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345B1 -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345B1
KR102328345B1 KR1020167030809A KR20167030809A KR102328345B1 KR 102328345 B1 KR102328345 B1 KR 102328345B1 KR 1020167030809 A KR1020167030809 A KR 1020167030809A KR 20167030809 A KR20167030809 A KR 20167030809A KR 102328345 B1 KR102328345 B1 KR 102328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wall
inner tube
diffuser shell
cylindrical filter
position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984A (ko
Inventor
다카시 가츠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70004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1/262Elongated tubular diffusers, e.g. curtain-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9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1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filter through which the inflation gas p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9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fluid flow controlling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 형상 필터의 위치 결정 수단이 불필요한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이다. 통 형상 필터와 디퓨저 쉘 주벽부의 사이에 외측 위치 결정 지그를 배치하고, 통 형상 필터와 이너 튜브의 사이에 내측 위치 결정 지그를 배치한 상태에서, 연소실 내에 소요량의 가스 발생제 성형체를 충전한다. 충전 종료 후, 2개의 위치 결정 지그를 뗀 후, 환 형상의 언더 플레이트에 의해 가스 발생제 성형체를 압입한다. 이 압입에 의해 통 형상 필터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GAS GENERATO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 발생원으로서 가스 발생제를 사용하는 화공식(火工式) 가스 발생기는, 가스 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고온의 연소 가스를 냉각하거나, 여과하거나 하기 위한 통 형상의 필터(쿨런트 필터)를 사용하고 있다.
필터는, 하우징의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벽면(周壁面)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JP-A No.H11-334517의 가스 발생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대략 다공 원통 형상의 퍼포레이티드 바스켓(32)이 쿨런트·필터(7)의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JP-A No.2008-114773의 가스 발생기는, 가스 배출구(14)가 있는 디퓨저 쉘(11)(JP-A No.2008-114773에서는 클로져 쉘(11))의 천장면(13a)에 형성된 볼록부를 포함하는 위치 결정부(40)에 의해, 통 형상의 쿨런트 필터(15)가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렇게 종래는, 하우징 내에 통 형상의 필터를 배치할 때, 지지 부재를 배치하거나, 하우징의 천장면에 볼록부를 포함하는 위치 결정부를 형성하거나 할 필요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천장부와, 상기 천장부의 주변부로부터 연장된 주벽부(周壁部)를 갖고, 상기 주벽부에 내측으로부터 시일 테이프로 폐색된 복수의 가스 배출구를 갖고 있는 디퓨저 쉘과,
점화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구멍을 갖고 있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주변부로부터 연장된 주벽부를 갖고 있는 클로져 쉘이,
각각의 개구부측에서 조합되어 접합된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 내에는,
점화 수단실을 형성하기 위한 이너 튜브가, 제1 단부의 개구부가 상기 디퓨저 쉘 천장부에 맞닿고, 제2 단부의 개구부가 상기 클로져 쉘 저면부의 개구부에 감입된 점화기를 포위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이너 튜브의 외측에는, 상기 디퓨저 쉘 주벽부의 가스 배출구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통 형상 필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너 튜브의 내부가 점화 수단실이 되고, 상기 이너 튜브와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사이가 연소실이 되고,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연소실이, 작동시에는 상기 이너 튜브의 주벽부에 형성된 인헨서 구멍에서 연통되는 것이고,
상기 연소실 내에는, 클로져 쉘측의 이너 튜브에 감입되고, 통 형상 필터에는 맞닿아져 있지 않은 언더 플레이트에 의해, 가스 발생제 성형체가 디퓨저 쉘 천장부측에 고정되어 있고,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발생제 성형체의 존재에 의해,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중심축이 디퓨저 쉘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고,
상기 디퓨저 쉘이,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볼록부 및 단차부를 갖고 있지 않고,
또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이며,
상기 디퓨저 쉘의 중심축과 상기 이너 튜브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하여, 상기 디퓨저 쉘 천장부에 대하여 상기 이너 튜브의 제1 단부측을 용접 고정하는 공정,
전 공정에서, 상기 천장부에 이너 튜브가 용접 고정된 디퓨저 쉘을 천장부가 아래가 된 상태에서 대 위에 두는 공정,
상기 이너 튜브 내에 점화 수단을 수용하는 공정,
상기 디퓨저 쉘의 중심축과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하여,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 쉘 주벽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통 형상 필터를 배치하는 공정,
상기 통 형상 필터와 상기 디퓨저 쉘 주벽부의 사이에 외측 위치 결정 지그를 배치하고/배치하거나 상기 통 형상 필터와 상기 이너 튜브의 사이에 내측 위치 결정 지그를 배치한 상태에서, 연소실 내에 소요량의 가스 발생제 성형체를 충전하는 공정,
상기 내측 위치 결정 지그 및/또는 외측 위치 결정 지그를 제거한 후, 환 형상의 언더 플레이트를 상기 이너 튜브에 대하여 감입하면서, 상기 연소실 내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 성형체를 고정하는 공정,
상기 디퓨저 쉘에 상기 클로져 쉘을 씌운 후, 접촉 부분에서 용접 접합하고, 상기 클로져 쉘과 상기 이너 튜브의 제2 단부측의 접촉 부분을 용접 접합하는 공정
을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첨부되는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축 X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이고, 내측 위치 결정 지그를 사용한 실시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의 설명도이고, 외측 위치 결정 지그를 사용한 실시 형태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지지 부재를 배치하거나, 하우징에 위치 결정부를 형성하거나 하지 않고, 통 형상의 필터가 위치 결정된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가스 발생기를 조립할 때는, 가스 배출구가 있는 디퓨저 쉘의 천장부를 아래로 한 상태에서 조립하는 방법이 실시된다.
따라서, 가스 배출구가 있는 디퓨저 쉘의 천장부를 아래로 한 상태에서, 통 형상 필터를 소정 위치에 배치한 후,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현 상황에서는, 자동화된 제조 라인에서 조립되는 것이기 때문에, 디퓨저 쉘에 통 형상 필터를 배치할 때, 디퓨저 쉘의 중심축과 통 형상 필터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하여 배치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단, 그 후의 가스 발생제 충전시에는 태핑하면서 충전하는 것 등으로부터, 후속 공정의 작업에 있어서 통 형상 필터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생각된다.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서는, 하우징 내에 지지 부재를 배치하거나, 하우징에 위치 결정부를 형성하거나 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디퓨저 쉘로서, 통 형상 필터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볼록부 및 단차부를 갖고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하고 있는 것, 하우징 내에는 통 형상 필터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은, 조립 공정에 있어서, 외측 위치 결정 지그 및 내측 위치 결정 지그의 한쪽 또는 양쪽을 사용함으로써, 가스 발생제 성형체의 충전에 의해 통 형상 필터를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의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외측 위치 결정 지그가
제1 외측 위치 결정 지그와 제2 외측 위치 결정 지그의 2개의 지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외주면에 대하여, 제1 외측 위치 결정 지그와 제2 외측 위치 결정 지그를 서로 정면으로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디퓨저 쉘의 중심축과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내측 위치 결정 지그가
대직경 주벽부와, 소직경 주벽부와, 상기 대직경 주벽부와 상기 소직경 주벽부를 접속하는 환 형상 경사면부를 갖는 깔때기 형상의 것이고, 상기 환 형상 경사면부와 상기 소직경 주벽부의 경계 부분이 상기 통 형상 필터의 개방 단부면에 맞닿을 수 있고, 상기 소직경 주벽부의 외주면이 상기 통 형상 필터의 내주면에 맞닿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디퓨저 쉘에 통 형상 필터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볼록부나 단차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고, 통 형상 필터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지지 부재도 불필요하게 된다.
발명의 실시 형태
(1) 도 1의 가스 발생기
가스 발생기(1)는, 디퓨저 쉘(11)과 클로져 쉘(21)을 포함하는 하우징(2)을 갖고 있다.
디퓨저 쉘(11)과 클로져 쉘(21)은 철, 스테인리스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디퓨저 쉘(11)은 천장부(13)와, 천장부(13)의 주변부로부터 연장된 주벽부(14)를 갖고 있고, 개구부에 플랜지부(15)를 갖고 있다.
디퓨저 쉘(11)은, 천장부(13)에 있어서 통 형상 필터(65)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볼록부, 단차부 및 경사면부(예를 들어, JP-A No. 2008-114773의 도 1에 있어서의 상부 환 형상 경사면(16))를 갖고 있지 않다.
주벽부(14)에는, 내측으로부터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시일 테이프(16)로 폐색된 복수의 가스 배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가스 배출구(17)는,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로져 쉘(21)은, 점화기(50)를 설치하기 위한 점화기 설치 구멍(22)을 갖고 있는 저면부(23)와, 저면부(23)의 주변부로부터 연장된 주벽부(24)를 갖고 있고, 주벽부(24)측의 개구부에 플랜지부(25)를 갖고 있다.
점화기 설치 구멍(22)은, 하우징(2)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통 형상부(22a)를 갖고 있다.
하우징(2)은, 디퓨저 쉘(11)과 클로져 쉘(21)이 개구부측의 플랜지부(15)와 플랜지부(25)에서 조합되어, 용접부(3)에서 용접 접합되어 있다.
하우징(2) 내에는, 이너 튜브(30)가 배치되어 있다.
이너 튜브(30)는, 제1 단부(31)의 개구부가 디퓨저 쉘 천장부(13)의 내벽면(13a)에 맞닿아져 있다.
디퓨저 쉘 천장부(13)와 제1 단부(31)는, 접촉 부분에서 용접되어 있다.
이너 튜브(30)는, 제2 단부(32)의 개구부가 클로져 쉘 저면부(23)의 개구부 (점화기 설치 구멍)(22)에 감입되어 고정된 점화기(50)를 포위하여 배치되어 있다.
점화기(50)는, 점화기 설치 구멍(22)의 통 형상부(22a)와 이너 튜브(30)의 제2 단부(32)측의 외벽면이 맞닿아지고, 이너 튜브(30)의 제2 단부(32)측의 내벽면과 점화기(50)의 점화기 칼라(51)가 맞닿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점화기(50)는, 이너 튜브(30)의 제2 단부(32)측의 내주벽의 단차부(34)와, 제2 단부(32)측의 개구부측의 절곡부(33)로 고정되어 있다.
점화기 설치 구멍(22)의 통 형상부(22a)와 이너 튜브(30)의 제2 단부(32)측의 외벽면은, 접촉 부분에서 용접되어 있다.
이너 튜브(30)의 내부는 점화 수단실(35)이 되는 것이고, 주벽부(36)에는 복수의 인헨서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인헨서 구멍(37)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측으로부터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시일 테이프로 폐색되어 있다.
점화 수단실(35) 내에는, 인헨서제(劑)가 충전된 인헨서제 용기(40)가 수용되어 있다.
인헨서제 용기(40)의 저면(42)은 점화기(50)의 착화부(52)에 맞닿아지고, 천장면(43)은 천장부(13)에 맞닿아져 있다.
이너 튜브(30)의 외부는 연소실(60)이 되어 있다.
연소실(60)과, 디퓨저 쉘(11)의 주벽부(14) 및 클로져 쉘(21)의 주벽부(24)의 사이에 통 형상 공간(66)을 형성하도록 하여 통 형상 필터(65)가 배치되어 있다.
통 형상 필터(65)는, 제1 단부면(65a)이 디퓨저 쉘 천장부(13)에 압접되고, 제2 단부면(65b)이 클로져 쉘 저면부(23)에 압접되어 있다.
연소실(60)(이너 튜브(30)와 통 형상 필터(65)의 사이) 내에는, 소요량의 가스 발생제 성형체(61)가 충전되어 있다.
가스 발생제 성형체(61)는, 클로져 쉘(21)측에 있어서 이너 튜브(30)에 감입된 환상 형상의 언더 플레이트(63)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가스 발생제 성형체(61)가 연소실(60) 내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통 형상 필터(65)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2) 도 1의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
도 2에 의해 도 1의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은, 가스 발생제 성형체의 충전 공정에 있어서, 통 형상 필터의 위치 결정 지그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기 때문에, 다른 조립 공정은 종래 기술의 가스 발생기의 조립 공정과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고, 이하의 공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 발생기의 조립 라인은 완전히 자동화된 조립 라인이다.
최초의 공정에서, 디퓨저 쉘(11)의 중심축과 이너 튜브(30)의 중심축(모두 도 1의 축 X가 된다)이 일치하도록 하여, 디퓨저 쉘 천장부(13)에 대하여 이너 튜브의 제1 단부(31)측을 용접 고정한다.
그 후, 전 공정에서, 천장부(13)에 이너 튜브(30)가 용접 고정된 디퓨저 쉘(11)을 천장부(13)가 아래가 된 상태에서 조립대 위에 두고, 시일 테이프를 디퓨저 쉘(11) 및 이너 튜브(30) 각각에 부착한다.
또한, 그 후, 이너 튜브(30) 내에 인헨서제 용기(40)와 전기식 점화기(50)를 수용할 수도 있지만, 후속 공정에 있어서 수용해도 된다.
다음 공정에서, 디퓨저 쉘(11)의 중심축과 통 형상 필터(65)의 중심축(모두 도 1의 축 X가 된다)이 일치하도록 하여, 가스 배출구(17)를 갖는 디퓨저 쉘 주벽부(14)와의 사이에 간격(통 형상 공간(66))을 두고 통 형상 필터(65)를 배치한다.
다음 공정에서, 외측 위치 결정 지그(70, 75)와 내측 위치 결정 지그(80)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배치한다.
도 2에는, 내측 위치 결정 지그(80)를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에는, 외측 위치 결정 지그(제1 외측 위치 결정 지그(70)와 제2 외측 위치 결정 지그(75)의 조합)를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외측 위치 결정 지그(제1 외측 위치 결정 지그(70)와 제2 외측 위치 결정 지그(75)의 조합)와 내측 위치 결정 지그(80)는, 모두 상기의 조립대 사이에서 위치 관계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반복 사용되는 것이다.
내측 위치 결정 지그(80)는, 대직경 주벽부(81)와, 소직경 주벽부(82)와, 대직경 주벽부(81)와 소직경 주벽부(82)를 접속하는 환 형상 경사면부(83)를 갖는 깔때기 형상의 것이다.
대직경 주벽부(81)와 소직경 주벽부(82)는, 동축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환 형상 경사면부(83)는, 대직경 주벽부(81)로부터 소직경 주벽부(82) 방향으로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측 위치 결정 지그(80)는, 환 형상 경사면부(83)와 소직경 주벽부(82)의 경계 부분(코너 부분)을 통 형상 필터(65)의 제2 단부면(65b)에 맞닿게 하여, 소직경 주벽부(82)를 통 형상 필터(65)의 내측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환 형상 경사면부(83)과 소직경 주벽부(82)의 경계 부분에 평탄면을 형성하고, 상기 평탄면을 통 형상 필터(65)의 제2 단부면(65b)의 내주측에 맞닿게 하도록 해도 된다.
소직경 주벽부(82)와 통 형상 필터(65)의 내주면(65c)은 맞닿아 있어도 되고, 간극이 있어도 된다.
가스 발생제 성형체(61)는, 내측 위치 결정 지그(80)를 사용하여, 연소실(60) 내에 충전된다. 이때, 간극 없이 충전할 수 있도록 태핑하면서 충전한다.
외측 위치 결정 지그는, 제1 외측 위치 결정 지그(70)와 제2 외측 위치 결정 지그(75)의 2개의 지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1 외측 위치 결정 지그(70)는, 제1 아암부(71)와, 제1 아암부(71)로부터 Y자 형상(또는 U자 형상이어도 된다)으로 분기한 제1 지지부(72)를 갖고 있다.
제2 외측 위치 결정 지그(75)는, 제2 아암부(76)와, 제2 아암부(76)로부터 Y자 형상(또는 U자 형상이어도 된다)으로 분기한 제2 지지부(77)를 갖고 있다.
제1 외측 위치 결정 지그(70)와 제2 외측 위치 결정 지그(75)를 사용하여 통 형상 필터(65)를 고정할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 필터(65)를 정면으로 대향하는 양 방향으로부터, 제1 외측 위치 결정 지그(70)의 제1 지지부(72)와 제2 외측 위치 결정 지그(75)의 제2 지지부(77)에서 끼워 넣어지도록 하여, 디퓨저 쉘(11)의 중심축 X와 통 형상 필터(65)의 중심축 X가 일치하도록 고정한다.
이렇게 서로의 중심축 X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도 3에 도시하는 L1과 L2의 길이가 동일해지도록, 제1 외측 위치 결정 지그(70)와 제2 외측 위치 결정 지그(75)의 상대 위치를 조정한다.
다음 공정에서, 가스 발생제 성형체(61)의 충전 종료 후, 외측 위치 결정 지그(제1 외측 위치 결정 지그(70)와 제2 외측 위치 결정 지그(75)의 조합)와 내측 위치 결정 지그(80)를 제거한 후, 환 형상의 언더 플레이트(63)를 이너 튜브(30)에 대하여 감입하면서, 연소실(60) 내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 성형체(61)를 고정한다.
또한, 제1 외측 위치 결정 지그(70)와 제2 외측 위치 결정 지그(75)는, 환 형상의 언더 플레이트(63)를 감입한 후에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공정에서, 디퓨저 쉘(11)에 클로져 쉘(21)을 씌운 후, 접촉 부분(플랜지부(15)와 플랜지부(25)의 접촉부인 용접부(3))에서 용접한다.
또한, 전 공정에서 이너 튜브(30) 내에 인헨서제 용기(40)와 전기식 점화기(50)를 수용하고 있지 않을 때는, 클로져 쉘(21)을 씌우기 전에 수용한다.
그 후, 클로져 쉘(21)의 통 형상부(22a)와 이너 튜브의 제2 단부(32)의 접촉 부분을 용접한다.
본 발명의 조립 방법을 실시하면, 디퓨저 쉘(11)에 통 형상 필터(65)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볼록부나 단차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고, 통 형상 필터(65)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지지 부재도 불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해, 디퓨저 쉘(11)의 특별한 가공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 지지 부재가 불필요하게 되는 점에서, 부품 비용이 감소되고, 조립 시간이 단축된다.
이어서,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작동 전에는, 연소실(60) 내에 고정된 가스 발생제 성형체(61)에 의해 통 형상 필터(65)는 위치 결정되어 있다.
점화기(50)가 작동하여 착화부(52)로부터 화염 등이 발생하면, 인헨서제 용기(40)의 저면(42)이 찢어져, 내부의 인헨서제가 착화 연소된다.
인헨서제로부터 발생한 화염이 인헨서 구멍(37)으로부터 연소실(60) 내에 분출하여, 가스 발생제 성형체(61)가 착화 연소하여, 연소 가스가 발생한다.
연소 가스는 통 형상 필터(65)를 통과하여, 통 형상 공간(66)에 유입된 후, 압력의 상승에 의해 시일 테이프(16)가 찢어져, 개구한 복수의 가스 배출구(17)로부터 가스가 에어백 내에 배출된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기재하였다. 당연히, 본 발명은 여러가지 형태의 변형을 그의 범위 내에 포함하고, 그들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본 발명의 변형으로 간주할 모든 것은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3)

  1. 삭제
  2. 천장부와, 상기 천장부의 주변부로부터 연장된 주벽부(周壁部)를 갖고, 상기 주벽부에 내측으로부터 시일 테이프로 폐색된 복수의 가스 배출구를 갖고 있는 디퓨저 쉘과,
    점화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구멍을 갖고 있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주변부로부터 연장된 주벽부를 갖고 있는 클로져 쉘이
    각각의 개구부측에서 조합되어 접합된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 내에는
    점화 수단실을 형성하기 위한 이너 튜브가, 제1 단부의 개구부가 상기 디퓨저 쉘 천장부에 맞닿고, 제2 단부의 개구부가 상기 클로져 쉘 저면부의 개구부에 감입된 점화기를 포위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이너 튜브의 외측에는, 상기 디퓨저 쉘 주벽부의 가스 배출구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통 형상 필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너 튜브의 내부가 점화 수단실이 되고, 상기 이너 튜브와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사이가 연소실이 되고, 상기 점화 수단실과 상기 연소실이, 작동시에는 상기 이너 튜브의 주벽부에 형성된 인헨서 구멍에서 연통되는 것이고,
    상기 연소실 내에는, 클로져 쉘측의 이너 튜브에 감입되고, 통 형상 필터에는 맞닿아져 있지 않은 언더 플레이트에 의해, 가스 발생제 성형체가 디퓨저 쉘 천장부측에 고정되어 있고,
    작동 전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발생제 성형체의 존재에 의해,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중심축이 디퓨저 쉘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고,
    상기 디퓨저 쉘이,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볼록부 및 단차부를 갖고 있지 않고,
    또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이며,
    상기 디퓨저 쉘의 중심축과 상기 이너 튜브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하여, 상기 디퓨저 쉘 천장부에 대하여 상기 이너 튜브의 제1 단부측을 용접 고정하는 공정,
    전 공정에서, 상기 천장부에 이너 튜브가 용접 고정된 디퓨저 쉘을 천장부가 아래가 된 상태에서 대 위에 두는 공정,
    상기 이너 튜브 내에 점화 수단을 수용하는 공정,
    상기 디퓨저 쉘의 중심축과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하여, 가스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 쉘 주벽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통 형상 필터를 배치하는 공정,
    상기 통 형상 필터와 상기 디퓨저 쉘 주벽부의 사이에 외측 위치 결정 지그를 배치하는 것과 상기 통 형상 필터와 상기 이너 튜브의 사이에 내측 위치 결정 지그를 배치하는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배치한 상태에서, 연소실 내에 소요량의 가스 발생제 성형체를 충전하는 공정,
    상기 내측 위치 결정 지그와 외측 위치 결정 지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거한 후, 환 형상의 언더 플레이트를 상기 이너 튜브에 대하여 감입하면서, 상기 연소실 내에 충전된 가스 발생제 성형체를 고정하는 공정,
    상기 디퓨저 쉘에 상기 클로져 쉘을 씌운 후, 접촉 부분에서 용접 접합하고, 상기 클로져 쉘과 상기 이너 튜브의 제2 단부측의 접촉 부분을 용접 접합하는 공정
    을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위치 결정 지그가
    제1 외측 위치 결정 지그와 제2 외측 위치 결정 지그의 2개의 지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외주면에 대하여, 제1 외측 위치 결정 지그와 제2 외측 위치 결정 지그를 서로 정면으로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디퓨저 쉘의 중심축과 상기 통 형상 필터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내측 위치 결정 지그가
    대직경 주벽부와, 소직경 주벽부와, 상기 대직경 주벽부와 상기 소직경 주벽부를 접속하는 환 형상 경사면부를 갖는 깔때기 형상의 것이고, 상기 환 형상 경사면부와 상기 소직경 주벽부의 경계 부분이 상기 통 형상 필터의 개방 단부면에 맞닿을 수 있고, 상기 소직경 주벽부의 외주면이 상기 통 형상 필터의 내주면에 맞닿을 수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의 조립 방법.
KR1020167030809A 2014-05-09 2015-04-03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 KR102328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7275A JP6276110B2 (ja) 2014-05-09 2014-05-09 ガス発生器とその組み立て方法
JPJP-P-2014-097275 2014-05-09
PCT/JP2015/060558 WO2015170537A1 (ja) 2014-05-09 2015-04-03 ガス発生器とその組み立て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984A KR20170004984A (ko) 2017-01-11
KR102328345B1 true KR102328345B1 (ko) 2021-11-18

Family

ID=54392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809A KR102328345B1 (ko) 2014-05-09 2015-04-03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86790B2 (ko)
JP (1) JP6276110B2 (ko)
KR (1) KR102328345B1 (ko)
CN (1) CN106604851A (ko)
DE (1) DE112015002193T5 (ko)
WO (1) WO2015170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3732A1 (de) * 2016-07-26 2018-02-01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mit pyrotechnischem Treibsa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Treibsatzes
KR102012107B1 (ko) * 2017-12-29 2019-08-19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가스터빈의 연소기의 다공판 성형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스터빈의 연소기의 다공판
KR102622079B1 (ko) * 2018-05-29 2024-01-09 주식회사 다이셀 가스 발생기
JP2021030120A (ja) * 2019-08-20 2021-03-01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の組立方法及びガス発生器
CN110801680A (zh) * 2019-12-13 2020-02-18 西安北方惠安防化设备有限公司 一种防化过滤吸收器的加工工艺
DE102019134899A1 (de) * 2019-12-18 2021-06-24 Zf Airbag Germany Gmbh Gasgenerator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sicherheits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1816A (ja) 2001-12-26 2003-07-09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2005186873A (ja) 2003-12-26 2005-07-14 Nippon Kanaami Shoko Kk 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ータ用フィルター
JP2008114773A (ja) 2006-11-07 2008-05-22 Daicel Chem Ind Ltd ガス発生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3769B2 (ja) * 1996-09-12 2004-08-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3935245B2 (ja) 1997-08-12 2007-06-20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963086B1 (ja) 1997-12-26 1999-10-12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6948737B2 (en) * 2001-12-26 2005-09-27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US7520530B2 (en) * 2004-12-20 2009-04-2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JP4594830B2 (ja) * 2005-08-30 2010-12-08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発生器
US7503581B2 (en) 2006-03-22 2009-03-17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occupant restraining device for vehicle
JP4970813B2 (ja) * 2006-03-22 2012-07-11 株式会社ダイセル 車両の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JP5090100B2 (ja) * 2007-08-09 2012-12-05 豊田合成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ー
JP5450306B2 (ja) 2010-07-29 2014-03-2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422628B2 (ja) * 2012-10-18 2018-11-1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剤組成物と、それを使用したガス発生器
JP6009997B2 (ja) * 2013-06-21 2016-10-19 株式会社ダイセル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1816A (ja) 2001-12-26 2003-07-09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2005186873A (ja) 2003-12-26 2005-07-14 Nippon Kanaami Shoko Kk 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ータ用フィルター
JP2008114773A (ja) 2006-11-07 2008-05-22 Daicel Chem Ind Ltd ガス発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86790B2 (en) 2018-10-02
DE112015002193T5 (de) 2017-02-02
WO2015170537A1 (ja) 2015-11-12
CN106604851A (zh) 2017-04-26
US20170028963A1 (en) 2017-02-02
KR20170004984A (ko) 2017-01-11
JP2015214206A (ja) 2015-12-03
JP6276110B2 (ja)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345B1 (ko)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
CN104245436B (zh) 气体发生器
WO2014054470A1 (ja) ガス発生器とその組立方法
KR20150120353A (ko) 가스 발생기
JP2011163342A (ja) 消音器
KR102434717B1 (ko) 가스 발생기
US20220276030A1 (en) Gas Generator
US20180264389A1 (en) Gas generator
JP6675255B2 (ja) ガス発生器
CN106468300B (zh) 用于衬套的紧固方法
CN109476273B (zh) 气体发生器
CN107107858B (zh) 点火器组装体及使用其的气体发生器
KR20170055472A (ko) 가스 발생기
CN110307071B (zh) 用于制造消声器的方法
JP5423604B2 (ja) インフレーター及びインフレーターの製造方法
EP3339598B1 (en) Method of fixation of an outer ring for a flexible element, said outer ring for the method, and flexible conduit element with said outer ring
US4123240A (en) Means for intercepting weld splatter
KR102373771B1 (ko) 가스 발생기
WO2021033536A1 (ja) ガス発生器の組立方法及びガス発生器
CN107300019B (zh) 电动阀及其线圈固定架
JP3218097B2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のハウジング構造
JP2013203361A (ja) ディスク型ガス発生器
WO2016076149A1 (ja) 点火器組立体とそれを使用したガス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