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642A -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642A
KR20180086642A KR1020170010311A KR20170010311A KR20180086642A KR 20180086642 A KR20180086642 A KR 20180086642A KR 1020170010311 A KR1020170010311 A KR 1020170010311A KR 20170010311 A KR20170010311 A KR 20170010311A KR 20180086642 A KR20180086642 A KR 20180086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unit
seasoned laver
feeding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탁
Original Assignee
강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1020170010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642A/ko
Publication of KR20180086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02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changing orientation of sheet by only controlling movement of the forwarding means, i.e. without the use of stop or regist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4Fixed or adjustable stops or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0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 B65H9/101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acting on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6Inclined tape, roller, or like article-forwarding side registers
    • B65H9/166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65H2404/72Stops, gauge pins, e.g. station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65H2404/74Guiding means
    • B65H2404/743Guiding means for guiding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10) 상에서 다층으로 적재된 조미김(L)의 방향 전환하면서 공급하는 장치에 관련되면,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본체프레임(10)에서 적재된 조미김(L)을 연속 이송하는 안내롤러(21)를 구비하고, 안내롤러(21) 상의 유도로프(25)로 조미김(L)의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이송유니트(20); 상기 조미김(L)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일면을 접촉하여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전환구(31)를 구비하고, 유도롤(35)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상태에서 이송하는 전환유니트(30); 상기 이송유니트(20)에서 조미김(L)의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42)를 구비하고, 정렬판(45)에 의해 조미김(L)을 정렬하는 정렬유니트(40); 및 상기 정렬유니트(40)에서 조미김(L)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스토퍼(55)(56)를 구비하고, 와이어벨트(51)에 의해 조미김(L)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니트(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미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서 정렬된 조미김을 이송되는 과정에서 방향 전환과 함께 공급량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하여 후속공정으로 보내므로 생산성 향상에 일조하면서 작동의 효율성에 의한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등 자동화라인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Switching Direction supply device for automatic seasoned laver Processing line}
본 발명은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미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서 정렬된 조미김을 이송되는 과정에서 방향 전환과 함께 공급량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하여 후속공정으로 보내므로 생산성 향상에 일조하면서 작동의 효율성에 의한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등 자동화라인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최근에는 김 가공방법이 다양해져 소비자가 가공된 김을 손쉽게 구입하여 먹기에 간편하도록 일회용으로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 김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김의 표면에 향유를 바르고 조미료를 뿌린 다음 이를 불에 구워 적정크기로 절단하고 포장하는 일련의 가공 공정이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3764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307호 등이 알려져 있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3764호에 따르면 종절단기, 횡절단기를 거쳐 일정 크기로 절단된 김을 가이드레일 상에서 연속적으로 트레이에 적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트레이를 다열의 적층 상태로 수용하며, 배출블록의 전후진 운동으로 하층열 트레이를 낙하하는 트레이공급기; 상기 횡절단기의 김을 적재판에 일시적으로 수용하면서, 트레이에 김을 낙하하되, 전면에 멈춤편을 지닌 브라켓에 지지대와 적재판을 전후진 운동 가능하게 탑재하여 적재판의 전진시 김을 받고 후진시 멈춤편에 의해 김을 낙하하는 적재기; 상기 김이 담긴 트레이를 이송대로 밀어 포장라인으로 보내는 배출기; 및 상기 종절단기, 횡절단기, 트레이공급기, 적재기, 배출기의 작동 플로우를 조절하되,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되는 이송기구를 종절단기 및 횡절단기와 연계되는 타이밍으로 스텝 단위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김을 트레이에 연속적으로 담아 포장함에 따라 생력화가 가능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307호에 따르면 로딩되는 원재료 김을 용기에 포장하도록 설정된 크기로 연속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레일 상으로 원재료 김을 연속으로 이송하는 공급기; 상기 공급기의 하류상에 가이드레일이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하되 김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대를 양단에 구비하고, 이송기구로 간헐 이송되는 원재료 김을 일차로 등분하는 커터를 구비하는 종절단기; 및 상기 종절단기의 하류에 가이드레일이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하되 김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대를 양단에 구비하고, 이송기구로 간헐이송되는 원재료 김을 이차로 등분하는 커터를 구비하는 횡절단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구이김을 연속공정으로 투입하여 균일한 크기로 절단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뿐 아니라 절단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여 품질을 높이고 절단 과정에서의 손실량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김 가공 분야에서 주요 공정 중 일부 공정에 의한 부분적인 자동화로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지만, 여전히 양산 시스템의 안정화를 달성함에 있어 전반적인 양산화와 거리가 있어 생산성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한계성을 보여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등 개선할 여지가 있다.
이외에도, 한국 등록특허 제10-0515442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69481호에 의하면 김 가공 분야에서 주요 공정 중 일부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는 장치가 제안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생산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음 공정으로 원활하게 이어지지 않아 전체 시스템을 정지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3764호 "김적재 장치"(등록일자: 2009. 08. 1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307호 "김절단 장치"(등록일자: 2009. 09. 14.)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미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서 정렬된 조미김을 이송되는 과정에서 방향 전환과 함께 공급량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하여 후속공정으로 보내므로 생산성 향상에 일조하면서 작동의 효율성에 의한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등 자동화라인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 상에서 다층으로 적재된 조미김의 방향 전환하면서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적재된 조미김을 연속 이송하는 안내롤러를 구비하고, 안내롤러 상의 유도로프로 조미김의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이송유니트; 상기 조미김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일면을 접촉하여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전환구를 구비하고, 유도롤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상태에서 이송하는 전환유니트; 상기 이송유니트에서 조미김의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정렬판에 의해 조미김을 정렬하는 정렬유니트; 및 상기 정렬유니트에서 조미김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와이어벨트에 의해 조미김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니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렬유니트는 이송유니트 상에 조미김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을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스토퍼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실린더와, 정렬판에 요동운동을 유발하는 정렬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유니트는 와이어벨트 상에 조미김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공급량을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스토퍼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유니트는 상측에 조미김을 임시로 적재하여 적재유니트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적재유니트는 와이어벨트 상에 조미김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홀딩바와, 홀딩바를 구동하는 홀딩실린더와, 조미김을 안착하여 수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판과, 승강판을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실린더와, 승강판 상에 조미김의 양면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되는 적재판과, 적재판을 구동하는 적재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는 조미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서 정렬된 조미김을 이송되는 과정에서 방향 전환과 함께 공급량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하여 후속공정으로 보내므로 생산성 향상에 일조하면서 작동의 효율성에 의한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등 자동화라인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에서 전환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에서 적재유니트를 장착한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에서 적재유니트를 장착한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에서 적재유니트를 장착한 상태의 주요 구성만을 나타내는 구성도 및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10) 상에서 다층으로 적재된 조미김(L)의 방향 전환하면서 공급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특히 정렬된 조미김을 이송되는 과정에서 방향 전환과 함께 공급량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하여 후속공정으로 보내므로 자동화라인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환공급장치는 상류단에 계수장치가 배치되고, 이 하류단에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장기 또는 절단기가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조미김을 생성하는 자동화시스템이다. 한편, 조미김(L)을 생성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지만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조미김(L) 뿐만 아니라, 조미되지 않은 김(L)도 가능하다. 그리고 김을 2열로 전환 공급하는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 즉 3열 내지 4열 등으로 이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2열로 이송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지만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에서 전환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유니트(20)는 상기 본체프레임(10)에서 적재된 조미김(L)을 연속 이송하는 안내롤러(21)를 구비하고, 안내롤러(21) 상의 유도로프(25)로 조미김(L)의 방향 전환을 유도한다. 이송유니트(20)는 계수장치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구워진 조미김을 2열로 안내하여 후속된 전환유니트(30)로 이송한다. 이러한 이송유니트(20)는 본체프레임(10)상에 안내롤러(21)와 유도로프(25)로 이루어지는데, 안내롤러(21)는 도 1 및 도 3처럼 피동롤러로서 상류단의 계수장치를 통하여 안내된 조미김을 단순히 이송한다. 그리고 유도로프(25)는 도 2 및 도 3처럼 안내롤러(21) 상에 유도로프(25)가 권취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유도로프(25)는 도시된 것처럼 안내롤러(21)의 롤러 전체에 권취되지 않은 형태로 후술하는 전환유니트(30)와 상호 연동하여 조미김(L)의 방향 전환을 유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환유니트(30)는 상기 조미김(L)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일면을 접촉하여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전환구(31)를 구비하고, 유도롤(35)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상태에서 이송한다. 전환유니트(30)는 도 2 및 도 3처럼 본체프레임(10)상의 이송유니트(20) 상에 배치되고, 전환구(31)와 유도롤(35)에 의해 조미김(L)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일면을 접촉하여 방향 전환을 유도한다. 이러한 전환유니트(30)는 안내롤러(21)에 의해 조미김(L)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전환구(31)에 접촉하여 방향이 전환되면서 유도롤(35)에 의해 방향이 완전히 전환된다. 즉 도 2 및 도 3(b)처럼 이송유니트(20)에서 이송된 조미김(L)은 세로방향으로 전달되고, 안내롤러(21)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전환구(31)에 의해 방향이 일부분 전환되면서 유도롤(35)과 함께 안내롤러(21)의 유도로프(25)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로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면서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렬유니트(40)는 상기 이송유니트(20)에서 조미김(L)의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42)를 구비하고, 정렬판(45)에 의해 조미김(L)을 정렬한다. 정렬유니트(40)는 도 2 및 도 3처럼 본체프레임(10)상의 이송유니트(20) 상에 배치되고,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조미김(L)을 이송되는 과정에서 흐트러진 조미김(L)을 재차 정렬한다. 이러한 정렬유니트(40)는 이송되는 과정의 조미김(L)을 정지시키는 스토퍼(42)와 정지된 조미김(L)을 정렬하는 정렬판(45)으로 이루어진다. 즉 정렬유니트(40)는 조미김(L)이 이송유니트(20)의 안내롤러(21)에 이송되는 과정에서 스토퍼(42)에 의해 정지됨과 함께 정렬판(45)에 의해 정렬하여 후속하는 공급유니트(50)로 이송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정렬유니트(40)는 이송유니트(20) 상에 조미김(L)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을 검출하는 검출센서(41)와, 스토퍼(42)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실린더(43)와, 정렬판(45)에 요동운동을 유발하는 정렬실린더(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렬유니트(40)는 도 1 내지 도 3처럼 이송유니트(20)의 안내롤러(21) 최하류단에 위치하고, 전환유니트(30)에 의해 방향 전환된 조미김(L)을 정렬하여 이송하기 위해 이를 검출하는 검출센서(41), 조미김(L)을 정지시키는 스토퍼(42)를 작동하는 승강실린더(43), 조미김(L)을 정렬하는 정렬판(45)을 작동하는 정렬실린더(46)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렬유니트(40)는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조미김(L)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검출센서(41)가 감지하여 스토퍼(41)가 승강실린더(43)의 작동에 의해 상승하여 조미김(L)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정렬판(45)이 정렬실린더(46)의 작동에 의해 조미김(L)을 정렬한다. 이어서 정렬판(45)이 정렬실린더(46)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동시에 스토퍼(42)가 승강실린더(43)의 작동에 의해 하강하여 정렬된 조미김(L)이 후속하는 공급유니트(50)로 이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유니트(50)는 상기 정렬유니트(40)에서 조미김(L)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스토퍼(55)(57)를 구비하고, 와이어벨트(51)에 의해 조미김(L)을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공급유니트(50)는 도 1 및 도 2처럼 본체프레임(10)상의 정렬유니트(40)의 하류측에 배치하고, 방향 전환되면서 정렬된 조미김(L)을 전달받아 와이어벨트(51)에 의해 후속장치로 이송한다. 이러한 공급유니트(50)는 안내롤러(21)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조미김(L)을 이송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와이어벨트(51)를 설치하는데, 와이어벨트(51)는 조미김(L)을 상부에 안착한 상태에 이송하여 공급한다. 그리고 후속장치로 이송되는 과정의 조미김(L)의 공급량을 제한하기 위해 조미김(L)을 정지시키는 스토퍼(55)(57)로 이루어진다. 즉 공급유니트(50)는 와이어벨트(51)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스토퍼(55)(57)로 공급량을 제한하여 후속장치(포장기 또는 절단기)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니트(50)는 와이어벨트(51) 상에 조미김(L)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공급량을 검출하는 검출센서(53)(54)와, 스토퍼(55)(57)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실린더(56)(5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급유니트(50)는 도 1 및 도 2처럼 와이어벨트(51) 상에 조미김(L)의 공급량을 검출하는 검출센서(53)(54)와 조미김(L)을 정지시키는 스토퍼(55)(57)를 작동하는 승강실린더(56)(58)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급유니트(50)는 방향 전환과 정렬된 조미김(L)이 와이어벨트(51)를 통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검출센서(53)(54)가 감지하여 스토퍼(55)(57)가 승강실린더(56)(58)의 작동에 의해 상승하여 조미김(L)을 정지시켜 공급량을 순차적으로 제한한다. 즉 검출센서(53)(54)에 의해 스토퍼(55)(57)가 단계적으로 작동하여 조미김(L)이 공급되는 공급량을 조절하여 후속장치(포장기 또는 절단기)로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에서 적재유니트를 장착한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에서 적재유니트를 장착한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에서 적재유니트를 장착한 상태의 주요 구성만을 나타내는 구성도 및 사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유니트(50)는 상측에 조미김(L)을 임시로 적재하여 적재유니트(60)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적재유니트(60)는 와이어벨트(51)상에 조미김(L)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홀딩바(61)와, 홀딩바(61)를 구동하는 홀딩실린더(62)와, 조미김(L)을 안착하여 수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판(64)과, 승강판(64)을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실린더(65)와, 승강판(64) 상에 조미김(L)의 양면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되는 적재판(67)과, 적재판(67)을 구동하는 적재실린더(6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여타의 주요 구성요소에서도 전술한 바와 차이가 없고 동일하고, 그에 따른 작동도 동일하다. 그리고 본체프레임(10) 상에 이송유니트(20), 전환유니트(30), 정렬유니트(40), 공급유니트(50)의 주요 구성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처럼 조미김(L)을 임시로 적재하는 적재유니트(60)를 더 구비한다. 적재유니트(60)는 공급유니트(5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조미김(L)을 임시로 적재한다. 즉 적재유니트(60)는 상기의 공급유니트(50)와 상호 연계 작동하여 후속장치(포장기 또는 절단기)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조미김(L)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임시로 적재 보관한다.
이러한 적재유니트(60)는 와이어벨트(51)상에 조미김(L)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홀딩바(61)와, 홀딩바(61)를 구동하는 홀딩실린더(62)와, 조미김(L)을 안착하여 수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판(64)과, 승강판(64)을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실린더(65)와, 승강판(64) 상에 조미김(L)의 양면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되는 적재판(67)과, 적재판(67)을 구동하는 적재실린더(68)를 구비한다. 적재유니트(60)는 홀딩바(61), 홀딩실린더(62), 승강판(64), 승강실린더(65), 적재판(67), 적재실린더(68)로 이루어진다. 홀딩바(61)와 홀딩실린더(62)는 상기 공급유니트(50)의 검출센서(53)(54)와 상호 연계 작동하여 조미김(L)을 정지시키는 바, 이러한 검출센서(53)(54)의 신호에 의해 홀딩바(61)가 홀딩실린더(62)에 의하여 각각 단계적으로 작동한다. 즉 검출센서(53)(54)가 조미김(L)의 공급량을 검출하여 홀딩바(61)가 단계적으로 작동하여 조미김(L)의 이송을 정지하는데, 이러한 홀딩바(61)를 2개로 구비한 것은 후술하는 적재판(67)에 도 4처럼 조미김(L)이 어긋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승강판(64)과 승강실린더(65)는 공급유니트(50)의 와이어벨트(51) 상에서 조미김(L)을 승강시켜 후술하는 적재판(67)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홀딩바(61)와 홀딩실린더(62)에 의해 이송이 정지된 조미김(L)을 승강실린더(65)의 작동에 의해 승강판(64)이 조미김(L)을 안착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승강한다.
그리고 적재판(67)과 적재실린더(68)는 상기 승강판(64)과 상호 연계 작동하는 바, 적재판(67)은 도 5 및 도 6처럼 조미김(L)의 양면을 클램핑하도록 작동되고, 적재실린더(68)의 작동에 의해 적재판(67)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도록 작동한다. 이에 따라, 승강판(64)이 승강실린더(65)의 작동에 의해 상하운동하고, 이러한 승강판(64)의 작동에 의해 적재판(67)이 적재실린더(68)의 작동에 의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여 조미김(L)을 임시로 적재하여 후속장치(포장기 또는 절단기)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조미김(L)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임시로 적재 보관한다.
한편,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적재유니트(60)는 조미김(L)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단순히 적재만 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필요에 따라 적재유니트(60)에 임시로 적재된 조미김(L)을 재차 공급유니트(50)의 와이어벨트(51)로 내려 보내 후속장치(포장기 또는 절단기)로 공급하는 구성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미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서 정렬된 조미김을 이송되는 과정에서 방향 전환과 함께 공급량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하여 후속공정으로 보내므로 생산성 향상에 일조하면서 작동의 효율성에 의한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등 자동화라인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프레임 20: 이송유니트
21: 안내롤러 25: 유도로프
30: 전환유니트 31: 전환구
35: 유도롤 40: 정렬유니트
41: 검출센서 42: 스토퍼
45: 정렬판 50: 공급유니트
51: 와이어벨트 53,54: 검출센서
55,56: 스토퍼 60: 적재유니트
61: 홀딩바 64: 승강판
67: 적재판 L: 조미김

Claims (4)

  1. 본체프레임(10) 상에서 다층으로 적재된 조미김(L)의 방향 전환하면서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0)에서 적재된 조미김(L)을 연속 이송하는 안내롤러(21)를 구비하고, 안내롤러(21) 상의 유도로프(25)로 조미김(L)의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이송유니트(20);
    상기 조미김(L)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일면을 접촉하여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전환구(31)를 구비하고, 유도롤(35)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상태에서 이송하는 전환유니트(30);
    상기 이송유니트(20)에서 조미김(L)의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42)를 구비하고, 정렬판(45)에 의해 조미김(L)을 정렬하는 정렬유니트(40); 및
    상기 정렬유니트(40)에서 조미김(L)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스토퍼(55)(57)를 구비하고, 와이어벨트(51)에 의해 조미김(L)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니트(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니트(40)는 이송유니트(20) 상에 조미김(L)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송을 검출하는 검출센서(41)와, 스토퍼(42)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실린더(43)와, 정렬판(45)에 요동운동을 유발하는 정렬실린더(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니트(50)는 와이어벨트(51) 상에 조미김(L)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공급량을 검출하는 검출센서(53)(54)와, 스토퍼(55)(57)를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실린더(56)(5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니트(50)는 상측에 조미김(L)을 임시로 적재하여 적재유니트(6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적재유니트(60)는 와이어벨트(51)상에 조미김(L)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홀딩바(61)와, 홀딩바(61)를 구동하는 홀딩실린더(62)와, 조미김(L)을 안착하여 수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판(64)과, 승강판(64)을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실린더(65)와, 승강판(64) 상에 조미김(L)의 양면을 클램핑하도록 설치되는 적재판(67)과, 적재판(67)을 구동하는 적재실린더(6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
KR1020170010311A 2017-01-23 2017-01-23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 KR20180086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11A KR20180086642A (ko) 2017-01-23 2017-01-23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11A KR20180086642A (ko) 2017-01-23 2017-01-23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642A true KR20180086642A (ko) 2018-08-01

Family

ID=6322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311A KR20180086642A (ko) 2017-01-23 2017-01-23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664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764B1 (ko) 2007-07-12 2009-08-25 강신탁 김적재 장치
KR100918307B1 (ko) 2007-07-12 2009-09-18 강신탁 김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764B1 (ko) 2007-07-12 2009-08-25 강신탁 김적재 장치
KR100918307B1 (ko) 2007-07-12 2009-09-18 강신탁 김절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217B1 (ko)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US8152434B2 (en) Double infeed stacking table with centering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tacks to a gripper with an infeed station of this type
US9290332B2 (en) Device and method for horizontal movement of layers of articles between adjacent conveyor modules
US96438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layers of articles between adjacent modules
US9340369B2 (en) Device and method for horizontal movement of layers of articles between adjacent conveyor modules
CN107512546B (zh) 一种输送系统及输送方法
KR20170013663A (ko) 자동 절단기용 프로파일 공급 장치
KR101459930B1 (ko)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KR101762814B1 (ko) 조미김 가공장치
JP4945824B2 (ja) 商品の自動段積み方法及びその装置
US9481479B2 (en) Container sealing apparatus
KR101958550B1 (ko) 김 이송시스템 및 그 이송방법
US7464804B2 (en) Automatic pallet loader system and method
JPH03148414A (ja) 圧力によりこわれ易い個別製品を包装する方法及び装置
US7284655B2 (en) Method and arrangement as well as apparatus for transverse conveyance of reams
US7475769B2 (en) Device for handling packets
US7536842B2 (en) Machine and a method for filling box-like containers with articles arranged side by side and vertically
KR20180086642A (ko)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전환공급장치
EA037440B1 (ru) Конвей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8690146B2 (en) Apparatus for loading a relatively rigid material, for example cardboard, and relative loading method
JP2003104537A (ja) フルーツ用5点形配列容器レシーバに対する自動交互式フィーダ
KR101828738B1 (ko)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CN105644849B (zh) 一种馒头整理装置
KR200340967Y1 (ko) 골판지 자동 공급장치
CN113571456A (zh) 一种解决半导体封装行业ic芯片划伤的加工设备及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90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19

Effective date: 2019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