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491B1 - 수전설치구 및 수전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수전설치구 및 수전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491B1
KR101310491B1 KR1020070034735A KR20070034735A KR101310491B1 KR 101310491 B1 KR101310491 B1 KR 101310491B1 KR 1020070034735 A KR1020070034735 A KR 1020070034735A KR 20070034735 A KR20070034735 A KR 20070034735A KR 101310491 B1 KR101310491 B1 KR 101310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angle
support
installation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225A (ko
Inventor
토시오 다카기
미키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카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카기
Publication of KR20070104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시공할 때 수전설치구의 받침에 구비한 각도표시를 참고로 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수전설치구 및 수전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수전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부를 끼워넣는 통부와 이 통부의 단부에 형성한 모자창 형상의 걸림턱을 구비한 플랜지부착 통 형상의 받침에 의해, 수전의 방향을 규정하는 수전설치구에 있어서, 받침의 통부의 외주면 또는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직선 또는 점 형상의 각도표시를 각인하거나, 또는, 상기 받침의 통부의 단면 또는 플랜지부의 통부측으로 향한 단면에 직선 또는 점 형상의 각도표시를 각인하도록 구성하고, 싱크의 정면중앙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위치로 수도꼭지를 향하게 한 수전을 고정할 때, 각도표시로서 각인되어 있는 각도표시에 근거하여 받침을 축심 주위로 회동하여, 받침의 방향을 정하고, 그 후에 받침과 고정구에 의해 천판을 협지하도록 설치한다.
수전설치구, 수도꼭지, 주방, 싱크, 천판,

Description

수전설치구 및 수전설치방법{A UNIT AND METHOD FOR QUICK-INSTALLATION OF A FAUCE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전설치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 사시설명도이다.
도 2는 상기 수전설치구의 받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수전설치구의 받침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수전설치구의 고정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저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수전설치구의 끈을 나타내는 외관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수전설치구의 끈을 나타내는 확대도로서, (a)는 파지부의 확대 정면도, (b)는 선단부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수전설치구의 끈이 고정구의 끈삽통구멍을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부분단면 설명도로서, (a)는 끈이 고정구 끈삽통구멍을 통과하는 직전의 상태, (b)는 끈이 고정구의 끈삽통구멍을 통과하는 중의 상태, (c)는 끈이 고정구의 끈삽통구멍을 통과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상기 수전설치구의 끈을 받침과 고정구에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설명도이다.
도 9는 상기 수전설치구의 끈을 받침과 고정구에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설명도이다.
도 10은 상기 수전설치구의 끈 사용시에 있어서 고정구의 천판 통과시를 나타내는 사시설명도이다.
도 11은 상기 수전설치구의 조립에 있어서의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설명도이다.
도 12는 상기 수전설치구의 조립시에 있어서의 좌우회전시를 나타내는 사시설명도이다.
도 13은 상기 수전설치구의 조립시에 있어서의 고정구의 위치맞추기를 가리키는 사시설명도이다.
도 14는 상기 수전설치구의 조립시에 있어서 받침을 옮길 때를 나타내는 사시설명도이다
도 15는 상기 수전설치구의 조립시에 있어서의 천판협지용 볼트조임을 나타내는 사시설명도이다.
도 16은 상기 수전설치구의 조립시에 있어서의 수전결합작업을 나타내는 사시설명도이다.
도 17은 상기 수전설치구의 조립시에 있어서의 수전나사조임을 나타내는 사시설명도이다.
도 18은 상기 수전설치구의 조립에 있어서의 수전과 받침의 조합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수전설치구를 싱크의 천판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설명도이다.
도 20은 상기 수전설치구의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평면설명도이다.
도 21은 상기 수전설치구의 각도표시의 종류를 나타내는 사시외관도로서, (A)는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받침의 원통부 외주면에 각도표시를 각인한 예, (B)는 받침의 플랜지부 외주면에 각도표시를 각인한 예, (C)는 받침의 원통부 상단면에 각도표시를 각인한 예, (D)는 받침의 플랜지부 표면에 각도표시를 각인한 예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의 걸림턱이 없는 받침을 가지는 수전설치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걸림턱이 없는 받침을 가지는 수전설치구를 나타내는 정면 부분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천판 1a: 관통구멍
10: 수전설치구 11, 41: 받침
11a: 원통부(통부) 11b: 플랜지부
11c: 후육부 11d: 볼트구멍
11e: 핀구멍 11f: 나사선단부 삽입구멍
11g, 11i, 11j, 11k: 각도지정홈(각도표시)
11h: 끈삽통구멍 12: 고정구
12a: 미끄럼방지 12b: 돌출부
12c: 나사구멍 12h: 끈삽통구멍
13: 볼트 14: 끈
14a: 파지부 14b: 선단부
14c: 빠짐방지부재 15: 핀
16: 스냅링 17, 18: 육각렌치
21: 수전 21a: (위치고정용 볼트용의) 나사구멍
21b: 위치고정용 볼트 30: 부엌
31: 싱크 α, β, γ:각도(30도, 45도, 60도)
일본 특허공개 평10-31839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소63-31243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0-072855호 공보
본 발명은 주방설비에 있어서 씽크 바로 근처의 천판에 수전을 고정하기 위 한 수전설치구 및 수전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전설치구에는, 예를 들면 플랜지부설 원통형으로 형성된 어댑터장치와, 이 어댑터장치에 볼트로 체결되는 홀더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이 홀더의 하단면에 볼트체결로서 외주측으로 둘러싼 클램프슈(Clamp Shoe) 혹은 설상편(舌狀片)으로 형성된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천판를 관통한 원형 단면의 구멍으로부터 고정구 및 결합부재를 아래쪽으로 삽입하고나서 고정도구 또는 결합부재를 회동함으로써 천판를 협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다(일본 특허공개 평10-318398호 공보).
이 어댑터장치와 수전은, 수전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원통부를 어댑터 본체에 바깥으로 끼워, 조임나사에 의해 수전 본체의 개구와 어댑터 본체의 암나사구멍을 연결함으로써, 서로 회전불능이 되도록 연결고정하고 있다.
또한, 쿡하우징(Cook Housing)을 밖으로 끼우는 계단식 슬리브(Sleeve)가 아래쪽으로 통 형상부를 뻗게 하고, 이 아래쪽으로 뻗게 한 통 형상부에는 하단면에 설상편(舌狀片) 혹은 클램프슈를 바깥쪽으로 돌출가능하게 구비하여, 천판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설상편(舌狀片) 혹은 클램프슈를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천판를 협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 있었다(일본 특허공개 소63-312435호 공보)
이 쿡하우징과 계단식 슬리브는, 정지(錠止)핀에 의해 서로 회전불능이 되도록 연결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수전이 밖으로 끼워지는 고정구가 아래쪽으로 통 형상부를 뻗게 하여 천판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되어, 그 표면에 형성한 나사부에 너트를 나 사체결하여, 너트에 의해 천판를 협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다(일본 특허공개 평10-072855호 공보).
또한, 이 수전과 고정구는, 분할핀 등의 체결부재를 수전의 하부와 고정구의 상단부의 결합부에 끼워서, 서로 회전불능이 되도록 연결고정하고 있다.
〔문제점〕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천판를 수전을 부착하는 어댑터 본체, 쿡하우징, 고정구, 혹은 상면시공 유닛, 받침 등으로 불리는 수전부착구의 본체와 고정구 또는 클램프슈 혹은 설상편(舌狀片) 등의 결합부재 혹은 너트 등을 사용하여 협지함으로써 수전설치구를 천판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기 때문에, 설치장소의 제한이 없지만, 사용상 편리가 고려되어 씽크의 정면중앙부 안쪽의 천판에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서는 키친유닛의 배면을 벽에 밀착하여 배치하는 것뿐 만아니라, 거실이나 식탁 쪽으로 향하여 조리할 수 있게 배치하는 대면(對面)형 키친, 싱크나 풍로 부분을 벽으로부터 떨어진 섬처럼 독립한 상태로 배치하는 아일랜드형 키친 등이 증가함으로써, 수전의 배치위치도 씽크 정면의 안쪽에 한하지 않고, 키친 싱크측면의 모서리부 즉 씽크 코너의 근방 등, 정면 이외의 장소에 수전을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전의 정면을 씽크의 정면측에 위치하는 작업자에게 향하도록 회전하게 하여 설치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시공시에서는 시공지시에 따른 각도로 설치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전설치구를 이용한 수전의 설치에서는, 키친 제조업체로부터 시공업자에게 설치각도 등의 수전설치에 관한 지시가 나와 있는 경우, 현장책임자로부터 현장회의시에 구두로 지시가 있을 뿐이기 때문에, 설치각도는 작업자에게 맡겨진 상태로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수전을 회전하여 설치하는 설치작업에서는, 수전설치구에 각도의 표식이 되는 것이 없고, 특별한 도구도 없기 때문에, 필요한 각도로 회전하여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대략적으로 설치각도가 정해져서 설치되어 있었다. 특히, 수전 상부에 구비된 레버의 회전조작에 의해 온수와 냉수의 혼합비율을 바꾸는 냉온수 혼합수전의 경우에는, 수전의 설치각도가 레버의 설치각도와 연동하기 때문에, 수전이 적정한 각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냉온수혼합의 조정이 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통상, 수전의 토수구(吐水口)가 고개가 젖혀지고 회동(回動)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토수구의 회동범위는 수전을 정면으로 배치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수전을 정면 이외의 방향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각도를 조정하여 배치하지 않으면, 수전의 토출입이 씽크로부터 튀어나와 버려, 토수 중에 토수구를 회동하게 했을 때 물이 씽크 밖으로 나와버리는 것도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불량이 생기지 않도록 수전을 정면 이외의 각도로 향하게 배치하기 때문에, 배치장소에 따라서, 수전에 각도규제구조를 구비하면 수전의 비용이 비싸진다.
이 때문에, 시공현장에서는, 시행지시에 따른 각도로 시공할 것이 요구되어도, 종래의 수전설치구에는 각도의 표식이 되는 것이 없고,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별도로 필요하여도 현실적으로 없고, 또한 부착에 손이 많이 가기 때문에, 설치된 각도는 대략적인 설정으로 될 수 밖에 없고, 사용에 불편이 생겼을 경우는, 재설치를 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것을 위한 과제는, 시공시에 수전설치구의 받침에 구비한 각도표시를 참고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수전설치구 및 수전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과제가 효과적으로 해결되는 수전설치구 및 수전설치방법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모두가 망라되어, 구체적으로 구성된, 과제해결수단을 이하에 나타낸다.
수전설치구에 관련된 제1 과제해결수단은, 수전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부를 끼워넣는 통부를 구비한 통 형상의 받침에 의해, 수전을 소정의 부착개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받침의 목시(目視)가능한 위치에, 각도표시를 복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수전설치구에 관련된 제2 과제해결수단은, 상기 받침의 목시가능한 위치는, 통부의 외주면, 내주면 및 상단면, 그리고 통부의 하단부에, 이 하단부로부터 방사방향으로 판재를 돌출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플랜지부의 상단면 및 외주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수전설치구에 관련된 제3 과제해결수단은, 상기 각도표시는, 직선이나 점열(点列) 등으로 형성된 오목부나 돌기 혹은 인쇄물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전설치방법에 관련된 제1 과제해결수단은, 천판의 표면측에 위치한 받침과 상기 천판에 천공된 관통구멍을 통해 이면측에 위치하는 고정구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의 주연부(周緣部)를 협지하는 수전설치구를, 수전의 설치 전에, 수전의 설치각도에 따라, 수전설치구의 방향을 정하여 고정하는 수전설치방법에 있어서, 싱크의 정면중앙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위치로 상기 수전의 정면을 향하게 하여 고정할 때, 상기 받침에 구비되어 있는 각도표시에 근거하여, 상기 받침을 축심(軸心) 주위로 회동하여, 상기 받침에 규정되어 있는 수전의 정면이 상기 싱크의 정면중앙부로 향하도록 상기 받침의 방향을 정하고, 그 후에 상기 받침과 상기 고정구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의 주연부를 협지하여 수전설치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수전설치방법에 관련된 제2 과제해결수단은, 상기 받침의 방향을 상기 각도표시에 근거하여 지정된 각도로 향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받침의 정면위치로부터 순서대로 대응하는 각도가 정해져 있는 각도표시의 위치에 따라, 지정된 각도에 해당하는 순위의 각도표시의 위치까지 회동함으로써 설치각도를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하 실시 형태에서는, 냉온수혼합수전 설치구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는, 발명의 취지를 더 잘 이해하게 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며, 특히 지정이 없는 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사항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전설치구(10)는, 걸림턱을 구비한 통 형상체에 형성된 받침(11)과, 초생달 형상 혹은 말굽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구(12)와, 이들을 결합하는 2개의 볼트(13)와, 설치작업시에 받침(11)과 고정구(12)를 결부하여 고정구(12)를 소정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시판(市販)되는 결속용 수지끈(이하, 간단히 끈이라고 한다)(14)(도 8∼10 참조)과, 천판(1)에 천공된 관통구멍(1a)의 내면에 접촉하여 관통구멍(1a)과의 상대위치를 적당한 범위로 제한하는 스톱퍼로 되는 핀(15)(15)(도 8, 10, 12 참조)으로 이루어진다.
받침(11)은, 도 2,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11a)의 일단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판재를 돌출하는 플랜지부(11b)를 형성한 플랜지부설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원통부(11a)의 내면측에 부분적으로 돌출한 후육부(厚肉部)(11c)(11c)를 형성하며, 각각의 후육부(11c)(11c)에는 각 1개씩 볼트(13)(13)를 끼워기 위한 볼트구멍(11d)(11d)과 핀(15)(15)을 끼우기 위한 핀구멍(11e)(11e)을 중심축과 병행하게 천공한다.
볼트구멍(11d)(11d)의 한 쪽 근방에는, 핀구멍 천공위치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끈삽통구멍(11h)을 중심축과 평행하게 천공한다.
원통부(11a)의 외주면에는, 안쪽으로 돌출한 양 후육부(11c)(11c)가 있는 위치로 둘로 나누어지는 외주면에서 둘레길이가 짧은 쪽의 중앙위치에 수전고정나사(21b)(도 18 참조)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나사선단부 삽입구멍(11f)을 각인하고, 이 나사선단부 삽입구멍(11f)의 각인위치의 양측에는, 중심축에 평행한 다수의 얕은 홈으로 이루어지는 각도지정홈(11g)…(11g)을 각인한다.
이 각도지정홈(11g)…(11g)은, 나사선단부 삽입구멍(11f)으로부터 중심각이 30도인 위치에 축심과 평행한 얕은 선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각도지정홈(11g)을 형성하고, 이 제1의 각도지정홈(11g)으로부터 중심각15도 간격으로 추가로 3개의 제2 내지 제5의 각도지정홈(11g)…(11g)을 각인하고, 나사선단부 삽입구멍(11f)의 각인위치에 대하여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각도지정홈(11g)…(11g)을 각인하며, 나사선단부 삽입구멍(11f)의 각인위치의 양측에 각도지정홈(11g)…(11g)에 의한 각도표시를 한다.
각도표시에 있어서는, 수전을 정면으로 설치할 때의 기준이 되는 각도표시와, 수전을 회전하게 하여 설치할 때의 각도표시가 필요하므로, 따라서, 각도표시는 복수 존재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받침(11)에 구비된 나사선단부 삽입구멍(11f)이 기준(즉 각도 0도)이 되는 각도표시로서의 기능을 해내고 있기 때문에, 각도표시를 위한 각도지정홈(11g)은 최저로 나머지 1개만 있으면 역할을 다하지만, 본 예에서는 각도표시를 다수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지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있다.
고정구(1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을 말굽형으로 형성하고, 판두께의 두터운 부재로 강성이 높고 변형하기 어려운 형상으로 형성한다. 하면측의 외주단연(外周端緣)을 크게 잘라서 면을 내고, 면을 내지 않은 쪽의 상면에는 외주단연부(外周端緣部)로 거의 등간격으로 배치된 미끄럼방지(12a)를 다수개 돌출하게 한다. 이 미끄럼방지(12a)는 선단을 향하여 앞이 가늘어지는 횡단면이 거의 삼각형인 돌기를 형성한다. 이 고정구(12)의 만곡한 형상의 내주면측에는, 받침(11)의 돌출한 후육부(11c)(11c)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찬가지로 안쪽으로 돌출한 돌출부(12b)(12b)를 구비하고, 이 돌출부(12b)(12b)에 볼트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구멍(12c)(12c)을 구비한다.
또한, 받침(11)측의 끈삽통구멍(11h)의 근방에 구비된 볼트구멍(11d)에 대응하는 위치의 나사구멍(12c)의 근방에는, 받침(11)측의 끈삽통구멍(11h)에 대응하는 위치에 끈삽통구멍(12h)을 천공하여, 끈(14)을 끼울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 끈삽통구멍(12h)은, 중앙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서서히 커지는 확대각이 작은 원추면을 형성하여, 끈(14)의 선단부(14b)가 상방으로부터 들어가기 쉬운 형상으로 형성한다(도 7 참조).
볼트(13)는, 천판(1)의 판두께보다 길게, 적어도 천판(1)의 판두께와 받침(11)의 높이와 고정구(12)의 두께를 더한 길이보다 길게 하고, 볼트(13)의 나사형성부의 선단에는 스냅링(16)이 끼워지는 홈(13a)을 형성한다.
끈(14)은, 도 5,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게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수지로써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부분(手元)측의 단부에는 받침(11)의 상단에 접촉하는 파지부(14a)를, 선단부에는 고정구(12)에 천공된 끈삽통구멍(12h)을 관통하여 파지부(14a)측으로 당겨져도 빠지지 않도록 방사방향으로 넓혀지는 복수 개의 빠짐방지부재(14c)를 가지는 선단부(14b)를 구비한다.
파지부(14a)는, 받침(11)의 끈삽통구멍(11h)의 직경보다 크게, 적어도 끈(14)이 하방으로 흘러내리지 않는 정도의 크기로 한다.
선단부(14b)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2개의 빠짐방지부재(14c)(14c)를 구비한 포경(捕鯨)용의 작살과 같은 형상으로 하고 있고(도 6(b), 7(a) 참조), 빠짐방지부재(14c)(14c)의 벌어짐은, 고정구(12)의 끈삽통구멍(12h)에 있어서의 하단의 직경보다 크게 하고, 사용재료의 가요성을 이용하여, 고정구(12)의 끈삽통구멍(12h)을 통과 중에는 구멍직경이 좁아짐에 따라 확대범위를 좁히고(도 7(b) 참조), 통과 후에는 끈삽통구멍(12h)에 의한 압박으로부터 벗어나 확대범위를 넓혀서, 인발(引拔)방향으로 당겨졌을 경우에 빠짐방지부재(14c)(14c)가 끈삽통구멍(12h)의 외연부(外緣部)에 접촉하여 인발(引拔)을 저지한다(도 7(c) 참조).
끈(14)의 부착은, 도 8,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끈(14)을 처음에 받침(11)의 끈삽통구멍(11h)에 끼우고, 그 후에 고정구(12)의 끈삽통구멍(12h)에 끼워서, 끈(14)에 의해 받침(11)과 고정구(12)를 볼트조임하지 않아도 하나의 세트로서 취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문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11)의 볼트구멍(11d)과 고정 구(12)의 나사구멍(12c) 중에, 끈삽통구멍(11h)(12h)이 근방에 위치하지 않는 쪽의 볼트구멍(11d)과 나사구멍(12c)으로, 1개의 볼트(13)을 끼워서, 나사결합하여, 설치하면, 이 볼트(13)를 중심으로 해서 고정구(12)를 회동하여 방향을 바꾸면, 천판(1)의 관통구멍(1a)으로 고정구(12)를 천판(1)의 뒷편까지 통과하기 쉬운 형상의 상태로 되어, 볼트(13)와 끈(14)에 의해 결부되어 있는 받침(11)과 고정구(12)를, 받침(11)의 방향을 임의로 바꿈과 동시에 끈(14)을 조작하여 고정구(12)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용이하게 천판(1)을 협지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게 된다.
〔설치방법〕
이렇게 구성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11)과 고정구(12)를 볼트(13)(13)에 의해 결합하여 싱크의 천판(1)에 설치하고자 할 때, 끈(14)의 선단부(14b)를 받침(11)의 끈삽통구멍(11h) 및 고정구(12)의 끈삽통구멍(12h)으로 통과하게 하여, 받침(11)과 고정구(12)와의 사이에 끈(14)을 걸어서 넘긴다. 그리고, 이 작업은 사전에 공장 등에서 행하여도 좋다.
그 다음에, 볼트(13)(13)가 양쪽 모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끈(14)이 설치되어 있는 쪽의 볼트(13)를 풀고, 또한 볼트(13)(13)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받침(11)의 끈(14)을 설치한 쪽과는 반대측의 볼트구멍(11d)에 볼트(13)를 끼우고, 계속해서 고정구(12)의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나사구멍(12c)에 볼트(13)를 나사결합하여, 1개의 볼트(13)에 의해 받침(11)과 고정구(12)를 결합한 상태로 하며, 볼트(13)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구(12)를 끈(14)의 느슨함에 응하여 회동하 여,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를 옆방향으로 넘어지게 하고 고정구(12)를 천판(1)에 구비되어 있는 관통구멍(1a)으로 통과하게 한다.
고정구(12)가 천판(1)의 관통구멍(1a)을 빠져나간 다음, 전체의 방향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고, 그 후,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끈(14)의 파지부(14a)를 잡아당김으로써, 볼트(13)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구(12)를 회동하게 하여 고정구(12)의 방향을 바꾸어서, 받침(11)의 볼트구멍(11d)과 고정구(12)의 나사구멍(12c)과의 중심축을 같은 축으로 하여 볼트를 끼우는 위치를 맞춘다.
볼트(13)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쪽의 같은 축으로 된 받침(11)의 볼트구멍(11d)과 고정구(12)의 나사구멍(12c)에, 또다른 1개의 볼트(13)를 통과하게 하여 나사결합함으로써 받침(11)과 고정구(12)를 2개의 볼트(13)(13)에 의해 지지한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11)을 정면측 또는 배면측으로 위치를 옮겨, 천판(1)의 관통구멍(1a)에 핀(15)(15)이 접촉하여 이동할 수 없게 된 다음,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4mm의 육각렌치(17)에 의해 각 볼트(13)(13)를 균등하게 조아서, 받침(11)과 고정구(12)에 의해 천판(1)을 강하게 협지한다.
천판(1)의 협지 후,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전(21)을 소정의 방향으로 하여 하방으로 돌출한 각 배관을 받침(11)의 내부를 통하여 천판(1)을 관통하게 함으로써 천판(1)의 아래쪽으로 배치하고, 수전(21)의 위치고정용 볼트(21b)(도 18 참조)가 나사결합하는 나사구멍(21a)과 나사선단부 삽입구멍(11f)과의 위치맞추기를 행하여,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구멍(21a)(11f)이 같은 축으로 되어 위치가 일치한 곳에서 위치고정용 볼트(21b)를 나사구멍(21a)에 나사결합하여, 육각 렌치(18)에 의해 위치고정용 볼트(21b)를, 도 18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고정용 볼트(21b)의 선단부가 받침(11)의 나사선단부 삽입구멍(11f)에 삽입되어 멈출 때까지 단단히 조아, 수전(21)의 위치고정을 한다.
수전(21)의 설치위치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엌(30)의 싱크(31)에 있어서의 맞은 편의 벽면에 나란한 중앙부에, 수세미 등의 세정도구를 넣기 위한 도구함(32)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정면으로 섰을 때에, 도구함(32)을 정면으로 보면, 도구함(32)의 좌측의 연부에 수도꼭지 방향이 정면방향보다 약 30도의 각도로 싱크의 중앙부로 향하여진 수전(21)이 구비된다.
이러한 수전(21)의 위치와 방향(각도)을 적절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11)의 위치와 방향은, 받침(11)에 구비된 나사선단부 삽입구멍(11f)이 정면으로 향하고 있는 경우를 경사가 0도라고 하면, 도 19의 경우처럼 30도의 경사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각도지정홈(11g)…(11g) 중, 나사선단부 삽입구멍(11f)의 중심을 이루는 각도(이하, 중심각이라고 한다)가 30도의 위치에 각인된 각도지정홈(11g)을 정면방향으로 하여 고정하면, 이 받침(11)에 설치되는 수전(21)은 수도꼭지가 정면에서 30도 기운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부로부터 더 떨어진 경우에 45, 60도의 경사로 설치한 경우에는, 각도지정홈(11g)…(11g) 중 각각 중심각이 45, 60도인 위치에 각인된 각도지정홈(11g)을 정면방향으로 하여 고정하면, 이 받침(11)에 설치된 수전(21)은 수도꼭지가 각각 정면에서 45, 60도로 기운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수전(21)의 부착이 받침(11)의 방향에 따라 일의(一意)적으로 결정 되어, 용이하게 부착각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작용 효과〕
이처럼 실시 형태의 수전설치구(10)에서는, 받침(11)에 구비된 각도지정홈(11g)…(11g)에 의한 각도표시를 이용함으로써, 설치각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수전(21)의 설치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어, 작업효율이 향상하고, 생산비용이 저하한다.
수전(21)의 설치각도의 설정에는, 받침(11)에 구비된 각도지정홈(11g)…(11g) 중 설치각도에 상당하는 각도지정홈(11g)을 정면을 향하는 것만으로 필요한 각도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기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도구준비가 적어지고, 준비가 수고스럽지 않으며, 작업이 쉬울 뿐만아니라, 도구사용에 있어 생기는 경향이 있는 작업의 무용한 혼란을 피할 수 있고, 작업상 실수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면시공의 경우, 수전설치구에 수전 본체를 설치한 상태에서의 각도조정이 안되기 때문에, 수전을 설치하는 토대가 되는 수전설치구를 고정할 때에 미리 조정함으로써, 수전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어, 각도가 맞지 않는 경우의 수정(재조정)이 없어지는 등, 조정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
유닛 전면에만 각도표시를 구비할 뿐만아니라, 대각선 위로도 각도표시를 구비함으로써, 직선성을 내기 쉬워진다.
최근의 시스템키친에서는, 수전을 씽크를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구비하는(씽 크 코너에 구비한다) 것이 주류로 되고, 정면에 설치하는 것이 전무(全無)에 가깝게 되어, 각도조절이 필수로 되어졌기 때문에, 각도표시를 구비하는 것은 시류(時流)에도 따르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 수전설치구(10)는, 다른 부품의 부착, 예를 들면 난간 등의 벽면으로의 설치구로서도 이용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성이 풍부한 것이다.
〔다른 형태〕
이 실시 형태 및 실시 예는, 발명의 취지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발명내용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특히 설명되어 있지 않은 다른 형태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이러한 의미에서 발명의 취지에 따르는 몇몇 다른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예를 들면,
받침(11)에는 실시 형태로 예시한 원통부(11a)의 외주면에 각인한 각도지정홈(11g)(도 21(A))의 이외에, 예를 들면, 받침(11)의 플랜지부(11b)의 외주면에 각도표시로서 각도지정홈 혹은 각도지정점(11i)을 축방향으로 각인(도 21(B)), 또는 받침(11)의 원통부(11a)의 단면(상단면)에 각도표시로서 각도지정홈 혹은 각도지정점(11j)을 직경방향으로 각인(도 21(C)), 또는 받침(11)의 플랜지부(11b)에 있어서의 통부측으로 향한 단면(상면)에 각도표시로서 각도지정홈(11k)을 직경방향으로 각인(도 21(D))하여도 좋다.
각도표시는, 선 형상으로도, 점 형상으로도 인식가능하면 좋고, 또한, 점 형 상이라도 점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각도표시의 형성 형태는, 받침에 실시 형태와 같은 홈을 각인하는 이외에, 돌기를 형성하는 경우라도 인쇄에 의한 표시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받침의 형상은,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를 구비하여, 잘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고, 플랜지부와 천판 사이에 씰부재를 끼울 수 있게 되어 수밀(水密)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이밖에, 플랜지부가 없는 형상의 받침(도 22, 23 참조)(41)을 형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수전설치구에 관련된 제1 과제해결수단에서는, 받침의 목시가능한 위치에 구비된 각도표시에 의해, 지정된 각도에 해당하는 표시에 맞추어서 받침을 돌림으로써, 수전을 설치하기 전에 수전의 설치각도를 설정할 수 있고, 작업성이 개선되어, 작업효율이 향상하며,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전설치구에 관련된 제2 과제해결수단에서는, 받침의 목시가능위치를, 통부의 외주면, 내주면 및 상단면, 그리고 통부의 하단부에, 이 하단부로부터 방사방향으로 판재를 돌출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랜지부의 상단면 및 외주면 중 하나로 했기 때문에, 수전설치구의 각도표시가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보기 쉽고, 수전을 설치하지 않고도 수전의 설치각도를 설정하는 것이 받침의 각도표시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전설치구에 관련된 제3 과제해결수단에서는, 각도표시는, 직선이 나 점열 등으로 형성된 오목부나 돌기 혹은 인쇄물 중 하나에 의해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각도표시가 수전설치구의 설치시에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해지고, 수전을 설치하지 않고도 수전의 설치각도를 설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전설치방법에 관련된 제1 과제해결수단에서는, 싱크의 정면중앙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위치를 향하여 수전의 정면이 향하도록, 목시가능한 위치에 각도표시를 구비한 받침을 각도표시를 따라 축심 주위로 회동하여, 받침에 규정되어 있는 수전의 정면이 싱크의 정면중앙부로 향하도록 받침의 방향을 정하고, 받침의 방향이 확정하고나서 볼트를 조여, 받침과 고정구에 의해 관통구멍의 주연부를 협지함으로써, 수전설치구의 방향을 용이하게 소정의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고, 받침에 설치하는 수전을 용이하게 소정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수전설치 작업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고, 작업효율이 향상하여,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전설치방법에 관련된 제2의 과제해결수단에서는, 받침의 방향을 각도표시에 근거하여 지정된 각도로 향하게 하기 위해서는, 받침의 방향을 목시가능한 위치에 구비된 각도표시에 근거하여, 정면으로부터의 표시순서에 의해 대응하는 각도가 정해져 있는 표시에 따라, 지정된 각도에 해당하는 표시순서의 표시위치까지 회동함으로써 임의의 설치각도로 설정할 수 있고, 받침의 방향이 결정되면, 받침에 설치하는 수전도 소정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수전설치작업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5)

  1. 수전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부를 끼워 넣는 통부를 구비한 통 형상의 받침에 의해, 수전을 소정의 부착개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설치구에 있어서,
    상기 받침의 목시(目視)가능한 위치에, 각도표시를 복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의 목시가능한 위치는, 통부의 외주면, 내주면 및 상단면, 그리고 통부의 하단부에, 이 하단부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랜지부의 상단면 및 외주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치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표시는, 직선이나 점열(点列)로 형성된 오목부나 돌기 혹은 인쇄물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치구.
  4. 천판의 표면측에 위치한 받침과 상기 천판에 천공된 관통구멍을 통해 이면측에 위치하는 고정구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의 주연부(周緣部)를 협지하는 수전설치구를, 수전의 설치 전에, 수전의 설치각도를 따라, 수전설치구의 방향을 정하여 고정하는 수전설치방법에 있어서,
    싱크의 정면중앙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위치로 상기 수전의 정면을 향하여 고정할 때, 상기 받침에 구비되어 있는 각도표시에 근거하여, 상기 받침을 축심 주위로 회동하여, 상기 받침에 규정되어 있는 수전의 정면이 상기 싱크의 정면중앙부로 향하도록 상기 받침의 방향을 정하고, 그 후에 상기 받침과 상기 고정구에 의하여 상기 관통구멍의 주연부를 협지하여 수전설치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의 방향을 상기 각도표시에 근거하여 지정된 각도로 향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받침의 정면위치로부터 순서대로 대응하는 각도가 정해져 있는 각도표시의 위치에 따라, 지정된 각도에 해당하는 순위의 각도표시의 위치까지 회동함으로써 설치각도를 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설치방법.
KR1020070034735A 2006-04-20 2007-04-09 수전설치구 및 수전설치방법 KR101310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17112A JP4203511B2 (ja) 2006-04-20 2006-04-20 水栓取付具および水栓取付方法
JPJP-P-2006-00117112 2006-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225A KR20070104225A (ko) 2007-10-25
KR101310491B1 true KR101310491B1 (ko) 2013-09-24

Family

ID=3876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735A KR101310491B1 (ko) 2006-04-20 2007-04-09 수전설치구 및 수전설치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03511B2 (ko)
KR (1) KR1013104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380B1 (ko) * 2015-09-02 2016-11-16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KR200483128Y1 (ko) 2017-02-17 2017-04-07 (주)비월드 싱크대 및 세면대 원홀 수전 고정너트 교체용 렌치 세트
KR20170001765U (ko) 2015-11-12 2017-05-22 (주)비월드 싱크대 수전 및 세면대 팝업 배수관 교체용 렌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0497B2 (ja) * 2013-07-08 2015-12-09 株式会社タカギ 水栓用固定具及びこれを備える水栓器具
DE112017000156B4 (de) 2016-05-30 2024-08-08 Flowtech Kitchen & Bathroom Technology Co., Ltd Ein Überlochinstallationsgerät
JP7222250B2 (ja) * 2019-01-22 2023-02-15 Toto株式会社 水栓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398A (ja) * 1997-03-19 1998-12-04 Inax Corp 物品の取付構造
JPH11117360A (ja) * 1997-10-16 1999-04-27 Inax Corp 水栓取付用の台座部材及び水栓取付構造
US6334463B1 (en) * 2000-10-17 2002-01-01 Princeton International Company Inner pipe for a faucet
KR200409569Y1 (ko) 2005-12-12 2006-02-22 주식회사 한도 상부에서 수전설치가 가능토록 된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8398A (ja) * 1997-03-19 1998-12-04 Inax Corp 物品の取付構造
JPH11117360A (ja) * 1997-10-16 1999-04-27 Inax Corp 水栓取付用の台座部材及び水栓取付構造
US6334463B1 (en) * 2000-10-17 2002-01-01 Princeton International Company Inner pipe for a faucet
KR200409569Y1 (ko) 2005-12-12 2006-02-22 주식회사 한도 상부에서 수전설치가 가능토록 된 고정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380B1 (ko) * 2015-09-02 2016-11-16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용 터치 수전장치
KR20170001765U (ko) 2015-11-12 2017-05-22 (주)비월드 싱크대 수전 및 세면대 팝업 배수관 교체용 렌치
KR200483128Y1 (ko) 2017-02-17 2017-04-07 (주)비월드 싱크대 및 세면대 원홀 수전 고정너트 교체용 렌치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225A (ko) 2007-10-25
JP4203511B2 (ja) 2009-01-07
JP2007291605A (ja)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491B1 (ko) 수전설치구 및 수전설치방법
US9057460B2 (en) Plumbing supply line and drain line mounting and finish panel
US9725892B2 (en) Plumbing supply line mounting and finish panel assembly
US6792629B2 (en) System and technique for mounting a faucet
US9909296B2 (en) Toilet fasten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10030369B2 (en) Faucet assembly fixture
WO1997047906A1 (en) Wall-attached plumbing connector
US200601235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a drain assembly to a plumbing fixture
JP2007016520A (ja) 裏配管具の取付構造
TW201207279A (en) Improved tap mounting
US6244549B1 (en) Fitting adapted for holding spacedly a support member on an upright wall
JP3396128B2 (ja) 分岐管の接続装置
JP5830497B2 (ja) 水栓用固定具及びこれを備える水栓器具
JP3096882B2 (ja) 水栓の板状部材上面からの取付構造
JP5466500B2 (ja) 通水管継手
KR200433215Y1 (ko)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JP3096883B2 (ja) 水栓の取付構造
JPH0629254Y2 (ja) 水栓固定金具
US200601235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a drain assembly to plumbing fixture
KR102319027B1 (ko) 원 홀 수전 조립체
JPH10274217A (ja) 環状部材の固定構造
EP2898152B1 (en) Kit for fixing tap on a surface
JPH0331848B2 (ko)
JPH08233124A (ja) 水栓本体の台座への取付構造
JPH11148574A (ja) 水栓取付け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