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494A - 핸드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494A
KR20190029494A KR1020180109223A KR20180109223A KR20190029494A KR 20190029494 A KR20190029494 A KR 20190029494A KR 1020180109223 A KR1020180109223 A KR 1020180109223A KR 20180109223 A KR20180109223 A KR 20180109223A KR 20190029494 A KR20190029494 A KR 20190029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sprocket
support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5197B1 (ko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박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욱 filed Critical 박상욱
Publication of KR2019002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pow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고 제1 스프로킷이 설치된 상단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2스프로킷이 설치된 하단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스프로킷 및 상기 제2 스프로킷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체인; 상기 체인과 연결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화물이 적재되도록 구성된 적재유닛; 상기 적재유닛이 승하강하도록 상기 체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유닛; 상기 프레임부가 형성하는 영역 중 상기 적재유닛이 승하강하는 범위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근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구동을 조절하여 상기 적재유닛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마련하여 적재 화물이 기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도록 적재유닛을 자동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으면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 리프트 장치{Hand lift device}
본 발명은 핸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재유닛을 자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고,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여 적재 안정성을 높이며, 적재유닛의 탈부착 방식을 간편하게 구성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핸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 리프트 장치 (핸드 트럭, 운반대차 등) 은 무거운 화물을 적재하고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핸드 리프트 장치는 단순히 적재플레이트에 화물을 적재한 후에 일정 각도로 눕힌 다음 바퀴를 이용하여 일정 거리까지 운반을 하는 방식과,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플레이트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방식이 사용된다.
종래에 핸드 리프트 장치는 작업자가 복수의 화물을 적재플레이트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처음에 화물을 바닥까지 내려가 있는 적재플레이트 위에 놓을 때에 허리를 굽혀 적재하여야 하고, 그 위에 순서대로 화물을 적재하는 동안 허리를 굽히거나 펴는 등 신체에 무리를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반대로, 핸드 리프트 장치의 적재플레이트에 복수로 적재된 화물을 하역할 때에도 화물을 옮기기 위하여 허리를 굽히거나 펴는 작업을 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더욱이 적재된 복수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핸드 리프트 장치를 일정 각도로 눕혀야 하지만, 여성 등의 노약자가 핸드 리프트 장치에 복수로 적재된 화물의 무게 때문에 쉽게 핸드 리프트 장치를 일정 각도로 눕히거나 바로 세우는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선행특허문헌 1은 핸드 트럭에 적재된 물품을 이동함에 있어 평지에서는 차륜과 등반 보조 유닛으로 인해 안정적인 구조로 이동함과 아울러 계단과 같은 일정 높이의 단차가 형성된 장소에서는 내부 동력을 통한 등반 유닛의 회전 등반으로 물품을 안정적으로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킬 수 있는 핸드 트럭을 개시한다. 선행특허문헌 1 은 물품을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혹은 낮은 위치에 있는 물품을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를 위하여 리프트 유닛을 구비하고 있기는 하지만, 개시된 핸드 트럭은 구조가 복잡하고 자체 중량이 크며 제작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선행특허문헌 2는 핸드카에 모터를 마련하여 동력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구동과 적재판을 상승 또는 하강하는 리프트기능을 갖는 핸드카를 개시한다.
선행특허문헌 2는 물품을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혹은 낮은 위치에 있는 물품을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를 위하여 리프트 유닛을 구비하고 있기는 하지만, 적재판에 고중량의 물품이 놓이게 되는 경우 리프트 기능을 부여하는 체인을 강고히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적재 안정성에 한계가 있는 구조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8561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3138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적재 화물이 기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도록 적재유닛을 자동으로 승하강시켜,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으면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는 핸드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체인에 장력을 부가하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적재유닛에 고중량의 적재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에도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여 적재 안정성을 높인 핸드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재유닛이 탈부착되도록 구성하되 그 탈부착 방식을 간편하게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나사 결합 방식과 같은 번거로운 탈부착 방식에서 탈피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한 핸드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고 제1 스프로킷이 설치된 상단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2스프로킷이 설치된 하단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스프로킷 및 상기 제2 스프로킷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체인; 상기 체인과 연결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화물이 적재되도록 구성된 적재유닛; 상기 적재유닛이 승하강하도록 상기 체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유닛; 상기 프레임부가 형성하는 영역 중 상기 적재유닛이 승하강하는 범위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근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구동을 조절하여 상기 적재유닛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의 상단부의 높이를 기설정된 높이로 유지하도록 상기 동력전달유닛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유닛이 하강하도록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구동하는 적재 (load) 모드의 경우, 상기 센서부로부터 화물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력전달유닛의 구동을 유지하고, 상기 적재유닛이 상승하도록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구동하는 하적 (unload) 모드의 경우, 상기 센서부로부터 화물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력전달유닛의 구동을 중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적재유닛의 승하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근접센서를 지지하면서 상기 근접센서가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센서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정역회전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축과 맞물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제3 스프로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프로킷은,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이 이루는 일진선상의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체인은, 상기 제1 스프로킷, 상기 제2 스프로킷 및 상기 제3 스프로킷에 맞물리게 설치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제3 스프로킷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타단이 상기 제3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체인이 상기 제3 스프로킷을 감싸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여 상기 체인에 장력을 제공하는 체인텐셔너;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과 상기 회전축에는 웜과 웜기어어가 각각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재유닛은,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부재와, 화물이 적재되는 수평패널을 구비하는 적재부재와, 상기 적재부재가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배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하부에서 상기 승강부재의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돌출부와 상기 적재부재의 돌출부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적재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적재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로드셀(load cel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부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지지부는, 내측에 상기 프레임부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슬롯을 형성하여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지지구조물; 상기 프레임지지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지지구조물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수행 가능한 휠; 및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단부에 상기 프레임부의 이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캐스터를 구비하는 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은 마그네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포크는 상기 지지패널의 표면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휠은,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휠 모터; 및 상기 휠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휠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통하여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휠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상향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프레임부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을 지지하는 수직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은,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프레임부의 양 측면 및 후면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서거나, 앉은 상태로 탑승 가능한 탑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마련하여 적재 화물이 기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도록 적재유닛을 자동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으면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적재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체인에 장력을 부가하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적재유닛에 고중량의 적재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에도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여 적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적재유닛이 탈부착되도록 구성하되 그 탈부착 방식을 간편하게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나사 결합 방식과 같은 번거로운 탈부착 방식에서 탈피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의 정면의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의 배면의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의 센서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의 동력전달유닛 및 체인텐셔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의 동력전달유닛 및 체인텐셔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의 적재유닛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의 프레임부로부터 이동 지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의 프레임부에 고정 지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에 탑승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는 핸드 리프트 장치의 센서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핸드 리프트 장치의 동력전달유닛 및 체인텐셔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8은 핸드 리프트 장치의 적재유닛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프레임부 (110), 프레임부 (110) 의 길이 방향 따라 배치된 체인 (120), 체인 (120) 에 연결되고 화물이 적재되도록 구성된 적재유닛 (130), 적재유닛 (130) 이 승하강하도록 체인 (120) 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유닛 (140), 적재유닛 (130) 에 적재된 화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150) 및 센서부 (150) 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동력전달유닛 (140) 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16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부 (110) 한 쌍의 수직프레임 (111), 상단프레임 (112) 및 하단프레임 (113) 을 포함한다.
한 쌍의 수직프레임 (111) 은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구비되고, 수직프레임 (111) 외측으로는 가이드레일 (114) 이 형성된다. 상단프레임 (112) 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 (111) 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고, 상단프레임 (112) 에는 제1 스프로킷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미도시, 도 6 참조) 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단프레임 (113) 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 (111) 의 하측에 고정 결합되고, 하단프레임 (113) 에는 제2 스프로킷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미도시, 도 6 참조) 이 설치된다.
체인 (120) 은 제1 스프로킷 (115) 및 제2 스프로킷 (116) 에 맞물리게 설치된다. 체인 (120) 은 후술할 동력전달유닛 (140) 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제1 스프로킷 (115) 및 제2 스프로킷 (116) 에 맞물려 이동하게 된다.
제1 스프로킷 (115) 과 제2스프로킷 (116) 은 체인 (120) 이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체인 (120) 을 지지하는 풀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스프로킷 (115) 및 제2 스프로킷 (116) 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상단프레임 (112) 및 하단프레임 (113) 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유닛 (130) 은 체인 (120) 에 연결되고 수직프레임 (111) 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적재유닛 (130) 은 수직프레임 (111) 에 연결된 승강부재 (131) 와, 승강부재 (131) 에 결합된 적재부재 (132) 를 포함한다.
승강부재 (131) 는 수직프레임 (111) 에 형성된 가이드레일 (114) 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승강부재 (131) 의 의 배면으로 체인 (120) 이 연결되고, 승강부재 (131) 의 정면으로 적재부재 (132) 가 연결된다. 적재부재 (132) 는 승강부재 (131) 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수직패널 (132a) 과 화물을 적재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패널 (132b) 로 구성된다. 수직패널 (132a) 및 수평패널 (132b) 은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재 (131) 및 적재부재 (132) 는 종래의 볼트-결합방식에서 개선된 방식으로서 결합부재 (133) 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동력전달유닛 (140) 은 적재유닛 (130) 이 승하강하도록 승강부재 (131) 와 연결된 체인 (120) 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체인 (120) 이 상단프레임 (112) 에 설치된 제1 스프로킷 (115) 에 기어 결합되고, 동력전달유닛 (140) 에 연결되고, 하단프레임 (113) 에 설치된 제2 스프로킷 (116) 과 기어 결합되고, 승강부재 (131) 의 배면에 연결됨으로써,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력이 체인 (120) 을 통해 적재유닛 (130) 에 제공된다. 이러한 동력전달유닛 (140) 은 수직프레임 (111) 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유닛 (140) 은 정역회전하는 전동모터 (141) 를 포함하여, 전동모터 (141) 로부터의 구동력을 체인으로 전달한다.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 (141) 는 바람직하게 브러쉬리스 (brushless) 모터일 수 있고, 그 밖에도 전동모터 (141) 로는 스테핑 (stepping) 모터, 서보 (servo) 모터 등 공지의 다양한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동모터 (141) 와 체인 (120) 의 사이에는 전동모터 (141) 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의 구성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동모터 (141) 의 회전력이 감속기를 거쳐 체인 (120) 으로 전달되게 된다.
그 밖의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센서부 (150) 는 적재유닛 (130) 에 적재된 화물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 (150) 는 적재유닛 (130) 에 적재된 화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151) 와, 근접센서 (151) 를 지지하는 센서지지부 (152)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근접센서 (151) 는 센서지지부 (152) 의 양단의 범위에서 수직프레임 (111) 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된다. 이때, 근접센서 (151) 가 센서지지부 (152) 의 가장 아래 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근접센서 (151) 는 적재유닛 (130) 이 승하강하는 범위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근접센서 (151) 는 물체 (본 발명에서는 화물) 가 접근해 왔을 때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홀센서, 광센서와 같은 공지의 다양한 근접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 (150) 는 로드셀(load cell, 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로드셀 (153)은 적재유닛 (130)의 수평패널 (132b)의 하면에 설치되어 적재유닛 (130)의 내측에 개재되고, 적재유닛 (130)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을 감지하여 이의 신호를 제어부 (16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 (160) 는 센서부 (150) 로부터의 화물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적재유닛 (130) 의 승하강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적재된 화물의 높이 혹은 화물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적재유닛 (130) 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160) 는 센서부 (150) 의 근접센서 (151)로부터 전송된 감지 신호에 따라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을 조절함으로써 적재유닛 (130) 의 승하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 (160) 는 센서부 (150) 로부터의 화물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적재유닛 (130) 에 적재된 화물의 상단부의 높이를 기설정된 높이로 유지하도록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 (160) 가 적재유닛 (130) 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로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 (load) 모드' 또는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로부터 화물을 하적하는 '하적 (unloa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적재모드' 는 작업자가 적재유닛 (130) 으로 짐을 싣는 경우의 자동 동작 모드이다. 복수 개의 짐을 싣는 경우 통상 작업자는 하나의 화물을 적재한 후 그 화물의 상부에 다음 화물을 적재하게 되는데, 다음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통상 이전에 적재된 화물의 높이만큼 더 높게 들어 다음 화물을 적재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의 허리에는 큰 하중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작업자가 복수 개의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화물을 드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전에 적재된 화물의 높이만큼 적재유닛 (130) 이 하강하도록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적재유닛 (130) 이 하강하도록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되는 '적재모드' 에서, 제어부 (160) 는 센서부 (150) 로부터 화물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을 유지하고, 센서부 (150) 로부터 화물 감지 신호의 수신이 중단되는 경우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을 중지한다.
반대로, '하적모드' 는 작업자가 적재유닛 (130) 으로부터 짐을 내리는 경우의 자동 동작 모드이다. 복수 개의 짐을 내리는 경우 통상 작업자는 하나의 화물을 하적한 후 그 화물의 하부에 위치한 다음 화물을 하적하게 되는데, 다음 화물을 하적하기 위해서는 통상 이전에 하적한 화물의 높이만큼 더 낮게 허리를 숙여 다음 화물을 하적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의 허리에는 큰 하중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작업자가 복수 개의 화물을 하적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화물을 드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전에 하적된 화물의 높이만큼 적재유닛 (130) 이 상승하도록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적재유닛 (130) 이 상승하도록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되는 '하적모드' 에서, 제어부 (160) 는 센서부 (150) 로부터 화물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을 유지하고, 센서부 (150) 로부터 화물 감지 신호의 수신되는 경우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을 중지한다.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이러한 자동 동작 모드 (적재모드, 하적모드) 의 구동을 통해 적재 화물이 기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으면서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종래의 적재, 하적의 단순 반복의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의 고질적인 허리 통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의 작업 효율을 상당히 상당히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제어부 (160) 는 센서부 (150) 의 로드셀 (153)로부터 전송된 감지 신호에 따라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을 조절함으로써 적재유닛 (130) 의 승하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 (160) 는 선택된 구동모드에 따라, 센서부 (150) 로부터 전송된 화물 감지 신호, 즉 적재유닛 (130) 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에 관한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적재유닛 (130) 에 적재된 화물의 상단부의 높이를 기설정된 높이로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적재유닛 (130) 이 하강하도록 동력전달유닛 (140) 이 구동되는 '적재모드' 에서, 제어부 (160) 는 센서부 (150) 로부터 수신된 화물 감지 신호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신호와 실시간 비교하고, 화물 감지 신호가 제1 기준신호에 도달할 때까지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을 유지한다. 여기서, 제1 기준신호는 적재될 화물의 총 하중에 대응되는 신호로 설정될 수 있다.
반대로, 적재유닛 (130) 이 상승하도록 동력전달유닛 (140) 이 구동되는 '하적모드' 에서, 제어부 (160) 는 센서부 (150) 로부터 수신된 화물 감지 신호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신호와 실시간 비교하고, 화물 감지 신호가 제2 기준신호에 도달할 때까지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을 유지한다. 여기서, 제2 기준신호는 0의 값에 대응되는 신호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에 포함된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고, 동력전달유닛 (140) 이 핸드 리프트 장치 (100) 적재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채용한 특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동력전달유닛 (140) 은 전동모터 (141), 전동모터 (141) 의 구동축과 맞물리는 회전축 (142) 과, 회전축 (142) 에 연결된 제3 스프로킷 (143) 을 포함한다. 체인 (120) 은 제1 스프로킷 (115), 제3 스프로킷 (143) 및 제2 스프로킷 (116) 에 순차적으로 기어 결합되고, 승강부재 (131) 의 배면에 연결됨으로써 전동모터 (141) 의 구동력을 적재유닛 (130) 에 제공한다. 전동모터 (141) 의 구동축, 회전축 (142), 제3 스프로킷 (143) 이 서로 맞물려 동작하면서 동력전달유닛 (140) 의 구동력이 체인 (120) 으로 전달된다. 이때, 전동모터 (141) 의 구동축과 회전축 (142) 에는 웜과 웜기어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제3 스프로킷 (143) 은 제1 스프로킷 (115) 과 제2 스프로킷 (116) 의 사이에 배치되되, 제1 스프로킷 (115) 과 제2 스프로킷 (116) 이 이루는 일직선상의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프로킷 (115), 제3 스프로킷 (143) 및 제2 스프로킷 (116) 을 잇는 체인은 제3 스프로킷 (143) 의 부근에서 'ㄷ'자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력전달유닛 (140) 은 일단 (144a) 이 체인 (120) 의 제1 스프로킷 (115) 과 제3 스프로킷 (143)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타단 (144b) 이 제3 스프로킷 (143) 과 제2 스프로킷 (116)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여, 체인 (120) 에 장력을 제공하는 체인텐셔너 (144)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인텐셔너 (144) 는 체인 (120) 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인 (120) 에 추가적인 장력을 부가하는 부재로서, 체인 (120) 의 장력이 기설정된 정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체인텐셔너 (144) 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프링일 수 있다.
체인텐셔너 (144) 는 체인 (120) 이 제3 스프로킷 (143) 을 감싸도록 기어 결합 부근에서, 일단 (144a) 및 타단 (144b)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체인 (120) 을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체인텐셔너 (144) 는 제3 스프로킷 (143) 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인텐셔너 (144) 의 일단 (144a) 및 타단 (144b)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체인텐셔너 (144) 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동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 (144b) 이 장홀에 끼움 결합되어, 타단 (144b) 의 부근에서 체인텐셔너 (144) 가 체인 (120) 에 가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재유닛 (130) 에 고중량의 하중이 실리는 경우 체인 (120) 이 일시적으로 처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체인텐셔너 (144) 의 타단 (144b) 이 장홀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며 체인 (120) 에 장력을 부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이러한 제3 스프로킷 (143) 및 체인텐셔너 (144) 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일직선으로 체인이 연결되는 경우보다 체인 (120) 이 스프로킷에서 헛도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인 (120) 이 느슨해진 만큼 체인 (120) 에 장력을 부가함으로써 적재유닛 (130) 에 고중량의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에도 적재 안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체인텐셔너 (144) 의 탄성계수는 대상이 되는 화물의 무게, 체인 (120) 의 사양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설정되면 되고, 고장력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탄성계수가 큰 체인텐셔너 (144) 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제3 스프로킷 (143) 과 체인텐셔너 (144) 를 포함함으로써, 제1 스프로킷 (115) 과 제2 스프로킷 (116) 만으로 체인 (120) 을 연결하는 경우보다 적재 안성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에 포함된 적재유닛 (130) 의 승강부재 (131) 및 적재부재 (132)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승강부재 (131) 와 적재부재 (132) 가 결합되는 방식에 있어, 종래의 볼트-결합방식보다 개선된 방식을 채용한다. 구체적으로 적재유닛 (130) 은 승강부재 (131) 및 적재부재 (132) 결합하는 결합부재 (133) 의 끼움 고정 방식에 의하여 승강부재 (131) 및 적재부재 (132) 를 결합한다.
승강부재 (131) 는 배면과 하단에 돌출부 (131a, 131b) 를 포함하고, 적재부재 (132) 는 승강부재 (131) 의 상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 (132c) 와, 하부에서 승강부재 (131) 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132d) 를 포함한다. 이때, 승강부재 (131) 의 돌출부 (131b) 와 적재부재 (132) 의 돌출부 (132d) 는 승강부재 (131) 와 적재부재 (132) 가 서로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 (133) 는 승강부재 (131) 의 돌출부 (131a, 131b) 와 적재부재 (132) 의 돌출부 (132d) 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승강부재 (131) 와 적재부재 (132) 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적재유닛 (130) 의 결합 방식에 따르면, 종래의 승강부재 (131) 와 적재부재 (132) 의 볼트-너트 결합의 번거로운 방식과 달리, 결합부재 (133) 의 끼움 방식만으로 승강부재 (131) 와 적재부재 (132) 가 서로 강고히 고정될 수 있다. 볼트-너트 결합이나, 나사결합의 경우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볼트나 나사를 풀고, 다시 조이는 방식으로 적재유닛 (130) 을 조립해야하는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적재유닛 (130) 은 이러한 결합부재 (133)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작업자는 별도의 도구 없이 비교적 단순한 방식으로 적재부재 (132) 를 탈착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도시된 적재부재 (132) 와 다른 구조의 적재부재를 용이하게 교환하여 사용하면서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작업자가 핸드 리프트 장치 (100) 의 작동을 조작하도록 구성된 컨트롤유닛 (170) 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유닛 (170) 은 수직프레임 (111) 의 상부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유닛 (170) 은 전동모터 (141) 의 작동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 (171) 와, 적재유닛 (130) 을 임의의 위치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조이스틱 (172) 과,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를 수동 모드로 조작하도록 셋팅하는 수동조작스위치 (173) 와, 센서부 (150) 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동력전달유닛 (140) 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셋팅하는 자동조작스위치 (174, 175) 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176) 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이동 지지부 (18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의 프레임부 (110) 로부터 이동 지지부 (180) 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지지부 (180) 는 프레임부 (110) 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임부 (110) 를 지지하고, 프레임부 (110) 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지지부 (180) 는 프레임지지구조물 (181), 한 쌍의 지지패널 (182), 한 쌍의 휠 (183) 및 한 쌍의 포크 (184)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지지구조물 (181) 은 내측에 프레임부 (110) 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슬롯 (181a) 을 형성하여 슬롯 (181a) 에 수용된 프레임부 (110) 의 외면을 지지하고, 프레임부 (110) 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지지구조물 (181)은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부 (110) 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패널 (182) 은 프레임지지구조물 (181) 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지지구조물 (181) 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후술할 한 쌍의 휠 (183) 및 한 쌍의 포크 (184)와 결합되어 한 쌍의 휠 (183) 및 한 쌍의 포크 (184)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지지패널 (182) 은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임지지구조물 (181) 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지지패널 (182) 에는 체결을 위하여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패널 (182) 은 비철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한 쌍의 지지패널 (182) 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마그네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한 쌍의 지지패널 (182) 은 반드시 이의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알루미늄 혹은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마그네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휠 (183) 은 지지패널 (182) 에 결합되어 프레임부 (110) 의 후방에 배치되고,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화물이 적재된 프레임부 (110)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휠 (183) 은 자체적으로 동력을 발생시켜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모터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한 쌍의 휠 (183) 은 지지패널 (182) 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휠 모터 (1831) 와, 휠 모터 (1831) 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휠 모터 (1831) 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통하여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휠 본체 (1832) 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휠 모터 (1831) 는 배터리 (176)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 (160) 및 컨트롤유닛 (170) 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유닛 (170) 의 조작을 통해 회전방향, 회전속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한 쌍의 포크 (184) 는 지지패널 (182) 에 결합되어 프레임부 (110) 의 전방에 배치되고, 단부에 프레임부 (110) 의 이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캐스터 (185) 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캐스터 (185) 는 포크 (184) 로부터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핸드 리프트 장치 (100) 에 적재하는 화물의 높이가 큰 경우, 프레임부 (110) 로부터 적재유닛 (130) 을 분리하여 포크 (119) 에 직접 화물을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핸드 리프트 장치 (100) 의 이동 시 캐스터 (185) 를 통하여 쉽게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캐스터 (185) 는 지면상에서 한 쌍의 포크 (184) 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을 따라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포크 (184) 는 지지패널 (182) 의 표면을 따라 프레임부 (110) 의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적재될 화물의 무게 및 크기에 따라 포크 (184) 의 길이를 조절하여 프레임부 (110) 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패널 (182) 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한 쌍의 포크 (184) 에는 상기 복수개의 체결공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포크 (184)는 상술한 복수개의 체결공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후, 볼트 및 너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지지패널 (182) 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핸들바 (117)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바 (117)는 프레임부 (110) 의 후면에 설치되고, 프레임부 (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프레임부 (110) 의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다양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핸들바 (117) 를 파지 가능함은 물론, 한 쌍의 휠 (183) 이 구동된 상태에서, 핸들바 (117)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를 조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고정 지지부 (19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의 프레임부 (110) 에 고정 지지부 (190) 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 지지부 (190)는 프레임부 (110) 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지지되어 프레임부 (1100 를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고정 지지부 (190)는 고정패널 (191) 및 수직지지프레임 (192) 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패널 (191)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고, 후술할 수직지지프레임 (192) 을 지지하여 수직지지프레임 (192) 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면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수직지지프레임 (192) 은 고정패널 (191) 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상향 돌출되어 내측에 프레임부 (110) 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슬롯 (192a) 을 형성하고, 슬롯 (192a) 에 수용된 프레임부 (110) 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지지프레임 (192) 은, 슬롯 (192a) 에 수용된 프레임부 (110) 의 양 측면 및 후면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는 탑승부 (2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핸드 리프트 장치 (100) 에 탑승부 (200) 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탑승부 (200) 는 프레임부 (110) 의 후방 설치되고, 사용자가 서거나, 앉은 상태로 탑승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탑승부 (200) 는 도 11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 상태로 탑승 가능한 발판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11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않은 상태로 탑승 가능한 의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탑승 시 핸드 리프트 장치 (100)가 후방 측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탑승부 (200)의 하측에는 지면에 지지되어 탑승부 (2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면으로 분산시키는 별도의 캐스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탑승부 (200) 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유닛 (130) 에 적재된 화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151) 를 마련하여 적재 화물이 기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도록 적재유닛 (130) 을 자동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으면서 화물을 적재하거나 들어 올려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적재유닛 (130) 을 승하강시키는 체인 (120) 에 장력을 부가하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적재유닛 (130) 에 고중량의 적재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에도 체인 (120) 의 장력을 조절하여 적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적재유닛 (130) 이 탈부착되도록 구성하되 그 탈부착 방식을 간편하게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나사 결합 방식과 같은 번거로운 탈부착 방식에서 탈피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핸드 리프트 장치
110. 프레임부
111. 수직프레임
112. 상부프레임
113. 하부프레임
114. 가이드레일
115. 제1 스프로킷
116. 제2 스프로킷
120. 체인
130. 적재유닛
131. 승강부재
132. 적재부재
140. 동력전달유닛
141. 전동모터
142. 회전축
143. 제3 스프로킷
144. 체인텐셔너
150. 센서부
151. 근접센서
152. 센서가이드
153. 로드셀
160. 제어부
170. 컨트롤유닛
171. 전원스위치
172. 조이스틱
173. 수동조작스위치
174, 175. 자동조작스위치
180. 이동 지지부
181. 프레임지지구조물
181a. 슬롯
182. 지지패널
183. 휠
1831. 휠 모터
1832. 휠 본체
184. 포크
185. 캐스터
190. 고정 지지부
191. 고정패널
192. 수직지지프레임
192a. 슬롯
200. 탑승부

Claims (18)

  1.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고 제1 스프로킷이 설치된 상단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2스프로킷이 설치된 하단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스프로킷 및 상기 제2 스프로킷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체인;
    상기 체인과 연결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화물이 적재되도록 구성된 적재유닛;
    상기 적재유닛이 승하강하도록 상기 체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유닛;
    상기 프레임부가 형성하는 영역 중 상기 적재유닛이 승하강하는 범위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근접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구동을 조절하여 상기 적재유닛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의 상단부의 높이를 기설정된 높이로 유지하도록 상기 동력전달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유닛이 하강하도록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구동하는 적재 (load) 모드의 경우, 상기 센서부로부터 화물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력전달유닛의 구동을 유지하고,
    상기 적재유닛이 상승하도록 상기 동력전달유닛을 구동하는 하적 (unload) 모드의 경우, 상기 센서부로부터 화물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력전달유닛의 구동을 중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적재유닛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근접센서를 지지하면서 상기 근접센서가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센서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정역회전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축과 맞물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제3 스프로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프로킷은,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이 이루는 일진선상의 경로에서 벗어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체인은, 상기 제1 스프로킷, 상기 제2 스프로킷 및 상기 제3 스프로킷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핸드 리프트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제3 스프로킷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타단이 상기 제3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체인이 상기 제3 스프로킷을 감싸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여 상기 체인에 장력을 제공하는 체인텐셔너; 를 더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회전축에는 웜과 웜기어어가 각각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핸드 리프트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닛은,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승강부재와, 화물이 적재되는 수평패널을 구비하는 적재부재와, 상기 적재부재가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배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하부에서 상기 승강부재의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승강부재의 돌출부와 상기 적재부재의 돌출부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적재부재를 결합시키는, 핸드 리프트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적재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을 감지하는 로드셀(load cell);을 더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부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부는,
    내측에 상기 프레임부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슬롯을 형성하여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지지구조물;
    상기 프레임지지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지지구조물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패널;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수행 가능한 휠; 및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단부에 상기 프레임부의 이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캐스터를 구비하는 포크;
    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은 마그네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포크는 상기 지지패널의 표면을 따라 상기 프레임부의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핸드 리프트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상기 지지패널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휠 모터; 및
    상기 휠 모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휠 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통하여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휠 본체;
    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고정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상향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프레임부의 일부를 수용 가능한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프레임부의 외면을 지지하는 수직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은,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프레임부의 양 측면 및 후면을 동시에 지지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서거나, 앉은 상태로 탑승 가능한 탑승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KR1020180109223A 2017-09-12 2018-09-12 핸드 리프트 장치 KR102135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576 2017-09-12
KR20170116576 2017-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494A true KR20190029494A (ko) 2019-03-20
KR102135197B1 KR102135197B1 (ko) 2020-07-17

Family

ID=6603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223A KR102135197B1 (ko) 2017-09-12 2018-09-12 핸드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1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003B1 (ko) * 2019-07-24 2020-10-14 박청식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CN112077820A (zh) * 2020-09-19 2020-12-15 陶仁元 用于换热器生产的翅片专用移料机器人
KR20210036610A (ko) * 2019-09-26 2021-04-05 박규용 핸드리프트 트럭
GR20200100384A (el) * 2020-07-01 2022-02-11 Θεοδωρος Γεωργιου Μπελογιαννης Αυτοκινουμενο καροτσι-αναβατοριο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795A (ja) * 1991-07-26 1993-02-02 Daifuku Co Ltd 昇降装置
JP2003182998A (ja) * 2001-12-19 2003-07-03 Nippon Yusoki Co Ltd 荷役車輌の走行制御装置
JP2003246599A (ja) * 2002-02-21 2003-09-02 Sugiyasu Industries Co Ltd レベラー
JP2005075248A (ja) * 2003-09-02 2005-03-24 Isuzu Seisakusho:Kk 手押し台車
KR20080109390A (ko) * 2007-06-13 2008-12-17 에스엠메탈(주) 열간단조법을 이용한 지게차용 포크의 가공방법
KR101131382B1 (ko) 2009-02-23 2012-04-03 대경정공(주) 리프트와 구동기능을 부가한 핸드카
KR20130058486A (ko) * 2011-11-25 2013-06-04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좌판이 부착된 스태커
KR101685615B1 (ko) 2015-06-08 2016-12-15 정현균 핸드 트럭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795A (ja) * 1991-07-26 1993-02-02 Daifuku Co Ltd 昇降装置
JP2003182998A (ja) * 2001-12-19 2003-07-03 Nippon Yusoki Co Ltd 荷役車輌の走行制御装置
JP2003246599A (ja) * 2002-02-21 2003-09-02 Sugiyasu Industries Co Ltd レベラー
JP2005075248A (ja) * 2003-09-02 2005-03-24 Isuzu Seisakusho:Kk 手押し台車
KR20080109390A (ko) * 2007-06-13 2008-12-17 에스엠메탈(주) 열간단조법을 이용한 지게차용 포크의 가공방법
KR101131382B1 (ko) 2009-02-23 2012-04-03 대경정공(주) 리프트와 구동기능을 부가한 핸드카
KR20130058486A (ko) * 2011-11-25 2013-06-04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좌판이 부착된 스태커
KR101685615B1 (ko) 2015-06-08 2016-12-15 정현균 핸드 트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003B1 (ko) * 2019-07-24 2020-10-14 박청식 장애물 및 충격완화용 핸드카
KR20210036610A (ko) * 2019-09-26 2021-04-05 박규용 핸드리프트 트럭
GR20200100384A (el) * 2020-07-01 2022-02-11 Θεοδωρος Γεωργιου Μπελογιαννης Αυτοκινουμενο καροτσι-αναβατοριο
CN112077820A (zh) * 2020-09-19 2020-12-15 陶仁元 用于换热器生产的翅片专用移料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197B1 (ko)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9494A (ko) 핸드 리프트 장치
KR101798896B1 (ko) 핸드 리프트 트럭
EP1616545B1 (en) Stair-climbing wheelchair carrier
EP0557685B1 (en) A compact lift vehicle with a vertically movable platform
US6309168B1 (en) Lift for a hand truck
US20190144250A1 (en) Personnel Lift Vehicle
US20080298940A1 (en) Bed conveyor apparatus for assisting in unloading a vehicle
AU2007265068A2 (en) Overhead guard for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20220184672A1 (en) Transportable machine including a track system
US7841603B2 (en) Hand truck
US20130240294A1 (en) Vertically Adjustable Automatic Step Stool
JP2009066053A (ja) 車椅子昇降機
US20150063962A1 (en) Electric device for lifting moving sidewalk for vehicle
KR102135248B1 (ko)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KR102135211B1 (ko) 핸드 리프트 장치
US20200277174A1 (en) Hand lift device
KR20210001462A (ko) 핸드 리프트 장치의 화물 적재 유닛
US7543827B2 (en) Lifting device
JP2008074537A (ja) 移動リフター
KR20200002554A (ko)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AU2005204976B2 (en) A hand truck
JP2017170975A (ja) 階段昇降装置
JPH0516815A (ja) 運搬装置
CN117342371A (zh) 一种沿楼梯扶手上下行的载物助行装置
JP2022187188A (ja) 運搬補助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