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587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587B1
KR102322587B1 KR1020167029097A KR20167029097A KR102322587B1 KR 102322587 B1 KR102322587 B1 KR 102322587B1 KR 1020167029097 A KR1020167029097 A KR 1020167029097A KR 20167029097 A KR20167029097 A KR 20167029097A KR 102322587 B1 KR102322587 B1 KR 102322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ntilation
lamp
lens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8151A (ko
Inventor
뎁페이 데즈카
요우조 야노
고우지 후루우치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8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21S45/37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05Devices preventing the lights from becoming dirty or damaged, e.g. protection grids or cleaning by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램프(100)는 광원(10), 렌즈(20), 하우징(30) 및 통기부(4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0)은 렌즈(20)에 조합되어, 광원(10)이 배치된 램프 공간(50)을 형성하고 있다. 램프 공간(50)은, 렌즈(20)와 하우징(30)의 거리가 10mm 이하인 협착 영역(50a)을 포함한다. 통기부(40)는, 협착 영역(50a)에 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헤드 램프, 테일 램프 등의 차량용 램프는, 렌즈 및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램프 공간을 갖고 있다. 램프 공간에 LED 전구 등의 광원이 배치되어 있다. 차량용 램프에서의 하나의 문제는, 램프 공간에서 결로가 발생하여 렌즈가 흐려진다는 점이다. 결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완전히 폐쇄된 램프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렌즈 및 하우징을 구성하는 플라스틱에는 흡습성이 있기 때문에, 완전히 밀폐된 램프 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완전히 밀폐된 램프 공간을 형성하면, 그 램프 공간에 일단 침입한 습기를 외부로 릴리프시킬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램프에는, 렌즈의 흐림을 방지하기 위한 통기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통기 부재는, 빗물, 먼지 등의 이물이 램프 공간에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고, 수증기 등의 기체가 램프 공간과 외부 공간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통기 부재에는,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램프 공간의 압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7-14710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24260호 공보
최근의 차량용 램프의 구조는, 콤비네이션 램프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매우 복잡하다. 차량용 램프의 구조가 복잡해지면, 통기 부재에 의한 흐림 방지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차량용 램프의 구조가 간소하다고 해도, 통기 부재에 의한 흐림 방지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서의 렌즈의 흐림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차량용 램프의 어느 장소에서 흐림을 방지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발생된 흐림을 제거하기 어려운지를 상세하게 조사하였다. 그 결과, 렌즈와 하우징의 간극이 좁은 장소(협착 영역)의 흐림을 방지 또는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밝혀냈다.
즉, 본 개시는,
광원과,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에 조합되어, 상기 광원이 배치된 램프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 램프 공간의 통기를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램프 공간은, 상기 렌즈와 상기 하우징의 거리가 10mm 이하인 협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협착 영역에 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협착 영역에 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에 통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통기부에 의한 흐림 방지 효과가 협착 영역에 직접적으로 미친다. 따라서, 협착 영역에서 렌즈에 흐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협착 영역에서 렌즈에 발생한 흐림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결과로서, 렌즈의 흐림을 전체적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램프의 정면측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차량용 램프의 배면측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차량용 램프의 III-III선을 따른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램프의 배면측 사시도.
도 5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차량용 램프에서의 통기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램프(100)는, 복수의 광원(10), 렌즈(20) 및 하우징(30)을 구비하고 있다. 렌즈(20)는, 광원(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렌즈(10) 및 하우징(30)은, 서로 조합되어 램프 공간(50)을 형성하고 있다. 램프 공간(50)에 광원(10)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량용 램프(100)는 테일 램프이며, 상세하게는 테일 램프, 스톱 램프 및 턴 시그널 램프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램프이다.
광원(10)의 예는 LED 전구이다. 광원(10)은, 차량용 램프(100)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다. 렌즈(20)는, 가시광을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는 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로 만들어진 부재이다. 하우징(30)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아크릴-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S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카르보네이트(PC), PC/ABS 알로이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진 부재이다. 하우징(30)의 표면에는, 광을 반사시킬 목적 및 의장성을 높일 목적으로, 예를 들어 스퍼터링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렌즈(20) 및 하우징(30)은, 각각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램프 공간(50)에는, 리플렉터 등의 다른 부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0)에는, 복수의 통기부(40 및 42)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하우징(30)에는, 복수의 제1 통기부(40)와 복수의 제2 통기부(42)가 설치되어 있다. 단, 제1 통기부(40)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통기부(40)가 하나만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통기부(40)는, 예를 들어 수지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통기막이다. 수지 다공질막의 재료로서는, 불소 수지 다공체, 폴리올레핀 다공체 등을 들 수 있다. 불소 수지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단량체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1-부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를 단체로 중합 또는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통기막은, 수지 다공질막 외에, 그 수지 다공질막에 적층된 보강층을 가져도 된다. 보강층의 예는,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만들어진 부직포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통기부(40)로서의 통기막은, 하우징(30)에 형성된 통기 구멍(30h)을 막도록,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통기막은,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등의 용착 방법에 의해 하우징(30)에 용착되어 있다. 통기막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하우징(30)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하우징(30)의 이면으로부터의 제1 통기부(40)의 돌출량은 작고, 제1 통기부(40)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의 체적은 적다.
제1 통기부(40)는, 캡 시일 타입의 통기 부재(일본 특허 공개 제2001-143524호 공보 참조)여도 되고, 스냅 피트 타입의 통기 부재(일본 특허 공개 제2007-141629호 공보 참조)여도 되고, 나사 타입의 통기 부재(일본 특허 공개 제2004-47425호 공보 참조)여도 된다. 즉, 제1 통기부(40)로서 사용 가능한 통기 부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점유 공간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 공간(50)은, 렌즈(20)와 하우징(30)의 거리가 10mm 이하(0.1 내지 10mm)인 협착 영역(50a)을 포함한다. 협착 영역(50a)은, 램프 공간(50) 중,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통기부(40)는, 협착 영역(50a)에 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통기부(40)에 의한 흐림 방지 효과가 협착 영역(50a)에 직접적으로 미친다. 따라서, 협착 영역(50a)에서 렌즈(20)에 흐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협착 영역(50a)에서 렌즈(20)에 발생한 흐림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결과로서, 렌즈(20)의 흐림을 전체적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20) 및 하우징(30)은, 각각 광원(10)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는 측면부(20a 및 30a)를 갖는다. 렌즈(20)의 측면부(20a) 및 하우징(30)의 측면부(30a)는, 각각 광원(10)의 측방에 있어서, 전후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전후」는, 광원(10)에 있어서의 전방 및 후방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면부(20a 및 30a)는, 예를 들어 차량의 코너부의 형상에 차량용 램프(100)를 적합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램프 공간(50) 중, 렌즈(20)의 측면부(20a) 및 하우징(30)의 측면부(30a)에 의해 형성된 부분에 협착 영역(50a)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협착 영역(50a)에서 일단 흐림이 발생하면, 제2 통기부(42)만으로 흐림을 제거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협착 영역(50a)에 제1 통기부(40)를 설치함으로써, 제1 통기부(40)에 의한 이익을 최대한 얻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측면부(30a)는, 곡면 형상을 갖는다. 제1 통기부(40)는, 하우징(30)의 측면부(30a)에 추종하는 곡면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제1 통기부(40)의 통기면(통기에 관여하는 면)이 곡면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30)의 측면부(30a)로부터의 제1 통기부(40)의 돌출 높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물론, 하우징(30)의 측면부(30a)가 평면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되며, 이 경우에는, 제1 통기부(40)도 평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통기부(42)는, 소위 캡 시일 타입의 통기 부재이다. 캡 시일 타입의 통기 부재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4352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제1 통기부(40)와 마찬가지로, 제2 통기부(42)도 하우징(30)에 형성된 통기 구멍을 막도록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다. 단, 복수의 제2 통기부(42)는, 모두, 램프 공간(50) 중, 협착 영역(50a) 이외의 영역에 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통기부(42)로서의 통기 부재는 커버, 통 형상체 및 통기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는 저부를 갖는 통형의 부재이다. 통 형상체는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져 있다. 통기막은, 통 형상체의 한쪽 개구를 막도록 통 형상체에 설치되어 있다. 통기막이 커버에 의해 보호되도록, 통 형상체가 커버에 끼워 넣어져 있다. 커버의 내주면과 통 형상체의 외주면의 사이에 통기 경로가 형성되고, 커버의 저면과 통기막의 표면의 사이에 통기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기 부재가 하우징(30)의 노즐형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노즐형 부분은, 통기 구멍을 갖는 부분이다. 단, 제2 통기부(42)로서 사용 가능한 통기 부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통기부(42)는 필수가 아니며, 제1 통기부(40)만이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단, 제1 통기부(40) 외에, 제2 통기부(42)가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으면, 렌즈(20)의 흐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제2 통기부(42)의 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2 통기부(42)가 하나만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램프(200)는, 제1 통기부(140) 및 복수의 제2 통기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통기부(140)를 제외하고, 차량용 램프(200)의 구조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램프(100)의 구조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램프(100)와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램프(200)에서 공통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들의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즉,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은,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한, 각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되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30)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진 부재일 수 있다. 제1 통기부(140)는, 열가소성 수지의 다공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협착 영역(50a)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하우징(30)에 일체화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통기부(140)에 의해 하우징(30)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통기부(140)는, 적당한 강성을 갖는 다공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공체로서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다공체를 들 수 있다. 원하는 형상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다공체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분말의 소결체를 절삭함으로써 얻어진다. 즉,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다공체에 원하는 형상(3차원 형상)을 부여하거나, 충분한 두께를 부여하거나 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다. 따라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다공체는, 제1 통기부(140)에 적합한 재료이다. 또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어 평균 분자량 50만 이상(또는 100만 이상)의 폴리에틸렌을 의미한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평균 분자량은, 전형적으로는 200 내지 1000만의 범위에 있다.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ASTMD4020(점도법)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기부(140)는, 이하에 설명하는 펠릿화 공정, 사출 성형 공정 및 추출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다공체여도 된다. 펠릿화 공정은, 펜타에리트리톨,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온에서 액체인 다관능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200 내지 235℃에서 용융 혼합하여 압출하고, 펠릿화하는 공정이다. 사출 성형 공정은, 펠릿화 공정에서 얻어진 펠릿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법에 의해 성형품을 얻는 공정이다. 추출 공정은, 사출 성형 공정에서 얻어진 성형품을 물 또는 뜨거운 물에 침지하여 수용성 성분을 추출하는 공정이다.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다공체는, 적당한 강성을 갖고, 구조재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이 방법으로 얻어지는 다공체는,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라는 점에서, 형상의 자유도가 매우 높다.
제1 통기부(140)를 하우징(30)에 일체화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 인몰드 성형, 2색 성형 등의 성형 방법에 의해, 제1 통기부(140)로서의 다공체를 하우징(30)을 형성하는 수지에 일체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통기부(140)로서의 다공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절삭법, 사출 성형법 등의 성형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통기부(140)로서의 다공체는, 하우징(30)에 용착되어 있어도 되고,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하우징(30)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30)은, 광원(10)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는 측면부(30a)를 갖는다. 하우징(30)의 측면부(30a)는, 곡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 통기부(140)도 하우징(30)의 측면부(30a)에 추종하는 곡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30)의 측면부(30a)로부터의 제1 통기부(140)의 돌출 높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30)의 적어도 하나의 주면(표면 및/또는 이면)과 제1 통기부(140)의 적어도 하나의 주면(표면 및/또는 이면)이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통기부(140)는, 하우징(30)의 측면부(30a)와 동일한 두께를 가져도 된다.
제2 통기부(42)의 구조 및 위치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통기부(42)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5에 도시하는 위치(A)에 있어서, 하우징에 개구부(개구 면적 300㎟)를 형성하였다. 그 개구부를 막도록, 하우징에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다공체(닛토덴코사제, 썬맵(등록 상표), 두께 2.0mm)를 양면 테이프(닛토덴코사제, No.5000NS)로 고정하였다. 위치(A)의 개구부 이외의 개구부는 테이프로 막았다. 이 하우징과 렌즈를 조합하여, 실시예의 차량용 램프를 얻었다.
(비교예 1)
도 5에 도시하는 3개의 위치(B)에 있어서, 하우징에 고무 튜브(길이 30mm)를 설치하였다. 즉, 위치(B)에서의 캡 시일 타입의 통기 부재를 고무 튜브로 치환하였다. 고무 튜브의 개구 면적의 합계는 58.9㎟였다. 위치(B)의 개구부 이외의 개구부는 테이프로 막았다. 이 하우징과 렌즈를 조합하여, 비교예 1의 차량용 램프를 얻었다.
(비교예 2)
도 5에 도시하는 3개의 위치(B) 및 3개의 위치(C)에 있어서, 하우징에 고무 튜브(길이 30mm)를 설치하였다. 즉, 위치(B) 및 위치(C)에서의 캡 시일 타입의 통기 부재를 고무 튜브로 치환하였다. 고무 튜브의 개구 면적의 합계는 117.8㎟였다. 위치(B) 및 위치(C)의 개구부 이외의 개구부는 테이프로 막았다. 이 하우징과 렌즈를 조합하여, 비교예 2의 차량용 램프를 얻었다.
(비교예 3)
도 5에 도시하는 2개의 위치(D)의 각각에 있어서, 하우징에 개구부(합계의 개구 면적 300㎟)를 형성하였다. 그들 개구부를 막도록, 하우징에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다공체(닛토덴코사제, 썬맵(등록 상표), 두께 2.0mm)를 양면 테이프(닛토덴코사제, No.5000NS)에 의해 고정하였다. 위치(D)의 개구부 이외의 개구부는 테이프로 막았다. 이 하우징과 렌즈를 조합하여, 비교예 3의 차량용 램프를 얻었다.
[흐림 제거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차량용 램프의 흐림 제거 시험을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우선, 벌브 등의 부품을 모두 떼어낸 상태에서 차량용 램프를 40℃, 90% RH의 분위기의 항온조에 2시간 넣었다. 램프를 항온조로부터 꺼내어, 벌브 등의 부품을 빠르게 설치하고 램프 공간을 밀폐하였다. 이어서, 모든 라이트를 10분간 점등시킨 후, 모든 라이트를 소등시켰다. 이어서, 5℃의 물을 렌즈의 외면에 30초간 뿌렸다. 그 후, 모든 라이트를 점등시켰다. 라이트의 재점등 후, 렌즈의 내면에 발생한 흐림이 완전히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101336487-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흐림이 소실 될 때까지의 시간이 가장 짧았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내지 3의 차량용 램프는, 흐림이 소실될 때까지 장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의 결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 면적과 흐림이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의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3의 결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넓은 개구 면적이 확보되어 있다고 해도, 협착 영역에 면하는 위치에 통기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한, 흐림이 소실될 때까지 장시간이 필요하였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헤드 램프, 포그 램프, 코너링 램프, 테일 램프, 스톱 램프, 백업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데이타임 런닝 램프 등의 차량용 램프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광원과,
    상기 광원의 전방에 배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에 조합되어, 상기 광원이 배치된 램프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 램프 공간의 통기를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램프 공간은, 상기 렌즈와 상기 하우징의 거리가 10mm 이하인 협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협착 영역에 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수지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통기막이고,
    상기 통기막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통기 구멍을 막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진 부품이고,
    상기 통기부는, 열가소성 수지의 다공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협착 영역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일체화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및 상기 하우징은, 각각, 상기 광원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는 측면부를 갖고,
    상기 램프 공간 중, 상기 렌즈의 상기 측면부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부에 의해 형성된 부분에 상기 협착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원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는 측면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부는, 곡면 형상을 갖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부에 추종하는 곡면 형상을 갖고 있는, 차량용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를 제1 통기부라고 정의하였을 때,
    상기 램프 공간의 상기 협착 영역 이외의 영역에 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제2 통기부를 추가로 구비한, 차량용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분말의 소결체를 절삭함으로써 얻어지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다공체인, 차량용 램프.
KR1020167029097A 2014-03-24 2015-02-25 차량용 램프 KR102322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9866A JP6438665B2 (ja) 2014-03-24 2014-03-24 車両用ランプ
JPJP-P-2014-059866 2014-03-24
PCT/JP2015/000967 WO2015145970A1 (ja) 2014-03-24 2015-02-25 車両用ラ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151A KR20160138151A (ko) 2016-12-02
KR102322587B1 true KR102322587B1 (ko) 2021-11-04

Family

ID=5419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097A KR102322587B1 (ko) 2014-03-24 2015-02-25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36524B2 (ko)
EP (1) EP3128224B1 (ko)
JP (1) JP6438665B2 (ko)
KR (1) KR102322587B1 (ko)
CN (1) CN106133436B (ko)
WO (1) WO2015145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138B1 (ko) * 2016-12-14 2018-08-03 (주)코멤텍 통기성 캡
FR3066139B1 (fr) * 2017-05-15 2020-12-04 Automotive Lighting Rear Lamps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oque comprenant un film decoratif
CN108534092A (zh) * 2018-03-19 2018-09-14 东莞市海默生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叉车的led前组合大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3310A (ja) * 1999-09-21 2001-04-06 Ichikoh Ind Ltd ヘッドランプ
JP2007087666A (ja) * 2005-09-20 2007-04-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及び通気構造
KR100951488B1 (ko) 2005-01-10 2010-04-07 고어 엔터프라이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조명 조립체 내에서의 응결을 최소화하는 개선된 환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572A (en) * 1988-08-29 1989-05-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dlamp ventilation system
JPH02121201A (ja) * 1988-10-31 1990-05-09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H07147106A (ja) 1993-08-18 1995-06-06 Kanto Auto Works Ltd 灯具の通気構造
FR2751727B1 (fr) * 1996-07-29 1998-10-23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ou de signalis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integrant un dispositif de ventilation
US6210014B1 (en) * 1997-01-21 2001-04-03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ystem for reducing condensation in enclosed lamp housings
DE19814300B4 (de) 1998-03-31 2008-09-25 Bernhard Weber Scheinwerfer oder Leuchte
JP4043674B2 (ja) 1999-11-18 2008-02-06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JP2001332117A (ja) * 2000-05-19 2001-11-30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4213488B2 (ja) 2002-05-15 2009-01-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通気部材の抜け防止具および通気構造形成キット
JP4672530B2 (ja) 2005-11-17 2011-04-20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5140403B2 (ja) * 2007-12-10 2013-02-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CN101788121A (zh) * 2009-01-23 2010-07-28 佰鸿工业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车灯装置
JP2011165488A (ja) * 2010-02-10 2011-08-25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5684634B2 (ja) * 2010-04-09 2015-03-1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KR200469595Y1 (ko) * 2012-03-02 2013-11-05 주식회사 알리 자동차용 할로겐 전구 대체를 위한 led 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3310A (ja) * 1999-09-21 2001-04-06 Ichikoh Ind Ltd ヘッドランプ
KR100951488B1 (ko) 2005-01-10 2010-04-07 고어 엔터프라이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조명 조립체 내에서의 응결을 최소화하는 개선된 환기시스템
JP2007087666A (ja) * 2005-09-20 2007-04-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及び通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33436B (zh) 2019-08-27
EP3128224B1 (en) 2021-05-05
US20170122521A1 (en) 2017-05-04
EP3128224A4 (en) 2017-12-06
EP3128224A1 (en) 2017-02-08
KR20160138151A (ko) 2016-12-02
JP6438665B2 (ja) 2018-12-19
US10036524B2 (en) 2018-07-31
WO2015145970A1 (ja) 2015-10-01
CN106133436A (zh) 2016-11-16
JP2015185316A (ja)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587B1 (ko) 차량용 램프
EP3078900B1 (en) Vehicle lamp
CN101395037A (zh) 通气部件及通气结构
KR101741089B1 (ko) 차량용 램프모듈의 환기장치
WO2015162822A1 (ja) 通気部材および通気装置
JP7075418B2 (ja) 筐体キット及び通気部材
JP2007220518A (ja) 車輌用灯具
US9885456B2 (en) Ventilation device and vehicular lamp
JP3942330B2 (ja) 車両用灯具の通気構造
BRPI0500883A (pt) Cartucho filtrante para sistemas de ar condicionado para veìculos
JP4442903B2 (ja) 車輌用灯具
JP7185363B1 (ja) 防湿通気防水栓
CN209325672U (zh) 一种高强度防水透气透湿阀
CN211236318U (zh) 一种补光透镜玻璃
WO2015162830A1 (ja) 通気装置、および車両用ランプ
KR20150058828A (ko) 발수 유도 리브를 구비하는 자동차 헤드 램프
KR20130022347A (ko) 벤트 필터
JP2014154408A (ja) 車両用灯具
WO2022063416A1 (en) Cover lens for a vehicle lighting device
JP2000315408A (ja) 車両用灯具
KR20100055987A (ko) 차량용 램프
WO2013168702A1 (ja) フィルター弁と通気部材と筐体
KR20160049793A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20130022948A (ko) 벤트 필터
JP2014186828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