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366B1 -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 - Google Patents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366B1
KR101824366B1 KR1020170114158A KR20170114158A KR101824366B1 KR 101824366 B1 KR101824366 B1 KR 101824366B1 KR 1020170114158 A KR1020170114158 A KR 1020170114158A KR 20170114158 A KR20170114158 A KR 20170114158A KR 101824366 B1 KR101824366 B1 KR 101824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protrusion
rotation
projection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명혁
Original Assignee
어명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명혁 filed Critical 어명혁
Priority to KR102017011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366B1/ko
Priority to CN201810151581.7A priority patent/CN10945501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preading sp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8Clips combined with means for propelling, projecting or retracting the wri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펜몸체의 측면에서 펜심이 출몰되게 조작할 때 필기구의 상단에 구비된 유희구가 회동동작되도록 구성하고, 펜심의 출몰조작을 펜몸체의 측면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필기구 사용의 편의성을 갖도록 구성하며, 출몰작동이 이루어지는 출몰제어수단을 통해 출몰작동이 명확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관체로 형성되어 측면에 작동공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클립체결부가 형성된 펜몸체와, 상기 펜몸체에 삽입되며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는 펜심이 삽입되는 관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출몰제어수단결합부가 형성된 노크작동구와, 상기 출몰제어수단결합부에 삽입되어 펜심 팁의 출몰이 제어 작동되게 하는 출몰제어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펜심이 출몰되게 하는 출몰작동시 필기구의 상부에 구성된 유희구가 회동됨으로 해서 필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기분을 환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A writing instrument in which a yuhigu is operated when the ballpoint pen protrudes}
본 발명은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펜몸체의 측면에서 펜심이 출몰되게 조작할 때 필기구의 상단에 구비된 유희구가 회동동작되도록 구성하고, 펜심의 출몰조작을 펜몸체의 측면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필기구 사용의 편의성을 갖도록 구성하며, 출몰작동이 이루어지는 출몰제어수단을 통해 출몰작동이 명확히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크식 필기구는 사용자가 누르는데 따라 펜몸체 내부에서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는 펜심이 팁커버에서 출몰되는 작동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노크식 필기구는 노크작동에 있어서, 펜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에서 누름작동과 측면에서 해제작동을 해야 하는 필기구 및 상부에서 누름작동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펜심 팁의 출몰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또한, 종래 필기구를 필기구 외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필기구 상부에 유희구를 장착하여 사용되는 착탈가능한 유희구가 부설된 필기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착탈가능한 유희구가 부설된 필기구는 유희구 내부에 전원과 모터가 구비되어 작동되는 것으로 지속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원을 교체해야 하고, 또한, 모터로 가동되는 이와 같은 유희구는 외부 충격에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필기구는 노크작동을 위해 필기하기 위해 파지한 상태를 바꿔야 하는 필기구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을 갖는다.
등록실용신안 20-0308830
본 발명은 종래 노크식 필기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 한 것으로, 필기구의 펜심을 노크작동하는데 따라 필기구의 상부에 구비된 유희구가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기분전환을 위한 유희구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한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를 바꾸지 않고도 필기구의 출몰조작이 가능하도록 펜몸체의 측면에서 조작가능 한 노크작동구를 구성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필기구의 펜심이 출몰되게 하는 출몰제어수단이 명확한 출몰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체로 형성되어 측면에 작동공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클립체결부가 형성된 펜몸체와, 상기 펜몸체에 삽입되며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는 펜심이 삽입되는 관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출몰제어수단결합부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작동공으로 노출되어 승강작동하는 노크버튼이 형성된 노크작동구와, 상기 출몰제어수단결합부에 삽입되어 펜심의 펜촉 출몰이 제어 작동되게 하는 출몰제어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출몰제어수단은 회동작동구와 승강작동구로 구성되어 승강작동구가 승강하며 회동작동구를 일정각도 회동하며 출몰제어되게 구성되고,
상기 회동작동구는 출몰제어수단결합부에 삽입된 후 펜몸체 상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연장캡이 결합되며, 고정연장캡은 펜클립의 상부로 돌출되는 연장결합부에 유희구가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펜심이 출몰되게 하는 출몰작동시 필기구의 상부에 구성된 유희구가 회동됨으로 해서 필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기분을 환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필기구의 노크작동을 펜몸체의 측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노크작동을 하기 위해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를 바꾸지 않아도 되므로 필기구 작동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몰제어수단에 의해 노크작동이 명확하게 이루어져 필심의 출몰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크작동구와 출몰제어수단이 분리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몰제어수단 중 승강작동구를 발췌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몰제어수단 중 회동작동구를 발췌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동작동구를 전개하여 승강작동구의 고정돌기가 위치한 상태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몸체에 노크작동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몰제어수단결합부에 승강작동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립체결부에 노크클립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순서를 예시한 작동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펜몸체(10)와, 상기 펜몸체(10)에 삽입되는 노크작동구(30)와, 노크작동구(30)의 상단에 결합되어 펜심(1)의 출몰이 제어 작동되게 하는 회동작동구(41)와 승강작동구(42)로 구성된 출몰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펜몸체(10)는 관체로 형성되어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작동공(11)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클립체결부(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펜몸체(10)에서 펜심(1)이 빠지지 않도록 하며 펜심(1)의 펜촉이 출몰되는 펜심커버(13)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펜몸체(10)는 내측에 작동공(11)과 마주보는 일면을 평면으로 된 노크작동구회전방지면(10a)으로 형성하여 노크작동구(30)가 정위치 삽입되고 회전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립체결부(12)는 펜몸체(10) 내부와 관통되며 출몰제어수단을 구성하는 회동작동구(41)가 회전가능하게 끼움되는 회전공(12a)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펜클립(20)의 내측이 억지끼움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클립체결돌기(12b)와, 클립(20)을 정 위치에 결합할 수 있게 결합유도홈(12c)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공(12a) 상측에는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이 돌출되는 회동작동구(41)가 빠지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고정연장캡(14)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연장캡(14)은 상측으로 펜클립(20) 상단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연장결합부(14a)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유희구(15)와의 체결을 위한 돌기부(14b)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장결합부(14a)에는 유희구(15)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유희구(15)는 캐릭터 또는 평면 및 입체형상 등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체결홈(15a)이 형성되고, 체결홈(15a) 내주연에는 끼워진 연장결합부(14a)의 돌기부(14b)가 걸려 유희구(15)가 연장결합부(14a)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15b)가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펜클립(20)은 상부에 클립체결부(12)가 끼움되게 하측이 개방된 공간을 갖는 클립헤드(21)가 형성되고, 클립헤드(21) 내부 양측벽에서 돌출되어 결합유도홈(12c)에 끼움되는 결합유도돌기(21a)가 형성되며, 하측 내주연에는 클립체결돌기(12b)가 걸림되는 걸림돌기(21b)가 형성되며, 클립헤드(21) 중앙은 고정연장캡(14)의 상단이 끼워져 상부로 돌출되도록 관통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크작동구(30)는 하측이 개방되어 펜심(1)이 삽입되는 관체로 작동몸체(31)가 형성되며, 일면에는 작동공(11)에 끼움되는 노크버튼(32)이 돌출 형성되고, 상부에는 측면과 상부가 개방된 출몰제어수단이 결합되는 출몰제어수단결합부(33)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노크버튼(32) 양측으로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관통되게 절결된 절취홈(34)을 형성하여 그 사이의 노크버튼(32)을 눌렀을 때 내측으로 몰입될 수 있는 탄성면(35)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면(35)에 의해 노크작동구(30)를 펜몸체(10)에 결합시 외측으로 돌출된 노크버튼(32)이 내측으로 몰입될 수 있어 쉽게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출몰제어수단결합부(33)는 개방된 상단이 내측으로 일정 간격 돌출된 걸림턱(33a)이 형성되어 삽입된 출몰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승강작동구(42)가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노크버튼(32)이 형성된 노크작동구(30)의 이면에는 펜몸체(10)의 내측 노크작동구회전방지면(10a)과 맞닿아 삽입되게 평면의 회전방지면(36)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출몰제어수단결합부(33)의 개방된 측면으로 삽입되는 승강작동구(42)가 정위치 결합되도록 양측 벽면은 평면의 끼움유도면(33b)으로 형성되며, 양측 끼움유도면(33b) 사이의 내측 벽면에는 승강작동구(42)의 끼움돌기(42c)가 끼움되는 끼움홈(33c)이 형성되어 결합된 승강작동구(42)가 회전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몸체(31)에는 스프링(S)으로 탄성지지되는 펜심(1)이 하부에서 삽입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출몰제어수단은 회동작동구(41)와 승강작동구(42)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작동구(41)는 상단이 회전공(12a)에 회전될 수 있게 끼워져 상측으로 돌출된 후 고정연장캡(14)과 결합되게 단턱(41a)이 형성되고, 중앙 부분 양측으로는 출몰작동돌기(41b)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등 간격으로 회전유도돌기(41c)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유도돌기(41c)는 출몰작동돌기(41b)의 사이 하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걸림회전유도돌기(41c-1)와, 출몰작동돌기(41b)의 수직한 하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해제회전유도돌기(41c-2)가 상호 반복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해제회전유도돌기(41c-2)는 걸림회전유도돌기(41c-1) 보다 일정 길이 짧게 형성하되, 출몰작동돌기(41b)와 해제회전유도돌기(41c-2)의 간격 B는 고정돌기(42a)의 길이 C보다 간격이 좁도록 형성하여 고정돌기(42a)를 펜심(1)의 출몰을 위해 공간 D로 하강 시 외부 충격 등의 요인에 의해 해제 작동이 이루어지는 공간 E로 넘어가는 것이 방지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출몰작동돌기(41b)의 하단과 회전유도돌기(41c)의 상단은 상호 역방향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승강작동구(42)에 형성된 고정돌기(42a)의 상단 및 하단과 맞 닿으며 일 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작동구(42)는 회동작동구(41)가 끼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관체로 형성되고, 내측 상부 양측에 고정돌기(42a)가 형성되며, 외측 양면이 평면으로 체결면(42b)이 형성되고, 양측 체결면(42b) 사이의 양면에는 돌출되는 끼움돌기(42c)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돌기(42a)의 상단 경사면은 출몰작동돌기(41b)의 하측 모서리가 걸림되도록 고정홈(42d)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돌기(42a)는 상단과 하단이 역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되, 상단 경사면은 출몰작동돌기(41b)의 하단 경사면과 면접촉되도록 형성되고, 하단 경사면은 회전유도돌기(41c)의 상단 경사면과 면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2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과 같이 회동작동구(41)의 상부가 클립헤드(21)를 통과하여 돌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실시하여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회동작동구(41)에 유희구(15)를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펜몸체(10)와, 상기 펜몸체(10)에 삽입되는 노크작동구(30)와, 노크작동구(30)의 상단에 결합되어 펜심(1)의 펜촉 출몰이 제어 작동되게 하는 출몰제어수단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펜몸체(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펜몸체(10)의 측면에서 조작할 수 있게 구성된 노크작동구(30)를 반복 하강시켜 조작하게 되면 펜심(1)이 출몰 또는 몰입되며 출몰제어수단의 회동작동구(41)와 연결된 유희구(15)가 일정 각도씩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 펜심(1)의 펜촉을 돌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노크작동구(30)의 노크버튼(32)을 하강 조작하게 되면, 이와 함께 출몰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승강작동구(42)가 하강하며 내측에 형성된 고정돌기(42a)가 회동작동구(41)의 회전돌기(41c) 중 걸림회전유도돌기(41c-1)와 맞닿으며 하강하게 되며 걸림회전유도돌기(41c-1)를 일측으로 밀어 회동작동구(41)가 일정 각도 회전이 이루어져 하강되는 고정돌기(42a)가 출몰작동돌기(41b)에 걸림될 수 있는 공간 D로 이동하게 되며 펜심(1)의 펜촉이 같이 하강되어 돌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42a)가 회동작동구(41)의 회전돌기(41c)를 밀어 회동작동구(41)가 회전하는데 따라 고정연장캡(14)을 통해 연결된 유희구(15)의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후 노크작동구(30)의 노크버튼(32)을 하강시킨 손을 놓게 되면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노크작동구(30)가 상승하고 출몰제어수단결합부(33)에 결합된 승강작동구(42)가 함께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승강작동구(42)는 상승할 때 고정돌기(42a)의 상단 경사면이 출몰작동돌기(41b)의 하부 경사면과 접촉하며 상승하게 되고, 이때 출몰작동돌기(41b)가 밀려나며 회동작동구(41)가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상승하던 승강작동구(42)의 고정홈(42d)에 출몰작동돌기(41b)의 하단 모서리가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더 이상의 상승이 이루어지지 않고 출몰된 펜심(1)의 펜촉이 삽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동작동구(41)가 회전하는데 따라 회동작동구(41)와 연결 결합된 고정연장캡(14)과 유희구(15)가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출몰작동돌기(41b)와 해제회전유도돌기(41c-2)의 간격 B는 고정돌기(42a)의 길이 C보다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 고정돌기(42a)를 펜심(1)의 출몰을 위해 공간 D로 하강 시 외부 충격 등의 요인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여도 고정돌기(42a)가 해제외전유도돌기(41c-2)의 상단에 걸리며 안정적으로 공간 D로 하강된 후 출몰작동돌기(41b)로 상승되어 돌출된 펜심(1)이 돌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걸림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고정돌기(42a)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홈(42d)은 출몰작동돌기(41b)와 해제회전유도돌기(41c-2)의 간격 A만큼의 차이에 의해 출몰작동돌기(41b)의 모서리를 지나치지 않은 위치에 있게 되어 상승되는 승강작동구(42)의 고정홈(42d)으로 출몰작동돌기(41b)의 모서리가 끼워지게 되어 펜심(1)이 돌출된 상태에서 더 이상 상승되지 않음으로 펜심(1)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 돌출된 펜심(1)의 펜촉을 몰입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노크작동구(30)의 노크버튼(32)을 다시 한번 하강시키게 되면 승강작동구(42)에 형성된 고정돌기(42a)의 하단 경사면이 회전돌기(41c) 중 해제회전유도돌기(41c-2)의 상부 경사면에 접촉되며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하강하는 고정돌기(42a)가 해제회전유도돌기(41c-2)를 밀어내게되어 회동작동구(41)가 회전하게 되며, 고정돌기(42a)가 출몰된 펜심(1)이 몰입될 수 있는 걸림회전유도돌기(41c-1)와 해제회전유도돌기(41c-2)의 사이의 공간 E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42a)가 회동작동구(41)의 회전돌기(41c) 중 해제회전유도돌기(41c-2)를 밀어 회동작동구(41)가 회전하는데 따라 고정연장캡(14)과 연결된 유희구(15)의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간 E에 고정돌기(42a)가 위치한 상태에서 노크작동구(30)의 노크버튼(32)에서 손을 놓게 되면 스프링(S)의 탄발력에 의해 노크작동구(30)가 상승하면서 상기 노크작동구(30)의 출몰제어수단결합부(33)에 결합된 승강작동구(42)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승강작동구(42)의 고정돌기(42a) 상부 경사면이 출몰작동돌기(41b)의 하부 경사면에 맞닿으며 승강이 이루어져 출몰작동돌기(41b)에 승강되는 힘에 의해 회동작동구(41)가 회전하게 되고 양 출몰작동돌기(41b)의 사이에 출몰작동돌기(41b)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펜심(1)의 펜촉 몰입작동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유도돌기(41c)의 사이로 하강 됐던 고정돌기(42a)의 고정홈(42d)은 상승 될 때 출몰작동돌기(41b)의 모서리를 벗어나 경사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승 작동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회동작동구(41)의 고정돌기(42a)가 양 출몰작동돌기(41b)의 사이로 승강될 때도 회동작동구(41)와 결합된 고정연장캡(14)과 고정연장캡(14)에 결합된 유희구(15)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희구(15)의 회전은 승강작동구(42)가 하강 또는 상승하며 회전시키게 되는 회동작동구(41)와 연결되어 있어 노크작동을 할 때 마다 항상 회전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펜몸체(10)의 내면에 형성된 노크작동구회전방지면(10a)과 펜몸체(10)에 삽입된 노크작동구(30)의 회전방지면(36)이 면접촉되어 노크작동구(30)가 좌우 움직임 없이 승강작동이 이루어지고, 출몰제어수단결합부(33)에 삽입되어 끼움유도면(33b)과 면접촉되는 승강작동구(42)의 체결면(42b)이 면접촉되어 좌우 회동되는 움직임 없이 승강만 작동됨으로 승강작동구(42)의 삽입 결합된 회동작동구(41)가 회전되어 출몰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고정연장캡(14)을 통해 회동작동구(41)와 연결된 유희구(15)는 노크작동구(30)를 조작하여 펜심(1)의 돌출 및 몰입 작동이 이루어질 때 마다 회동작동구(41)와 동일하게 일정 각도씩 회전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 12와 같이 고정연장캡(14)을 사용하지 않고 회동작동구(41)의 상부가 클립헤드(21)를 통과하여 돌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실시하여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유희구(15)가 작동되도록 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펜몸체 10a : 노크작동구회전방지면
11 : 작동공 12 : 클립체결부
12a : 회전공 12b : 클립체결돌기
12c : 결합유도홈 13 : 펜심커버
14 : 고정연장캡 14a : 연장결합부
14b : 돌기부 15 : 유희구
15a : 체결홈 15b : 이탈방지돌기
20 : 펜클립 21 : 클립헤드
21a : 결합유도돌기 21b : 걸림돌기
30 : 노크작동구 31 : 작동몸체
32 : 노크버튼 33 : 출몰제어수단결합부
33a : 걸림턱 33b : 끼움유도면
33c : 끼움홈 34 : 절취홈
35 : 탄성면 36 : 회전방지면
41 : 회동작동구 41a : 단턱
41b : 출몰작동돌기 41c : 회전유도돌기
41c-1 : 걸림회전유도돌기 41c-2 : 해제회전유도돌기
42 : 승강작동구 42a : 고정돌기
42b : 체결면 42c : 끼움돌기
42d : 고정홈

Claims (2)

  1. 노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관체로 형성되어 측면에 작동공(11)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클립체결부(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펜심이 빠지지 않도록 펜심커버(13)가 결합된 펜몸체(10)와,
    상기 펜몸체(10)에 삽입되며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는 펜심(1)이 삽입되는 관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출몰제어수단결합부(33)가 형성된 노크작동구(30)와,
    상기 출몰제어수단결합부(33)에 삽입되어 펜심(1)이 출몰 작동되게 하는 출몰제어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펜몸체(10)는 작동공(11)과 마주보는 내부 일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노크작동구회전방지면(10a)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체결부(12)는 펜몸체(10) 내부와 관통되며 출몰제어수단을 구성하는 회동작동구(41)의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끼움되어 돌출되는 회전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공(12a) 상부에는 돌출된 회동작동구(41)의 상단과 결합되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고정연장캡(14)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연장캡(14)은 상측으로 펜클립(20) 상단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연장결합부(14a)가 형성되고, 연장결합부(14a)의 상부에는 유희구(15)와의 체결을 위한 돌기부(14b)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연장캡(14)에는 다양한 형상의 캐릭터 또는 평면 및 입체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노크작동에 따라 승강 회동하는 유희구(15)가 결합되고,
    상기 유희구(15)는 하부가 개방되어 연장결합부(14a)가 끼워지는 체결홈(15a)이 형성되고, 체결홈(15a) 내주연에는 끼워진 연장결합부(14a)의 돌기부(14b)가 걸려 유희구(15)가 연장결합부(14a)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15b)가 형성되고,

    상기 노크작동구(30)는 펜심(1)이 삽입되도록 일면이 개구된 관체로 형성된 작동몸체(31)와, 일면에 작동공(11)을 통해 펜몸체(10) 외부로 노출되는 노크버튼(32)과, 노크버튼(32)은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노크버튼(32)의 양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고 내부와 관통되는 절취홈(34)을 형성하여 노크버튼(32)을 눌렀을 때 내측 방향으로 몰입되는 탄성면(35)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에는 측면과 상부가 개방된 출몰제어수단결합부(33)가 형성되며,
    상기 노크버튼(32)이 형성된 노크작동구(30)의 이면에는 평면으로 형성된 회전방지면(36)이 형성되고, 상기 출몰제어수단결합부(33)의 내부 양측면이 평면의 끼움유도면(33b)으로 형성되며, 끼움유도면(33b) 사이의 내측 벽면에는 승강작동구(42)의 끼움돌기(42c)가 끼움되는 끼움홈(33c)이 형성되고,

    상기 출몰제어수단은 회동작동구(41)와 승강작동구(42)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작동구(41)는 관체로 형성된 승강작동구(42)에 삽입되며 상측으로 상부가 돌출되게 결합되어 출몰제어수단결합부(33)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삽입 결합되며,
    상기 회동작동구(41)는 펜몸체(10)의 상부 회전공(12a)의 상부로 돌출되게 끼워진 후 펜몸체(10)에서 회전되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연장캡(14)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작동구(41)는
    상단이 회전공(12a)에 끼워지면 내측 단부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되는 단턱(41a)이 형성되고, 중앙 부분 양측으로는 출몰작동돌기(41b)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등간격으로 회전유도돌기(41c)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유도돌기(41c)는 출몰작동돌기(41b)의 사이 하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걸림회전유도돌기(41c-1)와, 출몰작동돌기(41b)의 수직한 하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해제회전유도돌기(41c-2)가 상호 반복되게 형성되고, 걸림회전유도돌기(41c-1)는 해제회전유도돌기(41c-2)보다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출몰작동돌기(41b)의 하단과 회전유도돌기(41c)의 상단은 상호 역방향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승강작동구(42)에 형성된 고정돌기(42a)의 상단 및 하단과 맞 닿으며 일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작동구(42)는
    회동작동구(41)가 끼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관체로 형성되고, 내측 상부 양측에 고정돌기(42a)가 형성되며, 외측 양면이 평면으로 체결면(42b)이 형성되고, 양 체결면(42b)의 사이에서 돌출되는 끼움돌기(42c)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42a)의 상단 경사면은 출몰작동돌기(41b)의 하측 모서리가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고정홈(42d)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42a)는 상단과 하단의 경사면은 역방향으로 형성하되,
    상단 경사면은 출몰작동돌기(41b)의 하단 경사면과 면접촉되게 형성되고,
    하단 경사면은 회전유도돌기(41c)의 상단 경사면과 면접촉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
KR1020170114158A 2017-09-06 2017-09-06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 KR101824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58A KR101824366B1 (ko) 2017-09-06 2017-09-06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
CN201810151581.7A CN109455019B (zh) 2017-09-06 2018-02-14 圆珠笔笔芯伸缩时游戏件动作的书写工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58A KR101824366B1 (ko) 2017-09-06 2017-09-06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366B1 true KR101824366B1 (ko) 2018-03-14

Family

ID=61660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158A KR101824366B1 (ko) 2017-09-06 2017-09-06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4366B1 (ko)
CN (1) CN109455019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423B1 (ko) 2016-05-13 2016-12-06 어명혁 노크 가압식 필기구
KR200484941Y1 (ko) 2017-02-10 2017-11-09 어명혁 측면에 출몰조작구가 구비된 필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9723B2 (ja) * 1995-01-09 1998-04-15 株式会社横浜プラスチック 発光キャラクター表示装置
JP3490008B2 (ja) * 1998-12-25 2004-01-26 株式会社壽 サイドノック式ボールペン
CN2385901Y (zh) * 1999-08-17 2000-07-05 邱源荣 发声原子笔
KR200259213Y1 (ko) * 2001-09-03 2002-01-05 김진웅 발광장치를 구비한 볼펜
CN201665082U (zh) * 2010-03-26 2010-12-08 深圳市宝安公明李松蓢勤乐制品厂 一种尾端具有摇摆结构的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423B1 (ko) 2016-05-13 2016-12-06 어명혁 노크 가압식 필기구
KR200484941Y1 (ko) 2017-02-10 2017-11-09 어명혁 측면에 출몰조작구가 구비된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55019B (zh) 2020-07-07
CN109455019A (zh)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137B1 (en) Writing instrument
JP3086343U (ja) 発光装置付きボールペン
JP4648818B2 (ja) クリップ
KR101824366B1 (ko) 볼펜심의 출몰시 유희구가 동작되는 필기구
KR101827839B1 (ko) 승강 회전되는 유희구를 구비한 필기구
KR101824367B1 (ko) 흔들어서 볼펜심이 출몰되는 필기구
JP5064320B2 (ja) ノック式ペン
JP2023054261A (ja) ペン型コンパス
KR101763220B1 (ko) 유희구가 구비된 필기구
JP2003011583A (ja) スライド式の複合筆記具
KR101683423B1 (ko) 노크 가압식 필기구
KR102041880B1 (ko) 승강 회전 및 교체 가능한 캐릭터 인형을 갖는 필기구
KR101824368B1 (ko) 측면에 구비한 노크버튼으로 펜심이 출몰되는 필기구
US6200050B1 (en) Automatic bounce device for a center stick in a pen
JP3172736U (ja) 容量式パネル用タッチペン
JP6227902B2 (ja) 筆記具
JP2001293995A (ja) ボールペン
KR200280251Y1 (ko) 필기구가 구비된 부채
KR102631991B1 (ko) 장식부를 갖는 필기용 펜
KR200379044Y1 (ko) 필기구 부착이 가능한 원형 줄자
JPH053352Y2 (ko)
KR20040049440A (ko) 펜심 노크식 필기구
KR200370641Y1 (ko) 양면 스탬프를 구비한 문구
CN209851891U (zh) 揿动式笔
JP2001180174A (ja) 筆記具の握り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