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717B1 - 가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717B1
KR102434717B1 KR1020197023607A KR20197023607A KR102434717B1 KR 102434717 B1 KR102434717 B1 KR 102434717B1 KR 1020197023607 A KR1020197023607 A KR 1020197023607A KR 20197023607 A KR20197023607 A KR 20197023607A KR 102434717 B1 KR102434717 B1 KR 102434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combustion chamber
igniter
open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647A (ko
Inventor
고지 야마모토
미키오 야부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9014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7/00Apparatus for generat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1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filter through which the inflation gas p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021/264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021/264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판과, 상기 천장판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저판과, 그들 사이에 있으며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벽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 내가, 하우징 내를 축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구획하는 격벽에 의해, 제1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상기 천장판측의 제1 연소실과, 제2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상기 저판측의 제2 연소실로 분리되고, 상기 저판에는, 상기 제1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키는 제1 점화기와, 상기 제2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키는 제2 점화기가 배치되고, 상기 격벽이 상기 제1 연소실과 상기 제2 연소실을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을 갖는, 상기 제1 점화기를 포위하는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상기 천장판측의 제2 개구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신장된 환상부를 갖고, 상기 통형상부의 제2 개구부와는 축방향 반대측의 제1 개구부가 상기 제1 점화기에 맞닿아지고, 상기 환상부의 외주연부가 상기 하우징의 주벽부에 맞닿아져 있는 것으로 상기 제1 연소실과 상기 제2 연소실이 분리되어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스 발생기
본 발명은 에어백 등의 인원 구속 장치에 사용되는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2개의 점화기와 2개의 연소실을 갖고 있는 가스 발생기로서, 연소실이 격벽에 의해 상하로 분리된 타입의 듀얼 파이로식의 것이 있다.
US6199906B1의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는, 내부 공간이 분리 플레이트(5), 주 연소실 인핸서 튜브(12), 제2 연소실 인핸서 튜브(13)의 3개의 격벽의 조합에 의해, 주 연소실(1)과 제2 연소실(2)의 2개의 연소실로 분리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 공정수도 많아진다.
본 발명은, 천장판과, 상기 천장판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저판과, 상기 천장판과 상기 저판 사이에 있으며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벽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 내가, 상기 하우징 내를 축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된 격벽에 의해, 제1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상기 천장판측의 제1 연소실과, 제2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상기 저판측의 제2 연소실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저판에는, 상기 제1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키는 제1 점화기와, 상기 제2 가스 발생제를 연소시키는 제2 점화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격벽이, 상기 제1 연소실과 상기 제2 연소실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 구멍을 갖는, 상기 제1 점화기를 포위하는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상기 천장판측의 제2 개구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신장된 환상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통형상부의 제2 개구부와는 축방향 반대측의 제1 개구부가 상기 제1 점화기에 맞닿아지고, 상기 환상부의 외주연부가 상기 하우징의 주벽부에 맞닿아져 있는 것으로 상기 제1 연소실과 상기 제2 연소실이 분리되어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되는 것이지만, 이들은 단지 설명을 위해 첨부되는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축 X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만을 취출한 단면도이고, 점화기도 아울러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1의 격벽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우징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가스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하우징의 저판을 아래, 천장판을 위로 한 상태일 때, 하우징 내부가 하나의 격벽으로 상하의 2실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고, 상측이 제1 연소실, 하측이 제2 연소실로 되어 있다.
하우징은 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이다.
제1 연소실 내의 제1 가스 발생제는 제1 점화기에 의해 착화 연소되고, 제2 연소실 내의 제2 가스 발생제는 제2 점화기에 의해 착화 연소된다. 제1 점화기와 제2 점화기는, 착화부를 포함하는 점화기 본체가 수지를 개재해서 금속제 칼라와 일체화된 것 등의 공지된 것이 사용 가능하고, 모두 저판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되어 있다.
격벽은 통형상부와 환상부를 갖는 부품이며, 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이다. 통형상부와 환상부는 일체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 부재의 통형상부와 환상부가 용접 등으로 일체로 된 것이어도 된다. 통형상부와 환상부는, 그들의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하우징 안으로 압입해서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통형상부는 주벽부, 저판측의 제1 개구부, 천장판측의 제2 개구부를 갖고 있고, 주벽부는 제1 연소실과 제2 연소실을 연통시키기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연통 구멍을 갖고 있다. 연통 구멍은, 내측으로부터 금속제의 시일 테이프 등의 폐색 부재로 폐색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형상부의 내측으로부터 하중이나 압력이 가해졌을 때의 폐색 부재의 파열압은, 외측으로부터 부착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크다.
환상부는 통형상부의 제2 개구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신장된 형상의 것이고, 평면이나 곡면 또는 단차면을 포함하는 것, 또는 평면, 곡면 및 단차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다.
통형상부는 축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제1 점화기를 포위해서 제2 연소실로부터 격리하고 있고, 환상부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제1 연소실과 제2 연소실을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분리하고 있다.
통형상부의 제2 개구부는 제1 연소실 내에 면하고 있고, 제1 점화기는 제1 가스 발생제와 접촉되어 있지만, 별도로 제1 점화기와 제1 가스 발생제 사이에 주머니형 용기 등에 들어간 전화약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점화기가 작동해서 화염 등의 연소 생성물이 발생하면, 제1 연소실 내의 제1 가스 발생제가 착화 연소되어 연소 가스가 발생한 후,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제1 연소실과 제2 연소실은 격벽으로 구획되고, 또한 통형상부의 연통 구멍이 폐색 부재로 폐색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제1 점화기의 작동에 의해 제2 연소실 내의 제2 가스 발생제가 착화되는 일은 없다.
제2 점화기가 작동해서 불꽃 등의 연소 생성물이 발생하면, 제2 연소실 내의 제2 가스 발생제가 착화 연소되어 연소 가스가 발생한다. 제2 연소실 내에서 발생한 연소 가스는, 격벽의 통형상부에 형성된 연통 구멍의 폐색 부재를 파열시켜 격벽의 통형상부 안으로 들어간 다음, 제1 연소실을 경유해서 가스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통형상부와 환상부가 일체가 된 상태의 격벽에 의해 제1 연소실과 제2 연소실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가스 발생기의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하나의 격벽에 의해 제1 연소실과 제2 연소실이 분리되어 있고, US6199906B1의 가스 발생기와 같이 복수의 부품간의 접촉 부분이 없고, 격벽과 하우징의 접촉 부분만 있기 때문에, 제1 연소실로부터 제2 연소실로의 연소 가스 누설의 방지가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통형상부와 환상부는, 판재를 프레스 성형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통형상부와 환상부가 일체가 되어 있는 점에서 격벽 전체에서 작동 시의 압력을 받기 때문에, 변형되기 어렵고, 부분적으로 변형이 발생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제1 연소실로부터 제2 연소실로의 연소 가스 누설의 방지가 용이해진다. 또한 환상부는, 통형상부의 제2 개구부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1 가스 발생제로부터의 연소 가스로, 제1 연소실의 내부 압력이 상승했을 때, 통형상부와 환상부는 일체로 되어 저판 방향으로 눌리게 되기 때문에, 통형상부의 제1 개구부와 하우징의 저판과의 밀착성이 증가하여, 제1 연소실 내의 연소 가스가 제2 연소실 안으로 들어가서 오작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제1 점화기가 하우징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재되어 있고,
상기 격벽의 통형상부가, 제1 개구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환상 내측 돌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격벽의 환상부가, 상기 통형상부의 제2 개구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형성된 환상 평면부와, 상기 환상 평면부로부터 상기 천장판 방향으로 경사진 환상 경사면부와, 상기 환상 경사면부로부터 상기 주벽부를 따라 연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환상 벽면부 및 상기 환상 벽면부의 천장판측 단부의 개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환상 내측 돌출부가 상기 제1 점화기와 상기 저판에 맞닿아져 있고, 적어도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주벽부에 맞닿아져 있는 것으로 상기 제1 연소실과 상기 제2 연소실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다.
제1 점화기는 하우징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재되어 있고, 격벽은 통형상부의 환상 내측 돌출부가 제1 점화기(제1 점화기의 금속제 칼라)와 저판에 맞닿아져 있고, 환상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신장되어 있는 것으로 제1 연소실과 제2 연소실이 분리되어 있다.
격벽이 환상 내측 돌출부와 환상 경사면부를 가짐으로써, 제1 연소실의 내부 압력이 상승했을 때, 환상 내측 돌출부와 환상부의 환상 평면부와 환상 경사면부는 일체로 되어 저판 방향으로 눌리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의 저판 및 주벽부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이들에 대한 밀착성이 증가하여, 제1 연소실 내의 연소 가스가 제2 연소실 안으로 들어가서 오작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 점화기가 하우징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재되어, 제1 점화기가 환상 내측 돌출부에 맞닿아져서 제1 개구부에 관통되어 있는 점에서, 격벽을 하우징 내에 설치한 후에 격벽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어, 고정 강도가 높아진다. 환상 내측 돌출부는, 통형상부의 제1 개구부의 내측에 360°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도 360°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환상 평면부가, 상기 제2 점화기의 착화부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천장판측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2 점화기가 상기 착화부를 상기 오목부와 축방향으로 대향시켜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볼록부와 그것에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부는, 반구 형상 등의 곡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는 환상 평면부의 제1 연소실측에 형성되고, 오목부는 환상 평면부의 제2 연소실측에서 볼록부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가 곡면이면, 제2 점화기가 작동해서 생긴 화염 등의 연소 생성물이 제2 연소실 내로 확산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점화기가 작동해서 제1 가스 발생제가 착화 연소되어 연소 가스가 발생하고, 제1 연소실의 내부 압력의 상승에 의해 축방향 양측(천장판측과 저판측의 양쪽)에 힘이 가해졌을 때, 환상부의 환상 평면부와 환상 경사면부는 저판 방향으로 눌리게 된다. 이때, 환상 평면부가 저판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어도, 오목부가 있기 때문에, 환상 평면부가 제2 점화기의 착화부에 맞닿는 것이 방지되므로, 제2 점화기의 착화부의 개열에 영향이 없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하우징이 디퓨저 셸과 클로저 셸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디퓨저 셸이, 천장판, 가스 배출구를 갖는 제1 주벽부, 상기 천장판에 대향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벽부가, 상기 가스 배출구와 상기 제1 개구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d1)과 상기 제1 개구부에 연결되는 부분의 내경(d2)의 차이(d2>d1)에 의한 환상 면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클로저 셸이, 저판, 제2 주벽부, 상기 저판에 대향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디퓨저 셸의 제1 주벽부 내로 상기 클로저 셸의 제2 주벽부가 감입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격벽의 환상부의 환상 벽면부가 상기 클로저 셸의 제2 주벽부에 맞닿아지고, 상기 격벽의 환상부의 플랜지부가, 상기 클로저 셸의 제2 개구부의 환상 단부면, 상기 디퓨저 셸의 환상 면부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것이다.
하우징은 디퓨저 셸과 클로저 셸의 조합을 포함하고, 디퓨저 셸의 제1 주벽부 내에 클로저 셸의 제2 주벽부가 감입되어 있다. 디퓨저 셸과 클로저 셸은, 접촉 부분에 있어서 용접되어 있다.
디퓨저 셸의 제1 주벽부 내로 클로저 셸의 제2 주벽부가 감입되어 있는 것으로, 클로저 셸의 제2 개구부의 환상 단부면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환상 단부면에 격벽의 플랜지부가 맞닿아져 있다. 또한 격벽의 플랜지부는, 제2 개구부의 환상 단부면과 디퓨저 셸의 환상 면부에 의해 끼워져 있고, 격벽의 환상 벽면부는 클로저 셸의 제2 주벽부에 맞닿아져 있으므로, 격벽은 축방향으로도 반경 방향으로도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동 시의 압력이 격벽에 가해졌을 때, 격벽은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 하우징과의 밀착성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바람직한 형태는, 통형상 필터를 더 갖고 있고, 상기 통형상 필터의 제1 단부면이 상기 천장판에 맞닿아지고, 제2 단부면이 상기 격벽의 환상부의 환상 경사면부에 맞닿아지고, 외측 둘레면의 일부가 환상 벽면부에 맞닿아져서, 상기 주벽부에 형성된 가스 배출구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통상 필터의 제2 단부면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높아지는 환상 경사면에 맞닿아져 있기 때문에, 작동 시에 제1 연소실 내의 압력이 상승해서 통형상 필터에 대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통형상 필터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통형상 필터와 하우징 주벽부의 가스 배출구와의 간격이 유지되어, 연소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실시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하우징의 천장판측의 제1 연소실과 하우징의 저판측의 제2 연소실이, 하우징 내를 축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된 하나의 격벽에 의해 분리된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이 간단하다. 또한 격벽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에어백 장치용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 일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설명한다.
가스 발생기(1)는, 디퓨저 셸(11)과 클로저 셸(21)을 포함하는 하우징(10)을 갖고 있다. 디퓨저 셸(11)과 클로저 셸(21)은, 모두 철, 스테인리스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디퓨저 셸(11)은 천장판(12), 제1 주벽부(13), 제1 개구부(11a)를 갖고 있고, 제1 주벽부(13)에는 둘레 방향으로 균등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가스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주벽부(13)는 제1 개구부(11a)에 플랜지부(15)를 갖고 있다.
제1 주벽부(13)는, 가스 배출구(14)와 제1 개구부(11a) 사이에 있어서, 가스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내경(d1)과 제1 개구부(11a)에 연결되는 부분의 내경(d2)의 차이(d2>d1)에 의한 환상 면부(16)를 갖고 있다.
복수의 가스 배출구(14)는, 내측으로부터 금속제의 시일 테이프로 폐색되어 있다.
클로저 셸(21)은 저판(22), 제2 주벽부(23)와 제2 개구부(21a)를 갖고 있다.
저판(22)에는 간격을 두고 2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구멍에 제1 점화기(32)와 제2 점화기(4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점화기(32)는, 하우징(10)의 중심축 X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중심축 X로부터 편재되어 있다. 제2 점화기(42)는 제1 점화기(32)와 비교하면 하우징(10)의 중심축 X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점화기(32)는, 제1 점화기(32)의 중심축이 중심축 X로부터 제2 주벽부(23)까지의 거리의 20 내지 30%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점화기(42)는, 제2 점화기(42)의 중심축이 중심축 X로부터 제2 주벽부(23)까지의 거리의 40 내지 60%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은 디퓨저 셸(11)의 제1 주벽부(13)의 제1 개구부(11a) 근방의 내측면과 클로저 셸(21)의 제2 주벽부(23)의 제2 개구부(21a) 근방의 외측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 부분에 있어서 용접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10)은 디퓨저 셸(11) 내에 클로저 셸(21)이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1,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주벽부(23)의 환상 단부면(24)이 하우징(10) 내부에 면하고 있다.
디퓨저 셸(11)과 클로저 셸(21)의 접속 부분에는, 환상 면부(16), 환상 단부면(24), 제1 주벽부(13)를 포함하는 환상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 내는, 축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격벽(50)에 의해, 천장판(12)측의 제1 연소실(30)과 저판(22)측의 제2 연소실(40)로 분리되어 있다.
제1 연소실(30) 내에는, 제1 점화기(32)의 착화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제1 가스 발생제(31)가 수용되고, 제2 연소실(40) 내에는, 제2 점화기(42)와 접촉한 상태에서 제2 가스 발생제(41)가 수용되어 있다. 착화부는 점화약을 수용한 부분에서, 작동 시에 고온 가스나 화염 등의 연소 생성물을 발생하는 부분이며, 제2 가스 발생제(41)는 이 착화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충전되어 있다.
제1 연소실(30)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1 점화기(32)와 제1 가스 발생제(31) 사이에 주머니형 용기 안에 넣은 전화약을 배치할 수도 있다. 주머니형 용기는, 제1 점화기의 작동이나 전화약의 연소로 용이하게 용융, 개열, 파괴를 하는 것을 사용한다.
격벽(50)은 스테인리스, 철 등의 금속제의 것이고, 도 1, 도 3에 도시하는 것은 일체 성형된 것이다. 격벽(50)은 통형상부(51)와 환상부(55)를 갖고 있다.
통형상부(51)는 주벽부(52), 저판(22)측의 제1 개구부(51a), 축 X 방향 반대측의 제2 개구부(51b)를 갖고 있고, 제1 개구부(51a)측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환상 내측 돌출부(53)를 갖고 있다.
주벽부(52)에는, 작동 시에 제1 연소실(30)과 제2 연소실(40)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 구멍(54)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으로부터 폐색 부재가 되는 금속제의 시일 테이프로 폐색되어 있다.
통형상부(51)의 환상 내측 돌출부(53)는 저판(22)에 맞닿아지고, 환상 내측 돌출부(53)의 선단에 있는 환상 내측 단부면(53a)이 제1 점화기(32)의 금속제 칼라에 맞닿아져 있다.
환상부(55)는 통형상부(51)의 제2 개구부(51b)로부터 저판(22)과 마찬가지로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환상 평면부(56)와, 환상 평면부(56)로부터 천장판(12) 방향으로 경사진 환상 경사면부(57)와, 환상 경사면부(57)로부터 주벽부(제1 주벽부(13) 및 제2 주벽부(23))를 따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환상 벽면부(58) 및 환상 벽면부(58)의 개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59)를 갖고 있다.
환상부(55)는 환상 벽면부(58)가 클로저 셸(21)의 제2 주벽부(23)에 맞닿아지고, 플랜지부(59)가 환상 단부면(24)과 환상 면부(16)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환상 홈(18) 내에 위치하고 있다.
하우징(10) 내는, 격벽(50)의 통형상부(51)가 축 X 방향으로 연장하고, 격벽(50)의 환상부(55)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제1 연소실(30)과 제2 연소실(40)이 분리되어 있다.
격벽(50)의 환상 평면부(56)는, 제2 점화기(42)의 착화부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천장판(12)측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를 갖고 있을 때는, 제2 점화기(42)의 착화부는 오목부와 축 X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격벽(50)은 통형상부(51)의 환상 내측 돌출부(53)(환상 내측 단부면(53a))의 내경과 제1 점화기(32)의 금속제 칼라의 외경, 환상부(55)의 외경과 하우징(10)의 내경, 격벽(50)의 높이 등을 조정함으로써 압입되어 있다.
도 1의 실시 형태에서는, 통형상 필터(70)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 필터(70)는 제1 단부면(72)이 천장판(12)에 맞닿아지고, 제2 단부면(71)이 환상 경사면부(57)에 맞닿아지고, 외측 둘레면(73)의 하부(저판(22)측)가 환상 벽면부(58)에 맞닿아져 있다. 통형상 필터(70)와 가스 배출구(14)를 갖는 제1 주벽부(13) 사이에는, 통형상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실시 형태에서는, 환상 경사면부(57)와 축 X 방향에 대향하는 천장판(12)도 환상 경사면부(57)와 동일 형상의 경사면으로 되어 있지만, 천장판(12)은 평면이어도 된다.
이어서, 가스 발생기(1)의 조립 방법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클로저 셸(21)의 저판(22)의 2개의 구멍에 제1 점화기(32)와 제2 점화기(42)를 설치한다.
이어서, 제2 연소실(40) 내에 제2 가스 발생제(41)를 넣는다.
이어서, 격벽(50)을 통형상부(51)의 환상 내측 돌출부(53)가 저판(22)에 맞닿아지고, 환상 내측 단부면(53a)이 제1 점화기(32)의 금속제 칼라에 맞닿아지고, 환상 벽면부(58)가 클로저 셸(21)의 제2 주벽부(23)에 맞닿아지고, 플랜지부(59)가 환상 단부면(24)에 맞닿아지도록 압입한다.
이어서, 통형상 필터(70)를 배치한 다음, 제1 연소실(30) 내에 제1 가스 발생제(31)를 넣는다.
이어서, 디퓨저 셸(11)을 클로저 셸(21)의 외측에 감입한다. 이때, 격벽(50)의 플랜지부(59)는 환상 홈(18) 내에 있어서 환상 단부면(24)과 환상 면부(16)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어서, 디퓨저 셸(11)과 클로저 셸(21)의 접촉 부분을 용접한다.
도 1의 가스 발생기(1)를 에어백 장치에 설치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1)는 제1 점화기(32)가 먼저 작동하고, 제2 점화기(42)가 지연되어 작동하는 형태, 혹은 제1 점화기(32)만이 작동하는 형태에 있어서 특히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의 예에서는, 제1 점화기(32)가 먼저 작동하고, 제2 점화기(42)가 지연되어 작동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점화기(32)가 먼저 작동했을 때, 제1 점화기(32)로부터 발생한 화염 등에 의해 제1 연소실(30) 내의 제1 가스 발생제(31)가 착화 연소되어, 연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연소 가스는 통형상 필터(70)를 통과한 다음, 시일 테이프를 파열시키고 가스 배출구(14)로부터 배출되어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연소 가스에 의해 제1 연소실(30) 내의 압력이 높아졌을 때, 격벽(50)의 환상 내측 돌출부(53)는 저판(22)에 가압되고, 환상 벽면부(58)는 클로저셸(21)의 제2 주벽부(23)에 가압되고, 플랜지부(59)는 환상 홈(18) 내에서 제1 주벽부(13)에 가압된다. 또한 연통 구멍(54)는 주벽부(52)의 내측으로부터 금속제의 시일 테이프로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파열압이 높아 파열되지 않는 점에서, 제1 연소실(30)로부터 제2 연소실(40)로 연소 가스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격벽(50)의 전체에서 작동 시의 압력을 받는 것, 특히 제1 개구부(51a)에 환상 내측 돌출부(53)와 제2 개구부(51b)에 환상부(55)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격벽 전체가 변형되기 어려워, 부분적으로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있는 것도, 제1 연소실(30)로부터 제2 연소실(40)로의 연소 가스 누설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
약간 지연되어 제2 점화기(42)가 작동해서 제2 연소실(40) 내의 제2 가스 발생제(41)가 착화 연소되어, 연소 가스를 발생시킨다.
제2 점화기(42)는 격벽(50)(환상부(55)의 환상 평면부(56))에 대향 배치되어, 작동 시에 발생한 화염 등이 격벽(50)에 충돌해서 확산되기 쉽게 되어 있고, 그에 의해 제2 가스 발생제(41)의 착화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격벽(50)의 환상 평면부(56)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제2 점화기(42)의 착화부와 격벽(5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작용이 보다 현저하게 발현됨과 함께, 제2 점화기(42)의 착화에 있어서의 개열에 격벽이 간섭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제2 연소실(40)에서 발생한 연소 가스는, 통형상부(51)의 연통 구멍(54)을 통과해서 제1 연소실(30) 안으로 들어가서, 통형상 필터(70)를 통과한 다음 가스 배출구(14)로부터 배출되고 또한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연통 구멍(54)을 덮는 금속제의 시일 테이프는, 제2 연소실(40)측으로부터의 압력으로, 주벽부(52)로부터 용이하게 탈락한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기재했다. 당연히,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그 범위에 포함하며, 이들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의 일탈이 아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명백하게 본 발명의 변형으로 간주할 모든 것은, 이하에 기재하는 청구항의 범위에 있다.

Claims (7)

  1. 천장판과, 상기 천장판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저판과, 상기 천장판과 상기 저판 사이에 있으며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주벽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 내가, 상기 하우징 내를 축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된 격벽에 의해, 제1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상기 천장판측의 제1 연소실과, 제2 가스 발생제가 수용된 상기 저판측의 제2 연소실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저판에는, 상기 제1 가스 발생제를 착화 연소시키는 제1 점화기와, 상기 제2 가스 발생제를 착화 연소시키는 제2 점화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격벽이, 상기 제1 연소실과 상기 제2 연소실을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 구멍을 갖는, 상기 제1 점화기를 포위하는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상기 천장판측의 제2 개구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신장된 환상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통형상부의 제2 개구부와는 축방향 반대측의 제1 개구부가 상기 제1 점화기에 맞닿아지고, 상기 환상부의 외주연부가 상기 하우징의 주벽부에 맞닿아져 있는 것으로 상기 제1 연소실과 상기 제2 연소실이 분리되어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화기가 하우징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재되어 있고,
    상기 격벽의 통형상부가, 제1 개구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환상 내측 돌출부를 갖고 있고,
    상기 격벽의 환상부가, 상기 통형상부의 제2 개구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형성된 환상 평면부와, 상기 환상 평면부로부터 상기 천장판 방향으로 경사진 환상 경사면부와, 상기 환상 경사면부로부터 상기 주벽부를 따라 연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환상 벽면부 및 상기 환상 벽면부의 천장판측 단부의 개구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환상 내측 돌출부가 상기 제1 점화기와 상기 저판에 맞닿아져 있고, 적어도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주벽부에 맞닿아져 있는 것으로 상기 제1 연소실과 상기 제2 연소실이 분리되어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평면부가, 상기 제2 점화기의 착화부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천장판측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2 점화기가, 상기 착화부를 상기 오목부와 축방향으로 대향시켜서 배치되어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디퓨저 셸과 클로저 셸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디퓨저 셸이 천장판, 가스 배출구를 갖는 제1 주벽부, 상기 천장판에 대향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벽부가 상기 가스 배출구와 상기 제1 개구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d1)과 상기 제1 개구부에 연결되는 부분의 내경(d2)의 차이(d2>d1)에 의한 환상 면부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클로저 셸이 저판, 제2 주벽부, 상기 저판에 대향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디퓨저 셸의 제1 주벽부 내에 상기 클로저 셸의 제2 주벽부가 감입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격벽의 환상부의 환상 벽면부가 상기 클로저 셸의 제2 주벽부에 맞닿아지고, 상기 격벽의 환상부의 플랜지부가, 상기 클로저 셸의 제2 개구부의 환상 단부면, 상기 디퓨저 셸의 환상 면부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
  5. 제2항에 있어서, 통형상 필터를 더 갖고 있고, 상기 통형상 필터의 제1 단부면이 상기 천장판에 맞닿아지고, 제2 단부면이 상기 격벽의 환상부의 환상 경사면부에 맞닿아지고, 외측 둘레면의 일부가 환상 벽면부에 맞닿아지고, 상기 주벽부에 형성된 가스 배출구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 및 상기 환상부가 일체 성형된 것인, 가스 발생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구멍이 상기 통형상부의 주벽부에 형성되어 있고, 금속제 폐색 부재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폐색되어 있는 것인, 가스 발생기.
KR1020197023607A 2017-05-01 2018-04-02 가스 발생기 KR102434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91317 2017-05-01
JP2017091317A JP6797072B2 (ja) 2017-05-01 2017-05-01 ガス発生器
PCT/JP2018/014083 WO2018203457A1 (ja) 2017-05-01 2018-04-02 ガス発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647A KR20190141647A (ko) 2019-12-24
KR102434717B1 true KR102434717B1 (ko) 2022-08-22

Family

ID=6401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607A KR102434717B1 (ko) 2017-05-01 2018-04-02 가스 발생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81535B2 (ko)
JP (1) JP6797072B2 (ko)
KR (1) KR102434717B1 (ko)
CN (1) CN110573387B (ko)
DE (1) DE112018002298T5 (ko)
WO (1) WO20182034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079B1 (ko) * 2018-05-29 2024-01-09 주식회사 다이셀 가스 발생기
JP7274359B2 (ja) * 2019-06-12 2023-05-1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2021030120A (ja) * 2019-08-20 2021-03-01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の組立方法及びガス発生器
JP7486320B2 (ja) * 2020-01-30 2024-05-17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及びガス発生器の組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9338A (ja) 2000-10-31 2003-03-2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これを用いたエアバッグ装置
JP2003312435A (ja) 2002-04-25 2003-11-06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20110221176A1 (en) 2008-12-03 2011-09-15 Sebastian Bierwirth Gas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8980A (en) * 1973-02-12 1976-07-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Occupant restraint system
CN1161918A (zh) * 1995-04-22 1997-10-15 Temic拜尔-化学空气袋股份有限公司 带两个单独的燃烧室的烟火气体发生器
US6199906B1 (en) 1999-08-12 2001-03-13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Dual stage pyrotechnic inflator
AU2002212694A1 (en) * 2000-10-31 2002-05-15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device
CN1492817A (zh) * 2000-12-26 2004-04-28 �ձ���ҩ��ʽ���� 气体发生器
US6886856B2 (en) * 2003-04-01 2005-05-03 Key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inflator
US7044502B2 (en) * 2004-02-24 2006-05-16 Key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pyrotechnic driver inflator
US8444179B2 (en) * 2006-12-06 2013-05-2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air bag inflator
FR2927291B1 (fr) * 2008-02-07 2016-03-04 Livbag Generateur de gaz pour un dispositif de securite, dont la charge est initiee par un moyen generateur de chaleur.
US7950693B2 (en) * 2008-05-20 2011-05-31 Autoliv Asp, Inc. Dual stage inflator
JP6009997B2 (ja) * 2013-06-21 2016-10-19 株式会社ダイセル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JP6282555B2 (ja) * 2014-08-01 2018-02-21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KR102288663B1 (ko) * 2016-08-29 2021-08-11 주식회사 다이셀 가스 발생기
KR102309123B1 (ko) * 2016-11-10 2021-10-06 주식회사 다이셀 가스 발생기
JP6714495B2 (ja) * 2016-11-10 2020-06-2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835315B2 (ja) * 2017-05-18 2021-02-2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及び収容容器
JP6946097B2 (ja) * 2017-07-21 2021-10-0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9338A (ja) 2000-10-31 2003-03-25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これを用いたエアバッグ装置
JP2003312435A (ja) 2002-04-25 2003-11-06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20110221176A1 (en) 2008-12-03 2011-09-15 Sebastian Bierwirth Gas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03457A1 (ja) 2018-11-08
DE112018002298T5 (de) 2020-02-27
KR20190141647A (ko) 2019-12-24
US20200231112A1 (en) 2020-07-23
US10981535B2 (en) 2021-04-20
CN110573387B (zh) 2022-07-01
JP6797072B2 (ja) 2020-12-09
JP2018188001A (ja) 2018-11-29
CN110573387A (zh)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717B1 (ko) 가스 발생기
US8011303B2 (en) Gas generator
KR102093194B1 (ko) 가스 발생기와 그의 조립 방법
KR102309123B1 (ko) 가스 발생기
US10974687B2 (en) Gas generator
US8424909B2 (en) Gas generator for restraining device of vehicle
KR20150015445A (ko) 가스 발생기
US10814828B2 (en) Gas generator
KR20130040170A (ko) 가스 발생기
KR20160146682A (ko) 가스 발생기
US10814827B2 (en) Gas generator
CN107709102B (zh) 点火装置及使用其的气体发生器
JP6745200B2 (ja) ガス発生器
KR102332156B1 (ko) 점화기 조립체와 그것을 사용한 가스 발생기
KR102292867B1 (ko) 가스 발생기
US10308211B2 (en) Support structure of closing member for gas generator and gas generator using same
US10442389B2 (en) Gas generator
US20180264389A1 (en) Gas generator
WO2018147020A1 (ja) ガス発生器
WO2016076149A1 (ja) 点火器組立体とそれを使用したガス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