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306A - 통기 부재 - Google Patents

통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306A
KR20140117306A KR1020140035110A KR20140035110A KR20140117306A KR 20140117306 A KR20140117306 A KR 20140117306A KR 1020140035110 A KR1020140035110 A KR 1020140035110A KR 20140035110 A KR20140035110 A KR 20140035110A KR 20140117306 A KR20140117306 A KR 20140117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path
opening
hous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조 야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6Venting plugs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통기 부재는, 하우징의 개구부에 장착되고,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통기 경로로서의 관통 구멍을 갖는 지지체와, 관통 구멍의 내부 공간측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지지체 상에 배치된 필터 부재와, 관통 구멍의 상기 외부 공간측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된 통기막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 구멍은 일단부에 내부 공간측의 개구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내부 공간측의 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소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통기 경로와, 일단부가 제1 통기 경로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부 공간측의 개구에 연결된 제2 통기 경로와, 제1 통기 경로의 타단부로부터 주머니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주머니 형상 경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 부재는, 하우징 내에 부유한 오일 미스트의 통기막에의 부착의 방지에 적합하다.

Description

통기 부재 {VENTILATION MEMBER}
본 발명은 통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자동차용 램프나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의 자동차 전장 부품, OA(오피스 오토메이션) 기기, 가전 제품, 의료 기기 등에서는, 전자 부품이나 제어 기판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에, 온도 변화에 의한 하우징 내의 압력 변동을 완화하거나 하우징 내를 환기하거나 할 목적으로 개구가 설치되고, 이 개구에 통기 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통기 부재는, 하우징 내외에서의 통기를 확보하면서 하우징 내로의 먼지나 물 등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한 통기 부재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통기 부재를 도 9에 도시한다.
통기 부재(110)는 지지체(104)와, 지지체(104) 상에 배치된 통기막(102)과, 통기막(102)을 덮고 있는 커버 부재(106)와, 지지체(104)와 하우징(120) 사이의 간극에 장착되는 시일 부재(108)를 구비하고 있다. 통기 부재(110)는 시일 부재(108)를 개재해서, 하우징(120)의 개구부(121)에 고정된다. 통기 부재(110)가 하우징(12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지지체(104)의 다리부(112)가 개구부(121)에 걸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106)의 측부에는, 복수의 개구(106A)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막(102)을 투과한 기체가 커버 부재(106)의 개구(106A)를 통과함으로써, 하우징(120) 내외의 통기를 확보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7425호 공보
그런데, 자동차 전장 부품에서는, 통기 부재는, 하우징 내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내의 압력이 하우징 외의 압력보다 높을 때, 즉, 하우징 내의 압력이 정압일 때, 하우징 내의 기체는 통기 부재를 통해서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통기된다. 반대로, 하우징 내의 압력이 하우징 외의 압력보다 낮을 때, 즉, 하우징 내의 압력이 부압일 때, 하우징 외의 기체는 통기 부재를 통해서 하우징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통기된다. 하우징 내의 기체에는 오일 미스트가 부유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 내의 압력이 정압이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통기될 때, 오일 미스트가 통기막에 부착되어 통기막의 압력 조정 기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하우징 내에 부유한 오일 미스트의 통기막에의 부착의 방지에 적합한 통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의 개구부에 장착 가능한 통기 부재이며,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통기 경로로서의 관통 구멍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내부 공간측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된 필터 부재와,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외부 공간측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된 통기막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은,
일단부에 상기 내부 공간측의 개구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 공간측의 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하여 소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통기 경로와,
일단부가 상기 제1 통기 경로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외부 공간측의 개구에 연결된 제2 통기 경로와,
상기 제1 통기 경로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주머니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주머니 형상 경로를 갖는 통기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 부재에서는, 주머니 형상 경로가 통기 경로의 타단부로부터 주머니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내의 압력이 정압이며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통기될 때, 필터 부재를 통과하고, 제1 통기 경로 및 주머니 형상 경로로 이동한 오일 미스트는, 입상의 오일로 되어 제1 통기 경로의 내주면 및 주머니 형상 경로의 내주면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오일 미스트는 제2 통기 경로에 침입하기 어려워지므로, 하우징 내에 부유한 오일 미스트의 통기막에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 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단면도.
도 3은 통상 시에서의 도 1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단면도.
도 4는 정압 시에서의 도 1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단면도.
도 7은 통상 시에서의 도 5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단면도.
도 8은 정압 시에서의 도 5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통기 부재의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커버 부재를 갖는 통기 부재의 단면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통기 부재(10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개구부(21)에 장착되는 것이다. 개구부(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과 외부 공간(24)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통기 부재(10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2)과, 지지체(4)와, 필터 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통기막(2)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지지체(4)는 내부 공간(22)과 외부 공간(24) 사이의 통기 경로로서의 관통 구멍인 통기 구멍(3)을 갖고 있다. 통기막(2)은 통기 구멍(3)을 외부 공간(24)측에서 폐쇄하도록 지지체(4) 상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 부재(5)는 통기 구멍(3)을 내부 공간(22)측에서 폐쇄하도록 지지체(4) 상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 부재(5)는 측면에서 볼 때 원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필터 부재(5) 및 통기막(2)을 통해서, 내부 공간(22)과 외부 공간(24) 사이를 통기할 수 있다. 하우징(20)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ECU(Electric Control Unit) 박스가 있지만, 도 2에는 하우징(20)의 일부만이 나타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4)는 필터 부재(5)가 지지되는 제1 지지부(11)와, 통기막(2)이 지지되는 제2 지지부(12)를 갖고 있다. 제1 지지부(11)는 필터 부재(5)가 지지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측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부재이다. 제2 지지부(12)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의 부재이다. 제1 지지부(11)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22)으로 연통하는 통기 구멍(3)의 개구(11A)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필터 부재(5)는 통기 구멍(3)의 내부 공간(22)측(도 2 좌측)의 개구(11A)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부 공간(22)측의 개구(11A)는, 필터 부재(5) 전체가 제1 지지부(11) 내에 장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부(12)에는, 외부 공간(24)으로 연통하는 통기 구멍(3)의 개구(12A)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통기막(2)은 통기 구멍(3)의 외부 공간(24)측(도 2 상측)의 개구(12A)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외부 공간(24)측의 개구(12A)는, 통기막(2) 전체가 제2 지지부(12) 내에 장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구멍(3)은 제1 통기 경로(31)와, 제2 통기 경로(32)와, 주머니 형상 경로(주머니 형상부)(33)를 갖고 있다. 제1 통기 경로(31)는 일단부에 내부 공간(22)측의 개구(11A)가 형성되고, 타단부(31B)가 내부 공간(22)측의 개구(11A)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1 방향 A(도 2 우측 방향)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통기 경로(32)는 일단부가 제1 통기 경로(31)의 측면(31C)으로 연결되어, 타단부에 외부 공간(24)측의 개구(12A)가 형성되고, 제1 방향 A와 직교하는 제2 방향 B(도 2 상측 방향)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 형상 경로(33)는 제1 통기 경로(31)의 타단부(31B)로부터 제1 방향 A를 향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통기 경로(31)는 내부 공간(22)측의 개구(11A)로부터 주머니 형상 경로(33)를 향하여 제1 방향 A로 바로 연장되는 구멍이다. 내부 공간(22)측의 개구(11A)는, 지지체(4)의 장착 방향(도 2 하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제1 통기 경로(31)는 지지체(4)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통기 경로(32)는 제1 통기 경로(31)와 연통하고, 제1 통기 경로(31)의 측면(31C)으로부터 외부 공간(24)측의 개구(12A)를 향하여 제2 방향 B에 직경 확장되도록 연장되는 구멍이다. 주머니 형상 경로(33)는 제1 통기 경로(31)와 연통하고, 제1 통기 경로(31)의 타단부(31B)로부터 제1 방향 A로 바로 연장되는 구멍이다. 제1 방향 A는 내부 공간(22)측의 개구(11A)에 필터 부재(5)가 장착되는 방향이다. 제2 방향 B는 제1 방향 A와 직교하는 방향이며, 외부 공간(24)측의 개구(12A)로부터 통기막(2)이 제거되는 방향이다.
이어서, 통기막(2)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기막(2)은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고 액체의 투과를 저지하는 성질을 갖는 것이면 되고, 그의 구조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2)은 막 본체와, 막 본체에 중첩된 보강재를 가져도 된다. 보강재를 설치함으로써, 통기막(2)의 강도가 향상된다. 물론, 통기막(2)이 막 본체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막 본체에는, 발유 처리나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의 발액 처리는, 표면 장력이 작은 물질을 막 본체에 도포하고, 건조 후, 큐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발액 처리에 사용하는 발액제는, 막 본체보다 낮은 표면 장력의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발액제가 적합하다. 발액제는, 함침, 스프레이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막 본체에 도포된다.
막 본체의 전형예는, 불소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다공질막이다. 충분한 방수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0.01 내지 10㎛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갖는 수지 다공질막을 막 본체에 사용할 수 있다.
막 본체에 적합한 불소 수지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막 본체에 적합한 폴리올레핀으로서,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1부텐 등의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폴리락트산을 사용한 나노파이버 필름 다공체를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소면적이며 높은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하우징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저지하는 능력도 우수한 PTFE가 바람직하다. PTFE 다공질막은 연신법이나 추출법 등의 공지된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보강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아라미드 등의 수지로 만들어진 부재일 수 있다. 보강재의 형태는, 통기막(2)의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직포, 부직포, 네트, 메쉬, 스펀지, 폼 또는 다공체이다. 막 본체와 보강재는, 열 라미네이션,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면 된다.
통기막(2)의 두께는, 강도나 취급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1㎛ 내지 5㎜의 범위에 있으면 된다. 통기막(2)의 통기도는,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P 8117에 규정된 걸리(Gurley) 시험기법에 의해 얻어지는 걸리값으로 0.1 내지 300sec/100㎤의 범위에 있으면 된다. 통기막(2)의 내수압은 1.0㎪ 이상이면 된다.
통기막(2)을 지지체(4)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지지체(4)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다리미 용착, 초음파 용착, 레이저 용착 등의 열 용착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기막(2)의 고정 위치에 오일 OL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의 다른 재료와 복합시켜서 고정해도 된다.
통기막(2)을 보호하기 위해서, 하우징(20)의 외부 공간(24)과 통기 가능하고, 통기막(2)이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지지체(4)를 덮는 커버 부재(6)(도 11 참조)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지지체(4)와 커버 부재(6) 사이에는, 외부 공간(24)과 내부 공간(22) 사이의 통기로의 일부로 되는 통기 경로(16)가 형성된다. 커버 부재(6)는 도 9에 도시한 커버 부재(106)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가져도 된다.
이어서, 필터 부재(5)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터 부재(5)는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여, 입상의 오일 OL의 투과를 저지하는 필터이다. 필터 부재(5)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직포, 부직포, 메쉬, 네트 등이면, 구조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부재(5)로서, SP7600HF(소니 케미칼 &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사용하고 있다.
이어서, 지지체(4)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지지체(4)는 공지된 사출 성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지지체(4)의 재료로서, 성형성 및 용착의 관점에서PA(폴리아미드),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PS(폴리페닐렌술피드),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C(폴리카르보네이트), PP(폴리프로필렌), PPE(폴리페닐렌에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이나 NBR(니트릴 고무), EPDM(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수소화니트릴 고무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 내의 압력이 하우징(20) 외의 압력과 동일할 때, 필터 부재(5)의 내부 공간(22)측 표면에 오일 OL이 부착되고, 오일 OL이 필터 부재(5)를 투과하지 않는다. 즉, 오일 OL은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으로부터 제1 통기 경로(31)로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 내의 압력이 정압일 때, 오일 미스트 OM이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으로부터 필터 부재(5)를 투과한다. 즉, 오일 미스트 OM은,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으로부터 제1 통기 경로(31)로 이동한다. 제1 통기 경로(31) 및 주머니 형상 경로(33)로 이동한 오일 미스트 OM은, 입상의 오일 OL로 되어 제1 통기 경로(31)의 내주면(31A) 및 주머니 형상 경로(33)의 내주면(33A)에 부착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부재(5)를 통과한 오일 미스트 OM은, 기류의 방향이 바뀌어도 그대로 직진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제2 통기 경로(32)로 오일 미스트 OM이 침입하지 않고, 제2 통기 경로(32)의 내주면(32A)에 오일 OL이 부착되지도 않는다. 오일 미스트 OM은 제2 통기 경로(32)에는 침입하지 않게 되므로, 오일 미스트 OM의 통기막(2)으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20) 내의 압력이 부압일 때, 오일 미스트 OM이 제1 통기 경로(31)로부터 필터 부재(5)를 투과한다. 즉, 오일 미스트 OM은, 제1 통기 경로(31)로부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으로 이동한다. 자중에 의해 오일 OL이 침투하는 필터 부재(5)인 경우에는, 필터 부재(5)에 부착된 오일 OL은 자중에 의해 하우징(20) 내부 공간(22)으로 되돌려지기 때문에, 오일 OL이 필터 부재(5)에 계속 부착되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로서의 통기 부재(10B)를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0B)는, 지지체(4) 이외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4)는 필터 부재(5)가 지지되는 제1 지지부(11)와, 통기막(2)이 지지되는 제2 지지부(12)를 갖고 있다. 제1 지지부(11) 및 제2 지지부(12)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의 부재이다. 제1 지지부(11)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22)으로 연통하는 통기 구멍(3)의 개구(11A)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고, 필터 부재(5)는 통기 구멍(3)의 내부 공간(22)측(도 2 하측)의 개구(11A)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부 공간(22)측의 개구(11A)는, 필터 부재(5) 전체가 제1 지지부(11) 내에 장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부(12)에는, 외부 공간(24)으로 연통하는 통기 구멍(3)의 개구(12A)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통기막(2)은 통기 구멍(3)의 외부 공간(24)측(도 2 상측)의 개구(12A)를 폐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외부 공간(24)측의 개구(12A)는, 통기막(2) 전체가 제2 지지부(12) 내에 장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구멍(3)은 제1 통기 경로(31)와, 제2 통기 경로(32)와, 주머니 형상 경로(주머니 형상부)(33)를 갖고 있다. 제1 통기 경로(31)는 일단부에 내부 공간(22)측의 개구(11A)가 형성되고, 타단부(31B)가 내부 공간(22)측의 개구(11A)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1 방향 A(도 6 상측 방향)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통기 경로(32)는 일단부가 제1 통기 경로(31)의 측면(31C)으로 연결되고, 타단부에 외부 공간(24)측의 개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통기 경로(32)는 측면(31C)으로부터 제1 방향 A와 직교하는 제2 방향 B(도 6 좌측 방향)를 향하여 연장되고, 그의 선단부로부터 제1 방향 A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머니 형상 경로(33)는 제1 통기 경로(31)의 타단부(31B)로부터 제1 방향 A를 향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통기 경로(31)는 내부 공간(22)측의 개구(11A)로부터 주머니 형상 경로(33)를 향하여 제1 방향 A로 바로 연장되는 구멍이다. 내부 공간(22)측의 개구(11A)는, 지지체(4)의 장착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고, 제1 통기 경로(31)는 지지체(4)의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통기 경로(32)는 일단부가 제1 통기 경로(31)의 측면(31C)으로 연통한 제1 경로(32B)와, 일단부가 제1 경로(32B)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외부 공간(24)측의 개구(12A)로 연결된 제2 경로(32C)를 갖는다. 제1 경로(32B)는 지지체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 B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경로(32C)는 지지체의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 구체적으로는 제1 방향 A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 내의 압력이 하우징(20) 외의 압력과 동일할 때, 필터 부재(5)의 내부 공간(22)측 표면에 오일 OL이 부착되고, 오일 OL이 필터 부재(5)를 투과하지 않는다. 즉, 오일 OL은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으로부터 제1 통기 경로(31)로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 내의 압력이 정압일 때, 오일 미스트 OM이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으로부터 필터 부재(5)를 투과한다. 즉, 오일 미스트 OM은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으로부터 제1 통기 경로(31)로 이동한다. 제1 통기 경로(31) 및 주머니 형상 경로(33)로 이동한 오일 미스트 OM은 입상의 오일 OL로 되어, 제1 통기 경로(31)의 내주면(31A) 및 주머니 형상 경로(33)의 내주면(33A)에 부착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 미스트 OM은, 기류의 방향이 바뀌어도 그대로 직진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제2 통기 경로(32)로 오일 미스트 OM이 침입하지 않고, 제2 통기 경로(32)의 내주면, 구체적으로는 제1 경로(32B)의 제1 내주면(32D) 및 제2 경로(32C)의 제2 내주면(32E)에 오일 OL이 부착되는 일도 없다. 오일 미스트 OM은 제2 통기 경로(32)로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오일 미스트 OM의 통기막(2)으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만일 제1 경로(32B)로 오일 미스트 OM이 침입했다고 해도, 제1 경로(32B)와 제2 경로(32C)는 그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오일 OL은 통기막(2)을 향해서는 이동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통기막(2)으로의 오일 OL의 부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통기 부재를 하우징의 개구부에 장착하여, 하우징의 내부 공간측으로부터 ATF(Automatic Transmission Fluid, 오토 플루드 D-II, 도요타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에어 압을 40㎪로 설정하여 분사하였다. 그 후, 통기 부재를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여, 통기막에 ATF가 부착되어 있는지를 육안에 의해 확인하였다. ATF는 통기막에 부착되어 있지 않았다.
(실시예 2)
에어 압을 60㎪로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ATF는 통기막에 부착되어 있지 않았다.
(실시예 3)
에어 압을 80㎪로 설정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ATF는 통기막에 부착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P 8117에 규정된 걸리 시험기법에 의해, ATF 부착 시험 전 및 ATF 부착 시험 후의 통기막의 통기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통기도는 ATF 부착 시험 전의 통기도를 100으로 했을 때의 비율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비교예 1)
통기 부재로서의 캡시일(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하우징의 개구부에 장착하고, 하우징의 내부 공간측에서 ATF를 에어 압을 25㎪로 설정하여 분사하였다. 그 후, 통기 부재를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여, 통기막에 ATF가 부착되어 있는지 조사하였다. ATF는 통기막에 부착되었다.
또한, 캡시일(21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커버 부품(203)과, 고무제의 통 형상체(201)와, 통기막(202)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 형상체(201)는 커버 부품(203)보다 약간 소직경이며, 이 통 형상체(201)의 한쪽 개구를 폐쇄하도록 통기막(202)이 배치된다. 통 형상체(201)를 통기막(202)측으로부터 커버 부품(203)의 내측에 끼워 넣음으로써, 커버 부품(203)의 내주면과 통 형상체(201)의 외주면 사이 및 커버 부품(203)의 저면과 통기막(202) 사이에 통기 경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 형상체(201)에 삽입함으로써, 캡시일(210)을 하우징에 장착된다.
(비교예 2)
에어 압을 30㎪로 설정한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ATF는 통기막에 부착되었다.
또한,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P 8117에 규정된 걸리 시험기법에 의해, ATF 부착 시험 전 및 ATF 부착 시험 후의 통기막의 통기도(걸리값)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및 2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통기도는 ATF 부착 시험 전의 통기도를 100으로 했을 때의 비율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통기 부재에서는, 육안으로 확인한바, ATF의 통기막에의 부착은 없었다. 또한, 통기막의 통기도는, ATF 부착 시험 전과 ATF 부착 시험 후로, 거의 변동은 없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의 통기 부재에서는, ATF의 통기막에의 부착이 인정되고, ATF 부착 시험 전과 ATF 부착 시험 후로 통기막의 통기도가 크게 변동하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에서는 캡시일을 사용했지만, 도 9에 나타낸 통기 부재를 사용하여 마찬가지의 시험을 실시한 경우에도 통기막의 통기도는 크게 저하한다.
본 발명의 통기 부재는, 램프, 모터, 센서, 스위치, ECU, 기어 박스 등의 자동차 부품의 하우징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부품뿐만 아니라, 이동체 통신기기, 카메라, 전기 면도기, 전동 칫솔 등의 전기 제품에도 본 발명의 통기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하우징의 개구부에 장착 가능한 통기 부재이며,
    상기 개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통기 경로로서의 관통 구멍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내부 공간측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된 필터 부재와,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외부 공간측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된 통기막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 구멍은,
    일단부에 상기 내부 공간측의 개구가 형성되고 타단부가 상기 내부 공간측의 개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소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통기 경로와,
    일단부가 상기 제1 통기 경로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외부 공간측의 개구에 연결된 제2 통기 경로와,
    상기 제1 통기 경로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주머니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주머니 형상 경로를 갖는 통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이 배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상기 지지체를 덮는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는 통기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방향은 상기 지지체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통기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방향은 상기 지지체의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통기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기 경로는,
    일단부가 상기 제1 통기 경로의 측면에 연결된 제1 경로와,
    일단부가 상기 제1 경로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외부 공간측의 개구에 연결된 제2 경로를 갖고,
    상기 제1 경로는 상기 지지체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지지체의 장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통기 부재.
KR1020140035110A 2013-03-26 2014-03-26 통기 부재 KR201401173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4212 2013-03-26
JP2013064212A JP6132615B2 (ja) 2013-03-26 2013-03-26 通気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306A true KR20140117306A (ko) 2014-10-07

Family

ID=5034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110A KR20140117306A (ko) 2013-03-26 2014-03-26 통기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785160A3 (ko)
JP (1) JP6132615B2 (ko)
KR (1) KR20140117306A (ko)
CN (1) CN1040802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438A (ko) * 2016-10-31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의 수분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7297B1 (en) * 2015-12-18 2017-05-30 Motorola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venting and seal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6836844B2 (ja) * 2016-05-13 2021-03-03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7104893B2 (ja) * 2018-04-06 2022-07-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ブリーザ構造及びブリーザカバー
KR20210068441A (ko) * 2018-10-11 2021-06-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하우징
CN109099387A (zh) * 2018-10-18 2018-12-28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车灯通气结构预留设计方法和车灯通气结构
CN110143144B (zh) * 2019-06-27 2024-01-23 南通理工学院 一种针对电动船的岸基无线充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58U (ja) * 1992-10-06 1994-04-28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エアブリーザー
JP4213488B2 (ja) * 2002-05-15 2009-01-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通気部材の抜け防止具および通気構造形成キット
JP4953663B2 (ja) * 2006-03-02 2012-06-13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JP5133039B2 (ja) * 2007-12-07 2013-01-30 日東電工株式会社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多孔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防水通気フィルタ
JP5710359B2 (ja) * 2011-04-26 2015-04-30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438A (ko) * 2016-10-31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의 수분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91903A (ja) 2014-10-06
JP6132615B2 (ja) 2017-05-24
CN104080290A (zh) 2014-10-01
EP2785160A2 (en) 2014-10-01
EP2785160A3 (en)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7306A (ko) 통기 부재
KR102189163B1 (ko) 통기 부재
CN104075301B (zh) 透气构件
US9120060B2 (en) Ventilation unit
US9242198B2 (en) Ventilation member
KR102020681B1 (ko) 통기 구조
KR101958036B1 (ko) 통기 유닛
JP4855203B2 (ja)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KR102144136B1 (ko) 통기 부재
US9528622B2 (en) Ventilation member
KR101121269B1 (ko) 통기 부재와 이를 이용한 통기 하우징 및 전장 부품
KR20080077281A (ko) 통기 부재 및 통기 구조
US20150313034A1 (en) Ventilation member
KR20130041805A (ko) 통기 부재
KR20180093941A (ko) 통기 부재, 램프
JP2012230983A (ja) 通気部材
JP5710359B2 (ja) 通気部材
JP6121210B2 (ja) 通気部材
KR20170070301A (ko) 차량용 통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