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269B1 -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269B1
KR102261269B1 KR1020190082462A KR20190082462A KR102261269B1 KR 102261269 B1 KR102261269 B1 KR 102261269B1 KR 1020190082462 A KR1020190082462 A KR 1020190082462A KR 20190082462 A KR20190082462 A KR 20190082462A KR 102261269 B1 KR102261269 B1 KR 102261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receptacle
adapter
housing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622A (ko
Inventor
문진용
Original Assignee
문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진용 filed Critical 문진용
Priority to KR1020190082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2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를 제공한다.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는 스타일러스의 후단부를 인입하는 고정부 및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타일러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립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고정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1 리셉터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2 리셉터클 및 상기 제1 리셉터클과 상기 제2 리셉터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용 어댑터{ADAPTER FOR A STYLUS}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타일러스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스타일러스의 파손을 방지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이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요소들을 터치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최근 설계, 그림 및 메모 등 다양한 소비자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보다 세밀한 터치 조작을 위하여 스타일러스를 사용하는 터치 감응형 전자 디바이스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 때 스타일러스들은 위치 감지, 필압 감지, 기울기 감지 및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인한 비의도적 입력 구별 등의 동작을 위하여 별도의 전력을 요구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29266(2018.03.20.)호는 스타일러스 및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의 입력 표면을 가로질러서 스타일러스를 조작할 수 있고, 그 이동은 스타일러스에 의해 생성된 축방향 정렬 전기장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는, 또한, 스타일러스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에 인가된 힘을 추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힘 감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스타일러스는 충전을 위하여 돌출된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블라인드 캡을 포함한다. 그러나 스타일러스의 충전 과정에서 블라인드 캡이 분실되기 쉬우며, 충전 케이블과 스타일러스의 연결을 위하여 별도의 어댑터를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타일러스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스타일러스의 파손을 방지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타일러스의 후단부를 인입하는 고정부 및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타일러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립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고정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1 리셉터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2 리셉터클 및 상기 제1 리셉터클과 상기 제2 리셉터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부는 상기 스타일러스의 몸체 측면에 접촉하는 후크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와 맞물리는 결합 돌기를 스타일러스의 몸체에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결합 돌기는 상기 스타일러스의 길이 축을 중심으로 180도 대칭이 되도록 2개가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가 상기 결합 돌기를 향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의 길이방향으로 직진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스타일러스의 후단부를 인입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외주면의 연장으로부터 돌출된 비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고정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1 리셉터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2 리셉터클,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 및 상기 제1 리셉터클과 상기 제2 리셉터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 표시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타일러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몸체 측면에 접촉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클립부 및 상기 스타일러스의 몸체에 접착되고 상기 후크와 맞물리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는 스타일러스의 후단부와 결합하여 휴대 가능하다. 스타일러스의 돌출된 플러그 커넥터가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의 리셉터클 내에 안치되어 플러그 커넥터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클립부는 스타일러스 어댑터 및 스타일러스를 전자 디바이스의 케이스나 사용자의 주머니 등에 쉽게 거치할 수 있게 하며, 스타일러스가 굴러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타일러스의 몸체에 접착되고 클립부와 맞물리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함으로써 스타일러스용 어댑터가 충격으로 인해 스타일러스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결합 시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타일러스의 몸체에 접착되는 가이드 라인은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를 고정하거나 분리할 때 스타일러스의 플러그 커넥터가 꺾임, 비틀림 등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는 하우징의 외주면에 스타일러스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전자 디바이스에 스타일러스를 연결할 필요 없이 스타일러스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는 스타일러스의 외주면보다 돌출된 비원형의 단면을 구비하여 스타일러스가 굴러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의 (a) 평면도 및 (b) 저면도 이다.
도 4는 스타일러스의 몸체에 접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와 스타일러스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와 스타일러스를 도시하는 (a) 정면도 및 (b)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원형의 단면을 갖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의 사시도들이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는 스타일러스(100)의 후단부를 인입하는 고정부(111) 및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타일러스(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립부(113)를 포함하는 하우징(110), 상기 고정부(111)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플러그 커넥터(103)와 결합하는 제1 리셉터클(121),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고정부(111)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와 결합하는 제2 리셉터클(125), 상기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100)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130) 및 상기 제1 리셉터클(121)과 상기 제2 리셉터클(12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스타일러스(100)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 표시부(130)에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스타일러스(100)의 몸체(101)가 인입되어 고정결합되도록 스타일러스 몸체(101) 단면에 상응하는 요홈인 고정부(111)를 포함한다. 고정부(111)는 스타일러스 몸체(101)를 효과적으로 고정하거나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의 탈착 시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111)는 탄성 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클립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클립부(113)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스타일러스(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클립부(113)의 연장된 말단은 스타일러스의 몸체(101) 측면에 접촉되도록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거나, 돌출된 후크를 구비할 수 있다. 클립부(113)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이거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클립부(113)가 스타일러스의 몸체(101)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111)의 중앙에는 스타일러스(100)의 후단부에 돌출된 플러그 커넥터(103)과 결합하는 제1 리셉터클(121)이 형성된다. 제1 리셉터클(121)은 스타일러스의 플러그 커넥터(103)를 은닉하여 플러그 커넥터(103)가 물리적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110)의 고정부(111)가 형성되는 면에 대향하는 면에 제2 리셉터클(125)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리셉터클(125)이 형성되는 하우징(110)의 면에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요홈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스타일러스(100)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130)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배터리 표시부(130)는 저전력 디스플레이이거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색 또는 동작을 달리하는 발광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1 리셉터클(121)과 제2 리셉터클(125)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스타일러스(100)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여 배터리 표시부(130)에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부(123)가 구비된다.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의 제1 리셉터클(121)을 스타일러스의 플러그 커넥터(103)와 커플링 하고, 제2 리셉터클(125)을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 커넥터와 커플링 하여 스타일러스(100)를 충전하거나, 스타일러스(100)가 충전 케이블과 연결된 전자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의 (a) 평면도 및 (b) 저면도 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의 상부 면에는 제2 리셉터클(125)이 형성된다.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하여 충전 케이블의 결합부의 형태에 상응하는 요홈을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의 상부 면에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의 하부 면에는 스타일러스의 후단부가 인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11)와, 상기 고정부(111)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리셉터클(121)이 형성된다. 고정부(111)는 스타일러스 몸체의 단면에 상응하는 형태를 구비한다.
실시예 2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는 스타일러스의 몸체에 접착되는 결합 돌기 또는 가이드 라인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스타일러스의 몸체에 접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와 스타일러스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타일러스(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립부(113)에 스타일러스의 몸체(101) 측면에 접촉하는 후크(401) 및 상기 후크(401)와 맞물리는 결합 돌기(403)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401)는 클립부(113)로부터 돌출된 걸림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401)는 클립부(113)에 형성된 요홈으로 결합 돌기(403)를 상기 요홈에 채워 넣을 수 있다.
결합 돌기(403)는 스타일러스의 몸체(101) 측면에 부착되며 스타일러스용 어댑터가 스타일러스 후단부에 고정될 때 후크(401)와 맞물려 체결된다. 상기 결합 돌기(403)는 상기 스타일러스(100)의 길이 축을 중심으로 180도 대칭이 되도록 2개가 마주하여 스타일러스 몸체에 접착될 수 있다.
후크(401)와 결합 돌기(403)는 서로 체결되어 스타일러스(100)와 스타일러스용 어댑터가 외부 충격에 의하여 분리되거나, 스타일러스용 어댑터가 회전하여 스타일러스(100)의 플러그 커넥터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를 스타일러스에 고정할 때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와 스타일러스를 도시하는 (a) 정면도 및 (b)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는 하우징(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타일러스(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립부(113)에 스타일러스의 몸체(101) 측면에 접촉하는 후크(401), 상기 후크(401)와 맞물리는 결합 돌기(403) 및 상기 후크(401)가 결합 돌기(403)를 향하여 스타일러스(100)의 길이방향으로 직진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라인(405)을 더 포함한다.
스타일러스용 어댑터가 스타일러스와 결합할 때 후크(401)는 가이드 라인(405)의 중앙 요홈을 따라 슬라이딩 한다. 가이드 라인(405)은 스타일러스용 어댑터가 스타일러스와 결합할 때 회전력이 가해져 스타일러스의 플러그 커넥터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의 방향을 확인하지 않고도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결합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는 스타일러스가 굴러 떨어져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원형의 단면을 갖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의 사시도들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는 스타일러스 몸체(101)의 외주면의 연장으로부터 돌출된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110)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하우징(110)의 단면은 스타일러스의 구름 방지를 위하여 각 지거나 종횡비를 달리하여, 쉽게 구르지 않는 형태를 제한 없이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는 배터리 표시부(130)를 구비하여, 스타일러스의 배터리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 되지 아니하였으나, 비원형의 단면을 갖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역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클립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클립부는 스타일러스 몸체에 접촉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크와 결합하여 스타일러스용 어댑터를 스타일러스 몸체에 단단하게 고정하는 결합 돌기를 스타일러스 몸체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스타일러스용 어댑터가 스타일러스와 결합할 때 회전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스타일러스 101 : 스타일러스 몸체
103 : 플러그 커넥터
110 : 하우징 111 : 고정부
113 : 클립부 121 : 제1 리셉터클
123 : 회로부 125 : 제2 리셉터클
130 : 배터리 표시부
401 : 후크 403 : 결합 돌기
405 : 가이드 라인

Claims (7)

  1. 스타일러스의 후단부를 인입하는 고정부 및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타일러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립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고정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1 리셉터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2 리셉터클; 및
    상기 제1 리셉터클과 상기 제2 리셉터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는 면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리셉터클 및 상기 제2 리셉터클에 결합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을 보호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타일러스 몸체에 탈착 시 가해지는 충격 감소를 위한 탄성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스타일러스의 몸체 측면에 접촉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몸체에 접착되고 상기 후크와 맞물리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스타일러스의 길이 축을 중심으로 180도 대칭이 되도록 2개가 접착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가 상기 결합 돌기를 향하여 상기 스타일러스의 길이방향으로 직진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6. 스타일러스의 후단부를 인입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외주면의 연장으로부터 돌출된 비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고정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1 리셉터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하는 제2 리셉터클;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 및
    상기 제1 리셉터클과 상기 제2 리셉터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 표시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는 면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리셉터클 및 상기 제2 리셉터클에 결합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들을 보호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스타일러스 몸체에 탈착 시 가해지는 충격 감소를 위한 탄성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타일러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타일러스의 몸체 측면에 접촉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클립부; 및
    상기 스타일러스의 몸체에 접착되고 상기 후크와 맞물리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는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KR1020190082462A 2019-07-09 2019-07-09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KR102261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462A KR102261269B1 (ko) 2019-07-09 2019-07-09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462A KR102261269B1 (ko) 2019-07-09 2019-07-09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622A KR20210006622A (ko) 2021-01-19
KR102261269B1 true KR102261269B1 (ko) 2021-06-07

Family

ID=7423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462A KR102261269B1 (ko) 2019-07-09 2019-07-09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782B1 (ko) * 2023-09-01 2023-12-28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패치 코드 식별 펜슬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 코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7950A (zh) * 2022-07-18 2022-08-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笔及电子设备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95B1 (ko) * 2011-10-24 2013-01-31 (주) 지.티 텔레콤 젠더유니트를 가지는 휴대단말기용 터치펜
JP2014052994A (ja) * 2012-08-08 2014-03-20 Ricoh Co Ltd 情報入力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82118A (ja) * 2016-03-28 2017-10-05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および位置検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408B1 (ko) * 2010-02-03 2018-09-12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필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95B1 (ko) * 2011-10-24 2013-01-31 (주) 지.티 텔레콤 젠더유니트를 가지는 휴대단말기용 터치펜
JP2014052994A (ja) * 2012-08-08 2014-03-20 Ricoh Co Ltd 情報入力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82118A (ja) * 2016-03-28 2017-10-05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および位置検出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782B1 (ko) * 2023-09-01 2023-12-28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패치 코드 식별 펜슬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 코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622A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2068B2 (en) Stylus for electronic devices
US10061423B2 (en) Removable clip with user interface
US8068331B2 (en) Enclosure to prevent fluid ingress of a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interface
KR102261269B1 (ko) 스타일러스용 어댑터
US20170031467A1 (en) Method, accessory and touch writing pen for simultaneously forming entity and electronic handwriting
JP6095736B2 (ja) 電子デバイスシステム、電子デバイス用カバー、及び電子デバイス
CN110347208B (zh) 可携式电子装置与折叠式电子输入装置
CN109388056B (zh) 可穿戴设备和电子装置
KR101228595B1 (ko) 젠더유니트를 가지는 휴대단말기용 터치펜
KR20110128506A (ko) 휴대용 전자기기가 구비된 터치펜
KR20110113801A (ko) 정전감압겸용의 터치펜
CN113190128B (zh) 一种电容触控笔
KR101200971B1 (ko) 터치스크린용 터치부재
KR102325197B1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용 보조입력장치
CN208548929U (zh) 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JP5944289B2 (ja) スタイラスペンおよび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
KR20100115522A (ko) 안테나 겸용 스타일러스 펜
KR101748173B1 (ko) 터치 검출 장치
KR100976564B1 (ko) 정전용량용 터치스크린의 스타일러스 펜
JP2014137777A (ja) 携帯端末機用タッチペン
CN220473968U (zh) 笔尖组件及电子触控笔
JP7267769B2 (ja) 電子ペン及び情報処理装置
TWM530982U (zh) 主動式觸控筆
JP6803739B2 (ja) タッチペン
CN114115586A (zh) 显示装置和包括该显示装置的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