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870B1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3870B1 KR102333870B1 KR1020200042748A KR20200042748A KR102333870B1 KR 102333870 B1 KR102333870 B1 KR 102333870B1 KR 1020200042748 A KR1020200042748 A KR 1020200042748A KR 20200042748 A KR20200042748 A KR 20200042748A KR 102333870 B1 KR102333870 B1 KR 1023338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nt
- parking lot
- underground parking
- slab
- dela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0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지하주차장이 마련된 공동주택의 외부벽체와 공동주택의 외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가 접하는 경계부위에 설치되는 지연조인트를 보강하여 지연조인트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 균열을 방지하는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외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 경간에 설치된 지연조인트의 하측 개방구간이 차폐되도록 슬래브의 저면에 앵커볼트로 체결되는 콘크리트 막이용 하부 철판과, 하부 철판의 상면에 수직한 상태로 하부 철판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경을 따라 나선이 형성되고, 지연조인트를 수직으로 통과하여 지연조인트의 타설면에서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는 전단보강용 지지봉과, 슬래브의 상면에 안착되는 받침부재 및 지연조인트의 상측 개방구간을 덮되, 지연조인트의 타설면에 이격되도록 받침부재에 안착되며, 지지봉의 상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지지봉의 상부 외경에 너트가 체결되어 지지봉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프레임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연조인트의 하측 개방구간을 차폐하는 하부 철판이 슬래브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지연조인트에 콘크리트 타설시 동바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하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연조인트의 하측 개방구간을 차폐하는 하부 철판이 슬래브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지연조인트에 콘크리트 타설시 동바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하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동주택의 벽체와 지하주차장 간의 연결부위에 설치된 지연조인트를 보강할 수 있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연조인트(delay joint)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설 중, 일정 기간동안 임시적으로 타 구간과 구별되게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는 긴 띠 형상(strip)의 구간을 일컫는다.
한편, 지연조인트는, 수축대, 건조수축대 및 지연줄눈 등의 용어로 혼용되어 불리어지고 있는데, 모두 동일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용어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하 지연조인트의 용어로 지칭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러한 지연조인트는, 구조체를 분리시켜 인접 구조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하는 동안, 초기 콘크리트의 건조수축량을 일정 부위별로 각각 구속없이 진행시킨 후, 인접 콘크리트가 경화하여 일정 소요강도에 도달하게 되면, 지연조인트에 콘크리트를 후 타설하여 인접 구조체와 일체화 시킴으로써 구조적 연속성을 확보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지연조인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지연조인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지연조인트의 저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을 동바리로 지지한 다음, 지연조인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을 시행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지연조인트의 콘크리트 후타설 공정에서는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로 인해 하부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공동주택의 벽체와 지하주차장 간의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건조 수축 균열 구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공동주택의 내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와 공동주택의 외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 간의 단차가 있게 되는데, 이러한 단차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공동주택의 벽체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가 접하는 연결부위에서 집중 응력으로 인해 건조 수축 균열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건조 수축 균열이 발생하는 부위의 벽체의 두께를 두껍게 시공하거나, 슬래브에 보(beam)를 더 추가하여 시공하거나 외부 지하주차장과 내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 간의 단차를 없애기 위해 슬래브를 추가 시공하는 공법을 시행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공법은, 건축비의 상승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지연조인트의 하측 개방구간을 차폐하는 하부 철판이 슬래브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지연조인트에 콘크리트 타설시 동바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하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지연조인트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이후에도 하부 철판이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하부 철판에 의해 지연조인트가 보강되어 공동주택의 벽체와 지하주차장 간의 연결부위에서의 건조 수축 균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하부 철판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봉이 지연조인트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견고히 결합함에 따라 지지봉이 전단보강근 역할을 함으로써 콘크리트가 타설된 지연조인트를 보강할 수 있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내부 지하주차장이 마련된 공동주택의 외부벽체와 상기 공동주택의 외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가 접하는 경계부위에 설치되는 지연조인트를 보강하여 상기 지연조인트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 균열을 방지하는 보강장치로서, 상기 공동주택의 외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 경간에 설치된 상기 지연조인트의 하측 개방구간이 차폐되도록 상기 슬래브의 저면에 앵커볼트로 체결되는 콘크리트 막이용 하부 철판, 상기 하부 철판의 상면에 수직한 상태로 하부 철판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경을 따라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지연조인트를 수직으로 통과하여 지연조인트의 타설면에서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는 전단보강용 지지봉, 상기 슬래브의 상면에 안착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지연조인트의 상측 개방구간을 덮되, 지연조인트의 타설면에 이격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봉의 상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지지봉의 상부 외경에 너트가 체결되어 지지봉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슬래브 상면에 안착되며, 하기 클립이 끼움결합되는 소켓홈이 전단 양측면과 후단에 각각 형성된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를 감싸는 형태로 받침대에 형성된 소켓홈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덮개 프레임이 안착되는 'ㄷ'자 형상의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홈은, 상기 받침대에 상하로 형성되며, 받침대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된 소켓홈에 상기 클립이 장착되면서 클립에 안착되는 상기 덮개 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 프레임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틀 형상이며, 덮개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연결 프레임이 덮개 프레임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에는, 상기 덮개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장공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의 시공방법으로서, 공동주택의 외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 경간에 설치된 지연조인트의 하측 개방구간이 차폐되도록 콘크리트 막이용 하부 철판을 상기 슬래브의 저면에 앵커볼트로 체결하여 슬래브에 하부 철판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슬래브의 상면에 받침부재를 안착한 다음, 상기 덮개 프레임으로 상기 지연조인트의 상측 개방구간을 덮되, 상기 하부 철판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전단보강용 지지봉의 상부가 덮개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받침부재에 덮개 프레임이 안착되는 단계, 상기 받침부재에 안착된 상기 덮개 프레임이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도록 덮개 프레임의 상측으로 노출된 지지봉의 상부 외경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지연조인트에 콘크리트 타설한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콘크리트 양생되는 단계, 상기 지연조인트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봉에 체결된 너트를 풀어 지지봉에서 상기 덮개 프레임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조인트의 타설면에서 상측으로 노출된 상기 지지봉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지연조인트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레벨을 맞추기 위해 지연조인트의 타설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지지봉의 외경에 디콘너트가 나선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콘너트가 상기 지지봉에서 제거되어 상기 지연조인트의 타설면에 음각의 레벨 콘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벨 콘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봉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연조인트의 하측 개방구간을 차폐하는 하부 철판이 슬래브의 저면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지연조인트에 콘크리트 타설시 동바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하부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연조인트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이후에도 하부 철판을 제거하지 않기 때문에 하부 철판에 의해 지연조인트가 보강되어 공동주택의 벽체와 지하주차장 간의 연결부위에서의 건조 수축 균열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철판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봉이 지연조인트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견고히 결합함에 따라 지지봉이 전단보강근 역할을 함으로써 콘크리트가 타설된 지연조인트가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연조인트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공동주택의 벽체와 지하주차장 간의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건조 수축 균열 구간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에서 받침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에서 덮개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로 인해 공동주택의 벽체와 지하주차장 간의 연결부위에서의 집중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공동주택의 벽체와 지하주차장 간의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건조 수축 균열 구간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에서 받침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에서 덮개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로 인해 공동주택의 벽체와 지하주차장 간의 연결부위에서의 집중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에서 받침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에서 덮개 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는, 하부 철판(100), 지지봉(200), 받침부재(300) 및 덮개 프레임(40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내부 지하주차장이 마련된 공동주택의 외벽과, 공동주택의 외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가 접하는 경계부위에 설치되는 지연조인트 또는 내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가 접하는 경계부위에 설치되는 지연조인트를 보강하여 지연조인트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장치이다.
하부 철판(100)은, 공동주택의 외부 또는 내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S) 경간에 설치된 지연조인트(J)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연조인트(J)의 하부에서 막음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연조인트(J)의 하측 개방구간을 전체적으로 차폐하면서 슬래브(S)의 저면에 앵커볼트(B)로 체결되어 슬래브(S)의 저면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슬래브(S) 경간이란, 지연조인트(J)를 기준으로 일측 슬래브(S)와 이와 마주하는 타측 슬래브(S) 사이를 의미한다.
하부 철판(100)은, 지연조인트(J)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하부 철판(100)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지연조인트(J)의 하측을 차폐한 상태로 슬래브(S)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지연조인트(J)의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하부 철판(100)은, 판 형상의 금속 재질이면서, 두께는 약 1 내지 1.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봉(200)은, 후 타설되는 지연조인트(J)의 전단보강을 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철판(100)의 상면에 수직한 상태로 하부 철판(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부연하면, 지지봉(200)의 하단부가 하부 철판(100)의 상면에 용접되어 하부 철판(100)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가 된다.
이때, 지지봉(200)이 일체로 형성된 하부 철판(100)은 공장에서 사전 제작되어 공사현장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봉(200)의 외경면에는, 지지봉(200)의 외경을 따라 나선(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봉(200)은 하부 철판이 지연조인트(J)의 하측에 설치될 때, 지연조인트(J)를 수직으로 통과하게 되는데, 이렇게 지연조인트(J)를 통과한 지지봉(200)의 상부는, 지연조인트(J)의 콘크리트 타설면(D)에서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는 형태가 된다.
즉, 지지봉(200)이 일체로 형성된 하부 철판(100)이 슬래브(S)의 저면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지연조인트(J)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지연조인트(J)의 내부에서 지지봉(200)이 콘크리트의 경화로 인해 콘크리트와 견고히 결합되기 때문에 지지봉(200)이 전단보강근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연조인트(J)에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레벨(높이)을 맞추기 위해 타설면(D)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지지봉(200)의 외경에 디콘너트(210)가 나선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콘너트(210)는 지연조인트(J)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지지봉(200) 사이의 간극을 통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봉(200)에 결합된 디콘너트(210)는 지연조인트(J)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의 경화와 함께 지지봉(200)에 정착된 상태로 콘크리트와 견고히 결합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지지봉(200)에서 분리할 수도 있다.
이때, 콘크리트가 경화된 이후에 디콘너트(210)를 지지봉(200)에서 분리하여 디콘너트(210)를 제거하게 되면, 지연조인트(J)의 타설면(D)에 음각의 레벨 콘(C)이 형성된다.
이러한 레벨 콘(C)을 통해 지연조인트(J) 내로 수분이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레벨 콘(C)의 표면에 실링재를 도포하여 방수처리한 후, 레벨 콘(C)의 내측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채우는 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받침부재(300)는, 후술하는 덮개 프레임(400)의 양측 테두리가 안착되는 부재로써, 지연조인트(J)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슬래브(S)의 상면에 각각 안착된다.
이러한 받침부재(300)는, 덮개 프레임(400)이 지연조인트(J)의 상측 개방구간을 덮을 때, 지연조인트(J)의 타설면(D)에 비접촉되게 하면서 지연조인트(J)와 덮개 프레임(400) 간의 사이 공간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레벨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부재(300)는, 받침대(310)와 클립(3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대(310)는, 슬래브(S) 상면에 안착되며, 클립(320)이 끼움결합되는 소켓홈(311)이 전단 양측면과 후단에 각각 형성된다.
클립(320)은, 덮개 프레임(400)이 안착되는 것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받침대(310)를 감싸는 형태로 받침대(310)에 형성된 소켓홈(311)에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소켓홈(311)은, 받침대(310)에 상하로 형성되는데, 이는 받침대(3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된 소켓홈(311)에 클립(320)을 장착하면서 클립(320)에 안착되는 덮개 프레임(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덮개 프레임(400)은, 판 상형으로 이루어지며, 지연조인트(J)의 상측 개방구간을 덮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연조인트(J)의 타설면(D)에 이격되도록 받침부재(300)에 안착된다. 이때, 덮개 프레임(400)은 금속 재질이면서, 약 1mm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덮개 프레임(400)에는, 지지봉(200)의 상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411)이 형성되는데, 이는 지지봉(200)이 덮개 프레임(400)의 관통홀(411)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된 상태에서 지지봉(200)의 상부 외경에 너트(N)가 조임체결되면서 지지봉(20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덮개 프레임(400)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틀 형상이며, 덮개 프레임(400)의 폭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즉 덮개 프레임(400)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410)이 덮개 프레임(400)에 일체로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덮개 프레임(400)의 개구부를 통해 지연조인트(J)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410)에는, 덮개 프레임(400)의 폭 방향으로 장공의 관통홀(4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연조인트(J)의 폭의 길이에 맞는 하부 철판(100)이 제공되기 때문에 하부 철판(100)의 폭의 길이에 따라 하부 철판(100)에 형성된 지지봉(200)의 폭 방향 위치가 변하더라도 덮개 프레임(40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관통홀(411)을 지지봉(200)이 관통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철판(100)은, 슬래브(S) 경간에 시공되는 보(beam)의 외형과 동일하게 보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지연조인트(J)의 하측으로 직각 절곡진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가 형성된 부분에는 철근 스트럽이 설치되는데, 지연조인트(J)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보의 내부에서 지지봉(200)이 콘크리트와 결합되기 때문에 지지봉(200)이 전단보강근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 보의 철근 스트럽의 갯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지지봉(200)의 길이 보다 더 긴 길이의 지지봉(200)이 하부 철판(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하부 철판(100), 지지봉(200), 받침부재(300) 및 덮개 프레임(4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기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 구간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공동주택의 외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S) 경간에 설치된 지연조인트(J)의 하측 개방구간이 차폐되도록 콘크리트 막이용 하부 철판(100)을 슬래브(S)의 저면에 앵커볼트(B)로 체결하여 슬래브(S)에 하부 철판(100)을 고정(단계S100)시킨다.
이때, 지연조인트(J)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레벨을 맞추기 위해 지연조인트(J)의 타설면(D)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지지봉(200)의 외경에 디콘너트(210)가 나선결합될 수 있다.
그 다음, 슬래브(S)의 상면에 받침부재(300)를 안착한 다음, 덮개 프레임(400)으로 지연조인트(J)의 상측 개방구간을 덮되, 하부 철판(100)의 상면에 형성된 전단보강용 지지봉(200)의 상부가 덮개 프레임(400)에 형성된 관통홀(411)을 관통하면서 받침부재(300)에 덮개 프레임(400)을 안착시킨다.
그 다음, 받침부재(300)에 안착된 덮개 프레임(400)이 지지봉(200)에 고정되도록 덮개 프레임(400)의 상측으로 노출된 지지봉(200)의 상부 외경에 너트(N)를 조임체결한다.
그 다음, 지연조인트(J)에 콘크리트 타설한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콘크리트 양생시킨다.
그 다음, 지연조인트(J)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어 지연조인트(J)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지지봉(200)에 체결된 너트(N)를 풀어 지지봉(200)에서 덮개 프레임(400)을 분리한다.
이때, 지연조인트(J)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하부 철판(100)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지연조인트(J)의 하측을 차폐한 상태로 슬래브(S)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디콘너트(210)가 지지봉(200)에서 제거되면, 지연조인트(J)의 타설면(D)에 음각의 레벨 콘(C)이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연조인트(J)의 타설면(D)에서 상측으로 노출된 지지봉(200)을 용접기, 토치 또는 그라인더 등의 철근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절단한다.
이때, 지연조인트(J)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디콘너트(210)를 지지봉(200)에서 제거하게 되면, 지연조인트(J)의 타설면(D)에 음각의 레벨 콘(C)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레벨 콘(C)의 내측에서 지지봉(200)을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봉(200)에 결합된 디콘너트(210)는 지연조인트(J)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의 경화와 함께 지지봉(200)에 정착된 상태로 콘크리트와 견고히 결합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지지봉(200)에서 분리할 수도 있다.
이때, 콘크리트가 경화된 이후에 디콘너트(210)를 지지봉(200)에서 분리하여 디콘너트(210)를 제거하게 되면, 지연조인트(J)의 타설면(D)에 음각의 레벨 콘(C)이 형성된다.
이러한 레벨 콘(C)을 통해 지연조인트(J) 내로 수분이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레벨 콘(C)의 표면에 실링재를 도포하여 방수처리한 후, 레벨 콘(C)의 내측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채우는 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장치로 인해 지연조인트가 보강되어 공동주택의 벽체와 지하주차장 간의 연결부위에서 집중응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건조 수축 균열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하부 철판 200: 지지봉
210: 디콘너트 300: 받침부재
310: 받침대 311: 소켓홈
320: 클립 400: 덮개 프레임
410: 연결 프레임 411: 관통홀
B: 앵커볼트 C: 레벨 콘
D: 타설면 J: 지연조인트
N: 너트 S: 슬래브
210: 디콘너트 300: 받침부재
310: 받침대 311: 소켓홈
320: 클립 400: 덮개 프레임
410: 연결 프레임 411: 관통홀
B: 앵커볼트 C: 레벨 콘
D: 타설면 J: 지연조인트
N: 너트 S: 슬래브
Claims (8)
- 내부 지하주차장이 마련된 공동주택의 외부벽체와 상기 공동주택의 외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가 접하는 경계부위에 설치되는 지연조인트를 보강하여 상기 지연조인트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 균열을 방지하는 보강장치로서,
상기 공동주택의 외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 경간에 설치된 상기 지연조인트의 하측 개방구간이 차폐되도록 상기 슬래브의 저면에 앵커볼트로 체결되는 콘크리트 막이용 하부 철판;
상기 하부 철판의 상면에 수직한 상태로 하부 철판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경을 따라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지연조인트를 수직으로 통과하여 지연조인트의 타설면에서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는 전단보강용 지지봉;
상기 슬래브의 상면에 안착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지연조인트의 상측 개방구간을 덮되, 지연조인트의 타설면에 이격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봉의 상부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지지봉의 상부 외경에 너트가 체결되어 지지봉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슬래브 상면에 안착되며, 하기 클립이 끼움결합되는 소켓홈이 전단 양측면과 후단에 각각 형성된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를 감싸는 형태로 받침대에 형성된 소켓홈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덮개 프레임이 안착되는 'ㄷ'자 형상의 클립; 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홈은, 상기 받침대에 상하로 형성되며, 받침대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된 소켓홈에 상기 클립이 장착되면서 클립에 안착되는 상기 덮개 프레임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프레임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틀 형상이며, 덮개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연결 프레임이 덮개 프레임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에는, 상기 덮개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장공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조인트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레벨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타설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지지봉의 외경에 디콘너트가 나선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철판은,
상기 슬래브 경간에 시공되는 보(beam)의 외형과 동일하게 상기 지연조인트의 하측으로 직각 절곡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 제1항의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의 시공방법으로서,
a) 공동주택의 외부 지하주차장의 슬래브 경간에 설치된 지연조인트의 하측 개방구간이 차폐되도록 콘크리트 막이용 하부 철판을 상기 슬래브의 저면에 앵커볼트로 체결하여 슬래브에 하부 철판을 고정하는 제1단계;
b) 상기 슬래브의 상면에 받침부재를 안착한 다음, 상기 덮개 프레임으로 상기 지연조인트의 상측 개방구간을 덮되, 상기 하부 철판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전단보강용 지지봉의 상부가 덮개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받침부재에 덮개 프레임이 안착되는 제2단계;
c) 상기 받침부재에 안착된 상기 덮개 프레임이 상기 지지봉에 고정되도록 덮개 프레임의 상측으로 노출된 지지봉의 상부 외경에 너트를 체결하는 제3단계;
d) 상기 지연조인트에 콘크리트 타설한 다음, 일정 기간 동안 콘크리트 양생되는 제4단계;
e) 상기 지연조인트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봉에 체결된 너트를 풀어 지지봉에서 상기 덮개 프레임을 분리하는 제5단계; 및
f) 상기 지연조인트의 타설면에서 상측으로 노출된 상기 지지봉을 절단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의 시공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조인트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레벨을 맞추기 위해 지연조인트의 타설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상기 지지봉의 외경에 디콘너트가 나선결합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이후,
상기 디콘너트가 상기 지지봉에서 제거되어 상기 지연조인트의 타설면에 음각의 레벨 콘이 형성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벨 콘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봉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2748A KR102333870B1 (ko) | 2020-04-08 | 2020-04-08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2748A KR102333870B1 (ko) | 2020-04-08 | 2020-04-08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5264A KR20210125264A (ko) | 2021-10-18 |
KR102333870B1 true KR102333870B1 (ko) | 2021-12-01 |
Family
ID=7827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2748A KR102333870B1 (ko) | 2020-04-08 | 2020-04-08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387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05689A (ja) * | 2009-06-24 | 2011-01-13 | Mitsubishi Heavy Ind Ltd | コンクリート製架台の製造方法、コンクリート製架台、および、繋ぎ材 |
KR101186053B1 (ko) * | 2010-08-06 | 2012-09-2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선가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
JP2016030990A (ja) * | 2014-07-30 | 2016-03-07 | 株式会社エヌ・エス・ピー | 管部材と挿入部材の止め構造、及びこの止め構造を採用した天端出し補助具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2718B1 (ko) | 2009-04-08 | 2011-09-06 | (주)대우건설 | 커플러를 이용한 딜레이 조인트 구간의 보철근 시공방법 |
KR101303117B1 (ko) * | 2011-11-18 | 2013-09-0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사이의 연결 콘크리트 타설용 하면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 콘크리트 타설방법 |
-
2020
- 2020-04-08 KR KR1020200042748A patent/KR1023338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05689A (ja) * | 2009-06-24 | 2011-01-13 | Mitsubishi Heavy Ind Ltd | コンクリート製架台の製造方法、コンクリート製架台、および、繋ぎ材 |
KR101186053B1 (ko) * | 2010-08-06 | 2012-09-2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선가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
JP2016030990A (ja) * | 2014-07-30 | 2016-03-07 | 株式会社エヌ・エス・ピー | 管部材と挿入部材の止め構造、及びこの止め構造を採用した天端出し補助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5264A (ko) | 2021-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5496B1 (ko) |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 |
KR101990065B1 (ko) |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 |
KR101747821B1 (ko) |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 | |
KR102290220B1 (ko) | 부벽형 프리캐스트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858817B1 (ko) |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 |
KR100770006B1 (ko) | Pc기둥 수직연결철근의 보강구조 | |
KR101995497B1 (ko) | 플레이트를 구비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 |
KR102333870B1 (ko)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지연조인트의 건조 수축 균열방지용 보강장치 및 시공방법 | |
KR101750177B1 (ko) | 절단 브리지형 펀칭전단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의 시공방법 | |
JP2008266910A (ja) | 緊張材の定着部または偏向部の突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JP2001295496A (ja) | 既存のsrc造梁に対する粘性系制震壁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方法 | |
JP6851686B2 (ja) | 梁の構築方法 | |
KR102685977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트렌치 | |
JP3101163B2 (ja) | 柱と梁の接合方法 | |
KR101750176B1 (ko) | 분리 독립형 펀칭전단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의 내력 증가 시공방법 | |
JP2003129676A (ja) | コンクリート躯体の補強方法 | |
KR101378070B1 (ko) | 철판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연결부 제작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연결부를 구비하는 보 | |
KR101078292B1 (ko) |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 |
JP2019131960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側溝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側溝の取付方法 | |
JP4650757B2 (ja) | 鉄骨階段取付金物及び鉄骨階段取付け構造並びに取付け方法 | |
KR101429752B1 (ko) |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 | |
JP4061611B2 (ja) | PCa階段の取付構造、PCa階段の取付方法、PCa階段 | |
JPS63184665A (ja) | 手摺支柱取付け用アンカーの埋設装置 | |
KR20190000607U (ko) | 거푸집 멍에용 안전난간대 | |
JPH0777596A (ja) | 原子力施設における大型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