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864B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864B1
KR102319864B1 KR1020217008884A KR20217008884A KR102319864B1 KR 102319864 B1 KR102319864 B1 KR 102319864B1 KR 1020217008884 A KR1020217008884 A KR 1020217008884A KR 20217008884 A KR20217008884 A KR 20217008884A KR 102319864 B1 KR102319864 B1 KR 102319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lip body
pen tip
cam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421A (ko
Inventor
요시히로 이토
Original Assignee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7553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31986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45648A external-priority patent/JP56989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45649A external-priority patent/JP58139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45650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6107B2/ja
Application filed by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4Clips detachably secured to the writ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5/00Assembling, finishing, or repairing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8Clips combined with means for propelling, projecting or retracting the wri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43K7/08Preventing l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 C09D11/17Wri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내부에 열변색성 잉크를 수용한 필기체(9)를 축통(2)내에 수용하고, 축통(2)에 마련한 조작체를 조작하여 필기체(9)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필기체(9)의 펜 끝(91)을 필기구의 선단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성한 열변색성 필기구(1)로서, 열변색성 잉크의 필적을 마찰시키고 그때에 생기는 마찰열로 상기 필적을 열변색할 수 있는 마찰부(10)와, 적어도 하나의 조작체로서의 클립체(7)를 구비하고, 마찰부 (10)를 축통(2)의 후단에 마련하는 동시에, 축통(2)에 있어서의 후단 이외의 부위에 클립체(7)를 마련한 열변색성 필기구(1)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필기구{WRITING TOOL}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필기체의 내부에 열변색성 잉크를 수용하고, 상기 필기체의 전단에 상기 열변색성 잉크를 토출 할 수 있는 펜 끝을 마련하고, 상기 필기체를 축통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필기체의 펜 끝을 축통의 전단 구멍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성한 열변색성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축통내에 필기체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축통의 외면에 조작부를 마련하고, 상기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필기체의 펜 끝을 축통의 전단 구멍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필기체의 내부에 열변색성 잉크를 수용하고, 상기 필기체의 전단에 상기 열변색성 잉크를 토출할 수 있는 펜 끝을 마련하고, 상기 축통의 외면에, 상기 열변색성 잉크의 필적을 마찰시켜 그때에 생기는 마찰열로 상기 필적을 열변색 할 수 있는 마찰부를 마련한 열변색성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축통 후단의 조작부를 전방으로 압압하는 타입에 있어서 조작부에 마찰부를 마련한 경우, 상기 마찰부를 이용하여 마찰 조작하면, 피(被) 필기면을 따라서 조작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안정된 마찰 조작을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특히, 펜 끝 돌출 조작 및 펜 끝 몰입 조작의 모두가 조작부를 전방으로 압압 조작하는 타입의 출몰 기구(이른바 더블 노크식)를 채용하고 또한 조작부에 마찰부를 마련한 경우, 펜 끝 돌출 상태에 있어서 조작체가 축방향으로 흔들리고, 안정된 마찰 조작을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1의 도 12에는, 통 형상의 조작부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하고, 상기 통 형상의 조작부의 외면에 포켓 등에 끼워 지지할 수 있는 클립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통 형상의 조작부의 후단 외면에 마찰부를 마련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의 열변색성 필기구는, 펜 끝의 출몰 조작시에 마찰부를 압압하기 때문에, 마찰부가 손때 등으로 더러워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부가 더러워진 상태로 열변색성 잉크의 필적을 마찰한 경우, 필적을 가지는 피필기면(예를 들면 지면)이 더러워질 우려가 있다.
또, 특허문헌 1의 도 15에는, 조작부를 축통측벽보다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상기 조작부를 후방 가압에 저항해서 전방으로 압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펜 끝 몰입 상태로부터 펜 끝 돌출 상태로 하는 구성(이른바 다심(多芯) 타입의 사이드 슬라이드식)의 출몰 기구를 구비하고, 축통의 후단 외면에 마찰부를 마련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의 열변색성 필기구는, 펜 끝 돌출 상태로부터 펜 끝 몰입 상태로 할 때(펜 끝 돌출 상태를 해제할 때), 다른 필기체에 장착된 조작체를 조작해야만 한다. 그 때문에, 복수의 조작체(즉 복수의 돌출부분)를 마련할 필요가 있고, 외관 디자인상의 자유도가 감소한다. 나아가서는, 포켓 등에 끼워 지지할 수 있는 클립을 축통에 마련하는 경우, 보다 한층, 돌출부분이 증가하고, 외관 디자인상의 자유도가 감소한다.
국제 공개 제 2008/105227호 팜플렛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마찰부를 이용하여 안정된 마찰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또, 마찰부가 손때 등으로 더러워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게다가, 외관 디자인상의 자유도가 증가하는 열변색성 필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에 더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작용 효과를 가지는 열변색성 필기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1) 사용자가 조작 방법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고, 조작 방법이 간단하다.
(2) 클립체를 슬라이드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3) 축통 전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4) 펜 끝 돌출 상태에서 클립체의 근방을 파지한 경우에도, 안정된 마찰 조작이 가능하다.
(5) 클립체의 끼워 지지하는 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클립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6) 펜 끝 돌출 상태로부터 펜 끝 몰입 상태로 할 때, 필기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는, 내부에 열변색성 잉크를 수용한 필기체를 축통내에 수용하고, 상기 축통에 마련한 조작체를 조작하여 상기 필기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필기체의 펜 끝을 필기구의 선단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성한 열변색성 필기구로서, 상기 열변색성 잉크의 필적을 마찰하고 그때에 생기는 마찰열로 상기 필적을 열변색할 수 있는 마찰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체로서의 클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마찰부를 상기 축통의 후단에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축통에 있어서의 후단 이외의 부위에 상기 클립체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필기구는, 필기체를 축통내에 수용하고, 상기 축통에 마련한 조작체를 조작하여 상기 필기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필기체의 펜 끝을 필기구의 선단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성한 필기구로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체로서의 클립체와, 상기 축통의 측벽에 형성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구멍과, 상기 슬라이드 구멍에 배치한 상기 클립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필기체의 펜 끝을 몰입 상태로부터 돌출 상태로 하는 출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축통이 서로 연결 가능한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통을 구성하는 두 개의 상기 부품의 각 측벽에, 전방 또는 후방이 개방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또는 제2의 장공(長孔)을 각각 형성하고, 두 개의 상기 부품을 연결했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의 장공이, 서로 연이어 통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게다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필기구는, 필기체를 축통내에 수용하고, 상기 축통에 마련한 조작체를 조작해서 상기 필기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필기체의 펜 끝을 필기구의 선단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성한 필기구로서, 상기 축통의 측벽에 형성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구멍과, 상기 슬라이드 구멍에 배치한 상기 조작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필기체의 펜 끝을 몰입 상태로부터 돌출 상태로 하는 출몰 기구를 가지고, 상기 출몰 기구로서, 원둘레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캠기어 및 캠홈과, 상기 필기체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캠기어 또는 상기 캠홈에 교대로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돌조를 가지는 회전 부재와, 상기 조작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 부재를 회동시키는 복수의 다른 캠기어와, 상기 필기체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탄발체를 상기 축통내에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에는, 상기 축통내에 수용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를 마련하고, 상기 축부와 상기 회전 부재가, 축방향의 유격(裕隔:end play)을 가지는 상태로 서로 걸어멈춰지고, 상기 탄발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조작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돌조를, 상기 캠기어 또는 상기 캠홈에 교대로 축방향의 다른 위치에서 걸어맞춰서, 상기 필기체의 펜 끝을 교대로 돌출 상태 또는 몰입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前)」이나 「전단(前端)」이란, 펜 끝 방향을 가리키고, 「후(後)」나 「후단(後端)」이란, 그 반대측, 즉 클립 방향을 가리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 「펜 끝 몰입 상태」란, 펜 끝이 축통내에 몰입한 상태를 말하고, 「펜 끝 돌출 상태」란, 펜 끝이 축통의 전단보다 외부에 돌출된 상태를 말한다. 또, 본 발명에서, 「펜 끝 몰입 조작」이란, 펜 끝 돌출 상태로부터 펜 끝 몰입 상태로 하는 조작을 말하고, 「펜 끝 돌출 조작」이란, 펜 끝 몰입 상태로부터 펜 끝 돌출 상태로 하는 조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열변색성 필기구는, 마찰부를 이용하여 안정된 마찰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또, 마찰부가 손때 등으로 더러워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게다가, 외관 디자인상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스마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필기구는, 클립체를 슬라이드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동시에, 축통 전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본 발명의 필기구는, 이하의 작용 효과를 가진다.
(1) 조작 방법이 간단하고, 사용자가 조작 방법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다.
(2) 펜 끝 돌출 상태에 있어서 조작체의 부주의한 축방향의 이동이 억제된다.
(3) 조작체를 슬라이드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축통 전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4) 종래의 다심 타입의 사이드 슬라이드식의 필기구에 비해서, 돌출부분이 적고, 외관 디자인상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스마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펜 끝 몰입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펜 끝 돌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축(前軸)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중간축의 확대 종단면도 및 회전 부재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후축(後軸)의 확대 종단면도 및 마찰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클립체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클립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열변색성 잉크의 변색 거동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펜 끝 몰입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펜 끝 돌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1의 펜 끝 돌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1의 전축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1의 중간축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20은, (a)가 도 19의 C―C선 단면도, (b)가 도 19의 D―D선 단면도, (c)가 도 19의 E―E선 단면도, (d)가 도 19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1의 중간축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1의 후축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1의 후축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1의 후축과 마찰부와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1의 클립체를 생략한 주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11의 클립체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11의 클립체의 원통체를 제외한 클립체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11의 클립체의 원통체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0은, 도 11의 클립체의 원통체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11의 클립체의 원통체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11의 회전 부재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3은, 도 11의 회전 부재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11의 클립체 주요부, 원통체, 회전 부재, 중간축, 및 후축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5는, 도 11의 펜 끝 돌출 상태(도 17)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전반적 설명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는, 내부에 열변색성 잉크를 수용한 필기체를 축통내에 수용하고, 상기 축통에 마련한 조작체를 조작하여 상기 필기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필기체의 펜 끝을 필기구의 선단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성한 열변색성 필기구로서, 상기 열변색성 잉크의 필적을 마찰하고 그때에 생기는 마찰열로 상기 필적을 열변색할 수 있는 마찰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체로서의 클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마찰부를 상기 축통의 후단에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축통에 있어서의 후단 이외의 부위에 상기 클립체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마찰부를, 클립체(조작체)로부터 독립시켜서 축통의 후단에 마련한 것에 의해, 마찰 조작시에, 마찰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고, 마찰부를 이용한 마찰 조작이 안정된 것으로 된다. 또, 펜 끝 출몰의 조작을 할 때에 마찰부에 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마찰부가 손때 등으로 더러워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본 발명의 열변색성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로서 단일의 상기 클립체만을 구비하고, 단일의 상기 클립체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필기체의 펜 끝을 돌출 상태 및 몰입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펜 끝 출몰의 조작을 단일의 클립체로 행할 수 있고, 축통에 복수의 조작체(즉 복수의 돌출부분)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게다가, 조작체인 클립체는, 포켓 등에 끼워 지지할 수 있는 클립을 겸하기 때문에, 외관상, 조작체로서의 돌출부분을 없앨 수 있고, 열변색성 필기구의 디자인상의 자유도를 증대시켜, 스마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열변색성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통이, 서로 연결 가능한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에, 상기 축통의 후단을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부품으로서의 후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축의 후단부에 상기 마찰부를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본 열변색성 필기구를 구성하는 축통은, 한 개의 통형상체여도 좋고, 복수의 부품을 서로 연결시켜서 한 개의 통형상체로 되는 것이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본 발명의 열변색성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통의 측벽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구멍에 배치한 상기 클립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필기체의 펜 끝을 몰입 상태로부터 돌출 상태로 하는 출몰 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클립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펜 끝을 돌출 상태 및 몰입 상태로 할 수 있고(이른바 더블 노크식의 출몰 기구), 조작 방법이 간단하고, 사용자가 조작 방법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본 발명의 열변색성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통이, 서로 연결 가능한 2 이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통을 구성하는 두 개의 상기 부품의 각 측벽에, 전단 또는 후단이 개방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또는 제2의 장공을 각각 형성하고, 두 개의 상기 부품을 연결했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의 장공이, 서로 연이어 통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후방에 개방된 제1의 장공과, 전방에 개방된 제2의 장공으로 슬라이드 구멍을 형성한 경우는, 축통을 구성하는 두 개의 부품을 연결할 때(즉 슬라이드 구멍을 형성할 때)에, 제1 및 제2의 장공의 개방단을 통하여, 클립체의 부착부분을 슬라이드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클립체와 축통을 효율적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본 발명의 열변색성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통을 구성하는 두 개의 상기 부품의 각 측벽을,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장공이,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연이어 통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및 제2의 장공을,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연이어 통하게 한 것에 의해, 축통 전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의 장공의 중복 부분은 슬라이드 구멍의 전체 길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다. 한편,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는」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본 발명의 열변색성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통을 구성하는 하나의 상기 부품에 형성한 상기 제1의 장공에 상기 클립체의 기초부를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축통을 구성하는 다른 상기 부품에 형성한 상기 제2의 장공에 상기 클립체의 기초부를 삽입하면서, 다른 상기 부품을 하나의 상기 부품에 연결시켜, 상기 제2의 장공을 상기 제1의 장공에 연이어 통하게 하여 상기 슬라이드 구멍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쳐서 상기 클립체를 상기 슬라이드 구멍에 조립부착한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클립체를 슬라이드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제1의 장공에 삽입한 클립체의 기초부를 가이드로 하고, 제1 및 제2의 장공의 위치 맞춤과, 하나의 부품과 다른 부품의 연결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본 발명의 열변색성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출몰 기구로서의 캠 기구를 상기 축통내에 구비하고, 상기 캠 기구에는, 교대로 축방향이 다른 위치에서 걸어맞출 수 있는 캠부 및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캠부 및 상기 돌기를 교대로 축방향이 다른 위치에서 걸어맞춰서, 상기 필기체의 펜 끝을 교대로 돌출 상태 또는 몰입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몰 기구로서, 원둘레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캠기어 및 캠홈과, 상기 필기체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캠기어 또는 상기 캠홈에 교대로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돌조를 가지는 회전 부재와, 상기 클립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 부재를 회동시키는 복수의 다른 캠기어와, 상기 필기체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탄발체를 상기 축통내에 구비하고, 상기 탄발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클립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돌조를 상기 캠기어 또는 상기 캠홈에 교대로 맞물려져서, 상기 필기체의 펜 끝을 교대로 돌출 상태 또는 몰입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캠 기구를 이용하고, 클립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만으로 펜 끝을 돌출 상태 및 몰입 상태로 할 수 있는 더블 노크식의 출몰 기구를 구성할 수 있고, 본 열변색성 필기구의 조작 방법이 극히 간단하게 되어, 사용자가 조작 방법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본 열변색성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클립체가, 상기 축통내에 수용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를 가지고, 상기 축부와 상기 회전 부재가, 축방향의 유격을 가지는 상태로 서로 걸어멈춰지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클립체의 축부와 회전 부재가, 축방향의 유격을 가진 상태로 걸어멈춰지는 것에 의해, 펜 끝의 돌출 상태(즉, 캠기어와 돌조가 전방에서 걸어맞춤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슬라이드 구멍의 전방으로 이동한 클립체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그 결과, 펜 끝의 돌출 상태에 있어서 마찰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클립체의 근방을 파지했다고 해도, 클립체가 부주의하게 이동하는 일이 없고, 안정된 마찰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본 열변색성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보다 전방인 상기 축통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클립체의 전부 내면에 돌출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클립체의 축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홈 안을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클립체를 슬라이드 조작할 때에, 돌출부가 가이드 홈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고 클립체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기 때문에, 클립체의 횡방향(둘레방향) 등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의류의 포켓이나 수첩 등의 피지지물을 클립체에 끼워 지지시킬 때에, 피지지물이 돌출부와 가이드 홈과의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클립체의 끼워 지지하는 성능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본 열변색성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부의 일부가 펜 끝 몰입 상태의 클립체에 접촉해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펜 끝을 돌출 상태로부터 펜 끝 몰입 상태로 할 때에, 슬라이드 구멍의 후방으로 이동한 클립체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이때에 필기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필기체내의 잉크의 역류 등이나 펜 끝으로부터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본 열변색성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통의 후단 또는 상기 후축의 후단부에 압입, 걸어맞춤, 나사식 결합, 끼워맞춤, 접착, 2색 성형에 의해서 고착하고, 또는 상기 축통의 전체 혹은 상기 후축의 전체를, 상기 마찰부로서의 탄성 재료로 형성한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축통의 후단에 마찰부를 충분히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마찰 조작시에, 마찰부가 후방으로 이동하거나, 탈락하거나 하는 일이 없고, 마찰부를 이용한 마찰 조작이 안정된 것으로 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형태 <1>∼<14>에 대해서, 도 1∼35의 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한다.
<1>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필기체(9)의 내부에 열변색성 잉크를 수용하고, 상기 필기체(9)의 전단에 상기 열변색성 잉크를 토출할 수 있는 펜 끝(91)을 마련하고, 축통(2)내에 상기 필기체(9)가 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필기체(9)의 펜 끝(91)을 축통(2)의 전단 구멍(31)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성한 열변색성 필기구로서, 상기 축통(2)의 측벽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구멍(21)으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쪽에 클립체(7)를 돌출시켜, 상기 클립체(7)를 상기 슬라이드 구멍(21)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펜 끝 몰입 상태로부터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에 의해 펜 끝(91)을 축통(2)의 전단 구멍(31)으로부터 돌출 상태로 하고, 펜 끝 돌출 상태로부터 클립체(7)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펜 끝(91)을 몰입 상태로 하는 출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축통(2)의 후단에, 상기 열변색성 잉크의 필적을 마찰하고 그때에 생기는 마찰열로 상기 필적을 열변색할 수 있는 마찰부(10)를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마찰부(10)를 축통(2)의 후단에 마련한 것에 의해, 마찰 조작시, 마찰부(10)의 뒤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마찰부(10)를 이용하여 안정된 마찰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펜 끝 출몰의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클립체(7)에 마련하고, 마찰부(10)를 클립체(7)(조작부)로부터 독립시킨 것에 의해, 펜 끝(91)을 출몰할 때, 클립체(7)를 조작하고, 마찰부(10)를 조작하지 않기 때문에, 마찰부(10)가 손때 등으로 더러워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축통(2) 외면에 클립체(7)를 마련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다심 타입의 사이드 슬라이드식의 열변색성 필기구에 비해서, 돌출부분이 적고, 외관 디자인상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스마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립체(7)는, 축통(2) 외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의류의 포켓이나 수첩 등의 피지지물에 끼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10)는, 적어도 마찰 조작시에, 상기 마찰부(10)를 축통(2)의 후단에 고정하는 구성이면 좋고, 예를 들면, 마찰부(10)가, 펜 끝 출몰 조작 이외의 조작에 의해 축통(2) 후단으로부터 출몰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펜 끝 돌출 상태로부터 클립체(7)를 조작한다는 것은, 펜 끝 돌출 상태를 해제하는 조작이며, 예를 들면,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 클립체(7)를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압압 조작하는 것, 또는 클립체(7)를 회전 조작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마찰 조작시란, 마찰부(10)를 이용하여 마찰 조작할 때를 말한다. 상기 마찰 조작시에 있어서, 펜 끝 돌출 상태 또는 펜 끝 몰입 상태의 모두라도 좋다.
<2>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제1의 발명의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출몰 기구가, 회전 캠 기구를 이용한 사이드 슬라이드식 출몰 기구이며, 축통(2) 내면에 형성된 캠부(41)와, 상기 캠부(41)에 걸어맞춤되고 또한 필기체(9)의 후단에 접촉하는 회전 부재(6)와, 상기 회전 부재(6)에 걸어맞춤되는 캠기어(73a, 74a)를 구비한 상기 클립체(7)와, 상기 축통(2)내에 수용되고 또한 필기체(9)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탄발체(8)로 이루어지고, 펜 끝 돌출 조작 및 펜 끝 몰입 조작의 모두가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타입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출몰 기구가, 회전 캠 기구를 이용한 사이드 슬라이드식 출몰 기구이며, 펜 끝 돌출 조작 및 펜 끝 몰입 조작의 모두가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타입(이른바 더블 노크식의 출몰 기구)이기 때문에, 조작 방법이 간단하고, 사용자가 조작 방법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다.
<3> 제3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발명의 열변색성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축통(2)이, 전축(3)과, 상기 전축(3)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중간축(4)과, 상기 중간축(4)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후축(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축(3)의 전단에 펜 끝(91)이 출몰 가능한 전단 구멍(31)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축(4)의 내면에 캠부(41)를 마련하고, 중간축(4)의 후단부에, 후방으로 개방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의 장공(44)을 형성하고, 상기 후축(5)의 전단부에, 전방으로 개방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의 장공(51)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축(4)의 후단부와 상기 후축(5)의 전단부를, 제1의 장공 (44)과 제2의 장공(51)이 연이어 통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의 장공(44)과 상기 제2의 장공(51)에 의해 축통(2)의 측벽에 상기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하고, 상기 후축(5)의 후단 외면에 마찰부(10)를 고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3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후방으로 개방된 제1의 장공(44)과 전방으로 개방된 제2의 장공(51)에 의해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한 것에 의해서, 상기 중간축(4)과 상기 후축(5)을 연결할 때(즉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할 때)에, 클립체(7)를 제1의 장공(44)과 제2의 장공(51)에 삽입할 수 있고, 클립체(7)를 슬라이드 구멍(2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클립체(7)와 축통(2)과의 용이한 삽입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4> 제4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제3의 발명의 열변색성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중간축(4)의 측벽과 상기 후축(5)의 측벽을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의 장공(44)과 상기 제2의 장공(51)을 지름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4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중간축(4)의 측벽과 상기 후축(5)의 측벽을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의 장공(44)과 상기 제2의 장공(51)을 지름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게 한 것에 의해, 축통(2) 전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축(4)의 측벽과 상기 후축(5)의 측벽을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중간축(4)의 측벽 외면과 후축(5)의 측벽 내면을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예를 들면 끼워맞춤이나 나사식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중간축(4)의 측벽 내면과 후축(5)의 측벽 외면을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예를 들면 끼워맞춤이나 나사식 결합)시키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축 (4)의 측벽과 상기 후축(5)의 측벽을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하는 구성은, 적어도, 상기 중간축(4)의 측벽의 일부와 상기 후축(5)의 측벽의 일부가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하는 구성이면 좋다.
<5> 제5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제2, 제3 또는 제4의 발명의 열변색성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클립체(7)가, 상기 축통(2)내에 수용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73)를 가지고, 상기 축부(73)와 상기 회전 부재(6)가, 서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서로 축방향의 유격을 가진 상태로 축방향으로 걸어멈춰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5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클립체(7)가, 상기 축통(2)내에 수용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73)를 가지고, 상기 축부 (73)와 상기 회전 부재(6)가, 서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서로 축방향의 유격을 가진 상태로 축방향으로 걸어멈춰지는 것에 의해, 펜 끝 돌출 상태에 있어서, 회전 부재(6)가 캠부(41)의 캠기어(41a)에 걸어멈춰지고, 회전 부재(6)의 후방 이동이 저지되는 동시에, 클립체(7)의 부주의한 축방향의 이동이 억제된다. 그 결과, 펜 끝 돌출 상태로 클립체(7)의 근방을 파지해도, 안정된 마찰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6> 제6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제1 내지 제5의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열변색성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21)보다 전방인 상기 축통(2)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48)을 형성하고, 상기 클립체(7)의 전부 내면에 돌출부(71a)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클립체(7)의 축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가이드 홈(48)내를 상기 돌출부(71a)가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6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슬라이드 구멍(21)보다 전방인 상기 축통(2)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48)을 형성하고, 상기 클립체(7)의 전부 내면에 돌출부(71a)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클립체 (7)의 축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가이드 홈(48)내를 상기 돌출부(71a)가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것에 의해, 클립체의 지지 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클립체(7)의 횡방향(둘레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7> 제7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제1 내지 제6의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열변색성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10)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부(10)의 일부가 펜 끝 몰입 상태의 클립체(7)에 접촉해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7의 실시형태에 관한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마찰부(10)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부(10)의 일부가 펜 끝 몰입 상태의 클립체(7)에 접촉해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펜 끝 돌출 상태로부터 펜 끝 몰입 상태로 할 때, 탄발체(8)의 후방 가압에 의해 필기체(9) 및 클립체(7)가 후방 이동하고, 클립체 (7)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부(10)가 접촉되기 때문에, 그때에 필기체(9)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필기체(9)내의 잉크의 역류 등이나 펜 끝(91)으로부터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8> 제8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기구(1)는, 필기체(9)를 축통(2)내에 수용하고, 상기 축통(2)에 마련한 조작체를 조작하고 상기 필기체(9)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필기체(9)의 펜 끝(91)을 필기구(1)의 선단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성한 필기구(1)로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작체로서의 클립체(7)와, 상기 축통 (2)의 측벽에 형성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구멍(21)과, 상기 슬라이드 구멍(21)에 배치한 상기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필기체(9)의 펜 끝(91)을 몰입 상태로부터 돌출 상태로 하는 출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축통(2)이 서로 연결 가능한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통(2)을 구성하는 두 개의 상기 부품의 각 측벽에, 전방 또는 후방이 개방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또는 제2의 장공(44, 51)을 각각 형성하고, 두 개의 상기 부품을 연결했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의 장공(44, 51)이, 서로 연이어 통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9> 제9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기구(1)는, 상기 제8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축통(2)을 구성하는 두 개의 상기 부품의 각 측벽을,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장공(44, 51)이,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연이어 통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10> 제10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기구(1)는, 상기 축통(2)의 후단을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부품으로서의 후축(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축(5)에 연결되는 다른 상기 부품과, 상기 후축(5)을 연결했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의 장공(44, 51)이, 서로 연이어 통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8∼10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기구(1)는, 전방 또는 후방에 개방된 제1의 장공(44)과 제2의 장공(51)으로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한 것에 의해서, 클립체(7)를 슬라이드 구멍(2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장공 (44, 51)을,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연이어 통하게 한 것에 의해, 축통 (2) 전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의 장공(44, 51)의 중복 부분은 슬라이드 구멍(21)의 전체 길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다.
<11> 제11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기구(1)는, 필기체(9)를 축통(2)내에 수용하고, 축통(2)에 마련한 조작체(7)를 조작하고 상기 필기체(9)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필기체(9)의 펜 끝(91)을 필기구(1)의 선단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성한 필기구(1)로서, 상기 축통(2)의 측벽에 형성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구멍(21)과, 상기 슬라이드 구멍(21)에 배치한 상기 조작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필기체(9)의 펜 끝(91)을 몰입 상태로부터 돌출 상태로 하는 출몰 기구를 가지고, 상기 출몰 기구로서, 원둘레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캠기어(41a) 및 캠홈(41b)과, 상기 필기체 (9)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캠기어(41a) 또는 상기 캠홈(41b)에 교대로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돌조(61)를 가지는 회전 부재(6)와, 상기 조작체 (7)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 부재(6)를 회동시키는 복수의 다른 캠기어(73a)와, 상기 필기체(9)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탄발체(8)를 상기 축통(2)내에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7)에는, 상기 축통(2)내에 수용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73)를 마련하고, 상기 축부(73)와 상기 회전 부재(6)가, 축방향의 유격을 가지는 상태로 서로 걸어멈춰지고, 상기 탄발체(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조작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돌조(61)를, 상기 캠기어(41a) 또는 상기 캠홈(41b)에 교대로 축방향이 다른 위치에서 맞물려져서, 상기 필기체(9)의 펜 끝(91)을 교대로 돌출 상태 또는 몰입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1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기구(1)는, 출몰 기구가, 회전 캠 기구를 이용한 사이드 슬라이드식 출몰 기구이며, 펜 끝 돌출 조작 및 펜 끝 몰입 조작의 모두가 조작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타입(이른바 더블 노크식의 출몰 기구)이기 때문에, 조작 방법이 간단하고, 사용자가 조작 방법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작체(7)가, 상기 축통(2)내에 수용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73)를 가지고, 상기 축부(73)와 상기 회전 부재(6)가, 서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서로 축방향의 유격을 가진 상태로 축방향으로 걸어멈춰지는 것에 의해, 펜 끝 돌출 상태에 있어서, 회전 부재(6)가 캠부(41)의 캠기어(41a)에 걸어멈춰지고, 회전 부재(6)의 후방 이동이 저지되는 동시에, 조작체(7)의 부주의한 축방향의 이동이 억제된다.
<12> 제12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기구(1)는, 상기 축통(2)이 서로 연결 가능한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통(2)을 구성하는 두 개의 상기 부품의 각 측벽에, 전방 또는 후방이 개방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또는 제2의 장공(44, 51)을 각각 형성하고, 두 개의 상기 부품을 연결했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의 장공(44, 51)이, 서로 연이어 통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2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기구(1)는, 전방 또는 후방에 개방된 제1의 장공(44)과 제2의 장공(51)으로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한 것에 의해서, 클립체 (7)의 축부(73)를 슬라이드 구멍(2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13> 제13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기구(1)는, 상기 축통(2)을 구성하는 두 개의 상기 부품의 각 측벽을,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장공(44, 51)이,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로 연이어 통해서 상기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3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기구(1)는, 상기 중간축(4)의 측벽과 상기 후축(5)의 측벽을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의 장공(44)과 상기 제2의 장공(51)을 지름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게 한 것에 의해, 축통(2) 전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축(4)의 측벽과 상기 후축(5)의 측벽을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중간축(4)의 측벽 외면과 후축(5)의 측벽 내면을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예를 들면 끼워맞춤이나 나사식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중간축(4)의 측벽 내면과 후축(5)의 측벽 외면을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예를 들면 끼워맞춤이나 나사식 결합)시키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축(4)의 측벽과 상기 후축(5)의 측벽을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하는 구성은, 적어도, 상기 중간축(4)의 측벽의 일부와 상기 후축(5)의 측벽의 일부가 서로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하는 구성이면 좋다.
<14> 제14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기구(1)는, 상기 조작체(7)를, 클립 본체 (71)가 상기 슬라이드 구멍(21)으로부터 돌출하는 클립체(7)로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4의 실시형태의 필기구(1)는, 축통(2) 외면에 클립체(7)를 마련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다심 타입의 사이드 슬라이드식의 필기구에 비해서, 돌출부분이 적고, 외관 디자인상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스마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클립체(7)는, 축통(2) 외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의류의 포켓이나 수첩 등의 피지지물에 끼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10)는, 적어도 마찰 조작시에, 상기 마찰부(10)를 축통(2)의 후단에 고정하는 구성이면 좋고, 예를 들면, 마찰부(10)가, 펜 끝 출몰 조작 이외의 조작에 의해 축통(2) 후단으로부터 출몰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마찰 조작시란, 마찰부(10)를 이용하여 마찰 조작할 때를 말한다. 상기 마찰 조작시에 있어서, 펜 끝 돌출 상태 또는 펜 끝 몰입 상태의 모두라도 좋다. 한편, 상술한 제8∼제14의 실시형태에 관한 필기구(1)에 이용하는 잉크는, 열변색성 잉크라도 이것 이외의 잉크라도 좋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설명
<제1의 실시형태>
도 1 및 도 9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축통(2)과, 상기 축통(2)내에 수용되는 필기체(9)와, 상기 필기체(9)의 펜 끝을 축통(2)의 전단 구멍(31)으로부터 출몰을 자유롭게 하는 출몰 기구를 구비한다.
·필기체
상기 필기체(9)는, 펜 끝(91)과, 상기 펜 끝(91)이 전단 개구부에 압입 고착된 잉크 수용관(92)과, 상기 잉크 수용관(92)내에 충전되는 열변색성 잉크와, 상기 열변색성 잉크의 후단에 충전되고 또한 상기 열변색성 잉크의 소비에 수반하여 전진하는 추종체(追從體)(예를 들면 고점도 유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펜 끝(91)은, 예를 들면,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볼을 감싸서 지지한 금속제의 볼펜칩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성, 또는 상기 볼펜칩의 후부 외면을 유지한 합성수지제의 펜 끝 홀더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잉크 수용관(92)의 후단 개구부에, 잉크 수용관(92)과 외부를 통기할 수 있는 통기구멍을 구비한 후미 마개가 장착된다. 상기 펜 끝(91)의 내부에는, 전단의 볼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스프링이 수용된다. 상기 스프링은, 압축 코일 스프링의 전단부에 로드부를 구비한 구성이며, 상기 로드부의 전단이 볼 후면에 접촉하고 있다. 비(非) 필기시, 상기 스프링의 전방 가압에 의해 볼이 볼펜칩 전단의 내향의 전단 가장자리부 내면에 밀접되고, 펜 끝(91)의 전단으로부터의 잉크의 누출 및 잉크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축통
상기 축통(2)은, 끝이 가는 원통형상의 전축(3)과, 상기 전축(3)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중간축(4)과, 상기 중간축(4)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후축(5)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 전축(3)을 나타낸다. 상기 전축(3)은,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끝이 가는 원통형상의 본체(3a)와, 상기 본체 (3a) 외면에 마련되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파지부(3b)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부(3b)는, 2색 성형 또는 장착에 의해 마련된다. 상기 전축(3)의 후단부는 축경(縮徑)되고, 그 외면에는 숫나사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전축(3)의 전단에는, 전단 구멍(31)이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도 6에 중간축(4)을 나타낸다. 상기 중간축(4)은, 원통형상의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성형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축(4)의 전단부 내면에는, 암나사부(46)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46)에 상기 전축(3)의 숫나사부(32)가 나사식 결합 가능하다. 상기 중간축(4)의 후단부에는, 축경부(縮徑部) (4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축경부(43)에는, 전단이 폐쇄되고 또한 후단이 개방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의 장공(44)이 형성된다. 게다가, 상기 축경부(43)의 외면에는 외향 돌기(45)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축경부(43)보다 전방인 상기 중간축(4)의 내면에는, 단차부(4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42)보다도 전방인 상기 중간축(4)의 내면(상기 중간축(4)의 제1의 장공(44)보다도 전방인 내면)에는, 캠부(4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단차부(42)는, 상기 캠부(41)의 후방 또한 제1의 장공(44)의 전방(즉 캠부(41)와 제1의 장공(44)과의 사이)의 중간축(4)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중간축(4)의 외면에는, 걸어멈춤 돌기(47)가 일체로 형성된다. 펜 끝 몰입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 돌기(47)와 클립체(7)의 돌출부(71a)와의 사이에서 포켓 등의 피지지물을 끼워 지지할 수 있다.
도 7에 후축(5)을 나타낸다. 상기 후축(5)은, 원통형상의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성형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축(5)의 전단부 측벽에는, 전단이 개방되고 또한 후단이 폐쇄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의 장공(51)이 형성된다. 또, 상기 후축(5)의 후단에는, 부착구멍(52)이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부착구멍(52)에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부(10)가 압입 끼워맞춰진다. 그것에 의해, 상기 후축(5)의 후단 외면에 마찰부(10)가 고정된다. 또, 상기 후축(5)의 내면에는, 내향 돌기(5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의 장공(51)의 폭치수는, 상기 제1의 장공(44)의 폭치수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그것에 의해, 슬라이드 구멍(21)을 따라서 클립체(7)의 축방향의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에 클립체(7)를 나타낸다. 상기 클립체(7)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립 본체(71)와, 상기 클립 본체(71)의 후부에 일체로 연달아 형성되는 기초부(72)와, 상기 기초부(72)와 일체로 연달아 형성되고 또한 기초부(72)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축부(73)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립체(7)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성형체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클립 본체(71)는, 이면에 돌출부 (71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축부(73)의 전단에는, 캠기어(73a)가 일체로 형성된다.
·클립체의 조립
상기 클립체(7)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중간축(4)의 제1의 장공 (44)의 후단 개방부로부터, 상기 제1의 장공(44)내에 클립체(7)의 기초부(72)를 삽입하는 동시에, 클립체(7)의 축부(73)를 중간축(4)내에 삽입한다. 그 후, 중간축 (4)의 제1의 장공(44)과 후축(5)의 제2의 장공(51)을 지름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도록(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후축(5)의 내면을 상기 중간축(4)의 축경부 (43)의 외면에 끼워맞추게 하는 동시에, 클립체(7)의 기초부(72)를, 제2의 장공 (51)의 전단 개방부로부터, 상기 제2의 장공(51)에 삽입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중간축(4)과 상기 후축(5)이 연결되고, 상기 제1의 장공(44)과 제2의 장공(51)에 의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구멍(21)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구멍(21)보다 지름 방향 바깥쪽에 클립체(7)(클립 본체(71) 및 기초부(72)의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클립체(7)가 슬라이드 구멍(21)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이때, 상기 중간축(4)의 축경부(43) 외면의 외향 돌기(45)와 후축(5)의 내면의 내향 돌기(53)가 뛰어넘어서 걸어맞춰진다.
상기 마찰부(10)가 고정된 후축(5)을 중간축(4)의 후단부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마찰부(10)가 축통(2)의 후단에 상시 고정된다. 또, 전축(3)과 중간축(4)이 나사식 결합에 의해 탈착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그것에 의해, 필기체(9)를 교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출몰 기구
상기 출몰 기구는, 회전 캠 기구를 이용한 사이드 슬라이드식 출몰 기구이다. 상기 출몰 기구는, 중간축(4) 내면에 형성된 캠부(41)와, 상기 캠부(41)에 걸어맞춤되고 또한 필기체(9)의 후단에 접촉하는 회전 부재(6)와, 상기 회전 부재(6)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슬라이드 구멍(21)보다 지름 방향 바깥쪽에 돌출하는 클립체 (7)와, 축통(2)내에 수용되고 또한 필기체(9)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탄발체(8)(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의 형태의 출몰 기구는, 펜 끝 돌출 조작 및 펜 끝 몰입 조작의 모두가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더블 노크식이다. 상기 회전 부재(6)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수지)의 성형체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캠부(41)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톱니형상의 복수의 캠기어(41a)와, 상기 캠기어(41a) 사이에 형성되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캠홈(41b)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 부재(6)는, 그 외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돌조(61)를 구비하고, 상기 돌조(61)가, 캠부(41)의 캠기어(41a) 및 캠부 (41)의 캠홈(41b)과 맞물려 걸어맞춰진다. 상기 클립체(7)의 축부(73)의 전단에는, 회전 부재(6)의 돌조(61)의 후단과 맞물려 걸어맞추는 캠기어(73a)가 일체로 형성된다.
·펜 끝의 출몰
펜 끝 몰입 상태로부터 클립체(7)를 전방으로, 탄발체(8)에 의한 후방 가압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조작하면, 클립체(7)의 축부(73)의 캠기어(73a)에 의해서 회전 부재(6)가 전방으로 압압되고, 상기 회전 부재(6)의 돌조(61)가 캠홈(41b)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데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 부재(6)가 필기체(9)의 후단을 전방으로 압압하고, 펜 끝(91)이 전단 구멍(3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축부(73)의 캠기어(73a)와 상기 회전 부재(6)의 돌조(61)와의 접촉에 의해서 회전 부재(6)가 캠부(41)에 대해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그것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6)의 돌조(61)가 캠부(41)의 캠기어(41a)에 맞물려 걸어맞춰지고, 펜 끝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펜 끝 돌출 상태로부터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클립체(7)의 축부(73)가 회전 부재(6)를 전방으로 압압하고, 상기 축부(73)의 캠기어(73a)와 상기 회전 부재(6)의 돌조(61)와의 접촉에 의해서 회전 부재(6)가 캠부(41)에 대해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그것에 의해서, 상기 돌조(61)와 캠부(41)의 캠기어 (41a)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고, 탄발체(8)에 의한 후방 가압에 의해, 상기 돌조(61)가 캠부(41)의 캠홈(41b)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회전 부재(6)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필기체(9)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펜 끝 몰입 상태로 된다.
상기 마찰부(10)는, 상기 클립체(7)의 축방향의 이동에 연동하지 않고, 후축(5)(축통(2))의 후단 외면에 고정된다. 상기 마찰부(10)는, 클립체(7)와 독립해서 마련된다.
·클립체의 다른 예
도 9에 클립체(7)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의 도 8의 클립체(7)와 다른 점은, 캠기어(74a)를 가지는 원통체(74)를 클립체(7)의 축부(73)에 장착했다는 점이며, 다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도 1 내지 도 8의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원통체(74)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수지)의 성형체에 의해 얻어진다.
·마찰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10)를 구성하는 탄성 재료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고무,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SBS 수지(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SEBS 수지(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불소계 수지, 클로로프렌 수지, 니트릴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PDM)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마찰부(10)를 구성하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는, 고마모성의 탄성 재료(예를 들면, 지우개 등)로 이루어지는 것보다도, 마찰시에 마모 찌꺼기(지우개 찌꺼기)가 거의 생기지 않는 저마모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마찰부(10)는, 축통(2)의 후단부 외면에 적어도 마련하면 좋고, 예를 들면, 축통(2)의 후단부 외면 혹은 후축(5)의 후단부 외면에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부(10)를 압입, 걸어맞춤, 나사식 결합, 끼워맞춤, 접착, 2색 성형 등에 의해서 고착하는 구성, 또는 축통(2)의 전체 혹은 후축(5)의 전체가 탄성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열변색성 잉크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열변색성 잉크는, 가역 열변색성 잉크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역 열변색성 잉크는, 발색 상태로부터 가열에 의해 소색(消色)하는 가열 소색형, 발색 상태 또는 소색 상태를 호변적(互變的)으로 특정 온도역(溫度域)으로 기억 유지하는 색채 기억 유지형, 또는, 소색 상태로부터 가열에 의해 발색하고, 발색 상태로부터의 냉각에 의해 소색 상태로 되돌아가는 가열 발색형 등, 여러 가지의 타입을 단독 또는 병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역 열변색성 잉크에 함유되는 색재(色材)는, 종래부터 공지된 (가) 전자 공여성 정색성(呈色性) 유기 화합물, (나) 전자 수용성 화합물, 및 (다) 상기 양자의 정색 반응의 발생 온도를 결정하는 반응 매체,의 필수 3성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가역 열변색성 조성물을 마이크로 캡슐중에 내포시킨 가역 열변색성 안료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온도 변화에 의한 착색 농도의 변화를 플롯한 곡선의 형상이, 온도를 변색 온도보다 저온측으로부터 상승시켜 가는 경우와 반대로 변색 온도역보다 고온측으로부터 하강시켜 가는 경우로 다른 경로를 따라서 변색하고, 완전 발색 온도(t1) 이하의 저온역에서의 발색 상태, 또는 완전 소색 온도(t4) 이상의 고온역에서의 소색 상태가, 특정 온도역〔t2∼t3의 사이의 온도역(실질적 2상(相) 유지 온도역)〕으로 기억 유지할 수 있는 색채 기억 유지형 열변색성 잉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있어서, △H는, 히스테리시스의 정도를 나타내는 온도폭(즉 히스테리시스폭)을 나타낸다. △H의 값이 작으면, 변색 축의 양(兩) 상태 중 한쪽의 상태밖에 존재할 수 없다. △H의 값이 크면, 변색 축의 각 상태의 유지가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열변색성 잉크의 마찰부(10)의 마찰열에 의한 변색 온도는, 25℃∼95℃(바람직하게는 36℃∼95℃)로 설정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고온측 변색점〔완전 소색 온도(t4)〕을, 25℃∼95℃(바람직하게는, 36℃∼90℃)의 범위로 설정하고, 상기 저온측 변색점〔완전 발색 온도(t1)〕을, ―30℃∼+20℃(바람직하게는, ―30℃∼+1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것에 의해, 상태(常態)(일상의 생활 온도영역)에서 나타나는 색채의 유지를 유효하게 기능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가역 열변색성 잉크에 따른 필적을 마찰부 (10)에 의한 마찰열로 용이하게 변색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마찰부(10)를 축통(2)의 후단 외면에 고정한 것에 의해, 마찰 조작시, 마찰부(10)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마찰부(10)를 이용하여 안정된 마찰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펜 끝 출몰의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클립체(7)에 마련하고, 마찰부(10)를 클립체(7)(조작부)로부터 독립시킨 것에 의해, 펜 끝 (91)을 출몰할 때, 클립체(7)를 조작하고, 마찰부(10)를 조작하지 않기 때문에, 마찰부(10)가 손때 등으로 더러워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축통(2) 외면에 클립체(7)를 마련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다심 타입의 사이드 슬라이드식의 열변색성 필기구에 비해서, 돌출부분이 적고, 외관 디자인상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스마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출몰 기구가, 회전 캠 기구를 이용한 사이드 슬라이드식 출몰 기구이며, 펜 끝 돌출 조작 및 펜 끝 몰입 조작의 모두가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타입(이른바 더블 노크식의 출몰 기구)이기 때문에, 조작 방법이 간단하고, 사용자가 조작 방법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후방으로 개방된 제1의 장공(44)과 전방으로 개방된 제2의 장공(51)에 의해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한 것에 의해서, 상기 중간축(4)과 상기 후축(5)을 연결할 때(즉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할 때)에, 클립체(7)를 제1의 장공(44)과 제2의 장공(51)에 삽입할 수 있고, 클립체(7)를 슬라이드 구멍(2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클립체(7)와 축통(2)과의 용이한 삽입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중간축(4)의 측벽과 상기 후축(5)의 측벽을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의 장공(44)과 상기 제2의 장공(51)을 지름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게 한 것에 의해, 축통(2) 전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마찰부(10)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부(10)의 일부가 펜 끝 몰입 상태의 클립체(7)에 접촉해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펜 끝 돌출 상태로부터 펜 끝 몰입 상태로 할 때, 탄발체(8)의 후방 가압에 의한 필기체(9) 및 클립체(7)가 후방 이동하고, 클립체(7)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부(10)가 접촉되기 때문에, 그때에 필기체(9)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필기체(9)내의 잉크의 역류나 펜 끝(91)으로부터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의 실시형태>
도 11 내지 도 35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축통(2)과, 상기 축통(2)내에 수용되는 필기체(9)와, 상기 필기체(9)의 펜 끝(91)을 축통(2)의 전단 구멍(31)으로부터 출몰을 자유롭게 하는 출몰 기구를 구비한다.
·필기체
상기 필기체(9)는, 펜 끝(91)과, 상기 펜 끝(91)이 전단 개구부에 압입 고착된 잉크 수용관(92)과, 상기 잉크 수용관(92)내에 충전되는 열변색성 잉크(93)와, 상기 열변색성 잉크(93)의 후단에 충전되고 또한 상기 열변색성 잉크(93)의 소비에 수반하여 전진하는 추종체(94)(예를 들면 고점도 유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펜 끝(91)은, 예를 들면,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볼을 감싸서 지지한 금속제의 볼펜칩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성, 또는 상기 볼펜칩의 후부 외면을 유지한 합성수지제의 펜 끝 홀더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잉크 수용관(92)의 후단 개구부에, 잉크 수용관(92)과 외부를 통기할 수 있는 통기구멍을 구비한 후미 마개(95)가 장착된다. 상기 펜 끝(91)의 내부에는, 전단의 볼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스프링이 수용된다. 상기 스프링은, 압축 코일 스프링의 전단부에 로드부를 구비한 구성이며, 상기 로드부의 전단이 볼 후면에 접촉하고 있다. 필기하지 않을 시, 상기 스프링의 전방 가압에 의해 볼이 볼펜칩 전단의 내향의 전단 가장자리부 내면에 밀접되고, 펜 끝(91)의 전단으로부터의 잉크의 누출 및 잉크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축통
상기 축통(2)은, 끝이 가는 원통형상의 전축(3)과, 상기 전축(3)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중간축(4)과, 상기 중간축(4)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원통형상의 후축(5)으로 이루어진다.
도 18에 전축(3)을 나타낸다. 상기 전축(3)은,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끝이 가는 원통형상의 본체(3a)와, 상기 본체(3a) 외면에 마련되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파지부(3b)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부(3b)는, 2색 성형 또는 본체(3a) 외면으로의 장착에 의해 마련된다. 상기 전축(3)의 후단부는 축경되고, 그 외면에는 숫나사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전축(3)의 전단에는, 전단 구멍(31)이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도 19 내지 도 21에 중간축(4)을 나타낸다. 상기 중간축(4)은, 원통형상의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성형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축 (4)의 전단부 내면에는, 암나사부(46)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46)에 상기 전축 (3)의 숫나사부(32)가 나사식 결합 가능하다. 상기 중간축(4)의 후단부에는, 축경부(4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축(4)의 후단부 측벽에는, 전단이 폐쇄되고 또한 후단이 개방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의 장공(44)이 형성된다. 게다가, 상기 축경부(43)의 외면에는 외향 돌기(45)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축경부(43)보다도 전방인 상기 중간축(4)의 내면에는, 단차부(4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42)보다 전방인 상기 중간축(4)의 내면에는, 캠부(4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제1의 장공(44)의 전단은, 상기 단차부(즉 상기 캠부(41)의 후단)보다도 약간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캠부(41)의 캠기어(41a)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 제1의 장공(44)보다 전방인 중간축(4)의 외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4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48)에, 클립체(7)의 돌출부(71a)가 상시 걸어맞춰지고, 클립체(7)의 축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클립체(7)의 돌출부(71a)가 상기 가이드 홈(48)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홈(48)과 돌출부(71a)에 의해서, 포켓 등의 피지지물이 강고하게 끼워 지지된다.
도 22 내지 도 25에 후축(5)을 나타낸다. 상기 후축(5)은, 원통형상의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성형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축(5)의 전단부 측벽에는, 전단이 개방되고 또한 후단이 폐쇄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의 장공(51)이 형성된다. 또, 상기 후축(5)의 후단에는, 부착구멍(52)이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부착구멍(52)에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부(10)가 압입 끼워맞춰진다. 그것에 의해, 상기 후축(5)의 후단 외면에 마찰부(10)가 고정된다. 또, 상기 후축(5)의 내면에는, 내향 돌기(5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의 장공(51)의 폭치수는, 상기 제1의 장공(44)의 폭치수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그것에 의해, 슬라이드 구멍(21)을 따라서 클립체(7)의 축방향의 부드러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27에 클립체(7)를 나타낸다. 상기 클립체(7)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립 본체(71)와, 상기 클립 본체(71)의 후부에 일체로 연달아 형성되는 기초부 (72)와, 상기 기초부(72)와 일체로 연달아 형성되고 또한 기초부(72)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축부(73)로 이루어지는 주요부(7a)와, 상기 축부(73)에 장착되는 원통체 (74)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립체(7)의 주요부(7a)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성형체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클립 본체(71)의 이면(내면)에 판 형상의 돌출부(71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축부(73)는, 대경부(大徑部)(73b)와, 상기 대경부(73b)보다 전방에 연달아 형성되는, 상기 대경부(73b)보다 작은 바깥지름을 가지는 소경부(小徑部) (73c)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경부(73b)의 외면에는 제1의 외향 돌기(73d)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73c)의 외면에는 제2의 외향 돌기(73e)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의 외향 돌기(73d) 및 제2의 외향 돌기(73e)는, 예를 들면, 환상 돌기 또는 복수개가 둘레형상으로 분산된 분산형상 돌기를 들 수 있다.
상기 클립체(7)의 기초부(72)의 외면 또는 축부(73)의 외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72a)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72a)가, 중간축(4)의 후단부 내면에 형성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홈(49)에 걸어맞춰지고, 상기 리브(72a)가 상기 홈 (49)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그것에 의해서, 클립체(7)의 둘레방향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1에 원통체(74)를 나타낸다. 상기 원통체(74)는, 상기 클립체(7)의 축부(73)의 외면에 장착된다. 상기 원통체(74)의 전단에는, 캠기어(74a)가 형성된다. 상기 원통체(74)의 내부에는, 안 구멍이 축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안 구멍의 내면에 내향 돌기(74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내향 돌기(74b)는, 클립체 (7)의 축부(73)의 외면의 제1의 외향 돌기(73d)와 뛰어넘어서 걸어맞춰지고, 클립체(7)와 원통체(74)가 일체로 되어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원통체(74)의 외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74c)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74c)가, 캠부(41)의 캠홈(41b)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지고, 그것에 의해서, 축통(2)내에서의 원통체(74)의 회전이 저지된다. 상기 원통체(74)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수지)의 성형체에 의해 얻어진다.
도 32 내지 도 33에 회전 부재(6)를 나타낸다. 상기 회전 부재(6)는, 그 외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돌조(61)를 구비하고, 상기 돌조(61)가, 캠부(41)의 캠기어(41a) 및 캠부(41)의 캠홈(41b)과 걸어맞춰진다. 상기 회전 부재(6)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안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부재(6)의 안 구멍의 내면에는 내향 돌기(6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부재(6)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수지)의 성형체에 의해 얻어진다.
도 35에, 펜 끝 돌출 상태에 있어서의 클립체(7)와 회전 부재(6)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회전 부재(6)의 내향 돌기(62)가, 클립체(7)의 제2의 외향 돌기(73e)와 뛰어넘어서 걸어맞춤된다. 그것에 의해, 클립체(7)와 회전 부재(6)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 회전 부재(6)가 축방향의 유격을 가지는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축방향의 유격(이동 가능량)은, 회전 부재(6)의 돌조(61)와 캠부(41)의 캠기어(41a)와의 걸어맞춤 및 해제가 가능한 정도의 작은 치수로 설정된다.
·클립체의 조립
상기 클립체(7)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중간축(4)의 제1의 장공 (44)의 후단 개방부로부터, 상기 제1의 장공(44)내에 클립체(7)의 기초부(72)를 삽입하는 동시에, 클립체(7)의 통 형상의 축부(73)를 중간축(4)내에 삽입한다. 그 후, 중간축(4)의 제1의 장공(44)과 후축(5)의 제2의 장공(51)을 지름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게 하도록(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상기 후축(5)의 내면을 상기 중간축(4)의 축경부(43)의 외면에 끼워맞춤하는 동시에, 클립체(7)의 기초부(72)를, 제2의 장공(51)의 전단 개방부로부터, 상기 제2의 장공(51)내에 삽입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중간축(4)과 상기 후축(5)이 연결되고, 상기 제1의 장공(44)과 제2의 장공(51)에 의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구멍(21)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구멍(21)보다 지름 방향 바깥쪽에 클립체(7)(클립 본체(71) 및 기초부 (72)의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클립체(7)가 슬라이드 구멍(21)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이때, 상기 중간축(4)의 축경부(43) 외면의 외향 돌기(45)와 후축(5)의 내면의 내향 돌기 (53)가 뛰어넘어서 걸어맞춰진다.
상기 마찰부(10)가 고정된 후축(5)을 중간축(4)의 후단부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마찰부(10)가 축통(2)의 후단에 상시 고정된다. 또, 전축(3)과 중간축(4)이 나사식 결합에 의해 탈착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그것에 의해, 필기체(9)를 교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출몰 기구
상기 출몰 기구는, 회전 캠 기구를 이용한 사이드 슬라이드식 출몰 기구이다. 상기 출몰 기구는, 중간축(4) 내면에 형성된 캠부(41)와, 상기 캠부(41)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필기체(9)의 후단에 접촉하는 회전 부재(6)와, 상기 회전 부재(6)에 걸어맞춰지고 또한 슬라이드 구멍(21)보다 지름 방향 바깥쪽에 돌출하는 클립체 (7)와, 축통(2)내에 수용되고 또한 필기체(9)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탄발체(8)(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의 형태의 출몰 기구는, 펜 끝 돌출 조작 및 펜 끝 몰입 조작의 모두가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더블 노크식이다.
상기 캠부(41)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톱니형상의 복수의 캠기어(41a)와, 상기 캠기어(41a) 사이에 형성되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캠홈(41b)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 부재(6)는, 그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예를 들면 4개)의 돌조(61)를 구비하고, 상기 돌조(61)가, 캠부(41)의 캠기어(41a) 및 캠부 (41)의 캠홈(41b)과 걸어맞춰진다. 상기 클립체(7)의 축부(73)에 장착된 원통체 (74)의 전단에는, 회전 부재(6)의 돌조(61)의 후단과 맞물리는 캠기어(74a)가 일체로 형성된다.
·펜 끝의 출몰
펜 끝 몰입 상태로부터 클립체(7)를 전방으로, 탄발체(8)에 의한 후방 가압에 저항하여 슬라이드 조작하면, 클립체(7)의 축부(73)에 장착된 원통체(74)에 의해서 회전 부재(6)가 전방으로 압압되고, 상기 회전 부재(6)의 돌조(61)가 캠홈 (41b)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데에 수반하여, 상기 회전 부재(6)가 필기체 (9)의 후단을 전방으로 압압하고, 펜 끝(91)이 전단 구멍(3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축부(73)에 장착된 원통체(74)의 캠기어(74a)와 상기 회전 부재(6)의 돌조(61)와의 접촉에 의해서 회전 부재(6)가 캠부(41)에 대해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그것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6)의 돌조(61)가 캠부(41)의 캠기어 (41a)에 걸어맞춰지고, 펜 끝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펜 끝 돌출 상태로부터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클립체(7)의 축부(73)에 장착된 원통체(74)가 회전 부재(6)를 전방으로 압압하고, 상기 원통체(74)의 캠기어(74a)와 상기 회전 부재(6)의 돌조(61)와의 접촉에 의해서 회전 부재(6)가 캠부(41)에 대해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그것에 의해서, 상기 돌조 (61)와 캠부(41)의 캠기어(41a)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고, 탄발체(8)에 의한 후방 가압에 의해, 상기 돌조(61)가 캠부(41)의 캠홈(41b)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회전 부재(6)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필기체(9)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펜 끝 몰입 상태로 된다.
·마찰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10)를 구성하는 탄성 재료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고무,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SBS 수지(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SEBS 수지(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불소계 수지, 클로로프렌 수지, 니트릴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PDM)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마찰부(10)를 구성하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는, 고마모성의 탄성 재료(예를 들면, 지우개 등)로 이루어지는 것보다도, 마찰시에 마모 찌꺼기(지우개 찌꺼기)가 대부분 생기지 않는 저마모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마찰부(10)는, 축통(2)의 후단부 외면에 적어도 마련하면 좋고, 예를 들면, 축통(2)의 후단부 혹은 후축(5)의 후단부에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부(10)를 압입, 걸어맞춤, 나사식 결합, 끼워맞춤, 접착, 2색 성형 등에 의해서 고착하는 구성, 또는 축통(2)의 전체 혹은 후축 (5)의 전체가 탄성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열변색성 잉크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열변색성 잉크는, 가역 열변색성 잉크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역 열변색성 잉크는, 발색 상태로부터 가열에 의해 소색하는 가열 소색형, 발색 상태 또는 소색 상태를 호변적으로 특정 온도역으로 기억 유지하는 색채 기억 유지형, 또는, 소색 상태로부터 가열에 의해 발색하고, 발색 상태로부터의 냉각에 의해 소색 상태로 되돌아가는 가열 발색형 등, 여러 가지의 타입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역 열변색성 잉크에 함유되는 색재는, 종래부터 공지의 (가) 전자 공여성 정색성 유기 화합물, (나) 전자 수용성 화합물, 및 (다) 상기 양자의 정색 반응의 발생 온도를 결정하는 반응 매체,의 필수 3성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가역 열변색성 조성물을 마이크로 캡슐중에 내포시킨 가역 열변색성 안료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온도 변화에 의한 착색 농도의 변화를 플롯한 곡선의 형상이, 온도를 변색 온도역보다 저온측으로부터 상승시켜 가는 경우와 반대로 변색 온도역보다 고온측으로부터 하강시켜 가는 경우로 다른 경로를 따라서 변색하고, 완전 발색 온도(t1) 이하의 저온역에서의 발색 상태, 또는 완전 소색 온도(t4) 이상의 고온역에서의 소색 상태가, 특정 온도역〔t2∼t3의 사이의 온도역(실질적 2상 유지 온도역)〕으로 기억 유지할 수 있는 색채 기억 유지형 열변색성 잉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있어서, △H는, 히스테리시스의 정도를 나타내는 온도폭(즉 히스테리시스폭)을 나타낸다. △H의 값이 작으면, 변색 축의 양 상태 중 한쪽의 상태밖에 존재할 수 없다. △H의 값이 크면, 변색 축의 각 상태의 유지가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열변색성 잉크의 마찰부(10)의 마찰열에 의한 변색 온도는, 25℃∼95℃(바람직하게는 36℃∼95℃)로 설정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고온측 변색점〔완전 소색 온도(t4)〕을, 25℃∼95℃(바람직하게는, 36℃∼90℃)의 범위로 설정하고, 상기 저온측 변색점〔완전 발색 온도(t1)〕을, ―30℃∼+20℃(바람직하게는, ―30℃∼+1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것에 의해, 상태(일상의 생활 온도역)로 나타내는 색채의 유지를 유효하게 기능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가역 열변색성 잉크에 따른 필적을 마찰부(10)에 의한 마찰열로 용이하게 변색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마찰부(10)를 축통(2)의 후단 외면에 고정한 것에 의해, 마찰 조작시, 마찰부(10)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마찰부(10)를 이용하여 안정된 마찰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펜 끝 출몰의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를 클립체(7)에 마련하고, 마찰부(10)를 클립체(7)(조작부)로부터 독립시킨 것에 의해, 펜 끝 (91)을 출몰할 때, 클립체(7)를 조작하고, 마찰부(10)를 조작하지 않기 때문에, 마찰부(10)가 손때 등으로 더러워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축통(2) 외면에 클립체(7)를 마련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다심 타입의 사이드 슬라이드식의 열변색성 필기구에 비해서, 돌출부분이 적고, 외관 디자인상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스마트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출몰 기구가, 회전 캠 기구를 이용한 사이드 슬라이드식 출몰 기구이며, 펜 끝 돌출 조작 및 펜 끝 몰입 조작의 모두가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타입(이른바 더블 노크식의 출몰 기구)이기 때문에, 조작 방법이 간단하고, 사용자가 조작 방법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후방에 개방된 제1의 장공(44)과 전방에 개방된 제2의 장공(51)에 의해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한 것에 의해서, 상기 중간축(4)과 상기 후축(5)을 연결할 때(즉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할 때)에, 클립체(7)를 제1의 장공(44)과 제2의 장공(51)에 삽입할 수 있고, 클립체(7)를 슬라이드 구멍(2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클립체(7)와 축통(2)과의 용이한 삽입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중간축(4)의 측벽과 상기 후축(5)의 측벽을 지름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연결하고, 상기 제1의 장공(44)과 상기 제2의 장공(51)을 지름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게 한 것에 의해, 축통(2) 전체가 불필요하게 길어지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클립체(7)가, 상기 축통(2)내에 수용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73)를 가지고, 상기 축부(73)와 상기 회전 부재(6)가, 서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서로 축방향의 유격을 가진 상태로 축방향으로 걸어멈춰지는 것에 의해, 펜 끝 돌출 상태에 있어서, 클립체(7)의 부주의한 축방향의 이동이 억제된다. 그 결과, 펜 끝 돌출 상태로 클립체(7)의 근방을 파지해도, 안정된 마찰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는, 상기 슬라이드 구멍(21)보다 전방인 상기 축통(2)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48)을 형성하고, 상기 클립체(7)의 전부 내면에 돌출부(71a)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클립체(7)의 축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가이드 홈(48)내를 상기 돌출부(71a)가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것에 의해, 클립을 끼워 지지하는 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클립체(7)의 횡방향(둘레방향)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열변색성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10)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부(10)의 일부가 펜 끝 몰입 상태의 클립체(7)에 접촉시킬 수도 있다. 그것에 의해, 펜 끝 돌출 상태로부터 펜 끝 몰입 상태로 할 때, 탄발체(8)의 후방 가압에 의해 필기체(9) 및 클립체(7)가 후방 이동하고, 클립체(7)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마찰부(10)가 접촉하기 때문에, 그때에 필기체(9)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필기체(9)내의 잉크의 역류 등이나 펜 끝(91)으로부터의 공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1 : 열변색성 필기구
2 : 축통
21 : 슬라이드 구멍
3 : 전축
31 : 전단 구멍
32 : 숫나사부
3a : 본체
3b : 파지부
4 : 중간축
41 : 캠부
41a : 캠기어
41b : 캠홈
42 : 단차부
43 : 축경부(縮徑部)
44 : 제1의 장공
45 : 외향 돌기
46 : 암나사부
47 : 걸어멈춤 돌기
48 : 가이드 홈
49 : 홈
5 : 후축
51 : 제2의 장공
52 : 부착구멍
53 : 내향 돌기
6 : 회전 부재
61 : 돌조
62 : 내향 돌기
7 : 클립체
71 : 클립 본체
71a : 돌출부
72 : 기초부
72a : 리브
73 : 축부
73a : 캠기어
73b : 대경부(大徑部)
73c : 소경부(小徑部)
73d : 제1의 외향 돌기
73e : 제2의 외향 돌기
74 : 원통체
74a : 캠기어
74b : 내향 돌기
74c : 가이드 돌기
7a : 주요부
8 : 탄발체
9 : 필기체
91 : 펜 끝
92 : 잉크 수용관
93 : 열변색성 잉크
94 : 추종체
95 : 후미 마개
10 : 마찰부

Claims (1)

  1. 필기체(9)의 내부에 열변색성 잉크(93)를 수용하고, 상기 필기체(9)의 전단에 상기 열변색성 잉크(93)를 토출할 수 있는 펜 끝(91)을 마련하고, 축통(2)내에 상기 필기체(9)가 후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필기체(9)의 펜 끝(91)을 축통(2)의 전단 구멍(31)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구성한 열변색성 필기구로서,
    상기 축통(2)의 측벽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구멍(21)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구멍(21)으로부터 바깥쪽에 클립체(7)를 돌출시켜, 상기 클립체(7)를 상기 슬라이드 구멍(21)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펜 끝 몰입 상태로부터 상기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펜 끝(91)을 상기 축통(2)의 전단 구멍(31)으로부터 돌출 상태로 하고, 펜 끝 돌출 상태로부터 상기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에 의해 펜 끝(91)을 상기 축통(2) 내로 몰입된 상태로 하는 출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출몰기구는 회전 캠기구를 이용한 사이드 슬라이드식 출몰기구이고, 적어도 상기 축통(2) 내면에 형성된 캠부(41)와, 상기 캠부(41)에 맞물려 걸어맞춤되고 또한 상기 필기체(9)의 후단에 접촉하는 회전 부재(6)와, 상기 축통(2)내에 수용되고 또한 필기체(9)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탄발체(8)로 이루어지고, 펜 끝 돌출 조작 및 펜끝 몰입 조작의 모두가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타입이고,
    상기 축통(2) 내면에 형성된 상기 캠부(41)는, 톱니 모양의 복수의 캠기어(41a)와 상기 캠기어(41a) 사이에 형성되는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캠홈(41b)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6)는 그 외면에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복수개의 돌조(61)를 구비하고, 상기 돌조(61)는, 상기 축통(2) 내면에 형성된 상기 캠부(41)의 상기 캠기어(41a) 및 상기 캠부 (41)의 캠홈(41b)과 맞물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클립체(7)는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클립 본체(71)와 상기 클립 본체(71)에 연달아 형성되는 기초부(72)와 상기 기초부(72)에 연달아 형성되고 상기 축통(2) 내에 수용되고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축부(73)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73)의 전단에는 상기 회전부재(6)의 돌조(61)의 후단과 맞물리는 복수의 캠기어(73a, 74a)가 형성되고,
    상기 탄발체(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클립체(7)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축부(73)의 상기 캠기어(73a, 74a)와 상기 회전부재(6)의 상기 돌조(61)와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회전부재(6)가 상기 캠부(41)에 대해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6)의 상기 돌조(61)가 상기 캠부(41)의 캠기어(41a)에 맞물려 걸어맞춰지면 펜 끝의 돌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회전부재(6)의 상기 돌조(61)가 상기 캠부(41)의 캠홈(41b)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하면 펜 끝의 몰입 상태가 유지되고,
    조작체인 상기 클립체는 끼워 지지할 수 있는 클립을 겸하고,
    상기 축통(2)의 후단에, 상기 열변색성 잉크(93)의 필적을 마찰하여, 그 때에 생기는 마찰열로 해당 필적을 열변색 가능하게 하는 마찰부(10)를 구비하고, 상기 마찰부(10)는 상기 클립체(7)의 축방향의 이동에 연동하지 않도록 상기 클립체(7)와 독립해서 마련되는, 열변색성 필기구.
KR1020217008884A 2010-02-03 2011-01-31 필기구 KR102319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22530 2010-02-03
JPJP-P-2010-022530 2010-02-03
JP2010121032 2010-05-26
JPJP-P-2010-121032 2010-05-26
JP2010145648A JP5698927B2 (ja) 2010-06-25 2010-06-25 筆記具
JPJP-P-2010-145650 2010-06-25
JPJP-P-2010-145648 2010-06-25
JP2010145649A JP5813929B2 (ja) 2010-02-03 2010-06-25 筆記具
JPJP-P-2010-145649 2010-06-25
JP2010145650A JP5706107B2 (ja) 2010-02-03 2010-06-25 熱変色性筆記具
KR1020207007322A KR102234299B1 (ko) 2010-02-03 2011-01-31 필기구
PCT/JP2011/051905 WO2011096357A1 (ja) 2010-02-03 2011-01-31 筆記具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322A Division KR102234299B1 (ko) 2010-02-03 2011-01-31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421A KR20210036421A (ko) 2021-04-02
KR102319864B1 true KR102319864B1 (ko) 2021-11-01

Family

ID=46755392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257A KR101898408B1 (ko) 2010-02-03 2011-01-31 필기구
KR1020187025804A KR102004110B1 (ko) 2010-02-03 2011-01-31 필기구
KR1020197021099A KR102098571B1 (ko) 2010-02-03 2011-01-31 필기구
KR1020127020210A KR101779233B1 (ko) 2010-02-03 2011-01-31 필기구
KR1020217008884A KR102319864B1 (ko) 2010-02-03 2011-01-31 필기구
KR1020207007322A KR102234299B1 (ko) 2010-02-03 2011-01-31 필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257A KR101898408B1 (ko) 2010-02-03 2011-01-31 필기구
KR1020187025804A KR102004110B1 (ko) 2010-02-03 2011-01-31 필기구
KR1020197021099A KR102098571B1 (ko) 2010-02-03 2011-01-31 필기구
KR1020127020210A KR101779233B1 (ko) 2010-02-03 2011-01-31 필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322A KR102234299B1 (ko) 2010-02-03 2011-01-31 필기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5) US9108456B2 (ko)
EP (4) EP3184320B1 (ko)
KR (6) KR101898408B1 (ko)
CN (4) CN105128559A (ko)
CA (1) CA2788724C (ko)
ES (3) ES2587078T3 (ko)
HK (5) HK1208410A1 (ko)
PL (3) PL3184320T3 (ko)
SG (3) SG10201900934WA (ko)
TW (2) TWI614148B (ko)
WO (1) WO2011096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6913B2 (ja) * 2010-05-14 2015-02-25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出没式筆記具
JP5951220B2 (ja) * 2011-10-31 2016-07-13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出没式筆記具
EP2873533B1 (en) * 2012-06-28 2020-09-02 Pilot Corporation Retractable ballpoint pen
JP6084381B2 (ja) * 2012-06-28 2017-02-2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出没式ボールペン
JP6267893B2 (ja) * 2013-08-12 2018-01-24 ゼブラ株式会社 筆記具
JP6422692B2 (ja) * 2013-09-03 2018-11-14 三菱鉛筆株式会社 複数の樹脂成形部材を備えた筆記具または塗布具
JP6254814B2 (ja) * 2013-10-11 2017-12-27 株式会社 エポックケミカル 筆記具及び筆記具におけるシール手段の配設方法
CN103722946B (zh) * 2013-12-25 2015-10-14 宁波江北瑞臣工艺品设计有限公司 儿童打不开的笔
CN103722940B (zh) * 2013-12-25 2015-10-14 宁波江北瑞臣工艺品设计有限公司 一种防止小孩开启的笔
CN103722941B (zh) * 2013-12-25 2015-10-14 宁波江北瑞臣工艺品设计有限公司 一种小孩无法打开的笔
CN103722939B (zh) * 2013-12-25 2015-10-14 宁波江北瑞臣工艺品设计有限公司 避免儿童开启的笔
JP5869016B2 (ja) * 2014-02-17 2016-02-24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出没式ボールペン
JP5869015B2 (ja) * 2014-02-17 2016-02-24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出没式ボールペン
USD741950S1 (en) * 2014-10-02 2015-10-27 Kikkerland Design, Inc. Combination stylus and ballpoint pen
USD758491S1 (en) * 2014-10-10 2016-06-07 Tonglu Ido Imp & Exp & Co, Ltd. Pen
JP1549947S (ko) * 2015-01-06 2016-05-23
USD751144S1 (en) * 2015-03-25 2016-03-08 Liqui-Mark Corp. Writing instrument and stylus
USD753768S1 (en) * 2015-03-25 2016-04-12 Liqui-Mark Corp. Writing instrument and stylus
USD763962S1 (en) * 2015-03-27 2016-08-16 Riteline LLC Writing instrument
JP6170962B2 (ja) * 2015-04-23 2017-07-26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熱変色性筆記具
KR101591228B1 (ko) * 2015-07-10 2016-02-02 어명혁 노크식 필기구
WO2017104468A1 (ja) * 2015-12-18 2017-06-2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ノック式筆記具
WO2017115725A1 (ja) * 2015-12-29 2017-07-06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熱変色性筆跡を形成させるための筆記具
USD818043S1 (en) * 2016-01-15 2018-05-15 Ningbo Johnshen Stationery Co., Ltd. Pen
CN107187243A (zh) * 2016-03-14 2017-09-22 丽水学院 笔夹式弹跳书写计数两用笔
USD823393S1 (en) * 2016-07-28 2018-07-17 Beifa Group Co., Ltd. Pen
EP4155050A1 (de) 2016-08-26 2023-03-29 A.W. Faber-Castell Cosmetics GmbH Stift mit einstückig spritzgegossener schichthülse
DE102016115872B4 (de) * 2016-08-26 2018-03-15 A.W. Faber-Castell Cosmetics Gmbh Stift mit einstückig spritzgegossener Schichthülse
CN106450937B (zh) * 2016-11-03 2018-10-19 西安科技大学 一种助力式弹出插座
USD839960S1 (en) 2016-12-06 2019-02-05 Riteline LLC Writing instrument
JP6778611B2 (ja) * 2016-12-27 2020-11-04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熱変色性筆記具
USD839959S1 (en) * 2017-01-04 2019-02-05 Riteline LLC Writing instrument
USD853489S1 (en) * 2017-04-14 2019-07-09 Kotobuki & Co., Ltd. Ballpoint pen
USD826330S1 (en) * 2017-05-24 2018-08-21 Anhui-INNO-SIGN INTERNATIONAL CO. LTD Pen with stylus
USD853490S1 (en) * 2017-09-19 2019-07-09 Sanford, L.P. Pen
USD858635S1 (en) * 2017-09-19 2019-09-03 Sanford, L.P. Pen
USD873916S1 (en) * 2018-03-21 2020-01-28 Staples Brands, Inc. Writing instrument
FR3080060B1 (fr) * 2018-04-11 2020-05-01 Societe Bic Instrument d'ecriture comprenant une agrafe et un dispositif de gommage retractable
CN109061703B (zh) * 2018-06-11 2021-12-28 阿波罗智能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定位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396203B2 (en) * 2018-11-29 2022-07-26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Knock type writing tool
WO2020149201A1 (ja) 2019-01-18 2020-07-23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出没式筆記具
USD922487S1 (en) * 2019-03-01 2021-06-15 Beifa Group Co., Ltd. Pen
USD922486S1 (en) * 2019-03-01 2021-06-15 Beifa Group Co., Ltd. Pen
KR102052090B1 (ko) * 2019-03-07 2019-12-04 임승재 분리 가능한 지우개를 구비한 열 변색성 필기구
KR102041880B1 (ko) * 2019-03-07 2019-11-07 임승재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
CN110239261B (zh) * 2019-06-24 2020-11-17 温州市简系文具有限公司 一种错位卡扣压缩笔
CN110239260B (zh) * 2019-06-24 2020-09-15 温州市简系文具有限公司 一种错位内旋笔
KR102261269B1 (ko) * 2019-07-09 2021-06-07 문진용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TW202108402A (zh) 2019-07-25 2021-03-01 日商百樂股份有限公司 出沒式筆記具
CN110561949B (zh) * 2019-08-02 2020-10-16 桐庐优德文化创意有限公司 按压式书写笔
DE202019105498U1 (de) * 2019-10-04 2019-10-18 ONLINE Schreibgeräte GmbH Schreibgerät
JP7405645B2 (ja) * 2020-02-28 2023-12-26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軟質部材の取付構造
JP7372855B2 (ja) * 2020-02-28 2023-11-01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軟質部材の取付構造
WO2021132503A1 (ja) 2019-12-28 2021-07-01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軟質部材の取付構造及び熱変色性筆記具
CN115443219B (zh) * 2020-03-31 2024-03-15 株式会社百乐 热变色性书写工具
CN113740981B (zh) * 2020-05-27 2024-05-1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可调节的避雷光缆接头盒
JP7461826B2 (ja) 2020-08-04 2024-04-04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KR102577013B1 (ko) 2020-11-16 2023-09-11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볼펜 팁, 볼펜 리필 및 볼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6103A1 (en) 2005-03-28 2006-09-28 Sanford L.P. Retractable writing utensil
JP2009179066A (ja) 2009-05-20 2009-08-13 Pentel Corp 出没式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7264C (de) * 1921-08-11 1923-12-28 Edmund Moster & Co A G Schreibstift mit unter Federwirkung stehendem, verschiebbarem Minentraeger
US2483329A (en) * 1945-08-06 1949-09-27 Eversharp Inc Writing instrument
US2427068A (en) * 1945-09-17 1947-09-09 Parker Pen Co Ball-point writing instrument
FR1159302A (fr) 1956-10-11 1958-06-26 Stylographe à bille à pointe escamotable
NL280816A (ko) * 1961-11-14
GB1192116A (en) * 1968-09-04 1970-05-20 Helmut Bross Writing Instrument
US3637316A (en) * 1970-05-21 1972-01-25 Helmut Bross Writing tool
US3741665A (en) * 1970-08-25 1973-06-26 Smagala Romanoff E Writing implements
DE2160618A1 (de) * 1971-12-07 1973-06-14 Horst Witt Schiebe-hauben-schreiber
JPS53147941U (ko) * 1977-04-26 1978-11-21
JPS53147941A (en) 1977-05-31 1978-12-23 Saginomiya Seisakusho Inc Switch operation remote monitor
JPS6028311Y2 (ja) * 1979-12-05 1985-08-27 株式会社クボタ プラスチツク浴槽
JPS57179986U (ko) 1981-05-13 1982-11-15
GB2131355B (en) * 1982-12-08 1986-03-19 Gillette Co Marking instrument
JPH0628311Y2 (ja) * 1988-06-28 1994-08-03 株式会社トンボ鉛筆 ノック式筆記具
JPH0736718Y2 (ja) * 1989-02-09 1995-08-23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色彩記憶玩具用品セット
JPH0628312Y2 (ja) 1989-12-11 1994-08-03 株式会社パイロット 筆記具
JP2567098Y2 (ja) * 1991-05-20 1998-03-30 株式会社壽 筆記具
CN2115215U (zh) 1991-12-30 1992-09-09 株式会社寿 旋转凸轮式圆珠笔
IT231418Y1 (it) 1993-06-22 1999-08-03 Erga Srl Strumento di scrittura con pulsante, molla e fermaglio riuniti in un solo pezzo.
JPH07314979A (ja) * 1994-05-24 1995-12-05 Kotobuki:Kk ノック式筆記具
JP3407472B2 (ja) * 1995-05-11 2003-05-19 株式会社壽 筆記具
JP2000108580A (ja) * 1998-10-07 2000-04-18 Kotobuki:Kk 筆記具
US6390706B1 (en) * 1999-01-28 2002-05-21 Pentel Kabushiki Kaisha Retractable writing implement
TW422182U (en) * 1999-07-14 2001-02-11 Lin Jia Shiung Improved pressing device for pen instrument
KR100350310B1 (ko) * 1999-12-11 2002-08-24 동아연필 주식회사 안전녹크식 필기구
JP3960847B2 (ja) * 2002-04-16 2007-08-15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ノック式筆記具
CN2565631Y (zh) 2002-08-22 2003-08-13 许荣琳 改进的笔具构造
JP2004148744A (ja) * 2002-10-31 2004-05-27 Pilot Ink Co Ltd 摩擦体及び筆記具
US8104983B2 (en) 2003-11-11 2012-01-31 Societe Bic Combination writing instrument
US7220073B2 (en) * 2004-02-26 2007-05-22 Morris Corporation Slide-type writing instrument with a dry prevention unit
FR2869833B1 (fr) 2004-05-04 2006-07-21 Bic Sa Soc Instrument d'ecriture a pointe retractable
FR2873325B1 (fr) * 2004-07-26 2006-10-27 Bic Sa Soc Mecanisme pour instrument d'ecriture, instrument d'ecriture comprenant un tel mecanisme et procede de fabrication
JP2006063238A (ja) * 2004-08-30 2006-03-09 Pilot Ink Co Ltd 熱消去性筆記具
JP2006123278A (ja) * 2004-10-27 2006-05-18 Pilot Ink Co Ltd 変色性ボールペン及びそれを用いた筆記具セット
EP1833683B1 (en) * 2004-12-31 2010-06-09 Morris Corporation Safety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JP4613750B2 (ja) 2005-08-26 2011-01-19 ぺんてる株式会社 複式筆記具
JP5415671B2 (ja) * 2006-01-27 2014-02-12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摩擦体及びそれを備えた筆記具、筆記具セット
JP2007253487A (ja) 2006-03-23 2007-10-04 Takahiro Kinoshita 印鑑付き筆記具
JP2008120059A (ja) * 2006-10-17 2008-05-29 Pilot Ink Co Ltd 筆記具、筆記具セット
CN101528476A (zh) * 2006-10-17 2009-09-09 百乐墨水株式会社 书写工具以及书写工具组件
JP2008155624A (ja) 2006-11-29 2008-07-10 Pilot Ink Co Ltd 摩擦体及びそれを用いた筆記具、筆記具セット
BRPI0807388A8 (pt) * 2007-02-26 2016-03-22 Kk Pilot Corporation Also Trading As Pilot Corporation Instrumento de escrita termocromática
JP4630885B2 (ja) * 2007-05-01 2011-02-0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SG148122A1 (en) * 2007-05-22 2008-12-31 Pilot Ink Co Ltd Friction body, writing instrument and writing instrument set
JP2008290267A (ja) * 2007-05-22 2008-12-04 Pilot Ink Co Ltd 摩擦体、筆記具及び筆記具セット
FR2921259B1 (fr) 2007-09-26 2015-02-13 Lvmh Rech Utilisation cosmetique du phosphate de tocopherol comme agent anti-vieillissement de la peau
CN201227905Y (zh) * 2008-02-29 2009-04-29 东莞博登实业有限公司 笔具的按压装置
JP5557432B2 (ja) * 2008-02-29 2014-07-23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可逆熱変色性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筆記具、筆記具セ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6103A1 (en) 2005-03-28 2006-09-28 Sanford L.P. Retractable writing utensil
JP2009179066A (ja) 2009-05-20 2009-08-13 Pentel Corp 出没式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91862B (zh) 2016-08-24
CN104191862A (zh) 2014-12-10
KR20210036421A (ko) 2021-04-02
US20180086133A1 (en) 2018-03-29
KR102004110B1 (ko) 2019-07-25
EP2676804B1 (en) 2018-03-21
EP2532531A4 (en) 2013-10-16
EP2676805B1 (en) 2016-06-01
EP2676805A2 (en) 2013-12-25
TW201532854A (zh) 2015-09-01
US10493791B2 (en) 2019-12-03
PL3184320T3 (pl) 2021-02-08
KR20190089085A (ko) 2019-07-29
KR101779233B1 (ko) 2017-09-18
CA2788724A1 (en) 2011-08-11
HK1190674A1 (zh) 2014-07-11
SG10201900934WA (en) 2019-02-27
ES2862911T3 (es) 2021-10-08
HK1203459A1 (en) 2015-10-30
US20220080767A1 (en) 2022-03-17
EP3184320A1 (en) 2017-06-28
KR20180101642A (ko) 2018-09-12
US9844973B2 (en) 2017-12-19
PL2676805T3 (pl) 2016-11-30
SG182835A1 (en) 2012-09-27
EP2532531A1 (en) 2012-12-12
US20120308290A1 (en) 2012-12-06
US11738589B2 (en) 2023-08-29
KR102098571B1 (ko) 2020-04-08
TWI614148B (zh) 2018-02-11
HK1216733A1 (en) 2016-12-02
TWI522248B (zh) 2016-02-21
KR101898408B1 (ko) 2018-09-12
CN104691157A (zh) 2015-06-10
SG10201503145QA (en) 2015-08-28
ES2825824T3 (es) 2021-05-17
KR20170105135A (ko) 2017-09-18
KR102234299B1 (ko) 2021-03-30
ES2587078T3 (es) 2016-10-20
EP2676805A3 (en) 2014-06-18
EP2676804A3 (en) 2014-05-14
CN102741061A (zh) 2012-10-17
KR20200031696A (ko) 2020-03-24
PL2532531T3 (pl) 2021-08-02
US9108456B2 (en) 2015-08-18
CN105128559A (zh) 2015-12-09
US20150336420A1 (en) 2015-11-26
CA2788724C (en) 2018-06-19
TW201200371A (en) 2012-01-01
US20200047540A1 (en) 2020-02-13
HK1208410A1 (en) 2016-03-04
EP2532531B1 (en) 2021-01-13
CN104691157B (zh) 2016-08-31
EP2676804A2 (en) 2013-12-25
KR20120127434A (ko) 2012-11-21
US11179963B2 (en) 2021-11-23
WO2011096357A1 (ja) 2011-08-11
EP3184320B1 (en) 2020-07-15
CN102741061B (zh) 2015-10-14
HK1176912A1 (en)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9864B1 (ko) 필기구
JP6756877B2 (ja) 熱変色性筆記具
JP5698927B2 (ja) 筆記具
JP5813929B2 (ja) 筆記具
JP2011156837A (ja) 熱変色性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