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571B1 -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571B1
KR102305571B1 KR1020210065173A KR20210065173A KR102305571B1 KR 102305571 B1 KR102305571 B1 KR 102305571B1 KR 1020210065173 A KR1020210065173 A KR 1020210065173A KR 20210065173 A KR20210065173 A KR 20210065173A KR 102305571 B1 KR102305571 B1 KR 102305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ory
granules
ginseng
composition
roa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선
Original Assignee
이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선 filed Critical 이규선
Priority to KR102021006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9Berberidaceae (Barberry family), e.g. barberry, cohosh or mayapple
    • A61K36/296Epi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커리, 삼지구엽초, 인삼 및 쑥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용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처리된 치커리 및 삼지구엽초를 인삼 및 쑥과 혼합하여 미세 분쇄 및 가열함으로써 특유의 약리효과를 충분히 발현하면서도 이취(異臭)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당뇨 예방 내지 당뇨 합병증 억제 효과가 입증된 식물성 천연 재료인 치커리, 삼지구엽초, 인삼 및 쑥을 활용하여 건강기능식품용 항당뇨 조성물을 제조하되, 유효 성분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도 완성된 조성물의 관능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CHICORY CONTAINING ANTI-DIABETIC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치커리, 삼지구엽초, 인삼 및 쑥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용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처리된 치커리 및 삼지구엽초를 인삼 및 쑥과 혼합하여 미세 분쇄 및 가열함으로써 특유의 약리효과를 충분히 발현하면서도 이취(異臭)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식용 또는 약용으로 널리 사용될 뿐 아니라, 안전성이 검증되고 비교적 수급이 안정적인 천연 재료를 원료로 활용하여, 당뇨병의 예방 내지 당뇨 합병증의 억제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이 경주되어 왔으며, 관련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2133015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2133015호를 비롯한 종래의 천연 원료 활용 당뇨 예방 내지 당뇨 합병증 억제용 조성물은 치커리 등의 천연 원료를 용이한 섭취가 가능하도록 가공하거나, 천연 원료에서 액상 또는 용해성 물질을 단순 추출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효능에 대한 실험적, 경험적 실증에 주안점이 두어진 것일 뿐, 관능성 및 상품성에 있어서 상당한 문제점을 가진 것이다.
특히, 종래기술에서는 통상의 식품 원료가 아닌 약용 식물 등을 주 재료료 사용하면서도, 용이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처리가 미흡한 실정이며, 식품으로서의 상품성 확보를 위하여 감미료 첨가 등 사후적인 조치가 주로 수행되었는 바, 원료의 효능이 반감될 뿐 아니라 감미료 등 첨가물로 인한 다양한 부작용이 초래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치커리를 조분쇄하고 주정에 10분간 침지한 후 취출하여 정제 치커리 입상체를 형성하며, 삼지구엽초를 조분쇄하고 아세트산수용액에 10분간 침지한 후 취출하여 정제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형성하는 정제단계(S11)와, 정제 치커리 입상체 및 정제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건조한 후 각각 배전하여 배전 치커리 입상체 및 배전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형성하는 배전단계(S22)와, 배전 치커리 입상체, 배전 삼지구엽초 입상체, 인삼 및 쑥을 미분쇄한 후 혼합, 교반하여 혼합 입상체를 형성하는 혼합단계(S30)와, 혼합 입상체를 가열하여 반액반고상의 치커리 함유 조성물을 완성하는 가열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S40)에서는 혼합 입상체를 70℃ 내지 80℃로 가열하여 반액반고상의 치커리 함유 조성물을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당뇨 예방 내지 당뇨 합병증 억제 효과가 입증된 식물성 천연 재료인 치커리, 삼지구엽초, 인삼 및 쑥을 활용하여 건강기능식품용 항당뇨 조성물을 제조하되, 유효 성분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도 완성된 조성물의 관능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과도한 감미료 첨가 없이도 치커리 함유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의 향미 등 관능성을 개선하여, 원료의 효능을 극대화하면서도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보급을 촉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하고 관련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 활용되는 원료는 치커리, 삼지구엽초, 인삼 및 쑥으로서, 이들의 분류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 재료인 치커리(Cichorium intybus)는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다양한 형태의 식재료 및 약재로서 널리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지상부는 물론 뿌리를 포함한 전체 식물이 활용되되, 세정된 상태의 생초(生草)가 원료로서 활용된다.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는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다년생 식물로서, 삼지구엽초 역시 본 발명에서는 지상부 및 뿌리를 포함한 전체 식물이 세정된 생초 상태로 활용된다.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은 다년생 숙근초로서, 사형화목 두릅나무과에 속하며, 뿌리 부분이 생초 상태는 물론 건조 또는 증포(蒸包)된 상태로 약재로서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미삼(尾蔘)이 원료로서 적용된다.
미삼은 잔뿌리 상태의 인삼으로서 본삼(本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원료 조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실제 약리 성분 함량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잔뿌리 상태인 미삼은 일반적인 본삼에 비하여 동일 중량 조건하에서 표면적이 클 수 밖에 없고, 따라서 미삼의 표피부 함량이 본삼을 월등하게 상회하게 되는데, 표피부는 심부(心部)에 비하여 조직이 치밀하고 유익 섬유소가 풍부한 특성을 가진다.
쑥(Artemisiae Argyi Herba)은 국화과의 다년생초로서, 특유의 방향성을 가지나, 다양한 약재는 물론 식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방향성으로 인한 관능성 저하는 초래되지 않는다.
즉, 쑥은 생초는 물론 가공된 상태에서 여타의 초본 식물에 비하여 상당한 수준의 방향성을 나타내지만, 전통적으로 다양한 식품 원료로 사용됨에 따라 극히 친숙한 향취를 발산하는 바, 함유물의 관능성 및 상품성을 저하시키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향미를 증진하는 효과를 가진다 할 수 있다.
이렇듯, 다양한 건강 증진 효과가 검증된 치커리, 삼지구엽초, 인삼 및 쑥이 원료로 적용되는 본 발명을 통하여, 원료 개개의 약리 효과는 물론 이들의 배합에 따른 복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특히 상당한 수준의 항당뇨 작용 및 당뇨 합병증의 억제 내지 완화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한국영양학회지(1997)에 게재된 이지수 등의 논문 및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y(2013)에 게재된 Hardeep 등의 논문을 비롯한 국내외 유수의 연구 논문을 통하여 치커리의 항당뇨 작용 및 당뇨 합병증 완화 작용이 입증된 바 있는데, 이러한 치커리의 항당뇨 효과는 치커리에 함유된 다양한 무기질 영양소의 작용과 함께, 천연물 중 치커리가 최상위 함유량을 보이는 이눌린(inulin)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생약학(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공저, 동명사)에 따르면, 삼지구엽초는 혈압강하작용 및 면역증강작용 등의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지속적인 관상동맥확장 효과를 발현하여, 원활한 혈액순환을 유도하며, 이로써 당뇨로 인한 혈류 장애를 개선하고 다양한 당뇨 합병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인삼 역시 특유의 면역증강작용 및 항염증작용과 함께, 우수한 혈당강하작용을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약학에 따르면 인삼의 주요 성분인 사포닌은 평상시에는 혈당강하작용을 나타내지만 인슐린 쇼크 상태에서는 오히려 혈당을 상승시켜, 적응소(適應素, adaptogen)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따라서, 상당한 항당뇨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당뇨로 인한 다양한 만성 합병증은 물론 급성 합병증 역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쑥 또한 간세포보호작용 및 항염증작용 등 특유의 약리작용을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Food and Chemical Toxicology(2007)에 게재된 Jung UJ 등의 논문에 따르면 상당한 수준의 항당뇨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렇듯, 치커리, 삼지구엽초, 인삼 및 쑥이 원료로 적용되는 조성물을 통하여 상당 수준의 항당뇨 효과 내지 당뇨 합병증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천연물이자 초본 식물인 상기 원료를 단순 배합 및 처리할 경우 특유의 향취 또는 일부 원료로부터 유발되는 이취(異臭)로 인하여 섭취시 불편감을 야기할 수 있다.
일반적인 초본 식물을 원료로 제조되는 식품 또는 약품에서는 청취(靑臭) 즉, 풋내(grass odor)로 대표되는 이취의 발산이 불가피한데, 이러한 이취에 대한 종래기술에서의 경감 처리 방식으로는 감미료의 첨가를 우선 들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청취의 발산 요인이 주로 염기성 물질 또는 알코올 용해성 지질에서 기인한다는 점에서 착안된 산(酸) 처리 또는 알코올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이취 처리는 주로 제조 공정상 최종 단계로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주로 단당류 또는 합성물이 적용되는 감미료의 첨가는 다양한 부작용 및 인체 유해성 특히, 혈당 조절 장애가 수반되는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는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항당뇨 건강기능식품은 물론 일반 식품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처리라 할 수 없으며, 산 처리 또는 알코올 처리는 처리물의 정제 또는 휘발과정에서 유익한 약리 성분이 동반 분리되는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공정상 최종 단계가 아닌 배합전 원료의 전처리 단계의 일환으로서 산 처리 및 알코올 처리를 수행하되, 원료의 특성에 최적화된 처리 기법을 수립함으로써, 완성품의 약리 효과는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이취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치커리를 조분쇄(粗粉碎)하고 주정에 10분간 침지한 후 취출하여 정제 치커리 입상체를 형성하며, 삼지구엽초를 조분쇄하고 아세트산수용액에 10분간 침지한 후 취출하여 정제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형성하는 정제단계(S11)로 개시된다.
정제단계(S11)에 있어서 치커리와 삼지구엽초는 모두 생초(生草) 상태가 적용되며, 이들의 조분쇄 및 침지 처리는 각각 별도의 분쇄기 및 침지액 용기에 수행되거나 순차 수행됨으로서, 각각의 원료가 격리된 상태로 처리되어야 한다.
여기서, 조분쇄는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대입경(大粒徑)의 입상체로 분쇄하는 것으로, 치커리 및 삼지구엽초 공히 10mm 내지 20mm의 입경으로 분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치커리 및 삼지구엽초의 입경이 10mm 미만으로 분쇄될 경우 과도한 수분 누출이 발생되어 침지액인 주정 또는 아세트산수용액의 희석으로 인한 처리 효과 저하가 초래될 수 있고, 치커리 및 삼지구엽초의 입경이 20mm를 초과할 경우 처리 과정에서 주정 또는 아세트산수용액의 원료내 침투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정제단계(S11)에 있어서 치커리와 삼지구엽초가 상호 격리된 상태로 상이한 침지액으로 처리되는 것은 각각의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에 최적화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로써 치커리와 삼지구엽초에 각각 함유된 유효성분은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이취 유발 물질에 대한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치커리에 다량 함유된 항당뇨 물질인 이눌린은 식물성 다당체로서 산 용액과 혼합된 상태로 가열될 경우 가수분해되면서 특유의 약리 효과가 소멸되므로 산 처리가 적합하지 않고, 삼지구엽초에 함유된 유효성분은 주로 알코올 용출성 성분으로서 주정으로 처리할 경우 상당 부분의 유효성분이 용출되어 분리 및 제거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치커리와 삼지구엽초를 상호 분리된 상태로 처리하되, 치커리는 주정으로 침지 처리하고 삼지구엽초는 아세트산수용액으로 침지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배전단계(S22)를 통하여 잔존 침지액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최종 혼합시 잔존물에 의한 상호 반응을 차단할 수 있다.
정제단계(S11)에 있어서 적용되는 주정(酒精)은 발효 주정으로서, 순도 95% 이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세트산수용액의 농도는 4%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4% 아세트산수용액은 시판 식초에 동량(同量) 또는 동량을 소폭 하회하는 중량의 정제수를 혼합하는 방식으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정제단계(S11) 수행시 재료의 침지액 침지는 침지액이 적재된 용기에 재료가 충분히 잠길 수 있도록 처리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침지 과정에서의 침지액 휘발을 억제할 수 있도록 밀폐 용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단계(S11)가 완료되면, 정제 치커리 입상체 및 정제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건조한 후 각각 배전하여 배전 치커리 입상체 및 배전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형성하는 배전단계(S22)가 수행된다.
배전(焙煎)은 물이나 기름 등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지 않도록 볶는 처리로서, 상기 정제 치커리 입상체 및 정제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팬(pan)에 투입한 후 가열하면서 지속적으로 교반하거나, 커피 원두 또는 견과류의 로스팅 처리에서와 같이, 정제 치커리 입상체 및 정제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드럼에 투입한 후 가열하면서 드럼을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배전단계(S22)에서는 정제 치커리 입상체 및 정제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80℃ 내지 100℃의 온도로 5분 내지 10분간 타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배전 치커리 입상체 및 배전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전단계(S22)에서는 각 원료의 유익 성분 파괴는 최소화하면서도 각 원료에 잔존된 침지액을 완전히 휘발시킴은 물론, 각 원료에 함유된 다양한 독성 화합물을 분해 내지 휘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알데히드(aldehyde)류 화합물을 휘발시킴으로써 불쾌한 향미를 일층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만, 과도한 가열 처리 즉, 지나친 고온 또는 장시간 배전은 재료의 변성 및 유효 성분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80℃ 내지 100℃의 온도로 5분 내지 10분간 지속적으로 교반하며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배전 치커리 입상체, 배전 삼지구엽초 입상체, 인삼 및 쑥을 미분쇄한 후 혼합, 교반하여 혼합 입상체를 형성하는 혼합단계(S30)가 수행되는데, 여기서 미분쇄(微粉碎)란 전술한 조분쇄 대비 미세한 입경으로 분쇄하는 것으로 5mm 이하의 입경으로 분쇄하게 되며, 이로써 후속 공정인 가열단계(S40)에서 약리 성분의 용출 및 원료 조직의 연화를 통한 반액반고상(半液半固狀) 유동체 형성을 촉진하게 된다.
혼합단계(S30)에서 투입되는 인삼 및 쑥 역시 생초 상태로 투입되며, 미분쇄 처리는 배전 치커리 입상체, 배전 삼지구엽초 입상체, 인삼 및 쑥이 모두 혼합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혼합단계(S30)에서의 배전 치커리 입상체, 배전 삼지구엽초 입상체, 인삼 및 쑥의 혼합비는 동량(同量) 혼합 즉, 동일한 중량의 배전 치커리 입상체, 배전 삼지구엽초 입상체, 인삼 및 쑥이 혼합되는 방식이 적용되되, 배전 치커리 입상체의 중량을 타 일개 재료 중량의 1.0배 내지 1.5배의 중량을 가지도록 증량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혼합 입상체를 가열하여 반액반고상의 치커리 함유 조성물을 완성하는 가열단계(S40)가 수행됨으로써 본 발명이 완료되는데, 가열단계(S40)에서의 가열 온도는 70℃ 내지 80℃로 설정하여 끓는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원료 조직의 연화 및 유동화를 도모하면서도 유효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정된 온도이다.
또한, 가열단계(S40)에서의 적용 용기로는 원료내 수분의 과도한 소실을 억제할 수 있도록 내압 밀폐 용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단계(S40)에서의 가열 시간은 1시간 내외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이에 대한 독성시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본 발명을 통하여 제조된 조성물의 안전성을 확인한다.
치커리 100g을 입경 15mm로 분쇄하고 순도 95% 발효 주정 200g에 10분간 침지한 후 취출하여 정제 치커리 입상체를 형성하고, 삼지구엽초 100g을 입경 15mm로 분쇄하고 4% 아세트산수용액 200g에 10분간 침지한 후 취출하여 정제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형성하여 정제단계(S11)를 수행하였다.
정제 치커리 입상체 및 정제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건조한 후 각각 배전하되, 80℃ 내지 100℃의 온도로 8분간 배전하여 배전 치커리 입상체 및 배전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배전단계(S22)를 수행하였다.
배전 치커리 입상체 50g, 배전 삼지구엽초 입상체 50g, 미삼 50g 및 쑥 50g을 입경 3mm로 미분쇄한 후 혼합, 교반하여 혼합 입상체를 형성하여 혼합단계(S30)를 수행하였으며, 혼합 입상체를 가열하여 반액반고상의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을 완성하는 가열단계(S40)를 수행하였다.
실험1. 독성시험
실시예1 조성물의 독성 여부를 시험하기 위하여 동물 시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1의 항당뇨 조성물의 성상은 암갈색의 점성 반액반고상의 물질로서 pH 6 내지 pH 8의 산도를 가진다.
실험동물로는 급성, 아급성 및 만성독성에 대한 방대한 생리, 해부 및 독성학적 정보가 축적된 랫드(SD)를 선택하였으며, 5주령 내지 6주령의 건강한 웅성 랫드 및 자성 랫드 각 30마리, 총 60마리를 선택하여 시험군 및 대조군을 설정하였다.
시험 개시 시점에서의 실험동물의 체중은 자성 랫드의 경우 130g 내지 150g, 웅성 랫드의 경우 160g 내지 180g의 분포로서, 시험 개시전 군분리는 자성 랫드는 평균체중이 140±10g, 웅성 랫드는 평균체중이 170±10g이 되도록 조정하여 군별 평균체중 및 분산을 균질화하였다.
개체 식별은 피모색소 표시법을 적용하였으며, 기온 23±2℃ 및 상대습도 50±10%의 환기가 원활한 사육실에서, 조도 150lux 내지 300lux의 형광등 조명을 07시 점등 및 19시 소등하였다.
시험은 순화, 검역, 투여 및 본시험의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순화 내지 본시험의 전체 시험 기간 중 사육상자로는 260W×420L×180Hmm의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가 적용되었고, 사육상자당 5마리의 실험동물이 투입되었다.
시험 기간 중 사료 및 음수로는 실험동물용 고형사료 및 상수도의 자유섭취를 유도하였으며, 본 시험 중 시험 물질의 투여는 경구경로 강제투여로서, 존데(sonde)를 이용하여 위내에 투여하였고, 시험 개시시 1회 투여하였다.
시험 물질인 실시예1의 조성물은 반액반고상의 성상을 가지는 바, 투여량의 산출은 투여 직전의 실험동물 체중을 기준으로 체중 kg당 실시예1 조성물 10g을 투여량의 최대치로 설정하였고, 실시예1 조성물을 주사용 증류수에 희석하여 투여액을 조제함으로써 제중 kg당 투여액은 20㎖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5개 군의 시험군과 1개 군의 대조군을 설정하여 시험군에는 상이한 투여량의 실시예1 조성물이 함유된 투여액을 투여하였고, 대조군에는 주사용 증류수를 투여액으로서 투여하되, 각 시험군별 투여량은 0.5의 공비(公比)로 상기 최대치에서 투여량이 감소하도록 설정하였으며, 전체 시험군 및 대조군 공히 투여액량은 체중 kg당 20㎖로 통일하였다.
전술한 투여 조건을 표로써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 물질 투여 조건
구분 성별 개체수 조성물 투여량(g/kgB.W) 투여액량(㎖/kgB.W)
시험군1 5 10 20
5
시험군2 5 5 20
5
시험군3 5 2.5 20
5
시험군4 5 1.25 20
5
시험군5 5 0.625 20
5
대조군 5 0 20
5
투여 직후 12시간 동안 매 시간 일반상태를 관찰하였으며, 투여 다음날부터 14일까지는 매일 1회 일반상태의 변화, 중독증상, 운동성, 외관, 자율신경 및 폐사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 종료시 생존 개체를 에테르 마취 및 방혈 치사시켜 모든 장기를 육안 검사하였고, 전체 시험군 및 대조군 공히 각 개체에 대하여 투여 직전, 투여 7일 및 부검 직전인 투여 14일에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체중 측정 결과는 다음의 표와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
구분 성별 체중(g)
0day 7day 14day
시험군1 140.2±1.85 167.4±2.41 193.2±3.53
171.3±2.14 231.4±3.02 290.6±3.75
시험군2 141.3±2.01 168.3±2.78 194.1±4.36
170.8±2.27 229.4±3.54 289.3±4.72
시험군3 140.5±1.37 169.6±1.52 193.5±3.61
171.6±2.25 231.0±2.63 293.5±3.68
시험군4 140.8±1.54 167.5±2.54 196.7±3.67
172.0±1.79 233.4±2.47 294.5±2.56
시험군5 141.4±1.67 168.2±2.54 195.5±3.72
171.2±2.56 232.5±3.62 295.2±3.73
대조군 141.3±1.79 170.8±2.65 194.7±4.02
171.5±2.68 234.8±3.58 293.5±4.01
상기 표에서와 같이, 시험 기간내 각 군간 유의한 체중차는 도출되지 않았고, 전체 개체에서 폐사 사례는 물론 특이한 임상증상 역시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며, 생존 개체인 전체 개체의 부검에서 유의한 육안적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로써, 본 발명을 통하여 제조된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생체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S11 : 정제단계
S22 : 배전단계
S30 : 혼합단계
S40 : 가열단계

Claims (2)

  1.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치커리를 조분쇄하고 주정에 10분간 침지한 후 취출하여 정제 치커리 입상체를 형성하며, 삼지구엽초를 조분쇄하고 아세트산수용액에 10분간 침지한 후 취출하여 정제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형성하는 정제단계(S11)와;
    정제 치커리 입상체 및 정제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건조한 후 각각 배전하여 배전 치커리 입상체 및 배전 삼지구엽초 입상체를 형성하는 배전단계(S22)와;
    배전 치커리 입상체, 배전 삼지구엽초 입상체, 인삼 및 쑥을 미분쇄한 후 혼합, 교반하여 혼합 입상체를 형성하는 혼합단계(S30)와;
    혼합 입상체를 가열하여 반액반고상의 치커리 함유 조성물을 완성하는 가열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열단계(S40)에서는 혼합 입상체를 70℃ 내지 80℃로 가열하여 반액반고상의 치커리 함유 조성물을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10065173A 2021-05-21 2021-05-21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305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173A KR102305571B1 (ko) 2021-05-21 2021-05-21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173A KR102305571B1 (ko) 2021-05-21 2021-05-21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571B1 true KR102305571B1 (ko) 2021-09-27

Family

ID=7792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173A KR102305571B1 (ko) 2021-05-21 2021-05-21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5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840B1 (ko) * 1998-06-10 2000-12-15 김진선 맛과 향이 향상된 치커리 볶음차의 제조방법
KR20070042405A (ko) * 2005-10-18 2007-04-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쑥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분획물
KR101427784B1 (ko) * 2012-08-23 2014-08-13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60045154A (ko) * 2014-10-02 2016-04-27 한국식품연구원 쓴맛이 저감된 식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쓴맛이 저감된 식물
KR20170108432A (ko) * 2016-03-17 2017-09-27 김태권 치커리 추출물을 함유한 당뇨병 치료용 약학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840B1 (ko) * 1998-06-10 2000-12-15 김진선 맛과 향이 향상된 치커리 볶음차의 제조방법
KR20070042405A (ko) * 2005-10-18 2007-04-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쑥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분획물
KR101427784B1 (ko) * 2012-08-23 2014-08-13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60045154A (ko) * 2014-10-02 2016-04-27 한국식품연구원 쓴맛이 저감된 식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쓴맛이 저감된 식물
KR20170108432A (ko) * 2016-03-17 2017-09-27 김태권 치커리 추출물을 함유한 당뇨병 치료용 약학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i, Jae Sue 등, Molecules, 2017, 22(6), 986(1-14) *
Taewoo Oh et al., Journal of the Korean Herbal Society, 2013, 28(5), 53-60 *
오태우 등, 대한본초학회지, 2013, 28(5), 53-6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US6416795B1 (en) Herbal extract composition for stress prevention and treatment
KR101723206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114394A (ko) 천마경옥고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0573A (ko) 혈당저하 및 변비효과가 있는 건강식품 조성물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20110114376A (ko) 라벤더를 첨가한 꿀
KR102305571B1 (ko) 치커리 함유 항당뇨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4223251A (zh) 一种百香果松针茶饮料
KR101606913B1 (ko) 강황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1773250B1 (ko) 비파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2524490A (zh) 美人香体制品及其制备方法
KR10208211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CN113018398A (zh) 一种抗疲劳保健品及其制备方法
CN105831731A (zh) 具有清咽润肺、去除口腔异味功效的双层片及其制备方法
KR101192853B1 (ko) 민들레 추출액 및 홍삼 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CN105105127A (zh) 一种红果舒心粉多功能保健食品
KR20190113721A (ko)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양파껍질 효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2568A (ko)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CN104206556A (zh) 一种无防腐剂生态食用油
CN108402249A (zh) 一种有降体重、血脂和护肝作用的养生茶及其制备方法
KR20190116003A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90793B1 (ko) 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차 조성물
KR20180115572A (ko) 홍삼 발효숙성 사료의 제조방법
KR101874842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응이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