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136B1 - 통기 부재 - Google Patents

통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136B1
KR102144136B1 KR1020140035105A KR20140035105A KR102144136B1 KR 102144136 B1 KR102144136 B1 KR 102144136B1 KR 1020140035105 A KR1020140035105 A KR 1020140035105A KR 20140035105 A KR20140035105 A KR 20140035105A KR 102144136 B1 KR102144136 B1 KR 102144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housing
support
opening
ventil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303A (ko
Inventor
고 우에무라
요조 야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7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6Venting plugs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9Modules where the membrane is in the form of a bag, membrane cushion or pa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specific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65Composition of the impurity
    • C01B2203/047Composition of the impurity the impurity being carbon mon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50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 C01B3/501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diffusion
    • C01B3/503Separation of hydrogen or hydrogen containing gases from gaseous mixtures, e.g. purification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the membr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통기 부재는 지지체와, 지지체 상에 배치된 통기막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는, 통기막을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부와, 하우징의 개구부에 통기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며, 베이스부로부터 내부 공간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다리부를 포함한다. 다리부는, 삽입 개시측이 슬릿에 의해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고, 내주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개구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근원 부분의 내주면과 둘레 방향 단부면 사이의 부분이 볼록 형상의 라운드면으로 되도록 형성된 라운드부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통기 부재 {VENTILATION MEMBER}
본 발명은, 하우징의 개구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자동차용 램프나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의 자동차 전장 부품, OA(오피스 오토메이션) 기기, 가전 제품, 의료 기기 등에서는, 전자 부품이나 제어 기판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에, 하우징 내의 압력 변동을 완화하거나 하우징 내를 환기하거나 할 목적으로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가 형성된 부분에 통기 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통기 부재는, 하우징의 내외에서의 통기를 확보하면서 하우징 내에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는, 하우징(120)의 개구부(121)에 장착되는 통기 부재(110)가 개시되어 있다. 통기 부재(110)는, 지지체(104)와, 지지체(104) 상에 배치된 통기막(102)과, 통기막(102)을 덮고 있는 커버 부재(106)와, 지지체(104)와 하우징(120) 사이의 간극에 장착되는 시일 부재(108)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104)는 베이스부(111)와, 베이스부(111)로부터 연장되는 다리부(112)를 갖고 있다. 다리부(112)는, 삽입 개시측이 슬릿(132)에 의해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며 내주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개구부(121)에 삽입되는 삽입부(131)와, 복수의 삽입부(131) 중 일부의 삽입부(131)에 형성되며 선단부가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부(134)를 갖고 있다. 갈고리부(134)는, 통기 부재(110)가 하우징(120)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하우징(120)에 걸림 지지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41629호 공보
종래의 통기 부재에서는, 삽입부를 내주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개구부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삽입부의 내주면에 크랙(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크랙이 발생한 통기 부재를 개구부에 장착해 두면, 크랙이 진행되어 삽입부의 근원(根元) 부분이 파단되어, 통기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빠지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삽입부의 근원 부분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크랙의 발생 방지에 적합한 통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통기가 필요한 내부 공간과 통기용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에 설치 가능한 통기 부재이며,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통기 경로의 일부로서의 통기 구멍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통기 구멍을 상기 외부 공간측에서 폐쇄하도록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된 통기막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통기막을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에 상기 통기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며,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삽입 개시측이 슬릿에 의해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며, 내주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근원 부분의 내주면과 둘레 방향 단부면 사이의 부분이 볼록 형상의 라운드면으로 되도록 형성된 라운드부를 갖는 통기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부의 근원 부분의 내주면과 둘레 방향 단부면 사이의 부분에 라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삽입부의 근원 부분의 내주면에 응력이 집중되기 어려워지므로, 삽입부의 근원 부분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통기 부재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지지체의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지지체의 배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다리부의 Ⅲ-Ⅲ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다리부의 Ⅳ에 있어서의 확대도.
도 7은 종래의 지지체의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지지체의 배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다리부의 Ⅶ-Ⅶ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다리부의 Ⅷ에 있어서의 확대도.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통기막의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지지체의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례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개구부(21)에 설치되는 것이다. 개구부(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과 외부 공간(24)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통기 부재(10)는 통기막(2)과, 지지체(4)와, 커버 부재(6) 및 시일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통기막(2), 지지체(4) 및 커버 부재(6)가, 각각, 평면에서 보아 원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통기막(2), 지지체(4) 및 커버 부재(6)는 공통의 중심축 O를 갖고 있다. 통기막(2)의 두께 방향이 중심축 O에 평행이다. 지지체(4)는 내부 공간(22)과 외부 공간(24) 사이의 통기 경로의 일부로서의 통기 구멍(3)을 갖고 있다. 통기막(2)은, 통기 구멍(3)을 외부 공간(24)측에서 폐쇄하도록 지지체(4) 상에 배치되어 있고, 통기막(2)을 통하여, 내부 공간(22)과 외부 공간(24) 사이를 통기할 수 있다. 하우징(20)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박스가 있지만, 도 1 및 도 2에는 하우징(20)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4)는 베이스부(11) 및 복수의 다리부(12)를 갖고 있다. 베이스부(11)는 통기막(2)을 지지하고 있는 부분이며, 대략 원반 형상을 갖고 있다. 다리부(12)는 하우징(20)의 개구부(21)에 통기 부재(10)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다리부(12)는 베이스부(11)로부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12)는, 삽입 개시측이 슬릿(32)에 의해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며 내주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개구부(2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31)와, 삽입부(31)의 근원 부분(31A)의 내주면(31C)(도 6 참조)과 둘레 방향 단부면(31D)(도 6 참조) 사이의 부분이 볼록 형상의 라운드면으로 되도록 형성된 라운드부(33)(도 4 내지 도 6 참조)와, 삽입부(31)의 삽입 개시측 단부(31B)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되고 하우징(20)에 걸림 지지 가능한 갈고리부(34)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삽입부(31)는 3개로 분할되어 있고, 각각이 등간격(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부(31)의 사이에는, 각각 슬릿(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3개의 슬릿(32)이 등간격(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3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로부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측(도 3의 하측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판상 부재이며, 내주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삽입부(31)의 삽입 개시측 단부(31B)에는,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부(34)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삽입부(31)는, 근원 부분(31A)으로부터 삽입 개시측 단부(31B) 방향(도 3의 하측 방향)을 향하여 폭이 약간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반대로, 각 삽입부(31)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32)은, 도 3의 상측 방향을 향하여 폭이 약간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라운드부(3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31)의 근원 부분(31A)의 내주면(31C)과 둘레 방향 단부면(31D) 사이의 부분이 볼록 형상의 라운드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31)의 근원 부분(31A)으로부터 삽입 개시측 단부(31B)에 걸치는 내주면(31C)과 둘레 방향 단부면(31D) 사이의 부분은 볼록 형상의 라운드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라운드부(33)는, 둘레 방향 단부면(31D)을 내주측으로 평행하게 가상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가상 둘레 방향 단부면(31F)으로부터 슬릿(32)과 반대측으로 후퇴하고, 또한 삽입부(31)의 근원 부분(31A)의 내주면(31C)을 슬릿(32)측에 둘레 방향으로 가상적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가상 내주면(31G)으로부터 외주측으로 후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31)의 근원 부분(31A)으로부터 삽입 개시측 단부(31B)에 걸치는 내주면(31C)과 둘레 방향 단부면(31D) 사이의 부분은, 가상 둘레 방향 단부면(31F)으로부터 슬릿(32)과 반대측으로 후퇴하고, 또한 가상 내주면(31G)으로부터 외주측으로 후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릿(32)의 저부의 내주측 부분(32A)은 볼록 형상의 라운드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32)의 저부의 외주측 부분(32B)은 볼록 형상의 라운드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릿(32)의 저부의 내주측 부분(32A)의 라운드면의 곡률은, 슬릿(32)의 저부의 외주측 부분(32B)의 라운드면의 곡률보다 작다. 또한, 슬릿(32)의 저부의 내주측 부분(32A)의 라운드면의 면적은, 슬릿(32)의 저부의 외주측 부분(32B)의 라운드면의 면적보다 크다.
또한, 삽입부(31)의 근원 부분(31A)의 외주면(31E)과 둘레 방향 단부면(31D) 사이의 부분이, 볼록 형상의 라운드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삽입부(31)의 근원 부분(31A)으로부터 삽입 개시측 단부(31B)에 걸치는 외주면(31E)과 둘레 방향 단부면(31D) 사이의 부분이, 볼록 형상의 라운드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라운드부(33)의 라운드면의 곡률은, 삽입부(31)의 외주면(31E)과 둘레 방향 단부면(31D) 사이의 부분의 라운드면의 곡률보다 작게 해도 된다. 또한, 라운드부(33)의 라운드면의 면적은, 슬릿(32)의 저부의 외주측 부분(32B)의 면적보다 크게 해도 된다.
시일 부재(8)는, 통기 부재(10)를 하우징(20)에 설치하였을 때 지지체(4)와 하우징(20) 사이의 간극을 봉하기 위한 탄성 부재이다. 시일 부재(8)는 개구부(21)의 주위 또한 지지체(4)와 하우징(20) 사이의 간극에 장착된 환상의 부재이다. 시일 부재(8)는, 예를 들면 니트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수소화 니트릴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로 되어 있다. 엘라스토머 대신에, 시일 부재(8)가 발포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하우징(20)의 개구부(21)에 지지체(4)의 다리부(12)를 삽입하면, 지지체(4)와 하우징(20) 사이에 끼워진 시일 부재(8)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체(4)는 하우징(20)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되밀쳐진다. 이때, 하우징(20)의 내부 공간(22)측에 있어서, 갈고리부(34)가 하우징(20)에 걸림 지지되어 통기 부재(10)가 하우징(2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2색 성형이나 인서트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시일 부재(8)에 상당하는 부분이, 지지체(4)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시일 부재(8)가 지지체(4)에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에, 비교로서, 종래의 통기 부재(110)를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다. 또한, 종래의 통기 부재(110)는, 삽입부(31) 이외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에 100을 부가하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의 통기 부재(110)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31)의 근원 부분(131A)의 내주면(131C)의 단부와 외주면(131E)의 단부 사이의 부분에는, 전체에 걸쳐 둘레 방향 단부면(131D)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삽입부(131)를 내주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개구부(121)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삽입부(131)의 근원 부분(131A)의 내주면(131C)에 응력이 집중되어, 삽입부(131)의 근원 부분(131A)의 내주면(131C)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부(31)의 근원 부분(31A)의 내주면(31C)과 둘레 방향 단부면(31D) 사이의 부분이 볼록 형상의 라운드면으로 되도록 형성된 라운드부(3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부(31)의 근원 부분(31A)의 내주면(31C)에 응력이 집중되기 어려워져, 삽입부(31)의 근원 부분(31A)의 내주면(31C)에 있어서의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통기막(2)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기막(2)은,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고, 액체의 투과를 저지하는 성질을 갖는 것이면 되고, 그의 구조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2)은 막 본체(2a)와, 막 본체(2a)에 중첩된 보강재(2b)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보강재(2b)를 설치함으로써, 통기막(2)의 강도가 향상된다. 물론, 통기막(2)이 막 본체(2a)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막 본체(2a)에는, 발유 처리나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의 발액 처리는, 표면 장력이 작은 물질을 막 본체(2a)에 도포하고, 건조 후, 큐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발액 처리에 사용하는 발액제는, 막 본체(2a)보다 낮은 표면 장력의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발액제가 적합하다. 발액제는 함침, 스프레이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막 본체(2a)에 도포된다.
막 본체(2a)의 전형예는, 불소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으로 된 다공질막이다. 충분한 방수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0.01 내지 10㎛의 평균 구멍 직경을 갖는 수지 다공질막을 막 본체(2a)에 사용할 수 있다.
막 본체(2a)에 적합한 불소 수지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막 본체(2a)에 적합한 폴리올레핀으로서,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1부텐 등의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폴리락트산을 사용한 나노파이버 필름 다공체를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소면적으로 높은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하우징의 내부에의 이물의 침입을 저지하는 능력도 우수한 PTFE가 바람직하다. PTFE 다공질막은, 연신법이나 추출법 등의 공지의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보강재(2b)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아라미드 등의 수지로 만들어진 부재일 수 있다. 보강재(2b)의 형태는, 통기막(2)의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직포, 부직포, 네트, 메쉬, 스펀지, 폼 또는 다공체이다. 막 본체(2a)와 보강재(2b)는, 열 라미네이션,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면 된다.
통기막(2)의 두께는, 강도나 취급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1㎛ 내지 5㎜의 범위에 있으면 된다. 통기막(2)의 통기도는,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P8117에 규정된 걸리(Gurley) 시험기법에 의해 얻어지는 걸리값으로 0.1 내지 300sec/100㎤의 범위에 있으면 된다. 통기막(2)의 내수압은 1.0㎪ 이상이면 된다.
커버 부재(6)는 통기막(2)을 덮도록 지지체(4)에 설치되어 있다. 통기막(2)과 커버 부재(6)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6)의 외주부와 지지체(4)의 외주부 사이에도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공간도 내부 공간(22)과 외부 공간(24) 사이의 통기 경로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통기 부재(1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지지체(4) 및 커버 부재(6)를 각각 제조한다. 지지체(4) 및 커버 부재(6)는, 각각, 공지의 사출 성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지지체(4) 및 커버 부재(6)의 재료로서, 전형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하우징(20)도 공지의 사출 성형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공간(24)측에 있어서의 개구부(21)의 개구 직경은, 내부 공간(22)측에 있어서의 개구부(21)의 개구 직경보다 크다. 그 때문에, 다리부(12)를 개구부(21)에 삽입하기 쉽다. 또한, 이와 같은 개구부(21)에 의하면, 통기 구멍(3)으로부터 내부 공간(22)에 이르는 통기 경로의 단면적도 어느 정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간(22)측에 있어서의 개구부(21)의 개구 직경을 작게 하면, 중심축에 대하여 다리부(12)가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갈고리부(34)를 개구부(21)에 확실하게 걸어 결합시켜, 하우징(20)에의 통기 부재(10)의 설치 강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도 7 내지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 Z-PLUG(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삽입부를 절삭 가공하여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라운드부를 형성한 통기 부재를 도 1과 같은 하우징의 개구부(직경 8.2㎜)에 설치하였다. 통기 부재의 삽입부의 근원 부분의 내주면에 크랙은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 1)
통기 부재로서의 Z-PLUG를 도 1과 같은 하우징의 개구부(직경 8.2㎜)에 설치하였다. 통기 부재의 삽입부의 근원 부분의 내주면에 크랙은 2개소 발생하였다.
(비교예 2)
통기 부재로서의 Z-PLUG를 도 1과 같은 하우징의 개구부(직경 8.5㎜)에 설치하였다. 통기 부재의 삽입부의 근원 부분의 내주면에 크랙은 1개소 발생하였다.
다음에, 범용 비선형 구조 해석 솔버 Marc(MSC 소프트웨어 가부시끼가이샤제)에 의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통기 부재를 하우징의 개구부에 설치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삽입부의 근원 부분의 내주면에 작용하는 최대 응력을 산출하였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최대 응력을 비율로 1.00으로 하였을 때, 비교예 1에 있어서의 최대 응력은 비율로 1.18이며, 비교예 2에 있어서의 최대 응력은 비율로 1.05이었다. 즉, 실시예의 통기 부재에서는, 비교예 1 및 2의 통기 부재에 비해, 삽입부의 근원 부분의 내주면에 작용하는 최대 응력이 작다.
또한, Marc에 의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내구 시험(히트 사이클 시험 조건=-40℃/30분 내지 125℃/30분)을 행한 통기 부재를 하우징의 개구부에 설치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삽입부가 내주측으로 이동하는 최대 변위량을 산출하였다. 비교예 1에 있어서의 최대 변위량을 비율로 1.00으로 하였을 때, 실시예에 있어서의 최대 변위량은 비율로 0.96이었다. 즉, 실시예의 통기 부재에서는, 비교예 1의 통기 부재와 비교하여 삽입부가 내주측으로 이동하는 최대 변위량이 거의 동등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통기 부재에서는, 삽입부가 내주측으로 이동하는 최대 변위량을 유지하면서, 삽입부의 근원 부분의 내주면에 크랙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통기 부재는, 램프, 모터, 센서, 스위치, ECU, 기어 박스 등의 자동차 부품의 하우징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부품뿐만 아니라, 이동체 통신 기기, 카메라, 전기 면도기, 전동 칫솔 등의 전기 제품에도 본 발명의 통기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통기가 필요한 내부 공간과 통기용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에 설치 가능한 통기 부재이며,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통기 경로의 일부로서의 통기 구멍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통기 구멍을 상기 외부 공간측에서 폐쇄하도록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된 통기막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통기막을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에 상기 통기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며,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삽입 개시측이 슬릿에 의해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고, 내주측으로 탄성 변형하여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근원 부분의 내주면과 둘레 방향 단부면 사이의 부분이 볼록 형상의 라운드면으로 되도록 형성된 라운드부를 갖는 통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주위 또한 상기 지지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간극에 장착된 환상의 시일 부재를 더 구비하는 통기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삽입부의 삽입 개시측 단부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에 걸림 지지 가능한 갈고리부를 더 갖는 통기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저부의 내주측 부분은 볼록 형상의 라운드면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통기 부재.
KR1020140035105A 2013-03-26 2014-03-26 통기 부재 KR102144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4108 2013-03-26
JP2013064108A JP6130182B2 (ja) 2013-03-26 2013-03-26 通気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303A KR20140117303A (ko) 2014-10-07
KR102144136B1 true KR102144136B1 (ko) 2020-08-12

Family

ID=5034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105A KR102144136B1 (ko) 2013-03-26 2014-03-26 통기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52119B2 (ko)
EP (1) EP2785162B1 (ko)
JP (1) JP6130182B2 (ko)
KR (1) KR102144136B1 (ko)
CN (1) CN1040753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200A1 (ja) * 2012-04-19 2013-10-24 東海興業株式会社 複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130183B2 (ja)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50578B2 (ja) * 2013-03-2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2015170473A (ja) * 2014-03-06 2015-09-28 日東電工株式会社 気体透過部材及び通気性容器
FR3036169B1 (fr) * 2015-05-11 2019-05-10 Psa Automobiles Sa. Bloc optique de vehicule a boitier a protuberance entourant une douille de lampe et a ouverture d’evacuation d’eau
DE202015003500U1 (de) * 2015-05-13 2015-06-01 Berghof Fluoroplastic Technology Gmbh Druckausgleichselement mit Druckausgleichsmembran
KR101805060B1 (ko) * 2017-04-26 2017-12-14 윤현지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WO2018199192A1 (ja) * 2017-04-28 2018-11-0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WO2019200511A1 (en) * 2018-04-16 2019-10-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ent filter and radio remote unit
CN110397725B (zh) * 2018-04-24 2022-03-22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传动箱壳体、传动箱及致动器
US20190331312A1 (en) * 2018-04-25 2019-10-31 Jute Industrial Co., Ltd. Breathable element for lighting of vehicle
CN112943904A (zh) * 2021-02-09 2021-06-11 中国航发哈尔滨东安发动机有限公司 一种具有防油功能的通气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2508A (ja) 2008-04-04 2009-10-29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JP2010267538A (ja) 2009-05-15 2010-11-2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3856A (en) * 1953-12-24 1957-03-05 Norman R Krause Self-cleaning screens or filters
FR2610846A1 (fr) * 1987-02-17 1988-08-19 Air Liquide Element filtrant pour dispositif d'event et dispositif comportant un tel element
JPH0422104Y2 (ko) * 1988-12-23 1992-05-20
US5160515A (en) * 1991-09-24 1992-11-03 Cpc International Inc. Aspiration unit for conditioning air during rail car unloading of perishable food products
US5256159A (en) * 1992-02-18 1993-10-26 Synexus Corporation Personal deodorizing apparatus for bodily waste reservoir
US5316568A (en) * 1992-12-15 1994-05-31 Brown Melvin H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luid flow
JPH0734635U (ja) * 1993-12-08 1995-06-27 株式会社ユタカプラスチック製作所 クロスジョイント
JP3540495B2 (ja) * 1996-03-18 2004-07-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素分離膜
US6015444A (en) * 1998-02-27 2000-01-18 Eaton Corpor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venting a transmission
US6497747B1 (en) * 1999-09-24 2002-12-24 Praxair Technology, Inc. Production and use of improved polyimide separation membranes
US6306191B1 (en) * 1999-11-12 2001-10-23 Millipore Corporation Sanitary seal design and vent using such seal
JP4043674B2 (ja) * 1999-11-18 2008-02-06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JP3746723B2 (ja) * 2002-03-28 2006-02-15 東海興業株式会社 通気栓組立体
JP4213488B2 (ja) * 2002-05-15 2009-01-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通気部材の抜け防止具および通気構造形成キット
DE10335130A1 (de) * 2003-07-31 2005-02-24 Blue Membranes Gmbh Immobilisierung von Katalysatoren auf porösen Körpern auf Kohlenstoffbasis
US7279027B2 (en) * 2003-03-21 2007-10-0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Planar ceramic membrane assembly and oxidation reactor system
RU2305587C2 (ru) * 2004-10-25 2007-09-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бъединенный центр исследований и разработок" (ООО "ЮРД-Центр") Композитная кислородпроводящая мембрана
JP4672530B2 (ja) * 2005-11-17 2011-04-20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WO2007069387A1 (ja) * 2005-12-14 2007-06-21 Nitto Denko Corporation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JP4893133B2 (ja) * 2006-01-13 2012-03-07 日本精工株式会社 リターンチューブ、及びボールねじ
JP4953663B2 (ja) * 2006-03-02 2012-06-13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US8727844B2 (en) * 2007-09-04 2014-05-20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9191973A (ja) * 2008-02-15 2009-08-27 Nsk Ltd 自在継手用ヨーク及び自在継手
JP5416224B2 (ja) * 2008-12-31 2014-02-12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ーツ,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通気装置
JP5519352B2 (ja) * 2010-03-19 2014-06-1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828125B2 (en) * 2010-04-09 2014-09-09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member
JP5746559B2 (ja) * 2011-05-19 2015-07-0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
JP6150578B2 (ja) * 2013-03-2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30183B2 (ja) *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2508A (ja) 2008-04-04 2009-10-29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JP2010267538A (ja) 2009-05-15 2010-11-2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303A (ko) 2014-10-07
JP2014191897A (ja) 2014-10-06
JP6130182B2 (ja) 2017-05-17
EP2785162A2 (en) 2014-10-01
EP2785162A3 (en) 2018-04-04
US9052119B2 (en) 2015-06-09
CN104075300A (zh) 2014-10-01
EP2785162B1 (en) 2019-06-12
US20140290488A1 (en) 2014-10-02
CN104075300B (zh) 2018-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163B1 (ko) 통기 부재
KR102144136B1 (ko) 통기 부재
KR102152476B1 (ko) 통기 부재
US9255719B2 (en) Ventilation member
US9120060B2 (en) Ventilation unit
KR20140026519A (ko) 통기 유닛
US9332662B2 (en) Ventilation member
US9242198B2 (en) Ventilation member
JP6132615B2 (ja) 通気部材
JP5710359B2 (ja) 通気部材
JP6121210B2 (ja) 通気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