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728B1 - 마슬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슬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728B1
KR102343728B1 KR1020190149153A KR20190149153A KR102343728B1 KR 102343728 B1 KR102343728 B1 KR 102343728B1 KR 1020190149153 A KR1020190149153 A KR 1020190149153A KR 20190149153 A KR20190149153 A KR 20190149153A KR 102343728 B1 KR102343728 B1 KR 102343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mgb1
sepsis
acid
maslinic acid
c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217A (ko
Inventor
배종섭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72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gluc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n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슬린산 (masli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슬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MGB1에 의해 매개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슬린산은 패혈증의 주요 매개인자인 HMGB1(High mobility group box 1)의 분비를 억제하고 상기 HMGB1과 관련된 전염증성 시그날링(proinflammatory signaling)을 억제하는 효과를 지니며, 실제로 in vivo 패혈증 동물 모델에서 패혈증의 치료효과가 현저하다.

Description

마슬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epsis or septic shock comprising maslinic acid}
본 발명은 마슬린산 (masli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슬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MGB1에 의해 매개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HMGB1(High-mobility group box 1 protein)은 뉴클레오솜(nucleosome)의 구조 및 안정성 유지와 전사 인자들이 그들의 동족 DNA 서열에 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기여하는 핵 염색체 단백질로서 처음 규명되었다. 최근, 실험 및 임상 연구로부터의 많은 데이터들이, 패혈증과 같은 여러 염증성 질환의 발병에 대한 세포외 HMGB1(extracellular HMGB1)의 기여를 강조하였다(Andersson and Tracey, 2011; Diener et al., 2013). 패혈증 동안, HMGB1은 감염에 기인하는 세포죽음에 따라 급속히 수동적으로 분비될 수 있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 및 PAMP(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들에 대한 반응으로 면역 세포에서 능동적으로 분비될 수 있다. PAMP 및 내생적으로 유래된 염증 매개자(예를들어 TNF-α, IL-1b, NF-κB 및 ERK1/2)에 노출되었을 때, 세포외 산물과 원형질막 수용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촉발되는 세포적 신호 변환(cellular signaling transduction)을 통하여 내피세포는 HMGB1을 능동적으로 분비한다. 세포외 환경(extracellular milieu)으로 분비된 HMGB1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위하여 선천 면역 세포들을 자극하는 케모카인 또는 사이토카인으로서 역할을 한다. HMGB1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들은 RAGE(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TLR(toll like receptor)-2, 및 TLR-4를 포함한다. HMGB1이 세포외 공간으로 분비되는 방식은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대식세포 및 호중구와 같은 면역세포들이 관련되어 염증을 촉발하는 능동적 프로세스이고, 다른 하나는 괴사성 세포 및 선천 면역 시스템에 의해 채택된 매커니즘에 의하여 촉발되며 손상되거나 괴사된 세포를 인식하는 수동적 프로세스이다(Ulloa and Tracey, 2005). HMGB1으로 내피를 자극하는 것은 ICAM(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VCAM(vascular cell-adhesion molecule), 및 E-Selectin과 같은 CMA(cell adhesion molecule)들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이는 백혈구의 소집(recruitment)을 통하여 염증을 촉진한다(Bae and Rezaie, 2011).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 진단 후 1주일까지 대부분의 환자에서 측정가능하며, 상기 HMGB1의 수준은 장기 기능이상(organ dysfunction) 정도와 연관되어있다(Gibot et al., 2007; Sunden-Cullberg et al., 2005).
한편, 패혈증(sepsis)은 감염된 미생물에 대항하는 신체의 비정상적인 방어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대식세포의 활성화와 이에 따른 염증관련 인자들의 과도한 생성이 연관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전신에 심각한 염증 반응이 나타난다. 체온이 38℃ 이상으로 올라가는 발열 증상, 36℃ 이하로 내려가는 저체온증, 분당 24회 이상의 호흡수(빈호흡), 분당 90회 이상의 심박수(빈맥), 혈액 검사상 백혈구 수의 증가 또는 현저한 감소 중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이를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이라 하고, 이러한 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이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것일 때 패혈증이라고 한다. 패혈증은 잠재적으로 패혈증성 쇼크(septic shock)를 유발할 수 있다. 패혈증이 심해지면 신체의 여러 기관(심장, 신장, 간, 뇌, 폐 등)의 기능이 나빠지고 더욱 심해지면 쇼크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병원체로 인해 패혈증이 발병할 수 있는데, 가장 발생률이 높은 것은 박테리아에 의한 것이지만 그 외에도 바이러스나 곰팡이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폐에 감염을 일으키는 폐렴, 방광과 신장에 감염을 일으키는 요도감염, 피부에 일어나는 봉소염, 복부에 일어나는 충수염 또는 뇌에 일어나는 뇌막염 등이 있으며, 예를 들면 폐렴을 앓고 있는 환자가 패혈증에 걸리게 되면 뇌, 심장, 간, 폐 또는 신장에 손상이 일어나며 중증으로 진전되는 경우 환자의 약 20 ~ 50%는 패혈증성 쇼크에 의해 사망한다. 또한, 수술 후 감염에 의해 패혈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감염 또는 수술 후 감염에 의한 초급성 염증반응으로서 패혈증에 걸리게 되면 40 ~ 90%가 사망에 이르게 된다.
상기 패혈증은 감염 원인균과 숙주의 면역, 염증 그리고 응고계통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숙주의 반응 정도와 감염 원인균의 특성 모두 패혈증의 예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패혈증에서 관찰되는 장기부전은 숙주의 감염 원인균에 대한 반응이 부적절한 경우에 발생하며, 만일 숙주의 감염 원인균에 대한 반응이 지나치게 증폭된다면 숙주 자체의 장기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숙주의 염증 반응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인 TNF-α, IL-1β, IL-6등에 대한 길항 물질이 패혈증의 치료제로 시도되었으나 대부분 실패하였으며, 기계환기치료, 활성 단백질 C(activated protein C) 투여,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치료 등이 현재 시도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한계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높은 사망률을 보임에도 아직까지 뚜렷한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은 패혈증 및 패혈증 쇼크를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패혈증 효능 물질을 연구하던 중, 본 명세서에서 마슬린산이 패혈증 주요 인자인 HMGB1의 분비를 억제하고 이와 관련된 세포 시그날링의 분자적 매커니즘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HMGB1에 의한 혈관염증성 반응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in vivo 패혈증 동물모델에 대하여 현저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마슬린산 (maslin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19038501-pat00001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마슬린산 (maslin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19038501-pat00002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마슬린산 (maslin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19038501-pat00003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마슬린산 (maslin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19038501-pat00004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마슬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마슬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항-패혈증 용도를 제공한다;
마슬린산의 항-패혈증 효과는 본 발명자에 의하여 처음으로 규명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명세서 실시예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슬린산이 패혈증의 주요 매개자인 HMGB1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패혈증의 주요 매개자인 HMGB1 및 이와 관련된 전염증성 시그날링 인자들에 대하여 마슬린산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마슬린산은 LPS- 또는 CLP(cecal ligation and puncture)-에 의해 매개된 HMGB1의 분비, HMGB1 수용체(TLR-2, TLR-4 및 RAGE)의 발현 및 HMGB1에 의해 매개된 장벽 붕괴를 억제하였다. 또한 마슬린산은 CAM(cell adhesion molecules)들의 발현을 저해하며, HMGB1에 의해 매개된 인간 호중구의 부착 및 이동(이주, migration)을 억제하였다. 게다가 HMGB1에 의해 유도되는 nuclear factor-κB (NF-κB) 및 extracellular regulated kinases 1/2(ERK1/2)의 활성화와 IL-6, tumor necrosis factor-α(TNF-α)의 생산을 억제하였으며, HMGB1으로 자극시, NF-kB p65가 세포질에서 핵으로 전이되는 것을 억제하였다. 또한 마슬린산은 실제로 CLP-패혈증 동물모델에서 혈관 장벽의 보호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사망률 감소면에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CLP 수술로 인한 폐 손상에도 현저한 치료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 실시예의 in vitroin vivo 실험을 통하여 보인 바와 같이, 마슬린산은 HMGB1에 의해 매개되는 염증성 반응들을 억제하며, 이러한 HMGB1 signaling pathway의 억제를 통해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슬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패혈증(sepsis) 또는 패혈성 쇼크(septic shock)는 HMGB1에 의해 (High mobility group box 1)에 의해 매개되는 것이 특징으로, 상기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란, 폐혈증에 연관된 임상 증상 및 다기관 기능부전 증후군에 연관된 상태(예를 들어 다양한 정도의 열, 저독소혈증, 사성, 빈맥, 내피염, 심근경색증, 고도착란, 변화성 정신 상태, 혈관 허탈 및 기관 손상,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응고장애, 심부전증, 신부전증, 쇼크 및(또는) 혼수상태 등)의 전부 또는 일부 증상을 감소, 개선 또는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TNF-alpha, IL-1beta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은 염증 반응 초기에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어 패혈증이 아닌 일반 염증성 반응에서도 그 발현량이 충분히 증가된 것으로 검출이 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IL-6, IL-8, IL-12 등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분비는 복잡한 수평적 및 수직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을 뿐 아니라 자극의 정도, 종류 및 측정 방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현 양상의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특정 사이토카인의 몇 가지 특징을 파악한다고 하여도 패혈증을 매개하는데 있어 사이토카인의 역할을 단정지을 수 없다(감염 제32권 제2호 2000년 Vol. 32, No. 2, 148∼157). 하지만, 상기 HMGB1은 패혈증의 후기 단계를 매개하는 물질로서 관여하며, 패혈증 환자의 혈청에서 HMGB1의 농도가 높으면 사망률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에 패혈증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는 물질이라 할 수 있다(SHOCK, Vol. 32, No. 4, pp. 348Y357, 2009).
본 발명의 마슬린산은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슬린산은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부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하여,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 (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산은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마슬린산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매,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이크로좀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경구투여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전달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 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1995)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당 약 0.01㎍ 내지 10,0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용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마슬린산 (maslin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19038501-pat00005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마슬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자체를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코올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마슬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상기 마슬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01 내지 30 중량%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슬린산 또는 이의 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슬린산은 패혈증의 주요 매개인자인 HMGB1(High mobility group box 1)의 분비를 억제하고 상기 HMGB1과 관련된 전염증성 시그날링(proinflammatory signaling)을 억제하는 효과를 지니며, 실제로 in vivo 패혈증 동물 모델에서 패혈증의 치료효과가 현저하다.
도 1은 HMGB1 방출 및 HMGB1 수용체의 발현 수준에 대한 MA(maslinic acid)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A) LPS (100 ng/mL, 16 h)로 자극한 후, HUVEC을 16 시간 동안 지시된 농도의 MA로 처리하고 HMGB1 방출을 ELISA로 분석하였다.
(B) CLP 후 12 시간에, 수컷 C57BL/6 마우스(n = 5)는 지시된 양의 MA의 정맥 내 주사를 받은 후 CLP 후 24 시간에 안락사 시키고 혈청 HMGB1 수준을 ELISA로 측정하였다.
(C) HUVEC를 HMGB1 (1 ㎍/mL, 16 시간)로 활성화시킨 후 6 시간 동안 MA와 배양하였다; TLR2 (백색 막대), TLR4 (회색 막대) 및 RAGE (검은 색 막대)의 발현 수준을 세포-기반 ELISA로 측정하였다.
(D) 세포 생존력에 대한 MA의 효과를 MTT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도 2는 시험관 내(in vitro) 및 생체 내(in vivo)에서 HMGB1-매개 투과성에 대한 MA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A, B) LPS (100 ng/mL, 4 h; A) 및 HMGB1 (1 ug/mL, 16 h; B)에 의해 유발된 장벽 파괴에 대해, 16 시간 동안 상이한 농도의 MA로 처리한 효과.
(C) CLP 후 12 시간에, 수컷 C57BL/6 마우스 (n = 5)에 지시된 양의 MA를 정맥주사한 후 CLP 24 시간 후에 안락사 시키고, CLP-유도된 혈관 투과성에 대한 MA의 효과를 복막 세척액에서 에반스 블루 염료를 측정함으로써 조사하였다 (ug/마우스, n = 5로 표현됨).
(D) HUVEC를 HMGB1 (1 ㎍/mL, 16 시간)로 활성화시킨 후 16 시간 동안 상이한 농도의 MA로 처리하였다. 인산화된-p38의 HMGB1-매개 발현에 대한 MA의 효과를 ELISA로 측정하였다.
도 3은 HMGB1 매개 전-염증 반응에 대한 MA의 효과를 평가한 것이다.
(A-C) HUVEC를 16 시간 동안 HMGB1 (1 ㎍/mL)로 자극한 후 6 시간 동안 MA로 처리하였다. HUVEC에서 VCAM-1(백색 막대), ICAM-1(회색 막대) 및 E- 셀렉틴(검은 색 막대)의 HMGB1 매개 발현 수준(A), HUVEC 단일층에 대한 인간 호중구의 부착(B, E), 및 HUVEC 단일층을 통한 호중구의 이주를 분석하였다(C).
(D) CLP 후 12 시간에, 수컷 C57BL/6 마우스 (n = 5)에 지시된 양의 MA를 정맥주사한 후 CLP 후 24 시간에 안락사 시키고, 마우스의 복막 공동으로의 CLP-유도 백혈구 이동에 대한 MA 처리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도 4는 IL-6, TNF-α 및 IL-1beta의 HMGB1-자극 생산 및 NF-kB/ERK 경로에 미치는 MA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A-D) HUVEC를 16 시간 동안 HMGB1 (1 ug/mL)로 자극한 후 16 시간 동안 MA로 처리하였다. HUVEC에서 TNF-α (A), IL-6 (B) 및 IL-1beta (C)의 HMGB1- 매개 생산은 ELISA (A-C) 또는 웨스턴블롯 분석 (D)으로 확인하였다.
(E, F) HUVEC를 HMGB1 (1 ug/mL, 16시간)로 활성화시킨 다음 16 시간 동안 MA와 배양하였다; HUVEC에서 인산화-NF-kB p65 (흰색 막대) 및 총 NF-kB p65 (검은 색 막대)(E) 및 인산화-ERK1/2 (흰색 상자) 및 총 ERK1/2 (검정 상자)의 HMGB1 매개 활성화를 분석하였다(F).
(G) 핵 및 세포질 추출물에서 NF-κB의 발현 수준을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도 5는 CLP 절차 후 치사율과 조직 손상에 대한 MA의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A) 수컷 C57BL/6 마우스(n = 20)를 CLP 후 12 시간 및 50 시간에 0.07 - 0.7 mg/kg의 MA를 정맥주사 하고, CLP 후 132 시간 동안 12 시간마다 동물 생존을 모니터링 하였다. 대조군 CLP 마우스 (●) 및 Sham 수술 마우스 (○)에 멸균 식염수(n = 20)를 투여하였다. CLP- 처리된 마우스의 전체 생존율을 결정하기 위해 카플란-마이어 생존 분석을 수행하였다.
(B) 수컷 C57BL/6 마우스에 CLP를 적용하고, CLP 후 12 시간 및 50 시간에 MA를 정맥주사 한 후, CLP 후 96 시간에 안락사 시키고, 손상된 폐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점수를 방법 섹션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록하였다.
(C) 폐 조직의 현미경 사진 (H & E 염색, 200x); 그림은 비슷한 결과를 가진 다른 날에 수행된 3 개의 독립적인 실험의 대표 이미지이며, 화살표는 백혈구 침윤을 나타낸다.
(D-G) 수컷 C57BL/6 마우스(n = 20)는 CLP 후 12 시간 및 50 시간에 MA를 정맥주사하였다. 마우스에서 채혈한 다음 안락사 시켜 (D) AST 및 ALT, (E) 크레아티닌, (F) BUN 및 (G) LDH의 혈장 수준을 측정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실험물질 및 방법
(1) 세포 배양 및 시약
HUVEC은 Cambrex Bio Science로부터 입수하여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유지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HUVEC는 계대 3-5의 배양세포를 사용되었다. 마슬 린산(Maslinic acid, MA), LPS (Escherichia coli),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테트라졸륨브로마이드 (MTT), 에반스블루, 크리스탈 바이올렛, 2-메르캅토 에탄올, 항생제(페니실린 G 및 스트렙토마이신), 및 디메틸설폭사이드(DMSO)는 시그마(Sigma)로부터, 인간 재조합 HMGB1은 Abnova (대만 타이페이 시티)로부터 구입하였다.
(2) 동물 및 CLP(cecal ligation and puncture procedure)
본 발명을 위해, 수컷 C57BL/6 (6-7 주령, 27g)를 오리엔트 바이오 (주)에서 구입하여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사육하였다. CLP-유발 패혈증의 모델 또한 종래 공지된 바와 같이 준비하였다. Sham 동물 그룹에서, 맹장은 노출되었지만 결찰 또는 천공하지 않고 복강으로 다시 넣어줬다. 다음으로, CLP 절차 후 24 시간에 MA 화합물을 주입하여 HMGB1 분비(도 1B), 세포 투과성(도 2C) 및 백혈구 이동(도 3D)을 평가하였다. 대안적으로, MA 화합물을 CLP 후 12 시간 및 50 시간에 주사하여 생존율을 평가하였다(도 5). 이 프로토콜은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경북대학교 동물 관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IRB No. KNU 2017-102).
(3) 경쟁적 HMGB1 ELISA 어세이
경쟁적인 ELISA를 수행하여 세포 배양 배지 또는 마우스 혈청에서 HMGB1 농도를 측정했다. HUVEC 단일층을 먼저 16 시간 동안 LPS(100ng / mL)로 처리한 후 16 시간 동안 MA와 함께 인큐베이션 하였다.
(4) 세포질 및 핵 추출물의 제조 및 웨스턴 블롯
세포는 침강에 의해 빠르게 수확되었고 핵과 세포질 추출물은 얼음 위에서 준비되었다. 간단히, 세포를 수거하고 600 x g에서 5 분 동안 1 ml의 완충액 A(10 mM HEPES, pH 7.9, 1.5 mM MgCl2 및 19 mM KCl)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완충액 A에 재현탁시키고, 600 × g에서 3 분 동안 원심 분리하고, 30㎕의 완충액 B(20mM HEPES, pH 7.9, 25% 글리세롤, 0.42M NaCl, 1.5mM MgCl2 및 0.2mM EDTA)에 재현탁하고, 4 ℃에서 30 분 동안 회전시킨 후, 13,000 × g에서 20 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상청액을 핵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브래드포드 분석으로 핵 및 세포질 추출물에서 단백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웨스턴 블롯 분석을 위해, 세포를 먼저 PBS로 헹구고 0.5% SDS, 1% NP-40, 1% 나트륨데옥시콜레이트, 150 mM NaCl, 50mM Tris-HCl(pH 7.5)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로 구성된 용해 완충액으로 처리하였다.
동일한 샘플 부피를 2x 로딩 염료와 혼합하고 95℃에서 5분 동안 끓였다. 배양 배지 및 전체 세포 용해물의 샘플을 상이한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서 전기 영동에 의해 분리하였다. 겔을 20 mA에서 2 시간 동안 반건식 전기영동 전달을 통해 PVDF 막으로 옮겼다. 그 후, PVDF 막을 5% 소 혈청 알부민(BSA)에서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차단하고 1차 항체 (1:500, 항-IL-6, 항-TNF-α, 항-NF-κB p65, 또는 항-라민 B 또는 β-액틴 항체)와 4℃에서 밤새 5% BSA를 함유하는 Tris-완충식염수/트윈 20(TBS-T) 중에서 배양하였다. 이어서, 이들은 1% BSA를 함유하는 TBS-T 중 2차 항체 (1:5,000)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인큐베이션 후, 막을 TBS-T로 3 회 세척하고, 웨스턴 블롯 강화 화학 발광 (ECL) 검출 시약(Amersham; Piscataway, NJ)과 함께 인큐베이션하고 Xomat AR 필름(Eastman Kodak; Rochester, NY)에 노출시켰다. 액틴 및 라민-B에 대한 항체는 각각 세포질 및 핵 추출물에 대한 로딩 대조군으로서 사용되었다.
(5) 세포 생존율 어세이
이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세포 생존율을 결정하기 위해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HUVEC를 MA와 4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6) 투과성 어세이
시험 관내에서 M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내피 세포 투과성의 분광 광도계 정량화를 위해, 기능성 세포 단층을 가로지르는 에반스 블루-바운드 알부민의 플럭스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형된 2 구획 챔버 모델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생체 내 실험을 위해, 수컷 마우스를 먼저 HMGB1 (2㎍/마우스, 정맥 내)로 16 시간 동안 처리한 후, MA 주사(0.07-0.7 mg/kg)를 처리하였다. 혈관 투과성은 마우스 당 복막강에서 염료의 ug로 표시되었으며 표준 곡선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7) 세포-세포 부착 어세이
HUVEC에 대한 인간 호중구의 세포 부착은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간략하게, 정제된 인간 호중구(1.5 x 106 세포/mL, 200 uL/웰)를 Vybrant DiD 염료로 표지한 다음 세척하고 자극된 HUVEC에 첨가하였다. HUVEC 단일층을 16 시간 동안 HMGB1 (1 ug/mL)로 처리한 후 6시간 동안 MA와 함께 인큐베이션 하였다. 첨가된 표지된 세포의 양은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Tecan, Austria GmbH, Austria, Grφdig, Austria)가 장착된 분광계를 사용하여 형광 신호 (총 신호)를 기록함으로써 평가되었다. 37 ℃에서 60 분 동안 인큐베이션 한 후, 비-부착성 세포를 PBS로 4 회 세척하여 제거하고, 이어서 형광 신호를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즉, 부착성 신호)로 재평가하였다. 부착성 호중구의 백분율을 하기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 부착성 = (부착신호/총신호) X 100.
(8) In vitro 이주 어세이
HUVECs로 인간 호중구의 이동은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간략하게, 기공 크기가 8μm 인 필터를 함유 한 6.5-mm 트랜스 웰 플레이트에서 이동 분석을 수행하였다. HUVEC (6×104)를 3 일 동안 배양하여 가득찬 내피 세포 단층을 수득하였다. 상부 구획에 호중구를 첨가하기 전에, 세포 단층을 16 시간 동안 HMGB1 (1 ug/mL)로 처리한 후 6 시간 동안 MA와 함께 인큐베이션 하였다. 이어서, 트랜스 웰 플레이트를 5% CO2에서 37℃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이어서, 상부 챔버의 세포를 흡인하고 필터 위의 비-이동세포를 면봉을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필터 하부의 호중구를 8% 글루타르알데히드로 고정시키고 20% 메탄올 (w/v) 중 0.25%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염색하였다. 9 개의 무작위로 선택된 고출력 현미경 필드(200x)를 세었다. 모든 실험을 중복 웰에서 웰당 2 회 반복하고 결과를 이동 지수로 제시하였다.
(9) In vivo 백혈구 이주 어세이
본 연구에서의 생체 내 실험을 위해, 수컷 마우스를 작은 설치류 가스 마취 기계 (RC2; Vetequip, Pleasanton, CA)를 통해 산소 중 2 % 이소플루란 (Forane; JW Pharmaceutical, Seoul, South Korea)으로 마취시켰다. 백혈구의 생체 내 이동은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고, 마우스는 절차 동안 자발적으로 호흡하도록 허용되었다. 마우스를 16 시간 동안 HMGB1 (2 ㎍/마우스, i.v.)로 처리한 후, MA를 정맥으로 투여하였다(0.07-0.7 mg/kg). 백혈구 이동을 평가하기 위해, 6 시간 후에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복막 공동을 5mL의 정상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복막액 샘플(20 ㎕)을 0.38 mL의 터크 용액 (3% 아세트산 중 0.01% 크리스탈 바이올렛)과 혼합하고 백혈구 수를 광학 현미경으로 계수하였다.
(10) 세포 부착성 분자 및 HMGB1 수용체의 발현 수준
혈관 세포 부착 분자 (VCAM)-1, 세포 간 CAM (ICAM)-1 및 E-셀렉틴의 발현 수준은 이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전 세포에서 ELI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간략하게, HUVEC의 가득찬 세포 단층을 16 시간 (VCAM-1 및 ICAM-1) 또는 22 시간 (E- 셀렉틴) 동안 HMGB1 (1 ug/mL)로 처리한 다음 MA를 투여하였다. 다음으로, HUVEC를 1% 파라포름알데히드에 고정시키고 3 회 세척하였다. 이어서, 마우스 항-인간 모노클로날 항체(VCAM-1, ICAM-1 및 E-셀렉틴, 1:50; 각각 케미 콘테메큘라, 캘리포니아)를 첨가한 후 샘플을 5% CO2에서 37℃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를 세척하고, 퍼옥시다제-접합된 항-마우스 IgG 항체(Sigma)로 1 시간 동안 처리하고, 추가로 3회 세척하고, o-페닐렌 디아민기질 (Sigma)로 처리하였다. 동일한 실험 절차를 사용하여 특정 항체 (A-9, H-80 및 A-9, 각각 Santa Cruz Biotechnology Inc.)를 사용하여 Toll-like receptor (TLR)2, TLR4 및 RAGE에 대한 수용체의 세포 표면 발현 수준을 모니터링했다.
(11) 인산화된 p-38 MAPK, NF-κB, TNF-α, ERK 1/2, IL-1β, and IL-6에 대한 ELISA
인산화된 p38 미토겐-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의 활성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시판되는 ELISA 키트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를 사용하여 정량화되었다. p65 (핵 인자 kappa B (NF-κB) (# 7174, # 7173; Cell Signaling Technology) 및 세포 외 신호 조절 키나제 (ERK) 1/2 (R & D Systems, Minneapolis, MN)의 총 및 인산화 형태의 활성은 핵 용해물에서 ELISA 키트 (R & D Systems)를 사용하여 측정되었으며, 세포 배양 상청액에서 IL-1β, IL-6 및 TNF-α의 농도는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2) H&E 염색 및 조직학적 분석
수컷 C57BL/6 마우스 (n = 5)에 CLP를 적용한 후, CLP 후 12 시간 및 50 시간에 MA (0.07-0.7 mg/kg)를 정맥투여 하였다. CLP 후 96 시간에, 마우스를 안락사 시켰다. 폐 시편에 대한 미세 현미경 분석은 맹검 관찰을 통해 수행되어 폐 구조, 조직 부종 및 염증 세포의 침윤을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평과하였다. 결과는 4 가지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등급 1은 정상 조직 병리학을 나타내고; 등급 2는 최소 호중구 백혈구 침윤을 나타냈다; 등급 3은 중등도의 호중구 백혈구 침윤, 혈관 주변 부종 형성 및 폐 구조의 부분 파괴를 나타냈다; 4 등급은 치밀한 호중구 백혈구 침윤, 농양 형성 및 폐 구조의 완전한 파괴를 나타낸다.
(13) 조직 손상 마커의 평가
AST, ALT, BUN 및 LDH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4) 통계학적 분석
각 실험은 적어도 3회씩 독립적으로 반복수행 되었다. 값(Values)들은 평균±평균의 표준오차(mean±standard error of the mean(SEM))로 나타내었다. 테스트 그룹간 통계적 유의성의 차이는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및 Tukey'post-hoc test에 의하여 평가되었다. 전체 생존률(overall survival rate)의 평가를 위하여,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가 수행되었다. SPSS for Windows, version 16.0(SPSS, Chicago, IL)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0.05 미만의 P-값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2. 실험결과
(1) MA는 LPS-활성화된 HUVEC 및 CLP-유도된 패혈증 동물모델에서 HMGB1의 분비를 저해함
활성화된 면역세포와 손상된 세포에 의해 분비된 HMGB1 단백질은 패혈증 매개체로서 기능하며 LPS는 동물 및 세포 연구에서 심한 혈관 염증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HMGB1 방출이 LPS에 의해 유도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이전의 보고서와 일치하게, 본 연구는 LPS가 HUVEC에서 HMGB1 분비를 유의하게 자극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이 LPS-유도자극은 MA의 독립적 투여에 의해 억제되었다(도 1A). 생체 내 HMGB1 방출에 대한 MA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A를 CLP 수술 12 시간 후에 정맥주사 하였고, MA는 CLP-유도된 HMGB1 분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음을 보여주었다(도 1B).
다음으로, TLR2, TLR4 및 RAGE를 포함한 HMGB1 수용체의 발현 수준에 대한 MA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MA는 HUVEC에서 TLR2, TLR4 및 RAGE의 HMGB1-유도 발현 수준을 감소시켰다(도 1C).
MA의 독성을 결정하기 위해, MTT를 HUVEC에 적용함으로써 세포 생존력 분석을 수행하였다. 48시간에 걸쳐 최대 50 μM의 농도로 처리된 세포의 생존력 평가에서 MA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도 1D).
(2) MA는 HMGB1-매개 혈관장벽붕괴를 억제함
HMGB1과 LPS는 혈관 장벽의 완전성을 파괴하기 때문에, 혈관 투과성을 분석하여 MA의 HUVEC에서 장벽 일관성을 유지하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HUVEC를 LPS(100 ng/mL; 도 2A) 또는 HMGB1 (1 ㎍/mL; 도 2B)로 활성화시킨 후 16 시간 동안 MA로 처리하였다. LPS- 및 HMGB1- 매개 과투과성은 MA에 의해 억제되었다(도 2A 및 3B); MA의 장벽-보호 효과는 마우스를 사용하여 생체 내에서 확인되었다(도 2C).
종래 공지된 바에 따르면, HMGB1에 의한 혈관 파괴 반응이 p38 MAPK의 활성화를 통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p38의 활성화에 대한 MA의 독립적인 효과를 평가하였다. HMGB1이 p38의 활성화를 증가시켰지만, 이러한 향상은 MA에 의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2D). HMGB1 매개 과투과성 및 p38 활성화의 감소는 MA가 항-패혈증 치료제로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3) MA는 HMGB1-매개 CAMs의 발현, 인간 호중구 부착 및 백혈구 이주를 억제함
HMGB1은 ICAM-1, VCAM-1 및 E-셀렉틴을 포함한 접착 분자의 내피 세포 표면 발현 수준을 증가시키며 죽상 동맥경화증과 같은 질병에도 연루되어 있다. 이러한 접착 분자는 내피를 가로질러 백혈구가 염증 부위로 이동하는 것을 돕는다. 본 연구에서, MA는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CAM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켰으며(도 3A), 이는 CAM의 발현 수준에 대한 MA의 억제 효과가 HMGB1 신호 전달의 감쇠에 의해 매개됨을 시사한다. CAM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에 더하여, MA는 인간 호중구의 HUVEC에 대한 부착뿐만 아니라 후속 이동을 감소시켰다(도 2B, 2C 및 2E). 본 연구에서의 생체 내 실험은 복막 공간에서 백혈구의 HMGB1-유도된 이동의 억제를 보여줌으로써 이러한 결과를 확증하였다 (도 2D). 따라서, 본 결과는 MA는 염증성 내피에 백혈구의 부착 및 이동을 모두 억제함을 시사한다.
(4) MA는 HMGB1-자극된 NF-κB/ERK의 활성화 및 IL-1β, IL-6 및 TNF-α의 생산을 저해함
HMGB1은 ERK 1/2 및 NF-κB와 같은 다양한 신호 경로를 통해 TNF-α, IL-1β 및 IL-6을 포함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켜 패혈증의 병리학적 및 생리학적 조건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TNF-α, IL-1β 및 IL-6의 HMGB1-유도 생산 및 NF-κB 및 ERK 1/2 경로의 활성화에 대한 MA의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염증성 사이토 카인의 생성 및 전사 인자의 활성화는 HMGB1에 의해 향상되었으나, HUVEC를 MA로 처리함으로써 각각 억제되었다(도 4A-4F). 또한, HMGB1은 핵에서 p65 NF-κB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나, 이는 HUVEC에서 MA를 이용한 독립적인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도 4G).
(5) MA투여는 CLP-유도 패혈증 마우스에서 생존율을 향상시키고 조직 손상을 완화함
MA를 CLP 후 12 시간 및 50 시간에 2 회 투여하였다. MA에 대한 이 투여 요법은 패혈증으로 죽어가는 마우스의 생존율을 개선시켰다(p <0.00001;도 5A). 이 결과는 MA가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의 제어에 유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CLP-유발 폐 손상에 대한 MA의 잠재적인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CLP는 폐 조직으로의 염증성 세포의 대규모 침윤 및 폐 조직의 심각한 손상을 통해 간질성 부종을 유발하였으며, MA는 이러한 변화를 개선하였다(도 5B 및 5C).
패혈증 동안 발생하는 전신 염증은 종종 간 및 신장이 주요 표적 기관인 MOF를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 CLP는 간 손상의 마커인 ALT 및 AST(도 5D) 및 신장 손상의 마커 인 크레아티닌 및 BUN(도 5E 및 5F)의 혈장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는 MA에 의해 완화되었다. 조직 손상의 또 다른 중요한 마커인 LDH도 CLP-유도된 마우스에서 MA에 의해 감소되었다(도 5G).
본 발명의 마슬린산은 패혈증의 주요 매개인자인 HMGB1(High mobility group box 1)의 분비를 억제하고 상기 HMGB1과 관련된 전염증성 시그날링(proinflammatory signaling)을 억제하는 효과를 지니며, 실제로 in vivo 패혈증 동물 모델에서 패혈증의 치료효과가 현저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5)

  1. HMGB1(high mobility group box 1)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리된 마슬린산 (Maslin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MGB1에 의해 매개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1092249564-pat00006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마슬린산이 0.001~50중량%로 포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HMGB1(high mobility group box 1)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리된 마슬린산 (Maslin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MGB1에 의해 매개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1092249564-pat00007
KR1020190149153A 2019-11-19 2019-11-19 마슬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3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153A KR102343728B1 (ko) 2019-11-19 2019-11-19 마슬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153A KR102343728B1 (ko) 2019-11-19 2019-11-19 마슬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217A KR20210061217A (ko) 2021-05-27
KR102343728B1 true KR102343728B1 (ko) 2021-12-24

Family

ID=7613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153A KR102343728B1 (ko) 2019-11-19 2019-11-19 마슬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170A (ko) 2022-04-11 2023-10-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슬린산을 이용한 신장섬유화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5514A (ko) 2021-07-01 2023-01-1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Drg2 유도제를 포함하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0467A (zh) * 2014-02-19 2015-08-19 中国药科大学 五环三萜类肠道病毒ev71抑制剂、其药物组合物及医药用途
JP2018514505A (ja) * 2015-03-31 2018-06-07 フレゼニウス カービ ドイチュラ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非経口投与用のエマルショ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0467A (zh) * 2014-02-19 2015-08-19 中国药科大学 五环三萜类肠道病毒ev71抑制剂、其药物组合物及医药用途
JP2018514505A (ja) * 2015-03-31 2018-06-07 フレゼニウス カービ ドイチュラ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非経口投与用のエマルション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S Infect. Dis. 2019, 5, 1581-1589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672 (2011) 169-174
Parasitol Res (2010) 107, 601-60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170A (ko) 2022-04-11 2023-10-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슬린산을 이용한 신장섬유화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217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061869A (ja) 自然免疫活性化剤
KR102343728B1 (ko) 마슬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8006476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colitis disease comprising Lactobacillus sakei K040706 as an active ingredient
US2015018248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and immune diseases, containing apo-9`-fucoxanthinone as active ingredient
CN111265527B (zh) 萘酚喹及其药学上可接受的盐在制备抗冠状病毒药物中的用途
KR20200008890A (ko) 시알릴락토오스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세포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
KR101247802B1 (ko) 피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96657B1 (ko) 플라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125801A1 (en)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ory and fibrotic diseases and disorders
KR101909954B1 (ko) 진저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64505A (ko) 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20244B1 (ko) 콜리스마이신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98207B1 (ko) 알로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성 쇼크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90224255A1 (en)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litis disease comprising lactobacillus sakei k040706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184343B1 (ko) 피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85910B1 (ko) 헤데라콜키사이드 E (Hederacolchiside 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6726B1 (ko) 라이소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증혈관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16367B1 (ko) 메틸티오우라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및 패혈증성 쇼크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3040496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eritonitis
CN114028398B (zh) 一种组蛋白去乙酰化酶hdac11抑制剂在制备防治真菌感染药物中的应用
Guan et al. Lentinan regulates the immune efficacy of macrophage for lung metastasis in triple negative breast
KR102046422B1 (ko) N-(사이아노메틸)-4-[2-[[4-(4-모르폴리닐)페닐]아미노]4-피리미디닐]-벤자아마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또는 패혈증성 쇼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04453B1 (ko) 카다모닌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7339B1 (ko) 갈락토만난과 라이소자임의 마이얄반응을 통해 생성된 네오글라이코프로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US2014010028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veratric acid as effective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