 브래킷(174)을 이동시키는 구동모터(176)로 구성된다.
가이드바(172)는 적어도 한 개가 설치되며, 지지 레일(132)의 사이를 하부에서 가로질러 설치된다. 가이드바(172)에는 지지 레일(132)에 각각 연결되는 작동 브래킷(174)이 설치된다.
작동 브래킷(174)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일단이 가이드바(172)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의 타단은 지지 레일(132)에 결합된다. 작동 브래킷(174)은 구동모터(176)에 연결되며, 구동모터(176)에 의해 사이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진다. 작동 브래킷(174)간의 간격이 달라짐에 따라 지지 레일(132)의 간격 역시 달라져 박스 판재(30)의 크기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100)는 각기 다른 사이즈의 박스 판재(30)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복수의 박스공급장치(100)가 제함기(1)를 중심으로 제함기(1)의 좌우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박스공급장치(100)는 제함기(1)를 기준으로 'T'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박스공급장치(100)가 'T'자형으로 배열되면 각각의 박스공급장치(100)에서 제함기(1)로 박스 판재(30)를 이동시키는 이동 거리가 짧아지므로 제함기(1)로 박스 판재(30)를 공급하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제함기(1)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박스공급장치(100)가 배치될 때 박스공급장치(100)는 작은 크기의 박스 판재(30)를 공급하는 박스공급장치(100)부터 점차 큰 사이즈의 박스 판재(30)를 공급하는 박스공급장치(100) 순으로 배치되거나, 혹은 역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가장 많이 작업하는 사이즈의 박스 판재(30)를 공급하는 박스공급장치(100)를 제함기(1)와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하고 사용 빈도에 따라 그 외 사이즈의 박스 판재(30)를 공급하는 박스공급장치(100)를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박스공급장치(100)의 배치에 따라 작업자는 이송 카트에 박스 판재(30)를 적재해 박스공급장치(100)로 이송하고, 박스공급장치(100)로 이동된 박스 판재(30)는 박스공급장치(100)의 적재부(130)에 적재된 후 한 개씩 토출되어 이송 레일(50)을 따라 이동해 제함기(1)로 공급된다. 박스공급장치(100)에서 토출되는 박스 판재의 종류는 제함하고자 하는 박스 사이즈에 맞춰 자동으로 공급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100)는 각기 다른 사이즈의 박스 판재(30)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복수의 박스공급장치(100)가 제함기(1)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함). 즉, 복수의 박스공급장치(100)는 제함기(1)를 기준으로 'L'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박스공급장치(100)가 제함기(1)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배치되는 경우, 작업자가 박스 판재(30)를 이송하여 적재하기 용이하며, 이송 레일(50)의 배치 및 구동을 위한 동선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제함기(1)가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고 박스공급장치(100)는 작은 크기의 박스 판재(30)를 공급하는 박스공급장치(100)부터 점차 큰 사이즈의 박스 판재(30)를 공급하는 박스공급장치(100) 순으로 배치되거나, 혹은 역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박스공급장치(100)의 배치에 따라 작업자는 이송 카트(10)에 박스 판재(30)를 적재해 박스공급장치(100)로 이송하고, 박스공급장치(100)로 이동된 박스 판재(30)는 박스공급장치(100)의 적재부(130)에 적재된 후 한 개씩 토출되어 이송 레일(50)을 따라 이동해 제함기(1)로 공급된다. 박스공급장치(100)에서 토출되는 박스 판재의 종류는 제함하고자 하는 박스 사이즈에 맞춰 자동으로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박스공급장치는 각기 다른 박스 판재의 사이즈에 맞게 적재부의 폭을 변경함으로써 한번에 한가지 사이즈의 박스 판재만을 작업할 수 있었던 종래와는 달리 여러 사이즈의 박스 판재를 제함 작업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 환경에 따라 제함기를 기준으로 박스공급장치의 배열을 'T'자형 또는 'L' 으로 변경함으로써 최적화된 상태로 제함기를 작동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제함기 30: 박스 판재
100: 박스공급장치 110: 메인 프레임
130: 적재부 132: 지지 레일
134: 가이드 레일 150: 공급부
152: 푸셔 154: 상승기
156: 박스토출부 170: 폭조절부
172: 가이드바 174: 작동 브래킷
176: 구동모터

Claims (10)

  1. 제함기로 판상의 박스 판재를 공급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스공급장치는 복수 개가 서로 밀착 배치되게 구비되며,
    바퀴를 구비하여 이동 가능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 판재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박스 판재를 상기 제함기 쪽으로 밀어주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 판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레일과, 상기 지지 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박스 판재를 이송하는 이송 카트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 판재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지지 레일의 사이 폭을 가변시키는 폭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폭조절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지지 레일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 레일간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바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 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 레일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 브래킷과, 상기 작동 브래킷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은 상기 박스 판재가 접촉되는 면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박스 판재를 상기 제함기 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셔와, 상기 박스 판재를 상승시키는 상승기와, 상기 박스 판재를 한 장씩 토출하는 박스토출부를 포함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지지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지지 레일 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박스 판재를 밀어주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을 구동시키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압판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판 구동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공급장치는 상기 제함기를 기준으로 상기 제함기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공급장치는 상기 제함기를 기준으로 상기 제함기의 일측에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KR1020140087662A 2014-07-11 2014-07-11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KR101634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62A KR101634115B1 (ko) 2014-07-11 2014-07-11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PCT/KR2015/006936 WO2016006891A1 (ko) 2014-07-11 2015-07-06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62A KR101634115B1 (ko) 2014-07-11 2014-07-11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57A KR20160007257A (ko) 2016-01-20
KR101634115B1 true KR101634115B1 (ko) 2016-06-28

Family

ID=5506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662A KR101634115B1 (ko) 2014-07-11 2014-07-11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4115B1 (ko)
WO (1) WO20160068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953A (ko) * 2017-11-24 2020-08-04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 시스템
KR20200140414A (ko) * 2019-06-05 2020-12-16 세왕오토팩 주식회사 다열 제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6490A (zh) 2017-05-05 2022-07-2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调度方法、harq-ack反馈方法和相应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4918A (ja) * 2007-04-19 2008-11-06 Toyota Auto Body Co Ltd 供給手段および部品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8853A (en) * 1980-08-08 1982-09-14 Morse Hugh B Case opening and sealing apparatus
JP2707192B2 (ja) * 1992-10-12 1998-01-28 株式会社フジキカイ 段ボール箱詰機における自動サイズチェンジ装置
KR100377241B1 (ko) 2001-02-28 2003-03-26 준 제 이 박스개함장치 및 이송장치를 구비한 제함기
KR200317293Y1 (ko) * 2003-03-14 2003-06-25 씨앤에스 (주) 박스지 자동공급장치
KR100671054B1 (ko) * 2004-11-05 2007-01-17 주식회사 제팩 제함기 적재부의 박스 이송장치
KR20110003852A (ko) * 2009-07-06 2011-01-13 이맹현 박스 제조용 골판지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4918A (ja) * 2007-04-19 2008-11-06 Toyota Auto Body Co Ltd 供給手段および部品供給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953A (ko) * 2017-11-24 2020-08-04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 시스템
KR102400594B1 (ko) 2017-11-24 2022-05-20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 시스템
KR20200140414A (ko) * 2019-06-05 2020-12-16 세왕오토팩 주식회사 다열 제함기
KR102294935B1 (ko) * 2019-06-05 2021-09-02 세왕오토팩 주식회사 다열 제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57A (ko) 2016-01-20
WO2016006891A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9869B2 (en) Palletizing installation and a method for palletizing
JP6240047B2 (ja) スパウト付き袋の供給装置
KR101634115B1 (ko)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JP7388289B2 (ja) 荷積付装置
CN111824511B (zh) 一种立式产品包装设备及包装方法
KR101438741B1 (ko) 낱장 공급장치
JP5142756B2 (ja) 箱の解体装置付き棒状物品の供給機
CN104709508A (zh) 包装机的送料机构
KR20090101586A (ko) 골판지포장판재의 적재장치
ITMI20121379A1 (it) Macchina per la sfogliatura di cartoni
KR102179797B1 (ko) 박스 포장 장치
JP2009249113A (ja) 製品の集積搬送装置
JP6988203B2 (ja) 前方フラップ折り曲げ装置
CN105883373A (zh) 一种横向装载机构
KR200484482Y1 (ko) 박스 적재장치
KR20160131795A (ko) 양끝절단 포장 적재장치
KR101624329B1 (ko)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JP2019014512A (ja) 上包み機の包装品移送装置
JP6070448B2 (ja) パレット交換装置
JP7244730B2 (ja) 物品集積装置
JP2010159126A (ja) 水平搬送装置
US3634996A (en) Bottle-packaging machine
KR100913764B1 (ko) 김적재 장치
KR101388037B1 (ko) 누적광 제거장치
JP4201565B2 (ja) 集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