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447B1 -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 - Google Patents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447B1
KR102351447B1 KR1020210077203A KR20210077203A KR102351447B1 KR 102351447 B1 KR102351447 B1 KR 102351447B1 KR 1020210077203 A KR1020210077203 A KR 1020210077203A KR 20210077203 A KR20210077203 A KR 20210077203A KR 102351447 B1 KR102351447 B1 KR 102351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upport plate
inclined surfac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일
Original Assignee
김남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일 filed Critical 김남일
Priority to KR102021007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68Trailers with more than two axles or more than four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having tip-up ste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특장차에 설치되어 무거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현한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장차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전단부; 상기 전단부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단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전단부와 상기 후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적재부; 상기 후단부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는 바퀴부; 및 사용자가 상기 전단부의 상측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전단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접이식 계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TRAILER DEVICE FOR SPECIAL VEHICLES}
본 발명은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급차, 소방차,크레인, 제설차, 믹서트럭, 탱크로리. 무진동 트레일러, 덤프트럭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특장차에 설치되어 무거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현한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장차는 특수 설비와 구조를 갖춘 자동차로서, 대표적으로 구급차, 소방차,크레인, 제설차, 믹서트럭, 탱크로리. 무진동 트레일러, 덤프트럭 등이 있다. 또한 초저온, 고압가스를 수송하는 수송차, 건설이나 건축 분야에 쓰이는 사다리차, 의료용이나 방송, 전파 측정 차량, 크레인, 사다리차, 원전특수차량 등도 특장차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종래 특장차는 컨테이너, 대형 기계장치 등의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하는 트랙터와, 상기 트랙터의 후측에 연결되어 컨테이너 등의 화물을 적재하는 트레일러를 포함한다.
종래의 특장차에 설치되는 트레일러 장치 등의 경우 지상고가 높아 작업자가 트레일러나 특장차 자체에 올라가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97664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7678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양한 종류의 특장차에 설치되어 무거운 화물을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레일러 장치의 상측으로 작업자가 손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구현한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는, 특장차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전단부; 상기 전단부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단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전단부와 상기 후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적재부; 상기 후단부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는 바퀴부; 및 사용자가 상기 전단부의 상측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전단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접이식 계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이식 계단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단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이 "+" 형태로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일 수평 프레임의 전단이 상측에 배치되는 다른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 수직 프레임의 상단이 상측에 배치되는 다른 수평 프레임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방식으로 다수 개가 반복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되며,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이 서로 교차되도록 접철되면서 상기 고정 프레임 방향으로 밀착되면서 길이가 줄어드는 접철식 프레임; 사용자가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 마다 설치되는 발판; 및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사용자가 상기 발판을 밟고 올라감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전달받아 완충시켜 주는 바닥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이식 계단부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되 다른 수직 프레임보다 상측으로 기 설정된 길이 만큼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최상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의 상측과 상기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의 상측 사이에서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지지대는, 하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대 케이스; 상기 지지대 케이스로부터 하측이 노출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지지대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 케이스의 내부 상측면과 상기 지지대의 상측 사이를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대 케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아 완충시켜 주는 충격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완충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 케이스의 내부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 절곡 프레임;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대 상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경사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바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홈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상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스프링; 상기 하부 슬라이딩홈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상기 바디 상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3 스프링;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렉기어;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렉기어; 및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렉기어 및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기 제1 렉기어가 형성되는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프레임 바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절곡 프레임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에 삽입 설치되는 수직 지지 바아; 및 상기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 지지 바아의 상측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 기어는, 상기 제1 렉기어와 상기 제2 렉기어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기어 본체;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본체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어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과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도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는 제1 가이드 휠; 및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 본체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기어 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도홈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 상기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렉기어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는 제2 가이드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특장차에 설치되어 무거운 화물을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레일러 장치의 상측으로 작업자가 손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적재 효율성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성 역시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접이식 계단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3의 바닥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충격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10)는, 전단부(100), 후단부(200), 적재부(300), 바퀴부(400) 및 접이식 계단부(500)를 포함한다.
전단부(100)는, 특장차(C)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후단에 적재부(300)가 설치된다.
후단부(200)는, 전단부(100)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단부(100)와의 사이에 적재부(300)가 설치되며, 일측 및 타측에 바퀴부(400)가 설치된다.
적재부(300)는,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전단부(100)와 후단부(200) 사이에 설치된다.
바퀴부(400)는, 후단부(200)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된다.
접이식 계단부(500)는, 사용자가 전단부(100)의 상측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전단부(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접이식 계단부(500)는,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전단부(100) 방향으로 길이가 줄어들면서 밀착되어 수납되고, 사용시에는 전단부(100)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바닥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밟고서 전단부(100)까지 올라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10)는, 다양한 종류의 특장차에 설치되어 무거운 화물을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레일러 장치의 상측으로 작업자가 손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적재 효율성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접이식 계단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접이식 계단부(500)는, 고정 프레임(510), 접철식 프레임(520), 발판(530) 및 바닥 지지대(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510)과 접철식 프레임(5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씩 설치될 것이나, 설명의 편의상 일 측에 설치되는 일 고정 프레임(510)과 일 접철식 프레임(52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 프레임(510)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단부(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전단에 접철식 프레임(520)이 연결 설치된다.
접철식 프레임(520)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521)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522)이 "+" 형태로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고정 프레임(5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일 수평 프레임(522)의 전단이 상측에 배치되는 다른 수직 프레임(521)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 수직 프레임(521)의 상단이 상측에 배치되는 다른 수평 프레임(522)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방식으로 다수 개가 반복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고정 프레임(510)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접철식 프레임(520)은, 사용하지 않을 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522)과 수직 프레임(521)이 서로 교차되도록 접철되면서 고정 프레임(510) 방향으로 밀착되어 길이가 줄어든다.
여기서,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521) 중 일부(521d)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식 프레임(520)이 펼쳐졌을 시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됨으로써 펼쳐진 상태의 접철식 프레임(520)이 사용자의 하중에도 하측으로 기울어지지 못하도록 지지하여야 할 것이다.
발판(530)은, 사용자가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수평 프레임(522) 마다 설치된다.
바닥 지지대(540)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521c)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사용자가 발판(530)을 밟고 올라감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전달받아 완충시켜 준다.
여기서, 도 2에는 설명의 편의상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521b)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521c)을 구분하여 달리 도시 되었으나, 도 2의 도시와는 달리 바닥 지지대(540)는 521c 대신 521b에 설치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접이식 계단부(500)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521a)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521b)이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되 다른 수직 프레임(521)보다 상측으로 기 설정된 길이 만큼(예를 들어, 10cm 내지 50cm 등) 길게 연장 형성되고, 최상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521)의 상측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521)의 상측 사이에서 중단(즉, 551과 552가 만나는 부분)이 접철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550)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550)는, 펼쳐진 상태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521a)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521b)의 각 상단 사이의 간격을 지지 함으로써, 사용자가 계단을 오르내리면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521a)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521b)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어 계단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 지지 프레임(550)는, 철식 프레임(520)이 접철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접철되면서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접이식 계단부(500)는, 평소에는 길이가 줄어들어 전단부(100)의 일측에 수납 가능하며, 사용 시에는 전단부(100)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편하게 전단부(100)의 상측까지 오르내릴 수 있어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오르내림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줌으로써 계단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바닥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닥 지지대(540)는, 지지대 케이스(541), 지지대(542) 및 충격 완충부(543)를 포함한다.
지지대 케이스(541)는, 하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521)의 하측에 설치되며, 내측에 충격 완충부(543)가 지지대(542)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다.
지지대(542)는, 지지대 케이스(541)로부터 하측이 노출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지지대 케이스(541)의 내측에 배치된 뒤 충격 완충부(543)에 의해 상측이 지지된다.
충격 완충부(543)는, 지지대(542)의 상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지지대 케이스(541)의 내부 상측면과 지지대(542)의 상측 사이를 지지하면서 지지대 케이스(541)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바닥 지지대(540)는, 접철식 프레임(520)에 설치되어 접철식 프레임(520)을 지지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발판(530)을 밟고 올라 감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접철식 프레임(52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충격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충부(6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610),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 제2 측면 절곡 프레임(630), 제2 지지 플레이트(640),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61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 케이스(541)의 내부 상측면을 지지하며, 일측에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제2 측면 절곡 프레임(630)이 형성되며, 1 측면 지지 프레임(6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에 의해 제2 지지 플레이트(64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지지된다.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은, 제1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620a)을 형성하며, 제1 상부 경사면(620a)이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의 제1 하부 경사면(650a)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여기서, 제2 측면 절곡 프레임(630)은, 후술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과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의 절곡 프레임 바디(621), 수직 지지 바아(622) 및 수직 완충 스프링(62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은, 절곡 프레임 바디(621), 수직 지지 바아(622) 및 수직 완충 스프링(623)을 포함한다.
절곡 프레임 바디(621)는, 제1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제1 렉기어(656)가 형성되는 제1 상부 경사면(620a)으로 이루어지며, 수직 지지 바아(622)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다.
수직 지지 바아(622)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2 지지 플레이트(64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절곡 프레임 바디(621)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홈(621a)에 삽입 설치되어 상측이 수직 완충 스프링(623)에 의해 지지된다.
수직 완충 스프링(623)은, 하부 지지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직 지지 바아(622)의 상측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여 절곡 프레임 바디(621)에 발생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측면 절곡 프레임(630)은,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61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630a)을 형성하며, 제2 상부 경사면(630a)이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의 제2 하부 경사면(660a)에 의해 지지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을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제2 지지 플레이트(64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지지대(542) 상측을 지지하며, 상측에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 및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이 각각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은,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640)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6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640)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제1 상부 경사면(620a)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650a)을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6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6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제1 하부 경사면(650a)이 제1 상부 경사면(620a)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
여기서,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은, 후술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과 좌우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 바디(651), 바디 상부 지지대(652), 제1 스프링(653), 제2 스프링(654), 제3 스프링(655), 제1 렉기어(656), 제2 렉기어(657),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658)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은, 지지 프레임 바디(651), 바디 상부 지지대(652), 제1 스프링(653), 제2 스프링(654), 제3 스프링(655), 제1 렉기어(656), 제2 렉기어(657),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지지 기어(65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 바디(651)는, 제2 지지 플레이트(640)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 슬라이딩홈(641)에 하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제1 하부 경사면(650a)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 바디(651)는, 상부 슬라이딩홈(641)의 이동 중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상부 슬라이딩홈(64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K2)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 상부 지지대(652)는, 상측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홈(611)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가 지지 프레임 바디(65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홈(6511)에 삽입 설치되어 제1 스프링(653)에 의해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 상부 지지대(652)는, 하부 슬라이딩홈(611)의 이동 중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하부 슬라이딩홈(61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 돌기(K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프링(653)은, 상부 지지홈(6511)의 하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바디 상부 지지대(652)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바디 상부 지지대(652)를 통해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스프링(654)은, 상부 슬라이딩홈(641)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 바디(651)의 하부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제3 스프링(655)은, 하부 슬라이딩홈(611)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바디 상부 지지대(652)의 상부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즉, 제2 스프링(654)과 제3 스프링(655)은, 지지 프레임 바디(651)과 바디 상부 지지대(652)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일측 방향, 즉 제2 상부 경사면(630a) 방향으로 밀착시켜 줌으로써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이 상측으로부터 가압되는 외력을 극복하여 하강되는 것을 저지함은 물론,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을 통해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역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제1 렉기어(656)는, 간격 지지 기어(658)를 사이에 두고 제2 렉기어(657)와 대향하며 설치되며, 제1 상부 경사면(620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 기어(658)가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2 렉기어(657)는, 간격 지지 기어(658)를 사이에 두고 제1 렉기어(656)와 대향하며 설치되며, 제1 하부 경사면(650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간격 지지 기어(658)가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간격 지지 기어(658)는, 제1 렉기어(656)와 제2 렉기어(657)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62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렉기어(656) 및 제2 렉기어(657)를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지지 프레임 바디(65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 지지 기어(658)는, 기어 본체(6581), 제1 가이드 휠(6582) 및 제2 가이드 휠(658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본체(6581)는, 제1 렉기어(656)와 제2 렉기어(657) 사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전단에 제1 가이드 휠(6582)이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제2 가이드 휠(6583)이 연결 설치된다.
제1 가이드 휠(6582)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 본체(6581)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기어 본체(65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렉기어(65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과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과 대향하면서 제2 렉기어(65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L1)에 안착된다.
제2 가이드 휠(6583)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 본체(6581)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기어 본체(658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딩 유도홈(L1)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제1 렉기어(656)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슬라이딩 유도홈과(L3) 제3 슬라이딩 유도홈(L3)과 대향하면서 제2 렉기어(65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슬라이딩 유도홈(L4)에 안착된다.
즉, 간격 지지 기어(658)는, 절곡 프레임 바디(621)가 하강함에 따라 제1 렉기어(656)와 제2 렉기어(657)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지지 프레임 바디(651)를 이동시키거나, 지지 프레임 바디(651)가 각 스프링(654, 655)들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착됨에 따라 절곡 프레임 바디(621)를 승강시켜 줄 수 있다.
제2 측면 지지 프레임(660)은, 제1 측면 지지 프레임(650)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제1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지지 플레이트(640)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플레이트(6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640)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제2 상부 경사면(630a)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660a)을 형성하며, 제1 지지 플레이트(610)와 제2 지지 플레이트(6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제2 하부 경사면(660a)이 제2 상부 경사면(630a)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완충부(600)는, 사용자가 발판(530)을 밟고 올라 감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접철식 프레임(52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
100: 전단부
200: 후단부
300: 적재부
400: 바퀴부
500: 접이식 계단부

Claims (6)

  1. 특장차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전단부;
    상기 전단부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단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전단부와 상기 후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적재부;
    상기 후단부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씩 설치되는 바퀴부; 및
    사용자가 상기 전단부의 상측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전단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접이식 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계단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단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이 "+" 형태로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일 수평 프레임의 전단이 상측에 배치되는 다른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 수직 프레임의 상단이 상측에 배치되는 다른 수평 프레임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방식으로 다수 개가 반복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되며,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이 서로 교차되도록 접철되면서 상기 고정 프레임 방향으로 밀착되면서 길이가 줄어드는 접철식 프레임;
    사용자가 밟고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 마다 설치되는 발판; 및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사용자가 상기 발판을 밟고 올라감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전달받아 완충시켜 주는 바닥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지지대는,
    하측이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대 케이스;
    상기 지지대 케이스로부터 하측이 노출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지지대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 케이스의 내부 상측면과 상기 지지대의 상측 사이를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대 케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아 완충시켜 주는 충격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 완충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 케이스의 내부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 절곡 프레임;
    상기 제1 측면 절곡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다른 일측면이 수직면을 형성하고,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 수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상부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 절곡 프레임;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대 상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1 상부 경사면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1 측면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1 측면 지지 프레임과 좌우 방향의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부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며, 다른 일측면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상부 경사면과 대향하도록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 하부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제2 하부 경사면이 상기 제2 상부 경사면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는 제2 측면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77203A 2021-06-15 2021-06-15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 KR102351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203A KR102351447B1 (ko) 2021-06-15 2021-06-15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203A KR102351447B1 (ko) 2021-06-15 2021-06-15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447B1 true KR102351447B1 (ko) 2022-01-13

Family

ID=7934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203A KR102351447B1 (ko) 2021-06-15 2021-06-15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4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343Y1 (ko) * 1997-07-07 2000-01-15 이우영 접이식 계단
KR20100137818A (ko) * 2009-06-23 2010-12-31 권오봉 접이식 계단
KR20140000836U (ko) * 2012-07-27 2014-02-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스텝 장치
US20140167379A1 (en) * 2012-01-30 2014-06-19 Mac Trailer Manufacturing, Inc. Retractable stair assembly for a truck or trailer
KR101797664B1 (ko) 2015-06-18 2017-11-15 (주)이삭특장차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적재부를 구비하는 특장차
KR102176784B1 (ko) 2020-08-12 2020-11-09 김종목 트레일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343Y1 (ko) * 1997-07-07 2000-01-15 이우영 접이식 계단
KR20100137818A (ko) * 2009-06-23 2010-12-31 권오봉 접이식 계단
US20140167379A1 (en) * 2012-01-30 2014-06-19 Mac Trailer Manufacturing, Inc. Retractable stair assembly for a truck or trailer
KR20140000836U (ko) * 2012-07-27 2014-02-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스텝 장치
KR101797664B1 (ko) 2015-06-18 2017-11-15 (주)이삭특장차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적재부를 구비하는 특장차
KR102176784B1 (ko) 2020-08-12 2020-11-09 김종목 트레일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3410A (en) Retractable underbody truck ramp and method of making
US2818909A (en) Safety seat assembly for vehicles
EP1753641A1 (en) Arrangement for a vehicle side fairing,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side fairing
US5199150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retractable underbody truck ramp
US8376683B2 (en) Low center of gravity carrier
WO2017110735A1 (ja) 車両の下部構造
DE4131998A1 (de) Arbeitstisch zum gebrauch in kraftfahrzeugen
KR102351447B1 (ko) 특장차용 트레일러 장치
US3752526A (en) Vehicle bed
JPWO2018174045A1 (ja) シートバック構造
JP2022541350A (ja) ピックアップトラックのベッドに可逆的に挿入可能な乗員ボックス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レール機構、そのキット及び方法
US20030037979A1 (en) Truck with notched cab
WO2008073026A1 (en) Bed arrangement for vehicles
CN111231785B (zh) 一种可调节卡车座椅
KR102152966B1 (ko) 트레일러 연결 장치
JP5827501B2 (ja) 運搬用台車及び荷下ろし小運搬方法
KR102165003B1 (ko)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CN218172300U (zh) 一种移动平台搬运装置
JP5686500B2 (ja) 搬送台車
GB252983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utility vehicles
GB2409852A (en) Trailers with spring biassed container holding arms
KR102250317B1 (ko) 트레일러 완충 장치
US3797656A (en) Vehicle positioning and restraint apparatus
GB2496617A (en) Vehicle fall arrest system
CN206841226U (zh) 一种汽车后排座椅总成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