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003B1 -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 Google Patents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003B1
KR102165003B1 KR1020190089276A KR20190089276A KR102165003B1 KR 102165003 B1 KR102165003 B1 KR 102165003B1 KR 1020190089276 A KR1020190089276 A KR 1020190089276A KR 20190089276 A KR20190089276 A KR 20190089276A KR 102165003 B1 KR102165003 B1 KR 102165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fixing
predetermined distance
spaced apa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청식
Original Assignee
박청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청식 filed Critical 박청식
Priority to KR102019008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60B11/02Units of separate wheels mounted for independent or coupled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40Articles of daily use
    • B60B2200/43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바퀴와, 상기 제1 바퀴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제2 바퀴로 이루어지는 전방바퀴부재; 상기 제1 바퀴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3 바퀴와, 상기 제2 바퀴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4 바퀴로 이루어지는 후방바퀴부재; 상기 제1 바퀴와 상기 제3 바퀴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하며, 상기 제2 바퀴와 상기 제4 바퀴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 상기 전방바퀴부재와 상기 후방바퀴부재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축부재;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물적재부재;를마련하여, 대차, 핸드트럭, 수레 등의 운송수단의 종류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고, 이들 운송수단의 이동 시 장애물과 접하게 되더라도 장애물을 간편하게 넘어갈 수 있으며, 비포장도로와 같이 울퉁불통한 도로를 따라 이동 시 운송수단을 보다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Handcar for obstacle and shock mitigation}
본 발명은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 또는 짐을 운반 및 이송시키는 핸드카를 끌고 가는 도중에 장애물 또는 울퉁불퉁한 도로에서도 핸드카를 보다 안정되게 끌고 갈 수 있도록 하는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카는 물건을 싣고 옮기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무게가 나가거나 부피가 큰 물건을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고안된 운반용 기구이다.
종래 핸드카는 상면에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바 형태의 구조체로서 받침판을 지지하며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측 하단부에 위치하여 지면과 접촉되게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판에 물건을 올려놓은 후 상기 손잡이를 잡고 지지프레임을 뒤쪽으로 기울이면, 수직의 지지프레임을 통해 물건을 지지한 상태로 핸드카를 움직일 수 있게 되며, 핸드카를 밀거나 당기는 등 운전을 통해 핸드카를 움직임으로써 물건을 운반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카는 바퀴 구조에 의해 평평한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할 것이나, 계단의 층계 등을 접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즉, 핸드카를 잡은 상태에서 받침판에 올려진 물건을 함께 상측방향으로 끌어올려야 하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적재된 물건의 무게에 의해 힘이 많이 들고 상당한 노동력이 요구되며 이동작업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계단의 층계 이외에 도로가의 보도블럭이나 도로간의 경계블럭 등 높은 턱을 올라가는 경우에도 불편함이 존재하는 실정에 있으며, 문턱에 직면할 때에도 그냥 지나가지 못하고 돌아나가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이 대차, 핸드트럭, 수레, 핸드카 등의 이동수단에는 힘을 들이지 않고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각각 설치되는데, 도로가 울퉁불퉁한 비포장 도로 등을 지나게 되는 경우 운송수단 자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사용자에게도 전달되어 장시간 이동 시 사용자에게 피로감을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이동수단에 설치된 바퀴는 장애물과 접하게 되는 장애물을 피해 이동해야 되는 불편이 따르게 되며, 비교적 크기가 작은 장애물을 넘어가게 되더라도 운송수단 및 사용자에게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다목적 핸드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다목적 핸드카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일측단부에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기 받침판과 둔각을 이루는 손잡이 프레임, 상기 손잡이 프레임에 결합되되, 하부는 착탈 가능한 고정 볼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 볼트에 이격되어 결합된 손잡이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일면 하부에 결합되는 바퀴 및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일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변환홀이 형성된 지지발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발을 펼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의 하부가 상기 지지발과 중첩되게 배치한 후 상기 고정 볼트를 상기 변환홀에 나사 결합시키면, 상기 손잡이가 상기 받침판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볼트를 상기 손잡이 프레임에 나사 결합시키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손잡이 프레임과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전동 핸드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전동 핸드카는 상면에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측에 위치하여 지면과 접촉되게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바퀴,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측에 위치하여 결합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된 X자형 링크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접거나 펼침으로써 다리부를 승강시켜 핸드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동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바퀴는 상기 전동승강수단의 다리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전동승강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며, 중심부에 수직의 승강가이드홀이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며, 좌우 양측부에 배치되고 다리부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다리지지대, 상기 다리지지대에 삽입 배치 및 승강이 가이드되도록 지지 결합되며, 하단면이 지면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다리부,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위치하여 수평 배치되는 막대형 몸체이되, 승강가이드홀을 타고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 결합되는 상하이동막대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위치하여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 및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하단부가 각각 고정판에 고정 및 다리부에 고정되고 중간부가 상하이동막대에 고정 결합되는 X자형 링크부재,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고정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 측에 상단부가 고정되어 편심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하이동막대에 고정 결합되는 회전판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60238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79648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001125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핸드카의 이동 시 장애물에 상관없이 핸드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울퉁불퉁한 도로를 따라 핸드카를 이동하게 되더라도 충격을 완화하면서 핸드카의 이동이 양호하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는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바퀴(11)와, 상기 제1 바퀴(11)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제2 바퀴(12)로 이루어지는 전방바퀴부재(10); 상기 제1 바퀴(1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3 바퀴(21)와, 상기 제2 바퀴(12)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4 바퀴(22)로 이루어지는 후방바퀴부재(20); 상기 제1 바퀴(11)와 상기 제3 바퀴(21)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하며, 상기 제2 바퀴(12)와 상기 제4 바퀴(22)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30); 상기 전방바퀴부재(10)의 제1 바퀴(11)와 제2 바퀴(12)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바퀴부재(20)의 제3 바퀴(21)와 제4 바퀴(22)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축부재(40);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물적재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물적재부재(50)는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받침플레이트(51); 화물을 일정 높이로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플레이트(51)의 일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플레이트(52); 상기 화물적재부재(50)가 상기 고정축부재(40)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플레이트(51)의 배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53);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상기 수직플레이트(52)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바퀴(11), 상기 제2 바퀴(12), 상기 제3 바퀴(21) 및 상기 제4 바퀴(22)에는 상기 브래킷부재(30)의 고정구멍(32, 33)에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회전축(13, 23)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부재(30)는 상기 고정축부재(40)가 결합되도록 상기 브래킷부재(30)의 중앙에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구멍(31), 상기 전방바퀴부재(10) 및 후방바퀴부재(20)의 회전축(13, 23)이 상기 브래킷부재(30) 결합되도록 상기 제1 고정구멍(3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고정구멍(32) 및 제3 고정구멍(33); 상기 전방바퀴(10) 및 후방바퀴(20)가 상기 고정구멍(32, 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13, 23)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너트(14, 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바퀴(11) 및 상기 제2 바퀴(12)는 상기 제3 바퀴(21) 및 상기 제4 바퀴(2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바퀴(11) 및 상기 제2 바퀴(12)가 상기 브래킷부재(30)의 일면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 바퀴(11) 및 제2 바퀴(12)의 양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15) 및 제2 플레이트(16);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5, 16)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3 플레이트(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에 의하면, 대차, 핸드트럭, 수레, 핸드카 등의 화물운송수단을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고, 이들 운송수단의 이동 시 장애물과 접하게 되더라도 장애물을 간편하게 넘어갈 수 있으며, 비포장도로와 같이 울퉁불통한 도로를 따라 이동 시 화물운송수단을 보다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에 의하면, 전방바퀴와 후방바퀴로 이루어져 화물운송수단에 보다 많은 하중을 갖는 화물을 실을 수 있고, 이들 운송수단의 이동 중에 전방바퀴와 후방바퀴의 높이차가 높지 않아 화물운송수단을 안정되게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화물을 보다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는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바퀴(11)와, 상기 제1 바퀴(11)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제2 바퀴(12)로 이루어지는 전방바퀴부재(10), 상기 제1 바퀴(1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3 바퀴(21)와, 상기 제2 바퀴(12)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4 바퀴(22)로 이루어지는 후방바퀴부재(20), 상기 제1 바퀴(11)와 상기 제3 바퀴(21)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하며, 상기 제2 바퀴(12)와 상기 제4 바퀴(22)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30), 상기 전방바퀴(10)와 상기 후방바퀴(20)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축부재(40),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물적재부재(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는 동일한 직경의 바퀴 또는 서로 다른 직경의 바퀴를 전후 방향으로 각각 한 쌍으로 설치하여 장애물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손수레, 핸드트럭, 핸드카, 대차 등을 이용하여 비포장도로와 같이 도로의 표면이 웅퉁불퉁한 길을 지나게 되는 경우 손수레, 핸드카 등의 운송수단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비교적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한 쌍으로 이루어진 2개의 바퀴(11, 12, 21, 22)에 의해 전방에 설치된 바퀴가 장애물 또는 비포장도로의 움푹 패인 곳 또는 돌출 부분을 지나게 되는 경우 앞바퀴 및 뒷바퀴가 비교적 낮은 높이차를 유지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줌으로써, 화물운송수단을 수평에 준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물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는 고정축부재(40)의 전방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전방바퀴부재(10), 상기 고정축부재(40)의 후방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후방바퀴부재(20),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전방바퀴부재(10)와 후방바퀴부재(20)가 설치되는 브래킷부재(30) 및 상기 브래킷부재(30)에 설치되는 고정축부재(40) 및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부재(40)에 설치되는 화물적재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바퀴부재(10)는 고정축부재(40)를 기준으로 핸드카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 바퀴(11)와 상기 제1 바퀴(11)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바퀴(11)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설치되는 제2 바퀴(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바퀴(11)와 제2 바퀴(12)의 일 측면에는 바퀴(11, 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축(13)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13)에는 전방바퀴부재(10)가 브래킷부재(30)에 설치되도록 회전축(13)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4)가 구비된다.
상기 후방바퀴부재(20)는 고정축부재(40)를 기준으로 핸드카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후방바퀴부재(20)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제3 바퀴(21)와 제4 바퀴(22)로 이루어지며, 각 바퀴(21, 22)의 일측에는 회전축(23)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3)에 체결되는 고정너트(24)가 구비된다.
상기 브래킷부재(3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부재(30)의 중앙에는 고정축부재(40)가 결합되도록 제1 고정구멍(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구멍(3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브래킷부재(30)의 일측에는 제2 고정구멍(32)이 형성되며, 브래킷부재(30)의 타측에는 제3 고정구멍(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부재(30)에는 고정축부재(40)를 결합시키는 고정브래킷(42)이 설치되도록 제4 고정구멍(3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바퀴(11), 상기 제2 바퀴(12), 상기 제3 바퀴(21) 및 상기 제4 바퀴(22)에는 상기 브래킷부재(30)의 고정구멍(32, 33)에 각각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회전축(13, 23)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부재(30)는 상기 고정축부재(40)가 결합되도록 상기 브래킷부재(30)의 중앙에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구멍(31), 상기 전방바퀴부재(10) 및 후방바퀴부재(20)의 회전축(13, 23)이 상기 브래킷부재(30) 결합되도록 상기 제1 고정구멍(3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고정구멍(32) 및 제3 고정구멍(33), 상기 전방바퀴(10) 및 후방바퀴(20)가 상기 고정구멍(32, 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13, 23)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너트(14, 2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축부재(40)는 전방바퀴부재(10)와 후방바퀴부재(20)가 동시에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축부재(40)는 전방바퀴부재(10)의 제1 바퀴(11)와 제2 바퀴(12), 후방바퀴부재(20)의 제3 바퀴(21)와 제4 바퀴(22)를 이격시키고자 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부재(40)의 양측에는 각각 소정의 길이로 나사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41)의 내측에는 브래킷부재(30)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42)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래킷(42)에는 고정축부재(40)가 결합되도록 결합구멍(4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43)의 양측에는 고정볼트(45)가 결합되도록 고정구멍(4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42)에는 브래킷부재(30)와 고정브래킷(42)을 체결하는 고정볼트(45) 및 상기 고정볼트(45)에 체결되는 고정너트(46)가 구비된다.
상기 화물적재부재(50)는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받침플레이트(51), 화물을 일정 높이로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플레이트(51)의 일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플레이트(52), 상기 화물적재부재(50)가 상기 고정축부재(40)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플레이트(52)의 배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53),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상기 수직플레이트(52)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55)를 포함한다.
상기 화물적재부재(50)의 받침플레이트(51)는 화물이 안정되게 놓여지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51)의 일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수직플레이트(52)가 고정된다.
이러한 수직플레이트(52)는 받침플레이트(51)의 상면에 적재되는 화물 등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52)의 배면에는 대략 삼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플레이트(53)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3)에는 고정축부재(40)에 결합되도록 결합구멍(54)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52)의 상면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55)가 설치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의 고정축부재(40)에는 고정브래킷(42)을 결합하고, 상기 고정브래킷(42)의 일면에는 브래킷부재(30)의 제1 고정구멍(31)을 끼워 결합한다.
이와 같이 브래킷부재(30)와 고정브래킷(42)을 맞댄 상태에서 브래킷부재(30)의 제4 고정구멍(34)과 고정브래킷(42)의 고정구멍(44)에 고정볼트(45)를 끼운 다음 고정너트(46)를 체결한다.
이에 상기 고정축부재(40)의 양측에는 각각 브래킷부재(30)가 결합되며, 상기 브래킷부재(30)가 고정축부재(40)에 고정되도록 고정축부재(40)의 나사부(41)에는 고정볼트(41a)를 체결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브래킷부재(30)의 제2 고정구멍(32)에는 전방바퀴부재(10)의 제1 바퀴(11)의 회전축(13)을 끼워 결합하고, 브래킷부재(30)의 제3 고정구멍(33)에는 후방바퀴부재(20)의 제3 바퀴(21)의 회전축(23)을 끼워 결합한다.
상기 회전축(13, 23)에는 각각 고정너트(14, 24)를 체결하여 전방바퀴부재(10)와 후방바퀴부재(20)를 브래킷부재(30)에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브래킷부재(30)의 제2 고정구멍(32)에는 전방바퀴부재(10)인 제1 바퀴(11)와 제2 바퀴(12)가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부재(30)의 제3 고정구멍(33)에는 후방바퀴부재(20)인 제3 바퀴(21)와 제4 바퀴(22)가 설치된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가 장애물을 넘어가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손수레, 밀대, 핸드카 등의 화물운송수단에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이나 물건 등을 싣고서 이동하게 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물운송수단의 이동 중에 장애물과 접촉하게 되는 경우, 상기 전방바퀴부재(10)의 제1 바퀴(11)와 상기 제2 바퀴(12)는 장애물과 접하게 되고, 상기 화물운송수단을 끌어당기거나 잡아당기게 됨에 따라 장애물의 상면으로 상승하게 된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카의 전방에 설치된 제1 바퀴(11)와 제2 바퀴(12)는 장애물의 상면으로 상승 이동되고, 전방바퀴(11, 12)는 장애물을 넘어가게 되면서 상기 제3 바퀴(21)와 제4 바퀴(22)는 장애물의 표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도 6(c)에서와 같이, 상기 전방바퀴(11, 12)는 장애물의 오른쪽으로 이동되고, 후방바퀴(21, 22)는 장애물의 왼쪽에 접하게 된다.
상기 운송수단을 이동시킴에 따라 도 6(d)에서와 같이, 상기 전방바퀴(11, 12)는 장애물의 상면에서 하부로 하강되어 지면에 닿게 되고, 상기 후방바퀴(21, 22)는 장애물의 상면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운송수단을 이동시킴에 따라 후방바퀴(21, 22)는 지면에 닿게 되어 안정되게 이동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전방바퀴부재(10)와 후방바퀴부재(20)의 상승 높이는 h 높이만큼 상승하게 되며, 이는 장애물 뿐만 아니라 비포장도로와 같이 울퉁불퉁한 노면을 따라 이동 시에 전방바퀴(11, 12)와 후방바퀴(21, 22)의 높이 차이로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전방바퀴(11, 12)와 후방바퀴(21, 22)의 높이차는 통상의 바퀴에 비하여 대략 1/2 높이 이하로 요동하게 되어 운송수단의 이동을 보다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브래킷부재(30) 및 고정축부재(40)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전방바퀴(11, 12) 또는 후방바퀴(21, 22) 중 어느 하나를 다른 구조로 설치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전방바퀴(11, 12)를 보다 작은 직경의 바퀴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1 바퀴(11) 및 상기 제2 바퀴(12)는 상기 제3 바퀴(21) 및 상기 제4 바퀴(2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바퀴(11) 및 상기 제2 바퀴(12)가 상기 브래킷부재(30)의 일면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 바퀴(11) 및 제2 바퀴(12)의 양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15) 및 제2 플레이트(15),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5, 16)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3 플레이트(17)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바퀴(11, 12)는 브래킷부재(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방바퀴(11, 12)는 후방바퀴(21, 2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브래킷부재(30)에 설치되도록 다수의 플레이트(15~17)가 구비된다.
상기 전방바퀴(11, 12)의 일측면에는 제1 플레이트(15)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바퀴(11, 12)의 타측면에는 제2 플레이트(16)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15)와 제2 플레이트(16)의 상면에는 제3 플레이트(17)가 설치된다.
상기 전방바퀴(11, 12)는 브래킷부재(30)의 제2 고정구멍(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부재(30)에는 전방바퀴(11, 21)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일측에 소정의 크기를 갖는 평판으로 이루어진 상판(35)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35)의 저면에는 중간고정판(36)이 설치된다.
이들 상판(35)과 중간고정판(36)은 볼트(37a)와 너트(37b)로 고정되며, 상기 중간고정판(36)의 저면에는 하판(38)이 설치된다. 상기 하판(38)은 제3 플레이트(17)와 중간고정판(36) 사이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전방바퀴부재 11: 제1 바퀴
12: 제2 바퀴 13: 회전축
14: 고정너트 15: 제1 플레이트
16: 제2 플레이트 17: 제3 플레이트
20: 후방바퀴부재 21: 제3 바퀴
22: 제4 바퀴 23: 회전축
24: 고정너트
30: 브래킷부재 31: 제1 고정구멍
32: 제2 고정구멍 33: 제3 고정구멍
34: 제4 고정구멍
40: 고정축부재 41: 나사부
42: 고정브래킷 43: 결합구멍
44: 고정구멍 45: 고정볼트
46: 고정너트
50: 화물적재부재 51: 받침플레이트
52: 수직플레이트 53: 고정플레이트
54: 결합구멍 55: 손잡이

Claims (4)

  1.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바퀴(11)와, 상기 제1 바퀴(11)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제2 바퀴(12)로 이루어지는 전방바퀴부재(10);
    상기 제1 바퀴(1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3 바퀴(21)와, 상기 제2 바퀴(12)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4 바퀴(22)로 이루어지는 후방바퀴부재(20);
    상기 제1 바퀴(11)와 상기 제3 바퀴(21)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하며, 상기 제2 바퀴(12)와 상기 제4 바퀴(22)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30);
    상기 전방바퀴부재(10)의 제1 바퀴(11)와 제2 바퀴(12)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바퀴부재(20)의 제3 바퀴(21)와 제4 바퀴(22)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며, 양측에는 각각 소정의 길이로 나사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41)의 내측에는 브래킷부재(30)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42)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래킷(42)에는 결합구멍(43)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멍(43)의 양측에는 브래킷부재(30)와 고정브래킷(42)을 체결하는 고정볼트(45)가 결합되도록 고정구멍(4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45)에 체결되는 고정너트(46)가 구비된 고정축부재(40);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물적재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바퀴(11), 상기 제2 바퀴(12), 상기 제3 바퀴(21) 및 상기 제4 바퀴(22)에는 상기 브래킷부재(30)의 고정구멍(32, 33)에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회전축(13, 23)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부재(30)는
    상기 고정축부재(40)가 결합되도록 상기 브래킷부재(30)의 중앙에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 고정구멍(31),
    상기 전방바퀴부재(10) 및 후방바퀴부재(20)의 회전축(13, 23)이 상기 브래킷부재(30)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고정구멍(3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 고정구멍(32) 및 제3 고정구멍(33);
    상기 전방바퀴부재(10) 및 후방바퀴부재(20)가 상기 고정구멍(32, 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13, 23)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너트(14, 24);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적재부재(50)는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받침플레이트(51);
    화물을 일정 높이로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플레이트(51)의 일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플레이트(52);
    상기 화물적재부재(50)가 상기 고정축부재(40)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플레이트(52)의 배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53);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상기 수직플레이트(52)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2. 삭제
  3. 삭제
  4.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바퀴(11)와, 상기 제1 바퀴(11)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제2 바퀴(12)로 이루어지는 전방바퀴부재(10);
    상기 제1 바퀴(1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제3 바퀴(21)와, 상기 제2 바퀴(12)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4 바퀴(22)로 이루어지는 후방바퀴부재(20);
    상기 제1 바퀴(11)와 상기 제3 바퀴(21)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하며, 상기 제2 바퀴(12)와 상기 제4 바퀴(22)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30);
    상기 전방바퀴부재(10)의 제1 바퀴(11)와 제2 바퀴(12)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바퀴부재(20)의 제3 바퀴(21)와 제4 바퀴(22)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정축부재(40);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물적재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바퀴(11) 및 상기 제2 바퀴(12)는 상기 제3 바퀴(21) 및 상기 제4 바퀴(2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바퀴(11) 및 상기 제2 바퀴(12)가 상기 브래킷부재(30)의 일면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 바퀴(11) 및 제2 바퀴(12)의 양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15) 및 제2 플레이트(16);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플레이트(15, 16)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3 플레이트(17);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적재부재(50)는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받침플레이트(51);
    화물을 일정 높이로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플레이트(51)의 일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플레이트(52);
    상기 화물적재부재(50)가 상기 고정축부재(40)에 고정되도록 상기 수직플레이트(52)의 배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53);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상기 수직플레이트(52)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KR1020190089276A 2019-07-24 2019-07-24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KR102165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76A KR102165003B1 (ko) 2019-07-24 2019-07-24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276A KR102165003B1 (ko) 2019-07-24 2019-07-24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003B1 true KR102165003B1 (ko) 2020-10-14

Family

ID=7284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276A KR102165003B1 (ko) 2019-07-24 2019-07-24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33A (ko) * 2021-04-27 2022-11-03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감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259A (ja) * 1994-02-16 1995-08-29 Yasuyuki Kawamorita 階段等用走行装置
JPH10226337A (ja) * 1997-02-12 1998-08-25 Akatsui Katsumi 階段および段差昇降に適した車輪装置およびハンドカート
KR20090011252U (ko) 2008-04-30 2009-11-04 김수연 볼 캐스터를 구비한 핸드카
KR20100031189A (ko) * 2008-09-12 2010-03-22 이동철 접이식 손수레
KR200460238Y1 (ko) 2011-10-14 2012-05-10 김형선 다목적 핸드카
KR200479648Y1 (ko) 2015-03-24 2016-02-22 오배근 전동 핸드카
KR20190029494A (ko) * 2017-09-12 2019-03-20 박상욱 핸드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259A (ja) * 1994-02-16 1995-08-29 Yasuyuki Kawamorita 階段等用走行装置
JPH10226337A (ja) * 1997-02-12 1998-08-25 Akatsui Katsumi 階段および段差昇降に適した車輪装置およびハンドカート
KR20090011252U (ko) 2008-04-30 2009-11-04 김수연 볼 캐스터를 구비한 핸드카
KR20100031189A (ko) * 2008-09-12 2010-03-22 이동철 접이식 손수레
KR200460238Y1 (ko) 2011-10-14 2012-05-10 김형선 다목적 핸드카
KR200479648Y1 (ko) 2015-03-24 2016-02-22 오배근 전동 핸드카
KR20190029494A (ko) * 2017-09-12 2019-03-20 박상욱 핸드 리프트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33A (ko) * 2021-04-27 2022-11-03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230062798A (ko) * 2021-04-27 2023-05-09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감시 장치
KR102529326B1 (ko) * 2021-04-27 2023-05-09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230064605A (ko) * 2021-04-27 2023-05-10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감시 장치
KR20230064606A (ko) * 2021-04-27 2023-05-10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감시 장치
KR20230065218A (ko) * 2021-04-27 2023-05-11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감시 장치
KR20230066290A (ko) * 2021-04-27 2023-05-15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감시 장치
KR102536502B1 (ko) 2021-04-27 2023-05-30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감시 장치
KR102536505B1 (ko) 2021-04-27 2023-05-30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감시 장치
KR102536504B1 (ko) 2021-04-27 2023-05-30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감시 장치
KR102536503B1 (ko) 2021-04-27 2023-05-30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감시 장치
KR102536501B1 (ko) 2021-04-27 2023-05-30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감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6314B1 (en) Foldable cart system and method
US7322586B1 (en) Non-powered transportable cart
US6655895B1 (en) High-strength vehicle-mounted cargo transport apparatus
RU2461486C2 (ru) Складной прицеп
US20100019469A1 (en) Trailer with adjustable elevation
US20090155033A1 (en)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CN201932204U (zh) 卷烟周转箱搬运器
US9573639B1 (en) Wheel retraction assembly, cart and related components
US20120237331A1 (en) Portable Unloading Dock
KR102165003B1 (ko)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US4310166A (en) Transport apparatus especially for goods, capable of travelling over stairs
US20050019143A1 (en) Dolly and trailer jack combination and method of use
CN213651756U (zh) 一种手推电动叉车
KR101617602B1 (ko) 휠 캠버 변화에 의한 들어올림 효과를 갖는 팔레트를 들어올리고 이동시키기 위한 수동식 롤링 디바이스
JP2008143458A (ja) 折り畳み式リヤカー
US3199891A (en) Wheelbarrow having a resiliently mounted wheel
CN106809265B (zh) 一种爬升载运车
KR20170039848A (ko) 지렛대식 견인간 장착형 카트
US4666359A (en) Towable dolly
CN101758844A (zh) 新型手推车
FR2900894A1 (fr) Struture de chassis de tracteur
US10611420B2 (en) Single-wheel drop-floor trailer
CN201729170U (zh) 省力手推车
JP6621270B2 (ja) 改良されたアンダーリフトに採用される荷重変換機構
US20060273548A1 (en) Dolly and trailer jack combination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