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445B1 -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445B1
KR102344445B1 KR1020200042951A KR20200042951A KR102344445B1 KR 102344445 B1 KR102344445 B1 KR 102344445B1 KR 1020200042951 A KR1020200042951 A KR 1020200042951A KR 20200042951 A KR20200042951 A KR 20200042951A KR 102344445 B1 KR102344445 B1 KR 102344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headrest
air cell
present
f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349A (ko
Inventor
남현우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44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6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4Head-rests with rods solidly attached to the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셀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를 접힘 및 접힘해제 가능하게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바디 내에 일부가 배치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일 측이 결합되는 팽창가능한 에어셀; 및 상기 에어셀의 타 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에어셀의 팽창에 의해 상기 바디를 미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폴딩장치{DEVICE FOR FOLDING HEADRES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셀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를 접힘 및 접힘해제 가능하게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의 신체적 특성에 적합한 편리한 착석 상태를 이루도록 시트의 전후 이동 기능, 시트 쿠션 높이 조절 기능, 백레스트의 럼바 서포트(lumbar support) 기능 등 여러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트의 등받이 상단부에는 탑승자의 두부 및 경추 부위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해 헤드레스트가 설치된다. 헤드레스트는 쿠션감을 제공하는 패드와 패드를 지지하며 시트의 백레스트와 결합되는 스테이를 포함한다.
최근 차량용 시트 헤드레스트는 사용 시 탑승자의 신장 등에 맞추어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기능에 더하여 헤드레스트를 시트 앞쪽으로 접는 폴딩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폴딩 기능은 사용중이지 않은 헤드레스트를 앞쪽으로 접어 후방 시야 확보를 도모하고 있다.
종래 헤드레스트의 파워 폴딩 방식에 있어서 모터가 추가되는바 원가 상승이 수반되고 구조가 복잡해지며 중량이 증가한다는 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92540호 (등록일자: 2010.11.0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의 헤드레스트의 폴딩을 보다 단순화하고 간소화하면서도 폴딩 성능이 우수한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특히, 헤드레스트의 파워 폴딩 방식을 적용하면서도 모터를 채용하지 않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를 적용하지 않아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중량이 현저히 감소된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고안을 통해 유지·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헤드레스트 바디 내에 일부가 배치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일 측이 결합되는 팽창가능한 에어셀; 및 상기 에어셀의 타 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에어셀의 팽창에 의해 상기 헤드레스트 바디를 미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셀의 수축 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게 스테이에 장착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은 헤드레스트 바디 내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은 고정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셀에 유체 주입을 위하여 장착되는 튜브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체는 상기 헤드레스트 바디가 연결되는 백레스트의 럼버서포트를 위한 공압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가 스테이 내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스테이 내부에는 통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의 헤드레스트의 폴딩을 보다 단순화하고 간소화하면서도 폴딩 성능이 우수한 헤드레스트 폴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헤드레스트의 파워 폴딩 방식을 적용하면서도 모터를 채용하지 않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를 적용하지 않아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이 현저히 감소된 헤드레스트 폴딩장치가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간단한 구조의 고안을 통해 유지·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가 시트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테이에 장착된 브라켓의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브라켓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테이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내부 단면도로서 폴딩 전 상태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내부 단면도로서 폴딩 후 상태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유체 공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바디 내에 일부가 배치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일 측이 결합되는 팽창가능한 에어셀; 및 상기 에어셀의 타 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에어셀의 팽창에 의해 상기 바디를 미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의 헤드레스트의 폴딩을 보다 단순화하고 간소화하면서도 폴딩 성능이 우수한 헤드레스트 폴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특히, 헤드레스트의 파워 폴딩 방식을 적용하면서도 모터를 채용하지 않고 에어셀과 시트 백레스트의 럼바 서포트를 위한 공압시스템을 사용하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모터의 적용이 없어 중량 및 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장치의 유지·관리 시 편의성 및 용이성을 도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스테이(10), 브라켓(30), 에어셀(50) 및 링크부재(70)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 바디(2)는 프레임(12) 및 커버(22)를 포함한다. 프레임(12)은 헤드레스트 바디(2)의 골격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일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22)는 헤드레스트 바디(2)의 외측을 구성하고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한다. 커버(22)는 전측 커버 및 후측 커버(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고, 전측 커버와 후측 커버가 결합되어 바디(2)의 외관을 형성한다.
스테이(10)는 시트의 백레스트(4)에 장착되고, 헤드레스트 바디(2)를 백레스트(4)에 연결한다. 헤드레스트 바디(2)를 백레스트(4)에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한 스테이(10)의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면에는 헤드레스트 바디(2)가 장착되는 측의 스테이(10)가 벤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상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벤딩이 되지 않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형태를 취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스테이(10)는 헤드레스트 바디(2) 내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바아부재(110)와 바아부재(110)의 양 측으로부터, 각각,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연장하여 백레스트(4) 내에 삽입되는 로드부재(210)를 포함한다.
브라켓(30)은 헤드레스트 바디(2) 내 스테이(10)에 장착되고, 바디(2) 내에서 스테이(10)의 바아부재(110)에 장착될 수 있다. 브라켓(30)은 스테이(10)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이(10)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브라켓(30)은 스테이(10) 상에서 미끄럼이동가능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30)은 스테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스테이(10) 상에서 회전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30)은 스테이(10)와 별도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브라켓(30)은 끼움부(130), 연장부(230) 및 장착부(330)를 포함한다.
끼움부(130)는 스테이(10)에 직접적으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끼움부(130)는 스테이(10)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한 쌍을 포함한다. 끼움부(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스테이(1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부(130)에는, 각각, 중공이 형성되어 스테이(10)의 바아부재(1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끼움부(130)는 바아부재(110)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게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장착 시에 바아부재(110) 상에서 좌우이동 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30)의 회전 및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끼움부(130)에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끼움부(130) 내측으로 후퇴가능한 돌출부(1130)가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스테이(10)의 바아부재(110)의 표면에는 돌출부(1130)가 삽입가능한 그루브(1110)가 마련된다. 돌출부(1130)가 그루브(1110)에 삽입 장착됨으로써 브라켓(30)의 스테이(10) 상에서의 회전 및 좌우이동 방지에 추가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30)는 각 끼움부(130)에서 연장하고, 타 구성요소가 바아부재(11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연장부(230)의 사이에는 개구부(1230)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330)는 바아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에어셀(5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각각, 헤드레스트 바디(2)의 폴딩 전 및 폴딩 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에어셀(50)의 일 측은 브라켓(30)에 장착되고, 에어셀(50)의 타 측은 링크부재(70)에 결합된다. 에어셀(50)은 팽창가능한 공기주머니일 수 있고, 주름진 형태로 구성되어 공기 등의 유체 주입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고 배출에 의해 부피가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에어셀(50)에는 튜브(60)가 장착되고, 튜브(60)를 통해 에어셀(50) 내에 공기의 입출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튜브(60)는 백레스트(4)의 럼바 서포트를 위한 공압시스템(14)으로부터 공기를 제공받도록 구성된다(도 8 참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튜브(60)는 스테이(1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스테이(10) 내부에는 통로(310)가 형성되어 튜브(60)가 백레스트(4)에 위치하는 공압시스템(14)에 도달하도록 한다(도 2 재참조).
링크부재(70)는 스테이(10)에 장착되고, 스테이(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에어셀(50)에 공기가 주입되면 링크부재(70)를 가압하게 되고, 링크부재(70)는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여 바디(2) 내지는 프레임(12)을 에어셀(50)의 반대측으로 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탄성부재는 스테이(10)에 장착되고, 에어셀(50)의 수축 시 헤드레스트 바디(2)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탄성부재는 비틀림 스프링(8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비틀림 스프링(80)의 일 측에는 스테이(10)에 고정되는 고정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90)는 스테이(1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비틀림 스프링(80)의 일 단부(180a)는 고정부(90)에 고정되고, 비틀림 스프링(80)의 타 단부(180b)는 바디(2) 내 또는 프레임(12)에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에어셀(50)의 팽창 시에는 비틀림이 발생하고 에어셀(50)의 수축 시에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헤드레스트 바디(2)의 언폴딩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 및 9b에는 후측 커버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를 참조하여, 헤드레스트 바디(2)가 언폴딩된 상태에서는 에어셀(50)은 수축상태에 있다. 헤드레스트 바디(2)를 폴딩하기 위하여 튜브(60)를 통해 에어셀(50)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에어셀(50)은 팽창하면서 일 측에 연결된 링크부재(70)를 가압한다. 링크부재(70)는 스테이(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므로 에어셀(50)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바디(2) 내지는 프레임(12)을 가압하게 되고, 헤드레스트 바디(2)의 폴딩이 완료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반대로 언폴딩 시에는 에어셀(50) 내의 공기가 배출되고, 바디(2) 내지는 프레임(12)에 링크부재(70)를 통한 가압력은 소멸하고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헤드레스트 바디(2)는 언폴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2: 헤드레스트 바디 4: 백레스트
10: 스테이 30: 브라켓
50: 에어셀 60: 튜브
70: 링크부재 80: 스프링
90: 고정부

Claims (7)

  1. 헤드레스트 바디 내에 일부가 배치되는 스테이;
    상기 스테이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일 측이 결합되는 팽창가능한 에어셀; 및
    상기 에어셀의 타 측이 결합되고, 상기 스테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에어셀의 팽창에 의해 상기 헤드레스트 바디를 미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링크부재-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헤드레스트 바디가 언폴딩된 위치인 제1 위치 및 상기 헤드레스트 바디가 폴딩된 위치인 제2 위치를 포함함;
    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스테이에 삽입되는 중공을 포함하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끼움부; 및
    상기 한 쌍의 끼움부를 연결하고, 상기 에어셀이 장착되고 상기 제1 위치의 링크부재와 평행하게 상기 끼움부로부터 연장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셀의 수축 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게 스테이에 장착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은 헤드레스트 바디 내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은 고정부에 장착되는 것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셀에 유체 주입을 위하여 장착되는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상기 헤드레스트 바디가 연결되는 백레스트의 럼버서포트를 위한 공압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것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튜브가 스테이 내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스테이 내부에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20200042951A 2020-04-08 2020-04-08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2344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951A KR102344445B1 (ko) 2020-04-08 2020-04-08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951A KR102344445B1 (ko) 2020-04-08 2020-04-08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349A KR20210125349A (ko) 2021-10-18
KR102344445B1 true KR102344445B1 (ko) 2021-12-28

Family

ID=7827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951A KR102344445B1 (ko) 2020-04-08 2020-04-08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44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741B1 (ko) 1990-03-05 1999-06-15 스티븐 버마스 재충전식 폴리에스터 용기 및 그 성형용 예비 형성체
KR100206219B1 (ko) * 1995-12-16 1999-07-01 정몽규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JP2000167003A (ja) 1998-12-04 2000-06-20 Toshiba Tec Corp 椅 子
JP2006525904A (ja) * 2003-05-09 2006-11-16 ダイムラークライス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後部シート用の快適なヘッドレスト
KR100790535B1 (ko) * 2007-02-07 2008-01-02 (주)현대공업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2017007468A (ja) 2015-06-19 2017-01-1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KR101936819B1 (ko) 2017-11-17 2019-01-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9131C1 (de) * 1997-09-06 1998-12-10 Daimler Benz A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KR100992540B1 (ko) 2007-12-14 2010-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741B1 (ko) 1990-03-05 1999-06-15 스티븐 버마스 재충전식 폴리에스터 용기 및 그 성형용 예비 형성체
KR100206219B1 (ko) * 1995-12-16 1999-07-01 정몽규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JP2000167003A (ja) 1998-12-04 2000-06-20 Toshiba Tec Corp 椅 子
JP2006525904A (ja) * 2003-05-09 2006-11-16 ダイムラークライス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後部シート用の快適なヘッドレスト
KR100790535B1 (ko) * 2007-02-07 2008-01-02 (주)현대공업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2017007468A (ja) 2015-06-19 2017-01-1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KR101936819B1 (ko) 2017-11-17 2019-01-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349A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0189B2 (en) Vehicle seat backrest with flexural joint motion-control
US3746389A (en) Folding seats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738062B1 (ko) 레그레스트의 구조
US20010001526A1 (en) Power assisted seat folding mechanism
WO2003008230A8 (en) Fold flat stow in floor seat assembly with collapsible bolsters
US8616625B2 (en) Seat headrest
US6811227B2 (en) Firm cushion
KR102344445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CN207241513U (zh) 一种可折叠头枕
JP2000201769A (ja) 自動車用シ―トバック
KR101656297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CN212579679U (zh) 一种折叠式汽车后排座椅及包含其的房车
KR102199150B1 (ko) 캠핑카용 2열시트 겸용 침대의 쿠션 부재 받침판 완충 구조
KR101125784B1 (ko)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
CN201056171Y (zh) 汽车折叠坐椅组合床
US20050242647A1 (en) Device for reclining seatback of vehicle
KR200341984Y1 (ko) 차량용 시트의 접이장치
WO2012003149A1 (en) Second row package
JP2003104103A (ja) 有用車両の運転室
KR200395726Y1 (ko) 접의자
EP4072898A1 (en) Side impact protection device
KR100401741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CN109228979A (zh) 一种可调节防塌陷汽车座椅
JP6950426B2 (ja) 壁内蔵シート
KR0125001B1 (ko) 승합차의 보조시트 젖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