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386B1 -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386B1
KR102334386B1 KR1020210009225A KR20210009225A KR102334386B1 KR 102334386 B1 KR102334386 B1 KR 102334386B1 KR 1020210009225 A KR1020210009225 A KR 1020210009225A KR 20210009225 A KR20210009225 A KR 20210009225A KR 102334386 B1 KR102334386 B1 KR 102334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acid bacteria
feed
medium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향숙
Original Assignee
김향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향숙 filed Critical 김향숙
Priority to KR1020210009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Y222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5Pet food for dog, cat, bird, or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쑥이 함유된 배지로부터 유산균을 수득하고, 상기 유산균을 각종 한방제와 함께 사료 베이스와 배합하여 이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섭취한 반려동물의 신장 발육의 안정화와 체질 개선에 따른 면역력 강화 및 장 기능 활성화에 기인한 안정적인 배변 활동 및 배변 냄새 저감 등 다양한 효능이 발휘되는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쑥 분말로 이루어진 배지를 이용하여 유산균제제(乳酸菌製劑)를 수득하는 유산균 배합단계(S10)와, 유산균제제에 한방제(韓方劑)를 혼합하는 약재성분 혼합단계(S20)와, 한방제가 혼합된 유산균제제를 사료 베이스와 혼합하여 기설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외형 성형단계(S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feed for odor reduction}
본 발명은 배설물의 악취를 저감시키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사료에 관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쑥이 함유된 배지로부터 유산균을 수득하고, 상기 유산균을 각종 한방제와 함께 사료 베이스와 배합하여 이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섭취한 반려동물의 신장 발육의 안정화와 체질 개선에 따른 면역력 강화 및 장 기능 활성화에 기인한 안정적인 배변 활동 및 배변 냄새 저감 등 다양한 효능이 발휘되는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산업화 시대를 거쳐 핵가족 문화와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정서적인 안정을 위해 개인의 취향에 맞춰 다양한 종의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렇듯 반려동물 시장이 급부상하면서 반려동물과 관련된 물품이나 서비스 등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과거에는 주로 방범을 목적으로 건물 밖 마당에 별도의 집을 마련한 후 실외에서 사육하는 것이 일반적이였으나, 최근에는 마당이 없는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에 거주하게 되면서 실내에서 사육하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상기와 같이 반려동물을 실내에서 사육하면서 짖는 행위를 비롯하여 배변 훈련이나 냄새 등 실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가 동반되었다. 그 중 배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해당 동물과 사육사의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악취가 벽지나 장판 및 가구 등으로 스며들면서 사육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사육사와 반려동물 관련업계는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상기 배변 악취 저감을 위한 기술사례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802247호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발효콩에 유채유와 연어오일, 유산균 분말, 전분 등을 혼합하여 사료의 형태로 성형한 기술이다. 해당 기술은 발효콩을 사용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면역력 강화와 소화 효율이 개선되고, 냄새가 자극적이지 않는 발효콩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료 냄새는 물론 배변 냄새까지 저감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배변 악취 저감을 위한 기술 중 다른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451085호 "악취가 저감된 분뇨의 배설을 유도하는 가축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대나무와 오가피로 이루어지는 육초류 추출액과 해초 추출액으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액에 미네랄, 비타민, 유용 미생물 등을 혼합하여 사료의 형태로 성형한 기술이다. 해당 기술은 풍부한 영양소로 하여금 동물의 체질과 소화 효율이 개선되고, 체내의 탁월한 정장 효과를 기반으로 배변 냄새를 저감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반려동물의 배설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사료를 구성하는 재료와, 실질적으로 배설물을 생성하는 해당 동물의 장 기능의 건강 상태가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가능한 무취 재료로 발효콩이나 대나무, 오가피 등을 채택하였으며, 장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유산균이 함유된 사료를 개발하게 되었으나 그만큼 맛과 향이 저하되어 섭취를 거부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유산균은 장 내로 진입하여 체질을 개선하기 이전에 사멸하여 그 효과가 매우 미비하였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은 맛과 향이 우수하며 뛰어난 영양성분을 보유함으로써 반려동물의 거부감 없는 섭취에 안정적인 성장 발육을 도모하고, 특히 생명력이 뛰어난 유산균을 단기간에 대량 수득할 수 있는 제조 환경의 개선으로 반려동물의 체질 개선과 장 기능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유도함에 따라 배설물의 악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를 개발하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02247호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 등록특허공보 제10-1451085호 "악취가 저감된 분뇨의 배설을 유도하는 가축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자체적으로 자극적인 향을 최소화하면서 섭취시 체질과 장 기능이 개선되어 각종 질병으로부터 면역력 강화 및 배변시 악취가 적극 저감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면역력 강화와 악취 저감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사료 베이스에 특정 유산균제제를 첨가하고자 하며, 특히 제조 과정에서 유산균이 활발하게 증식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면서 그에 따른 제조 환경을 조성하여 뛰어난 성능을 가진 반려동물용 기능성 사료를 제조 및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는 유산균과, 유산균의 증식을 촉진 유도하는 쑥 분말과, 건강 보조 및 탈취 기능을 부여하는 한방제와, 사료 베이스의 혼합물로써, 상기 혼합물을 기설정 형상으로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쑥 분말로 이루어진 배지를 이용하여 유산균제제(乳酸菌製劑)를 수득하는 유산균 배합단계(S10)와, 유산균제제에 한방제(韓方劑)를 혼합하는 약재성분 혼합단계(S20)와, 한방제가 혼합된 유산균제제를 사료 베이스와 혼합하여 기설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외형 성형단계(S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산균 배합단계(S10)는 쑥 분말과 MRS broth와 mannose 및 황산칼슘과 탄산칼슘에 의해 조성된 배지에서 유산균을 배양하는 유산균 배양단계(S11)와, 배양된 배지를 치환하여 생균수가 7 내지 10 Log CFU/ml인 배양액을 수득하는 배양액 수득단계(S12)를 거쳐 유산균제제가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지는 톱밥과 쑥 분말을 물에 침지한 후 가열하는 쑥 분말 용해단계(S11-1)와, 톱밥을 고압 증기로 살균하는 배지 살균단계(S11-2)와, 톱밥에 황산칼슘과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수분과 산도를 조절하는 산도 조절단계(S11-3)와, 수분과 산도가 조절된 쑥 분말 톱밥을 용기에 넣고 완전 밀봉하는 용기 보관단계(S1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방제는 맥문동(麥門冬), 계피(桂皮), 매실(梅實), 자초(紫草), 목향(木香), 천궁(川芎), 정향(丁香), 팔각(八角), 용뇌(龍腦)로 이루어지는 한방 약재와, 아레카야자, 산세베리아, 스파티필름, 피톤치드, 고무나무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식물성 약재를 증류수에 투입한 후 용해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방제는 유산균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청국장을 포함하고, 청국장 냄새 제거를 위해 녹차(綠茶)나 허브 또는 쑥 분말이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형 성형단계(S30)는 유산균 배양액을 동결 건조방식으로 건조한 후 압출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사료의 형상으로 가공하며, 유산균 배양액을 질소로 예냉된 용기에 충진하고 분무하는 유산균 충진단계(S31)와, 분무된 배양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유산균 건조단계(S32)와, 동결 건조된 유산균을 사료 베이스와 혼합한 후 압출하여 기설정 사료 형상으로 성형하는 유산균 성형단계(S33)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유산균 충진단계(S31)는 용기를 예냉하는 용기 예냉단계(S31-1)와, 예냉된 용기 내표면에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질소 공급단계(S31-2)와, 질소가 공급된 용기에 유산균 배양액을 분무하는 유산균 분무단계(S3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산균 분무단계(S31-3)는 유산균 배양액을 분무 중인 상태에서 열풍을 추가로 공급함으로써 배양액이 1mm 이하의 물방울 입자 상태로 기류와 동반하여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산균 건조단계(S32)는 분무된 유산균 배양액을 동결시키는 유산균 동결단계(S32-1)와, 동결된 유산균 배양액에 수증기의 부분압을 낮춰 얼음을 증기로 승화시키는 유산균 승화단계(S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방제는 쑥 분말에 상기 유산균 배합단계(S10)에서 배양한 유산균을 접종한 후 발효조에서 1주일간 배양하는 쑥 발효단계(S21)와, 30℃ 내외의 미온수에 유산균이 함유된 쑥 분말과 한방 약재 및 식물성 약재를 투입하여 용해하는 한방액 획득단계(S22)와, 한방액에 다시 유산균 배합단계(S10)에서 배양한 유산균을 투입한 후 48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하는 제1차 발효단계(S23)와, 1차 발효된 한방액을 약 1 내지 2개월 동안 자연건조하는 제2차 발효단계(S24)와, 2차 발효된 한방액을 70 내지 80℃의 건열에서 10분간 멸균시키는 멸균 처리단계(S25)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료 자체가 무취에 가깝기 때문에 사료를 공급 내지 보관하는 동안 주변에 악취가 발생하지 않으며, 유산균과 각종 한방제가 반려동물의 체질 개선과 장 기관을 개선시키기 때문에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력 강화 및 원활한 배변 활동을 유도하고, 특히 배설된 배변으로부터 악취가 적극적으로 저감되어 상시 쾌적한 사육 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 과정을 나열한 플로차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배설물의 악취를 저감시키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사료에 관련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쑥이 함유된 배지로부터 유산균을 수득하고, 상기 유산균을 각종 한방제와 함께 사료 베이스와 배합하여 이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섭취한 반려동물의 신장 발육의 안정화와 체질 개선에 따른 면역력 강화 및 장 기능 활성화에 기인한 안정적인 배변 활동 및 배변 냄새 저감 등 다양한 효능이 발휘되는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 과정을 나열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는 섭취시 장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유산균;과, 유산균의 생명력 강화 및 증식량을 촉진시키는 쑥 분말;과, 섭취시 체질 개선 및 성장 발육을 도모하는 한방제;와, 기본적인 사료 베이스;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압출하여 원하는 사료의 형태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상세하게는 배지를 이용하여 유산균을 수득하는 유산균 배합단계(S10)와, 유산균제제에 한방제(韓方劑)를 혼합하는 약재성분 혼합단계(S20)와, 한방제가 혼합된 유산균제제를 사료 베이스와 혼합하여 기설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외형 성형단계(S30)로 구성된다.
상기 유산균 배합단계(S10)는 쑥 분말로 이루어진 배지에서 생명력이 뛰어난 유산균을 단기간 내에 대량으로 수득하는 단계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쑥 분말 배지를 활용한 동결건조 방식으로 유산균을 수득한다.
상기 배지란 미생물이나 동식물의 조직배양을 위해 필요한 영양분을 용액이나 고형분 상태로 조제한 것을 말하고, 상기 유산균이란 발효에 의해 생장하는 세균 중 발효 결과 유산을 주된 산물로 생산하는 세균들을 말한다.
상기 유산균 배합단계(S10)는 쑥 분말이 함유된 배지에서 유산균을 배양하는 유산균 배양단계(S11)와, 배양된 배지를 치환하여 배양액을 수득하는 배양액 수득단계(S12)를 거쳐 유산균제제를 확보한다.
상기 배지는 쑥 분말, 톱밥, MRS broth, mannose를 혼합한 배지 혼합물을 물에 침지한 후 가열하는 쑥 분말 용해단계(S11-1)와, 상기 배지 혼합물을 고압증기살균기로 살균하는 배지 살균단계(S11-2)와, 상기 배지 혼합물에 황산칼슘과 탄산칼슘을 첨가함으로써 수분과 산도를 조절하는 산도 조절단계(S11-3)와, 수분과 산도가 조절된 배지 혼합물을 용기에 넣고 완전 밀봉하는 용기 보관단계(S11-4)로 구성된다.
상기 쑥 분말 용해단계(S11-1)에서 MRS broth는 Lactobacillus 속의 분리 및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로써 침전물이 없이 투명하다가 미생물(L.delbrueckii)이 배양되면 점차 혼탁해지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mannose는 탄수화물의 헥소스 계열의 설탕 단량체로써 장내에 대장균에 달라붙어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요로감염과 방광염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이렇듯 쑥 분말, 톱밥, MRS broth, mannose를 혼합한 배지 혼합물은 수분 함량이 약 45 내지 50%가 되도록 물의 양과 가열 온도를 조절하면서 가열한다.
상기 배지 살균단계(S11-2)는 고압 증기 살균기로 배지 혼합물을 살균하고, 살균 작업이 완료된 4 내지 5일 이후 흔들기 작업을 시도한다. 상기 흔들기 작업은 배지용 트레이 상에 배지 혼합물이 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흔들어주는 작업으로써 균덩어리가 생성되는 문제를 미리 예방하는 작업이다.
상기 산도 조절단계(S11-3)는 배지 혼합물에 배지 내 수분을 조절하면서 결착을 방지하는 황산칼슘과 배지 내 산도(pH)를 조절하는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배지 내 수분과 산도를 조절하는 단계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지 혼합물 량이 100%라는 가정하에 황산칼슘은 배지 혼합물 대비 약 2%를 투입하고, 탄산칼슘은 황산칼슘 대비 50%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배지 혼합물이 300g일 경우 황산칼슘은 300g의 2%인 6g을 계량하고, 탄산칼슘은 황산칼슘 량의 50%인 3g을 계량하는 것이다.
상기 용기 보관단계(S11-4)는 수분과 산도가 조절된 배지 혼합물을 기설정 용기에 장입하고, 실리스토퍼를 사용하여 개구된 입구를 차폐한다. 상기 실리스토퍼는 입구의 2/3 가량 주입시켜 차폐하되, 주입시 발생하는 주름을 가급적 펴주면서 주입하여 완벽하게 차폐하고, 약 20 내지 40 시간동안 유산균을 배양한다.
한편, 상기 배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쑥 분말을 이용한 배지를 활용하여 유산균을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주어진 환경에 따라 쌀, 밀, 현미 등 곡류를 이용한 배지로도 대체할 수는 있다. 다만, 각 배지를 통해 수득할 수 있는 유산균의 증식량과 성능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음은 감안하여야 한다.
아래 표 1은 각 배지에서 배양된 유산균의 기능을 측정한 것으로, 유산균을 사료에 첨가하는 제조과정에서 생균수의 감소율을 측정하였으며, 사료를 섭취한 후 장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유산균의 사멸량을 측정하였다. 예컨대 시편 1은 쑥 배지에서 배양된 유산균으로 제조된 사료이고, 시편 2는 곡류 배지에서 배양된 유산균으로 제조된 사료이다.
구성 시편1 시편2
생균수 감소율(100%) 0.12572 0.56149
섭취후 사멸량(100%) 0.93228 1.48441
<배지 종류에 따른 유산균 배양 성능 비교표>
상기 표 1과 같이 동일 면적당 생균수가 100%라는 가정하에 쑥 배지에서 배양한 유산균을 첨가한 사료에서는 0.12572%의 생균수가 감소하였으며 섭취 후에는 0.93228%의 유산균이 사멸하였고, 곡류 배지에서 배양한 유산균을 첨가한 사료에서는 0.56149%의 생균수가 감소하였으며 섭취 후에는 1.48441%의 유산균이 사멸하였다. 결과적으로 쑥 배지가 일반 곡류 배지에 비해 월등하게 건강한 유산균을 배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배양액 수득단계(S12)는 용기에 배양된 유산균을 배양액으로 치환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유산균을 사료와 배합하여 가공하는 과정에서 유산균의 사멸을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유산균을 동결 건조한 후 사료 베이스와 배합한다. 때문에 유산균 배양액으로 치환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배양액이 원활하게 도포될 수 있는 점질을 유지하여야 한다.
상기 배양액 수득단계(S12)는 유산균을 3500 rpm에 4℃의 조건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기존의 액체 배지를 제거하는 유산균 원심분리단계(S12-1)와, 제거된 액체 배지와 동일한 양의 펩톤식염완충액(buffered peptone water)을 첨가하는 유산균 치환단계(S12-2)로 구성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생균수가 7 내지 10 Log CFU/ml인 배양액을 수득한다.
상기와 같이 수득된 배양액을 본 발명에서는 유산균제제라고 칭한다.
상기 약재성분 혼합단계(S20)는 유산균제제에 한방제(韓方劑)를 혼합하는 단계로써, 반려동물의 체질 개선과 장 기능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한방 약재와, 사료의 냄새와 변의 악취를 저감시키는 식물성 약재로 구성된다.
상기 한방 약재로는 맥문동(麥門冬), 계피(桂皮), 매실(梅實), 자초(紫草), 목향(木香), 천궁(川芎), 정향(丁香), 팔각(八角), 용뇌(龍腦)으로 구성된다.
상기 맥문동(麥門冬)은 기관지염에 효능이 있고 낮은 열량으로 섭취시 발육과 체질 개선에 효과적이며, 상기 계피(桂皮)는 소화 장애에 탁월하고 관절 질환 예방 및 치료에도 효과적이며, 상기 매실(梅實)은 시트르산이 풍부하여 피로 회복에 효능이 있고 알칼리 성분 역시 풍부하여 위장 기능 활성화나 소화 기관 정상화 및 위장 장애 예방에 효과적이며, 상기 자초(紫草)는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및 심장질환 등 혈액 순환 개선에 효능이 있고 피부나 염증 개선에 뛰어나 섭취시 내장기관 보호 및 개선에 효과적이다. 상기 목향(木香)은 소화기를 활성화하고 위장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천궁(川芎)은 복통에 효과적이고, 상기 정향(丁香)은 장에 잔류한 노폐물을 배설시키는데 탁월하며, 상기 팔각(八角)은 요통에 효과적이며 사료와 배합시 탈취 효과를 나타내고, 상기 용뇌(龍腦)는 치질 개선에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한방제는 신체 내외적으로 면역력을 강화시키고, 특히 장 기능을 적극 활성화시켜 소화 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장 기능을 강화시켜 배변 활동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약재로 구성되었다. 상기 맥문동, 계피, 매실, 자초, 목향, 천궁, 정향, 팔각, 용뇌는 각각 열수 추출한 후 동결 건조하고, 건조물을 미세한 크기로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보관하였다가 한방제를 제조할 때 맥문동, 계피, 매실, 자초, 목향, 천궁, 정향, 팔각, 용뇌를 모두 첨가하여 제조한다.
상기 식물성 약재로는 아레카야자 추출물, 산세베리아 추출물, 스파티필름 추출물, 피톤치드 추출물, 고무나무 추출물로 구성된다.
상기 아레카야자 추출물은 포름알데히드 제거 능력이 우수하고, 상기 산세베리아 추출물은 포름알데히드와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 등 공기 중 오염물질을 흡수하는데 탁월하며, 상기 스파티필름 추출물은 아세톤과 알코올과 트리클로로에틸렌과 벤젠과 포름알데히드 등 공기 중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고, 상기 피톤치드와 고무나무 추출물은 탈취와 방향 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한방 약재의 성분으로 반려동물의 체질과 장 기능을 활성화시켜 배설물의 악취를 적극 저감하였으나 무취의 수준은 아니기 때문에 배설 후 주변에서 배설물의 냄새가 퍼질 수 밖에 없다. 이때 배설물에 포집된 상기 식물성 약재 성분이 배설물의 냄새를 다시한번 저감시키면서 악취가 퍼지는 속도를 적극적으로 늦추어준다.
한편, 상기 한방제는 쑥 분말과 한방 약재 및 식물성 약재를 모두 물에 용해한 후 가열하고 수차례 건조 및 발효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세하게는 쑥 분말에 유산균 배합단계(S10)에서 배양한 유산균을 접종한 후 발효조에서 1주일간 배양하는 쑥 발효단계(S21)와, 30℃ 내외의 미온수에 유산균이 함유된 쑥 분말과 한방 약재 및 식물성 약재를 투입하여 용해하는 한방액 획득단계(S22)와, 한방액에 다시 유산균 배합단계(S10)에서 배양한 유산균을 투입한 후 48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하는 제1차 발효단계(S23)와, 1차 발효된 한방액을 약 1 내지 2개월 동안 자연건조하는 제2차 발효단계(S24)와, 2차 발효된 한방액을 70 내지 80℃의 건열에서 10분간 멸균시키는 멸균 처리단계(S25)를 거쳐 한방제가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쑥 성분이 함유된 한방제는 수분 9.4%와, 조단백질 13.5%와, 조지방 4.1%와, 회분 9.6%와, 조섬유 22.12%와, 탄수화물 39.92%와, 아미노태질서 393.1mg%의 영양성분이 더 조성되었으며, 당연하게도 한방 약재 분말과 식물성 약재 분말을 물에 용해하여 제조된 한방제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상기 외형 성형단계(S30)는 한방제가 혼합된 유산균제제를 사료 베이스와 혼합하여 기설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로써, 바람직하게는 유산균 배양액을 동결 건조방식으로 건조한 후 압출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사료의 형상으로 가공한다.
상기 외형 성형단계(S30)는 유산균 배양액을 질소로 예냉된 용기에 충진하고 분무하는 유산균 충진단계(S31)와, 분무된 배양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유산균 건조단계(S32)와, 동결 건조된 유산균을 사료 베이스와 혼합한 후 압출하여 기설정 사료 형상으로 성형하는 유산균 성형단계(S33)로 구성된다.
상기 유산균 충진단계(S31)는 용기를 예냉하는 용기 예냉단계(S31-1)와, 예냉된 용기 내표면에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질소 공급단계(S31-2)와, 질소가 공급된 용기에 유산균 배양액을 분무하는 유산균 분무단계(S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유산균 분무단계(S31-3)는 유산균 배양액을 분무 중인 상태에서 열풍을 추가로 공급함으로써 배양액이 1mm 이하의 미세한 물방울 상태로 기류와 동반하여 건조되는 방식을 추구한다.
상기 유산균 건조단계(S32)는 분무된 유산균 배양액을 동결시키는 유산균 동결단계(S32-1)와, 동결된 유산균 배양액에 수증기의 부분압을 낮춰 얼음을 증기로 승화시키는 유산균 승화단계(S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분무건조방식과 동결건조방식의 조합으로 건조할 경우 배양액의 입경이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포되어 열에 민감한 시료를 분말형태로 건조하는데 매우 탁월하며, 제조과정에서유산균의 사멸을 적극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한방제는 한방 약재와 식물성 약재 외에 유산균의 증식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청국장이 더 첨가되는 것을 포함하고, 청국장 고유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녹차(綠茶)나 허브 또는 쑥 분말이 더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청국장은 발효 식품으로써 자체적으로 우수한 배지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유산균을 별도로 접종하지 않아도 유산균이 자체 생성 및 증식된다. 상기 청국장은 황산화물질인 비타민E가 함유되어 신체 조직이 노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산균과 사포닌 그리고 제니스테인 성분이 함유되어 항암효과에 뛰어난 것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다만, 상기 청국장은 특유의 냄새가 발생하여 냄새에 민감한 반려동물의 기호성을 해칠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녹차나 허브 또는 쑥 분말이 더 첨가된다.
아래는 한방제의 구성 요소에 따라 표 1과 같이 유산균의 기능을 측정한 것으로, 유산균을 사료에 첨가하는 제조과정에서의 생균수의 감소율을 측정하였고, 사료를 섭취한 후 장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유산균의 사멸량을 측정하였으며, 사료에서 발생하는 악취 정도와, 배변에서 발생하는 악취 정도 및 반려동물의 기호도를 측정하였다.
예컨대 시편 1은 물, 한방 약재, 식물성 약재로 이루어진 한방제로 제조된 사료이고, 시편 2는 쑥 분말, 한방 약재, 식물성 약재로 이루어진 한방제로 제조된 사료이고, 시편 3은 물, 한방 약재, 식물성 약재, 청국장, 녹차 or 허브로 이루어진 한방제로 제조된 사료이고, 시편 4는 쑥 분말, 한방 약재, 식물성 약재, 청국장으로 이루어진 한방제로 제조된 사료이다.
상기 악취는 악취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상기 기호도는 4개의 시편을 일렬로 배치한 후 동일 종의 강아지 100 마리를 한마리씩 진입시켜 가장 많이 섭취한 시편을 카운팅하여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여기에서 악취 측정기는 무취의 상태에서의 수치는 0이며 악취의 수준에 따라 수치가 증가한다.
구성 생균수감소율 섭취시사멸량 사료 악취 배변 악취 기호도
시편1 0.08724 0.80712 0.72 3.44 2
시편2 0.04011 0.63561 0.68 3.15 8
시편3 0.05088 0.61792 0.77 2.89 12
시편4 0.02218 0.44103 0.75 2.06 78
<한방제의 구성에 따른 기능성 사료 성능 비교표>
표 2와 같이 생균수 감소율과 섭취시 사멸량 등을 종합 비교하여 봤을 때 쑥 분말, 한방 약재, 식물성 약재, 청국장으로 이루어진 한방제로 제조된 사료가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청국장이 첨가되면서 사료 자체적으로 냄새가 증가하였으나 유산균의 증식과 생명력을 적극적으로 강화시킴과 더불어 맛과 풍미가 향상되면서 더욱 많은 반려동물들이 선호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사료 자체가 무취에 가깝기 때문에 사료를 공급 내지 보관하는 동안 주변에 악취가 발생하지 않으며, 유산균과 각종 한방제가 반려동물의 체질 개선과 장 기관을 개선시키기 때문에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력 강화 및 원활한 배변 활동을 유도하고, 특히 배설된 배변으로부터 악취가 적극적으로 저감되어 상시 쾌적한 사육 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 유산균 배합단계
S20. 약재성분 혼합단계
S30. 외형 성형단계

Claims (7)

  1. 쑥 분말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유산균제제(乳酸菌製劑)를 수득하는 유산균 배합단계(S10);와, 맥문동(麥門冬), 계피(桂皮), 매실(梅實), 자초(紫草), 목향(木香), 천궁(川芎), 정향(丁香), 팔각(八角), 용뇌(龍腦)로 이루어지는 한방 약재와, 아레카야자, 산세베리아, 스파티필름, 피톤치드, 고무나무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식물성 약재를 증류수에 투입한 후 용해하여 형성되는 한방제를 유산균제제와 혼합하는 약재성분 혼합단계(S20);와, 한방제가 혼합된 유산균제제를 사료 베이스와 혼합하여 기설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외형 성형단계(S30);로 구성되는 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배합단계(S10)는 쑥 분말과 MRS broth와 mannose 및 황산칼슘과 탄산칼슘에 의해 조성된 배지에서 유산균을 배양하는 유산균 배양단계(S11);와, 배양된 배지를 치환하여 생균수가 7 내지 10 Log CFU/ml인 배양액을 수득하는 배양액 수득단계(S12);를 거쳐 유산균제제가 확보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산균 배양단계(S11)는 쑥 분말과 MRS broth 및 mannose를 물에 침지한 후 수분 함량이 45 내지 50%가 되도록 가열하여 쑥 분말을 용해시키고 배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1-1);와, 상기 배지 혼합물을 고압 증기로 살균한 후 배지용 트레이에 장입하는 배지 살균단계(S11-2);와, 상기 배지 혼합물에 황산칼슘과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수분과 산도를 조절하는 산도 조절단계(S11-3);와, 수분과 산도가 조절된 배지 혼합물을 용기에 넣고, 실리스토퍼를 활용하여 용기의 입구를 밀봉한 후 20~40시간 동안 유산균을 배양하는 단계(S11-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성분 혼합단계(S20)는 쑥 분말에 상기 유산균 배합단계(S10)에서 배양한 유산균을 접종한 후 발효조에서 1주일간 배양하는 쑥 발효단계(S21);와, 미온수에 상기 쑥 발효단계에서 획득한 유산균이 함유된 쑥 분말과, 상기 한방 약재 및 상기 식물성 약재를 투입하고 용해시키는 한방액 획득단계(S22);와, 상기 획득한 한방액에 다시 유산균 배합단계(S10)에서 배양한 유산균을 투입한 후 48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시키는 제1차 발효단계(S23);와, 상기 1차 발효된 한방액을 1~2개월 동안 자연건조하는 제2차 발효단계(S24);와, 상기 2차 발효된 한방액을 70~80℃의 건열에서 10분간 멸균시키는 멸균 처리단계(S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성분 혼합단계(S20)는 유산균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청국장 및 청국장의 냄새 제거를 위해 녹차(綠茶)나 허브 또는 쑥 분말이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 성형단계(S30)는 상기 유산균 배합단계(S10)에서 획득한 유산균 배양액을 질소로 예냉된 용기에 충진하고 분무하는 단계(S31);와, 상기 분무된 유산균 배양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S32);와, 상기 동결 건조된 유산균 배양액을 사료 베이스와 혼합한 후 압출하여 기설정 사료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S33);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 및 분무 단계(S31)는 용기를 예냉하는 용기 예냉단계(S31-1)와, 예냉된 용기 내표면에 질소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31-2)와, 질소가 공급된 용기에 상기 유산균 배양액을 분무하는 단계(S31-3)를 포함하되, 상기 분무단계(S31-3)는 유산균 배양액을 분무 중인 상태에서 열풍을 추가로 공급하여 1mm 이하의 물방울 입자 상태로 기류와 동반하여 건조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결 건조 단계(S32)는 분무된 유산균 배양액을 동결시키는 단계(S32-1)와, 동결된 유산균 배양액에 수증기의 부분압을 낮춰 얼음을 증기로 승화시키는 단계(S32-2)를 포함하는,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210009225A 2021-01-22 2021-01-22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KR102334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225A KR102334386B1 (ko) 2021-01-22 2021-01-22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225A KR102334386B1 (ko) 2021-01-22 2021-01-22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386B1 true KR102334386B1 (ko) 2021-12-01

Family

ID=7893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225A KR102334386B1 (ko) 2021-01-22 2021-01-22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861A (ko) 2022-01-07 2023-07-14 정권락 유산균 생균제가 함유된 보리새싹 사료 재배방법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5472A1 (en) * 2000-03-10 2003-09-04 Mcgrath Susan Storage and delivery of micro-organisms
KR100672657B1 (ko) * 2006-04-21 2007-01-22 강화군 사자발 약쑥을 이용한 섬유질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78065A (ko) * 2008-01-14 2009-07-17 (주)이엘티사이언스 항균효과가 강화된 사료첨가용 유산균제제 와 그 제조방법
KR20130026211A (ko) * 2011-09-05 2013-03-13 김영호 천연 사료 첨가제
KR101451085B1 (ko) 2013-04-09 2014-10-15 이영훈 악취가 저감된 분뇨의 배설을 유도하는 가축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50335577A1 (en) * 2012-07-05 2015-11-26 Universidad De Navarra Microparticles for encapsulating probiotics, production and uses thereof
CN105831399A (zh) * 2016-03-30 2016-08-10 华南理工大学 一种益生菌饲料添加剂及其生产方法与应用
US20160229925A1 (en) * 2013-09-19 2016-08-11 Nitt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um
KR20170009458A (ko) * 2015-07-17 2017-01-25 주식회사 빙그레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동물사료용 첨가제 및 동물사료 조성물
KR20170067927A (ko) *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가축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2247B1 (ko) 2017-08-16 2017-11-28 김동인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
CN111084287A (zh) * 2019-12-30 2020-05-01 南京美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猪仔类免疫力饲料及其制备方法
KR102135554B1 (ko) * 2019-12-31 2020-07-20 강기갑 가축용 생균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5472A1 (en) * 2000-03-10 2003-09-04 Mcgrath Susan Storage and delivery of micro-organisms
KR100672657B1 (ko) * 2006-04-21 2007-01-22 강화군 사자발 약쑥을 이용한 섬유질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78065A (ko) * 2008-01-14 2009-07-17 (주)이엘티사이언스 항균효과가 강화된 사료첨가용 유산균제제 와 그 제조방법
KR20130026211A (ko) * 2011-09-05 2013-03-13 김영호 천연 사료 첨가제
US20150335577A1 (en) * 2012-07-05 2015-11-26 Universidad De Navarra Microparticles for encapsulating probiotics, production and uses thereof
KR101451085B1 (ko) 2013-04-09 2014-10-15 이영훈 악취가 저감된 분뇨의 배설을 유도하는 가축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60229925A1 (en) * 2013-09-19 2016-08-11 Nitt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um
KR20170009458A (ko) * 2015-07-17 2017-01-25 주식회사 빙그레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 동물사료용 첨가제 및 동물사료 조성물
KR20170067927A (ko) *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가축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31399A (zh) * 2016-03-30 2016-08-10 华南理工大学 一种益生菌饲料添加剂及其生产方法与应用
KR101802247B1 (ko) 2017-08-16 2017-11-28 김동인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
CN111084287A (zh) * 2019-12-30 2020-05-01 南京美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猪仔类免疫力饲料及其制备方法
KR102135554B1 (ko) * 2019-12-31 2020-07-20 강기갑 가축용 생균제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861A (ko) 2022-01-07 2023-07-14 정권락 유산균 생균제가 함유된 보리새싹 사료 재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105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44757B1 (ko) 가축용 생균제 및 그 제조방법
CN109601699A (zh) 一种功能性微生物发酵饲料及生产方法和应用
CN103355545A (zh) 一种发酵型植物性断奶仔猪饲料添加剂
KR101748368B1 (ko) 액상발효유황이 함유된 가축용 발효사료
KR101511365B1 (ko) 유산균과 산야초를 이용한 기능성 쌀의 제조방법
CN103609865A (zh) 一种以银杏叶为基料的无公害畜禽饲料添加剂
CN109221893A (zh) 饲料生物脱霉剂及其制备方法
CN1759719A (zh) 以活禽为生物反应器生产的绿色保健禽肉禽蛋及方法
KR101997365B1 (ko) 농업부산물을 활용한 갈색거저리 전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의 사육방법
CN109156635A (zh) 一种畜禽饲料用酵素组合物及其用于制备酵素的方法
CN114208948A (zh) 一种用于饲料添加剂的脂质体及其制备方法
KR102334386B1 (ko) 유산균이 함유된 배설물 악취 방지용 기능성 사료의 제조방법
CN105287790A (zh) 一种鸡矢藤提取物及其应用
KR102012751B1 (ko) 도라지추출물 동물사료 첨가제 및 사료
KR102315313B1 (ko) 면역력 증진 및 악취제거용 애완동물 보조사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9380644A (zh) 养殖场专用复合微生物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108935946A (zh) 一种茉莉花渣羊饲料的制备方法
CN106260523A (zh) 一种饲用复合植物精油添加剂及饲料
CN105617367B (zh) 促进畜禽呼吸道健康酵素及其制备方法
KR102365311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령견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7453B1 (ko) 감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CN111000033A (zh) 一种含百里香油与中药的枯草芽孢杆菌活菌发酵中药制剂、制备工艺与用途
CN103404709B (zh) 一种利用药厂废液废渣生产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Bostami et al. Ameliorating the crossbred (Local x Holstein Friesian) growing calves’ growth performance, fecal microbial loads, and nutrient digestibility upon feeding local herbal feed additives as supp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