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347A - 벤트 필터 - Google Patents

벤트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347A
KR20130022347A KR1020110086010A KR20110086010A KR20130022347A KR 20130022347 A KR20130022347 A KR 20130022347A KR 1020110086010 A KR1020110086010 A KR 1020110086010A KR 20110086010 A KR20110086010 A KR 20110086010A KR 20130022347 A KR20130022347 A KR 20130022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p
vent filter
support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성대
차봉준
정경학
정훈
강진선
박준석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6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2347A/ko
Publication of KR20130022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트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체는 투과시키고, 액체는 차단하는 통기막; 상기 통기막을 보호하고, 적어도 하나의 벤트 홀이 형성되며, 제1 체결부재가 구비된 캡; 상기 통기막을 지지하고 상기 캡의 제1 체결수단과 체결되는 지지부와, 하우징의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바디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벤트 필터{VENT FILTER}
본 발명은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필터를 응용한 벤트 필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램프나 ECU(Electrical Control Unit) 등의 자동차 전장 부품, OA(오피스 오토메이션) 기기, 가전 제품, 의료 기기 등에서는, 전자 부품이나 제어 기판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에, 하우징 내의 압력 변동을 완하시키거나 하우징 내를 환기할 목적으로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가 형성된 부분에 통기 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벤트 필터는 하우징의 내외에서의 통기를 확보하면서 하우징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a 및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벤트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의 벤트 필터(51)는 도 1a 및 1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비, 진흙탕, 기름류 등의 오염물에 노출되는, 예컨대 자동차용 전장 부품용인, 장비 하우징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벤트 필터(51)는 대략 "L"자형 또는 "U"자형의 관상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벤트 필터(51)는 그 내부에 미로(52)를 갖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벤트 필터(51)는 그 일단이 하우징(50)에 마련된 목부(50a)의 외측에 끼워져 하우징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벤트 필터(51)는 하우징(50)의 목부(50a)의 외축에 단순히 끼워져 조립되는 것만으로 하우징(50)에 확고히 고정되어 하우징(50)과의 결합력이 높일 수 없기 때문에 단순한 외부충격에 의해서 분리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홀에 결합되는 결합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의 분리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벤트 필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벤트 필터는 기체는 투과시키고, 액체는 차단하는 통기막; 상기 통기막을 보호하고, 적어도 하나의 벤트 홀이 형성되며, 제1 체결부재가 구비된 캡; 상기 통기막을 지지하고 상기 캡의 제1 체결수단과 체결되는 지지부와, 하우징의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막이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표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 둘레에 상기 캡의 제1 체결부재에 대응되는 제2 체결부재가 형성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재에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재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과 체결될 수 있도록 돌기 또는 홈 중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의 폭은 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지름은 상기 삽입부의 지름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으로부터 벤트 필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벤트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벤트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벤트 필터의 분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벤트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벤트 필터의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벤트 필터(200)는 통기막(202), 캡(204)및 바디(210)를 포함한다.
먼저, 통기막(202)은 하우징(미도시)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기체를 하우징 내부로 자유롭게 투과시키는 반면에, 이물질 예컨대, 액체와 같은 이물질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투과되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통기막(202)의 재료, 구조 또는 형태는 기체에 대해서 충분한 투과성이 확보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불소 수지 다공재 및 폴리올레핀(polyolefin) 다공재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불소 수지의 예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공중합체(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vinyl ether copolymer),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단량체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4-methylpentene-1), 1-부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를 단순히 중합하거나 또는 공중합하여 얻은 폴리올레핀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종류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블렌딩하거나 또는 적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중에서 작은 면적으로도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고, 하우징 내부에 물이나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높은 PTFE 다공재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캡(204)은 통기막(202)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벤트 홀(206)이 형성되고, 벤트 홀(206)의 하부면에 홈(208) 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210)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통기막(202)을 지지하면서 캡(204)과 부착되는 지지부(214)와 하우징의 홀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2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부(214)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통기막(202)이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표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지지수단(214a)과 지지수단(214a) 둘레에 캡(204)의 홈(208) 또는 돌기에 대응되는 돌기(215) 또는 홈이 형성되는 체결수단(214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수단(214a)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통기막(202)이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표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지지부재(미도시)와 지지부재 둘레에 통기막(202)의 외부가 부착되는 부착부재(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지지부재의 표면을 볼록하게 형성시킴으로써, 통기막(202)도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벤트 필터(200)의 배수성이 좋아진다.
아울러, 벤트 필터(200)의 배수성이 좋아짐에 따라 벤트 필터(200)가 물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쉬운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통기막(202)의 외부가 박리(peeling) 또는 플로팅(floating)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열 융착 공정, 초음파 융착 공정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14)의 지름은 삽입부(216)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캡(204) 또는 지지부(214)의 돌기(215)의 폭은 캡(204) 또는 체결수단(214)의 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캡(204)의 홈(208) 또는 돌기과 바디(210)의 체결수단(214b)의 돌기 또는 홈에 끼워맞춤(fitting)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캡(204)과 바디(210)의 체결수단은 가열 융착 공정, 초음파 융착 공정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210) 또는 캡(204)은 성형이 용이한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polyphenylene sulfide), 폴리술폰(PS:polysulfone),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E), ABS 수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또는 이들 열 가소성 수지의 복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210)는 사출 성형 또는 절삭 등에 의해 삽입부(216)와 지지부14)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210) 또는 캡(204)은 금속재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시일부(218)는 O-링(ring)으로 삽입부(216) 외측에 끼워져 설치되되, 바디(210)의 지지부(214)의 하면과 하우징의 표면 사이에 위치하여 하우징과 벤트 필터(200)의 밀착성이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시일부(218)는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에텔렌-프로필렌 고무(EPM 또는 EPDM), 실리콘 고부 등의 발포 재로 또는 탄성 중합차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통기막(202)을 지지하는 지지부(214)와 삽입부(216)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바디(210)의 체결수단(214b)에 캡(204)을 끼워맞춤(fitting)에 의해 부착시키고, 시일부(218)를 삽입부(216)의 외측에 끼운 다음에, 벤트 필터(2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벤트 필터(200)를 회전시켜 삽입부(216)를 하우징의 홀에 삽입 고정시킨다.
이때, 시일부(218)는 지지부(214)의 하면과 하우징의 표면 사이에 위치하여 하우징과 벤트 필터(200) 간의 밀착성이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 벤트 필터 202 : 통기막
204 : 캡 206 : 벤트 홀
210 : 바디 214 : 지지부
216 : 삽입부 218 : 시일부

Claims (4)

  1. 기체는 투과시키고, 액체는 차단하는 통기막;
    상기 통기막을 보호하고, 적어도 하나의 벤트 홀이 형성되며, 제1 체결부재가 구비된 캡;
    상기 통기막을 지지하고 상기 캡의 제1 체결수단과 체결되는 지지부와, 하우징의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막이 위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표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 둘레에 상기 캡의 제1 체결부재에 대응되는 제2 체결부재가 형성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에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재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과 체결될 수 있도록 돌기 또는 홈 중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의 폭은 홈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지름은
    상기 삽입부의 지름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필터.
KR1020110086010A 2011-08-26 2011-08-26 벤트 필터 KR20130022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10A KR20130022347A (ko) 2011-08-26 2011-08-26 벤트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10A KR20130022347A (ko) 2011-08-26 2011-08-26 벤트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347A true KR20130022347A (ko) 2013-03-06

Family

ID=4817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010A KR20130022347A (ko) 2011-08-26 2011-08-26 벤트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23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301A (ko) * 2015-12-11 2017-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통기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0301A (ko) * 2015-12-11 2017-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통기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6024B2 (en) Ventilation member and vented housing using the same
US9120059B2 (en) Ventilation unit
US9120060B2 (en) Ventilation unit
EP2733418B1 (en) 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a housing and a ventilation member
KR20010049300A (ko) 통기성 캡과, 그것을 포함하는 옥외용 램프, 자동차용램프 및 자동차용 전장 부품
KR102418290B1 (ko)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KR20030089452A (ko) 통기 부재와, 이 통기 부재를 포함하는 통기 하우징
KR20180093941A (ko) 통기 부재, 램프
KR20140117306A (ko) 통기 부재
KR101411168B1 (ko) 벤트 필터
KR20130031049A (ko) 벤트 필터
KR20130022347A (ko) 벤트 필터
KR101411115B1 (ko) 벤트 필터
WO2019135399A1 (ja) 筐体キット及び通気部材
KR101346443B1 (ko) 벤트 필터
JP2009029423A (ja) 通気部材
KR20130022948A (ko) 벤트 필터
KR20130022945A (ko) 벤트 필터
JP6121210B2 (ja) 通気部材
KR20130039542A (ko) 벤트 필터
US20230034108A1 (en) Ventilation component
KR102634104B1 (ko) 통기 부품
KR20130039538A (ko) 벤트 필터
JP2015186777A (ja) 通気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