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659B1 -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 - Google Patents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659B1
KR102318659B1 KR1020200004724A KR20200004724A KR102318659B1 KR 102318659 B1 KR102318659 B1 KR 102318659B1 KR 1020200004724 A KR1020200004724 A KR 1020200004724A KR 20200004724 A KR20200004724 A KR 20200004724A KR 102318659 B1 KR102318659 B1 KR 102318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lactic acid
sensing
frame member
ro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501A (ko
Inventor
김성수
김현선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102020000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6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2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2Boxes, cartons,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가 폴리유산 발포 내지와 포장 외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생분해성 원료인 폴리유산으로 발포됨에 따라,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는 친환경적이 되고,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는 미리 박스 형태로 성형이 필요없고, 평평하게 펼쳐진 형태로 보관 및 이동 등의 취급이 가능하여, 그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물론, 그 보관 및 이동 등의 취급이 간편해질 수 있고,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포장 대상체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대로 재단된 상태로 박스 형태로 접어져서 사용될 수 있어서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상기 포장 대상체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Polylactic acid foam insulation packing box raw material and foam inner member roll unit coiling polylactic acid foam inner member applied in the polylactic acid foam insulation packing box raw material}
본 발명은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보온 포장 박스는 그 내부에 음식물 등 보온이 요구되는 포장 대상체를 수용하고, 외부와 그 내부를 격리시켜, 그 내부의 온도를 소정 시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상기 보온 포장 박스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그러나, 종래의 보온 포장 박스에 의하면, 그 보온을 위하여, 발포성 폴리스틸렌(EPS, expandable polystyrene) 수지로 발포된 스티로폼 재질이 박스 형태로 성형된 것 자체가 상기 보온 포장 박스로 이용되거나, 상기 스티로폼 재질이 박스 형태로 성형된 것을 내지로 하고 별도의 외지가 덧대어진 형태로 상기 보온 포장 박스가 제조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발포성 폴리스틸렌 수지로 발포된 상기 스티로폼 재질이 보온 재질로 이용됨으로써,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상기 스티로폼 재질이 박스 형태로 성형된 자체가 상기 보온 포장 박스로 이용되든, 상기 스티로폼 재질이 박스 형태로 성형된 것을 내지로 하고 별도의 외지가 덧대어진 형태로 상기 보온 포장 박스가 제조되든지를 불문하고, 모두 상기 스티로폼 재질이 발포되면서 박스 형태로 성형되어져야 하였고, 그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상기 포장 대상체에 범용적으로 적용되지 못함은 물론, 미리 박스 형태로 성형이 되어진 관계로, 상기 보온 포장 박스의 보관에 상당한 공간이 요구되고 이동 등의 취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2021382호, 등록일자: 2019.09.06., 발명의 명칭: 보온 보냉 단열 박스 등록실용신안 제 20-0370370호, 등록일자: 2004.12.03., 고안의 명칭: 보온보냉기능을 갖는 포장박스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면서도, 보관 및 이동 등의 취급이 용이해질 수 있고,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포장 대상체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는 포장 대상체를 보온을 위해 수용할 수 있는 보온 포장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유산(PLA, polylactic acid)으로 발포되고, 상기 보온 포장 박스의 내면을 이루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와 접합되어, 상기 보온 포장 박스의 외면을 이루는 포장 외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되어 발포 내지 롤 유닛에 감겨 있다가, 상기 발포 내지 롤 유닛으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포장 외지에 접합되고,
상기 발포 내지 롤 유닛은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과, 상기 발포 내지 롤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 프레임 부재와, 상기 롤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롤 프레임 부재가 정자세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정자세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는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의 외곽을 형성하는 감지 본체부와, 상기 롤 프레임 부재의 정자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본체부는 그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본체측 케이스와, 상기 본체측 케이스의 중앙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본체측 케이스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서 상기 함몰부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된 경사형 연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형 연장체는 그 상측 및 하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그 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되고,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는 상기 함몰부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는 그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되,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감지 몸체와, 상기 감지 몸체의 중앙부에서 상기 함몰부 쪽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상기 함몰부에 각각 삽입되는 감지부측 축과, 상기 감지 몸체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감지 몸체에 무게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 몸체의 중심에서 중력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롤 프레임 부재가 정자세를 벗어나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 몸체에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가 접촉되고, 그에 따라 상기 롤 프레임 부재가 기울어진 것이 감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포 내지 롤 유닛은 상기 포장 대상체를 보온을 위해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보온 포장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고, 상기 폴리유산으로 발포되는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상기 발포 내지 롤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롤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롤 프레임 부재가 정자세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정자세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는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의 외곽을 형성하는 감지 본체부와, 상기 롤 프레임 부재의 정자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본체부는 그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본체측 케이스와, 상기 본체측 케이스의 중앙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본체측 케이스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서 상기 함몰부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된 경사형 연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형 연장체는 그 상측 및 하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그 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되고,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는 상기 함몰부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는 그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되,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감지 몸체와, 상기 감지 몸체의 중앙부에서 상기 함몰부 쪽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상기 함몰부에 각각 삽입되는 감지부측 축과, 상기 감지 몸체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감지 몸체에 무게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 몸체의 중심에서 중력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롤 프레임 부재가 정자세를 벗어나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 몸체에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가 접촉되고, 그에 따라 상기 롤 프레임 부재가 기울어진 것이 감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에 의하면,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가 폴리유산 발포 내지와 포장 외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생분해성 원료인 폴리유산으로 발포됨에 따라,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는 친환경적이 되고,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는 미리 박스 형태로 성형이 필요없고, 평평하게 펼쳐진 형태로 보관 및 이동 등의 취급이 가능하여, 그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물론, 그 보관 및 이동 등의 취급이 간편해질 수 있고,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포장 대상체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대로 재단된 상태로 박스 형태로 접어져서 사용될 수 있어서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상기 포장 대상체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의해 제조된 보온 포장 박스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을 보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 내지 롤 유닛을 구성하는 정자세 감지 부재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정자세 감지 부재에 적용된 함몰부에서 감지부측 축이 하강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의해 제조된 보온 포장 박스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 내지 롤 유닛을 구성하는 정자세 감지 부재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정자세 감지 부재에 적용된 함몰부에서 감지부측 축이 하강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100)는 포장 대상체를 보온을 위해 수용할 수 있는 보온 포장 박스(10)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유산 발포 내지(120)와, 포장 외지(110)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120)는 폴리유산(PLA, polylactic acid)으로 발포되고, 상기 보온 포장 박스(10)의 내면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폴리유산은 옥수수, 사탕수수, 고구마 등의 전분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친환경 수지로서, 뜨거운 음식을 담거나, 유아가 입으로 물거나 빨아도 환경호르몬은 물론,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재질이고, 사용 중에는 일반 플라스틱과 동등한 특징을 가지지만 폐기 후 매립시 미생물에 의해 100% 생분해되는 재질이다.
상기 포장 외지(110)는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120)와 접합되어, 상기 보온 포장 박스(10)의 외면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포장 외지(110)의 재질로는 종이 재질이 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120)가 생분해성 원료인 상기 폴리유산으로 발포되고, 상기 포장 외지(110)가 종이 재질로 제시됨에 따라,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100)는 친환경적이 된다.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120)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되어 발포 내지 롤 유닛(200)에 감겨 있다가, 상기 발포 내지 롤 유닛(200)으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포장 외지(110)에 접합되고, 그에 따라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100)가 제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100)는 평평하게 펼쳐진 형태로 보관 및 이동 등의 취급이 가능하고,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상기 포장 대상체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대로 재단된 상태로 박스 형태로 접어져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발포 내지 롤 유닛(200)은 발포 내지 롤(2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포 내지 롤 유닛(200)은 롤 프레임 부재(220)와, 정자세 감지 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 내지 롤(240)은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어, 그 외면에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120)가 복수 번 겹쳐져서 감긴 것이다.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는 상기 발포 내지 롤(24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210은 상기 발포 내지 롤 유닛(200)이 설치되는 설치면 상에 놓이는 베이스 부재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210)는 일정 면적으로 넓은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의 상부에 상기 발포 내지 롤(240)이 회전축(2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270)는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에 장착되고,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가 정자세(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의 자세)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감지 본체부(280)와, 감지부(290)와, 접촉 감지 센서부(296)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본체부(280)는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270)의 외곽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측 케이스(281)와, 함몰부(282)와, 경사형 연장체(285)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측 케이스(281)는 그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함몰부(28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81)의 중앙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된 것으로, 후술되는 감지부측 축(294)의 일부가 삽입된다.
도 4 및 도 5에서 상기 함몰부(28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81)의 후면, 즉 상기 감지부(29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 형성됨으로 인해 점선으로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함몰부(28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81)의 전면 및 후면에서 한 쌍이 서로 대면되며 형성된다.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81)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서 상기 함몰부(282)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된 것이다.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는 그 상측 및 하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그 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되고,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는 상기 함몰부(28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감지부(290)는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의 정자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감지 몸체(291)와, 상기 감지부측 축(294)과, 무게추(295)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몸체(291)는 그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되,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서 상기 감지 몸체(291)는 두 개가 이격되어 이루어지고, 이격된 두 개의 상기 감지 몸체(291)는 상기 함몰부(282)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감지 몸체(291)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 중 일측에 형성된 것에서 상공으로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 1 날개(292)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 중 타측에 형성된 것에서 상공으로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 2 날개(293)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측 축(294)은 상기 감지 몸체(291)의 중앙부에서 상기 함몰부(282) 쪽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상기 함몰부(282)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함몰부(282)에 상기 감지부측 축(294)이 각각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감지 몸체(291)는 상기 감지부측 축(294)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무게추(295)는 상기 감지 몸체(291)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감지 몸체(291)에 무게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 몸체(291)의 중심에서 중력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다.
상기 무게추(29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감지 본체부(280)가 일정 각도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감지 몸체(291)는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296)는 상기 감지 본체부(28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290)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296)는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 중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접촉 센서(297)와,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285)의 상측 경사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 2 접촉 센서(298)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가 정자세를 벗어나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 몸체(291)에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또는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가 접촉되고, 그에 따라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가 기울어진 것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가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 본체부(280)도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상기 제 1 날개(292)와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가 접촉되고,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가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 본체부(280)도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상기 제 2 날개(293)와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의 작동 시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의 기울어진 방향도 함께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270)에 의해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가 정자세를 벗어난 것이 감지되면, 알람 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직접 알려주거나, 별도 제어부(미도시)에 그 결과를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작업자에게 감지 결과를 알려 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함몰부(282)는 상기 본체측 케이스(281)이 전면 및 후면에서 일정 깊이 함몰되면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 장형 삽입홈(283)과, 상기 장형 삽입홈(283)의 각 내면에서 상기 장형 삽입홈(283)의 내측으로 갈수록 뾰족해지는 형태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감지부측 축(294)의 일부가 걸리도록 하는 축 걸림 돌기(284)를 포함한다.
상기 축 걸림 돌기(284)는 상기 함몰부(282)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284) 중 최상측의 것에 상기 감지부측 축(294)이 걸린 상태로 상기 감지부(290)가 중력 방향으로 향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될 경우, 상기 감지부측 축(294)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284) 중 최상측의 것에서 이탈되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284) 중 최상측의 것 바로 아래의 것으로 하강되어 걸리게 되고, 이러한 상기 감지부측 축(294)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감지 몸체(291) 역시 하강되어,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에 동시 접촉됨으로써,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에 가해진 충격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에 동시에 접촉되어 감지된 충격 정보 역시 상기 제어부을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경사형 연장체(285)에서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 곡면체(271)가 돌출되는데, 상기 각 돌출 곡면체(271)는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의 각 말단부와 대면되도록 일정 곡률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돌출 곡면체(271)에서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의 각 말단부와 대면되는 내면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영구 자석(272)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의 각 말단부에는 각각 홀 센서(hall sensor)(273)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가 정자세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각 홀 센서(273)는 복수 개의 상기 각 영구 자석(272) 중 각 중앙부의 것을 각각 감지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가 정자세를 벗어나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각 홀 센서(273)는 복수 개의 상기 각 영구 자석(272) 중 각 중앙부의 것이 아닌 다른 것을 각각 감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296)와 상기 감지 몸체(291)의 접촉 전의 미세한 기울어짐도 상기 각 홀 센서(273)에 의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홀 센서(273)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을 통해 작업자에게 전달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의 각 말단부의 각 저면에서는, 누름 돌기(274)가 각각 돌출되고, 상기 각 누름 돌기(274) 중 하나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와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 중 하나와 접촉되면서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의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경사형 연장체(285)에서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의 각 하부 공간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일정 깊이로 함몰된 연장체 함몰 홀(27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연장체 함몰 홀(275)의 각 저면에는 저면 접촉 감지 센서(276)가 각각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 상기 감지부측 축(294)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284) 중 최상측의 것에서 이탈되어 복수 개의 상기 축 걸림 돌기(284) 중 최상측의 것 바로 아래의 것으로 하강되어 걸리게 되는 경우, 상기 제 1 날개(292) 및 상기 제 2 날개(293)의 상기 각 누름 돌기(274)가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를 누르게 되어,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는 탄성 변형되면서 각각 상기 각 연장체 함몰 홀(275)의 각 저면을 향해 하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접촉 센서(297) 및 상기 제 2 접촉 센서(298)가 상기 각 저면 접촉 감지 센서(276)에 접촉되어, 상기 롤 프레임 부재(220)에 충격이 가해졌음이 더욱 신뢰성있게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100)가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120)와 상기 포장 외지(110)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120)가 생분해성 원료인 상기 폴리유산으로 발포됨에 따라,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100)는 친환경적이 되고,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100)는 미리 박스 형태로 성형이 필요없고, 평평하게 펼쳐진 형태로 보관 및 이동 등의 취급이 가능하여, 그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음은 물론, 그 보관 및 이동 등의 취급이 간편해질 수 있고,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상기 포장 대상체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대로 재단된 상태로 박스 형태로 접어져서 사용될 수 있어서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상기 포장 대상체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에 의하면, 친환경적이면서도, 보관 및 이동 등의 취급이 용이해질 수 있고,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포장 대상체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110 : 포장 외지
120 : 폴리유산 발포 내지
200 : 발포 내지 롤 유닛
220 : 롤 프레임 부재
240 : 발포 내지 롤

Claims (5)

  1. 포장 대상체를 보온을 위해 수용할 수 있는 보온 포장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유산(PLA, polylactic acid)으로 발포되고, 상기 보온 포장 박스의 내면을 이루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와 접합되어, 상기 보온 포장 박스의 외면을 이루는 포장 외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되어 발포 내지 롤 유닛에 감겨 있다가, 상기 발포 내지 롤 유닛으로부터 풀리면서 상기 포장 외지에 접합되고,
    상기 발포 내지 롤 유닛은
    상기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과,
    상기 발포 내지 롤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 프레임 부재와,
    상기 롤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롤 프레임 부재가 정자세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정자세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는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의 외곽을 형성하는 감지 본체부와,
    상기 롤 프레임 부재의 정자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본체부는
    그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본체측 케이스와,
    상기 본체측 케이스의 중앙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본체측 케이스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서 상기 함몰부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된 경사형 연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형 연장체는 그 상측 및 하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그 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되고,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는 상기 함몰부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는
    그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되,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감지 몸체와,
    상기 감지 몸체의 중앙부에서 상기 함몰부 쪽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상기 함몰부에 각각 삽입되는 감지부측 축과,
    상기 감지 몸체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감지 몸체에 무게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 몸체의 중심에서 중력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롤 프레임 부재가 정자세를 벗어나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 몸체에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가 접촉되고, 그에 따라 상기 롤 프레임 부재가 기울어진 것이 감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2. 삭제
  3. 삭제
  4. 포장 대상체를 보온을 위해 수용할 수 있는 보온 포장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고, 폴리유산으로 발포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상기 발포 내지 롤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 프레임 부재; 및
    상기 롤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롤 프레임 부재가 정자세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정자세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는
    상기 정자세 감지 부재의 외곽을 형성하는 감지 본체부와,
    상기 롤 프레임 부재의 정자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본체부는
    그 단면이 타원 형태로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본체측 케이스와,
    상기 본체측 케이스의 중앙부에서 일정 깊이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본체측 케이스의 일측부 및 타측부에서 상기 함몰부 쪽으로 각각 일정 길이 연장된 경사형 연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형 연장체는 그 상측 및 하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그 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루게 되고, 한 쌍의 상기 경사형 연장체는 상기 함몰부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는
    그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되,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감지 몸체와,
    상기 감지 몸체의 중앙부에서 상기 함몰부 쪽으로 돌출되어 한 쌍의 상기 함몰부에 각각 삽입되는 감지부측 축과,
    상기 감지 몸체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감지 몸체에 무게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 몸체의 중심에서 중력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롤 프레임 부재가 정자세를 벗어나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감지 몸체에 상기 접촉 감지 센서부가 접촉되고, 그에 따라 상기 롤 프레임 부재가 기울어진 것이 감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내지 롤 유닛.
  5. 삭제
KR1020200004724A 2020-01-14 2020-01-14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 KR102318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724A KR102318659B1 (ko) 2020-01-14 2020-01-14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724A KR102318659B1 (ko) 2020-01-14 2020-01-14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501A KR20210091501A (ko) 2021-07-22
KR102318659B1 true KR102318659B1 (ko) 2021-10-28

Family

ID=7715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724A KR102318659B1 (ko) 2020-01-14 2020-01-14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6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341B2 (ja) * 1990-04-30 2001-05-21 バス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オレフィン重合触媒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667A (ja) * 1991-08-09 1993-02-23 Dainippon Printing Co Ltd 巻取材料のエツジ位置制御機構のための自己診断装置
KR200370370Y1 (ko) 2004-09-09 2004-12-20 이승용 보온보냉기능을 갖는 포장박스
JP3168341U (ja) * 2011-03-28 2011-06-09 郭 澤煌 断熱紙カップ
SG2014013825A (en) * 2011-08-31 2014-07-30 Berry Plastics Corp Polymeric material for an insulated container
KR102076663B1 (ko) * 2018-02-12 2020-02-12 주아스(주) 조미김 가공용 절단 장치
KR102021382B1 (ko) 2018-07-11 2019-09-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온 보냉 단열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341B2 (ja) * 1990-04-30 2001-05-21 バス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オレフィン重合触媒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501A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43636A1 (en) Corner protector
KR102318659B1 (ko)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 및 상기 폴리유산 발포 보온 포장 박스 원재에 적용되는 폴리유산 발포 내지가 감긴 발포 내지 롤 유닛
US20070082181A1 (en) Cushioning material for packing
US20110232230A1 (en) Crosspiece Packaging
EP2192053B1 (en) Product cushioning device for packaging shock sensitive products
RU2662190C2 (ru) Упаков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изоля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2114280B1 (ko) 리싸이클 포장지 원재 및 상기 리싸이클 포장지 원재를 성형하기 위한 커팅 장치
JP2008189371A (ja) 梱包材
JP3131449U (ja) 容器蓋及び包装用容器
JP4576302B2 (ja) 梱包材
JP2022074628A (ja) 包装用容器
CN218877871U (zh) 一种加强筋内托纸盒
CN212606453U (zh) 包装内衬以及包装盒
JP2000006972A (ja) 伸張式合成樹脂容器の構造
JP2010036962A (ja) 緩衝性包装体
US20040112788A1 (en) Shock absorbing container
JPS5923732Y2 (ja) 毛髪乾燥機の包装箱
JP5465632B2 (ja) 果実用包装材
JP2000191051A (ja) 中仕切り緩衝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130821U (ja) 果実保護用緩衝材
JPS5821379Y2 (ja) ロ−ル状アルミ箔の包装体の構造
JPS5911095Y2 (ja) 換気扉等の製品の梱包用緩衝装置
JP2545271Y2 (ja) 軒樋の梱包体
TWM599791U (zh) 承載件及應用彼之包裝套組
JP5529785B2 (ja) 梱包材及びこれを用いた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