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745B1 - 수동 크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크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745B1
KR102307745B1 KR1020200177519A KR20200177519A KR102307745B1 KR 102307745 B1 KR102307745 B1 KR 102307745B1 KR 1020200177519 A KR1020200177519 A KR 1020200177519A KR 20200177519 A KR20200177519 A KR 20200177519A KR 102307745 B1 KR102307745 B1 KR 102307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trolley
pipe
coupled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구
Original Assignee
김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구 filed Critical 김성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66C11/06Underhung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4Devices for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Abstract

본 발명은 고중량의 운반물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전후좌우 이동 및 상하로 승강하여 운반할 수 있는 수동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를 따라 전후좌우로 이동 가능한 승강바의 운반물 적재부를 호이스트로 연결해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높이 조절하여, 컨베이어 등으로 이송하기 어려운 고중량의 운반물을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이동 및 승강시켜 운반하여 작업 로스를 줄일 수 있는 수동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 크레인 장치{CRANE}
본 발명은 고중량의 운반물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전후좌우 이동 및 상하로 승강하여 운반할 수 있는 수동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를 따라 전후좌우로 이동 가능한 승강바의 운반물 적재부를 호이스트로 연결해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높이 조절하여, 컨베이어 등으로 이송하기 어려운 고중량의 운반물을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이동 및 승강시켜 운반하여 작업 로스를 줄일 수 있는 수동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은 크고 무거운 운반물을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크레인의 한 종류 중 호이스트 장치가 있다.
호이스트 장치는 공장 등의 건물 천장에 가이드 프레임을 설치하고,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의 와이어로 운반물을 걸어서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호이스트 장치는 호이스트에 연결된 리모컨으로 전후진 및 승강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호이스트 장치는 운반물이 와이어에 직결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운 운반물일수록 관성력이 커져서 이동 후 정지 시 또는 반대로 정지 상태에서 이동 시에 와이어가 흔들려 운반물이 작업자나 다른 설비에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호이스트 장치는 대부분 고리에 아이볼트나 슬링바를 걸어서 운반하기 때문에 고중량의 운반물이 쉽게 흔들려서 호이스트 운전 중 상당한 주의를 요함은 물론 운반물을 정확한 위치에 놓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반물을 운반 시 관성력에 의한 흔들림을 억제하면서, 수동으로 운반물을 쉽고 정확하게 이동 및 승강 가능하여 운반할 수 있는 수동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동 크레인 장치는,
고중량의 운반물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전후좌우 이동 및 상하로 승강하여 운반할 수 있는 수동 크레인 장치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설치된 고정형 제1 가이드레일,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이동형 제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결합되고 하측단에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이 결합된 제1 트롤리,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결합되고 하측단에 운반유닛이 결합된 제2 트롤리를 포함한 이동수단;
상기 제2 트롤리 하측에서 좌우 회전 및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텔레스코픽 타입의 승강로드, 상기 승강로드의 고정 파이프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 파이프를 승강시키는 승강와이어를 구비한 호이스트, 상기 승강 파이프에 구비되는 운반물 적재부와 이동용 핸들과 상기 호이스트와 연동하는 높이 조절용 컨트롤러를 포함한 운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동 크레인 장치에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은, 'ㄷ'자형 구조로 연결된 상면부와 양 측벽부, 상기 상면부의 내측면 양 측부에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양 측벽부의 하측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통과홈을 형성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롤리 및 제2 트롤리는, 상기 통과홈에 끼워지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측단 양측면에 축설되되 각각 상하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되어 상단이 상기 제1 지지부에 접하는 상부 바퀴와 하단이 상기 제2 지지부에 접하는 하부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크레인 장치에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은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홈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고정 결합된 제1 자석, 상기 제1 자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트롤리 및 제2 트롤리와 함께 이동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 자석과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제2 자석을 포함한 상기 운반유닛의 밀림 방지용 도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크레인 장치에서,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고정 파이프와 승강 파이프가 서로 접하는 각 접면에서 서로 대응하게 돌출되어 상기 승강 파이프의 추락을 방지하는 걸림부와 스토퍼, 상기 걸림부 또는 스토퍼의 양 측부에서 상기 승강로드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 파이프와 승강 파이프의 접면들 사이에 마찰을 저감시키는 윤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크레인 장치는,
호이스트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승강바의 적재부를 이용해 고중량의 운반물을 실어서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전후좌우 이동 및 승강하여 운반물을 운반할 수 있어, 고중량의 운반물이 관성력 등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고정됨에 따라 고중량의 운반물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운반할 수 있어, 기존의 호이스트 장치에 비해 공정별 이동 시간을 단축해 작업 로스를 줄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강력 자석을 이용한 도킹수단으로 이동 후 정지 시 운반물의 고중량으로 인해 트롤리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테레스코픽 타입의 승강바의 승강 파이프가 고정 파이프에서 분리되어 발생하는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기존의 호이스트 장치와 달리 프레임부를 현장의 필요 높이에 맞춰 쉽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어, 최초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설비의 유지 관리 등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크레인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크레인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크레인 장치의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요부 발췌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유닛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로드의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 크레인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크레인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중량의 운반물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전후좌우 이동 및 상하로 승강하여 운반할 수 있는 수동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8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물의 전후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부(10), 운반물의 전후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20), 운반물이 적재되는 운반유닛(30), 운반물의 이동 후 정지 시 관성력에 의한 밀림을 방지하는 도킹수단(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설치된 고정형 제1 가이드레일(10A), 상기 제1 가이드레일(10A)의 하부에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10A)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이동형 제2 가이드레일(10B)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
상기 제1 가이드레일(10A)을 따라 이동하게 결합되고 하측단에 상기 제2 가이드레일(10B)이 결합된 제1 트롤리(20A), 상기 제2 가이드레일(10B)을 따라 이동하게 결합되고 하측단에 운반유닛(30)이 결합된 제2 트롤리(20B)를 포함한 이동수단(20);
상기 제2 트롤리(20B) 하측에서 좌우 회전 및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텔레스코픽 타입의 승강로드(31), 상기 승강로드(31)의 고정 파이프(31A)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로드(31)의 승강 파이프(31B)를 승강시키는 승강와이어(32a)를 구비한 호이스트(32), 상기 승강 파이프(31B)에 구비되는 운반물 적재부(33)와 이동용 핸들(34)과 상기 호이스트(32)와 연동하는 높이 조절용 컨트롤러(35)를 포함한 운반유닛(3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 제2 가이드레일(10A)(10B)을 현장의 천장이 아니라 현장의 소정 높이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10)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10A)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10A)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양측 기둥(13a)에 의해 설치되는 베이스빔(13)과, 상기 베이스빔(13) 하면에 상기 제1 가이드레일(10A)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설치빔(14)과, 상기 설치빔(14) 하부에 상기 제1 가이드레일(10A)을 고정시키는 레일행거(15)와, 상기 베이스빔(13)과 레일행거(15)를 감싸도록 결속된 제1 가이드레일(10A)의 추락 방지용 결속와이어(16)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빔(13)은 양측의 기둥(13a)에 입설되는 것으로 운반물의 전후 이동 방향과 직교되는 좌우 방향, 즉 제2 가이드레일(10B)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복수개의 베이스빔(13)이 전후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된다.
상기 설치빔(14)은 상기 베이스빔(13)들 하면 양 측단에 전후 일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며, 설치빔(14)의 하면에는 제1 가이드레일(10A) 설치용 레일행거(15)들이 설치빔(14)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 레일행거(15)들 각각에 상기 제1 가이드레일(10A)이 슬라이딩 결합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제1 트롤리(20A)의 연결부(21)에 제1 가이드레일(10A)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2 가이드레일(10B)이 결합되어, 제2 가이드레일(10B)이 제1 가이드레일(10A)을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 제2 가이드레일(10A)(10B) 및 운반유닛(30)에 운반물 자체의 하중이 더해져 레일행거(15) 결합 부위의 변형이나 파손에 의한 추락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 결속 와이어로 레일행거(15)를 베이스빔(13)에 결속해 강도를 보강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트롤리(20A)(20B)는 제1, 제2 가이드레일(10A)(10B)에 바퀴로 구름 지지되어 작업자가 운반유닛(30)을 밀거나 당겨서 수동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제1, 제2 트롤리(20A)(20B)는 각 가이드레일(10A)(10B) 상에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되어 운반유닛(30)의 무게를 분산 지지한다.
또한 운반유닛(30)의 주행 안정성을 높이면서 마찰력을 저감시켜 작업자가 수동으로 운반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가이드레일(10A) 및 제2 가이드레일(10B)은, 'ㄷ'자형 구조로 연결된 상면부(11)와 양 측벽부(12), 상기 상면부(11)의 내측면 양 측부에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지지부(11a), 상기 양 측벽부(12)의 하측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통과홈(12A)을 형성하는 제2 지지부(12a)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롤리(20A) 및 제2 트롤리(20B)는, 상기 통과홈(12A)에 끼워지는 연결부(21), 상기 연결부(21)의 상측단 양측면에 축설되되 각각 상하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되어 상단이 상기 제1 지지부(11a)에 접하는 상부 바퀴(22)와 하단이 상기 제2 지지부(12a)에 접하는 하부 바퀴(23)를 포함한다.
상기 각 가이드레일(10A)(10B)의 상면부(11)는 하측으로 돌출된 돔 형상으로써, 상면부(11)와 양 측벽부(12)가 'M'자형 단면 구조를 가지게 연결되어, 운반유닛(30)의 하중을 지탱하며, 상기 제1 지지부(11a)와 제2 지지부(12a) 각각에 트롤리(20A)(20B)의 상, 하부 바퀴(22)(23)가 지지된다.
상기 각 트롤리(20A)(20B)의 연결부(21)는 하측단이 개구된 형태의'Y'자형 구조로써, 각 연결부(21)의'Y'자형 체결부에 제2 가이드레일(10B)과 운반유닛(30)의 연결바가 핀 체결 구조로 볼팅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트롤리(20A)(20B)는 상부 바퀴(22)와 하부 바퀴(23)가 한 쌍식 축설되어 있으며, 전후 끝단에 하부 바퀴(23)가 구비되고 하부 바퀴(23)들 사이에 상부 바퀴(22)들이 구비되어, 하부 바퀴(23)들이 제2 가이드레일(10B) 및 운반유닛(30)의 무게를 분산 지지하면서 상부 바퀴(22)들이 제2 가이드레일(10B) 및 운반유닛(30)의 상측 흔들림을 억제시킨다.
이어서 상기 운반유닛(30)은 상기 제2 가이드레일(10B)에 제2 트롤리(20B)로 연결되어 운반물을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며 승강로드(31)의 호이스트(32)를 통해 운반물을 승강시켜 운반한다.
상기 승강로드(31)는 상기 제2 가이드레일(10B)에 고정된 고정 파이프(31A)와, 상기 고정 파이프(31A)에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결합되어 승강을 통해 높이(길이) 조정이 가능한 승강 파이프(31B)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파이프(31A)는, 제2 트롤리(20B)들의 하단에 연결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결합되면서, 샤프트(37a)를 구비한 축판(37)이 결합된 베이스프레임(38)에 축설되어 좌우 회전하는 것으로, tm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38)에 대한 상기 고정 파이프(31A), 즉 승강로드(31)의 좌우 회전 각도에 제한이 없으나, 방향 전환의 안전성을 위해 좌우로 소정 각도(좌우 각각 대략 120도 범위)로 회전이 제한될 수 있으며, 회전각도 제한을 위한 별도의 스토핑기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파이프(31B)는 상기 고정 파이프(31A)에 대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로드(31) 전체의 상하 길이, 즉 운반물 적재부(33)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승강로드(31)는 상기 고정 파이프(31A)와 승강 파이프(31B)가 서로 접하는 각 접면에서 서로 대응하게 돌출되어 상기 승강 파이프(31B)의 추락을 방지하는 걸림부(31a)와 스토퍼(31b), 상기 걸림부(31a) 또는 스토퍼(31b)의 양 측부에서 상기 승강로드(31)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 파이프(31A)와 승강 파이프(31B)의 접면들 사이에 마찰을 저감시키는 윤활바(31c)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고정 파이프(31A)의 내부로 승강 파이프(31B)가 삽입된 텔레스코픽 타입의 승강로드(31)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고정 파이프(31A)의 최하단에 상기 걸림부(31a)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커버판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 파이프(31B)의 외측면 상단부 소정 높이에 상기 스토퍼(31b)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용접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31b)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 파이프(31B)의 외측면 양측에 결합되어 승강 파이프(31B)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윤활바(31c)를 확인할 수 있고,
도면과 반대로 상기 승강 파이프(31B)가 고정 파이프(31A)에 외삽될 경우, 상기 걸림부(31a), 스토퍼(31b), 윤활바(31c)의 돌출 방향 내지 결합 위치 등은 본 명세서의 도면과 반대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 파이프(31A) 및 승강 파이프(31B)는 사각 파이프로써, 각 면의 중앙에 상기 걸림부(31a)와 스토퍼(31b)가 구비되며, 스토퍼(31b)의 양측에 구비된 윤활바(31c)가 고정 파이프(31A)의 내측면에 접하여, 승강 파이프(31B)의 승강 작동을 안내하면서 마찰을 저감시킨다.
이러한 승강로드(31)는 후술하는 컨트롤러(35)의 조작에 의해 호이스트(32)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하 길이 조절이 이루어져 적재부(33)의 높이가 변경되게 하며, 특히 승강와이어(32a)가 아닌 승강로드(31)에 적재부(33)가 고정됨에 따라 관성력에 의해 적재부(33)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호이스트(32)는 상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승강와이어(32a)를 구비하며, 상기 승강와이어(32a)는 상기 승강 파이프(31B)의 일측면에 돌출된 와이어 연결부에 걸리게 연결되어, 상기 승강와이어(32a)가 호이스트(32)에서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승강 파이프(31B)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적재부(33)는 운반이 필요한 운반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그리퍼형, 흡착형, 적재형, 클램프형 적재부 등이 있으며,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롤 타입의 운반물에 끼워지는 롤 리프트형 적재부(33)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핸들(34)은 상기 승강 파이프(31B)의 타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된 것으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양측 핸들(34)을 잡고 밀거나 당기거나 돌려서 운반유닛(30)의 이동 및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컨트롤러(35)는 상기 호이스트(32)의 승강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일측 핸들(34)의 내측에 구비되며,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조작용 손잡이(35a)를 구비한다.
이러한 컨트롤러(35)는 작업자가 핸들(34)을 잡고 운반물을 이동한 후, 운반물의 높이를 변경할 때, 손잡이(35a)를 잡고 상측으로 밀면 호이스트(32)가 승강와이어(32a)를 감아서 승강 파이프(31B)가 상승하고, 반대로 손잡이(35a)를 하측으로 당기면 호이스트(32)가 승가 와이어를 풀어서 승강 파이프(31B)가 하강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35)는 상기 손잡이(35a) 작동과 별개의 모드로 호이스트(32)의 작동을 제어하는 와이어 승강 버튼이 추가 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운전모드, 상태, 높이, 승강 속도 등의 운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비상 정지 스위치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31) 및 상기 승강와이어(32a)는 외부를 감싸는 자바라 타입의 주름관(36)이 씌어져, 작업자의 손이나 옷자락 등이 승강로드(31)나 승강와이어(32a) 등에 끼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1 가이드레일(10A) 및 제2 가이드레일(10B)은 상기 측벽부(12)의 외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12b)을 포함하고,
상기 운반유닛(30)의 밀림 방지용 도킹수단(40)은, 상기 고정홈(12b)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고정 결합된 제1 자석(41), 상기 제1 자석(41)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트롤리(20A) 및 제2 트롤리(20B)와 함께 이동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 자석(41)과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제2 자석(42)을 포함한다.
상기 밀림 방지용 도킹수단(40)은, 상기 제1 가이드레일(10A) 및 제2 가이드레일(10B)을 따라 제1 트롤리(20A) 및 제2 트롤리(20B)가 이동할 때, 이동 한계 위치에서 트롤리(20A)(20B)들의 이동을 정지시켜 트롤리(20A)(20B)들이 가이드레일(10A)(10B)에서 이탈하는 사고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자석(41)은 각 가이드레일(10A)(10B)의 고정홈(12b) 양측부(또는 일측부) 소정 위치에서 브래킷(43)에 의해 고정홈(12b)에 볼팅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 자석(42)은 제2 가이드레일(10B) 또는 운반유닛(30)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운반유닛(30)을 제1 가이드레일(10A) 또는 제2 가이드레일(10B)을 따라 주행할 때, 상기 제2 자석(42)이 상기 제1 자석(41) 위치에 도달하면 서로 다른 극성으로 인한 인력이 작용하여 제2 자석(42)이 제1 자석(41)을 자력으로 끌어당기면서 이동이 정지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밀어서 주행할 때 관성력에 의해 밀려서 이동 한계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연속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공정이 진행되는 각종 생산 라인에 있어서, 컨베이어나 천장형 호이스트로 운반이 불가능하거나, 방향 전환 및 높이 변경이 필요한 운반물의 운반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모든 운반 조작(이동, 방향 전환, 높이 변경)이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리모컨 등을 이용한 전자동 운반 조작에 비해, 운반 조작을 직관적으로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수동 크레인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프레임부 10A, 10B : 가이드레일
20 : 이동수단 20A, 20B : 트롤리
30 : 운반유닛 31 : 승강로드
32 : 호이스트 33 : 적재부
34 : 핸들 35 : 콘트롤러
36 : 주름관
40 : 도킹수단 41, 42 : 자석
43 : 브래킷

Claims (4)

  1. 고중량의 운반물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전후좌우 이동 및 상하로 승강하여 운반할 수 있는 수동 크레인 장치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설치된 고정형 제1 가이드레일,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이동형 제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결합되고 하측단에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이 결합된 제1 트롤리,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결합되고 하측단에 운반유닛이 결합된 제2 트롤리를 포함한 이동수단;
    상기 제2 트롤리 하측에서 좌우 회전 및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텔레스코픽 타입의 승강로드, 상기 승강로드의 고정 파이프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 파이프를 승강시키는 승강와이어를 구비한 호이스트, 상기 승강 파이프에 구비되는 운반물 적재부와 이동용 핸들과 상기 호이스트와 연동하는 높이 조절용 컨트롤러를 포함한 운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크레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은, 'ㄷ'자형 구조로 연결된 상면부와 양 측벽부, 상기 상면부의 내측면 양 측부에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양 측벽부의 하측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통과홈을 형성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롤리 및 제2 트롤리는, 상기 통과홈에 끼워지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측단 양측면에 축설되되 각각 상하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되어 상단이 상기 제1 지지부에 접하는 상부 바퀴와 하단이 상기 제2 지지부에 접하는 하부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크레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레일 및 제2 가이드레일은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홈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고정 결합된 제1 자석, 상기 제1 자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트롤리 및 제2 트롤리와 함께 이동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1 자석과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제2 자석을 포함한 상기 운반유닛의 밀림 방지용 도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크레인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고정 파이프와 승강 파이프가 서로 접하는 각 접면에서 서로 대응하게 돌출되어 상기 승강 파이프의 추락을 방지하는 걸림부와 스토퍼, 상기 걸림부 또는 스토퍼의 양 측부에서 상기 승강로드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 파이프와 승강 파이프의 접면들 사이에 마찰을 저감시키는 윤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크레인 장치.



KR1020200177519A 2020-08-13 2020-12-17 수동 크레인 장치 KR102307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617 2020-08-13
KR20200101617 2020-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745B1 true KR102307745B1 (ko) 2021-10-05

Family

ID=7807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519A KR102307745B1 (ko) 2020-08-13 2020-12-17 수동 크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7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892A (ja) * 1995-04-24 1996-11-05 Mitsubishi Heavy Ind Ltd 吊荷の振れ止め装置
JPH1121075A (ja) * 1997-07-07 1999-01-26 Miyaden:Kk 天井クレーン
JP2008127127A (ja) * 2006-11-17 2008-06-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レーンのスキュー振れ止め装置およびクレー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892A (ja) * 1995-04-24 1996-11-05 Mitsubishi Heavy Ind Ltd 吊荷の振れ止め装置
JPH1121075A (ja) * 1997-07-07 1999-01-26 Miyaden:Kk 天井クレーン
JP2008127127A (ja) * 2006-11-17 2008-06-05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レーンのスキュー振れ止め装置およびクレー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0756B2 (ja) 昇降搬送装置
JP6773123B2 (ja) 搬送システム
TW201637967A (zh) 自動倉庫
TWI828842B (zh) 保管系統
JP2008156015A (ja) 移動クレーン
JP2008156087A (ja) 走行台車の取扱方法及び取扱装置
CN110562856B (zh) 重物的起重装置以及起重搬运方法
KR102307745B1 (ko) 수동 크레인 장치
US20160332852A1 (e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transporting material in an elevator shaft
WO2023184882A1 (zh) 物料提升装置
CN100347073C (zh) 建筑材料提升装置
JP7050134B2 (ja) 重量物の荷役方法
CN216915839U (zh) 一种矿山用简易索道系统
JP6789836B2 (ja) 重量物運搬装置、及び重量物運搬方法
JP2753203B2 (ja) 長尺材吊上げ装置
JPH1087277A (ja) 物品吊り上げ搬送装置
JP6865151B2 (ja) 重量物搬送台車
KR20220008993A (ko)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
KR101415232B1 (ko) 시스템 동바리 이동 설비
KR100881807B1 (ko) 더블 크레인
JP3187141B2 (ja) 高所作業台車装置
JP2006225913A (ja) 覆工セグメントの搬送システム
CN111847270A (zh) 一种起吊转运装置
KR101306590B1 (ko) 프로파일 안내 걸림 장치
CN214934083U (zh) 自动堆叠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