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752B1 -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 - Google Patents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752B1
KR101429752B1 KR1020120145694A KR20120145694A KR101429752B1 KR 101429752 B1 KR101429752 B1 KR 101429752B1 KR 1020120145694 A KR1020120145694 A KR 1020120145694A KR 20120145694 A KR20120145694 A KR 20120145694A KR 101429752 B1 KR101429752 B1 KR 101429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device
wall
support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687A (ko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7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합벽지지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지그에 결속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일정 각도 예컨대 45°의 경사각을 유지하여 별도의 작업(위치 변경 등)없이 고정장치를 철근 등에 용이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으므로 합벽지지대 고정장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건축물의 불량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합벽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는 합벽 지지대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는, 벽체의 콘크리트 시공을 위한 합벽지지대(10)의 고정장치(40)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합벽지지대 뒤쪽에 배근되는 수직 철근 또는 수평 철근에 고정되는 바디부(21)와, 상기 바디부(21)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고정장치(40)가 고정되는 고정면(24a)이 구비되는 고정바(24)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면(24a)은 상기 고정장치(40)가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Description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A SUPPORT JIG OF CONCRETE TRUST ANCHOR MODULE}
본 발명은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경우에는 지층에 철근이 배설된 후, 콘크리트 바닥면을 구축한 다음, 거푸집을 바닥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세워서 시멘트를 충진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건물을 축조하게 된다.
벽체의 타설은 맞벽 또는 합벽이라 불리는 방식으로 축조되며, 맞벽이라 함은 굴삭된 지하 공간에서 거푸집을 양쪽으로 타설하여, 상기 거푸집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합벽이란 굴삭된 지하 공간의 지층에 의하여 한쪽이 지지되며, 다른 한 쪽은 지지대에 의하여 고정되는 거푸집을 설치하여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을 말하며, 맞벽 방식보다 공정이 단순하여 단기간에 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합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거푸집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에 박혀 있는 H-빔(beam) 파일에 폼타이를 용접하여 와셔와 윙 너트를 이용한 합벽 지지대가 사용되었다.
상기 종래의 합벽 지지대는 합벽을 만들기 위하여 거푸집이 지면과 직각을 이루며 설치된다.
상기 합벽 지지대는 거푸집의 횡압에 대향하는 지지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와 일단이 고정된 수평지지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대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수직지지대에 타단이 경사지게 고정되는 경사지지대가 구비된다.
한편, 합벽지지대는 고정장치를 통해 설치된다.
상기 합벽지지대 고정장치는 디비닥 볼트, 조임너트, 커플러, 앙카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와 체결된 수평지지대는 디비닥 볼트로 체결 고정되며, 디비닥 볼트의 끝단부는 나사산과 나사홈이 연속되게 형성되어 조임너트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디비닥 볼트는 상기 합벽을 제작하기 위해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거푸집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합벽 지지대가 콘크리트로부터 전가되는 측압에 대한 버팀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평지지대에 일정 각도 예를 들어 45°로 경사지게 체결되어야 하며, 하측 부분이 거푸집의 안쪽으로 배설되는 철근에 결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합벽 지지대는 언급한 바와 같이 지면과 직각을 이루며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디비닥 볼트를 철근에 일정 각도 예를 들어 45°로 경사지게 결속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의 안쪽으로 배설되는 철근은 소수개로 간격을 두고 배설되기 때문에 상기 디비닥 볼트와 철근의 위치를 일치시켜 결속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83774호(2006.05.1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합벽지지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설계 위치(각도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는, 벽체의 콘크리트 시공을 위한 합벽지지대의 고정장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합벽지지대 뒤쪽에 배근되는 수직 철근 또는 수평 철근에 고정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고정장치가 고정되는 고정면이 구비되는 고정바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면은 상기 고정장치가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에 의하면, 합벽지지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지그에 결속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일정 각도 예컨대 45°의 경사각을 유지하여 별도의 작업(위치 변경 등)없이 고정장치를 철근 등에 용이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으므로 합벽지지대 고정장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건축물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를 도시한 설치 상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의 사시도이다.
먼저, 합벽 지지대(10)는 합벽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80)을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지지력을 부여하는 수평지지대(11)와, 경사 방향으로 지지력을 부여하는 경사지지대(미도시),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대(11)와 상기 경사지지대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수직 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에 의하여 거푸집(80)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12)로 이루어진다.
수평지지대(11)의 일측과 수직지지대(12)의 하측은 두 개의 연결판(10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합벽지지대는 공지 기술로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합벽의 시공을 위하여 거푸집(80)의 안쪽으로 수직철근(70)과 수평철근(60)을 배설 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함으로써 합벽을 시공한다.
상기 합벽은 건물의 지층 바닥면 또는 슬래브의 상부 가장자리에 시공되며 상기 건물의 지층 바닥면 또는 슬래브를 먼저 시공한 이후에 시공된다.
상기 수평철근(60)의 일부분은 상기 수직철근(70)과 교차되고 나머지 부분은 건물의 지층 바닥면 내부 또는 슬래브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설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철근(70)과 수평철근(60)이 교차되는 부분은 철사 또는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합벽지지대는 고정장치(40)를 통해 타설 위치에 설치된다. 고정장치(40)는 커플러(41), 앙카(42), 디비닥 볼트(43), 디비닥 너트(44)로 이루어지며, 공지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본 발명과 관련된 내용만을 기재한다.
앙카(42)는 수평부(42a)와 경사부(42b)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42a)는 상기 수평 철근에 철사 또는 용접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경사부(42b)는 상기 수평부(42a)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지그(20)의 고정면(24a) 또는 홀더부(50)와 동일한 각도 예컨대 45°의 경사각을 갖는다.
또한, 상기 경사부(42b)의 상측 외주연에는 나선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42b)의 나선이 형성된 부분은 커플러(41)의 내주연에 나선 결합된다. 상기 경사부(42b)의 상단부는 커플러(41)의 내부 중앙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비닥 볼트(43)는 하측 부분이 커플러(41)의 내주연에 나선 결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디비닥 볼트(43)는 자연적으로 전술한 각도인 45°의 경사각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디비닥 볼트(43)의 상측 일부분은 슬라브의 외부로 돌출되고 하단부는 커플러(41)의 내부 중앙부분에 위치되며 상기 앙카(42)의 상단부와 마주하게 된다.
상기 디비닥 너트(44)는 합벽(90)의 외부로 돌출된 디비닥 볼트(43)의 외주연에 체결된다.
상기 디비닥 너트(44)는 디비닥 볼트(43)에 체결된 상태에서 합벽지지대(10)에 지지되는 지지판(미도시) 가압함으로써 상기 합벽 지지대(10)를 슬라브에 대해 고정시키며, 이로 인해 상기 합벽 지지대(10)는 거푸집(8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설치 지그(20)는 전술한 합벽지지대의 고정장치(40)(본 발명의 지그는 전술한 고정장치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합벽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한 모든 고정장치에 적용된다)를 타설 이전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바디부(21)와, 너트부재(22)와, 가압 고정부(23)와, 고정바(24)로 구성된다.
그 중 바디부(21)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21)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부(21)는 거푸집(80)의 내부에 배근되는 수직 철근 또는 수직 배근에 고정된다. 상기 바디부(21)는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수직철근(70)이 내부공간에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22)는 상기 바디부(21)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너트부재(22)는 상기 바디부(21)의 외측면에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 고정부(23)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부재(22)에 체결된다. 상기 가압 고정부(23)의 끝단부는 너트부재(22)를 통과하여 바디부(21)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수직 철근을 가압한다. 상기 수직 철근은 상기 가압 고정부(23)의 가압력에 의해 바디부(21)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바디부(21)가 수직철근(70)에 고정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가압 고정부(23)의 일측에는 손잡이부(30)가 더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당한 크기를 갖도록 제작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부(30)를 통해 가압 고정부(2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직철근(70)에 바디부(21)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슬라브의 시공이 완료[슬라브의 시공이 완료되면 고정장치(40)가 슬라브에 고정 상태를 유지함]된 이후에는 상기 손잡이부(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직철근(70)에서 바디부(21)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24)는 상기 바디부(21)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너트부재(22)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다.
또한, 상기 고정바(24)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장치(40)가 고정되는 고정면(24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면(24a)은 상기 고정장치(40)가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면(24a)의 경사각도는 예컨대 45°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40)는 고정면(24a)에 고정될 경우 자연적으로 예컨대 45°의 경사각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면(24a)에는 상기 고정장치(40)를 고정하기 위한 홀더부(50)가 더 결합된다. 상기 홀더부(50)는 고정면(24a)에 결합되면 약 45°의 경사각을 갖게 된다.
상기 홀더부(50)는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50)의 내부공간에는 고정장치(40)의 일부분이 수용된다.
상기 홀더부(50)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장치(40)의 일부분이 통과되는 통과홀(51)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50)의 하부에는 걸림부(5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52)는 일부분이 반원형 형상으로 절개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52)는 고정장치(4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할 수 있다.
홀더부(50)의 내부 공간에는 커플러(41)가 삽입 지지되고, 걸림부(52)는 커플러(41)의 저면을 감싸 지지한다.
본 발명의 지그(20)는 고정장치(40)를 합벽지지대(10)에 설치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지그(20)를 수직 철근에 고정한 상태에서 지그(20)를 통해 고정장치(40)를 설계 위치(각도 등)에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장치(40)에 합벽지지대(10)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시공하며, 본 발명의 지그(20)는 콘크리트의 타설 이전에 해체되어 재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지그(20)는 모든 고정장치(40)에 1 : 1로 대응되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고정장치(40)를 합벽지지대(10)에 설치할 때 사용된 후 고정장치(40)와 합벽지지대(10)의 고정이 완료되면 다른 고정장치(40)의 고정을 위하여 사용된다.
10 : 합벽 지지대 11 : 수평지지대
12 : 수직지지대 13 : 경사지지대
20 : 지그 21 : 바디부
22 : 너트부재 23 : 가압 고정부
24 : 고정바 24a : 고정면
30 : 손잡이부 40 : 고정장치
41 : 커플러 42 : 앙카
42a : 수평부 42b : 경사부
43 : 디비닥 볼트 44 : 디비닥 너트
50 : 홀더부 51 : 통과홀
52 : 걸림부 60 : 수평철근
70 : 수직철근 80 : 거푸집

Claims (4)

  1. 벽체의 콘크리트 시공을 위한 합벽지지대(10)의 고정장치(40)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합벽지지대 뒤쪽에 배근되는 수직 철근 또는 수평 철근에 고정되는 바디부(21)와, 상기 바디부(21)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고정장치(40)가 고정되는 고정면(24a)이 구비되는 고정바(24)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면(24a)은 상기 고정장치(40)가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바디부에 감싸여진 상기 수직 철근을 가압하여 상기 바디부를 상기 수직 철근에 고정하는 가압 고정부(23)가 포함되고, 상기 고정면(24a)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장치(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장치를 지지하는 홀더부(50)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50)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장치(40)가 통과하는 통과홀(51)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5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장치(40)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21)는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50)는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145694A 2012-12-13 2012-12-13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 KR101429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694A KR101429752B1 (ko) 2012-12-13 2012-12-13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694A KR101429752B1 (ko) 2012-12-13 2012-12-13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687A KR20140080687A (ko) 2014-07-01
KR101429752B1 true KR101429752B1 (ko) 2014-08-13

Family

ID=51732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694A KR101429752B1 (ko) 2012-12-13 2012-12-13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357A (ko) * 2016-05-17 2017-11-27 인웅열 건축물 외벽 마감용 전동 드라이버 팁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108U (ja) * 1991-12-19 1993-07-09 株式会社国元商会 ベランダ型枠支持装置
JP2002180663A (ja) * 2000-12-11 2002-06-26 Isawa Sangyo:Kk 連結具
KR101009489B1 (ko) * 2010-10-22 2011-01-18 (주)블루폼 합벽지지대용 앵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합벽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108U (ja) * 1991-12-19 1993-07-09 株式会社国元商会 ベランダ型枠支持装置
JP2002180663A (ja) * 2000-12-11 2002-06-26 Isawa Sangyo:Kk 連結具
KR101009489B1 (ko) * 2010-10-22 2011-01-18 (주)블루폼 합벽지지대용 앵커모듈 및 이를 이용한 합벽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357A (ko) * 2016-05-17 2017-11-27 인웅열 건축물 외벽 마감용 전동 드라이버 팁 구조체
WO2017200285A3 (ko) * 2016-05-17 2018-01-04 인웅열 건축물 외벽 마감용 전동 드라이버 팁 구조체
KR101857074B1 (ko) * 2016-05-17 2018-06-20 인웅열 건축물 외벽 마감용 전동 드라이버 팁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687A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84967A1 (en) Multiple cast-in insert apparatus for concrete
JP5791777B1 (ja) 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US20130333318A1 (en) Reinforced masonry panel structures
KR101530351B1 (ko) 무근 강섬유 콘크리트-데크플레이트 합성 슬래브 및 그 시공 방법
KR20110128396A (ko) 커플러를 콘크리트에 사전 매입하는 앵커링 공법
KR100770006B1 (ko) Pc기둥 수직연결철근의 보강구조
JP6225479B2 (ja) 貯蔵タンクの施工方法
KR102098688B1 (ko)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
JP6255220B2 (ja) 位置決め部材および建方方法
CN110485742A (zh) 一种独立基础预埋柱脚锚栓的定位装置及施工方法
KR101429752B1 (ko) 합벽지지대 고정장치의 설치 지그
KR20110010248A (ko) 교량공사용 멀티유헤드 브래킷장치
KR101131079B1 (ko) 교량공사용 멀티유헤드 서포트장치
KR20160015101A (ko) 보수, 보강 또는 리모델링시에 보의 단부에 작용하는 부모멘트에 대한 단면 내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JP6654918B2 (ja) 複合構造における仕口鉄骨の固定方法と仕口構造
KR101427008B1 (ko) 매립형 고정 지그를 갖는 합벽 지지대 고정장치
WO2018061075A1 (ja) 型枠
JP2013036269A (ja) Sc杭
JP2017223055A (ja) 型枠・鉄筋一体構造体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並びに型枠・鉄筋一体施工方法
KR20120078217A (ko) 기기 기초 시공 방법
JP5872332B2 (ja) 建物の耐震補強方法
JP2017008603A (ja) 型枠
KR101182751B1 (ko) 철골보와 슬러리월 접합용 스마트박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706182B2 (ja) 免震ベースプレート取付治具と取付方法
JP2001355349A (ja) 免震装置の設置方法及びその設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