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880B1 -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 - Google Patents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880B1
KR102041880B1 KR1020190026068A KR20190026068A KR102041880B1 KR 102041880 B1 KR102041880 B1 KR 102041880B1 KR 1020190026068 A KR1020190026068 A KR 1020190026068A KR 20190026068 A KR20190026068 A KR 20190026068A KR 102041880 B1 KR102041880 B1 KR 102041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body portion
pen body
character
writing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재
Original Assignee
임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재 filed Critical 임승재
Priority to KR102019002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880B1/ko
Priority to TW109107539A priority patent/TWI731614B/zh
Priority to JP2021553052A priority patent/JP2022523846A/ja
Priority to PCT/KR2020/003176 priority patent/WO20201801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5/00Assembling, finishing, or repairing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다양하게 형상화된 캐릭터 인형을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하고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구매욕구를 높일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 및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필기구가 개시된다. 펜 몸체(20)의 내부에는 회전부재(60)가 삽입되고, 펜 몸체(20)의 상부 외측에는 중공의 상부커버(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누름부재(40)는 연결부재(70)에 의해서 회전부재(60)에 연결되고, 펜 몸체(20)의 측벽 일측에 형성된 홈(21)에는 조작부재(50)의 연결부(52)가 배치되고 조작부재(50)의 제1 몸체부(51)는 펜 몸체(20) 내부에 삽입되며 조작부재(50)의 클립부(53)는 펜 몸체(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누름부재(40)는 일체로 이루어진 캐릭터 형상부(41)와 캐릭터 지지부(42)로 구성되고, 캐릭터 지지부(42)의 내부에는 일정깊이로 막힘구멍이 형성되며, 캐릭터 지지부(42)는 상부커버(30)를 지나서 펜 몸체(20) 내에 삽입된다.

Description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Writing instrument having a replaceable character figure that can rise and fall}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하게 형상화된 캐릭터 인형을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하고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구매욕구를 높일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 및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라 함은 종이 위에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크게는 흑연심을 쓰는 연필, 색연필 및 샤프 종류와, 잉크를 사용하는 펜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필기구의 종류로는 연필, 색연필, 수성 및 유성 싸인펜, 마커, 붓, 샤프펜슬, 펜, 만년필, 볼펜 등이 있다.
필기구를 제조하는 관련업계에서는 필기구를 구매하는 학생들, 특히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켜서 구매욕구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필기구들을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필기구 본체에 일체로 부착되거나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캐릭터 인형을 구비한 필기구를 개발하여 시판하고 있다.
그러한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3220호(등록일자: 2017년 07월 25일)에는 승강되는 클립에 의해서 일정 회전각으로 회전되는 회전유희구를 갖는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 개시된 필기구는 펜몸체(10)의 상부에 체결된 노크클립(30)의 승강에 따라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되는 회전 유희구(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필기구에서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노크클립(30) 부분에 래크기어(32)를 설치하고 상기 래크기어(32)에 치합되는 기어(44)를 노크크립(30) 전면에 부착된 회전판(41)과의 사이에 설치하여 구동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판(41)의 전면에 부착되는 회전 유희구(40)가 노크클립(30) 부분의 전방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기구의 노크클립(30) 부분을 제대로 바라보아야 회전하는 상태를 제대로 볼 수 있는 사용상의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필기구의 단점을 극복하여 필기구를 구매하려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필기구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3220호(등록일자: 2017년 07월 25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하게 형상화된 캐릭터 인형을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하고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구매욕구를 높일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 및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 펜 몸체, 상기 펜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잉크 조성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펜 심, 상기 펜 심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펜 몸체의 하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하부 캡을 포함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펜 몸체 내로 삽입되는 조작부재 - 상기 조작부재는 원통형의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방사상 일측에서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자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클립부를 포함함 -;
상기 펜 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부재 - 상기 회전부재는 원통형의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2 몸체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방사상 외부로 확장된 확장부를 포함함 -;
상기 펜 몸체의 상부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상부커버;
상기 펜 심을 상기 펜 몸체의 하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필기구의 사용자가 누르게 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상기 펜 몸체의 측벽 일측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펜 몸체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홈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클립부는 상기 펜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펜 몸체의 상부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의 방사상 내면상에는 제2 걸림턱이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턱이 상기 제1 걸림턱을 하방향으로 지나도록 상기 필기구의 사용자가 상기 상부커버를 하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가 상기 제1 돌출부상에 장착된다.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에는 나사산 모양의 제1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의 방사상 외주면상에는 다수의 제2 돌출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들의 상단부는 상기 제2 몸체부와 상기 확장부의 경계를 지나서 상기 제2 몸체부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돌출부들의 상단부에는 제2 접촉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1 접촉부의 모양에 대응하여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확장부를 제외한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제1 몸체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는 일체로 이루어진 캐릭터 형상부와 캐릭터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캐릭터 지지부의 내부에는 일정깊이로 막힘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캐릭터 지지부는 상기 상부커버를 지나서 상기 펜 몸체 내에 삽입되되, 상기 펜 몸체 내에 삽입된 상기 조작부재의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부 내측에 삽입된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기구의 누름부재를 필기구의 본체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필기구의 누름부재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다양한 캐릭터 인형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구매욕구를 높일 수 있고 사용상의 편의성 및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필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기구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기구의 구성부품들중 일부 부품들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필기구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사용전과 사용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필기구의 부분 확대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교체 가능한 다양한 캐릭터 인형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필기구(10)가 도시되어 있다.
필기구(1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 펜 몸체(20), 상기 펜 몸체(20)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는 중공의 상부커버(30), 상기 상부커버(30)를 거쳐서 상기 펜 몸체(30)의 상부 내측에 회전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누름부재(40),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펜 몸체(20) 내로 삽입되는 조작부재(50), 상기 펜 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회전부재(60), 상기 누름부재(40)와 상기 회전부재(6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0), 상기 펜 몸체(20) 내부에 삽입되고 잉크 조성물(I)을 내부에 수용하는 펜 심(80), 상기 펜 심(8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86), 및 상기 펜 몸체(20)의 하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하부 캡(90)을 포함한다.
먼저, 원통형 펜 몸체(20)의 측벽 일측에는 조작부재(50)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홈(21)(도 4 및 도 5 참조)이 펜 몸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길이만큼 절개하여 형성된다. 펜 몸체(20)의 상부에는 제1 돌출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22)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제1 걸림턱(2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돌출부(22)의 방사상 외측에는 상기 상부커버(30)가 끼워맞추어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부커버(30)의 방사상 내면상에는 제2 걸림턱(33)(도 5 참조)이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펜 몸체(20)의 하부 방사상 내면상에는 암나사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24)에는 하부 캡(90)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다음으로, 누름부재(40)는 상기 펜 심(80)을 상기 펜 몸체(20)의 하부로 노출시킬 때 필기구의 사용자가 누르게 되는 부분이다. 누름부재(40)는 일체로 이루어진 캐릭터 형상부(41)와 캐릭터 지지부(42)로 구성된다. 캐릭터 형상부(41)와 캐릭터 지지부(42)의 내측에는 캐릭터 지지부(42)로부터 시작되는 막힘구멍(참조부호 생략)이 일정 깊이만큼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도면 기재상의 편의를 위하여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누름부재(40)를 다양한 인형의 형태로 형상화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예시로서,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누름부재(40)의 다양한 형상이 나타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부재(40)는 고무나 합성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캐릭터 형상부(41)는 사용자의 호기심과 미감을 자극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로 형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누름부재(40)는 누름부재(40)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서 사용되는 고무에 가압성 도전성 물질을 혼합하여 제조하게 된다. 보통 고무는 전기가 통하지 않은 부도체로 알려져 있으나, 카본블랙(Carbon Black) 등의 첨가에 의해 일정 압력을 가하면 압전 효과로 인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서 도전성을 띄게 할 수 있다. 즉, 도전성 고무가 접촉회로에 닿으면 스위치가 온(ON)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제작된 본 발명의 누름부재(40)를 예를 들어 휴대전화의 화면상에 접촉하면 휴대전화의 회로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가 있으므로 휴대전화의 앱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삭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누름부재(40)의 캐릭터 지지부(42)는 상부커버(30)를 지나서 펜 몸체(20) 내에 삽입되는데, 이때 펜 몸체(20) 내에 삽입되어 있는 조작부재(50)의 제1 몸체부(51)의 상부 내측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조작부재(50)는 원통형의 제1 몸체부(51), 상기 제1 몸체부(51)의 방사상 일측에서 상기 제1 몸체부(51)에 대하여 수직하게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연결부(52), 및 상기 연결부(52)의 자유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부(5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클립부(53)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재(50)를 펜 몸체(20)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몸체부(51)는 펜 몸체(2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52)는 펜 몸체(20)의 홈(21)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클립부(53)는 펜 몸체(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1 몸체부(51)가 펜 몸체(2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몸체부(51)의 하부에는 회전부재(60)가 삽입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51) 내에는 상기 연결부재(70)가 삽입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기구(10)의 구성부품들중 일부 부품들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몸체부(51)의 하단부에는 나사산 모양의 제1 접촉부(54)가 형성된다. 제1 접촉부(54)는 하기에서 설명할 회전부재(70)의 제2 접촉부(64)와 접촉하게 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전부재(60)는 원통형의 제2 몸체부(61) 및 상기 제2 몸체부(61)의 하부에서 제2 몸체부(6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방사상 외부로 확장된 확장부(62)를 갖는다. 상기 확장부(62)의 방사상 외주면상에는 다수의 제2 돌출부(63)가 형성된다. 제2 돌출부들(63)은 확장부(62)의 방사상 외주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제2 돌출부들(63)의 상단부는 제2 몸체부(61)와 확장부(62)의 경계를 지나서 제2 몸체부(61) 쪽으로 연장된다. 제2 돌출부들(63)의 상단부에는 앞서 언급한 제2 접촉부(64)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 접촉부(64)는 제1 접촉부(54)의 모양에 대응하여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60)의 제2 몸체부(61)는 조작부재(50)의 제1 몸체부(5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므로, 상기 회전부재(60)에서 확장부(62)를 제외한 제2 몸체부(61)가 조작부재(50)의 제1 몸체부(51)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60)의 제2 몸체부(61)가 조작부재(50)의 제1 몸체부(51) 내에 삽입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몸체부(61) 내에는 상기 연결부재(70)가 삽입하여 배치된다. 연결부재(70)는 전체적으로 핀모양을 이루는 제3 몸체부(71) 및 상기 제3 몸체부(71)의 중간 위치에서 방사상 외부로 돌출된 걸림부(72)를 구비한다. 제3 몸체부(71)중 걸림부(72)를 경계로 하여 그 위쪽 부위는 누름부재(40)의 캐릭터 지지부(4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펜 몸체(20)의 내부에는 펜 심(80)이 배치되는데, 펜 심(80)의 상부는 회전부재(60)의 하부에 끼워지고 펜 심(80)의 하부는 펜 몸체(20)의 하부 외부로 노출된다. 펜 심(80)의 하단에는 볼펜촉(82)이 부착되어 있고 펜 심(80) 하부 방사상 외면상에는 스프링 스토퍼(84)가 방사상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펜 심(80)의 내부에는 잉크 조성물(I)(도 4 및 도 5 참조)이 채워져 있다. 필기구(10)는 상기 펜 몸체(20) 내에서 펜 심(80)의 방사사 외면상에 배치되어 펜 심(8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86), 및 상기 펜 몸체(20)의 하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하부 캡(90)을 또한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는 필기구(10)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필기구(10)의 사용자가 조작부재(50)를 누르기 전과 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4 및 도 5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기구(10)의 사용자가 조작부재(50)를 누르기 전의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작부재(50)는 연결부(52)가 펜 몸체(20)의 홈(21)을 통과하도록 하고 제1 몸체부(51)는 펜 몸체(20) 내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회전부재(60)는 확장부(62)를 제외한 제2 몸체부(61)를 밑에서 부터 위로 상기 제1 몸체부(51) 내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연결부재(70)는 제3 몸체부(71)를 위에서 부터 밑으로 상기 제2 몸체부(61) 내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커버(30)는 펜 몸체(20)의 상부에 제공된 제1 돌출부(22)의 방사상 외면상에 가압방식으로 끼움 장착된다. 즉, 상부커버(30)의 방사상 내면상에 형성된 제2 걸림턱(33)이 상기 제1 돌출부(22)의 방사상 외면상에 형성된 제1 걸림턱(23)을 하방향으로 지나도록 상부커버(30)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일단 상부커버(30)가 제1 돌출부(22)의 방사상 외면상에 장착되면, 사용자가 상방향으로 외력을 작용하지 않는한 상부커버(30)는 그 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으로, 누름부재(40)의 캐릭터 지지부(42)가 상부커버(30)의 내부공간을 지나도록 누름부재(40)를 상부커버(30) 내로 위치시키면서 연결부재(70)의 제3 몸체부(71)가 캐릭터 지지부(42) 내측에 삽입하도록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체결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기구(10)의 사용자가 조작부재(50)를 누르게 되면, 조작부재(50)는 연결부(52)가 홈(21)의 상부위치에서 하부위치까지 내려가고 이에 따라 조작부재(50)의 제1 몸체부(51)가 펜 몸체(20)의 내부공간에서 하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도 3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50)의 제1 몸체부(51)가 하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제1 몸체부(51)의 하단부에 제공된 제1 접촉부(54)가 회전부재(60)의 제2 접촉부(64)와 접촉하면서 제2 접촉부(64)의 경사면을 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접촉부(54)와 상기 제2 접촉부(64)간의 공동작동에 의해서 조작부재(50)의 제1 몸체부(51)가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회전부재(60) 내에 삽입되어 있는 연결부재(70)의 제3 몸체부(71)에 끼움 장착된 누름부재(40)가 마찬가지로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누름부재(40)는 조작부재(50)를 누르게 되면, 아래로 하강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그 반대로 조작부재(50)를 원위치시키면, 위로 상승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10)의 사용자는 필기구(10)를 사용하면서 흥미를 느껴가면서 필기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누름부재(40)의 캐릭터 형상부(41)는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로 형상화되어 있어서, 필기구(10)의 사용자는 1차적으로는 캐릭터 인형에 대한 미감과 호감을 가질 수 있고, 캐릭터 인형이 승하강 및 회전하는 상태를 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호기심과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필기구 20 : 펜 몸체
21 : 홈 22,63 : 돌출부
23,33 : 걸림턱 26C : 끼움홈
30 : 상부커버 40 : 누름부재
41 : 캐릭터 형상부 42 : 캐릭터 지지부
50 : 조작부재 51,61,71 : 몸체부
52 : 연결부 53 : 클립부
54,64 : 접촉부 62 : 확장부
70 : 연결부재 72 : 걸림부
80 : 펜 심 82 : 볼펜촉
86 : 스프링 90 : 하부캡
I : 잉크 조성물

Claims (6)

  1.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 펜 몸체(20), 상기 펜 몸체(20)의 내부에 삽입되고 잉크 조성물(I)을 내부에 수용하는 펜 심(80), 상기 펜 심(8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86), 및 상기 펜 몸체(20)의 하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하부 캡(90)을 포함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펜 몸체(20) 내로 삽입되는 조작부재(50) - 상기 조작부재(50)는 원통형의 제1 몸체부(51), 상기 제1 몸체부(51)의 방사상 일측에서 상기 제1 몸체부(51)에 대하여 수직하게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연결부(52), 및 상기 연결부(52)의 자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클립부(53)를 포함함 -;
    상기 펜 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부재(60) - 상기 회전부재(60)는 원통형의 제2 몸체부(61) 및 상기 제2 몸체부(61)의 하부에서 상기 제2 몸체부(6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방사상 외부로 확장된 확장부(62)를 포함함 -;
    상기 펜 몸체(20)의 상부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상부커버(30);
    상기 펜 심(80)을 상기 펜 몸체(20)의 하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필기구의 사용자가 누르게 되는 누름부재(40) - 상기 누름부재(40)는 일체로 이루어진 캐릭터 형상부(41)와 캐릭터 지지부(42)로 구성되고, 상기 캐릭터 지지부(42)의 내부에는 일정깊이로 막힘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캐릭터 지지부(42)는 상기 상부커버(30)를 지나서 상기 펜 몸체(20) 내에 삽입되되, 상기 펜 몸체(20) 내에 삽입된 상기 조작부재(50)의 상기 제1 몸체부(51)의 상부 내측에 삽입됨 -; 및
    상기 누름부재(40)와 상기 회전부재(6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0) - 상기 연결부재(70)는 전체적으로 핀모양을 이루는 제3 몸체부(71) 및 상기 제3 몸체부(71)의 중간 위치에서 방사상 외부로 돌출된 걸림부(72)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재(60)의 상기 제2 몸체부(61)가 상기 조작부재(50)의 상기 제1 몸체부(51) 내에 삽입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몸체부(61) 내에 상기 연결부재(70)가 삽입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3 몸체부(71)중 상기 걸림부(72)를 경계로 하여 그 위쪽 부위는 상기 캐릭터 지지부(42) 내로 삽입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 몸체(20)의 측벽 일측에는 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부(51)는 상기 펜 몸체(2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52)는 상기 홈(21)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클립부(53)는 상기 펜 몸체(20)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펜 몸체(20)의 상부에는 제1 돌출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22)의 방사상 외면상에는 제1 걸림턱(23)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30)의 방사상 내면상에는 제2 걸림턱(33)이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턱(33)이 상기 제1 걸림턱(23)을 하방향으로 지나도록 상기 필기구의 사용자가 상기 상부커버(30)를 하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30)가 상기 제1 돌출부(22)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51)의 하단부에는 나사산 모양의 제1 접촉부(54)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62)의 방사상 외주면상에는 다수의 제2 돌출부(63)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들(63)의 상단부는 상기 제2 몸체부(61)와 상기 확장부(62)의 경계를 지나서 상기 제2 몸체부(61)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돌출부들(63)의 상단부에는 제2 접촉부(64)가 형성되되, 상기 제2 접촉부(64)는 상기 제1 접촉부(54)의 모양에 대응하여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60)에서 상기 확장부(62)를 제외한 상기 제2 몸체부(61)가 상기 제1 몸체부(51)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26068A 2019-03-07 2019-03-07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 KR102041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068A KR102041880B1 (ko) 2019-03-07 2019-03-07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
TW109107539A TWI731614B (zh) 2019-03-07 2020-03-06 具有可替換可昇降人物圖案的書寫工具
JP2021553052A JP2022523846A (ja) 2019-03-07 2020-03-06 昇降回転及び交換可能なマスコット付き筆記具
PCT/KR2020/003176 WO2020180150A1 (ko) 2019-03-07 2020-03-06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068A KR102041880B1 (ko) 2019-03-07 2019-03-07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880B1 true KR102041880B1 (ko) 2019-11-07

Family

ID=6857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068A KR102041880B1 (ko) 2019-03-07 2019-03-07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523846A (ko)
KR (1) KR102041880B1 (ko)
TW (1) TWI731614B (ko)
WO (1) WO20201801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150A1 (ko) * 2019-03-07 2020-09-10 임승재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410A (ja) * 1991-06-28 1993-03-19 Shin Etsu Polymer Co Ltd 押釦スイツチ用カバ−部材の製造方法
JP2013214208A (ja) * 2012-04-02 2013-10-17 Shelly Company Inc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対応のタッチペン
KR101763220B1 (ko) 2016-12-06 2017-07-31 칭따오 베스트 포인트 스테이셔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유희구가 구비된 필기구
KR20170105135A (ko) * 2010-02-03 2017-09-18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필기구
KR101827839B1 (ko) * 2017-09-06 2018-02-09 어명혁 승강 회전되는 유희구를 구비한 필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084A (ja) * 1994-12-20 1996-07-09 Yokohama Plast:Kk 可変キャラクター表示装置
JP2003019367A (ja) * 2001-07-09 2003-01-21 Shain:Kk 回転動作玩具
JP3829856B2 (ja) * 2004-04-23 2006-10-04 一雅 竹内 筆記具
CN2792804Y (zh) * 2005-06-16 2006-07-05 温州市爱好笔业有限公司 一种顶部带有玩具的笔
JP5319363B2 (ja) * 2009-03-31 2013-10-16 株式会社サカモト サイドノック式の筆記具
JP5698927B2 (ja) * 2010-06-25 2015-04-08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筆記具
TWM418811U (en) * 2011-08-15 2011-12-21 Jia-Jing Lin Composite stylus pen device
TWM504713U (zh) * 2015-04-21 2015-07-11 Unit Best Entpr Co Ltd 筆結構改良
FR3055577B1 (fr) * 2016-09-07 2018-09-28 SOCIéTé BIC Dispositif manuel, notamment instrument d'ecriture, a deux tetes retractables portees par un unique chariot
TWM546313U (zh) * 2016-10-25 2017-08-01 Pai Pen Pro Int Ltd 轉經輪筆具
WO2019045018A1 (ja) * 2017-09-01 2019-03-07 三菱鉛筆株式会社 入力タッチペン
KR102041880B1 (ko) * 2019-03-07 2019-11-07 임승재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410A (ja) * 1991-06-28 1993-03-19 Shin Etsu Polymer Co Ltd 押釦スイツチ用カバ−部材の製造方法
KR20170105135A (ko) * 2010-02-03 2017-09-18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필기구
JP2013214208A (ja) * 2012-04-02 2013-10-17 Shelly Company Inc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対応のタッチペン
KR101763220B1 (ko) 2016-12-06 2017-07-31 칭따오 베스트 포인트 스테이셔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유희구가 구비된 필기구
KR101827839B1 (ko) * 2017-09-06 2018-02-09 어명혁 승강 회전되는 유희구를 구비한 필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0150A1 (ko) * 2019-03-07 2020-09-10 임승재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0150A1 (ko) 2020-09-10
JP2022523846A (ja) 2022-04-26
TW202039269A (zh) 2020-11-01
TWI731614B (zh)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503879A (ja) 弾性的に圧縮可能なチップ素子を有する感圧スタイラス
KR102052090B1 (ko) 분리 가능한 지우개를 구비한 열 변색성 필기구
KR102041880B1 (ko)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
US5791798A (en) Multi-purpose writing instrument
US6132125A (en) Combination bubble blower pen
US4598478A (en) Sharpener press-button
JP7454077B2 (ja) ペン型コンパス
KR101614575B1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 펜 겸용 볼펜
CN110696521B (zh) 折叠笔
KR101260904B1 (ko) 터치 스크린용 스타일러스 펜의 기능을 갖는 필기구
KR200370641Y1 (ko) 양면 스탬프를 구비한 문구
KR200452366Y1 (ko) 필기구
CN211843822U (zh) 一种变脸笔
US11911922B2 (en) Multi tool with a writing utensil and a knife
KR101824366B1 (ko)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
KR200426536Y1 (ko) 형광펜 동심 내장형 필기구
KR200197870Y1 (ko) 다기능 직선자
KR200171350Y1 (ko) 펜형 지우개 사용 기구
KR100806286B1 (ko) 형광펜 동심 내장형 필기구
JPH08175084A (ja) 可変キャラクター表示装置
KR200214572Y1 (ko) 수정용펜이 부착된 볼펜
JP2023031218A (ja) 入力ペン
KR200259220Y1 (ko) 발광장치를 구비한 펜
KR200214558Y1 (ko) 심회전식 필기구
KR20140076336A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 펜 겸용 볼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