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215Y1 -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215Y1
KR200433215Y1 KR2020060024331U KR20060024331U KR200433215Y1 KR 200433215 Y1 KR200433215 Y1 KR 200433215Y1 KR 2020060024331 U KR2020060024331 U KR 2020060024331U KR 20060024331 U KR20060024331 U KR 20060024331U KR 200433215 Y1 KR200433215 Y1 KR 200433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fastener
coupling
fixtur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준욱
Original Assignee
남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준욱 filed Critical 남준욱
Priority to KR2020060024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6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using a socket for mounting of fauc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꼭지와 호스 사이에 높은 수압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누수의 우려가 없고 탈리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곡선형의 접촉부분에서 체결부가 미끄러져 탈리되는 종래의 커플링을 보완하고, 수도꼭지의 형상에 구애됨이 특수한 형상의 수도꼭지에도 사용이 가능한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을 제공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부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구멍과 절개홈을 형성하는 고정구(10)와, 상기 구멍(16)으로 끼워지면서 상부는 수도꼭지의 굴곡부와 접촉하는 경사면을 가진 헤드(22)가 구비되고, 하부는 절개홈(17)으로 끼워져 고정구의 나사부(14)와 일체로 되는 나사부(27)가 형성된 체결구(20)와, 상기 고정구 하부에 패킹과 함께 어뎁터를 장착할 수 있는 연결구(38)와, 상기 연결구(38)를 지지한 채로 고정구의 나사부(14)와 체결되는 조임구(30)로 구성된다.
수도꼭지, 커플링, 체결구, 고정구, 조임구

Description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a coupling for tap coupl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의 체결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의 체결상태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이 다르게 사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의 체결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도시된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의 체결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 수도꼭지 2a,3a: 돌출테
10,10' ,10" : 고정구 14: 나사부
17: 절개홈 18: 걸림턱
20,20' : 체결구 22,22' : 헤드
30: 조임구 38: 연결구
본 고안은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꼭지와 호스의 연결부에 높은 수압이 발생하더라도 수밀을 유지시키며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호스를 수도꼭지에 결합시키고 필요에 따른 수돗물을 사용하게 될 때 세탁기, 물분사기 등과 같이 높은 수압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연결부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거나 호스가 수도꼭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수압에서도 실링이 되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체결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커플링은, 몸체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측둘레를 따라서 4개의 조임나사가 체결되어 있으며, 몸체 하부에 세탁기와 연결된 호스의 어댑터가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수도꼭지의 배출구 아래에서 몸체를 위쪽으로 강하게 밀착시킨 다음 조임나사를 순차적으로 조여서 체결하게 된다. 그러나 위 종래의 커플링은 그 설치가 매우 까다롭고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며 특히, 수압에 의해 점차 체결력이 약해지면서 누수가 발생되고 이는 호스가 분리되는 원인이 된다.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서 이미 등록된 수도꼭지 연결용 커플링(등록실용20-342609호)과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등록실용 20-370992호)이 있다. 위 선 등록 고안은 수직으로 굴곡 된 수도꼭지와 결합되는 고정구 아래로 연결구와 조임구를 구성하면서 강력한 체결력을 가지고 공구 없이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선 등록 고안은 수도꼭지의 굴곡부와 고정구의 굴곡부가 원만한 곡선으로 형성되면서 접착력이 없고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즉, 정확한 위치에 고정구가 수도꼭지 굴곡부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조임구를 조이게 되면 상기 굴곡부에서 조임구가 회전하게 되고 미끄러지면서 위치를 이탈하게 되고 체결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 등록 고안은, 수도꼭지 출구부분으로 돌출테 및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도꼭지와 호스 사이에 높은 수압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누수의 우려가 없고 탈리됨을 방지할 수 있는, 강한 체결력을 가진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곡선형의 접촉부분에서 체결부가 미끄러져 탈리되지 않게 하여 오작동 없이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도꼭지의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특수한 형상의 수도꼭지에도 사용이 가능한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이 수도꼭지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은, 중앙으로 수도꼭지(1)의 출구가 끼워질 수 있는 중공부(12)를 가지며,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부(14)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구멍(16)이 형성되나 그 하부는 나사부(14)에 연결되면서 절개홈(17)을 형성하는 고정구(10)와, 상기 구멍(16)으로 끼워지면서 상부는 수도꼭지의 굴곡부와 접촉하는 경사면(24)을 가진 헤드(22)가 구비되고, 하부는 절개홈(17)으로 끼워져 고정구의 나사부(14)와 일체로 되는 나사부(27)가 형성된 체결구(20)와, 상기 고정구 하부에 패킹과 함께 어뎁터를 장착할 수 있는 연결구(38)와, 상기 연결구(38)를 지지한 채로 고정구의 나사부(14)와 체결되는 조임구(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10)의 상면 양측에는 대응하는 "ㄱ" 형상의 걸림턱(18)이 형성 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도꼭지(1)의 출구 하부에서부터 끼워지는 고정구(10)는 중앙으로 중공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는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서 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에는 상면에서 아래로 구멍(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멍은 아래의 나사부(14)에 연결되면서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절개홈(17)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상기 구멍(16) 및 절개홈(17)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상부의 헤드(22)와 하부의 조립편(26)이 일체로 된 체결구(20)가 구비되어 전술한 구멍(16)으로 끼워진다. 이때, 상기 체결구(20)의 헤드(22) 배면은 수도꼭지의 굴곡부(R)와 동일한 곡선으로 구성되면서 서로 접촉할 수 있게 되고, 하부의 조립편(26)은 고정구의 절개홈(17)으로 끼워질 때 각 나사부(14,27)는 동일한 직경과 동일한 피치를 가지면서 일체형으로 된다.
다음, 상기 고정구 하부로는 수도꼭지(1)의 출구 하단부와 고정구(10) 사이로 쐐기형 패킹(36)이 끼워지게 되며, 그 아래로 연결구(38)가 삽입된 채로 조임구(30)에 의해서 체결된다. 상기 연결구(38)는 하부에 세탁기 등의 호스(42)에 장착된 어뎁터(40)를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조임구(30) 하단 내측으로 형성된 단턱(34)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조임구(30)는 내측면으로 나사부(32)가 형성되어 전술한 고정구(10)의 나사부(14)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구(30)를 나사 조립시키게 됨에 따라 체결구(20)역시 상기 고정구(10)와 함께 서로 체결된다.
한편, 전술한 고정구(10)의 상면에는 양측으로 걸림턱(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8)은 출구 부분에 후술하는 돌출테(2a,3a) 등이 형성된 수도꼭지에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내측으로 돌출되는 "ㄱ" 형상의 걸림턱(18)이 돌출테의 상면으로 걸쳐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수도꼭지(1)의 출구 부분으로 고정구(10)를 끼운 다음, 고정구의 구멍(16)으로 체결구(20)의 조립편(26)을 끼워 넣는다. 이후, 패킹(36)을 고정구 하부 내측에서 수도꼭지 외측으로 끼워 넣고 연결구(38)를 조립시킨 조임구(30)를 고정구와 체결한다. 이때 조임구(30)를 회전시켜 고정구와 점차 깊이 체결되는 동안 전술한 쐐기형 패킹(36)은 수도꼭지와 고정구(10) 사이에 강하게 조여들게 되면서 기밀을 유지하게 되며, 상부의 체결구 경사면(24)은 수도꼭지의 굴곡부(R) 상면으로 강하게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조립된다. 이후, 사용목적에 따라 호스(42) 및 호스와 연결된 어뎁터(40)를 연결구(38) 하부로 조립시키게 됨에 따라 호스는 어떠한 압력으로도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이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수도꼭지(2)의 출구 중앙 외측으로 돌출테(2a)가 형성되어 있거나, 도 5에서와 같이 수도꼭지(3)의 출구 중앙 외측으로 돌출테(3a)와 함께 돌기(3b)가 형성되어 있는 수도꼭지에 본 고안 커플링이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돌출테(2a,3a) 등이 형성되어 있는 수도꼭지(2,3)에는 상기 돌출테를 이용하여 고정구(10)를 걸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고정구(10)를 수도꼭지 출구를 통해 끼워 넣고 양측의 걸림턱(18)이 상기 돌출테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히 밀어 넣은 다음, 걸림턱의 상면에서 고정구를 바로 세우게 되면 양측의 걸 림턱(18)이 상기 돌출테(2a) 상면으로 걸쳐진다. 이후, 패킹(36)과 연결구(38)를 조립한 뒤 조임구(30)를 나사 체결시키게 되면 고정구 및 연결구 등은 인장력을 받으면서 서로 강하게 밀착되고 체결된다. 따라서 상부의 체결구(20) 없이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출구 부분에 돌출테(2a)를 가진 수도꼭지(2)에 장착되는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중앙으로 수도꼭지(2)의 출구가 끼워질 수 있는 중공부(12)를 가지며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부(14)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구멍(16)이 형성되나 그 하부는 나사부(14)에 연결되면서 절개홈(17)을 형성하는 고정구(10' )와, 상기 수도꼭지의 돌출테(2a) 상면으로 끼워지는 유자(U) 형상의 헤드(22' )가 형성되고 그 하부로는 상기 구멍(16)으로 끼워지면서 절개홈(17)에 안착되며 외부로 고정구의 나사부(14)와 일체로 되는 나사부(27)가 형성된 체결구(20' )와, 상기 고정구 하부에 패킹과 함께 어뎁터를 장착할 수 있는 연결구(38)와, 상기 연결구(38)를 지지한 채로 고정구의 나사부(14)와 체결되는 조임구(30)로 구성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본 고안에서의 체결구(20) 구조만이 변화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체결구(20)는 수도꼭지의 돌출테(2a) 상면으로 걸쳐지는 유자(U) 형상의 헤드(22' )가 형성되고, 그 전방 중앙으로 하부에 조립편(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조립편의 외측 둘레를 따라 고정구(10')의 나사부(14)와 일치하는 나사부(27)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정구(10' )를 수도꼭지에 끼워 넣은 다음, 체결구(20' )를 고정구의 구멍(16)으로 끼워 넣게 되면 체결구의 헤드(22' )가 수도꼭지의 돌출테(2a) 상면으로 안치된다. 이후 패킹(36)과 연결구(38)를 조립한 다음, 조임구(30)를 체결시키게 됨에 따라 고정구 및 연결구 등은 인장력을 받으면서 서로 강하게 밀착되고 체결된다. 이때는 양측의 걸림턱(18)이 없이도 체결구의 헤드(22' )가 수도꼭지의 돌출테에 걸쳐지게 됨에 따라 견고하게 조립되고 조임구(30)를 풀지 않는 이상 이탈되거나 분해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8과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고정구(10" )의 외측둘레를 따라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게 되면서 조임구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부에 있는 체결구에만 인장력을 작용시키게 됨에 따라 체결구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조임구의 내측 나사부(32)와 체결되는 고정구 (10" )의 외측 둘레에 나사부가 없게 되면 상기 조입구와 고정구 (10" )는 헛돌게 되지만 고정구에 끼워진 체결구(20' )의 나사부(27)와 나사결합 되면서 조임구(30)의 회전은 체결구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조임구를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수도꼭지의 돌출테(2a) 상면으로 걸쳐진 체결구(20' )를 아래로 당겨주게 되고 각 부속물들을 강력하게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은 별도 의 공구 없이 손으로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수도꼭지 곡면부를 따라 체결수단이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완벽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수도꼭지의 형상에 관계없이 모든 수도꼭지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에 있어서,
    중앙으로 수도꼭지(1)의 출구가 끼워질 수 있는 중공부(12)를 가지며,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부(14)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구멍(16)이 형성되나 그 하부는 나사부(14)에 연결되면서 절개홈(17)을 형성하는 고정구(10)와;
    상기 구멍(16)으로 끼워지면서 상부는 수도꼭지의 굴곡부와 접촉하는 경사면(24)을 가진 헤드(22)가 구비되고, 하부는 절개홈(17)으로 끼워져 고정구의 나사부(14)와 일체로 되는 나사부(27)가 형성된 체결구(20)와;
    상기 고정구 하부에 패킹과 함께 어뎁터를 장착할 수 있는 연결구(38)와;
    상기 연결구(38)를 지지한 채로 고정구의 나사부(14)와 체결되는 조임구(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0)의 상면 양측에는 대응하는 "ㄱ" 형상의 걸림턱(1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3. 일부에 원형의 돌출테(2a)를 가진 수도꼭지(2)와 체결되는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에 있어서,
    중앙으로 수도꼭지(2)의 출구가 끼워질 수 있는 중공부(12)를 가지며, 전방에는 상부에 구멍(16)이 형성되고 그 하부는 절개홈(17)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과 절개홈은 서로 연결되는 구조의 고정구(10' )와;
    상기 수도꼭지의 돌출테(2a) 상면으로 안치되는 유자(U) 형상의 헤드(22' )가 형성되고, 그 하부로 상기 구멍(16)으로 끼워지면서 절개홈(17)에 삽착되 나사부(27)가 일체로 형성된 체결구(20' )와;
    상기 고정구 하부에 패킹과 함께 어뎁터를 장착할 수 있는 연결구(38)와;
    상기 연결구(38)를 지지한 채로 고정구의 나사부(14)와 체결되는 조임구(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0' )의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부(14)가 형성되어 조임구(30)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KR2020060024331U 2006-09-06 2006-09-06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KR200433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331U KR200433215Y1 (ko) 2006-09-06 2006-09-06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331U KR200433215Y1 (ko) 2006-09-06 2006-09-06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215Y1 true KR200433215Y1 (ko) 2006-12-08

Family

ID=4178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331U KR200433215Y1 (ko) 2006-09-06 2006-09-06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2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69Y1 (ko) * 2009-05-12 2011-02-22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101152994B1 (ko) * 2010-04-21 2012-06-04 여신동 수도꼭지용 급수호스 연결장치
KR20210096987A (ko) * 2020-01-29 2021-08-06 홍기 냉온수용 수도꼭지의 케이싱 결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69Y1 (ko) * 2009-05-12 2011-02-22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101152994B1 (ko) * 2010-04-21 2012-06-04 여신동 수도꼭지용 급수호스 연결장치
KR20210096987A (ko) * 2020-01-29 2021-08-06 홍기 냉온수용 수도꼭지의 케이싱 결합구조
KR102361535B1 (ko) 2020-01-29 2022-02-11 홍기 냉온수용 수도꼭지의 케이싱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5458C (en) System and technique for mounting a faucet
JP6655163B2 (ja) 水栓の設置構造
EP1362959A2 (en) Locking water tap
KR200433215Y1 (ko)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JP2009240115A (ja) 配線・配管材引出具
KR101677667B1 (ko) 관체 고정장치
JP3590843B2 (ja) 配管着脱装置
JP4926566B2 (ja) 水道蛇口と給水ホースとの連結用ホルダー装置
JP5411593B2 (ja) ワイヤー張設具
KR200360643Y1 (ko) 전기배선박스에 결합이 용이한 배선관 커넥터
JP2010013852A (ja) 水栓用固定具、及び、水栓用固定具に取り付けられた水栓
JP4825895B2 (ja) 管用回転自在継ぎ手
JP4955494B2 (ja) パネルへのスイッチ取付具
KR101728634B1 (ko) 천정 조명등 커버의 조립 체결 너트
KR20180067399A (ko) 호스 클램프용 토크 컨트롤 캡
JP2002235347A (ja) 物品の取付構造
KR200376634Y1 (ko) 세탁기 급수 호스용 수도꼭지 연결구
KR102042072B1 (ko) 호스 체결용 니플 구조체
KR101274062B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의 개선구조 및 호스-커플링장치의 이용방법
KR200302196Y1 (ko)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JP3892332B2 (ja) 物品の取付構造
KR200370992Y1 (ko)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KR200144010Y1 (ko) 전자동 세탁기용 호스 연결기의 체결구조
US20040050422A1 (en) Easy-to-install faucet handle assembly
KR920007407Y1 (ko) 배수기의 부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