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027B1 - 원 홀 수전 조립체 - Google Patents

원 홀 수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027B1
KR102319027B1 KR1020200105271A KR20200105271A KR102319027B1 KR 102319027 B1 KR102319027 B1 KR 102319027B1 KR 1020200105271 A KR1020200105271 A KR 1020200105271A KR 20200105271 A KR20200105271 A KR 20200105271A KR 102319027 B1 KR102319027 B1 KR 102319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protrusion
inner diameter
hole
preve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강훈
Original Assignee
박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훈 filed Critical 박강훈
Priority to KR102020010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 홀 수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 홀 수전 조립을 위해 적어도 2명의 작업자를 요하지 않고 단 한명의 작업자가 씽크대 하부로 들어가지 않고 씽크대 상부에서 간단하게 끼우고 나사조임만 하면 아주 쉽고 빠르게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개선된 원 홀 수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 홀 수전 조립체{One hole faucet assembly}
본 발명은 원 홀 수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 홀 수전 조립을 위해 적어도 2명의 작업자를 요하지 않고 단 한명의 작업자가 씽크대 하부로 들어가지 않고 씽크대 상부에서 간단하게 끼우고 나사조임만 하면 아주 쉽고 빠르게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개선된 원 홀 수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씽크대용 원홀 타입 수전 금구는 통상 벽붙이 수전 금구와는 다르게 직립된 몸체의 내부에 냉, 온수 파이프를 연결함과 동시에 유량 제어를 위한 밸브체를 설치하여야 함으로 그 크기가 소형이면서 몸체 내부에 수 개의 기기가 장착되어야 함으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폐단과 기술적으로 소형으로 제작하기에는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도 1의 예시와 같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씽크대용 원 홀 수전 조립구조는 씽크볼(10)의 일측 평평한 면에 수전몸체(20)가 배치되고, 씽크볼(10) 하부에서 샹크부(22)를 수전몸체(20)의 하단에 조립하여 수전몸체(20)를 고정하되 샹크부(22)가 조립되기 전에 회전방지구(24)와 락너트(26)를 미리 끼운 상태에서 수전몸체(20)에 샹크부(22)를 조립하고, 이어 회전방지구(24)가 견착된 상태에서 락너트(26)를 조이게 되면 수전몸체(20)가 회전되지 않고 락너트(26)에 의해 씽크볼(10)의 평평한 판면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맞물려 완전히 고정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는 수전몸체(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방지구(24)를 반드시 구비해야 하고, 수전몸체(20)가 회전되지 않도록 위치 고정하게 붙잡고 있는 상태에서 조여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힘들어 주부나 노인들 혼자 교체작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특히, 안전하고 신속 정확한 작업을 위해서는 적어도 두 사람의 작업인원이 반드시 필요한데, 한 명은 수전몸체(20)를 잡아 줘야 하고, 나머지 한 명은 씽크볼(10) 하부로 들어가 누운 상태로 조립 고정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협소 공간에서 작업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고 까다로워서 대부분 전문 시공자를 불러 작업해야 하므로 교체 작업에 따른 비용낭비도 심한 편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하기한 [선행기술문헌]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문헌1)의 경우에는 컬러의 암이 변형되면서 싱크대 카운터를 맞물어 고정하도록 된 구조여서 이 컬러를 회전시키는 고정자고리가 회전될 때 컬러도 함께 회전되는 문제가 있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컬러의 암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과도한 힘이 걸려 부러지거나 파단되는 단점이 있고, 이는 고정기능을 불가능하게 하는 심각한 문제가 된다.
(문헌2)의 경우에는 수전몸체를 끼워 락킹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전몸체 고정을 위한 회전방지구나 락너트와의 관련성은 상대적으로 적다.
(문헌1)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093010호(1996.04.09.), 水栓の固定構造 (문헌2)미국 특허공보 US4310933(1982.01.19.), Food waste disposer mounting assembl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원 홀 수전 조립을 위해 적어도 2명의 작업자를 요하지 않고 단 한명의 작업자가 씽크대 하부로 들어가지 않고 씽크대 상부에서 간단하게 끼우고 나사조임만 하면 아주 쉽고 빠르게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개선된 원 홀 수전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싱크볼(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제1고정구(40), 제2고정구(50);를 포함하는 원 홀 수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40)는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나사산(SC)과, 상기 제1고정구(40)의 몸체 상단부 둘레에 형성된 돌기삽입홈(42)과, 상기 돌기삽입홈(42)에서 몸체의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걸림가이드(44)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구(50)는 몸체 상단에서 일정깊이 절개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절개부(52)와, 상기 절개부(52)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바깥으로 벌려지게 형성된 걸림편부(54)와, 상기 걸림편부(54)를 제외한 내경에는 상기 고정나사산(SC)에 나사체결되게 형성된 내경나사산(56)과, 하단부 내경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TR)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구(40)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고정구(50)에 끼워지는 회전방지부재(60)와, 상기 회전방지부재(60)에 끼워진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구(40)와 맞물려 제1고정구(40)를 회전시키는 회전조작환(70)을 더 구비하되, 상기 회전방지부재(60)의 하단 둘레에는 상기 걸림턱(TR)에 걸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62)가 돌출되고; 상기 회전조작환(70)의 내경에는 상기 돌기삽입홈(42)에 끼워져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턱(7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홀 수전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 홀 수전 조립을 위해 적어도 2명의 작업자를 요하지 않고 단 한명의 작업자가 씽크대 하부로 들어가지 않고 씽크대 상부에서 간단하게 끼우고 나사조임만 하면 아주 쉽고 빠르게 설치고정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원 홀 씽크 수전의 조립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 홀 씽크 수전의 조립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 홀 씽크 수전의 조립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 홀 씽크 수전의 설치완료된 예를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원 홀 수전 조립구조를 초간단화시켜 주부나 어린인 등 초보자라도 아주 쉽고 편리하게 교체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 홀 수전 조립체는 씽크볼(10)의 일측 평평한 면에 형성된 원 홀(12) 상에 설치되는 수전몸체(20)를 포함한다.
이때, 수전몸체(20)는 종래와 동일하지만, 하단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혹은 4개의 고정돌기(32, 도 5 참조)가 더 가공된다는 점만 다를 뿐이다.
이 경우, 상기 고정돌기(32)는 상기 수전몸체(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수전몸체(20)의 하단을 분리하여 별도의 부재가 체결되게 만들면서 그 부재 내경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32)가 락킹되는 제1고정구(40)와, 상기 제1고정구(40)에 나사체결되는 제2고정구(50)를 포함하며, 이들 내부에는 도 2에 예시된 물호스(H), 즉 온수와 냉수가 공급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호스가 통과되게 배관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구(40)는 하단에 고정나사산(SC)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돌기(32)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갯수의 돌기삽입홈(42)과, 상기 고정돌기(32)가 돌기삽입홈(42)에 삽입된 후 회전되었을 때 걸려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돌기걸림가이드(44)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돌기걸림가이드(44)의 일단은 'ㄱ' 형상으로 꺽여 막힘으로써 고정돌기(32)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스토퍼(46)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1고정구(40)의 둘레에 형성된 고정나사산(SC)은 상단부, 즉 스토퍼(46)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일정간격 부분은 민자부(48)로서 나사산이 없는 부분이며, 고정나사산(SC)은 민자부(48) 만큼 띄운 상태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구(50)는 상단에서 일정깊이 절개부(52)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52)는 둘레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이로 인해 다수의 걸림편부(54)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걸림편부(54)는 바깥방향으로 미세하게 벌어져 있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걸림편부(54)를 제외한 내경에는 상기 고정나사산(SC)에 나사체결되는 내경나사산(56)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2고정구(50)의 하단부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TR)이 돌출된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구(50)의 하단부 내경은 상기 제1고정구(40)의 두께만큼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 그 두께만큼 호형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호형볼록부(AC)가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되는 회전방지부재(60)의 하단부와 접촉되면서 회전방지부재(60) 삽입시 헐겁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함이다.
때문에, 상기 걸림턱(TR)은 당연히 상기 호형볼록부(AC) 보다 더 돌출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구(40)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고정구(50)에 끼워지는 회전방지부재(60)가 더 마련되며, 상기 회전방지부재(60)의 하단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62)가 돌출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62)는 상기 걸림턱(TR)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상기 회전방지부재(60)를 끼운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돌기(62)가 상기 걸림턱(TR)에 걸리게 되어 회전방지부재(60)와 제2고정구(50)가 함께 회전하게 되며, 회전방지부재(60)를 붙잡은 상태로 회전을 제한하게 되면 당연히 상기 제2고정구(50)도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재(60)에는 회전조작환(70)이 끼워지며, 상기 회전조작환(7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턱(7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턱(72)은 상기 제1고정구(40)의 돌기삽입홈(42)에 끼워져 걸림되게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조작환(70)은 상기 회전방지부재(60)에 끼워진 부재돌기(RB)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게 위치고정될 수 있다.
즉, 회전조작환(70)을 끼우게 되면 부재돌기(RB)에 걸려 일정위치에 고정되게 되는데, 그 고정위치는 설계를 통해 회전조작환(70)을 제1고정구(40)에 끼워 조작할 수 있는 위치가 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먼저, 제1고정구(40)에 제2고정구(50)를 어느 정도 가조립 한 상태에서 원 홀(12)에 끼워 넣는다.
즉, 상기 제1,2고정구(40,50) 가조립체를 씽크볼(10)의 원 홀(12)에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제1,2고정구(40,50) 가조립체에 회전조작환(70)이 설치되어 있는 회전방지부재(60)가 제1고정구(40)를 관통하여 제2고정구(50)의 내경 하단까지 끼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2고정구(40,50) 가조립체를 씽크볼(10)의 원 홀(12)에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 넣게 되면 걸림편부(54)가 살짝 오므려들면서 원 홀(12)을 통과하게 되고, 씽크볼(10)을 사이에 두고 상측에는 제1고정구(40)의 스토퍼(46)가 배치되며 하측에는 제2고정구(50)의 걸림편부(54)가 배치된다.
그런 다음, 회전조작환(70)을 내려 돌출턱(72)이 제1고정구(40)의 돌기삽입홈(42) 속으로 들어가게 조립한 다음, 상기 회전방지부재(60)를 잡고 회전조작환(70)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조인다.
그러면, 회전방지부재(60)에 맞물려 있던 제1고정구(40)가 동일방향, 즉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대물인 제2고정구(50)는 회전방지부재(60)와 맞물려 회전되지 못하기 때문에 제1,2고정구(40,50)가 서로 나사결합된 부위를 따라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하게 된다.
결국, 제1고정구(40)가 완전히 조여지면 제2고정구(50)는 최대한 상승하면서 당겨져 걸림편부(54)의 상단과 제1고정구(40)의 둘레면이 씽크볼(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꽉 맞물리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조임이 완료되면 회전방지부재(60)와 회전조작환(70)은 상부로 들어 올려 빼낸다.
이 상태에서 수전몸체(20)에 연결된 배관을 제1,2고정구(40,50) 속으로 집어 넣어 배관하고, 배관이 완료되면 수전몸체(20)의 고정돌기(32)를 제1고정구(40)의 상단부에 끼워 맞춘 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돌기(32)가 돌기가이드(44)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작업자가 씽크볼(10) 하부로 기어들어갈 필요없이 그냥 씽크볼(10) 상부에서 끼우고 조인 후 약간 틀어주면 아주 쉽고 빠르게 조립 설치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전용 조임기구(일종의 지그)인 회전방지부재(60)와 회전조작환(70)을 활용함으로써 주부, 노약자라도 아주 쉽고 편리하게 수전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10: 씽크볼
20: 수전몸체
30: 고정가이드
40: 제1고정구
50: 제2고정구

Claims (2)

  1. 싱크볼(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제1고정구(40), 제2고정구(50);를 포함하는 원 홀 수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40)는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나사산(SC)과, 상기 제1고정구(40)의 몸체 상단부 둘레에 형성된 돌기삽입홈(42)과, 상기 돌기삽입홈(42)에서 몸체의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걸림가이드(44)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구(50)는 몸체 상단에서 일정깊이 절개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절개부(52)와, 상기 절개부(52)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바깥으로 벌려지게 형성된 걸림편부(54)와, 상기 걸림편부(54)를 제외한 내경에는 상기 고정나사산(SC)에 나사체결되게 형성된 내경나사산(56)과, 하단부 내경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TR)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구(40)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고정구(50)에 끼워지는 회전방지부재(60)와, 상기 회전방지부재(60)에 끼워진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구(40)와 맞물려 제1고정구(40)를 회전시키는 회전조작환(70)을 더 구비하되,
    상기 회전방지부재(60)의 하단 둘레에는 상기 걸림턱(TR)에 걸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62)가 돌출되고; 상기 회전조작환(70)의 내경에는 상기 돌기삽입홈(42)에 끼워져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턱(7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홀 수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작환(70)은 상기 회전방지부재(60)에 형성된 부재돌기(RB)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게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홀 수전 조립체.
KR1020200105271A 2020-08-21 2020-08-21 원 홀 수전 조립체 KR102319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271A KR102319027B1 (ko) 2020-08-21 2020-08-21 원 홀 수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271A KR102319027B1 (ko) 2020-08-21 2020-08-21 원 홀 수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027B1 true KR102319027B1 (ko) 2021-10-28

Family

ID=7823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271A KR102319027B1 (ko) 2020-08-21 2020-08-21 원 홀 수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02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730A (en) * 1972-09-28 1974-08-06 Gen Electric Waste food disposer mounting assembly
JPH0561255U (ja) * 1992-01-28 1993-08-13 松下電工株式会社 給水栓取り付け装置
JPH0893010A (ja) 1994-09-28 1996-04-09 Toto Ltd 水栓の固定構造
JP2000080686A (ja) * 1998-06-26 2000-03-21 San-Ei Faucet Mfg Co Ltd 水栓取付け機構
JP3461919B2 (ja) * 1994-08-08 2003-10-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水栓の取付装置
JP3884547B2 (ja) * 1997-11-17 2007-02-21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水栓取付け機構
KR101735259B1 (ko) * 2016-11-16 2017-05-15 주식회사 임창 너트 체결 장치 및 그 체결 방법
JP2019002142A (ja) * 2017-06-12 2019-01-10 株式会社Kvk 水栓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730A (en) * 1972-09-28 1974-08-06 Gen Electric Waste food disposer mounting assembly
JPH0561255U (ja) * 1992-01-28 1993-08-13 松下電工株式会社 給水栓取り付け装置
JP3461919B2 (ja) * 1994-08-08 2003-10-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水栓の取付装置
JPH0893010A (ja) 1994-09-28 1996-04-09 Toto Ltd 水栓の固定構造
JP3884547B2 (ja) * 1997-11-17 2007-02-21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水栓取付け機構
JP2000080686A (ja) * 1998-06-26 2000-03-21 San-Ei Faucet Mfg Co Ltd 水栓取付け機構
KR101735259B1 (ko) * 2016-11-16 2017-05-15 주식회사 임창 너트 체결 장치 및 그 체결 방법
JP2019002142A (ja) * 2017-06-12 2019-01-10 株式会社Kvk 水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문헌2)미국 특허공보 US4310933(1982.01.19.), Food waste disposer mounting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2165A (en) Washer and nut combination for locking plumbing fixtures to a sink deck or the like
US6296431B1 (en) Self-contained fastener device
US7175158B2 (en) Tub valve having versatile mounting structure
KR102319027B1 (ko) 원 홀 수전 조립체
KR101310491B1 (ko) 수전설치구 및 수전설치방법
JP3032435B2 (ja) シーリングライトの取付装置
KR102308984B1 (ko)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JP3096882B2 (ja) 水栓の板状部材上面からの取付構造
KR100742531B1 (ko) 수도전 고정구
JP3335565B2 (ja) 水栓の取付装置
JP2002146862A (ja) 水栓の取付装置
US20080302435A1 (en) Plumbing Fitting
JP3096883B2 (ja) 水栓の取付構造
JPH10274217A (ja) 環状部材の固定構造
JP2990581B2 (ja) 形状記憶材料による水栓の取付構造
JPH10168960A (ja) 水栓の設置構造
JP2990582B2 (ja) 折曲配管による水栓の取付構造
JP3147040B2 (ja) 水栓等の取付構造
JP4193105B2 (ja) 配管継手の止水栓ハンドル
JPH0740131Y2 (ja) 立型混合栓の回り止め構造
JPH075352Y2 (ja) 分岐栓の取付け構造
JP6845543B2 (ja) ガス栓の誤操作防止具及びそれを装着させたガス栓
JP2002275964A (ja) 水栓の取付装置
JPH11311354A (ja) 水栓の取付装置
JP2002250061A (ja) 水栓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