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764B1 - 김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김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764B1
KR100913764B1 KR1020070069988A KR20070069988A KR100913764B1 KR 100913764 B1 KR100913764 B1 KR 100913764B1 KR 1020070069988 A KR1020070069988 A KR 1020070069988A KR 20070069988 A KR20070069988 A KR 20070069988A KR 100913764 B1 KR100913764 B1 KR 10091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laver
terminator
transverse cutte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552A (ko
Inventor
강신탁
Original Assignee
강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1020070069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7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06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절단기(20), 횡절단기(30)를 거쳐 일정 크기로 절단된 김을 가이드레일(72) 상에서 연속적으로 트레이(T)에 적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트레이(T)를 다열의 적층 상태로 수용하며, 배출블록(45)의 전후진 운동으로 하층열 트레이(T)를 낙하하는 트레이공급기(40); 상기 횡절단기(30)의 김을 적재판(55)에 일시적으로 수용하면서, 트레이(T)에 김을 낙하하되, 전면에 멈춤편(52a)을 지닌 브라켓(52)에 지지대(53)와 적재판(55)을 전후진 운동 가능하게 탑재하여 적재판(55)의 전진시 김을 받고 후진시 멈춤편(52a)에 의해 김을 낙하하는 적재기(50); 상기 김이 담긴 트레이(T)를 이송대(75)로 밀어 포장라인으로 보내는 배출기(70); 및 상기 종절단기(20), 횡절단기(30), 트레이공급기(40), 적재기(50), 배출기(70)의 작동 플로우를 조절하되, 가이드레일(72) 상에 설치되는 이송기구(74)를 종절단기(20) 및 횡절단기(30)와 연계되는 타이밍으로 스텝 단위로 제어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김을 트레이에 연속적으로 담아 포장함에 따라 생력화가 가능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69988
김적재, 건조김, 구이김, 트레이, 용기, 낙하, 수용

Description

김적재 장치{Apparatus for loading dried lavers}
본 발명은 김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김을 트레이에 연속적으로 담아 포장하기 위한 김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등록특허 제0515442호
[문헌2] 한국 공개특허 제2005-0069481호
한국 등록특허 제0515442호의 "구이김 자동 절단 및 수납장치"에 의하면 『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그 하부에 위치한 소정의 가동체를 연직방향으로 승강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절단용 실린더와, (중략) 적층 구이김을 내부로 수용하고 상기 가압절판의 승강작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해주는 가이드케이스와, 상기 가이드케이스의 하부에 고정 배치되고 아래로 갈수록 그 두께가 선형적으로 넓어지는 격자형의 절단날과, 일조의 포장용기들을 소정시간 간격을 두고 절단날의 하부로 이송시켜주는 포장용기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5-0069481호의 "구이김의 분할 포장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16절 정도의 전체크기로 구워져서 포장되어 이송된 포장김(13)을 포장지가 손상되지 않게 날이무딘 분할절단기(110)로 상측에서 가압하여서 일정 크기로 분할절단하는 김분할절단공정(1)과, 상기 김분할절단공정(1)을 통하여 분할절단되어서 이송된 포장김(13) 중 분할된 구이김(11) 들 중 외측 분할김(12)을 중앙부위의 김으로부터 분산시켜 분할된 김과 김사이에 분할접합공간(14)이 형성되게 하는 분할김분산공정(2)과, 상기 분할김분산공정(2)을 통하여 분할접합공간(14)이 형성된 포장김(13)의 분할접합공간(14)에 고주파접합기(310)로 접합하는 접합공정(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공개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부분 공정을 자동화하여 전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크게 기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격자형의 절단날을 사용하여 구이김의 파손이 심하며, 후자의 경우 포장한 상태로 절단하므로 구이김의 파손은 적으나 포장 상태로 분할하고 융착하는 공정의 생산성이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김을 트레이에 연속적으로 담아 포장함에 따라 생력화가 가능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김적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종절단기, 횡절단기를 거쳐 일정 크기로 절단된 김을 가이드레일 상에서 연속적으로 트레이에 적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트레이를 다열의 적층 상태로 수용하며, 배출블록의 전후진 운동으로 하층열 트레이를 낙하하는 트레이공급기; 상기 횡절단기의 김을 적재판에 일시적으로 수용하면서, 트레이에 김을 낙하하되, 전면에 멈춤편을 지닌 브라켓에 지지대와 적재판을 전후진 운동 가능하게 탑재하여 적재판의 전진시 김을 받고 후진시 멈춤편에 의해 김을 낙하하는 적재기; 상기 김이 담긴 트레이를 이송대로 밀어 포장라인으로 보내는 배출기; 및 상기 종절단기, 횡절단기, 트레이공급기, 적재기, 배출기의 작동 플로우를 조절하되,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되는 이송기구를 종절단기 및 횡절단기와 연계되는 타이밍으로 스텝 단위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김적재 장치는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김을 트레이에 연속적으로 담아 포장함에 따라 생력화가 가능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김적재 장치의 전체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김적재 장치의 트레이공급기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김적재 장치의 적재기 상세도, 도 4는 도 3의 적재기를 확대하여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3의 적재기를 확대하여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종절단기(20), 횡절단기(30)를 거쳐 일정 크기로 절단된 김을 가이드레일(72) 상에서 연속적으로 트레이(T)에 적재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비교적 크기가 크게 제조된 검조김 또는 구이김을 공급기(10)의 가이드레일(12)에 로딩하면, 다음 공정에서 종절단기(20)의 가이드레일(21)을 통과하면서 커터(25)에서 종방향으로 절단되고, 다음 공정에서 횡절단기(30)의 가이드레일(31)를 통과하면서 커터(35)에서 횡방향으로 절단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작은 크기로 절단된 김을 트레이(T)에 담기 위한 공정의 수행과 관련되며, 가이드레일(72) 상으로 트레이공급기(40), 적재기(50), 배출기(70)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은 횡방향으로 3등분 종방향으로 3등분하여 총 9등분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지만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트레이공급기(40)는 다수의 트레이(T)를 다열의 적층 상태로 수용하며, 배출블록(45)의 전후진 운동으로 하층열 트레이(T)를 낙하하는 구조를 지닌다. 브라켓(42) 상에 트레이(T)를 적층하여 담기 위한 3개의 안내봉(48)이 설치되고, 하방향으로 배출블록(45)이 실린더(46)를 개재하여 전후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트레이(T)는 상단에 플랜지를 지니고 측벽이 경사진 형태의 사각 용기이고, 이에 따라 적층하면 플랜지 부분이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배출블록(45)은 하층에 위치하는 트레이(T)의 플랜지를 물고 설정된 위치에서 가이드레일(72)상으로 낙하시키는 구조이다. 실린더(46)는 공압 방식이나 전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때, 배출블록(45)의 전후진 운동 방향은 가이드레일(72)과 동일한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브라켓(42)은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 가이드레일(72) 상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진동 등의 영향을 고려하면 가이드레일(72)과 분리되도록 지면에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적재기(50)는 상기 횡절단기(30)의 김을 적재판(55)에 일시적으로 수용하면서, 트레이(T)를 지지대(53)로 잡은 상태에서 김을 낙하하는 구조를 지닌다. 적재판(55)은 횡절단기(30)의 가이드레일(31)과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자 구조이고 실린더(56)에 의해 전후진 운동한다. 지지대(53)는 ㄷ자 형태 판재 구조이고 또 다른 실린더(54)에 의해 전후진 운동한다.
이때, 상기 적재기(50)는 전면에 멈춤편(52a)을 지닌 브라켓(52)에 지지대(53)와 적재판(55)을 전후진 운동 가능하게 탑재하되, 적재판(55)의 전진시 김을 받고 후진시 멈춤편(52a)에 의해 김을 낙하한다. 브라켓(52)은 전면에 3개의 멈춤편(52a)을 지닌 구조이고 가이드레일(72)에 근접하게 고정된다. 적재판(55)은 가이드레일(31)처럼 바닥면에 절개홈이 형성되며, 3개의 멈춤편(52a)의 하단이 3개의 절개홈을 약간 하향하도록 연장된다. 이에 따라 적재판(55)의 전진시 일시 적재되는 김은 후진시 멈춤편(52a)에 걸려 하방향으로 낙하된다.
한편, 미설명 부호 58은 탄성 변형력이 우수한 지지와이어로서 가이드레일(72)을 이송하는 트레이(T)가 적재기(50)에 도달하는 순간 흔들림 없도록 정위치로 유도하여 지지대(53)에 의한 정확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조력한다. 실린더(54)(56)는 공압 방식이나 전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김이 담긴 트레이(T)를 이송대(75)로 밀어 포장라인으로 보내는 배출기(70)가 구비된다. 가이드레일(72)의 하류단에 설치되는 배출기(70)는 이송대(75)를 실린더(76)로 밀어 트레이(T)를 인접하는 포장라인의 가이드레일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린더(76)는 공압 방식이나 전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60)가 상기 종절단기(20), 횡절단기(30), 트레이공급기(40), 적재기(50), 배출기(70)의 작동 플로우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어기(60)는 가이드레일(72) 상에 설치되는 이송기구(74)를 종절단기(20) 및 횡절단기(30)와 연계되는 타이밍으로 스텝 단위로 제어한다. 제어기(60)의 세부 구성은 전반적인 작동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는 바, 주요 공정의 가이드레일(21)(31)(72)에 설치된 체인기구의 서보모터 제어를 포함한다.
우선, 트레이공급기(40)에 적재된 트레이(T)는 3개씩 가이드레일(72)에 낙하되므로 가이드레일(72)의 체인기구는 3피치씩 단속적인 간헐 운동을 수행한다. 반면 가이드레일(72)의 하류단에 인접한 포장라인의 체인기구는 연속적인 운동을 수행한다. 3피치씩 이송되는 트레이(T)가 적재기(50)에 이르면 1피치씩 간헐 이송하는 가이드레일(31)의 체인기구로 이송되는 김이 3개의 트레이(T)에 동시에 낙하된다. 이후 가이드레일(72)의 하류단에서 3개의 이송대(75)가 3개의 트레이(T)를 동시에 밀어 연속 이송되는 포장라인으로 보낸다.
이와 같이 공급기(10)에서 배출기(70)에 이르는 전체적 타이밍의 일치를 위해 캠의 원리를 이용한 타이밍기구(65)가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제어기(60)는 각 공정의 속도를 전체적으로 동조하여 변동할 수 있으며, 비상시나 점검 작업을 고려하여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정지 작동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김적재 장치의 전체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김적재 장치의 트레이공급기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김적재 장치의 적재기 상세도,
도 4는 도 3의 적재기를 확대하여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3의 적재기를 확대하여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공급기 20: 종절단기
25, 35: 커터 30: 횡절단기
40: 트레이공급기 45: 배출블록
50: 적재기 53: 지지대
55: 적재판 60: 제어기
70: 배출기 72: 가이드레일
75: 이송대

Claims (3)

  1. 종절단기(20), 횡절단기(30)를 거쳐 일정 크기로 절단된 김을 가이드레일(72) 상에서 연속적으로 트레이(T)에 적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트레이(T)를 다열의 적층 상태로 수용하며, 배출블록(45)의 전후진 운동으로 하층열 트레이(T)를 낙하하는 트레이공급기(40);
    상기 횡절단기(30)의 김을 적재판(55)에 일시적으로 수용하면서, 트레이(T)에 김을 낙하하되, 전면에 멈춤편(52a)을 지닌 브라켓(52)에 지지대(53)와 적재판(55)을 전후진 운동 가능하게 탑재하여 적재판(55)의 전진시 김을 받고 후진시 멈춤편(52a)에 의해 김을 낙하하는 적재기(50);
    상기 김이 담긴 트레이(T)를 이송대(75)로 밀어 포장라인으로 보내는 배출기(70); 및
    상기 종절단기(20), 횡절단기(30), 트레이공급기(40), 적재기(50), 배출기(70)의 작동 플로우를 조절하되, 가이드레일(72) 상에 설치되는 이송기구(74)를 종절단기(20) 및 횡절단기(30)와 연계되는 타이밍으로 스텝 단위로 제어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적재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70069988A 2007-07-12 2007-07-12 김적재 장치 KR10091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988A KR100913764B1 (ko) 2007-07-12 2007-07-12 김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988A KR100913764B1 (ko) 2007-07-12 2007-07-12 김적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52A KR20090006552A (ko) 2009-01-15
KR100913764B1 true KR100913764B1 (ko) 2009-08-25

Family

ID=4048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988A KR100913764B1 (ko) 2007-07-12 2007-07-12 김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642A (ko) 2017-01-23 2018-08-01 강신탁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
KR20210147617A (ko) 2020-05-29 2021-12-07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절단김 자동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736U (ko) * 1997-10-02 1998-03-30 강신탁 김 포장용 케이스의 개량 추출장치
KR20050077402A (ko) * 2004-01-27 2005-08-02 김기문 김 픽업장치
KR20050088647A (ko) * 2004-03-02 2005-09-07 정구영 조미김 포장장치
KR200401268Y1 (ko) * 2005-08-18 2005-11-15 박병은 김 가공기용 포장케이스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736U (ko) * 1997-10-02 1998-03-30 강신탁 김 포장용 케이스의 개량 추출장치
KR20050077402A (ko) * 2004-01-27 2005-08-02 김기문 김 픽업장치
KR20050088647A (ko) * 2004-03-02 2005-09-07 정구영 조미김 포장장치
KR200401268Y1 (ko) * 2005-08-18 2005-11-15 박병은 김 가공기용 포장케이스 투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642A (ko) 2017-01-23 2018-08-01 강신탁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
KR20210147617A (ko) 2020-05-29 2021-12-07 두솔메카트로닉스 주식회사 절단김 자동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52A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16644B (zh) 热成形包装机
US8752357B2 (en) Thermoform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8001722B (zh) 热成形包装机
US7389631B2 (en) Unit and method of feeding containers arranged in a number of superimposed rows
SE522005C2 (sv) Applicering av lastlister
JP5008102B2 (ja) 豆腐のパック詰め装置
KR100913764B1 (ko) 김적재 장치
CN104709508A (zh) 包装机的送料机构
KR100918307B1 (ko) 김절단 장치
EP3374272B1 (en) Unit and method for feeding information leaflets to a packaging machine.
KR101634115B1 (ko)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JP6392640B2 (ja) 豆腐のパック詰め装置
EP2676885B1 (en)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rod-shaped articles
JP7244730B2 (ja) 物品集積装置
CN110733683A (zh) 一种装托玻璃瓶的装箱设备及其装箱方法
CN109534033B (zh) 用于拾取坯料样品的装置、用于修整片材形元件的机器以及拾取坯料的方法
KR101003285B1 (ko) 두부 담기 장치
JP5343481B2 (ja) 包装装置
JP5585994B2 (ja) 豆腐のパック詰め装置
CN116552942B (zh) 一种包装成型设备的纸垛上料方法
CN214875914U (zh) 利乐砖装箱系统
JP2011026041A (ja) 物品集積供給装置
JP6108911B2 (ja) トレー容器の切断排出装置
JP6381923B2 (ja) 集積装置
NL1005015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werken van kar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