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199B1 -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199B1
KR102324199B1 KR1020150028347A KR20150028347A KR102324199B1 KR 102324199 B1 KR102324199 B1 KR 102324199B1 KR 1020150028347 A KR1020150028347 A KR 1020150028347A KR 20150028347 A KR20150028347 A KR 20150028347A KR 102324199 B1 KR102324199 B1 KR 10232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heating target
concentration
state
salin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888A (ko
Inventor
윤부근
한종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972,528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64570B2/en
Priority to EP16743666.6A priority patent/EP3230655B1/en
Priority to PCT/KR2016/000816 priority patent/WO2016122188A1/en
Priority to CN201680007669.0A priority patent/CN107205583B/zh
Publication of KR20160092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5Constructive details concerning the regulation of th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7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coo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oker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피가열체의 조리 진행에 따라 성분비율이 변화하는 기준 물질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 센서와 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COOKING APPARATUS}
피가열체를 조리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조리기기는 피가열체인 음식물에 열을 가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에 열을 가하는 방법에 따라 오븐, 전자레인지 등과 같이 다양한 제품들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동안 설정한 발열량에 따라 열을 생성하여 피가열체를 조리하기 때문에, 조리기기의 사용자는 피가열체의 조리 진행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렵다.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가열원;과 피가열체의 조리 진행에 따라 성분비율이 변화하는 기준 물질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 센서;와 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하고,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에 기초하여 가열원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농도 센서는 피가열체의 염도를 검출하는 염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염도 센서는, 서로 이격되어 피가열체와 접촉하는 복수의 전극;과 복수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될 때, 피가열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염도 센서는 피가열체에 광을 조사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기준물질에 의하여 발생하는 산란광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원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일 수 있으며, 검출기는 피가열체가 조리되는 조리실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완료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기준 물질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조리 완료 농도에 도달하거나, 기준 물질의 농도 변화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가 되면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완료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가 미리 등록된 표준 조리 상태에 대응되면, 표준 조리 상태 도달 정보가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 변화를 예측하고, 예측된 조리 상태 변화 및 피가열체의 현재 조리 상태에 기초하여 표준 조리 상태 도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기준 물질의 초기 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외부 장치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조리기기
또한, 제어부는, 피가열체의 종류에 따라 피가열체의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조리기기는 피가열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피가열체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농도 센서에서 검출된 초기 기준 물질의 농도 및 피가열체의 무게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방법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 방법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오버쿠킹(Overcooking) 상태, 및 언더쿠킹(Undercooking)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조리기기는 피가열체에 수분을 제공하는 스팀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염도 센서에서 검출된 피가열체의 염도가 임계 염도보다 높은 경우 스팀 생성부를 제어하여 피가열체에 수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피가열체의 조리 진행에 따라 성분비율이 변화하는 기준 물질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 센서와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은,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단계;와 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조리 상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조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완료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상태가 완료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기준 물질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조리 완료 농도에 도달하거나, 기준 물질의 농도 변화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가 되면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완료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가 미리 등록된 표준 조리 상태에 대응되면, 피가열체가 미리 설정된 표준 조리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 변화를 예측하고, 예측된 조리 상태 변화 및 피가열체의 현재 조리 상태에 기초하여 표준 조리 상태 도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조리기기 제어 방법은 피가열체의 종류에 따라 피가열체의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피가열체의 무게, 사용자 정보, 기준물질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된 조리 방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홈 네트워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홈 네트워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홈 네트워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은 조리 진행에 따른 염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은 조리 진행에 따른 수분과 염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조리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조리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9은 오버쿠킹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언더쿠킹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조리기기(1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b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조리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2a는 접촉식 염도 센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b는 접촉식 염도 센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c는 접촉식 염도 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d는 접촉식 염도 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e는 접촉식 염도 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비접촉식 염분 센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b은 분자 진동에 따른 산란광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는 비접촉식 염도 센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는 비접촉식 염도 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는 비접촉식 염도 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d는 비접촉식 염도 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조리 상태 판단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조리 상태 판단 방법의 다른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조리 방법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9은 피가열체에 표준 조리 상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피가열체의 표준 조리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피가열체 조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2a은 표준 조리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22b은 표준 조리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다른례이다.
도 23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피가열체 조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4은 임계 염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피가열체 조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6는 추가 레시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7은 고염도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9는 피가열체의 자동 조리 방법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모듈", "유닛" 등의 용어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모듈", "유닛" 등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모듈", "유닛" 등의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홈 네트워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홈 네트워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홈 네트워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은 조리기기(10)와 홈 네트워크(30)를 통해 조리기기(10)와 연결된 외부 장치(20)를 포함한다.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를 가열하여 피가열체를 조리할 수 있다. 피가열체는 조리의 대상이 되는 음식물이 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를 가열하여 조리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가스를 연소하여 피가열체를 조리하는 가스 오븐 또는 가스레인지,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체를 조리하는 전기 오븐 또는 유도 가열기, 뜨거운 증기를 이용하여 피가열체를 조리하는 스팀조리기, 전파를 이용하여 피가열체를 조리하는 전자레인지, 피가열체를 수용하고, 외부 열원에 의하여 피가열체를 조리하는 조리 용기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조리기기(1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피가열체를 조리할 수 있는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외부 장치(20)는 조리기기(10)와 홈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되어 조리기기(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조리기기(1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20)는 휴대 단말(20a)과 가전기기(20b)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a)은, 예를 들어,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노트북, 스마트 폰 등과 같이 휴대가 용이한 정보 처리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홈 네트워크(30)를 통해 조리기기(10)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휴대 단말이 될 수 있다.
가전기기(20b)는 댁네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냉장고, TV, 로봇 청소기, 세탁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고 아니고, 홈 네트워크(30)를 통해 조리기기(10)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가전기기(20b)가 될 수 있다.
조리기기(10)와 외부 장치(20)는 홈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된다. 가전기기(20b)와 외부 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3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0)와 외부 장치(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AP)를 통해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3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0)와 외부 장치(20)는 원격지에 마련된 서버(S)를 통해, 홈 네트워크(3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원격지에 마련된 서버(S)는 홈 네트워크(30)를 구성하기 위하여, 조리기기(10), 휴대단말(20a), 가전기기(20b)의 통신 연결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3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한다(S501). 조리 상태는 피가열체의 조리 진행에 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조리의 완료 여부, 조리의 완료까지 남은 잔여 시간, 오버쿠킹(Overcooking) 여부, 언더쿠킹(Undercooking) 여부 중 하나일 수 있다.
조리 상태는 기준 물질의 농도 변화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기준 물질은 피가열체의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그 농도가 변화하는 물질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준 물질은 염분인 것으로 설명하나, 기준 물질이 염분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피가열체의 조리 진행에 따라 그 농도가 변화하는 것이라면 모두 기준 물질이 될 수 있다.
또한, 조리 상태는 복수 개의 기준 물질의 농도에 의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도 6a은 조리 진행에 따른 염도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은 조리 진행에 따른 수분과 염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면,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피가열체에 포함된 수분은 증발하나, 피가열체에 포함된 염분은 변화하지 않는다. 즉, 피가열체가 가열됨에 따라 피가열체에 포함된 수분은 증발하나 피가열체에 포함된 염분은 거의 증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염분의 비율이 점차 높아져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피가열체의 염도는 점차 높아진다.
조리기기(10)는 이와 같은 염도 변화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조리 상태 판단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조리기기(10)는 외부 장치(20)와 홈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된다(502). 홈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장치(20)는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외부 장치(20)의 종류에 따라 홈 네트워크(30) 연결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가 WI-FI 통신만 가능한 경우, WI-FI 통신 방법을 통해 홈 네트워크(30)가 연결되고, 외부 장치(20)가 유선 통신만 가능한 경우 유선 통신 방법을 통해 홈 네트워크(30)가 연결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외부 장치(20)로 전송한다(503). 이때,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는 문자 메시지, 음성 메시지, 또는 시각적인 정보로 변형되어 전송될 수 있다.
외부 장치(20)는 조리기기(10)에서 전송된 조리 상태를 표시하고(504),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505). 조리 상태는 외부 장치(20)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리 상태는 조리의 완료 여부, 조리 완료까지 남은 잔여 시간, 오버쿠킹 여부, 언더쿠킹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조리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고, 도 8은 조리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고, 도 9은 오버쿠킹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고, 도 10은 언더쿠킹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는 도 7과 같은 화면을 표시하여 조리의 완료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은 화면을 표시하여 조리의 진행과 관련된 정보, 구체적으로는 조리 완료까지 남은 잔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쿠킹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오버쿠킹 상태는 피가열체의 조리가 완료되었지만, 조리기기(10)가 계속하여 조리를 수행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외부 장치(20)는 사용자에게 피가열체의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조리의 종료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제1 아이콘(21), 사용자로부터 조리 진행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제2 아이콘(22)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아이콘(21)을 선택하면, 외부 장치(20)는 조리 종료 명령을 조리기기로 전송한다.
또한, 외부 장치(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쿠킹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언더쿠킹 상태는 피가열체의 조리가 더 필요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외부 장치(20)는 추가적인 조리가 필요함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20)는 추가 조리 시간의 설정을 위한 제3 아이콘(23)과 조리 시작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제4 아이콘(24)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아이콘(23)을 좌우로 조절하여 추가 조리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제4 아이콘(24)을 선택하여 추가 조리 시간에 따른 조리 시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외부 장치(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조리기기(10)로 전송하고(506), 조리기기(10)는 수신한 제어 명령에 따라 조리를 수행한다(507). 예를 들어, 조리기기(10)는 제어 명령에 따라 조리를 종료하거나, 추가적으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에 포함된 조리기기(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조리기기(1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에 포함된 조리기기(1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3)를 포함한다. 본체(13)는 전방이 개구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체 전방의 개구는 도어(13a)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본체(13) 내부에는 조리실(14)이 마련된다. 조리실(14)은 피가열체를 수용되어, 피가열체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조리기기(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저장부(120), 통신부(130), 온도 센서(140), 농도 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거나, 가전기기(20b)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조리기기(10)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조리 방법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로부터 조리 시간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조리 완료 시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111)와 조리기기(10)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1)는 푸시 버튼(push button), 또는 멤브레인 버튼(membrane button)등과 같은 버튼 입력 수단,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터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11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 패널 등과 같은 표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120)는 조리기기(20)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20)는 저리기기(20)의 구동에 필요한 운영체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조리기기(20)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부(120)는 장치와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20)는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30)는 외부 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홈 네트워크(30)를 통해 외부 장치(20)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20)로 조리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외부 장치(20)와 통신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131), 유선 통신 모듈(132), 무선 통신 모듈(1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32)은 예를 들어,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express, USB(Universe Serial Bus), UTP(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등을 통해 외부 장치(20)와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31)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또는 근접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법을 통해 외부 장치(20)와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무선 통신 모듈(133)은 예를 들어, GSM/3GPP 계열의 통신 방식(GSM, HSDPA, LTE 어드밴스드), 3GPP2 계열의 통신 방식(CDMA 등) 또는 와이맥스 등의 무선 통신 방법을 통해 외부 장치(20)와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온도 센서(140)는 온도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피가열체, 또는 피가열체가 수용된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를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133)는 피가열체의 조리가 수행되는 조리실(14)에 마련되어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접촉식 염분 센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 및 는 비접촉식 염분 센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은 분자 진동에 따른 산란광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농도 센서(150)는 피가열체의 포함된 기준 물질의 농도를 검출한다. 농도 센서(150)는 피가열체의 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염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염도 센서는 피가열체의 포함된 염분의 비율을 검출한다. 이하, 염도 센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도 12a는 접촉식 염도 센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b는 접촉식 염도 센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c는 접촉식 염도 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d는 접촉식 염도 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e는 접촉식 염도 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접촉식 염도 센서(150a)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열체의 접촉하여 피가열체의 염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접촉식 염도 센서(150a)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열체와 접촉하는 복수 개의 전극(151), 복수 개의 전극(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류 센서(152)를 포함할 수 있다.
피가열체에 의하여 복수 개의 전극(15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복수 개의 전극(151)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피가열체에 전류가 흐른다. 피가열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염분의 농도에 비례한다.
구체적으로, 피가열체의 염도가 증가하면 전류 센서(152)에서 검출되는 전류의 크기가 커지고, 피가열체의 염도가 감소하면 전류 센서(152)에서 검출되는 전류의 크기가 작아진다.
그러므로, 전류 센서(152)는 피가열체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피가열체의 염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피가열체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따라 피가열체의 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극(151)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열체가 거치되는 거치부(13)에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어, 거치부(13)에 거치되는 피가열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전극(151)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평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151a)은 피가열체가 거치되는 거치부(13)에 마련되고, 제2 전극(151b)은 연결부재(14)와 연결된 회동부(15)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14)의 일단은 거치부(15)와 흰지 결합하고, 다른 일단은 회동부(15)에 결합된다.
제1 전극(151a)은 거치부(13)에 거치된 피가열체의 하부에 접촉되고, 제2 전극(151b)는 회동부(15)와 함께 피가열체 방향으로 이동되어 피가열체의 상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극(151a)과 제2 전극(151b)이 모두 피가열체 접촉되면 피가열체에 의하여 제1 전극(151a)과 제2 전극(151b)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접촉식 염eh 센서(150a)는 도 12d 및 도 12e와 같이 피가열체 내부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전극은 접촉식 염도 센서(150a)의 전단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3a는 비접촉식 염도 센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b은 분자 진동에 따른 산란광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는 비접촉식 염도 센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b는 비접촉식 염도 센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c는 비접촉식 염도 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비접촉식 염도 센서(150b)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열체와 접촉하지 아니하고 피가열체의 염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 염분 센서는 피가열체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153), 피가열체에서 반사되는 산란광을 검출하는 검출기(154)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기(152)는 산란광을 검출하여 피가열체의 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하고 있는 분자에 단색광이 조사되면, 분자의 진동에 의하여 조사된 단색광 중 일부가 산란된다. 염도가 높아질수록 염분 분자의 상대적인 수가 증가하고, 염분의 상대적인 수가 증가할수록 염분 분자간 거리가 가까워져 더 많은 산란광이 생성된다.
즉, 염도가 높아질수록 염분 분자의 진동에 의한 산란광이 많아지는 바, 검출기(154)는 염분 분자의 의한 산란을 이용하여 염도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153)은 단색광을 피가열체로 조사한다. 이때, 단색광은 일정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적외선일 수 있다.
검출기(154)는 피가열체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의 스펙트럼을 분석한다. 이와 같은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산란광이 검출될 수 있다. 그리고, 검출기(152)는 산란광의 양을 이용하여 피가열체의 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검출기(154)는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수광된 광의 파장을 분석하고, 광원(153)에서 조사된 단색광과 그 파장이 다른 산란광의 양을 산출하고, 산란광의 양에 따라 피가열체의 염도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비접촉식 염도 센서(150b)를 이용하면 피가열체와 직접적인 접촉 없이 피가열체의 염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인 조리가 가능하다. 또한, 비접촉식으로 염도가 측정되므로, 염도 측정으로 인한 피가열체의 외형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비접촉식 염도 센서(150b)는 조리실(14)의 상측에 마련되어, 도 14a와 같이 거치부(13)에 피가열체가 직접 거치되어 조리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 14b와 같이 피가열체가 별도의 조리 용기에 수용되어 조리되는 경우에도 피가열체의 염도를 출정할 수 있다.
즉, 비접촉식 염도 센서(150b)는 조리실(14)의 상측에 마련되어 조리 용기에 수용되어 조리되는 국물 요리의 염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비접촉식 염도 센서(150b)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14)의 천장에 마련되어, 피가열체를 향해 단색광을 조사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산란광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4a에는 광원(153)과 검출기(154)가 인접하여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광원(153)과 검출기(154)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53)과 검출기(154)는 서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광원(153)과 검출기(154)은 조리실(14) 측벽 상단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비접촉식 염도 센서(150b)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검출기(154)를 포함할 수 있다. 피가열체의 표면 상태에 따라 검출기(154)에 입사되는 반사광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피가열체의 표면 상태에 따라 검출기(154)에 입사되는 반사광의 양이 달라지면, 검출되는 산란광의 양 역시 달라지므로 염도 측정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접촉식 염도 센서(150b)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복수 개의 검출기(154)를 이용하여 산란광을 측정하여 염도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접촉식 염도 센서(150b)는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광원(1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광원(153)을 이용하여 단색광을 조사하므로 피가열체에 고르게 단색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광원(153)은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을 조사할 수도 있다.
아울러, 비접촉식 염도 센서(150b)는 복수 개의 광원(153)과 복수 개의 검출기(154)를 포함하여, 염도 측정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조리기기(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b에는 제어부(160)와 저장부(120)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어부(160)와 저장부(120)는 단일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피가열체가 조리되도록 가열원(11)과 스팀 생성부(12)을 제어하거나,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외부 장치(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명령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또는 외부 장치(20)를 통해 입력된 것일 수 있다.
가열원(11)은 피가열체가 조리되도록 피가열체에 열을 제공하는 것으로, 조리기기(10)에 따라 가열원(11)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가열원(11)은 조리기기(10)의 외부에 마련된 것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원(11)은 조리실(14)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원(11)의 종류는 조리기기(1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가 전기를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는 전기 오븐 또는 유도 가열기인 경우, 가열원(11)은 전기 코일이 되고, 조리기기(10)가 오븐이면 경우, 가열원(11)은 가스를 연소하여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버너일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0)가 전자레인지인 경우 가열원(11)은 마이크로 발생기일 수 있다.
스팀 생성부(12)은 피가열체에 수분을 제공하는 것으로, 뜨거운 증기를 발생시키고 피가열체에 뜨거운 증기를 제공할 수 있으나, 수분 제공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60)는 농도 센서(150)에서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물질의 농도는 피가열체의 조리의 진행에 따라 달라지는 바, 제어부(160)는 농도 센서(150)에 의하여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에 따라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조리 상태 판단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기준 물질의 농도가 기준 농도가 되면, 조리 완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농도는 피가열체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준 농도는 조리의 시작 시에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조리가 시작될 때 검출된 농도에 기초하여 기준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가 시작될 때 검출된 기준 물질의 초기 농도가 높을수록 기준 농도를 높게 설정하고, 기준 물질의 초기 농도가 낮을수록 지준 농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조리 시작 시에 검출된 초기 농도에 비례하여 기준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기준 물질의 현재 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농도의 차를 이용하여 조리 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분의 증발에 따라 기준 물질의 농도가 변화하므로, 제어부(160)는 수분의 증발을 속도를 고려하여 기준 물질이 기준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산출하여 조리 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기준 물질의 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조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기준 물질의 농도 변화가 임계치 이하가 되면 조리 완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기준 물질의 농도 변화에 따라 농도 변화 그래프를 생성하고, 농도 변화 그래프에서 변곡점이 발생하면 조리 완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기준 물질의 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조리 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피가열체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농도 센서(150)에서 검출된 농도 값을 보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가열체가 조리됨에 따라 피가열체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와 같은 피가열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농도 센서(150)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60)는 피가열체의 온도에 기초하여 농도 센서(150)에서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피가열체의 온도 상승에 의하여 피가열체의 전기 전도도가 증가하면, 피가열체에 흐르는 전류의 양도 증가하므로, 실제 염도 보다 더 높은 염도인 것으로 측정될 수 있다.
반대로,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피가열체의 전기 전도도가 감소하면, 피가열체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감소하므로, 실제 염도 보다 더 낮은 염도인 것으로 측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160)는 피가열체의 온도 변화로 인한 전기 전도도 변화로 인한 전류의 변화를 산출하고, 농도 센서(150)에서 검출된 농도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전류 변화에 대응되는 농도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피가열체의 온도가 상승하면 분자 진동량이 변화하고, 분자 진동량의 변화로 인하여 염도의 변화가 없더라도 산란광의 양로 변화한다.
제어부(160)는 피가열체의 온도 상승에 따른 분자 진동량 변화로 인한 산란광의 변화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농도 센서(150)에서 검출된 농도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산량광의 변화에 대응되는 농도를 보상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온도 및 농도 변화를 이용한 조리 상태 판단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조리 상태 판단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기준 물질의 농도 및 온도를 검출한다(601). 조리기는 농도 검출과 온도 검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나, 농도 검출과 온도 검출이 교차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농도 검출과 온도 검출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리 진행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기준 물질의 농도 변화를 보상한다(602).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순차적으로 검출된 온도 값에 기초하여 온도 변화 산출하고, 순차적으로 검출되는 농도 값에 기초하여 농도 변화를 산출한다. 제어부(160)는 산출된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농도 보상값을 산출하고, 농도 보상값을 농도 변화에 적용하여 온도 변화로 인한 오차를 보상한다.
조리기기(10)는 보상된 농도 변화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한다(603).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조리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거나, 조리 완료까지 남은 남은 시간을 예상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농도 센서(150)에서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에 따라 언더쿠깅 여부, 또는 오버쿠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언터쿠킹과 오버쿠킹의 판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은 조리 상태 판단 방법의 다른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조리의 시작을 판단한다(701).
조리가 시작되면(701), 조리기기(10)는 오버쿠킹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702). 오버쿠킹 상태는 피가열체가 조리가 완료되었지만, 조리기기(10)가 계속하여 조리가 수행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조리기기(10)는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오버쿠킹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는 염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 증가하거나, 염도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조리가 완료된 오버쿠킹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임계치와 임계범위는 피가열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오버쿠킹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702의 예), 조리기기(10)는 오버쿠킹 상태를 외부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703). 조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조리가 계속하여 진행되면 피가열체가 과도하게 조리될 수 있는 바, 조리기기(10)는 오버쿠깅 상태를 외부 장치(2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오버쿠킹 상태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오버쿠킹 상태를 전송 받은 외부 장치(20)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버쿠킹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외부 장치(20)를 이용하여 즉시 조리를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오버쿠킹 발생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오버쿠킹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702의 아니오), 조리기기(10)는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704). 설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것일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선택한 조리 코스에 따라 조리기기(10)에서 자동으로 선택된 것일 수도 있다.
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704의 아니오), 조리기기(10)는 계속하여 피가열체를 조리하고, 다시 오버쿠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02).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704의 예), 조리기기(10)는 언더쿠킹 상태인지 판단한다(705). 언더쿠킹은 피가열체의 조리가 더 필요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조리기기(10)는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언더쿠킹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는 염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이거나, 염도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 범위 이내인 경우, 추가적인 조리가 필요한 언더쿠킹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언더쿠킹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705의 아니오), 조리기기(10)는 언더쿠킹 상태를 외부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언터쿠킹 상태에서 조리가 종료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 결과를 얻을 수 없는 바, 조리기기(10)는 언더쿠깅 상태를 외부 장치(2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언더쿠킹 상태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언더쿠킹 상태를 전송 받은 외부 장치(2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언더쿠킹 상태 임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외부 장치(20)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조리가 수행되도록 조리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조리기기(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언더쿠킹 발생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피가열체의 조리 방법의 설정에 이용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건강 정보, 또는 사용자의 염도 선호 정보 등과 같이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입력되거나, 외부 장치(20)를 통해 입력될 있으며,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기기(1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피가열체의 조리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조리 방법에 따라 피가열체의 조리 시간, 피가열체에 제공할 열의 세기, 조리 완료 시의 기준 물질의 농도, 피가열체에 제공할 스팀의 양에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지혈증 또는 고혈압이 있는 경우 저염분의 음식물 섭취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조리기기(10)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저염분의 음식물 섭취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단하고, 사용자가 저염분의 음식물 섭취가 필요한 상태이면 피가열체가 낮은 염도를 가지도록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요리를 섭취한 사용자의 나이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령에 따라 섭취가 권장되는 염분의 양이 상이한 바, 조리기기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아인 경우 낮은 염도로 요리되도록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낮은 염도를 선호하는 경우 피가열체가 낮은 염도를 가지도록 조리 방법을 결정하고, 사용자가 높은 염도를 선호하는 경우 피가열체가 높은 염도를 가지도록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7을 참조하여, 조리기기(10)의 조리 방법 선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은 조리 방법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의 기준 물질 농도를 검출한다(801). 조리기기(10)는 조리를 시작하기 앞서, 피가열체의 기준 물질의 농도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피가열체의 염도를 검출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사용자 정보 및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한다(802).
구체적으로, 조리기기(1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완료 시의 목표 염도를 설정한다. 그리고, 조리기기(10)는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조리 완료시 피가열체의 염도를 예측한다.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의 예측된 염도가 목표 염도에 수렴하도록 조리 방법을 설정한다.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조리 방법 설정에 대해서는 도 18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조리기기(10)는 예측된 염도가 목표 염도에 수렴하기 위해 추가적인 준비가 필요한 경우, 추가 레시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0)는 목표 염도가 되도록 추가하여야 할 물의 양, 또는 염분의 양을 산출하여 추가 레시피를 생성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결정된 조리 방법을 표시한다(803). 조리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또는 외부 장치(20)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조리 방법과 결정된 조리 방법이 상이한 경우, 사용자가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수동으로 설정한 조리 방법과 결정된 조리 방법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추가 레시피가 생성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또는 외부 장치(20)를 이용하여 추가 레시피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추가가 필요한 물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결정된 조리 방법에 따라 조리를 시작한다(804). 구체적으로, 조리기기(10)는 가열원(11)을 제어하여 설정된 조리 시간 동안 설정된 열을 피가열체의 제공하여 피가열체를 조리할 수 있다.
또한, 피가열체가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양의 수분이 피가열체에 제공되도록, 스팀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조리 방법을 결정한다(810). 조리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조리기기(10)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조리 방법을 입력하거나, 조리기기(10)와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외부 장치(20)를 이용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 방법을 보정한다(811). 사용자 정보는 조리기기(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입력된 것이나, 외부 장치(20)를 통해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에 건강 상태에 따라 권장되는 요리 방법이 상이하므로, 조리기기(1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조리 방법을 보정하여, 최적 상태로 피가열체를 조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염분의 음식 섭취가 권장되는 고지혈증 또는 고혈압 환자이거나, 피가열체가 저염도로 요리되도록 조리 방법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성인에 비하여 저염분의 음식 섭취가 권장되는 어린이인 경우, 성인의 권장 염도보다 더 낮은 염도로 요리되도록 조리 방벙버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선호하는 요리 방법이 상이하므로, 조리기기(10)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조리 방법을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리기기(10)는 실질적으로 조리 수행이 완료된 때의 피가열체 염도를 저장하고, 저장된 염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염도 정도를 획득하고, 획득된 염도 정보에 따라 조리 방법을 보정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보정된 조리 방법으로 조리를 수행할지 확인한다(812). 조리기기(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보정된 조리 방법을 표시하여 보정된 조리 방법에 따라 조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통신부(130)를 통해 보정된 조리 방법을 외부 장치(20)로 전송하여 보정된 조리 방법에 따라 조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정된 조리 방법으로 조리를 수행하는 경우, 조리기기(10)는 보정된 조리 방법에 기초하여 조리를 수행하고(813), 입력된 조리 방법으로 조리를 수행하는 경우, 조리기기(10)는 입력된 조리 방법에 기초하여 조리를 수행한다(814).
한편, 제어부(190)는 피가열체가 표준 조리 상태가 되면, 표준 조리 상태 도달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외부 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
표준 조리 상태는 기준 물질의 농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표준 조리 상태는 조리 완료 시의 피가열체의 맛의 변화를 기준으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이하, 표준 조리 상태의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9은 피가열체에 표준 조리 상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피가열체의 표준 조리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표준 조리 상태는 염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염도가 점차 높아진다. 즉, 피가열체는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짜진다. 표준 조리 상태는 피가열체의 짠맛의 변화, 즉, 피가열체의 짠 정도를 기준으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준 조리 상태는, 평균적인 표준 염도 1.0%에 대응되는 제2 표준 상태, 낮은 염도 0.9에 대응되는 제1 표준 상태, 높은 염도 1.1%에 대응되는 제3 표준 상태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표준 상태는 피가열체가 싱겁게 조리 완료된 상태를 의미하고, 제2 표준 상태는 기준 염도로 조리 완료된 상태를 의미하고, 제3 표시 상태는 짜게 조리 완료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염도 별로 표준 조리 상태를 분류하고, 표준 조리 상태 도달 여부를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선호하는 염도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표준 조리 상태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의 정도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다. 도 20은 스테이크의 표준 조리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스테이크의 조리 상태는 조리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즉, 조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스테이크의 표준 상태는 레어, 미디엄, 웰던 순서로 변화한다. 그러므로, 스테이크의 표준 조리 상태는 스테이크의 조리 정도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크의 표준 조리 상태는, 염도 0.7%에 대응되는 레어 상태, 염도 0.8%에 대응되는 미디엄 상태, 염도 0.7%에 대응되는 웰던 상태로 분류될 수 있다.
이하, 표준 조리 상태를 이용한 조리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피가열체 조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2은 표준 조리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들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를 가열한다(911). 구체적으로, 조기기기는 가열원(11)을 이용하여 조리실(14)을 내부에 마련된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의 염도를 측정한다(913). 피가열체의 염도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이루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조리기기(10)는 측정된 염도에 기초하여 표준 조리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914). 조리기기(10)는 측정된 염도와 미리 설정된 표준 조리 상태의 염도를 비교하여 표준 조리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조리 상태가 표준 조리 상태에 도달하면(914의 예), 조리기기(10)는 표준 상태 도달 정보를 전송한다(915). 표준 상태 도달 정보는 현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 정보, 및 추가 조리시 예측되는 조리 상태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기기(10)는 현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하고, 현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에 조리가 계속되는 경우의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 변화를 예측하여 표준 상태 도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도 19의 제1 표준 상태에 도달한 경우, 조리기기(10)는 현재 피가열체가 싱겁게 조리가 완료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피가열체가 계속적으로 조리될 경우 표준 맛으로 조리됨을 예측하여 표준 상태 도달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기기(10)에 의하여 생성된 표준 상태 도달 정보는 외부 장치(20)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외부 장치(20)를 이용하여 조리기기(10)의 조리 중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피가열체의 조리가 계속되어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도 19의 제2 표준 상태에 도달한 경우, 조리기기(10)는 현재 피가열체가 표준 맛으로 조리 완료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피가열체가 추가적으로 조리될 경우 피가열체가 짠맛으로 조리될 수 있음을 예측하여 표준 상태 도달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표준 상태 도달 정보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장치(20)로 전송된다.
표준 상태 도달 정보를 전송 받은 외부 장치(20)는 도 2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현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 및 추가 조리시 예측되는 조리 상태 변화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휴대 단말(20a)에 표시된 제1 아이콘(201)을 선택하여 조리를 중지하거나, 제2 아이콘(202)을 선택하여 계속하여 조리를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리 기기는 스테이크의 측정 염도가 0.7%에 도달하면, 스테이크가 레어 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스테이크의 조리 상태는 레어 상태이고, 추가적으로 조리하는 경우 미디엄 또는 웰던으로 조리됨을 예측하여 표준 상태 도달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장치(20)로 표준 상태 도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표준 상태 도달 정보를 전송 받은 외부 장치(20)는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레어 상태임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휴대 단말(20a)에 표시된 조리 완료 아이콘(203)을 선택하여 스테이크의 조리를 종료하거나, 미디엄 아이콘(204)을 선택하여 스테이크를 미디어 상태까지 조리할 것을 입력하거나, 웰던 아이콘(205)을 선택하여 스테이크를 미디어 상태까지 조리할 것을 입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20a)을 통해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휴대 단말(20a)은 입력된 제어 명령을 조리기기(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표준 조리 상태에 도달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표준 상태 도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피가열체의 조리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조리기기의 조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피가열체 조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4은 임계 염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가열원을 제어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하고(921). 피가열체의 염도를 검출할 수 있다(922).
조리기기(10)는 검출된 염도와 임계 염도를 비교한다(923). 이때, 임계 염도는 적절한 짠맛으로 피가열체가 조리되기 위한 염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임계 염도 값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조리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 권장 섭취 염도가 상이한 바, 임계 염도는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피가열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검출된 염도가 임계 염도보다 크면(923의 예), 조리기기(10)는 스팀 생성기(12)를 제어하여 스팀을 생성한다(924). 예를 들어, 임계 염도 b보다 실제 염도가 높아지면, 조리기기(10)는 스팀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염도는 수분의 증발에 의하여 증가하는 바, 조리기기(10)는 조리실(14)에 스팀을 제공하여 피가열체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여 피가열체가 지나치게 고염도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피가열체 조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6는 추가 레시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고, 도 27은 고염도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의 조리 염도를 검출하고(931), 검출된 초기 염도와 임계 염도를 비교한다(932).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임계 염도가 변화하는 바, 조리기기(10)는 초기 임계 염도 a와 검출된 추기 염도를 비교할 수 있다.
초기 염도가 임계 염도 a보다 크면(923의 아니오), 조리기기(10)는 외부 장치(20)로 추가 레시피를 전송한다(933).
피가열체의 초기 염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피가열체는 고염도로 조리되므로,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의 초기 염도가 a가 되기 위해 추가하여야 할 물의 양을 산출하여 추가 레시피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추가 레시피를 전송 받은 외부 장치(20)는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추가 레시피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 레시피를 제공함으로써, 피가열체가 지나치게 고염도로 조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피가열체의 초기 염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 염분 추가를 요청하는 추가 레시피가 생성될 수도 있다.
한편, 임계 염도가 초기 염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를 가열한다(934).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의 염도를 검출하고(935), 검출된 염도와 임계 염도를 비교한다(936).
검출된 염도가 임계 염도 b보다 크면, 조리기기(10)는 고염도 알림 메시지를 외부 장치(20)로 전송한다(937).
고염도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외부 장치(20)는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신한 고염도 알림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염도 알림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피가열체가 지나치게 고염도로 조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0)는 고염도 알림 메시지와 함께 피가열체의 스팀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검출된 염도가 임계 염도보다 작거나 같으면,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를 계속하여 가열한다(934).
도 2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저장부(120), 통신부(130), 온도 센서(140), 농도 센서(150), 중량 센서(170), 카메라(18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1의 조리기기(10)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는 중량 센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량 센서(170)는 피가열체의 무게를 검출한다. 중량 센서(170)는 조리실(14)의 하부, 예를 들어, 거치부(13)의 하단에 마련되어 거치부(13)에 거치되는 피가열체의 무게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 센서(170)는 기계적인 변화에 전기적 저항값이 변화하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포함하고, 전기적 저항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무게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0)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조리실(14)의 상부에 마련되어, 조리실 내부의 피가열체의 영상을 획득한다. 카메라는 피가열체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피가열체의 조리 방법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9를 참조하여 피가열체의 자동 조리 방법 결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9는 피가열체의 자동 조리 방법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 영상을 획득한다(1011). 구체적으로, 조리기기(10)는 카메라를 제어하여 조리실(14) 내부를 촬영하여 조리실(14) 내부에 수용된 피가열체의 영상을 획득한다.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 영상에 기초하여 피가열체의 종류를 판단한다(1012).
구체적으로, 조리기기(1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피가열체의 영상과 피가열체의 종류 별로 마련된 복수 개의 기준 영상을 비교하여, 피가열체 영상과 유사도가 가장 높은 기준 영상에 대응되는 것으로 피가열체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피가열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한다(1013). 피가열체의 종류에 따라 그 조리 시간, 가열 온도, 조리 완료 시의 기준 물질의 농도, 및 표준 물질의 농도가 상이하므로,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조리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의 중량을 측정하고(1014), 피가열체의 중량에 기초하여 결정된 조리 방법을 보정한다(1015). 예를 들어, 조리기기(10)는 피가열체의 양이 많으면 조리 시간을 길게 설정하여야 하고, 피가열체의 양이 많으면 조리 시간을 짧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조리기기(10)는 1015 단계에서 상술한 사용자 정보 및 기준 물질의 초기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이용하여 피가열체의 조리 방법을 보정할 수 있다.
조리기기(10)는 보정된 조리 방법에 따라 조리를 수행한다(1016).
본원 발명의 실시예 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홈 네트워크 시스템
10: 조리기기
20: 외부 장치
30: 홈 네트워크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120: 저장부
130: 통신부
140: 온도 센서
150: 농도 센서
160: 제어부

Claims (22)

  1. 가열원;
    피가열체의 조리 진행에 따라 성분비율이 변화하는 기준 물질의 농도를 검출하는 농도 센서;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원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농도 센서는 상기 피가열체의 염도를 검출하는 염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염도 센서는 서로 이격되어 피가열체와 접촉하는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피가열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피가열체에 흐르는 전류 변화를 계산하고, 상기 전류 변화에 대응되는 농도 값으로 기준 물질의 농도 변화를 보상하고, 보상된 기준 물질의 농도 값을 기초로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 센서는 상기 피가열체에 광을 조사하고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기준 물질에 의하여 발생하는 산란광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열체가 조리되는 조리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기는, 상기 조리실 상부에 마련되는 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완료 상태인지 판단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물질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조리 완료 농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기준 물질의 농도 변화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가 되면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완료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조리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가 미리 등록된 표준 조리 상태에 대응되면, 상기 표준 조리 상태의 도달 정보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 변화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조리 상태 변화 및 상기 피가열체의 현재 조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 조리 상태 도달 정보를 생성하는 조리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물질의 초기 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조리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가열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열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가열체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피가열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조리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농도 센서에서 검출된 초기 기준 물질의 농도 및 상기 피가열체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방법을 보정하는 조리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 방법을 보정하는 조리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오버쿠킹(Overcooking) 상태, 및 언더쿠킹(Undercooking)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조리기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열체에 수분을 제공하는 스팀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염도 센서에서 검출된 피가열체의 염도가 임계 염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스팀 생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피가열체에 수분을 제공하는 조리기기.
  17. 피가열체의 조리 진행에 따라 성분비율이 변화하는 기준 물질의 농도를 검출하고, 상기 피가열체의 염도를 검출하는 염도 센서를 포함하는 농도 센서와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 상태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피가열체에 흐르는 전류 변화를 계산하고, 상기 전류 변화에 대응되는 농도 값으로 기준 물질의 농도 변화를 보상하고, 보상된 기준 물질의 농도 값을 기초로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물질의 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완료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조리 상태가 완료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물질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조리 완료 농도에 도달하거나, 상기 기준 물질의 농도 변화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가 되면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가 완료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기준 물질의 농도가 미리 등록된 표준 조리 상태에 대응되면, 상기 피가열체가 미리 설정된 표준 조리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상태 변화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조리 상태 변화 및 상기 피가열체의 현재 조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표준 조리 상태의 도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열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피가열체의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가열체의 무게, 사용자 정보, 상기 기준 물질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조리 방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150028347A 2015-01-28 2015-02-27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2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72,528 US11064570B2 (en) 2015-01-28 2015-12-17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6743666.6A EP3230655B1 (en) 2015-01-28 2016-01-26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6/000816 WO2016122188A1 (en) 2015-01-28 2016-01-26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680007669.0A CN107205583B (zh) 2015-01-28 2016-01-26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893 2015-01-28
KR20150013893 2015-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888A KR20160092888A (ko) 2016-08-05
KR102324199B1 true KR102324199B1 (ko) 2021-11-11

Family

ID=5671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347A KR102324199B1 (ko) 2015-01-28 2015-02-27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230655B1 (ko)
KR (1) KR102324199B1 (ko)
CN (1) CN1072055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4369B (zh) * 2017-11-09 2020-06-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磁炉的视觉检锅方法、装置及电磁炉
WO2019100048A1 (en) * 2017-11-20 2019-05-23 National Presto Industries, Inc. Heater control for countertop appliance
EP3537119B1 (de) * 2018-03-06 2022-09-2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ystem mit einem speisenzubereitungsgerät und einem spektrometer
EP3575787A1 (en) * 2018-05-28 2019-12-04 Koninklijke Philips N.V. A cooking system, including a particle detecting apparatus, and a cooking method
CN110972346B (zh) * 2018-09-30 2021-06-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9480603A (zh) * 2018-10-16 2019-03-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器具的控制方法及烹饪器具
KR101981330B1 (ko) * 2018-11-12 2019-05-22 주식회사 히트인덕션 자동 요리 기능을 수행하는 인덕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31357B1 (ko) * 2018-12-18 2020-07-07 (주)신화셀렉스 레시피에 따라 작동 범위가 제어되는 인덕션
CN109464027B (zh) * 2018-12-27 2021-12-03 苏红宇 一种自动炒菜机炒菜方法及自动炒菜机
CN111381503A (zh) * 2018-12-28 2020-07-07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烹饪方法及烹饪器具
KR102149501B1 (ko) * 2019-01-08 2020-08-28 나예준 조리 대상물의 이미지, 중량 및 식별코드를 이용한 자동 조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722543B (zh) * 2019-03-20 2022-09-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烘焙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2341238B1 (ko) * 2020-08-21 2021-12-20 주식회사 비욘드허니컴 사람간 협업을 위한 자동화 조리기기 시스템
CN112314865A (zh) * 2020-11-10 2021-02-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食物的预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12617613B (zh) * 2020-11-12 2021-09-24 纯米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米饭烹饪效果检测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102434856B1 (ko) * 2021-03-02 2022-08-22 주식회사 비욘드허니컴 식재료 분석장치
CN113273901A (zh) * 2021-05-10 2021-08-20 深圳市鬲蒸文化发展有限公司 烹饪进度监测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243767B (zh) * 2021-06-30 2023-02-1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及其烹饪方法和控制装置、可读存储介质
KR102635014B1 (ko) * 2021-11-22 2024-02-08 주식회사 비욘드허니컴 사람간 협업을 위한 자동화 조리기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0966A (ja) * 2008-03-21 2009-10-08 Panasonic Corp 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7824A (ja) * 1997-12-25 1999-07-13 Victor Co Of Japan Ltd 調理支援システム
JP2000155096A (ja) * 1998-07-09 2000-06-06 Omron Corp 水分検出装置
ITVA20010005U1 (it) * 2001-03-09 2002-09-09 Whirlpool Co Dispositivo di controllo automatico di un processo di cottura e/o riscaldamento di vivande
CN2551992Y (zh) * 2002-06-14 2003-05-21 清华大学 一种盐水浓度测量装置
JP4458248B2 (ja) * 2004-06-01 2010-04-28 オムロン株式会社 塩分濃度の測定方法、塩分濃度測定装置およびその装置が搭載された車両
ITPN20050080A1 (it) * 2005-11-04 2007-05-05 Electrolux Professional Spa Pentola cuoci-pasta e dispositivo per misurare la salatura dell'acqua
CN100541175C (zh) * 2007-07-06 2009-09-16 华南师范大学 准分布式光纤浓度传感器
SE1200431A1 (sv) * 2012-07-09 2012-10-22 Electrolux Ab Anordning för köket
CN102788768A (zh) * 2012-07-10 2012-11-21 东北大学 一种基于新型反射式光纤环镜的液体折射率测量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0966A (ja) * 2008-03-21 2009-10-08 Panasonic Corp 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0655A4 (en) 2018-01-24
KR20160092888A (ko) 2016-08-05
CN107205583B (zh) 2021-05-25
CN107205583A (zh) 2017-09-26
EP3230655B1 (en) 2021-06-02
EP3230655A1 (en)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199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1064570B2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828658B2 (en) In-oven camera and computer vision systems and methods
AU2017220002B2 (en) Wirelessly controlled cooking system
CN108474562B (zh) 烤箱内相机
KR20190000908U (ko) 주방 기구들의 유도성 가열 및 무선 급전을 갖는 요리 시스템
US20170238749A1 (en) User interface for a cooking system
US10555379B2 (en) Hanger-type cook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N113170545A (zh) 烤箱内摄像头以及计算机视觉系统和方法
KR20180083167A (ko) 조리 기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KR20100010248A (ko) 조리기기 및 온도 제어 방법
CN115136735A (zh) 烹饪装置、控制烹饪装置的方法以及烹饪系统
US11324083B1 (en) Apparatus for intelligent and selective heating using sensor array
US11659634B2 (en) Sous vide feature in a microwave oven
US20190327796A1 (en) Oven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oven appliance for customized cooking outcome
KR20110096201A (ko)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 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234931A (zh) 微波加热装置及微波加热方法
KR102418391B1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138478A (ko) 조리 기기, 조리 기기의 제어 방법 및 조리 시스템
KR20160070454A (ko) 조리용 온도계
JP6292475B2 (ja) 高周波加熱装置
US20230276983A1 (en) Method of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utomatic cooking and cooking appliance therefor
WO2020011136A1 (zh) 基于对电磁脉冲的响应确定灶具器具上的炊具位置
US11234299B2 (en) System for warming up and/or cooking food with microwave detection
JP2016156574A (ja) 加熱調理機器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