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599B1 -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599B1
KR102315599B1 KR1020187005240A KR20187005240A KR102315599B1 KR 102315599 B1 KR102315599 B1 KR 102315599B1 KR 1020187005240 A KR1020187005240 A KR 1020187005240A KR 20187005240 A KR20187005240 A KR 20187005240A KR 102315599 B1 KR102315599 B1 KR 102315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kifier
adhesive 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optic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578A (ko
Inventor
료헤이 사와자키
아츠시 야스이
아키노리 이자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6/07728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047703A1/ja
Publication of KR20180054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9J1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3/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J1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계 중합체 (A) 및 점착 부여제 (B)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며,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당해 점착제 조성물은, 저투습성이고, 고온 환경 하에서도 들뜸이나 박리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높은 내구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 당해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필름에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한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및 당해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및/또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경량화, 박형화의 요구가 강하여,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편광 필름 등의 각종 광학 부재에 대해서도, 박형화, 경량화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으로서, 편광자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면 보호 편광 필름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편면 보호 편광 필름은 박형화, 경량화할 수 있기는 하지만, 편광자의 편면이 보호 필름에 의해 보호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분 등에 의해 열화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양면 보호 편광 필름이라도, 투명 보호 필름이 박막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편광자가 수분 등에 의해 열화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표시 장치에 탑재된 유기 EL 패널은, 대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통상, 유기 EL 패널 표면에는 배리어층이나 배리어 기능을 갖는 광학용 필름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을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에도 수분 등을 투과시키지 않을 것(저투습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광학 부재는, 그 소재에 따라서는 수분 등에 의해 열화되기 쉬운 것이며, 당해 광학 부재를 피착체에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에는, 수분 등을 투과시키지 않을 것(저투습성)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저투습의 점착제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2종류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다른 이소부틸렌 수지, 특정한 연화점을 갖는 수소화 석유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특정한 배합 비율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수소 첨가된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와, 특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이소부틸렌 수지를 갖는 접착성 밀봉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특허 제5416316호 명세서 일본특허공개 제2007-197517호 공보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은 저투습이지만, 고온에서 보관 시험을 행하면, 들뜸이나 박리와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저투습성이고, 고온 환경 하에서도 들뜸이나 박리 등의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높은 내구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 당해 점착제층이 설치된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당해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및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하기 점착제 조성물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고무계 중합체 (A) 및 점착 부여제 (B)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이며,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 부여제 (B)가,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상기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 부여제 (B)가,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점착 부여제 (B)가,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로서는, 테르펜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 로진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한 두께 50㎛인 점착제층의, 40℃, 92%R.H.에 있어서의 투습도가 100g/(㎡·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 (B)가 수소 첨가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 (B)의 연화점이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이 시클로헥산올 골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 (B)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계 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추가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5만 이하인 폴리이소부틸렌계 화합물 (C1)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5만 이하인 폴리이소프렌계 화합물 (C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연화제 (C)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화제 (C)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계 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 필름과, 당해 광학 필름 위에 설치된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자의 적어도 편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 필름이 편광자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면 보호 편광 필름이며, 상기 점착제층이 편광자의 투명 보호 필름을 갖지 않는 측에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 필름이 휘도 향상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과, 휘도 향상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나, 상기 점착제층과, 40℃, 92%R.H.에 있어서의 투습도가 1g/(㎡·day) 이하인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및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특정한 고무계 중합체 (A)에, 특정한 점착 부여제 (B)를 첨가함으로써, 저투습성을 유지하면서, 고온 환경 하에서도 문제(들뜸이나 박리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높은 내구성).
또한, 본 발명은, 고온 환경 하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저투습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광학 부재나, 광학 신뢰가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 부재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 부재의 일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1.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고무계 중합체 (A) 및 점착 부여제 (B)를 함유하고,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 부여제 (B)가,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상기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 부여제 (B)가,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고무계 중합체 (A)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계 중합체 (A)는, 실온 부근의 온도 영역에 있어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중합체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 및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50만 이상인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이하, 간단히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라 하는 경우도 있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고무계 중합체를 말한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SIS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SEP,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BS),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등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분자의 양 말단에 폴리스티렌 블록을 갖고, 중합체로서 높은 응집력을 갖는 점에서,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SIS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BS)가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로서는, 예를 들어 (주) 쿠라레 제조의 SEPTON, HYBRAR,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주) 제조의 터프테크, (주) 가네까 제조의 SIBSTAR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의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만 내지 50만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5만 내지 30만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만 내지 25만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중합체의 응집력과 점탄성을 양립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 중의 스티렌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5 내지 70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4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20중량% 정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 중의 스티렌 함유량이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해, 스티렌 부위에 의한 응집력을 유지하면서, 소프트 세그먼트에 의한 점탄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로서는, 이소부틸렌을 구성 단량체로서 포함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로서는, 이소부틸렌의 단독 중합체(폴리이소부틸렌, PIB)여도 되고, 이소부틸렌을 주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체(즉, 이소부틸렌이 50몰%를 초과하는 비율로 공중합된 공중합체)여도 된다. 이러한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부틸렌과 노르말부틸렌의 공중합체, 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의 공중합체(예를 들어, 레귤러 부틸 고무, 염소화 부틸 고무, 브롬화 부틸 고무, 부분 가교 부틸 고무 등의 부틸 고무류), 이들 가황물이나 변성물(예를 들어,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의 관능기로 변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주쇄 중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지 않고 내후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이소부틸렌(PIB)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로서는, 예를 들어 BASF사 제조의 OPPANOL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만 이상이고, 6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만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00만 이하가 바람직하고, 300만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만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50만 이상으로 함으로써 고온 보관 시의 내구성이 보다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중합체 (A)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 중, 3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중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무계 중합체 (A)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9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을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으로서는,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 중, 3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90중량%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중량% 이하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으로서는, 점착제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 중, 6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값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98중량%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중량% 이하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고무계 중합체 (A) 이외의 고무계 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틸 고무(IIR), 부타디엔 고무(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EPR(2원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T(3원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아크릴 고무, 우레탄 고무,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과 EPT(3원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와의 중합체 블렌드 등의 블렌드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지만, 상기 고무계 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정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2) 점착 부여제 (B)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 부여제 (B)로서는,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점착 부여제 (B)는, 상기 고무계 중합체 (A)에 따라서 선택된다. 즉,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 부여제 (B)로서,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 부여제 (B)로서,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 부여제 (B)를 포함함으로써, 각종 피착체에 대하여 높은 접착성을 갖고, 또한 고온 환경 하에서도 높은 내구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고무계 중합체 (A)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점착 부여제 (B)로서, 테르펜페놀 등과 같이 수산기를 포함하고 투습도가 높아지는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정한 고무계 중합체 (A)와 특정한 점착 부여제 (B)를 사용함으로써, 저투습 특성을 유지하면서, 고온 환경 하에 있어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로서는, 예를 들어 테르펜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 로진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에 관한 기재는 그의 수소 첨가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테르펜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어 α-피넨 중합체, β-피넨 중합체, 디펜텐 중합체 등의 테르펜 중합체나, 상기 테르펜 중합체를 변성(페놀 변성, 스티렌 변성, 방향족 변성, 수소 첨가 변성, 탄화수소 변성 등)한 변성 테르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변성 테르펜 수지의 예에는, 테르펜페놀 수지, 스티렌 변성 테르펜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수소화 테르펜 수지)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의 예에는, 테르펜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및 다른 변성 테르펜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의 수소 첨가물이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도, 고무계 점착제에 대한 상용성이나 점착 특성의 관점에서, 테르펜페놀 수지의 수소 첨가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진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로서는, 로진 수지, 중합 로진 수지, 수소 첨가 로진 수지, 로진 에스테르 수지,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 수지, 로진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로진 등의 미변성 로진(생 로진)이나, 이들을 수소 첨가화, 불균화, 중합, 그 밖의 화학적으로 수식된 변성 로진, 이들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석유 수지(지방족 환상 석유 수지), 지방족·방향족계 석유 수지, 지방족·지환족계 석유 수지, 수소 첨가 석유 수지, 쿠마론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가 8 내지 10인 비닐기 함유 방향족계 탄화수소(스티렌, o-비닐톨루엔, m-비닐톨루엔, p-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인덴, 메틸인덴 등)가 1종만 또는 2종 이상 사용된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닐톨루엔이나 인덴 등의 유분(소위 「C9 석유 유분」)에서 얻어지는 방향족계 석유 수지(소위 「C9계 석유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방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 4 내지 5의 올레핀이나 디엔(부텐-1, 이소부틸렌, 펜텐-1 등의 올레핀; 부타디엔, 피페릴렌(1,3-펜타디엔), 이소프렌 등의 디엔 등)이 1종만 또는 2종 이상 사용된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부타디엔, 피페릴렌이나 이소프렌 등의 유분(소위 「C4 석유 유분」이나 「C5 석유 유분」 등)에서 얻어지는 지방족계 석유 수지(소위 「C4계 석유 수지」나 「C5계 석유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환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지방족계 석유 수지(소위 「C4계 석유 수지」나 「C5계 석유 수지」 등)을 환화 이량체화한 후 중합시킨 지환식 탄화수소계 수지, 환상 디엔 화합물(시클로펜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디펜텐, 에틸리덴비시클로헵텐, 비닐시클로헵텐, 테트라히드로 인덴, 비닐시클로헥센, 리모넨 등)의 중합체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상기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나, 하기 지방족·방향족계 석유 수지의 방향환을 수소 첨가한 지환식 탄화수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족·방향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스티렌-올레핀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방향족계 석유 수지로서는, 소위 「C5/C9 공중합계 석유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에 관한 기재는 그의 수소 첨가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점착 부여제 (B) 중에서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로서는, 예를 들어 야스하라 케미컬(주) 제조의 클리어론 시리즈, 폴리스터 시리즈,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의 수퍼에스테르 시리즈, 펜셀 시리즈, 파인 크리스탈 시리즈 등을 들 수 있고,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로서는, 예를 들어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의 알콘 시리즈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 (B)이 수소 첨가물일 경우, 수소 첨가는, 부분적으로 수소 첨가되어 있는 부분 수소 첨가물이어도 되고, 화합물 중의 모든 이중 결합에 수소 첨가가 되어 있는 완전 수소 첨가물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점착 특성, 내후성이나 색상의 관점에서 완전 수소 첨가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 (B)로서는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은, 시클로헥산올 골격을 포함하는 것이 점착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세한 원리는 불분명하지만, 페놀 골격보다 시클로헥산올 골격 쪽이, 베이스 중합체인 고무계 중합체와의 상용성의 균형이 잡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시클로헥산올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어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페놀 수지 등의 수소 첨가물이 바람직하고,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 페놀 수지 등의 완전 수소 첨가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 (B)의 연화점(연화 온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80℃ 이상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 (B)의 연화점이 80℃ 이상인 것으로, 고온에 있어서도 점착 부여제가 연화되지 않고 점착 특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 (B)의 연화점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연화점이 너무 높아지면, 분자량이 보다 높아지고, 상용성이 악화되어, 백화 등의 문제를 일으켜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200℃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은, JIS K5902 및 JIS K2207 중 어느 것으로 규정하는 연화점 시험 방법(환구법)에 의해 측정된 값으로서 정의된다.
상기 점착 부여제 (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만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 부여제 (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 (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것으로, 고무계 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좋아, 백화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 (B)의 첨가량은, 상기 고무계 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하여, 25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20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15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 (B)로서,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의 첨가량은, 상기 고무계 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5 중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부여제 (B)의 첨가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 (B)의 사용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부여제 (B)의 사용료가 상기 범위를 초과해서 다량 첨가가 되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버리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점착 부여제 (B)로서,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및/또는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가 사용된다. 상기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의 첨가량은,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5 중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의 첨가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5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중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중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 부여제 (B)로서, 상기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의 첨가량은 0중량부여도 된다.
한편, 상기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의 첨가량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의 첨가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5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중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 부여제 (B)로서,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의 첨가량은 0중량부여도 된다.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점착 부여제 (B)로서,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및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를 사용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에 더하여,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를 병용하는 것은 스티렌 부위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병용계에서는,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 100중량부에 대하여,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의 첨가량은 0.5 내지 15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0.5 내지 10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의 첨가량은 0.5 내지 15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0.5 내지 10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점착 부여제 (B)로서,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이 사용된다. 상기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의 첨가량은, 상기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 100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부여제 (B)의 첨가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5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중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점착제 조성물에 대한, 상기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의 첨가는 임의이지만, 그 첨가량은,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 100중량부에 대하여 4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2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중량부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상기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 이외의 점착 부여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단, 다른 점착 부여제의 첨가량은, 상기 고무계 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 그 밖의 첨가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이외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첨가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연화제 (C)를 첨가하는 것이, 점착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제 (B)의 종류에 따라서는, 점착제층의 저온 영역에서의 탄성률이 상승하여, 예를 들어 내충격성 등의 특정한 특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점착제 조성물에 연화제 (C)를 사용함으로써 그 가소 효과에 의해 고무계 중합체 (A)의 탄성률을 낮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점착 부여제 (B)를 사용하고 있어도, 상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연화제 (C)로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만 이하인 폴리이소부틸렌계 화합물 (C1)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5만 이하인 폴리이소프렌계 화합물 (C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연화제를 들 수 있다.
연화제 (C)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만 이하이고, 4만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화제 (C)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연화제 (C)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자량이 너무 작아 졌기 때문에 일어나는 응집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한편, 분자량이 너무 커지면 연화제로서 작용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부틸렌계 화합물 (C1)로서는, 이소부틸렌만을 포함하는 화합물(폴리이소부틸렌)이어도 되고, 이소부틸렌을 주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물(즉, 이소부틸렌이 50몰%를 초과하는 비율로 포함하는 공중합물)이어도 된다. 이러한 공중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부틸렌과 노르말부틸렌의 공중합체, 이소부틸렌과 이소프렌의 공중합체(예를 들어, 레귤러 부틸 고무, 염소화 부틸 고무, 브롬화 부틸 고무, 부분 가교 부틸 고무 등의 부틸 고무류), 이들의 가황물이나 변성물(예를 들어,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의 관능기로 변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주쇄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지 않고, 내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폴리이소부틸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프렌계 화합물 (C2)로서는, 이소프렌만을 포함하는 화합물(폴리이소프렌)이어도 되고, 이소프렌을 주 단량체로 하는 공중합물(즉, 이소프렌이 50몰%를 초과하는 비율의 공중합물)이어도 된다. 이러한 공중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부타디엔-이소프렌-스티렌 랜덤 공중합체, 이소프렌-스티렌 랜덤 공중합체,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고무계 중합체에 대한 가소 효과의 점으로부터 수소 첨가 폴리이소프렌이 바람직하다.
연화제 (C)로서는, 예를 들어 JX 닛코닛세키 에너지(주) 제조의 HV-300, (주)쿠라레 제조의 쿠라프렌 LIR-200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화제 (C)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고무계 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연화제 (C)의 첨가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중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중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는, 희석제로서 유기 용매를 첨가할 수 있다. 희석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어, 이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톨루엔이 바람직하다.
희석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점착제 조성물 중에 50 내지 95중량% 정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내지 90중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희석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해, 지지체 등에 도포 시공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의 구체예로서는, 가교제(예를 들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화합물, 알킬에테르화 멜라민 화합물 등), 충전제,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제의 종류, 조합, 첨가량 등은,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첨가제의 함유량(총량)은,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2. 점착제층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종 지지체 등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 건조 등에 의해 용매 등을 제거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각종 방법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롤 코트, 키스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딥 롤 코트, 바 코트, 나이프 코트, 에어나이프 코트, 커튼 코트, 립 코트,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트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열 건조 온도는, 30℃ 내지 200℃ 정도가 바람직하고, 40℃ 내지 180℃가 더욱 바람직하고, 80℃ 내지 150℃가 더욱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점착 특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건조 시간은, 적절히,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5초 내지 20분 정도가 바람직하고, 30초 내지 10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1분 내지 8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어 박리 처리한 시트(세퍼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천,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네트, 발포 시트, 금속박, 및 이들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절한 박엽체 등을 들 수 있지만,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통상 5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정도이다.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혹은 지방산 아미드계의 이형제, 실리카분 등에 의한 이형 및 방오 처리나, 도포형, 반죽형, 증착형 등의 대전 방지 처리도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장쇄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박리 처리를 적절히 행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투습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0g/(㎡·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g/(㎡·24h)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g/(㎡·24h)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0g/(㎡·24h)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0g/(㎡·24h)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투습도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상적으로는, 수증기를 완전히 투과시키지 않는 것(즉, 0g/(㎡·24h))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투습도가 상기 범위이면, 당해 점착층을 편광 필름 등의 광학 필름에 적용한 경우에, 광학 필름에 수분이 이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광학 필름의 수분에 의한 열화 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투습도는, 점착제층의 두께 50㎛에 있어서의 40℃, 92%R.H. 조건 하에서의 수증기 투과율(투습도)이며, 그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3.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은, 광학 필름과, 상기 광학 필름 위에 설치된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 필름 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광학 필름 위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가열 건조 등에 의해 용매 등을 제거함으로써, 점착제층을 광학 필름 위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체 등 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당해 점착제층을 광학 필름 위에 전사하여,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의 제작 에 있어서 사용한, 박리 처리한 시트는, 그대로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의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할 수 있어, 공정면에 있어서의 간략화가 가능하다.
상기 광학 필름으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에 사용되는 것이 사용되고,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학 필름으로서는 편광 필름을 들 수 있다. 편광 필름은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는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박형화의 관점에서, 편면 보호 편광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서 1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편광자가 적합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5 내지 80㎛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1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내지 7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요오드화 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해서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행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고, 또한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 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 칼륨 등의 수용액이나 수욕 중이라도 연신할 수 있다.
또한, 박막화의 관점에서, 두께가 10㎛ 이하인 박형 편광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형화의 관점에서 말하면 당해 두께는, 1 내지 7㎛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박형의 편광자는, 두께 불균일이 적어, 시인성이 우수하고, 또한 치수 변화가 적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편광 필름으로서의 두께도 박형화가 도모되는 점이 바람직하다.
박형의 편광자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일본특허공개 소51-069644호 공보나 일본특허공개 제2000-338329호 공보나, 국제공개 제2010/100917호 팸플릿, 또는 일본특허공개 제2014-59328호 공보나 일본특허공개 제2012-7356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박형 편광막을 들 수 있다. 이들 박형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이하, PVA계 수지라고도 한다)층과 연신용 수지 기재를 적층체의 상태에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제법이면, PVA계 수지층이 얇아도, 연신용 수지 기재에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연신에 의한 파단 등의 문제없이 연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박형 편광막으로서는, 적층체의 상태에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 중에서도,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어 편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국제공개 제2010/100917호 팸플릿, 또는 일본특허공개 제2014-059328호 공보나 일본특허공개 제2012-073563호 공보에 기재된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일본특허공개 제2014-059328호 공보나 일본특허공개 제2012-073563호 공보에 기재된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기 전에 보조적으로 공중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설치되는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중합체,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중합체, 비닐알코올계 중합체, 염화 비닐리덴계 중합체, 비닐부티랄계 중합체, 아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중합체의 예로서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의 경화층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편광자의 양측에 보호 필름을 설치하는 경우, 그 표리에서 동일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되고, 다른 중합체 재료 등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막성 등의 점에서 1 내지 500㎛ 정도이다.
상기 편광자와 보호 필름과는 통상, 수계 접착제 등을 통해서 밀착되어 있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우레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 할 수 있다. 상기 외에,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접착제로서는, 자외 경화형 접착제,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전자선 경화형 편광 필름용 접착제는, 상기 각종 투명 보호 필름에 대하여, 적합한 접착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착제에는, 금속 화합물 필러를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는 면에는, 하드 코트층이나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나,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 필름(2)이, 편광자(4)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5)을 갖는 편면 보호 편광 필름인 경우, 상기 점착제층(3)이, 편광자(4)의 투명 보호 필름(5)을 갖지 않는 측(즉, 편광자(4)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편광자(4)와 점착제층(3)은 반드시 접촉하고 있을 필요는 없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발현할 수 있는 관점에서는, 이들이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편광자에 대한 수분 등의 이행을 억제할 수 있고, 편면 보호 편광 필름의 편광자가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 필름 이외의 광학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1/2이나 1/4 등의 파장판을 포함한다), 시각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광학층이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휘도 향상 필름을 광학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상기 편광 필름에, 실용 시에 있어서 적층하여, 1층 또는 2층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필름에는 활성화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활성화 처리는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저압 UV 처리, 플라스마 처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4. 광학 부재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과, 휘도 향상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이하, 「제1 광학 부재」라고 한다)나, 상기 점착제층과, 40℃, 92%R.H.에 있어서의 투습도가 1g/(㎡·day) 이하인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이하, 「제2 광학 부재」라고 한다)를 들 수 있다.
제1 광학 부재는,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의 점착제층을 개재해서, 휘도 향상 필름을 더 적층하는 것이다. 제1 광학 부재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으로서는,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 필름(2), 점착제층(3), 휘도 향상 필름(6)을 갖는 광학 부재(10)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학 부재(10)는, 그 밖의 층을 갖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휘도 향상 필름(6)의 점착제층(3)을 갖지 않는 측에, 점착제층(도시하지 않음) 등을 개재해서, 프리즘 시트(7)를 더 적층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7)는, 대표적으로는, 기판과 프리즘부를 갖는다. 또한, 도 2, 3에 있어서는, 도 1과 마찬가지로 편면 보호 편광 필름을 기재하고 있지만, 양면 보호 편광 필름이어도 된다. 이러한 광학 부재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측의 편광판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휘도 향상 필름(6)으로서는, 반사형 편광판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사형 편광판은, 직선 편광 분리형의 편광판이다. 그 대표예로서는, 그리드형 편광판, 굴절률의 다른 2종 이상의 재료의 다층 박막 적층 편광판, 굴절률의 다른 증착 다층 박막, 굴절률의 다른 2종 이상의 재료 복굴절층 다층 박막 적층체, 굴절률 차를 갖는 2종 이상의 수지를 사용한 2종 이상의 수지 적층체를 연신한 것, 직선 편광을 직교하는 축방향에서 반사/투과함으로써 분리하는 편광판(직선 편광 분리형 반사 편광판)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직선 편광 분리형 반사 편광판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반사형 편광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쓰리엠 제조의 상품명 「D-BEF」나, 닛토덴코(주) 제조의 상품명 「니포쿠스 APCF」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광학 부재에 사용하는, 40℃, 92%R.H.에 있어서의 투습도가 1g/㎡·day 이하인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EL 소자에 사용되는 배리어층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EL 소자에 사용되는 배리어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3불화 폴리에틸렌, 폴리3불화염화에틸렌(PCTFE), 폴리이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지환식 폴리올레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중합체층, 혹은 이들의 적층체, 추가로 상기 중합체층에 스퍼터링 등의 성막법을 사용해서 산화규소, 질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 등의 무기 박막이 피복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저투습 필름을 갖는 광학 부재는, 유기 EL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유기 EL 소자의 밀봉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5.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 및 상기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또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면 되고,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또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높은 광학 신뢰성을 갖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예 중의 부 및 %는 모두 중량 기준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측정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GPC법)에 있어서 행하고, HLC-8120(도소사 제조)에 의한 내경 6.0㎜, 길이 150㎜의 칼럼(도소사 제조, TSKgel SuperHZM-H/HZ4000/HZ3000/HZ2000)을 직렬로 접속해서 사용하고, 용리액에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사용해서 농도 1g/L, 유량 0.6ml/분, 온도 40℃, 샘플 주입량 20μl의 조건에서 행하고, 검출기에는 RI 검출기를 사용했다. 또한 분자량의 검량선 작성에는, TSK 표준 폴리스티렌(도소사 제조)을 사용했다.
제조예 1(편광 필름의 제조)
박형 편광막을 제작하기 위해서, 먼저, 비정질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에 9㎛ 두께의 폴리비닐알코올(PVA)층이 제막된 적층체를 연신 온도 130℃의 공중 보조 연신에 의해 연신 적층체를 생성했다. 이어서, 연신 적층체를 염색에 의해 착색 적층체를 생성하고, 추가로 착색 적층체를 연신 온도 65℃의 붕산 수중 연신에 의해 총 연신 배율이 5.94배가 되도록 비정질성 PET 기재와 일체로 연신된 4㎛ 두께의 PVA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했다. 이러한 2단 연신에 의해 비정질성 PET 기재에 제막된 PVA층의 PVA 분자가 고차로 배향되어, 염색에 의해 흡착된 요오드가 폴리요오드 이온 착체로서 일방향으로 고차로 배향된 고기능 편광막(편광자)을 구성하는, 두께 5㎛의 PVA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했다.
상기 편광자에 관한 상기 광학 필름 적층체의 편광막(편광자, 두께: 5㎛)의 표면에, 접착제층의 두께가 0.1㎛가 되도록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투명 보호 필름(두께 20㎛의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 필름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것)을 접합한 뒤, 50℃에서 5분간의 건조를 행하였다. 계속해서, 비정질성 PET 기재를 박리하고, 박형 편광자를 사용한 편보호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고무계 중합체 (A)로서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상품명: SEPTON 2063, 스티렌 함유량: 13%, (주)쿠라레 제조) 100중량부와, 점착 부여제 (B)로서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상품명: YS 폴리스타 TH130, 연화점: 130℃, 수산기가: 60, 야스하라 케미컬(주) 제조) 40.4중량부, 석유계 점착 부여제(상품명: 피콜라스틱 A5, 비닐톨루엔계 점착 부여제, 연화점: 5℃, 이스트만 코닥사 제조) 61.7부, 연화제 (C)로서 폴리부텐(상품명: HV-300, 중량 평균 분자량: 3000, JX 닛코닛세키 에너지(주) 제조) 21.3부를 배합한 톨루엔 용액(점착제 용액)을 고형분이 30중량%가 되도록 조정하여,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포일 MRF, 미쓰비시 쥬시(주) 제조)의 박리 처리면에 도포해서 도포층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도포층을 120℃에서 3분 건조시켜서,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점착제층의 두께가 20㎛인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점착 시트의 점착면에는, 상기 편면을 실리콘으로 박리 처리한 두께 38㎛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포일 MRF, 미쓰비시 쥬시(주) 제조)을, 박리 처리면과 상기 점착제층이 접하도록 접합했다. 점착제층의 양면에 피복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박리 라이너(세퍼레이터)로서 기능한다.
상기 점착제 시트의 한쪽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편광 필름의 편광자 위에, 점착제층과 편광자가 접하도록 적층해서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을 얻었다. 점착제층의 박리 라이너는 세퍼레이터로서 남겼다. 얻어진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의 구성은, 투명 보호 필름/편광자/점착제층/세퍼레이터였다.
실시예 2 내지 31, 비교예 1 내지 7
실시예 1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의 각 성분을 표 1, 2에 기재된 조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8(아크릴계 점착제층의 제작)
온도계, 교반기, 환류 냉각관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단량체 성분으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BA) 99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1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을 고형분이 20%가 되도록 투입한 후, 질소 가스를 흘리고, 교반하면서 약 1시간 질소 치환을 행하였다. 그 후, 60℃에 플라스크를 가열하고, 7시간 반응시켜서 중량 평균 분자량(Mw) 110만의 아크릴계 중합체를 얻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용액(고형분 100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상품명: 코로네이트 L,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 제조) 0.8중량부, 실란 커플링제(상품명: KBM-403, 신에쓰 가가꾸(주) 제조) 0.1중량부를 첨가해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2에 나타낸다.
<투습도의 측정 방법>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점착제층의 두께가 50㎛인 점착 시트를 형성했다. 점착 시트의 한쪽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점착면을 노출시키고, 해당 점착면에 의해, 점착 시트를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AC 필름, 두께 25㎛, 코니카 미놀타(주) 제조)에 접합했다. 그리고, 다른 한쪽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측정용 샘플을 얻었다.
이어서, 이 측정용 샘플을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투습도 시험 방법(컵법, JIS Z 0208에 준한다)에 의해, 투습도(수증기 투과율)를 측정했다.
측정 온도: 40℃
상대 습도: 92%
측정 시간: 24시간
또한, 측정 시에는, 항온항습조를 사용했다.
<점착력>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 시트를 사용하여, 길이 100㎜, 폭 25㎜의 테이프편을 얻었다. 이어서, 테이프편으로부터 한쪽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점착면을 노출시키고, 테이프편의 해당 점착면에, PET 필름(두께: 25㎛)에 접합하여, (박리 라이너/점착제층/PET 필름)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기재를 갖는 편면 점착 테이프(길이: 100㎜, 폭: 25㎜)를 제작하였다. 이 기재를 갖는 편면 점착 테이프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측정용 샘플을 얻었다.
계속해서, 23℃, 50%R.H. 분위기 하에서, 측정용 샘플이 노출된 점착면(측정면)에, 유리판(상품명: 소다석회 유리 #0050, 마쯔나미 가라스 고교(주) 제조)을 접합하고, 2kg 롤러를 1 왕복시킴으로써 압착했다. 그리고, 23℃, 50%R.H.의 분위기 중에서 30분간 방치했다.
방치 후, 인장 시험기(상품명: TCM-1kNB, 미네베아사 제조)를 사용하여, 유리판으로부터 측정용 샘플을 떼내는 180° 박리 시험을 행하고, 유리판에 대한 180° 필 점착력(180도 떼내기 점착력)(N/25㎜)을 측정했다. 측정은, 23℃, 50%R.H.의 분위기 하에서, 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300㎜/분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내구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의 세퍼레이터를 벗겨서, 시험편을 유리판에 접합하고, 이것을 85℃의 환경 하에 300시간 투입 후의 상태를 눈으로 또는 돋보기(20배)를 사용해서 관찰하였다.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 돋보기로 확인해도, 문제(발포, 박리 등)의 발생이 없었다.
○: 눈으로는 문제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돋보기로 확인하면 사용에 문제 없는 정도의 다소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 눈으로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8018616892-pct00001
Figure 112018018616892-pct00002
표 1, 2 중의 표기는 이하와 같다.
<고무계 중합체 (A1)>
SEPTON 2063: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상품명: SEPTON 2063, 스티렌 함유량: 13%, (주)쿠라레 제조),
HYBRAR 7311: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상품명: HYBRAR 7311, 스티렌 함유량 12%, (주)쿠라레 제조),
<고무계 중합체 (A2)>
OPPANOL B80: 폴리이소부틸렌(Mw: 약 75만, BASF사 제조),
<그 이외의 중합체>
OPPANOL B50: 폴리이소부틸렌(Mw: 약 34만, BASF사 제조),
OPPANOL B30:폴리이소부틸렌(Mw: 약 20만, BASF사 제조),
아크릴: 비교예 8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클리어론 M125: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수소 첨가물(연화점: 125℃, 야스하라 케미컬(주) 제조),
클리어론 P150: 테르펜계 수소 첨가물(연화점: 152℃, 야스하라 케미컬(주) 제조),
YS 폴리스타 TH130: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연화점: 130℃, 수산기가: 60, 야스하라 케미컬(주) 제조),
YS 폴리스타 UH115: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연화점: 115, 수산기가: 25, 야스하라 케미컬(주) 제조),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 (A): 연화점이 135℃, 수산기가가 160인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 (B): 연화점이 135℃, 수산기가가 60인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 (C): 연화점이 160℃, 수산기가가 60인 완전 수소 첨가 테르펜페놀,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
피콜라스틱 A5: 비닐톨루엔계 점착 부여제(연화점: 5℃, 이스트만 코닥사 제조),
T-REZ HA125: 수소 첨가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점착 부여제(연화점: 125℃, 도쇼 제너럴석유(주) 제조),
FMR-0150: 스티렌계/방향족계 점착 부여제(연화점: 145℃, 미쓰이 가가쿠(주) 제조),
알콘 P115: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연화점: 약 115℃,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알콘 P125: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연화점: 약 125℃,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알콘 P140: 지환족 포화 탄화수소 수지(연화점: 약 140℃,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연화제 (C)>
OPPANOL B10: 폴리이소부틸렌(중량 평균 분자량: 약 3만6000, BASF사 제조),
HV-300: 폴리부텐(중량 평균 분자량: 3000, JX 닛코닛세키 에너지(주) 제조).
1 :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
2 : 편광 필름
3 : 점착제층
4 : 편광자
5 : 투명 보호 필름
6 : 휘도 향상 필름
7 : 프리즘 시트
10 : 광학 부재

Claims (18)

  1. 광학 필름과, 당해 광학 필름 위에 마련된 고무계 중합체 (A) 및 점착 부여제 (B)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이며,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A1)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 부여제 (B)가,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석유 수지계 점착 부여제 (B2),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고,
    상기 고무계 중합체 (A)가 상기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 부여제 (B)가,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고,
    상기 이소부틸렌계 중합체 (A2)가, 이소부틸렌의 단독 중합체이고,
    상기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가, 시클로헥산올 골격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자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면 보호 편광 필름이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편광자의 투명 보호 필름을 갖지 않는 측에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 (B)가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계 점착 부여제 (B1)이, 테르펜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 로진 골격을 포함하는 점착 부여제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한 두께 50㎛인 점착제층의, 40℃, 92%R.H.에 있어서의 투습도가 100g/(㎡·da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 (B)가 수소 첨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 (B)의 연화점이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 (B)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계 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5만 이하인 폴리이소부틸렌계 화합물 (C1)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5만 이하인 폴리이소프렌계 화합물 (C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연화제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제 (C)의 함유량이, 상기 고무계 중합체 (A)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10. 제1항에 기재된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과, 휘도 향상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및 제10항에 기재된 광학 부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87005240A 2015-09-16 2016-09-15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315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3197 2015-09-16
JP2015183197 2015-09-16
JP2016177677A JP6725373B2 (ja) 2015-09-16 2016-09-12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JPJP-P-2016-177677 2016-09-12
PCT/JP2016/077289 WO2017047703A1 (ja) 2015-09-16 2016-09-15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578A KR20180054578A (ko) 2018-05-24
KR102315599B1 true KR102315599B1 (ko) 2021-10-21

Family

ID=5838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240A KR102315599B1 (ko) 2015-09-16 2016-09-15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25373B2 (ko)
KR (1) KR102315599B1 (ko)
CN (1) CN108026423B (ko)
TW (1) TWI7327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98530A1 (en) * 2017-05-05 2021-07-01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hicle pneumatic tyre having a noise absorber and adhesive composition for fixing at least one noise absorber to a surface of a vehicle pneumatic tyre
KR20200034657A (ko) * 2017-07-24 2020-03-31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수지막 및 유리판 함유 적층체
JP7264053B2 (ja) * 2017-09-04 2023-04-25 東洋紡株式会社 粘着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保護フィルム
JP7339782B2 (ja) * 2018-06-15 2023-09-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WO2020080280A1 (ja) * 2018-10-18 2020-04-23 旭化学合成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組成物およびシール材
KR102097599B1 (ko) * 2018-12-26 2020-04-06 주식회사 영우 내충격성이 우수한 배터리 고정용 점착 조성물 및 상기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
CN109825160A (zh) * 2018-12-27 2019-05-31 新纶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高阻隔性铝塑膜及其粘合涂层的制备方法
WO2021024303A1 (ja) * 2019-08-02 2021-02-11 Apmジャパン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並びに通信機器用粘着剤及び光学パネル用粘着剤
KR20230151998A (ko) 2021-02-25 2023-11-02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층 부가 탄성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가요성 디스플레이장치
JP2022172615A (ja) * 2021-05-06 2022-11-17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フィルム付き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WO2023126997A1 (ja) * 2021-12-27 2023-07-06 Apmジャパン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
CN115255351B (zh) * 2022-07-12 2023-09-15 中南大学 金刚石-金属基三维成型复合材料、丝材及其制备和在fdm打印中的应用
CN115651573B (zh) * 2022-10-27 2023-11-28 广州市豪特粘接材料有限公司 一种热熔胶及其制备方法和由其制备的可移除膜类标签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6853A (ja) 2012-03-16 2013-10-24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4019777A (ja) 2012-07-18 2014-02-03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シート
JP2015155490A (ja) 2014-02-19 2015-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7517A (ja) * 2006-01-24 2007-08-0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接着性封止組成物、封止フィルム及び有機el素子
JP2008169331A (ja) * 2007-01-12 2008-07-24 Inoac Corp 粘着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性板材
US20110033699A1 (en) * 2009-07-23 2011-02-10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5530715B2 (ja) * 2009-12-16 2014-06-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水用両面粘着テープ
JP5416316B2 (ja) * 2011-06-28 2014-02-1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及び粘着性シート
JP2013119603A (ja) * 2011-12-08 2013-06-17 Hitachi Chemical Co Ltd 光学フィルムの表面保護用粘着フィルム
TWI488930B (zh) * 2012-03-12 2015-06-21 Lg Chemical Ltd 壓感性黏著組成物
US20130244013A1 (en) * 2012-03-16 2013-09-19 Nitto Denko Corporation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5868748B2 (ja) * 2012-03-19 2016-02-24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シート
JP6010322B2 (ja) * 2012-04-09 2016-10-19 株式会社カネカ 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KR102128239B1 (ko) * 2012-10-29 2020-06-30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JP6060184B2 (ja) * 2013-02-04 2017-01-11 早川ゴム株式会社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用透明粘着材、これを用いた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及び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JP2014162827A (ja) * 2013-02-22 2014-09-08 Mitsubishi Chemicals Corp 接着性封止フィルム、接着性封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接着性封止フィルム用塗布液
CN105051141B (zh) * 2013-02-28 2018-01-30 综研化学株式会社 光学用粘接剂组合物、光学用粘接片、图像显示装置和输入输出装置
CN105229104B (zh) * 2013-05-13 2017-05-17 株式会社可乐丽 含有嵌段共聚物的粘合剂
JP2014231586A (ja) * 2013-05-30 2014-12-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KR101758418B1 (ko) * 2013-08-27 2017-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CN105637029A (zh) * 2013-11-08 2016-06-01 日本化药株式会社 密封用树脂组合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6853A (ja) 2012-03-16 2013-10-24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4019777A (ja) 2012-07-18 2014-02-03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シート
JP2015155490A (ja) 2014-02-19 2015-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6423A (zh) 2018-05-11
TWI732784B (zh) 2021-07-11
TW201720897A (zh) 2017-06-16
JP2017057382A (ja) 2017-03-23
KR20180054578A (ko) 2018-05-24
JP6725373B2 (ja) 2020-07-15
CN108026423B (zh)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5599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339532B1 (ko)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 고무계 점착제층, 점착 필름, 고무계 점착제층을 구비한 광학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JP7372275B2 (ja)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5155490A (ja) 粘着シート
JP6873682B2 (ja) ゴム系粘着剤組成物、ゴム系粘着剤層、ゴム系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及びゴム系粘着剤層の製造方法
CN111837062A (zh) 偏振板及使用了该偏振板的图像显示装置
WO2017047703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TW201313870A (zh) 黏著帶
US20210071041A1 (en) Polyisobutylene adhesive comprising polyolefin copolymer additive
JP6352760B2 (ja) 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110913A1 (ja) ゴム系粘着剤組成物、ゴム系粘着剤層、ゴム系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及びゴム系粘着剤層の製造方法
KR20200129150A (ko) 적층체, 복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9176719A1 (ja) 積層体、複合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9176718A1 (ja)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